KR20210096395A -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395A
KR20210096395A KR1020200009789A KR20200009789A KR20210096395A KR 20210096395 A KR20210096395 A KR 20210096395A KR 1020200009789 A KR1020200009789 A KR 1020200009789A KR 20200009789 A KR20200009789 A KR 20200009789A KR 20210096395 A KR20210096395 A KR 2021009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connecting member
floating body
longitudinal direction
w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7497B1 (en
Inventor
정복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0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497B1/en
Publication of KR2021009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4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facilitating connection of floating bodies, which comprises: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a front end of one of the floating bodies in a lengthwise direction to a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wherein the floating body includes: a pair of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units having first opened rooms with a predetermined size, where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inserted and rotate, wherein the first opened rooms are opened respectively at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a widthwise direction at the front en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 pair of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units having second opened rooms with a predetermined size, which are opened respectively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idthwise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unit including a pair of first insertion portions hav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respectively as an opened hole which makes each of the first opened room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unit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t the front end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insertion portions having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respectively as an opened hole which makes each of the second opened rooms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units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t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engthwise direction.

Description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Floating structure for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본 발명은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nect to a floating body.

부유식 구조물은 폰툰(Pontoon)과 같이 해양 환경상에 부유하여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일정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전체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The floating structure is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providing a specific function by floating in the marine environment like a pontoon. will form a structure.

이를 위해,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중 인접한 부유체 간을 연결하는 기술은 연결 구조상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충분한 구조적 복원성을 갖춘 팀버 웰러(Timber Waler) 방식의 연결 기술과 연결 구조상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동요량을 줄이는 와이어 커텍터 방식의 연결 기술 등이 있다.To this end, the technology for connecting adjacent floats among a plurality of float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effectively distribut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structure and has sufficient structural resilience. There is a wire connector type connection technology that reduces the amount of fluctuation caus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evice.

이러한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중 인접한 부유체 간을 연결하는 기술들은 각각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유의 장점을 갖추고 있는 반면, 단점 또한 존재했으며, 각 연결 기술별 단점들이 특히 연결 부재의 파손, 교체 등과 관련되어 있었다.Among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such a modular unit, the technologies for connecting adjacent floating bodies each have their own unique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have drawbacks. , replacement, etc.

구체적으로,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중 인접한 부유체 간을 판 형상의 웨일러(Whaler)를 이용해 외측면상에서 연결을 이루는 팀버 웰러(Timber Waler) 방식의 연결 기술은 설치 및 교체 시공 상의 연결 작업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파랑과 같은 외력에 의한 피칭현상에 영향을 받아 웨일러와 같은 연결부재의 파손이 빈번히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Specifically, the Timber Waler-type connection technology, which connects adjacent floats among a plurality of float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on the outer surface using a plate-shaped Whaler, is Not only the connection workability is complicated, but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amage of the connecting member such as the waler occurs frequent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itching phenomenon caus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또한,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중 인접한 부유체 간 전단과 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와이어에 의존한 와이어 커텍터 방식의 연결 기술 역시 설치 및 교체 시공 상의 연결 작업성이 복잡할 뿐만 연결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공간이 부유체의 상측으로부터 작업자가 접근 가능한 구조를 갖추어 미관상 좋지 않았으며, 특히 쉽게 외부 물질들이 설치 공간으로 유입되어 연결부재의 상태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echnology of the wire connector method, which relies on a number of connecting wires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between adjacent floating bodies among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also complicates the connection workability in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construction, and the connection wire The space provid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uch as the one, wa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s it had a structure that could be accessed by the operator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body.

이와 관련하여 일정 연결 방식을 채택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전체 설치 작업 또는 노후화 혹은 일부 파손으로 인한 교체 작업상의 용이함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9694호의 "부유식 구조물 해상 연결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ior literature on the prior art prepared to secure the ease of the entire installation work of the floating structure or the replacement work due to deterioration or partial damage by adopting a certain connection metho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89694 "floating" Type structure offshore connec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특정 부유체 연결 방식을 채택한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여전히 충분한 수준의 최초 설치 또는 교체 상의 부유체 간 연결 작업성을 확보하지 못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부유체 간 연결 구조가 파랑에 의한 피칭 및 롤링 현상에 의해 쉽게 훼손되어 빈번한 부품 교체 또는 수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floating structure adopting a specific existing floating body connection method including the prior art, it is still not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level of connection workability between floating bodies during initial installation or replacement, and furthermo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oating bodi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easily damaged by pitching and rolling phenomena caused by waves, requiring frequent replacement or repair of parts.

더욱이,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특정 부유체 연결 방식을 채택한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중 인접한 부유체 간 연결 작업에 이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이 구조물 전체의 미관에 영향을 주며, 해당 연결부재가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상 외부 요인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노후화, 부식 또는 변형의 상태 이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a floating structure adopting an existing specific floating body connection method, including the prior art, structural featur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connection members used for connection work between adjacent floating bodies among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a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It affects the overall aesthetic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member is great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so that deterioration, corrosion, or deformation of the state is caus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상호 연결되어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 최초 설치 또는 교체 상의 부유체 간 연결 작업성이 충분히 확보되고, 부유체 간 연결 구조가 파랑에 의한 피칭 및 롤링 현상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loating structure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a modular unit body, so that connection workability between floating bodies during initial installation or replacement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sufficiently secured and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loating bodies is not easily damaged by pitching and rolling caused by wav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상호 연결되어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 상호 인접한 부유체 간 연결 작업에 이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이 구조물 전체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연결부재가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상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forming a floating structure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floating members constituting a modular unit body, structural featur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connection members used for connection work between adjacent floating bodies are provided for the entire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that does not affect the aesthetics of the structure and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not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유체;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일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과 타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1개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2개방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부재 설치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의 상기 제1개방공간 각각과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1연결부재 삽입홀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삽입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부재 설치부의 상기 제2개방공간 각각과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2연결부재 삽입홀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삽입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nect to a floa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of one floating body and the longitudinal referenc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amo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ing bodies, wherein the floating body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of the floating body a pair of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s respectively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irst ope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rotated;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 which is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eferenc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ope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pair of first opening holes for communicating each of the first open spaces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s with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forming a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respectively. A pair of open holes for communicating each of the second open spaces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ortions with the outside of the rea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each of which forms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including a second insertion portion.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삽입홀과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 삽입홀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 기준선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인접한 일 부유체의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삽입홀과 타 부유체의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 삽입홀이 대응되게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 내 삽입 설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일 부유체의 전단과 타 부유체의 후단을 상호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Her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arts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econd insertion parts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reference line for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econd inserting parts of the other floating body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air of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spaces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so that the front end of one floating body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ing bodies.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 설치부는,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방공간의 전방측 일부 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연결부재 삽입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 내측의 개방된 형태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개방공간의 후방측 일부 공간에 해당하는 회전 여유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연결부재 회전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unit is provided with connecting member inlets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ferenc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to provide a partial spac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open space inside. member insertion part; and a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extending from an open shape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toward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rotational clearance spac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open space on the inside; may include.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은 내측 저면이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inclined form such that the inner bottom surface forms an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또한, 상기 연결부재 회전부분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회전 여유공간을 내측에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provide the rotational free space inside in a sectoral shape that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그리고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순차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웨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workability of the floa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s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s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whalers mounted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layers on each side.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상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를 막을 수 있다.Here, the at least two or more walers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o block the open connection member inlet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는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 아래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two or more waler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opening inlet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The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fluid connection workability may further include a cover that covers the connection member inlet opened in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in a detachable form.

아울러, 상기 웨일러는, 상기 웨일러의 중심 몸체부분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웨일러 중심부;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일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웨일러 날개부; 및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타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타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2웨일러 날개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 기준 인접한 일 웨일러의 상기 제1웨일러 날개부의 단차 형상과 타 웨일러의 상기 제2웨일러 날개부 단차 형상은 대응되어, 상호 겹쳐질 시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er may include a plate-shaped waler center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body portion of the waler; a first waler wing portion forming a step from one end of the waler center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and a second waler wing portion formed to form a step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er of the waler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the width direction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ep shape of the first waler wing of one waler adjacent to the reference and at least two or more waler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erence, respectively, and the step shape of the second waler wing of the other waler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ame thickness a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center of the Whaler may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완충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 전단 및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 후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인접한 일 부유체의 전단 외측과 타 부유체의 후단 외측 간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floating structure, which is easy to connect the floating body, is a structure made of a buffer material, and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end area of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arts and the rear end of the pair of second insertion parts.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for mitigating a collision between the front end outer side of the adjacent on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member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end outer side of the other floating body;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상호 연결되어 부유식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 최초 설치 또는 교체 상의 부유체 간 연결 작업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First, when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are interconnected to form a floating structure, connection workability between floating bodies during initial installation or replacemen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둘째, 부유체 자체 및 상호 인접한 부유체 간 연결 작업에 이용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가 파랑에 의한 피칭 및 롤링 현상에 의해 쉽게 훼손되지 않는다.Second,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used for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floating body itself and the mutually adjacent floating bodies are not easily damaged by the pitching and rolling phenomena caused by waves.

셋째, 상호 인접한 부유체 간 연결 작업에 이용되는 연결부재들의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이 구조물 전체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연결부재가 설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상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Third, the structural featur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used for the connection work between adjacent floating bodies do not affect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members are designed so that they are not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can be provid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의 연결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nect a flo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structure easy to connect the floating body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loating structure easy to connect the flo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a float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nect to a floating body>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10)은 부유체(100); 웨일러(200); 연결부재(300); 및 완충부재(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flo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onnect the floating structure 10, the floating body 100; Whaler (200); connection member 300; and a buffer member 400 .

기본적으로, 부유식 구조물(10)은 부유체(100)를 모듈형 단위체로 하여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부유체(100)를 상호 연결하여 일정 구조를 갖추게 된다.Basically, the floating structure 10 has a certain structure by interconnecting the floating body 100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using the floating body 100 as a modular unit.

부유체(10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 중심 몸체를 기저로 하여, 내부에 부유성 물질이 충진되어 부유성이 부가되는 모듈형 기본 단위체로,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될 시 부유식 구조물(10)을 형성한다.The floating body 100 is a modular basic unit with a central body made of concrete as a base, and floating material is filled therein to add floating properties. 10) is formed.

부유체(100)의 기저가 되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 중심 몸체 내부에는 철근과 같은 강성 재질로 마련된 바 부재가 특정 프레임 구조를 갖추어 매설될 수 있으며, 특히 부유체(100)의 상판에 해당하는 상측 평면 상에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관통바가 내설된다.A bar member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reinforcing bar inside the central body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s the base of the floating body 100 has a specific frame structure and can be buried, especially On the upper plan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 a plurality of through bars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re installed.

또한, 부유체(100)의 상판에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관통바들은 추후 설명될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 및 연결부재 삽입부(130)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상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바의 양 단부는 부유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웨일러(20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트형 구조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bars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n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are a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10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 and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30 is installed o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formed area,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hrough bars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so that the waler 200 can be mounted. It functions as a bolt-type structure.

특히, 부유체(100)는 부유식 구조물(10)의 모듈형 단위체로서, 팀버 웰러(Timber Waler) 방식의 연결 기술과 와이어 커텍터 방식의 연결 기술을 종합적으로 포함하되, 각각의 연결 방식의 연결 구조를 종래로부터 더욱 개선되고 새로운 효과의 부가를 위해 변형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loating body 100 is a modular unit of the floating structure 10, and includes a Timber Waler type connection technology and a wire connector type connection technology, but the connection of each connection method is comprehensive. The structure is further improved from the prior art and is being modified to add new effect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10)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부유체(100)는 연결부재(300)의 설치 및 교체 작업과 관련한 연결 작업성의 확연한 개선을 위해 내부상 특정 구조로 개방된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 및 연결부재 삽입부(1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loating body 100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with a specific structure on the insid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connection workability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 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10 , a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20 , and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30 .

여기서,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방향 기준 좌우 측에 각각 대칭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공간 형성부분이다.He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 110 is a pair of open space forming parts that are respectively symmetric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연결부재(300)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1개방공간(111H, 112H)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부재 삽입부분(111) 및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unit 110 is open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has a predetermined size capable of insertion and rot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 In order to form one open space (111H, 112H), a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111 and a connecting member rotating portion 112 are included.

우선,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은 도2 및 도3과 같이 부유체(11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구비하여 제1개방공간(111H, 112H)의 전방측 일부 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함입구조 부분이다.First,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is provided with connecting member inlets 111H respectively open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10 as shown in FIGS. 2 and 3 to provide a first open space. (111H, 112H) is a recessed structure portion that provides a partial space on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다음으로,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은 도2 및 도3과 같이 연결부재 삽입부분(1110) 내측의 개방된 형태로부터 부유체(110)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개방공간(111H, 112H)의 후방측 일부 공간에 해당하는 회전 여유공간(112H)을 내측에 마련하는 함입구조 부분이다.Next,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11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pen form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0 to the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o form a first open space ( 111H, 112H) is a recessed structure portion that provides a rotational free space (112H) corresponding to a partial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inner side.

따라서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는 추후 설명될 연결부재(300)의 제1구성이 연결부재(300)의 설치를 위해 제1개방공간(111H, 112H)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간으로 기능하고,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의 회전 여유공간(112H)은 추후 설명될 연결부재(300)의 제1구성이 연결부재(300)의 설치를 위해 회전을 통해 아래 설명될 연결부재 삽입부(130)의 제1삽입부분(131)로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개방공간으로 기능한다.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 spaces 111H and 112H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n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to be described later. Functions as an open space that can function, and the rotational free space 112H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112 is described below through rot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n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functions as an open space in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art 131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30 to be inserted.

이와 같은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와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의 회전 여유공간(112H)은 제1개방공간(111H, 112H)을 이루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111 and the rotational clearance space 112H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ortion 112 form the first open spaces 111H and 112H.

여기서,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은 내측 저면이 부유체(11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로 물을 비롯한 각종 외부물질들이 유입되더라도 미끄러져 흘러 다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거쳐 설치된 연결부재(300)의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력을 최소화시킨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ng part 111 is provided in a inclined form so that the inner bottom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ing body 1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ng part 111 . Even if various external substances, including water, ar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inlet 111H,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so that it slides and flows out again to the outside. Minimize influence from external factors.

또한,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의 회전 여유공간(112H)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 보았을 때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회전 여유공간(112H)을 내측에 마련하여,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통해 제1개방공간 내부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된 연결부재(300A)의 제1구성(310, 320)이 도2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부유체(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clearance space 112H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112 is a rotational clearance space 112H in a sectoral shape that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when viewed in a plan view as shown in FIG. 2 . )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first components 310 and 320 of the connecting member 300A inserted in a tilted state into the first open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are It rotates as indicated by A of FIG. 2 to achieve a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그 후, 연결부재 회전부분(112)의 회전 여유공간(112H)에서 도2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부유체(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회전한 연결부재(300B)의 제1구성은 도2의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단측으로 이동되어 연결부재 삽입부(130)로 관통 삽입된다.After that, in the rotational free space 112H of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112, as indicated by A in FIG. Configuration 1 is moved to the front end side as indicated by B of FIG. 2 and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30 .

그리고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및 후단 측 면은 각각 높이방향 기준 하부에 해당하는 경사면(140)과 상부에 해당하는 수직면(15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and rear end side surfaces of the floating body 100 are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vertical surface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여기서,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및 후단 측 면의 상부에 해당하는 수직면(15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상호 연결된 부유체(100) 중 일 부유체(100)의 전단과 타 부유체(100)의 후단이 상호 접하게 되는 영역으로 아래 설명될 연결부재 삽입부(130)와 완충부재(400)가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된다.Here, the vertical surface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and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is one of the floating bodies 100 of the adjacent interconnected floating bodies 100 as shown in FIG. 3 . As a region wher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1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30 and the buffer member 400 to be described below are formed.

또한,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및 후단 측 면의 하에 해당하는 경사면(1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상호 연결된 부유체(100) 중 일 부유체(100)의 전단과 타 부유체(100)의 후단이 상호 이격된 간격을 형성하여 파랑에 의한 인접하게 상호 연결된 부유체(100)의 움직임에 의해 충돌이 최소한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움직임 여유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inclined su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and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is the front end of one floating body 100 among the adjacently interconnected floating bodies 100 , as shown in FIG. 3 .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the other floating body 100 form a space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for movement so that a collision can be minimized by the movement of the adjacently interconnected floating bodies 100 due to waves.

다음으로,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2개방공간(120H)을 형성하여, 연결부재(300)의 제2구성(330)이 삽입되어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의 제1개방공간(111H, 112H)을 통해 삽입 및 회전되어 연결부재 삽입부(130)로 관통 삽입된 연결부재(300)의 제1구성(310, 320)과의 체결 작업을 진행하여 연결부재(300)의 설치 또는 교체와 같은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완료되도록 한다.Nex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unit 120 is open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longitudinal reference of the floating body 100 as shown in FIG. 1 to form a second ope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 120H), the second configuration 330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is inserted and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first open spaces 111H and 112H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10 to insert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By performing a fastening operation with the first components 310 and 320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nserted through the 130, a connection operation such as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easily completed.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와 한 쌍의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는 연결부재 유입구(111H)와 제2개방공간(120H)의 개방면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기 때문에, 부유체(100)의 상부면에 개방면이 상부면에 형성되는 기존의 와이어 커넥터형 연결방식에 비해 외부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덜 받게 되고, 미관상 더욱 가려지게 되며, 이러한 미관상의 특성은 아래 설명될 웨일러(200)의 설치 위치상의 특징 또는 커버(미도시)의 구성상의 특징을 통해 더욱 강화된다. As for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10 and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20,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and the second open space 120H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y ar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 100, respectively, in the existing wire connector type connection method in which an open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100. Compared to that, it is less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and is more obscured in terms of aesthetics, and this aesthetic characteristic i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feature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aler 200 or the feature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연결부재 삽입부(130)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110)의 제1개방공간(111H, 112H) 각각과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1연결부재 삽입홀(131H)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삽입부분(131) 및 한 쌍의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의 제2개방공간(120H) 각각과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2연결부재 삽입홀(132H)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삽입부분(132)을 포함한다.Next,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first open spaces 111H and 112H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units 110 and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Each of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arts 131 and the second open spaces 120H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s 120 respectively forming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s 131H as open holes, and A pair of second insertion portions 132 each forming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2H as an open ho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cluded.

이러한 한 쌍의 제1삽입부분(13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 삽입홀(131H)과 한 쌍의 제2삽입부분(132)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홀(132H)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 기준선 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1H provided inside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ortions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132H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econd insertion portions 132 are provided. 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reference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s shown in FIG.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 중 인접한 일 부유체(100)의 한 쌍의 제1삽입부분(13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 삽입홀(131H)과 타 부유체(100)의 한 쌍의 제2삽입부분(132)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홀(132H)이 대응되게 접하여 연결부재(30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130H)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1H provided inside a pair of first insertion parts 131 of an adjacent on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installed by contact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2H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econd inserting parts 132 of the other floating body 100 to correspond to each other (130H).

따라서 연결부재(300)는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 내 삽입 설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 중 일 부유체(100)의 전단과 타 부유체(100)의 후단을 상호 고정 연결한다.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30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spaces, and the front end of one floating body 100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100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 .

이러한 연결부재(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 중 일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과 타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을 연결하는 와이어형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 유닛에 해당한다.The connection member 300 is a connection made of a wire-type bolt and a nut fo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reference front end of one floating body 100 and the longitudinal referenc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100 among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 It corresponds to the means unit.

이를 위해, 연결부재(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 중 인접한 일 부유체(100)의 제1삽입부분(131)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 삽입홀(131H)과 타 부유체(100)의 제2삽입부분(132)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 삽입홀(132H)이 대응되게 접하여 형성되는 연결부재 설치공간(130H)에 설치되는 연결 볼트부(310)를 기준으로 양단에 결합되는 너트형 부재인 제1연결부재 고정부(320)와 제2연결부재 고정부(330)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member 30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1H provided inside the first insertion part 131 of one adjacent floating body 100 among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and the other part. Based on the connection bolt part 310 installed in the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space 130H form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132H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insertion part 132 of the fluid 100 correspondingly It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on member fixing part 320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fixing part 330, which are nut-type members coupled to both ends.

여기서, 연결 볼트부(310)와 연결 볼트부(3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탈방지 및 고정 설치를 위한 단차를 형성하는 너트형 부재인 제1연결부재 고정부(320)는 연결부재(300)의 제1구성으로 앞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설치 또는 교체와 같은 연결 작업 시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제1개방공간(111H, 112H)으로 삽입 및 회전 작업되는 일부 구성에 해당한다.Her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fixing part 320, which is a nut-type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bolt part 310 and the connection bolt part 310 to form a step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for fixed installation, is the connection member 300. Corresponds to some configurations that are inserted and rotated into the first open spaces 111H, 112H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11 during connection operations such as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with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do.

또한, 연결 볼트부(3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이탈방지 및 고정 설치를 위한 단차를 형성하는 너트형 부재인 제2연결부재 고정부(330)는 연결부재(300)의 제2구성으로 앞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의 설치 또는 교체와 같은 연결 작업 시 제2연결부재 설치부(120)의 제2개방공간(120H)으로 삽입 작업되는 일부 구성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fixing part 330 , which is a nut-type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bolt part 310 to form a step for separation prevention and fixed installation, is the second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 As shown, it corresponds to som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ser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to the second open space 120H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20 during a connection operation such as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

웨일러(200, Whaler)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재(300)에 의해 순차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부유체(100) 연결용 판재 구성으로, 적어도 둘 이상(좌측 기준 하나 이상, 우측 기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Whaler (200, Whaler)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It is a plate material for connecting the floating body 100 that is mounted on each side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layers, and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one or more on the left side, one or more on the right side).

이러한, 웨일러(200)는 부유체(1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기준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 연결되는 판재 구성으로, 여러겹 겹쳐져 복수의 층을 이룰 수 있다.The waler 200 has a plate material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 and may be overlapp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여기서, 복수의 층을 이룰 수 있으며, 각 층별로 적어도 둘 이상이 부유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웨일러(200)는 앞 서 설명한 부유체(100)의 상판에 해당하는 상측 평면 상에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관통바의 양 단부, 즉 외부로 돌출된 관통바의 단부측 일정 영역에 장착되는 형태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layers may be formed, and at least two or more walers 200 for each layer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re the upper plan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described above. Connection can be made on both ends of a plurality of through bars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that is, mount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end side of the through bar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re is.

이를 위해, 웨일러(200)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관통바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연결을 위한 개방홀을 다수개 구비한다.To this end, the wal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 holes for interconnection at the same interval as the arrangement interval of a plurality of through bars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do.

또한, 실시에 따라서는 관통바의 단부측에 장착되는 연결 방식과 별개로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박아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 측면상에 웨일러(200)를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method mounted on the end side of the through bar, the waler 20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by driving additional fixing means.

구체적으로, 웨일러(200)의 구조는 웨일러(200)의 중심 몸체부분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웨일러 중심부(210)을 기준으로 양 단부로 연장 형성되어 날개 구조를 이루는 제1웨일러 날개부(220)와 제2웨일러 날개부(230)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structure of the waler 200 is formed to extend to both ends with respect to the plate-shaped waler center 210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body portion of the waler 200 to form a wing structure of the first waler wing It is provided with the part 220 and the second Whaler wing part 230 .

여기서, 제1웨일러 날개부(220)는 웨일러 중심부(210)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일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구조이며, 제2웨일러 날개부(230)는 웨일러 중심부(210)의 타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타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구조이다.Here, the first waler wing 220 has a structure that forms a step from one end of the waler center 210 and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and the second waler wing 230 ) is a structure in which a step is formed from the other end of the waler center 210 and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순차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웨일러(200) 기준 상호 인접한 일 웨일러(200)의 제1웨일러 날개부(220)의 단차 형상과 타 웨일러(200)의 제2웨일러 날개부(230) 단차 형상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어, 상호 겹쳐질 시 웨일러 중심부(210)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이룬다.In addition, the first waler wing of one waler 200 adjacent to each other based on at least two or more walers 200 that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step shape of the part 220 and the step shape of the second waler wing 230 of the other waler 200 correspond as shown in FIG. has the same thickness as

따라서 제1웨일러 날개부(220)의 단차 형상은 웨일러 중심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자형 구조를 이루고, 제2웨일러 날개부(230)의 단차 형상은 웨일러 중심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자형 구조를 이룬다.Therefore, the step shape of the first waler wing 220 forms a "┏"-shaped structure from one end of the waler center 210, and the step shape of the second waler wing 230 is the waler center 210. It forms a "┛"-shaped structure from the other end of

그리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순차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웨일러(200)는 실시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상측에 각각 장착되어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막아 외부 물질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 내부로의 유입을 막고 연결부재(300)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And at least two or more walers 200, each sequential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inter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ter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100)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to block the open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11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materials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300 ) can be minimized.

또 다른 실시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순차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웨일러(200)는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111H) 아래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111H)의 커버(미도시)로 기능하는 별도의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two or more walers 200 that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re open conn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100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located under the member inlet 111H, respective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pen connecting member inlet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 ( 111H)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member functioning as a cover (not shown).

여기서, 커버(미도시)는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덮는 부재에 해당하며, 연결부재(300)의 설치 또는 교체를 위한 연결 작업시에만 분리시켜 연결부재 삽입부분(111)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가 개방될 수 있게 하고, 평소에는 연결부재 유입구(111H)를 막아 외부 물질의 연결부재 유입구(111H) 내부로의 유입을 막고 연결부재(300)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Here, the cover (not shown) corresponds to a member that covers the open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11 in a detachable form, and only during connection work for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300 . Separation allows the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111 to be opened, and usually blocks the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substances into the connection member inlet 111H inside the connection member The problem affecting (300) can be minimized.

완충부재(400)는 소정의 탄성 및 완충성을 갖춘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완충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한 쌍의 제1삽입부분(131) 전단 및 한 쌍의 제2삽입부분(132) 후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 중 인접한 일 부유체(100)의 전단 외측과 타 부유체(100)의 후단 외측 간 충돌을 완화시키는 구성이다.The buffer member 400 is a structure made of a buffer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urethane, etc. having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buffering properties. Installed in at least one or more end regions of the rear end to alleviate the collision between the outer front end of the adjacent one of the two or more floats 100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uter rear end of the other float 100 is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100 : 부유체
110 : 제1연결부재 설치부
111 : 연결부재 삽입부분 111H : 연결부재 유입구
112 : 연결부재 회전부분 112H : 회전 여유공간
120 : 제2연결부재 설치부
120H : 제2개방부분
130 : 연결부재 삽입부
131 : 제1삽입부분
131H : 제1연결부재 삽입홀
132 : 제2삽입부분
132H : 제2연결부재 삽입홀
140 : 경사면 145 : 수직면
200 : 웨일러
210 : 웨일러 중심부
220 : 제1웨일러 날개부
230 : 제2웨일러 날개부
300 : 연결부재
310 : 연결 볼트부
320 : 제1연결부재 고정부
330 : 제2연결부재 고정부
400 : 완충부재
10: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100: floating body
110: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
111: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11H: connecting member inlet
112: connecting member rotating part 112H: rotating free space
120: second connection member installation part
120H: 2nd open part
130: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131: first insertion part
131H: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32: second insertion part
132H: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140: inclined plane 145: vertical plane
200 : Whaler
210: Whaler center
220: first waler wing part
230: second waler wing part
300: connecting member
310: connection bolt part
320: first connecting member fixing part
330: second connecting member fixing part
400: buffer member

Claims (10)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유체;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일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과 타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 및 회전이 가능한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1개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되어 소정의 크기를 갖춘 제2개방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부재 설치부; 및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설치부의 상기 제1개방공간 각각과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1연결부재 삽입홀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1삽입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2연결부재 설치부의 상기 제2개방공간 각각과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된 구멍으로서 제2연결부재 삽입홀을 각각 형성하는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a flo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ront end of one floa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members and the referenc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loating body is
a pair of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s respectively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to form a first ope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rotated;
a second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 which is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rear end side of the referenc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econd ope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pair of first inserts each forming a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as an open hole for communicating each of the first open spaces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s with the outside of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 pair of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s, each of which is an open hole for communicating the part and the second open space of the pair of second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parts with the outside of the rear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2 A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삽입홀과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 삽입홀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 기준선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인접한 일 부유체의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삽입홀과 타 부유체의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 삽입홀이 대응되게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설치공간 내 삽입 설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일 부유체의 전단과 타 부유체의 후단을 상호 고정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first inserting parts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ng hol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second inserting part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ame reference lin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ortions of an adjacent on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member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ir of second insertions of the other floating bod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sertion hol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pair of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spaces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one of the at least two floating members and the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 설치부는,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전단 측에 너비방향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개방된 연결부재 유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방공간의 전방측 일부 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연결부재 삽입부분; 및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 내측의 개방된 형태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후단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개방공간의 후방측 일부 공간에 해당하는 회전 여유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연결부재 회전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stallation unit,
a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connecting member inlets each opened from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ront end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 to provide a partial spac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open space inside; and
A connecting member rotat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open form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toward the rear end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rotational free space on the inside corresponding to a partial space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open spa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은 내측 저면이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in a inclined form such that the inner bottom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ating body in the width direction.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회전부분은 상기 부유체의 길이방향 기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회전 여유공간을 내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rot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llowance space is provided inside in a sector-shaped shape that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순차 연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웨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the floating body,
At least two or more wedge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ounted to form at least one layer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s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llu;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 상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7.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two waler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o block the open connection member inlet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art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는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 아래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재 삽입부분의 개방된 상기 연결부재 유입구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7.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two or more waler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opening inlet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portion,
The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the floating body,
A cover for covering the open connection member inlet of the connection member insertion part in a detachable 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일러는,
상기 웨일러의 중심 몸체부분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웨일러 중심부;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일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웨일러 날개부; 및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타단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며 낮아진 두께로 타단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2웨일러 날개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너비방향 기준 좌우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웨일러 기준 인접한 일 웨일러의 상기 제1웨일러 날개부의 단차 형상과 타 웨일러의 상기 제2웨일러 날개부 단차 형상은 대응되어, 상호 겹쳐질 시 상기 웨일러 중심부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eyler,
a plate-shaped waler center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body portion of the waler;
a first waler wing portion forming a step from one end of the waler center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one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and
and a second waler wing portion formed to form a step from the other end of the center of the waler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end with a reduced thickness.
The step shape of the first waler wing portion of one waler adjacent to the at least two waler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waler of the other waler The step shape of the 2 waler wing parts corresponds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y overlap each other, they form the same thickness a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aler center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은,
완충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 상기 한 쌍의 제1삽입부분 전단 및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분 후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영역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 중 인접한 일 부유체의 전단 외측과 타 부유체의 후단 외측 간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체 연결 작업성이 용이한 부유식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the floating body,
A structure made of a buffer material, adjacent one of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stalled in at least one end region of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first insertion parts and the rear end of the pair of second insertion parts and inter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uffer member for mitigating a collision between the outer front end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outer rear end of the other floa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loating structure with easy connection to floating body.
KR1020200009789A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KR102317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89A KR102317497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89A KR102317497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95A true KR20210096395A (en) 2021-08-05
KR102317497B1 KR102317497B1 (en) 2021-10-26

Family

ID=7731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789A KR102317497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49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75A (en) * 1990-07-30 1993-05-28 Ihc Holland Nv Floating structure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parts
US20090116909A1 (en) * 2007-11-06 2009-05-07 David H. Rytand Connector for connecting flotation devices or other structures
KR101039371B1 (en) * 2010-11-25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Pontoon
KR20160034705A (en) * 2014-09-22 2016-03-30 박정빈 Prefabricated barge
KR101651819B1 (en) * 2015-12-10 2016-08-2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Units assemblable type pontoon
KR101851933B1 (en) * 2017-03-31 2018-04-25 주식회사 엠마리나 Concrete floating bo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1975A (en) * 1990-07-30 1993-05-28 Ihc Holland Nv Floating structure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parts
US20090116909A1 (en) * 2007-11-06 2009-05-07 David H. Rytand Connector for connecting flotation devices or other structures
KR101039371B1 (en) * 2010-11-25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Pontoon
KR20160034705A (en) * 2014-09-22 2016-03-30 박정빈 Prefabricated barge
KR101651819B1 (en) * 2015-12-10 2016-08-2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Units assemblable type pontoon
KR101851933B1 (en) * 2017-03-31 2018-04-25 주식회사 엠마리나 Concrete float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497B1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3381A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KR101664160B1 (en) Harbor structure using interlocked caisson
KR102317497B1 (en)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KR101254488B1 (en) Caisson
KR100683972B1 (en) Block type retaining wall
CN1087379C (en) Access floor system
US11027798B2 (en) To connect float modules to each other and/or to an assembly and/or to a superstructure mounted onto them, for pontoons constructed of float modules
CA1244252A (en) Building element for supporting grid walls with a bulk material filling
KR100928908B1 (en) Access floor assembly
KR102273710B1 (en)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with Improved Construction and Support
CN110904830B (en) Method for applying durable noise-reducing maintenance-free bridge expansion device
KR102329848B1 (en) A caisson with a perforated plate, a caisson with a pluralit of membranes arrang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70052985A (en) Breakwater of wave dissipating block erect heap up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CN109930559B (en) Dam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57213B1 (en) Tetra-pod structure installed on breakwater
KR20230012351A (en) Wave dissipating block and oceanaic structure using the same
CN1218526A (en) Revetement for bank
KR102571979B1 (en) Wave dissipation block and breakwater structure usingits
US7118309B2 (en) Component for spatial grid supporting systems comprising filler material especially for retaining walls or noise-abatement walls, and corresponding structure
PT1705315E (en) Telescopic shelter
CN211848888U (en) Durable noise-reducing maintenance-free bridge expansion device fixing boundary beam
KR200449684Y1 (en) Wide floodgate
CN211848895U (en) Durable noise-reducing maintenance-free sliding boundary beam of bridge expansion device
CN211848885U (en) Single-slit type durable noise-reducing maintenance-free bridge expansion device
KR20240060183A (en) breakwater that can be constructed in various form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