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005A - Tab lea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ab lead - Google Patents
Tab lea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ab le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6005A KR20210096005A KR1020210008867A KR20210008867A KR20210096005A KR 20210096005 A KR20210096005 A KR 20210096005A KR 1020210008867 A KR1020210008867 A KR 1020210008867A KR 20210008867 A KR20210008867 A KR 20210008867A KR 20210096005 A KR20210096005 A KR 202100960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surface
- resin
- lead
- thermoplastic
- lead condu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9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MUBZPKHOEPUJKR-UHFFFAOYSA-N Ox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O MUBZPKHOEPUJ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WABPQHHGFIMREM-VENIDDJXSA-N lead-201 Chemical compound [201Pb] WABPQHHGFIMREM-VENIDDJXSA-N 0.000 description 5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990 N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408 ox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ZGEGCLOFRBLKSE-UHFFFAOYSA-N 1-Hep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 ZGEGCLOFRBLK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KAKUADMBZCLK-UHFFFAOYSA-N 1-oct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KWKAKUADMBZC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SSPWUEQFSQQG-UHFFFAOYSA-N 4-methyl-1-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C WSSSPWUEQFSQ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064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WAKXRMUMFPDSH-UHFFFAOYSA-N pentene Chemical compound CCCC=C YWAKXRMUMFPD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BYWAXJHAXSJNI-VOTSOKGWSA-M .beta-Phenylacryl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VOTSOKGWSA-M 0.000 description 1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AHNSTQSQJOJLO-UHFFFAOYSA-N 2-(3-fluorophenyl)-1h-imidazole Chemical compound FC1=CC=CC(C=2NC=CN=2)=C1 JAHNSTQSQJOJ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YKYXWQEBUNJCN-UHFFFAOYSA-N 3-methylfuran-2,5-dione Chemical compound CC1=CC(=O)OC1=O AYKYXWQEBUNJ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NISBHGPNMTMS-UHFFFAOYSA-N 3-methylideneoxolane-2,5-dione Chemical compound C=C1CC(=O)OC1=O OFNISBHGPNMT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SREVYHEPSA-N Cinn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 WBYWAXJHAXSJNI-SREVYHEP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ERQOIWHTDAKMF-UHFFFAOYSA-N Meth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CERQOIWHTDAK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44 Skin exfol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18 acid anhydr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5 aci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2 aldehy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4 bas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430 calcium compoun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674 calc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4 carboxylic acid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CDOYSPFYFSLEW-UHFFFAOYSA-N chromate(2-) Chemical compound [O-][Cr]([O-])(=O)=O ZCDOYSPFYFSL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911 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85 cinn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NEGQIOMVPPMNR-IHWYPQMZSA-N citra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O HNEGQIOMVPPMNR-IHWYPQMZ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8557 citrac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37 continuou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NSCUHMNNSA-N crot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LDHQCZJRKDOVOX-NSCUHMNN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DVKFRBCXAPAQJ-UHFFFAOYSA-A dialuminum;hexamagnesium;carbonate;hexadeca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OH-].[OH-].[OH-].[OH-].[OH-].[OH-].[OH-].[OH-].[OH-].[OH-].[OH-].[OH-].[OH-].[Mg+2].[Mg+2].[Mg+2].[Mg+2].[Mg+2].[Mg+2].[Al+3].[Al+3].[O-]C([O-])=O GDVKFRBCXAPAQJ-UHFFFAOYSA-A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48 ethylene methacrylic acid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545 hydrotalci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01 hydrotalc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QPQWNKOIGAROB-UHFFFAOYSA-N 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N-]=C=O IQPQWNKOIGAR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61 laser diffra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81 magnes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UHFFFAOYSA-N methyl p-hydroxycinnamate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VHBHZANLOWSRM-UHFFFAOYSA-N methylenebut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C(O)=O LVHBHZANLOWS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VMXDCGIABBOFY-UHFFFAOYSA-N n-Octanol Natural products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55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3 polybu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6 polyprop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30 thermomechan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UHFFFAOYSA-N trans-croto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LDHQCZJRKDOV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7 ultraviolet radiation absor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탭 리드(tab lead), 전지 및 탭 리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ab lead, a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b lead.
본 출원은 2020년 1월 27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20-011103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전체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based on Japanese Application No. 2020-011103 for which it applied on January 27, 2020, and uses all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said Japanese application.
여러 가지의 분야에 있어서, 부식성을 갖는 산성의 액체에 의한 금속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전력 사용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경량 또한 박형이면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2차 전지(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와 같은 2차 전지에 있어서는 금속 부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지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Various fields WHEREIN: Resin which can suppress corrosion of the metal by the acidic liquid which has corrosiveness is calculated|required. For example, with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evelopment of secondary batteries (eg, lithium ion batteries, etc.) having high energy density while being lightweight and thin. In such a secondary battery,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metal corrosion, the above resin is requested|required in some cases.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2차 전지에 적용 가능한 전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지는 정극(正極), 부극(負極), 전기 분해액 등이 봉입 봉투에 봉입되며, 정극 및 부극에는 각각 리드 선이 접속된 구조를 갖는다. 리드 선의 일부는 봉입 봉투로부터 외부로 취출되어 있다. 이 리드 선은 탭 리드라 하며, 리드 도체의 일부의 영역에 수지 성형체(수지 필름 등)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수지 성형체는 봉입 봉투와 리드 도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밀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applicable to a secondary battery. This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sis solution, etc. are sealed in a sealing bag, and a lead wire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respectively. A part of the lead wire is taken out from the sealed bag. This lead wire is called a tab lea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sin molded body (resin film, etc.) is arranged in a part of the lead conductor. The resin molded body is disposed so as to seal a gap between the encapsulation bag and the lead conductor.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탭 리드에 의하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지만, 용착에 의한 봉입 봉투의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다.According to the tab lea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the intended purpose can be achieved, but the time required for sealing the sealed bag by welding is long.
그래서, 본 개시는 용착에 의한 봉입 봉투의 밀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탭 리드, 전지 및 탭 리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tab lead, a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ab lead capable of shortening the sealing time of the sealed envelope by welding.
본 개시의 탭 리드는 제 1 주면과, 상기 제 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 2 주면을 구비한 리드 도체와, 상기 리드 도체의 제 1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리드 도체의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제 2 주면과, 양 측면을 덮는 수지부를 갖는다.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주면을 덮는 제 1 가교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가소성부와,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주면을 덮는 제 2 가교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열가소성부를 갖는다.The tab l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ead conducto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in a first direction are exposed, and the amount of the lead conductor is Between the ends, it has the first main surface, the second main surface, and a resin portion covering both side surfaces. The resin part includes a first bridge part covering the first principal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irst principal surface side, and a first bridge part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bridge par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t has a 1st thermoplastic part, the 2nd bridge|crosslinking part which covers the said 2nd main surface when seen from the said 2nd main surface side, and the 2nd thermoplastic part extended out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said 2nd bridge|crosslinking part in the said 2nd direction.
본 개시에 의하면, 용착에 의한 봉입 봉투의 밀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dication, the sealing time of the sealing bag by welding can be shortened.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그 1)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그 2)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그 3)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봉입 봉투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전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참고예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tab lead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 l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 1)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b l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 2)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ab l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 3)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ab l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aled bag.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in the second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 lead according to a reference example.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The form for implementing is demonstrated below.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Description of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탭 리드는, 제 1 주면과, 상기 제 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 2 주면을 구비한 리드 도체와, 상기 리드 도체의 제 1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리드 도체의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제 2 주면과, 양 측면을 덮는 수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주면을 덮는 제 1 가교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가소성부와,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주면을 덮는 제 2 가교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열가소성부를 갖는다.[1] A tab lea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ead conducto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and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in a first direction are exposed an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the first main surface, the second main surface, and a resin portion covering both side surfaces, wherein the resin portion includes the first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A first crosslinked portion covering the main surface, a first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rosslinked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It has a 2nd bridge|crosslinking part which covers a main surface, and the 2nd thermoplastic part extended out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said 2nd bridge|crosslinking part in the said 2nd direction.
수지부에 제 1 가교부 및 제 2 가교부가 포함된다. 제 1 가교부 및 제 2 가교부는 뛰어난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용착에 의한 봉입 봉투의 밀봉 시에, 탭 리드에 일정한 형상을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시에는 제 1 가교부 및 제 2 가교부의 연화 온도 미만의 온도여도 제 1 열가소성부 및 제 2 열가소성부가 연화되기 때문에,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resin portion includes a first cross-linked portion and a second cross-linked portion. Since the first cross-linked portion and the second cross-linked portion have excellent heat resistance, a fixed shape can be maintained on the tab lead when sealing the sealed bag by welding.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thermoplastic parts are softened even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rosslinked parts during sealing, the time required for sealing can be shortened.
[2] 상기 제 1 가교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리드 도체에 버어가 발생하는 경우여도, 제 1 가교부의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과, 제 2 가교부의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버어의 수지부의 관통 등을 방지할 수 있다.[2]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and the second cross-link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It protrudes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Even when burrs occur in the lead conductor,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ed portion and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cross-linked portion can prevent penetration of the resin portion of the burrs, and the like.
[3] 상기 제 1 가교부의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0.1㎜ 이상이며, 상기 제 2 가교부의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0.1㎜ 이상이다. 버어의 수지부의 관통 등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3] The length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ridge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is 0.1 mm or more, and the length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bridge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he length is 0.1 mm or more. Penetration of the resin part of the burr, etc.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4] 상기 제 1 가교부의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1 열가소성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의 50% 이하이며, 상기 제 2 가교부의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열가소성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의 50% 이하이다. 제 1 열가소성부 및 제 2 열가소성부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에 의해, 밀봉 시간을 단축하기 쉽다.[4]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is 50% or less of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irst thermop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cross-linking portion is A length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is 50% or less of a length of the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By sufficiently securing the first thermop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it is easy to shorten the sealing time.
[5] 상기 수지부는 상기 리드 도체와 중첩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1 평탄부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리드 도체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2 평탄부와, 상기 제 1 평탄부와 상기 제 2 평탄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가교부 및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1 평탄부로부터 상기 경사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리드 도체에 버어가 발생하는 경우여도, 버어의 수지부의 관통 등을 방지할 수 있다.[5] The resin part has a first flat part overlapping the lead conductor and having a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main surface and the second main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lead conductor in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flat portion having a main surface and a surface parallel to the second main surface, and an incline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the inclined portion having a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surface and the second main surface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are formed from the first flat portion to the inclined portion. Even when a burr|burr generate|occur|produces in a lead conductor, penetration etc. of the resin part of a burr can be prevented.
[6] 상기 제 1 가교부의 표면의 겔분율은, 상기 제 1 열가소성부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고, 상기 제 2 가교부의 표면의 겔분율은, 상기 제 2 열가소성부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다. 제 1 열가소성부나 제 2 열가소성부에 가교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6]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ed part is higher than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hermoplastic part, and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ross-linked part is higher than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thermoplastic part. Even if the crosslinked por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thermoplastic portion or the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the time required for sealing can be shortened.
[7]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 가교부 및 상기 제 1 열가소성부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가교부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부를 포함하는 제 2 수지 필름을 가지며, 상기 리드 도체는 상기 제 1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수지 필름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열가소성부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부는 비가교부이며, 상기 제 1 가교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7] The resin part has a first resin film including the first cross-linked part and the first thermoplastic part, and a second resin film including the second cross-linked part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part, and the lead conductor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esin film and the second resin film, the first thermoplastic portion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are non-crosslinked portions, and the first crosslinked portion is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to protrude from the first main surface, and the second bridge part protrudes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8] 본 개시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전지는 포재(包材)와, 상기 포재에 수용된 발전 소자와, 상기 발전 소자의 전극에 접속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탭 리드를 가지며, 상기 리드 도체 및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이 상기 포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8] Th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rapping material, a power generating element accommodated in the wrapping material, and the tab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connected to an electrode of the power generating element It has a lead, and the one end of the said lead conductor and the said resin part in the said 1st direction is arrange|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said wrapping material.
[9] 본 개시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른 탭 리드의 제조 방법은, 제 1 주면과, 상기 제 1 주면과는 반대측의 제 2 주면을 구비한 리드 도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리드 도체의 제 1 방향으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리드 도체의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제 2 주면과, 양 측면을 덮는 수지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1 주면측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조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주면을 덮는 제 1 가교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가소성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2 주면측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조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주면을 덮는 제 2 가교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열가소성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9]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b lea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lead conducto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forming a resin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the second main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while exposing both ends in one direction; A first bridge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by selectively irradiating the surface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a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tep of forming a first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and selectively irradiating a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It comprises the process of forming a 2nd bridge|crosslinking part which covers two main surfaces, and the 2nd thermoplastic part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said 2nd bridge|crosslinking part in the said 2nd direction.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Details of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일이 있다.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s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 about the component which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structure, by attaching|subjecting the same code|symbol, the overlapping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는 탭 리드에 관한 것이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first embodiment relates to a tab lead.
[탭 리드][Tap Lead]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I-I선을 따른 단면도에 상당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tab lead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 l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2 corresponds to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 1 .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1)는 리드 도체(10)와, 수지부(20)를 갖는다. 리드 도체(10)는 제 1 주면(10A)과, 제 1 주면(10A)과는 반대측의 제 2 주면(10B)을 구비한다. 리드 도체(10)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리드 도체(10)의 평면형상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1조(一組)의 변이 연장되는 방향을 X방향, 서로 평행한 다른 1조의 변이 연장되는 방향을 Y방향, 제 1 주면(10A)의 법선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X방향의 치수가 Y방향의 치수보다 커도 작아도 좋으며, Y방향의 치수와 동일하여도 좋다. X방향은 제 1 방향의 일 예이며, Y방향은 제 2 방향의 일 예이다. 수지부(20)는 리드 도체(10)의 X방향으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이들 양 단부의 사이에서,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10B)과, 양 측면(10C)을 덮는다.1 and 2 , the tab lead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리드 도체][Lead conductor]
리드 도체(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니켈(Ni),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니켈 도금 구리 또는 니켈 클래드 구리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나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서는, 정극측의 리드 도체(10)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며, 부극측의 리드 도체에 니켈, 니켈 합금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한 구리 등이 사용된다.The
리드 도체(10)는 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 처리가 실행되어 있어도 좋으며, 표면이 미처리여도 좋다. 수지부(20)에 이용되는 수지 성형체는, 표면 미처리 알루미늄 도체에 대하여 충분히 높은 접착성을 갖는다. 따라서, 리드 도체(10)가 표면 미처리 알루미늄 도체여도 좋다. 이 경우, 리드 도체(10)를 구성하는 금속(표면 미처리 알루미늄 도체)에 수지부(20)가 직접 접촉하도록, 수지부(20)를 배치한 탭 리드(1)를 얻을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는 크로메이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As for the
리드 도체(10)는 띠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그 치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리드 도체(10)의 두께는 0.05㎜ 이상 1.5㎜ 이하, X방향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 Y방향의 길이는 1㎜ 이상 60㎜ 이하이다. 이와 같은 리드 도체(10)는 예를 들면 두께가 0.05㎜ 이상 1.0㎜ 이하의 금속박을 소정의 크기로 커트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The
[수지부][Resin part]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20)는 예를 들면,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15)와, 매트릭스(15) 중에 분산된 수산제의 입자(16)를 갖는다. 수지부(20)는, 리드 도체(10)의 X방향의 양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외한, X방향의 일부의 영역의 외주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리드 도체(10)의 X방향의 양 단부는, 전극이나 단자 등의 도전 부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수지부(20)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이다. 수지부(20)는 상기 양 단부 이외의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그 외주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수지부(20)는 예를 들면, 리드 도체(1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부착맞추어진 2매의 수지 필름(수지 성형체에 상당)(21, 22)을 갖는다. 수지 필름(21, 22)의 Y방향의 치수는 리드 도체(10)의 Y방향의 치수보다 크며, 이에 의해 밀봉성을 높이고 있다. 예를 들면, 수지 필름(21, 22)의 두께는 30㎛ 이상 200㎛ 이하, X방향의 길이는 2㎜ 이상 20㎜ 이하, Y방향의 길이는 3㎜ 이상 110㎜ 이하이다.As shown in FIG. 2 , the
수지부(20)는 리드 도체(10)와 중첩되며, 리드 도체(10)의 제 1 주면(10A) 및 제 2 주면(10B)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1 평탄부(31)와, Y방향으로 리드 도체(10)로부터 이격되며, 제 1 주면(10A) 및 제 2 주면(10B)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2 평탄부(32)를 갖는다. 수지부(20)는 또한, 제 1 평탄부(31)와 제 2 평탄부(32)를 연결하며, 제 1 주면(10A) 및 제 2 주면(10B)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경사부(33)를 갖는다. 제 1 평탄부(31)와 제 2 평탄부(32) 사이에서, 수지 필름(21, 22)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제 1 평탄부(31)에서는, 수지 필름(21)과 수지 필름(22) 사이에 리드 도체(10)가 끼워지고, 제 2 평탄부(32)에서는, 수지 필름(21, 22)이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탭 리드(1)의 제 1 평탄부(31)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는, 제 2 평탄부(32)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리드 도체(10)의 분만큼 크다. 경사부(33)의 표면은 이와 같은 두께의 상이에 기인하여 경사져 있다.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행"이란, 엄밀한 의미에서의 평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사회 통념상, 평행이라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제 1 주면(10A)과 제 2 주면(20A)이 나열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일한 두께"란, 엄밀한 의미에서 두께가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사회 통념상, 두께가 동일하다라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께가 가까우면 좋다. 예를 들면, 제조 편차 등에 기인하여, 2면의 사이에 약간의 경사가 생기거나, 두께에 약간의 상이가 생겨도 좋다.In addition, "parallel" in this embodiment does not mean parallel in a strict sense, and the 1st
수지 필름(21, 22)은 예를 들면, 수지 성분과 수산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체이다. 또한, 수지 성형체의 형태는 반드시 필름 상태가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리드 도체(10) 위의 주위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 또는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심리스인 수지부라도 좋다.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단일의 필름을 리드 도체(10)에 감아 수지부(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수지 성분][Resin component]
수지 성분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산함유기가 도입된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 수지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이다. 올레핀계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이나,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공역 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좋다.The resin component contains an acid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in which an acid-containing group is introduced into the polyolefin resin. Polyolefin resin is a synthetic resin formed by superposing|polymerizing or copolymerizing the olefinic monomer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double bond.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n olefinic monomer, For example, alpha-olefins, such as ethylene, propylene, 1-butene, 1-pentene, 1-hexene, 1-heptene, 1-octene, 4-methyl-1- pentene, Conjugated dienes, such as butadiene and isoprene, etc. are mentioned. An olefinic monomer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2 or more types may be used together.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폴리에틸렌), 에틸렌 성분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성분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부텐의 단독 중합체(폴리부텐), 부타디엔이나 이소프렌 등의 공역 다이엔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polyolefin resin, For example, polyethylene-type resin, such as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lpha-olefin other than ethylene containing 50 mass % or more of ethylene homopolymer (polyethylene), ethylene, propylene, of homopolymer (polypropylene), polypropylene resin such as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α-olefin other than propylene containing 50 mass% or more of a propylene component, homopolymer of butene (polybutene), butadiene or isoprene, etc.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of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 수지가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변성되어 이루어지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신남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외에, 무수 말레산(maleic anhydride), 무수 이타콘산(itaconic acid anhydride), 무수 시트라콘산(citraconic anhydride)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리드 도체(10)와 수지부(20) 사이의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말레산 또는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cidic radical containing polyolefin resin,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dified polyolefin resin in which polyolefin resin is modified|denatured with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nclud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rotonic acid, maleic acid, cinnamic acid, itaconic acid, citraconic acid, fumaric acid, maleic anhydride, and itaconic acid anhydride. )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hydrides such as citraconic anhydride. Among them,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between the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는, 산변성에 의해 도입되는 산성기 이외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성분과, 비극성의 성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극성기를 함유하는 성분과, 비극성의 성분이 공중합하여 주사슬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비극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주사슬에 극성기를 갖는 성분이 그래프트(grafting)되어 있어도 좋다.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극성기를 함유하는 성분과, 비극성의 성분이 규칙적으로 도입되어 있어도 좋으며, 불규칙하게 도입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극성기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콕시기, 에폭시기, 카복실기(carboxyl group), 수산기, 무수 말레산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다.The acid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may have a component containing a polar group other than an acid group introduced by acid modification, and a non-polar component. A component containing a polar group and a nonpolar component may be copolymerized to form a main chain. A component having a polar group may be grafted onto the main chain composed of a non-polar component. In the acid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the component containing a polar group and the non-polar component may be introduced regularly or irregularly.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polar group, For example, an alkoxy group, an epoxy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maleic anhydride group, an isocyanate group, an aldehyde group, etc. are mentioned.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리드 도체(10)에 대한 접착성을 가지며, 밀봉성이 뛰어나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트 중합되어 있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acid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anhydride) maleic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is preferable. The (anhydrous) maleic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 has adhesiveness to the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좋다. 상기 수지 성분은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와, 산기를 함유하지 않는 미변성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양쪽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Acidic radical containing polyolefin resin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2 or more types may be used together. The said resin component may contain both the polyolefin resin containing an acidic radical, and the unmodified polyolefin resin which does not contain an acidic radical.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수지 성분은 0.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의 산기 함유 부위를 갖는다. 여기에서 "산기 함유 부위"란, 수지의 고분자쇄 내에 산기를 함유하는 부위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것, 및 유리(遊離) 카르복실산 등의 유리의 산이 포함된다. 금속 재료에 대한 수지의 접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수지의 고분자쇄 내에 산기를 함유하는 부위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기 함유 부위의 "산기"에는, 카르복실산이나 설폰산 등의 산기 뿐만 아니라, 무수 디카르복실산 등의 산무수물기도 포함된다.For example, preferably, the resin component has an acid group-containing site of 0.05 mass% or more and 5 mass% or less. As used herein, the term "acidic group-containing moiety" includes free acids such as free carboxylic acids and those in which a moiety containing an acidic group is chemically bonded to the polymer chain of the resi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resin to the metal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moiety containing an acid group in the polymer chain of the resin is chemically bonded. In addition, not only acidic radicals, such as carboxylic acid and sulfonic acid, but also acid anhydride groups, such as an anhydride dicarboxylic acid, are contained in "acid group" of an acidic radical containing site|part.
산기 함유 부위의 양은, 예를 들면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스펙트럼의 공지의 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산기 함유 부위의 양은,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의 양에 대한, 변성을 위해서 배합된 산의 배합량으로부터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에 의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변성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경우, 폴리올레핀 부분에 대한 무수 말레산의 비율을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무수 말레산의 비율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계(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에 의해, 1700㎝-1 근방에서 검출되는 카르보닐 부위 유래의 피크의 강도에 근거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The amount of the acid group-containing moiety can be calculated, for example, based on a known analysis method of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um. The quantity of an acidic radical containing site|part can also be computed from the compounding quantity of the acid mix|blended for mod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of the whole polyolefin resin.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olefin resin obtained by modifying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with maleic anhydride, the ratio of maleic anhydride to polyolefin por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NMR spectrum. The ratio of maleic anhydride may be quantitatively calculated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peak derived from the carbonyl moiety detected in the vicinity of 1700 cm -1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
수지 성분이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와, 산기를 함유하지 않는 미변성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물의 경우, 산기 함유 부위의 양은, 미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도 포함한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에 있어서의 산기 함유 부위의 비율로서 산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resin component is a mixture of an acid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and an acid group-free unmodified polyolefin resin, the amount of acid group-containing moieties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acid group-containing moieties in the entire polyolefin resin including the unmodified polyolefin resin. can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수지 성분 전체에 있어서의 산기 함유 부위의 비율은 0.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이다. 수지 성분 전체에 있어서의 산기 함유 부위의 비율이 0.05 질량% 이상인 것에 의해, 금속 재료에 대한 수지 성분의 접착성을 충분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수지 성분 전체에 있어서의 산기 함유 부위의 비율이 5 질량% 이하인 것에 의해,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이다.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이다.For exampl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acidic radical containing site|part in the whole resin component is 0.05 mass % or more and 5 mass % or less. When the ratio of the acidic radical containing site|part in the whole resin component is 0.05 mass % or more, the adhesiveness of the resin component with respect to a metal material can be maintained at a sufficient level. When the ratio of the acidic radical containing site|part in the whole resin component is 5 mass % or less, the fall of moldability can be suppressed. The lower limit is more preferably 0.1 mass%, still more preferably 0.5 mass%. The upper limit is more preferably 4 mass %, still more preferably 3 mass %.
[수산제][Oxalic Acid]
상기 수지 조성물은 수산제를 포함한다. 수산제는 마그네슘 및 칼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무기 화합물이다.The resin composition includes an acid-acid agent. The oxalic acid is an inorganic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one of magnesium and calcium.
수산제로서는,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대표적인 조성으로서, Mg6A12(OH)16CO3·4H2O 등) 등의 마그네슘 화합물 및 탄산 칼슘 등의 칼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취급성이 용이하므로, 약염기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oxalic acid include magnesium compounds such as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hydrotalcite (as a representative composition, Mg 6 A 12 (OH) 16 CO 3 .4H 2 O, etc.) and calcium compounds such as calcium carbonate. can be heard Since handleability is eas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weakly basic compound.
예를 들면, 수산제의 입자(16)의 입경은 5㎛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산제의 입경은 평균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입경이 5㎛ 이하의 미세한 입자이므로, 수지 조성물 중에 양호한 상태로 분산할 수 있다. 수산제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For exampl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
수산제의 양은, 수지 성분 100 질량부 당 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이다. 수지 성분 100 질량부 당 1 질량부 이상의 수산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산포착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어, 리드 도체(10)와 수지부(20) 사이의 박리의 리스크가 저감된다. 또한, 수산제의 양이 수지 성분 100 질량부 당 20 질량부 이하이므로,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경은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입자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acid-acid agent is 1 mass part or more and 20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resin components. By including 1 part by mass or more of the acid-acid agent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component, the dispersion trapping function is sufficiently exhibited, and the risk of peeling between the
[수지 조성물 및 수지 필름][Resin composition and resin film]
수지 필름(21, 22)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산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15)에 수산제의 입자(16)가 분산된 분산체이다. 수지 조성물은 미경화의 수지 성분에 상기 수산제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 조제된다.The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the
베이스 수지가 되는 수지 성분에 수산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는, 배치식(일정량의 배치마다 수산제를 베이스 수지에 첨가하고 혼합하는 방법), 혹은 연속식(일정량의 수산제를 베이스 수지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혼합하는 방법) 등의 첨가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adding an acid-acid agent to the resin component used as base resi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Examples include a batch method (a method of adding and mixing an acidifying agent to the base resin for each batch of a certain amount) or a continuous method (a method of continuously adding and mixing a certain amount of an acidic acid to the base resin). .
수지 성분에 대한 수산제의 분산 정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수산제를 수지 성분 100 질량부 당 1.0 질량부 첨가하여 두께가 50㎛의 수지 필름(21, 22)을 성형했을 때에, 육안으로 보아 투명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수산제의 응집 입자가 보이지 않는 상태의 분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garding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acid-acid agent with respect to the resin component, for example, when the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의 베이스 수지가 되는 수지 성분과 수산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도 좋다.In the resin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resin component used as the base resin and the acid-acid agent, various additives such as a flame retar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heat stabilizer, a lubricant, and a colorant may be mixed as needed.
수지 필름(21, 22)은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우선 베이스 수지가 되는 수지 성분에 대해, 수산제와, 필요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조제한다. 혼합은 오픈 롤, 가압 니더, 단축 혼합기, 2축 혼합기 등의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압출 성형기 등의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소망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수지 필름(21, 22)을 제작한다. 얻어진 수지 필름(21, 2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성분의 매트릭스(15) 중에, 수산제의 입자(16)가 구석구석 분산된 구조를 갖는다.The
[가교부, 열가소성부][Cross-linked part, thermoplastic part]
수지부(20)는 제 1 주면(10A)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주면(10A)을 덮는 가교부(41)를 갖는다. 가교부(41)는 제 1 주면(10A)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방향으로 제 1 주면(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지 필름(21)의 제 1 평탄부(31)로부터 경사부(33)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수지부(20)는 Y방향에 있어서 가교부(41)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열가소성부(42)를 갖는다. 수지부(20)는, 제 2 주면(10B)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2 주면(10B)을 덮는 가교부(43)를 갖는다. 가교부(43)는 제 2 주면(10B)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방향으로 제 2 주면(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지 필름(22)의 제 1 평탄부(31)로부터 경사부(33)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교부(41, 43)의 단부는 경사부(33)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부(20)는 Y방향에 있어서 가교부(43)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열가소성부(44)를 갖는다. 가교부(41, 43)는 수지 필름(21, 22)의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 성분의 가교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열가소성부(42, 44)는 수지 필름(21, 22)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분에 가교가 생기지 않은 비가교부이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부(42)의 연화 온도는 가교부(41)의 연화 온도보다 낮고, 열가소성부(44)의 연화 온도는 가교부(43)의 연화 온도보다 낮다. 또한, 가교부(41)의 표면의 겔분율은 열가소성부(42)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고, 가교부(43)의 표면의 겔분율은 열가소성부(44)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다. 예를 들면, 가교부(41, 43)의 겔분율은 20% 이상 90% 이하이며, 열가소성부(44)의 겔분율은 0%이다.The
가교부(41, 43)는 가교에 의해, 열가소성부(42, 44)보다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탭 리드(1)는 비수전해질 전지 등에 이용되는 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전지 팩과 일체화될 때의 가열에 있어서, 열가소성부(42, 44)가 연화되는 한편, 가교부(41, 43)는 연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교부(41, 43)의 200℃에서의 열기계 분석 장치(thermomechanical analyzer: TMA)에 의한 측정에서는, 가열 변형 잔율이 30% 이상이다.The
도 2에 도시하는 탭 리드(1)에 있어서는 수지 필름(21, 22)이 각각 단층 구조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층의 수지 필름(21) 및 수지 필름(22) 대신에, 복수의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수지 필름(21, 22)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 층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을 부착맞춘 2층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층에 선택적인 조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가교부(41, 43)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tab lead 1 shown in Fig. 2,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탭 리드(1)에 의하면, 가교부(41, 43)가 뛰어난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용착에 의한 봉입 봉투의 밀봉 시에, 탭 리드(1)에 일정한 형상을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시에는, 가교부(41, 43)의 연화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도 열가소성부(42, 44)가 연화되기 때문에,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ab lead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리드 도체(10)의 코너부에 버어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교부(41)가 제 1 주면(10A)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방향으로 제 1 주면(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지 필름(21)의 제 1 평탄부(31)로부터 경사부(33)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교부(43)가 제 2 주면(10B)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Y방향으로 제 2 주면(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지 필름(22)의 제 1 평탄부(31)로부터 경사부(33)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 도체(10)의 코너부에 버어가 발생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버어는 평면에서 보아 가교부(41, 43)의 내측에 위치하며, 버어가 수지부(20)를 관통하거나, 수지부(20)의 두께가 부족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 burr|burr may generate|occur|produce in the corner part of the
버어의 영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교부(41, 43)의 제 1 주면(10A), 제 2 주면(10B)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Y방향으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다. 그 한편으로, 가교부(41, 43)의 제 1 주면(10A), 제 2 주면(10B)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히트 시일의 진행이 방해받기 쉬워진다. 히트 시일을 효과적으로 진행시켜, 밀봉 시간을 보다 확실히 단축하는 관점에서, 가교부(41, 43)의 제 1 주면(10A), 제 2 주면(10B)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Y방향으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부(42, 44)의 Y방향으로의 길이의 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influence of the burrs, the length in the Y direction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열가소성부(42, 44)의 표면의 전체가 완전하게 비가교일 필요는 없으며, 가교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열가소성부(42, 44)의 연화 온도가 가교부(41, 43)의 연화 온도보다 낮으면,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entire surface of the
[탭 리드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ap lead]
다음에, 탭 리드(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탭 리드(1)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ab lead 1 is demonstrated. 3 to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ab lead 1 .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21, 22)을 준비하고, 리드 도체(10)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수지 필름(21, 22)을 서로 부착맞춘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이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납 등의 마스크(51)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21)에 감마선을 조사하고, 납 등의 마스크(52)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22)에 감마선을 조사한다. 마스크(51)는 열가소성부(42)를 형성할 예정의 영역을 덮으면서, 가교부(41)를 형성할 예정의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51A)를 갖는다. 마스크(52)는 열가소성부(42)를 형성할 예정의 영역을 덮으면서, 가교부(43)를 형성할 예정의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52A)를 갖는다.Next, as shown in FIG. 4 , the
감마선의 조사에 의해 수지 필름(21, 22)의 일부가 가교되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교부(41, 43)가 형성되는 동시에, 비가교부인 열가소성부(42, 44)가 얻어진다.A part of the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탭 리드(1)를 제조할 수 있다.By such a method, the tab lead 1 can be manufactured.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탭 리드(1)를 이용한 봉입 봉투형의 비수전해질 전지에 관한 것이다.Next,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second embodiment relates to a sealed envelope-type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the tab lead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전지][battery]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봉입 봉투의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aled bag.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비수전해질 전지(100)의 내부에 있어서는, 정극(105a)과 부극(105b)이 세퍼레이터(106)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있다. 정극(105a)에 대해서는, 정극용 탭 리드(101a)의 리드 도체(110a)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부극(105b)에 대해서는, 부극용 탭 리드(101b)의 리드 도체(110b)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정극용 탭 리드(101a) 및 부극용 탭 리드(101b)의 일부(정극(105a) 및 부극(105b)과는 반대측의 일부)가 봉입 봉투(111)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정극(105a)과, 부극(105b)과, 세퍼레이터(106)와, 정극용 탭 리드(101a)와, 부극용 탭 리드(101b)를 포함하는 조립체(130)가 봉입 봉투(1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봉입 봉투(111)는 포재의 일 예이며, 정극(105a)과, 부극(105b)과, 세퍼레이터(106)가 발전 소자에 포함된다.6 to 8 , in the
탭 리드(101a, 101b)에는 상기의 탭 리드(1)가 이용된다. 즉, 탭 리드(101a)는 가교부(41, 43)에 상당하는 가교부와 열가소성부(42, 44)에 상당하는 열가소성부를 구비한 수지부(120a)를 갖는다. 또한, 탭 리드(101b)는 가교부(41, 43)에 상당하는 가교부(145)와 열가소성부(42, 44)에 상당하는 열가소성부를 구비한 수지부(120b)를 갖는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120a, 120b)는 매트릭스(15)와 마찬가지의 매트릭스(215)와, 입자(16)와 마찬가지의 수산제의 입자(216)를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tab leads 1 are used for the tab leads 101a and 101b. That is, the
봉입 봉투(111) 내에는, 전기 분해액이 주입되어 있다. 외부에 취출된 리드 도체(110a, 110b)를 사이에 두고, 봉입 봉투(111)의 개구부에 배치된 탭 리드(101a, 101b)의 수지부(120a, 120b)와 중첩되도록 하여 봉입 봉투(111)의 개구부가 히트 시일되어 있다. 리드 도체(110a, 110b) 및 수지부(120a, 120b)의 X방향의 일단이 봉입 봉투(1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electrolysis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sealing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입 봉투(111)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층(109)과, 금속층(109)의 외측의 외측층(107)과, 금속층(109)의 내측의 내측층(108)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외측층(107)은 수지층이며, 보호층으로서 기능한다. 내측층(108)은 히트 시일성을 갖는 수지층이다. 예를 들면, 외측층(107)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이 이용되며, 내측층(108)에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필름이 이용된다. 봉입 봉투(111)는 밀봉부(104)에서 밀봉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봉입 봉투(111)의 개구부의 히트 시일은, 열가소성부의 연화 온도 이상, 또한 가교부의 연화 온도 미만의 온도로, 예를 들면, 열간 프레스기를 이용한 용착에 의해 실행된다. 이 용착에서는, 열가소성부와 내측층(108)이 열에 의해 연화된다. 그리고, 연화 후에 냉각되면, 열가소성부와 내측층(108)이 강고하게 밀착된다. 수지부(120a, 120b)에 열가소성부(42, 44)에 상당하는 열가소성부가 마련되지 않고, 수지부(120a, 120b)의 표면의 전체가 가교되어 있으면, 수지부(120a, 120b)가 연화되기 어려워, 히트 시일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온도가 높아진다. 이에 대해, 탭 리드(101a, 101b)에서는 가교부의 연화 온도 미만의 온도여도, 열가소성부의 표면이 용융되기 때문에, 히트 시일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heat sealing of the opening part of the
정극(105a), 부극(105b)은 각각 판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정극(105a), 부극(105b)을 판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비수전해질 전지(100)의 박형화가 달성된다. 정극(105a) 및 부극(105b)은 집전체라 하는 금속박이나 익스펜드 메탈(expand metal) 등의 금속 기재 위에 활물질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정극용 탭 리드(101a)와 정극(105a)의 접합 방법, 및 부극용 탭 리드(101b)와 부극(105b)의 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폿 용접이나, 초음파 용접 등으로 접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정극용 탭 리드(101a)에는 매우 높은 전위가 걸리기 때문에, 고전위로 용해되지 않는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리드 도체(110a)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혹은 티탄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Since a very high potential is applied to the positive
부극용 탭 리드(101b)에 있어서는, 과충전으로 리드 도체(110b)의 표면에 리튬이 석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과방전에서는 전위가 높아진다. 따라서, 리드 도체(110b)로서는, 리튬과 반응하기 어려우며, 또한 고전위로 용해하기 어려운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리드 도체(110b)의 재질로서는, 니켈 혹은 구리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이 바람직하다.In the negative
탭 리드(101a, 101b)의 수지부(120a, 120b)는, 봉입 봉투(111)의 개구부에 배치된다. 수지부(120a, 120b)는 상술의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수지부(120a, 120b)는 봉입 봉투(111) 내층 필름에 융착되어 시일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봉입 봉투(111)의 금속층(109)과 리드 도체(110a) 또는 리드 도체(110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The
[밀봉 시간][Sealing time]
다음에, 탭 리드(1)의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대하여, 참고예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참고예에 따른 탭 리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Next, the time required for sealing of the tab lead 1 is demonstrate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exampl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ab lead according to a reference example.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참고예에 따른 탭 리드(201)는 리드 도체(10)와, 수지부(220)를 갖는다. 수지부(220)의 재료는 수지부(20)의 재료와 동일하며, 수지부(220)는 탭 리드(1)와 마찬가지로, 제 1 평탄부(31)와, 제 2 평탄부(32)와, 경사부(33)를 갖는다. 수지부(220)는, 수지 필름(21)의 표면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가교부(241)와, 수지 필름(22)의 표면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가교부(243)를 갖는다. 즉, 수지부(220)에서는, 수지 필름(21, 22)의 표면의 전체가 가교되어 있다. 탭 리드(201)의 다른 구성은 탭 리드(1)와 마찬가지이다.As shown in FIG. 10 , the
탭 리드(1 및 201)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전지를 제조한다고 하고, 이 때, 열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봉입 봉투의 밀봉을 실행한다고 한다. 열간 프레스기는 히터와, 봉입 봉투에 접하여 히터의 열을 봉입 봉투에 전달하는 러버를 갖는다. 러버의 봉입 봉투에 접하는 표면의 온도(표면 온도)는 히터의 설정 온도보다 낮아진다. 표 1에 탭 리드(201)에 있어서의 히터의 설정 온도와, 러버의 표면 온도와,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2에 탭 리드(1)에 있어서의 히터의 설정 온도와, 러버의 표면 온도와, 밀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 중의 시간의 란의 "-" 표시는, 시간을 들여도 밀봉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Assume that a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including the tab leads 1 and 201 is manufactured, and the sealing bag is sealed using a hot press machine at this time. The hot press machine has a heater and a rub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capsulation bag and transmits the heat of the heater to the encapsulation bag. The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aling bag of the rubber become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Table 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 temperature of the heater in the
[표 1][Table 1]
[표 2][Table 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 리드(1)에 의하면, 탭 리드(201)보다 저온이어도, 봉입 봉투의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설정 온도 및 러버의 표면 온도가 동일하면, 탭 리드(1)에 의하면, 탭 리드(201)보다 단시간에 봉입 봉투의 밀봉을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s 1 and 2, according to the tab lead 1, even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특정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w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In the range described in the claim, various deformation|transformation and change are possible.
1: 탭 리드
10: 리드 도체
10A: 제 1 주면
10B: 제 2 주면
10C: 측면
15: 매트릭스
16: 입자
20: 수지부
21, 22: 수지 필름
31: 제 1 평탄부
32: 제 2 평탄부
33: 경사부
41, 43: 가교부
42, 44: 열가소성부
51, 52: 마스크
51A, 52A: 개구부
100: 비수전해질 전지
101a: 정극용 탭 리드
101b: 부극용 탭 리드
104: 밀봉부
105a: 정극
105b: 부극
106: 세퍼레이터
107: 외측층
108: 내측층
109: 금속층
110a, 110b: 리드 도체
111: 봉입 봉투
120a, 120b: 수지부
130: 조립체
145: 가교부
201: 탭 리드
215: 매트릭스
216: 입자
220: 수지부
241, 243: 가교부1: tap lead 10: lead conductor
10A: 1st
10C: side 15: matrix
16: particle 20: resin part
21, 22: resin film 31: first flat part
32: second flat portion 33: inclined portion
41, 43: crosslinking
51, 52:
100:
101b: tab lead for negative electrode 104: sealing part
105a:
106: separator 107: outer layer
108: inner layer 109: metal layer
110a, 110b: lead conductor 111: sealed envelope
120a, 120b: resin part 130: assembly
145: crosslinking part 201: tap lead
215: matrix 216: particles
220:
Claims (9)
상기 리드 도체의 제 1 방향에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리드 도체의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제 2 주면과, 양 측면을 덮는 수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주면을 덮는 제 1 가교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가소성부와,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주면을 덮는 제 2 가교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열가소성부를 갖는
탭 리드.a lead conducto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a resin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the second main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while exposing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sin part,
a first bridge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a second bridge portion covering the second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having a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cross-linking portion
tap lead.
상기 제 1 가교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탭 리드.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ridge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The second bridge port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tap lead.
상기 제 1 가교부의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0.1㎜ 이상이며,
상기 제 2 가교부의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0.1㎜ 이상인
탭 리드.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is 0.1 mm or more,
The length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bridge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is 0.1 mm or more
tap lead.
상기 제 1 가교부의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1 열가소성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의 50% 이하이며,
상기 제 2 가교부의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열가소성부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길이의 50% 이하인
탭 리드.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is 50% or less of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irst thermoplastic portion,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of the second cross-linking portion is 50% or less of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tap lead.
상기 수지부는,
상기 리드 도체와 중첩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1 평탄부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리드 도체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제 2 평탄부와,
상기 제 1 평탄부와 상기 제 2 평탄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주면 및 상기 제 2 주면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가교부 및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1 평탄부로부터 상기 경사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탭 리드.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part,
a first flat portion overlapping the lead conductor and having a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a second fla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lead conducto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surfaces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major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and having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surfaces,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are formed from the first flat portion to the inclined portion.
tap lead.
상기 제 1 가교부의 표면의 겔분율은, 상기 제 1 열가소성부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고,
상기 제 2 가교부의 표면의 겔분율은, 상기 제 2 열가소성부의 표면의 겔분율보다 높은
탭 리드.The method of claim 1,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ross-linked part is higher than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hermoplastic part,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ross-linked part is higher than the gel fraction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thermoplastic part.
tap lead.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 1 가교부 및 상기 제 1 열가소성부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가교부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부를 포함하는 제 2 수지 필름을 가지며,
상기 리드 도체는 상기 제 1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수지 필름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열가소성부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부는 비가교부이며,
상기 제 1 가교부는,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1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 2 가교부는,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탭 리드.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part,
a first resin film including the first crosslinking part and the first thermoplastic part;
and a second resin film including the second crosslinking part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part,
The lead conductor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esin film and the second resin film,
The first thermoplastic part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part are non-crosslinked parts,
The first bridge por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The second cross-link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tap lead.
상기 포재에 수용된 발전 소자와,
상기 발전 소자의 전극에 접속된, 제 1 항에 기재된 탭 리드를 가지며,
상기 리드 도체 및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일단이 상기 포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전지.pojae and
And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accommodated in the wrapping material,
It has the tab lead according to claim 1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power generating element,
One end of the lead conductor and the resin part in the first direction is disposed outside the wrapping material
battery.
상기 리드 도체의 제 1 방향으로의 양 단부를 노출하면서, 상기 리드 도체의 상기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주면과, 상기 제 2 주면과, 양 측면을 덮는 수지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1 주면측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조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1 주면을 덮는 제 1 가교부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열가소성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의 상기 제 2 주면측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조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주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제 2 주면을 덮는 제 2 가교부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교부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열가소성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탭 리드의 제조 방법.preparing a lead conductor hav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forming a resin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the second main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while exposing both ends of the lead conductor in the first direction;
By selectively irradiating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resin portion, a first bridged portion covering the first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and a seco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step of forming a first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rosslinking portion in the direction;
a second bridged portion covering the second main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by selectively irradiating the surface on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resin portion; 2 having a step of forming a second thermoplastic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cross-linking por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ap l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011103 | 2020-01-27 | ||
JP2020011103A JP2021118108A (en) | 2020-01-27 | 2020-01-27 | Tab lead,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ab lea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6005A true KR20210096005A (en) | 2021-08-04 |
Family
ID=7717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867A KR20210096005A (en) | 2020-01-27 | 2021-01-21 | Tab lea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ab lead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1118108A (en) |
KR (1) | KR20210096005A (en) |
CN (1) | CN11325822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71809A (en) * | 2021-09-27 | 2021-12-31 |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 Adhesive tape, tab and batter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4087A (en) | 1998-06-10 | 1999-12-24 | Sumitomo Electric Ind Ltd |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
JP2017069120A (en) | 2015-10-01 | 2017-04-06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Lead member and power storage device |
-
2020
- 2020-01-27 JP JP2020011103A patent/JP2021118108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01-21 KR KR1020210008867A patent/KR20210096005A/en unknown
- 2021-01-22 CN CN202110093671.7A patent/CN11325822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4087A (en) | 1998-06-10 | 1999-12-24 | Sumitomo Electric Ind Ltd |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
JP2017069120A (en) | 2015-10-01 | 2017-04-06 |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 Lead member and power stora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258223A (en) | 2021-08-13 |
JP2021118108A (en) | 202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57711B (en) |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
CN100438127C (en) | Cell coated with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I389373B (en) | Lead member,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ion device | |
EP0942477A2 (en) | Sealing structure in a secondary battery | |
KR101459179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JP3114174B1 (en) | Lead wires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ies | |
KR20210152969A (en) | Pouch film lamination, pouch-type battery case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
KR20220040347A (en) |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Folding Side | |
KR20180120027A (en) | An electrode lead for a secondary battery,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 |
KR102325036B1 (en)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Pouch For The Secondary Battery | |
EP4235929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10096005A (en) | Tab lea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ab lead | |
JP2017069107A (en) | Adhesive protection film | |
KR101520152B1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JP7160048B2 (en) | Resin molding and tab lead | |
JP2010097853A (en) | Metallic terminal film and metallic terminal bonded with same | |
EP1348224A1 (en) | A connection between a conductive substrate and a laminate | |
WO2021229669A1 (en) | Molded resin object, tab lead, and battery | |
US20230070569A1 (en) | Lead member, package of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lead member | |
JP4580625B2 (en) | battery | |
JPH02109252A (en) | Ptc device for battery | |
WO2024161293A1 (en) | Sealing film, metal terminal, battery, and device | |
JP2003297336A (en) | Lead for positive electrode and power storing device using the lead | |
KR20240077447A (en)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
KR100898070B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