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699A -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699A
KR20210095699A KR1020217020743A KR20217020743A KR20210095699A KR 20210095699 A KR20210095699 A KR 20210095699A KR 1020217020743 A KR1020217020743 A KR 1020217020743A KR 20217020743 A KR20217020743 A KR 20217020743A KR 20210095699 A KR20210095699 A KR 2021009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bs
ssb
index
quasi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558B1 (ko
Inventor
친옌 장
메이이 자
신 왕
궈위 장
레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서,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본 개시내용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 관련된 주제들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서 연구 중에 있다.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과 같은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한 주기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들은 절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며, 절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5 ms이다.
NR 시스템에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및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대해, 절반 서브프레임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는 사전 정의되고,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서의 SSB들은 SSB 색인들에 의해 표시되고, SSB에서의 복조 기준 신호(DMRS)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은 SSB가 대응하는 SSB 색인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3 ~ 6 GHz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절반 서브프레임은 8개의 SSB의 사전 정의된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8개의 SSB는 0 ~ 7의 값들의 SSB 색인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UE)가 SSB를 수신한 후에, UE는, SSB가 대응하는 SSB 색인에 따라 절반 서브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고, 이어서, 다른 정보를 참조하여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위의 배경기술의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위의 기술적 해결책은, 위의 기술적 해결책이 본 개시내용의 배경기술에서 설명된다는 이유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자들은, NR 시스템에서, 허가된 대역들만이 SSB들의 설계에 대해 고려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컨대, 3 ~ 6 GHz 대역들에 대해, 절반 서브프레임은 8개의 사전 정의된 SSB를 포함한다. 허가된 대역에서, 네트워크 장비는 SSB를 송신할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고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비-허가된 대역 또는 공유 대역과 같은 일부 대역들에서,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채널 액세스 방법/프로세스에서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므로, 채널이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는 것으로 인해 네트워크 장비가 SSB를 송신하지 못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송신될 수 있는 SSB들의 수 및 SSB의 송신 전력 또는 특정 주기 내의 시간의 길이가 또한 규제 요건들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NR 시스템에서의 SSB들의 설계가 직접 채택될 때, 일부 대역들에서의 셀 통달범위(coverage)가 보장될 수 없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처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상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quasi-colocation)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상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상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상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상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상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및/또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양상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상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 하여금 제6 양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 하여금 제6 양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0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제7 양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1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데이터 송신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제7 양상에서 설명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것이,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용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관한 범위 내의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되어 또는 그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포함(comprises/comprising/includes/including)"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도록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 초과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의 경우,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들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들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송신 윈도우 및 제1 SSB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SSB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더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3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5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네트워크 장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7의 사용자 장비의 계통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DRS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SI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대응관계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세히 개시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그 범위가 대응하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관한 범위 안에 들어가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들은, 명칭들에 관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열거된 용어 중 어느 하나 및 그의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포함"("contain", "include") 및 "갖는"이라는 용어들은 언급된 특징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구성요소 또는 어셈블리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수 형태들("a" 및 "the" 등)은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며, 넓은 의미에서 "~의 일종" 또는 "~의 한 유형"으로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어서는 안되고, 단수 형태는, 달리 특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수 형태 및 복수 형태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에 따른" 및 "~에 따라"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른"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에 기반"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기반"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롱 텀 에볼루션(LTE),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등 중 임의의 것을 충족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예컨대,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 1G(세대), 2G, 2.5G, 2.75G, 3G, 4G, 4.5G, 및 5G 및 향후의 뉴 라디오(NR) 등 및/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향후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비"라는 용어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하게 하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장비는, 다음의 장비: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신 수신 포인트(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 게이트웨이, 서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은, 원격 무선 헤드(RRH), 원격 무선 유닛(RRU), 중계기, 또는 저전력 노드(이를테면, 펨토 및 피코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그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학적 영역에 대한 통신 통달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셀"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및/또는 서빙 셀로서 표현될 수 있는 그의 통달범위 영역을 지칭할 수 있고, 용어의 맥락에 따라 매크로 셀 또는 피코 셀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E)"라는 용어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하며, "단말기 장비(TE)"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단말기 장비는 고정식 또는 모바일일 수 있고,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MS), 단말기, 가입자 스테이션(SS), 액세스 단말기(AT), 또는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기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기계-유형 통신 디바이스, 랩톱, 코드리스 전화,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기계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이것은, 기계 유형 통신(MTC) 단말기, 차량 탑재 통신 단말기, 디바이스 간 통신(D2D; device to device) 단말기, 및 기계 간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시나리오들이 예들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가 예들로서 취해진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101) 및 단말기 장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예로서 취하여 도 1에서 설명이 주어진다.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101)는, 예컨대, NR에서의 네트워크 장비(gNB)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존 트래픽들 또는 향후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네트워크 장비(101)와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트래픽들은,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MBB),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TC), 및 초-신뢰가능 낮은 레이턴시 통신(URLLC)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102)는, 예컨대, 무승인 송신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비(1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101)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102)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보(이를테면, 확인응답(ACK)/부정-확인응답(NACK))를 사용자 장비(1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102)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송신 프로세스의 종결을 확인응답할 수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현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201):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되거나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으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송신 윈도우는 다수의 송신 윈도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다수의 송신 윈도우들은 시간선에서 특정 주기로 이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송신 윈도우들에서 송신되는 SSB들의 수, QCL 관계들, 및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신 윈도우는 주기적 시간 송신 단위일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윈도우는, SSB 송신 윈도우, D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송신 윈도우, 절반 서브프레임, 및 서브프레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각각의 SSB는 제1 송신 윈도우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에 대응하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실제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8개 초과, 이를테면, 16개, 32개, 또는 64개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여기서, 사전 정의는, 표준들에서 정의되는, 제1 SSB 세트에 포함된, SSB들의 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 준-공통위치 관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제1 SSB 세트는, 예컨대,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가능한 한 공평하게 공유하도록,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 규제 요건들에 따라 정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에 따라, 즉, SSB들에 대응하는 공간적 정보, 이를테면 제2 색인, 및 빔 식별자에 따라, 동일하고 고유한 공간적 정보에 대응하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된다.
예컨대, 제1 SSB 세트는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SCS)들과 관련되는데, 즉, 제1 SSB 세트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게 정의된다.
주파수 대역을 예로서 취하면, 예컨대, F1 ~ F2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1 SSB 세트는 8개의 SSB(SSB1 ~ SSB8)를 포함하고, F3 ~ F4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제2 SSB 세트는 16개의 SSB(SSB1 ~ SSB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설정들은 그와 유사하다.
예컨대,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에 대해, SSB와 제1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가 사전 정의되거나, SSB와 제2 색인 및 제3 색인 사이의 관계가 사전 정의되며;
SSB의 준-공통위치 관계에 관하여, SSB와 제2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가 사전 정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이들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제1 SSB 세트 내의 임의의 2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이격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에서의 송신 윈도우 및 제1 SSB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윈도우들이 시간선 상에 주기적으로 설정되고, 주기(T)는, 예컨대 40 ms이다. 제1 송신 윈도우는 복수의 송신 윈도우들 중 하나이고,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한다.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시간-도메인에서 서로 이격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이러한 16개의 SSB는 시간-도메인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는 공칭 SSB로 지칭될 수 있지만, 이러한 명칭은 단지 그 SSB를 기존 SSB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명칭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다. 예컨대,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 그 자체일 수 있거나,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적절한 서브세트일 수 있는데, 즉,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중 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은 후보 SSB들로 지칭될 수 있지만, 이러한 명칭은 단지 그 SSB들을 기존 SSB들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명칭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의 경우, 그것은 공칭 SSB이고, 공칭 SSB가 제2 SSB 세트에 속할 때, 공칭 SSB는 또한 후보 SSB이다.
단계(201)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허가된 대역 또는 공유 대역에 대해,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채널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거나,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SSB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에 대응하는 시간-도메인 위치들 중 어떠한 위치도 채널에 액세스하지 않을 때,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송신 윈도우에 대해, SSB들의 최소 송신 횟수(I)가 설정될 수 있고, SSB들이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될 때, 적어도 I개의 SSB가 송신된다. 그리고, 기지국이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2 SSB 세트 내의 후반 I개의 SSB에서 제1 SSB에 대응하는 시간-도메인 위치 전에 채널에 액세스하는 데 실패할 때,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는다.
이 순간에, 제2 SSB 세트에서 비-중첩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갖는 SSB들의 수는 1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하다. 그리고, 최소 송신 횟수(I)는 사전 정의된다.
여기서, 사전 정의는, I의 특정 값이 표준들에서 정의된다는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I는,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가능한 한 공정하게 공유하도록, 비-허가된 대역들의 규제 요건들에 따라 정의된다.
예컨대, I는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SCS)들에 관한 것인데, 즉, 최소 송신 횟수(I)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게 정의된다.
주파수 대역을 예로서 취하면, 예컨대, F1 ~ F2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I = 4이고, F3 ~ F4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I = 2이다. 그리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설정들은 그와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해, SSB들의 최대 송신 횟수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X로 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최대 송신 횟수(X)는 사전 정의된다. 여기서, 사전 정의는, X의 특정 값이 표준들에서 정의된다는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I는,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가능한 한 공정하게 공유하도록, 비-허가된 대역들의 규제 요건들에 따라 정의된다.
예컨대, X는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SCS)들에 관한 것인데, 즉, 최대 송신 횟수(X)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게 정의된다.
주파수 대역을 예로서 취하면, 예컨대, F1 ~ F2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X = 8이고, F3 ~ F4 k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X = 4이다. 그리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설정들은 그와 유사하다.
예컨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제2 SSB 세트가 대응하는 최대 송신 수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들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윈도우들이 시간선 상에 주기적으로 설정되고, 주기(T)는, 예컨대 40 ms이다. 제1 송신 윈도우는 다수의 송신 윈도우들 중 하나이고,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여,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제2 SSB 세트는 8개의 SSB를 포함하고,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된 SSB들은 4개의 SSB인데, 즉, X = 4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또한 최대 송신 수(X)와 관련될 수 있다. 예컨대, 비-허가된 대역에서 셀 통달범위를 보장하도록 충분한 SSB 송신 기회들을 갖기 위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최대 송신 횟수(X)보다 크다. 즉,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가 준-공통위치된다(quasi-colocated)(QCLed). 즉, 제2 SSB 세트 내에 또는 제1 SSB 세트 내에, 적어도 2개의 준-공통위치된 SSB가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2):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생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202)와 단계(201) 사이의 관계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는, SSB1, SSB2, SSB3 및 SSB4의 4개의 SSB를 포함한다. 제1 송신 윈도우에 대해, 단계(202)에서, SSB1, SSB2, SSB3 및 SSB4가 생성되고, 단계(201)에서, SSB1 및 SSB4가 송신되고 SSB2 및 SSB3은 송신되지 않거나, SSB2 및 SSB3이 송신되고 SSB1 및 SSB4는 송신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는, SSB1, SSB2, SSB3 및 SSB4의 4개의 SSB를 포함한다. 제1 송신 윈도우에 대해, 단계(202)에서, SSB1이 먼저 생성될 수 있고, 이어서, 단계(201)에서 SSB1이 송신되며, 이후에, 단계(202)에서 SSB2가 생성되고, 이어서, 단계(202)에서 SSB2가 송신된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는 SSB1, SSB2, SSB3 및 SSB4의 4개의 SSB를 포함하지만, 단계(202)에서, SSB1 및 SSB2만이 생성되는 한편, SSB3 및 SSB4는 생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사전 정의에 대해, 제2 SSB 세트에 포함된 SSB들이 제1 SSB 세트에 기반하여 표준들에서 정의된다.
여기서, 사전 정의는, 표준들에서 정의되는 제2 SSB 세트에 포함되는 SSB들의 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 준-공통위치 관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제2 SSB 세트는, 예컨대,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가능한 한 공평하게 공유하도록,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 규제 요건들에 따라 정의된다.
예컨대, 제2 SSB 세트는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SCS)들과 관련되는데, 즉, 제2 SSB 세트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또는 주파수 범위들) 및/또는 서브캐리어 간격들에 대해 각각 대응하게 정의된다.
주파수 대역들을 예로서 취하면, 예컨대, 주파수 대역 F1 ~ F2 kHz에 대해, 제2 SSB 세트는 SSB1 및 SSB2를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 F3 ~ F4 kHz에 대해, 제2 SSB 세트는 SSB1, SSB2, SSB3 및 SSB4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설정들은 그와 유사하다. 사전 구성의 경우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3): 제1 표시 정보가 송신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예컨대, 단계(201) 및 단계(202) 전에, 단계(203)가 실행되는데, 즉, 네트워크 장비는 제2 SSB 세트를 사전 구성하고 제2 SSB 세트를 UE에 통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명령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며, 제1 파라미터는 기존 파라미터이고, 제2 파라미터는 새로운 파라미터이다. 즉,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존 파라미터는 Rel-15 NR에서 RRC 시그널링에 의해 이미 지원된 정보 요소(IE)이다. 기존 파라미터를 사용(또는 재사용)한다는 것은 기존 파라미터와 동일한 명칭을 갖는 파라미터의 사용을 지칭하며, 그에 의해 참조되는 정보 및/또는 표시 방법은 실제 상황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데, 예컨대, 허가된 대역들 및 비-허가된 대역들에 대해, 기존 파라미터에 의해 참조되는 정보 및/또는 표시 방법이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새로운 파라미터를 사용한다는 것은, 새롭게 도입된 파라미터(IE)를 사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서, 기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가 표시에 사용될 수 있거나, 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가 또한 표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허가된 대역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는 송신된 SSB들로 이루어진 세트를 표시하고, 비-허가된 대역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는 제2 SSB 세트(후보 SSB들의 세트)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면, 비-허가된 대역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는, 제2 SSB 세트에서 송신되는 SSB들이 채널 액세스에 의존하거나, 채널 액세스, 및 위의, SSB들의 최대 송신 수에 의존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허가된 대역에 대해, 이들은 채널 액세스, 또는 위의, SSB들의 최대 송신 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추가적인 예를 들면, 허가된 대역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에 의해 표시된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비-허가된 대역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에 의해 표시된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중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Rel-15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는 송신된 SSB들로 이루어진 세트를 표시하고, Rel-16 또는 다른 후속 버전들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는 위의 제2 SSB 세트(후보 SSB들의 세트)를 표시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Rel-15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는, 제2 SSB 세트 내의 송신된 SSB들이 채널 액세스에 의존하거나, 채널 액세스, 및 위의, SSB들의 최대 송신 수에 의존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Rel-16 또는 다른 후속 버전들에 대해, 이들은 채널 액세스, 또는 위의, SSB들의 최대 송신 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들면, Rel-15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에 의해 표시된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중첩되지 않을 수 있고, Rel-16 또는 다른 후속 버전들에 대해, ssb-PositionsInBurst(새로운 파라미터, 이를테면 ssb-PositionsinBurst-NRU)에 의해 표시된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어느 SSB들이 제2 SSB 세트에 속하는지, 또는 표시된 SSB들의 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작 위치들 및 종료 위치들이 비트-맵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제1 표시 정보는 N 비트를 포함하며, 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1은, 대응하는 SSB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라는 것을 표시하고, 0은, 대응하는 SSB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가 아니라는 것을 표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정보는 연속적으로 1111110000000000인 16 비트를 포함하고, "1"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SSB 세트는 M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그룹들에 하나씩 대응하는 M 비트를 포함한다. 1은, 대응하는 그룹 내의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0은, 대응하는 그룹 내의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또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1 색인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표시하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며, 다시 말해서,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이 대응하는 공간적 도메인 정보(이를테면, 빔 식별자들)를 표시하고, 동일한 제2 색인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준-공통위치된다. 제1 SSB 세트는 동일한 제2 색인 값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제2 색인 값에 대응하는 2개의 SSB는 준-공통위치된다.
예컨대, 제2 색인은 Y 값들을 갖고, 제1 표시 정보는, 제2 색인의 값들에 대응하는 Y 비트를 포함한다. 1은, 대응하는 제2 색인에 대응하는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0은, 대응하는 제2 색인에 대응하는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정보는 연속적으로 1100인 4 비트를 포함하고, 제2 색인은 연속적으로 0123인 4개의 값을 갖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2 색인들은 연속적으로 0123012301230123이며, 그러므로, 1에 대응하는 제2 색인들(0 및 1의 값들을 가짐)에 대응하는 SSB들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색인 또는 제2 색인은 Y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색인 또는 제2 색인의 그룹들에 하나씩 대응하는 Y 비트를 포함한다. 1은, 제1 색인 또는 제2 색인의 대응하는 그룹들에 대응하는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0은, 제1 색인 또는 제2 색인의 대응하는 그룹들에 대응하는 SSB들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또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3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3 색인은,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SSB들의 시퀀스 번호들 또는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표시하고, 그룹 내의 SSB들은 제3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예컨대, 제2 색인은 Y개의 값을 갖고,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Y개의 그룹을 형성하고, 제1 표시 정보는 2Y 비트를 포함하며, 전반 Y 비트는 제2 색인 값에 대응하는 SSB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인지 여부를 표시하고, 후반 Y 비트는 제3 색인 값에 대응하는 SSB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인지 여부를 표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정보는 연속적으로 11000110인 8 비트를 포함하고, 제2 색인은 연속적으로 0123인 4개의 값을 갖고,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4개의 그룹을 형성하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2 색인들은 연속적으로 0123012301230123이고, 그에 대응하는 제3 색인 색인들은 연속적으로 0000111122223333이며, 그러므로, 제1 표시 정보의 전반 4 비트에서 1이 대응하는 제2 색인의 값들은 0 및 1이고, 그의 후반 4 비트에서 1이 대응하는 그룹의 시퀀스 번호들은 1 및 2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는 제2 색인에 대응할 수 있거나 다수의 제2 색인들에 대응할 수 있다.
SSB가 다수의 제2 색인들에 대응할 때, 제2 SSB 세트는 SSB와 다수의 제2 색인들 사이의 대응관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정보는 연속적으로 1100인 4 비트를 포함하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는 제2 색인 1 및 제2 색인 2에 의해 표시되는 2개의 제2 색인에 대응하고, 제2 색인 1은 각각 0123인 4개의 값을 갖고, 제2 색인 2는 또한 각각 3012인 4개의 값을 가지며, 그러므로, 1이 대응하는 제2 색인 1(0 및 1의 값들을 가짐) 및 제2 색인 2(3 및 0의 값들을 가짐)에 대응하는 SSB들은 전부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단계(203)에서 표시되는데, 즉,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이 표시된다. 또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4): 제2 표시 정보가 송신되며,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단계(204)에서,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203) 및 단계(204)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들을 실행하는 순서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UE가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때(제2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송신되지 않는 경우, 및 제2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송신되지만 UE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함), 제2 SSB 세트가 제1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의 적절한 서브세트이므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또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알려질(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사전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알려진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임의의 SSB는 하나의 제2 색인 값에만 대응하는 것으로 사전 정의되며, 그러므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되고, 상이한 제2 색인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되지 않는다.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대응하는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과 동일하다.
다른 예를 들면, 사전 정의된 제1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2개 이상의 제2 색인 값에 대응하며,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제2 색인 값을 갖는 대응하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될 수 있고, 임의의 상이한 제2 색인 값을 갖는 대응하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되지 않는다.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대응하는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과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추가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준-공통위치되지 않는 SSB들(모두 상이한 임의의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거나, 제2 표시 정보는 추가로,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아마도 준-공통위치되는 SSB들(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 값을 갖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사전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SSB 및 제2 SSB는 준-공통위치되지 않고(임의의 대응하는 제2 색인들의 값들이 상이함),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사전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SSB 및 제2 SSB는 준-공통위치될 수 있고(SSB들이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제2 색인 값에 대응함),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제1 표시 정보를 다중화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거나, 제2 표시 정보는 제1 표시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2 색인 1 및 제2 색인 2에 대응하고,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는 제2 색인 2의 값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즉, 동일한 제2 색인 2의 값들을 갖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제2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준-공통위치되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수 없다. UE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준-공통위치되는 SSB들이 준-공통위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할 때, UE는 여전히,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를 결정한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사전 정의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SSB 및 제2 SSB는 준-공통위치되고(각각 제2 색인에 대응하고, 그 값들이 동일함),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며, 그러므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사전 정의된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UE는 여전히,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 제4 색인들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공간적 도메인 정보(이를테면, 빔 식별자들)를 표시하거나, 다시 말해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되며, 동일한 제4 색인의 값들을 갖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된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이 2개 이상의 제2 색인에 대응하는 경우에서, 제2 색인들 중 하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공간적 도메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거나, 다시 말해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2 색인의 값들을 갖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색인 및 제3 색인은 도 8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대응하는 제4 색인들은 연속적으로 01010101이고,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동일한 제4 색인의 값들을 갖는 SSB들은 준-공통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2개 이상의 제2 색인(또는 제4 색인)에 대응할 때, UE는, 자신이 수신한 SSB들에 의해 표시된 제2 색인들(또는 제4 색인들)의 값들에 따라 자신이 수신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QCL 관계들을 고유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는 제1 색인의 값에 대응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의 값에 대응할 수 있거나, 또한, 제1 색인의 값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의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에 대응한다. 제1 색인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SSB 세트 내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를 표시하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UE는, 프레임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해, 제1 색인에 따라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고, 제1 SSB 세트는,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하나의 제2 색인에 대응할 수 있거나 다수의 제2 색인들에 대응할 수 있다.
UE는, 제2 색인에 따라,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공간적 정보, 즉,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제1 색인들 및/또는 제2 색인들은, 예컨대, SSB들에서의 신호들 및/또는 채널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SSB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B는 PBCH, SSS, PBCH, 및 PSS를 포함한다.
UE가 SSB를 수신한 후에 SSB에 따라 프레임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가 SSB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이를테면, PSS, SSS, PBCH, 및 PBCH DMRS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시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는 제1 색인에 의해 특성화되고(제1 색인의 값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에 하나씩 대응함), SSB가 대응하는 제1 색인의 값들은,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도록, SSB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에 의해 표시된다.
특히, 예컨대, SSB에서의 DMRS는 제1 색인 값의 정보의 일부를 표시하고, SSB에서의 PBCH의 페이로드의 일부는 제1 색인 값의 정보의 다른 부분을 표시하며, 이들은, 예컨대, 다음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다른 예를 들면,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는 제2 색인 및 다른 정보(제3 색인 또는 타이밍 오프셋)에 의해 특성화되고, SSB가 대응하는 제2 색인 및 다른 정보는,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를 표시하도록, SSB에서의 신호 및/또는 채널에 의해 표시된다.
특히, 예컨대, 제2 색인의 값은 SSB에서의 DMRS에 의해 표시되고, 다른 정보는 SSB에서의 PBCH의 페이로드의 일부에 의해 표시된다. 게다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이 하나의 제1 색인 값에 대응할 때, 대응하는 제2 색인이 또한, 표시된 제1 색인, 및 제1 색인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를 통해 결정될 수 있고; SSB 세트 내의 SSB들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에 대응할 때, 대응하는 제1 색인이 또한, 표시된 제2 색인, 및 제2 색인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관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색인은, 예컨대, SSB 시간 색인 또는 SSB 색인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색인은, 예컨대, SSB 빔 색인 또는 SSB 색인 또는 DRS 색인(DRS 색인) 또는 타이밍 오프셋(타이밍 오프셋)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빔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색인 및 SSB 빔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비-인접한 SSB들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빔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색인 및 SSB 빔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인접한 SSB들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시간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시간 색인 및 SSB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비-인접한 SSB들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시간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시간 색인 및 SSB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인접한 SSB들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시간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빔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색인 및 SSB 빔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비-인접한 SSB들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제1 SSB 세트의 더 추가적인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인은 SSB 시간 색인이고, 제2 색인은 SSB 빔 색인이고, 제1 SSB 세트는 16개의 SSB를 포함하고, 16개의 SSB는 SSB 색인 및 SSB 빔 색인에 각각 대응하며, 여기서, 동일한 제2 색인 값들을 갖는 SSB들은 인접한 SSB들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비-허가된 대역에서, SSB들은 또한 DRS들의 일부로서 송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서, DRS들은 SSB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예컨대, 이러한 경우에서, 송신 윈도우는 DRS 송신 윈도우일 수 있고, 제2 색인은 DRS 색인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DRS는 하나의 SSB를 포함하고, 또한, 하나의 DRS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SIB1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들이 대응하는 PDCCH 및/또는 PDSCH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순간에, DRS에서의 SSB들은 RMSI에 하나씩 대응한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DRS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S는 2개의 반복된 SSB를 포함하고,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S는 확장된 SSB를 포함한다.
도 25는 DRS의 구조의 개략도일 뿐이며, 다른 구조들이 또한 DRS에 사용될 수 있다.
SSB들이 DRS에 포함되고 송신될 때, SSB들에 대해 설명된 위의 방법은 DRS에 또한 적용가능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실시예 1에서 네트워크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응하며,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1901):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수신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송신되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그에 따라,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리소스 활용의 유연성 및 활용률이 개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의 내용들과 제1 SSB 세트의 내용들 및 그 표시 방법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1902):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결정된다.
예컨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는 사전 정의되고, 사전 정의의 방식들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가 수신될 때,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위치들이 또한, 수신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의 내용들 및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제2 색인 및 제2 표시 정보에서의 제4 색인에 따라 결정된다.
게다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또한 제4 색인에 따라서만 결정될 수 있다.
단계(1901)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수신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은, 예컨대 SSB/DRS 또는 SSB/DRS 이외의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며, SSB/DRS 이외의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은, 예컨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이를테면, CSI-RS)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은, 예컨대,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업링크 기준 신호(이를테면, 사운딩 기준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중 적어도 하나이다.
단계(1901)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음의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처리;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처리;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수행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SSB 세트 내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PDSCH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 PDCCH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QCL 관계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SSB들 사이의 QCL 관계들에 따라 학습될 수 있고, PDCCH를 모니터링하거나 PDSCH를 수신하기 위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과 PDCCH 및 PDSCH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QCL 관계들이 또한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서, PDCCH의 DMRS 안테나 포트 및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준-공통위치될 때, UE는, 제2 색인 및/또는 제4 색인에 따라 PDCCH의 DMRS 안테나 포트와 준-공통위치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을 결정하며, 그에 의해, PDCCH를 수신한다. 예컨대, PDCCH를 포함하는 CORESET는 송신 구성 표시(TCI) 상태로 구성되고, TCI 상태에 대응하는 TCI 상태 ID는 제2 색인 및/또는 제4 색인에 대응하며, 그러므로, PDCCH의 DMRS 안테나 포트와 준-공통위치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2 색인 및/또는 제4 색인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다.
다른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SI)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경우에서, UE는,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QCL 관계들에 따라,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대응관계를 학습한다. 예컨대, 제2 SSB 세트 내의 준-공통위치 SSB들이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은 동일하다. 예컨대, 제2 SSB 세트는 제1 SSB 및 제2 SSB를 포함하고, 제1 SSB 및 제2 SSB는 준-공통위치되며, 그러므로, 제1 SSB 및 제2 SSB가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은 동일하다.
다음은, SI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대응관계의 특정 예이다.
예컨대, SI에 대응하는 SI-윈도우에서의 [x*N+K]번째 PDCCH 모니터링 기회는 제2 SSB 세트 내의 준-공통위치된 SSB들의 K번째 그룹에 대응하며, 여기서, x = 0, 1, ...X-1이고, K = 1, 2, ...N이고, N은 제2 SSB 세트 내의 준-공통위치된 SSB들의 그룹들의 수이고, X = 'CEIL(SI-윈도우에서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의 수/N')이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SI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대응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 2이고 SI-윈도우에서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PDCCH 모니터링 기회(들)의 수는 8이고, SI-윈도우에서의 PDCCH 모니터링 기회(들)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대응관계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된다.
예컨대, PDSCH를 수신하는 경우에서, PDCCH가 TCI 상태를 표시하지 않을 때, UE는, PDSCH의 DRMS 안테나 포트와 준-공통위치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PDSCH와 연관된 PDCCH들과 동일하다고 가정하거나; PDSCH와 연관된 PDCCH가 PDSCH의 TCI 상태를 표시하고(예컨대, DCI가 TCI 상태 ID를 포함함), TCI 상태에 대응하는 TCI 상태 ID는 제2 색인 및/또는 제4 색인에 대응하고, 제2 색인 및/또는 제4 색인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이 PDSCH의 DMRS 안테나 포트와 준-공통위치된다.
예컨대, PRACH를 송신하는 경우에서,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SSB들과 PRACH 사이의 연관 관계를 결정하며, 그에 의해, 메시지 1(msg.1)을 송신하기 위한 PRACH 리소스들이 선택된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리소스 활용의 유연성 및 활용률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 측 및 사용자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실시예들 1 및 2에 대응하고, 실시예들 1 및 2에서 설명된 것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3의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2001): 제1 표시 정보가 송신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단계(2002): 제2 표시 정보가 송신되며,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고;
단계(2003):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생성되고;
단계(2004):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되거나,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고;
단계(2005):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결정되고;
단계(2006):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수신되고/거나;
단계(2007):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이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들(2001, 2002, 2003 및 2005)은 필수적이지 않다.
게다가, 단계들(2001 - 2004) 사이의 타이밍 관계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2006) 및 단계(2007)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들(2001 - 2007)의 특정 구현들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가 실시예 1에서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러한 장치의 구현에 대해, 실시예 1에서의 방법의 구현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2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100)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2101);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가 준-공통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이 중첩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2102).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제1 송신 유닛(2101)은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는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2103) ―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함 ―.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1 색인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는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하고,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는 준-공통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추가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3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3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그룹에서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의 시퀀스 번호들 또는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그룹 내의 SSB들은 제3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며, 제1 파라미터는 기존 파라미터이고, 제2 파라미터는 새로운 파라미터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송신 유닛(2104) ―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함 ―.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 것을 표시하며, 제1 SSB 및 제2 SSB가 대응하는 제2 색인의 값들은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의 유닛들의 기능들의 구현에 대해, 실시예 1에서 설명된 것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가 실시예 2에서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러한 장치의 구현에 대해, 실시예 2에서의 방법의 구현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여기서 더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5의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200)는 다음을 포함한다: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2201),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2202).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유닛(2202)은, 수신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결정 유닛(2202)은,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수신 유닛(2201)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음의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처리;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처리;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처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2203).
위의 실시예로부터,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리소스 활용의 유연성 및 활용률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제공한다.
도 2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2300)는 프로세서(2310) 및 메모리(2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320)는 프로세서(2310)에 결합된다. 예컨대, 메모리(23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메모리(2320)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2330)을 저장하고 프로세서(2310)의 제어 하에서 프로그램(2330)을 실행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기능들은 프로세서(2310)에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10)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예컨대, 채널 상태에 따라,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거나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는다.
예컨대, 프로세서(2310)는,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310)는,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예컨대, 프로세서(2310)는,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다른 구현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프로세서(2310)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데이터 송신 장치는 프로세서(2310)에 연결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장치의 기능들은 프로세서(2310)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비(2300)는 송수신기(2340) 및 안테나(2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장비(2300)가 반드시 도 23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네트워크 장비(2300)는 도 23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도 2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7의 사용자 장비의 계통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400)는 프로세서(2410) 및 메모리(2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420)는 프로세서(2410)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며, 이러한 구조를 보충 또는 대체하고 원격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일 구현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의 기능들은 프로세서(2410)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410)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다른 구현에서, 데이터 송신 장치 및 프로세서(2410)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데이터 송신 장치는 프로세서(2410)에 연결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장치의 기능들은 프로세서(2410)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2400)는, 통신 모듈(2430), 입력 유닛(2440), 디스플레이(2450), 및 전력 공급부(2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2400)가 도 24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장비(2400)는 도 24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410)는 때때로 제어기 또는 동작 제어부로 지칭되며,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논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10)는,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24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메모리(2420)는, 예컨대,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모바일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고 관련된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또한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10)는,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24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며, 이는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 장비(24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UE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리소스 활용의 유연성 및 활용률이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장비 및/또는 실시예 7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장비(101) 및 사용자 장비(102)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102)는 실시예 7에서 설명된 사용자 장비와 동일하고, 네트워크 장비(101)는 실시예 6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장비와 동일하며, 반복되는 내용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위의 실시예로부터,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1 SSB 세트 및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로서 취해진 제2 SSB 세트가 제공되고,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며, 이는, 상이한 상황들의 셀 통달범위에 적응될 수 있고 리소스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위의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되어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논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논리 디바이스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 또는 구성요소들을 수행하거나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 이를테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컨대,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퍼밍(firm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형태들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가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거나,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플러그가능 모바일 단말기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장비(이를테면, 모바일 단말기)가 비교적 큰 용량의 메가-심(MEGA-SIM) 카드 또는 큰 요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소프트 모듈들은 큰 용량의 메가-심 카드 또는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1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디바이스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들,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또한, 컴퓨팅 장비의 조합, 이를테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들, DSP와 통신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다양한 구현들에 따라, 다음의 보충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1. 네트워크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방법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2.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3.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제2 SSB 세트가 대응하는 최대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하다.
4.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가 준-공통위치된다(QCLed).
5.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이 중첩된다.
6.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방법은: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7. 보충 1에 따른 방법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가 송신되거나 어떠한 SSB도 송신되지 않는다.
8. 보충 1 내지 보충 7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9. 보충 1 내지 보충 8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10. 보충 1 내지 보충 9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방법은: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11. 보충 10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12. 보충 10 또는 보충 11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1 색인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13. 보충 10 또는 보충 11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는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하고,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는 준-공통위치된다(QCLed).
14. 보충 13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추가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3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3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그룹에서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의 시퀀스 번호들 또는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그룹 내의 SSB들은 제3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15. 보충 10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동적 명령어를 통해 송신된다.
16. 보충 15에 따른 방법에서,
제1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제1 파라미터는 기존 파라미터이고, 제2 파라미터는 새로운 파라미터이다.
17. 보충 1 내지 보충 16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방법은: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18. 보충 17에 따른 방법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QCLed) 것을 표시하며, 제1 SSB 및 제2 SSB가 대응하는 제2 색인의 값들은 상이하다.
19. 보충 1 내지 보충 18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에 대응한다.
20. 보충 1 내지 보충 19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에 대응한다.
21. 보충 19 또는 보충 20에 따른 방법에서,
제1 색인의 값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에 하나씩 대응하며, 제1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낸다.
22. 보충 19 내지 보충 21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2 색인의 적어도 하나의 값은 제1 SSB 세트 내의 적어도 2개의 SSB에 대응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낸다.
23. 보충 19 내지 보충 22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1 색인이, 표시된 제2 색인, 및 제1 색인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에 의해 결정되거나,
제2 색인이, 표시된 제1 색인, 및 제1 색인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24. 사용자 장비 측에 적용가능한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방법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25. 보충 24에 따른 방법에서, 방법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5A. 보충 25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결정된다.
25B. 보충 25A 에 따른 방법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사전 정의된다.
26. 보충 25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수신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27. 보충 25 또는 보충 26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이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28. 보충 24 내지 보충 27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29. 보충 24 내지 보충 28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방법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30. 보충 24에 따른 방법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음의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처리;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처리;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1. 보충 30에 따른 방법에서, 방법은: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2. 네트워크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장치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33.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34.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수는 제2 SSB 세트가 대응하는 최대 송신 횟수보다 크거나 그와 동일하다.
35.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가 준-공통위치된다(QCLed).
36.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 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이 중첩된다.
37.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장치는: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한다.
38. 보충 32에 따른 장치에서,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제1 송신 유닛은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는다.
39. 보충 32 내지 보충 38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40. 보충 32 내지 보충 39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41. 보충 32 내지 보충 40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장치는: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42. 보충 41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한다.
43. 보충 41 또는 보충 42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1 색인은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44. 보충 41 또는 보충 42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내고, 제1 SSB 세트는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하고,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는 준-공통위치된다(QCLed).
45. 보충 44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추가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3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3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그룹에서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의 시퀀스 번호들 또는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그룹 내의 SSB들은 제3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한다.
46. 보충 41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동적 명령어를 통해 송신된다.
47. 보충 46에 따른 장치에서,
제1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제1 파라미터는 기존 파라미터이고, 제2 파라미터는 새로운 파라미터이다.
48. 보충 32 내지 보충 47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장치는: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49. 보충 48에 따른 장치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QCLed) 것을 표시하며, 제1 SSB 및 제2 SSB가 대응하는 제2 색인의 값들은 상이하다.
50. 보충 32 내지 보충 49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제1 색인에 대응한다.
51. 보충 32 내지 보충 50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색인에 대응한다.
52. 보충 50 또는 보충 51에 따른 장치에서,
제1 색인의 값들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에 하나씩 대응하며, 제1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낸다.
53. 보충 50 내지 보충 52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2 색인의 적어도 하나의 값은 제1 SSB 세트 내의 적어도 2개의 SSB에 대응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낸다.
54. 보충 50 내지 보충 52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1 색인이, 표시된 제2 색인, 및 제1 색인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에 의해 결정되거나,
제2 색인이, 표시된 제1 색인, 및 제1 색인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55. 사용자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장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56. 보충 55에 따른 장치에서, 장치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56A. 보충 56에 따른 장치에서,
제1 결정 유닛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한다.
56B. 보충 56A에 따른 장치에서,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은 사전 정의된다.
57. 보충 56에 따른 장치에서,
제1 결정 유닛은, 수신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제1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제2 표시 정보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58. 보충 56 또는 보충 57에 따른 장치에서,
제1 결정 유닛은,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제2 색인은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한다.
59. 보충 55 내지 보충 58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2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다.
60. 보충 55 내지 보충 59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제1 SSB 세트는 사전 정의된다.
61. 보충 55 내지 보충 60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 따른 장치에서,
송수신 유닛은,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음의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처리;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처리;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62. 보충 61에 따른 장치에서, 장치는:
제2 색인 및/또는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63. 보충 32 내지 보충 54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64. 보충 55 내지 보충 62 중 어느 하나의 보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65. 보충 6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및/또는 보충 6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Claims (20)

  1. 네트워크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제2 동기화 신호 블록(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는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SB 세트 또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가 준-공통위치되는(quasi-colocated)(QCLed), 데이터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SB 세트 또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2개의 SSB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이 중첩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SSB를 송신하거나 SSB를 송신하지 않는, 데이터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1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색인은 상기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상기 제1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2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색인은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나타내고, 상기 제1 SSB 세트는 상기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2개의 SSB는 준-공통위치되는(QCLed), 데이터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추가로,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제3 색인 사이의 대응하는 관계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3 색인은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로 이루어진 그룹 내의, 상기 그룹에서 상기 제2 색인의 동일한 값들에 대응하는 SSB들의 시퀀스 번호들 또는 시간-도메인 위치들을 나타내고, 상기 그룹 내의 SSB들은 상기 제3 색인의 값들에 하나씩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제1 파라미터 또는 제2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기존 파라미터이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새로운 파라미터인, 데이터 송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표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3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제1 SSB 및 제2 SSB가 준-공통위치된다는(QCLed) 것을 표시하며, 상기 제1 SSB 및 상기 제2 SSB가 대응하는 상기 제2 색인의 값들은 상이한, 데이터 송신 장치.
  15. 사용자 장비 측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수신하거나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SSB 세트는 제1 SSB 세트의 서브세트이고,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은 송신 윈도우에서의 상이한 시간-도메인 위치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수신된 제1 표시 정보 및/또는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SSB 세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제2 색인 및/또는 상기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며, 상기 제2 색인은 상기 제1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표시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의 시간-도메인 위치들 및/또는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에 따라,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처리;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처리;
    업링크 신호 및/또는 채널을 송신하는 처리; 및
    무선 링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색인 및/또는 상기 수신된 제2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SSB 세트 내의 SSB들과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준-공통위치 관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KR1020217020743A 2019-01-11 2019-01-11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33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1488 WO2020143060A1 (zh) 2019-01-11 2019-01-11 数据传输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699A true KR20210095699A (ko) 2021-08-02
KR102533558B1 KR102533558B1 (ko) 2023-05-18

Family

ID=7152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743A KR102533558B1 (ko) 2019-01-11 2019-01-11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11044A4 (ko)
JP (1) JP7338688B2 (ko)
KR (1) KR102533558B1 (ko)
CN (1) CN113273259B (ko)
WO (1) WO20201430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2881B (zh) * 2017-01-06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11122497B2 (en) * 2017-05-04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S block index and timing indication in wireless systems
EP4138313A1 (en) * 2017-05-05 2023-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s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JP6816311B2 (ja) * 2017-06-16 2021-01-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同期信号ブロックを測定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8111276B (zh) * 2017-08-11 2021-07-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的配置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13221 *
3GPP R1-181345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558B1 (ko) 2023-05-18
EP3911044A4 (en) 2022-01-12
CN113273259A (zh) 2021-08-17
JP7338688B2 (ja) 2023-09-05
WO2020143060A1 (zh) 2020-07-16
JP2022517922A (ja) 2022-03-11
US20210329577A1 (en) 2021-10-21
EP3911044A1 (en) 2021-11-17
CN113273259B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9491B2 (ja) 改善された復号タイムラインのための探索空間およびサウンディング基準信号配置の最適化
KR20230025679A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WO2016182052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11134523B2 (en)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246142B2 (en)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network controller, and terminal device
JP7156477B2 (ja) 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EP380656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bandwidth part indicator,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3099540B (zh) 上行链路信道复用和波形选择的方法和装置
KR20170052473A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스케쥴링 방법
JPWO2017130991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90273600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ressing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924829B2 (en) Signal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WO2020143064A1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1856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KR102533558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1200409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98332B1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7218834B2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JP7416206B2 (ja) 上りリンク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170020237A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스케쥴링 방법
KR20160134497A (ko) 면허 및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20240049268A (ko)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23109827A (ja) 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