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601A -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601A
KR20210095601A KR1020210091839A KR20210091839A KR20210095601A KR 20210095601 A KR20210095601 A KR 20210095601A KR 1020210091839 A KR1020210091839 A KR 1020210091839A KR 20210091839 A KR20210091839 A KR 20210091839A KR 20210095601 A KR20210095601 A KR 2021009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ssage
administrative information
joint use
nod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장현
Original Assignee
남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장현 filed Critical 남장현
Priority to KR10202100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601A/ko
Publication of KR2021009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이용하는 각급 기관(이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라 한다)의 전자적 체계에 관리되고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업무처리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하여 핵심내용(이하 "키메세지"라 한다)을 추출하고, 「전자정부법」제37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42조에 따른 행정정보공동이용센터를 통한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관련된 세부사항을 정의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을 준수한 올바른 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자가진단함으로써, 텍스트마이닝 기술로 진단결과 설명력을 높이고, 개선 실행 사후관리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시각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4조(공동이용시스템의 구축 운영)를 바탕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관리하는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에 연결된 자가진단 시스템은 오픈소스 빅데이터 기술 활용하였다. 따라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은 행정정보 공동이용 업무 외 다른 업무 전자적 체계 진단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제시하며, 오늘날 증명된 오픈소스 발전과 빅데이터 상관관계 분석효과를 기대함으로써, 언택드시대 업무자동화를 위하여 경쟁력을 대비하고자 빅데이터에 관심을 갖는 이용기관들의 적극적인 이용과 능동적인 개선 실행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메세지 생성부(100)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업무처리 내용을 키메세지 선택을 통하여 관련 업무처리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키메세지 관리부(200)를 통하여 생성된 키메세지별 코드ID을 부여함으로써, 정형 데이터로 관리한다. 키메세지 출력부(300)는 시각화된 키메세지 기반의 진단서비스와 공유서비스 그리고 키메세지 패턴변화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들은 더욱 적극적인 진단과 키메세지 관리(N)를 시작으로 오픈소스 발전(∞)과 더불어 심층적인 핵심 내용을 나타내는 키메세지 발전(K)을 이루어냄으로써, 이용활성화(I)를 이루고, 신규 이용기관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자산으로서, 거래할 수 있는 4차 산업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 방법을 설명한다.

Description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PUBLIC INFORMATION SHARING SYSTEM AFFILIATED AGENCY ORIENTED SELF-DIAGNOSIS SYSTEM FOR ENHANCING INFORMATION SHARING BY USING TEXT MINING :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이용하는 각급 기관의 전자적 체계를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하여 자가진단함으로써,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에 따른 올바른 이용 활성화를 위한 능동적인 개선에 참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전자정부 구현을 위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국정과제로 삼고 여러 정책 대안을 제시했던 연구들을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진행되고 있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개정 및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 실시를 통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에서, 오픈 SW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이용한 자가진단 시스템을 630여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이용함에 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뿐만 아니라, 언택드시대 빅데이터를 통한 업무 자동화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는 기업들의 업무진단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참여의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행정정보 공동이용은 구비서류 관련 정부의 행정비용 절감 등 업무효율성과 국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한 구비서류 감축 방안을 국정과제로 실무기구인 행정정보공유추진단 중심으로 시작된 제도·사업으로써, 이용 확대를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기술적 장치로 초석을 놓았던 과거에서 오늘날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센터(이하"공동이용센터"라 한다)를 통하여, 대국민 혁신으로 나아가는 가운데,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확대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및 적합한 권한 관리에 대한 점검을 위해 매년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을 실시하여, 미흡 기관은 행정안전부에서 현장점검 및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2021년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 실시 기준으로, 자체점검 대상기관은 중앙(83), 지자체(243), 교육청(17), 공공(229), 금융(42), 기타(16)으로 총 634개 기관이며, 자체점검 제출 서식을 취합하여 미흡기관에 현장점검 및 컨설팅을 제공하지만, 시공간적 한계가 있다.
또한, 이용기관은 개인정보를 다루는 업무임에 따라, 대내외 감사를 위하여 정확하게 근기를 남겨야 하는 부담감으로 인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고, 각급 이용기관의 공동이용 관리자부서 담당자와 실제로 행정정보를 열람하는 업무 처리자간에 전화 문의를 통한 개선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교육과 홍보를 통한 제안과 개선은 공동이용 관리자부서와 분임공동이용 관리자부서간에 업무부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매년 말 실태점검 결과보고 작성과 함께 행정정보 공동이용 우수기관 대상으로 유공 표창을 실시하지만, 이용기관들은 예산편성을 통한 사업추진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을 이루기보다는 많은 이용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능동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오늘날 코로나19 팬데믹 선언으로 언택트시대 도래가 촉진된 가운데, 모든 산업은 업무 자동화로 경쟁력을 확보할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에 주목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은 이미 보유하고 있는 비구조적인 대규모 정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써, 행정정보 공동이용 업무처리 과정 중 발견하지 못했던 개선이 필요한 업무처리 내역을 발견하고, 심층적인 교육 및 홍보와 개선에 따른 사후관리를 추적함으로써, 활용 분야를 발전해 나갈 수 있는 현미경 발명과 같은 기술로 알려져 있지만,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이용기관의 전자적 체계를 진단하는 시스템으로 소개된 방법과 시스템은 전무하다.
따라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기술을 활용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을 통하여, 업무처리자는 처리내용 입력 대신 선택을 통하여 입력절차 간소화에 따른 업무시간 단축을 기대할 수 있고,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기업자산으로 내재화하여 기업內 다른 업무에도 실현가능하고, 차별화된 업무절차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데이터 가치 상승효과와 경쟁력을 기대할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방법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10-1801257)효율적 건설문서 관리를 위한 텍스트마이닝 적용 기술 (등록특허 10-1773781)웹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데이터 시각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기업 안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고, 계속 생성되고 있는 업무처리자의 입력내용 중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내용을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句)를 처리 핵심내용(이하"키메세지"라 한다)으로 도출하고, 데이터 시각화를 통하여, 분석 및 관리함으로써, 다음 업무처리자에게 수집대상업무 처리내역입력 동일 단계에서 키메세지를 사전 안내함으로써,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을 준수하면서도 입력절차 간소화를 통한 업무시간을 단축시키고, 업무개선을 위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무관련 업무담당부서 또는 기업간 원격회의에서 참여자 단말기를 통하여 키메세지 공유만으로 처리 상세내역을 제공하고, 관련 법령과 지침을 확인하는데 용이한 편리성을 제공함에 따라, 심층적 공감으로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하고, 질 좋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생산력을 높이며, 데이터 시각화된 분석 결과와 개선 이력을 관리하여 키메세지 위치와 글자크기와 색깔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개선에 따른 효율성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인 업무처리 내용 중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높은 키메세지를 클라우드(Word Cloud) 형태(이하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라 한다)의 네트워크 연결망 공간에서 빈도수가 높은 가중치(weight, 加重値)의 키메세지노드(node)를 상대적으로 중앙에 큰 글자 크기로 위치시키는 기본적인 출력이 있다.
데이터 시각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중치의 임계치 이상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분석을 위해 수집대상 비정형 데이터가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6조(공동이용 대상 사무)에 근거하여, 공동이용 사무별로 처리내역을 구분할 수 있다면, 공동이용 사무명을 중심으로 입력한 처리내용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생성한 키메세지노드(node)를 네트워크 연결망 형태 중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알고리즘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하여 자가진단결과에 직관전인 이해를 돕는다.
진단 결과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하여, 키메세지 선택을 통한 관련처리내역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키메세지관련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노드(node)색,크기,거리정보 또는 관련 법령 링크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관리한다.
또한, 주관적인 업무처리 내용 중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높은 키메세지 생성방법은 낱말이나 단어만으로는 추출한다면 사용자별 처리내용에 연관성이 떨어지고, 자가진단 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된 키메세지만으로 직관적인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구(句)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구(句)를 이루는 단어의 개수를 본 명세서상 정의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술적 진보는 제한하지 않되, 추출 원(源) 비정형 데이터에서 생성한 키메세지만을 조건으로 바로 검색할 수 있도록 구(句)를 가감하거나 변경하지 않음으로써,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에서 신속한 확인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기술을 이용하여,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에서 이루어지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으로써, 행정정보 공동이용 업무처리 과정 중 발견하지 못했던 개선이 필요한 처리내역을 발견하고, 개선에 따른 사후관리를 추적함으로써, 활용 분야를 발전해 나갈 수 있는 현미경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한 업무처리 과정 중 입력되어지는 방대한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내용에서 발견하기 어렵지만,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네트워크 연결망에서는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낮은 가중치(weight, 加重値)의 키메세지노드(node)일지라도 공간상 중앙부터 가장자리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
일 예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자가진단 시스템에서 행정정보 폐기사유를 분석을 위한 수집대상으로 정의하고,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공간에서 폐기사유 키메세지노드(node)가 생성하였을 때, "청약업무일반"이라는 금융위원회(소관부처)에서 정의한 고객사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업무일반"에서 「자녀 청약취소」라는 키메세지를 확인하였다면, 공동이용 관리자는 이하와 같은 지침을 찾을 수 있다.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6조(공동이용 대상 사무) ① 행정기관등은 지침등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 공동이용센터가 승인하는 사무의 처리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공동이용하여야 한다. 제24조(접근권한의 관리)⑤ 공동이용관리자등은 공동이용시스템에 등록된 사무에 대한 이용현황을 파악하여 그 이용을 독려하고 해당 이용기관 또는 권한부여단위에서 처리하는 사무 중 공동이용시스템에 등록되지 아니한 사무가 공동이용을 통하여 처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를 공동이용 사무로 신청하여야 한다."
그리고 행정안전부 데이터유통과 확인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사고사례를 확인한다.
"전자정부법제35조(금지행위)5. 행정정보를 권한 없이 처리하거나 권한 범위를 넘어서 처리하는 행위근거"
이러한 확인을 통하여, 즉각적인 조치 필요성을 판단하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42조(공동이용에 관한 교육)을 준행하게 된다.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행정정보 폐기관리 대장에서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인 폐기사유에서는 상기와 같이 “청약업무일반” 외 고객사무에서 청약관련 업무처리를 위해 행정정보를 열람했던 업무처리 내역을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자가진단 시스템에서는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공간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한눈에 볼 수 있기에 관련 처리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은 업무절차 개선 후 생성되는 키메세지 패턴변화를 살피어, 직관적인 이해 가능하고, 개선에 따른 효과를 추적할 수 있어, 인과관계 설명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현미경 효과 일 예에서 교육이 필요한 업무처리 내역을 확인하고, 교육내용을 보안하여, 시행문으로 전파하고, 이후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에서 모니터링 하였을때, 개선 전 "카드업무일반" 중심성에서 「자녀 청약취소」 키워드가 중심에서 바깥으로 이동함을 확인함으로써, 전체 폐기사유 중 관련 처리 빈도수가 감소하는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반대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유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을 때, "청약업무일반" 중심성에서 자녀청약 관련 키메세지들이 중앙으로 이동함으로써, 관련 처리빈도가 증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키메세지 조건을 통한 처리내역 건수를 그래프 형태로 보고서 출력하여, 추가 교육내용이 긍정적인 효과로써, 실시되었음을 사후관리진단 결론을 낼 수 있다.
또한, 자가진단 시스템에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네트워크 연결망에서는 키메세지노드(node)를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출력하면, 중심성에 따른 키메세지 가중치(weight, 加重値) 변화 패턴과 키메세지 선택을 통한 업무처리 내역들을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빅데이터 상관관계 설명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현미경 재물대처럼 키메세지를 생성하는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변경하면서 생성되는 키메세지를 확인하고, 현미경 대물렌즈처럼 키메세지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를 키메세지 선택만으로 신속하게 살핌으로써, 분석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하는 금융기관 경우 공동이용 관리자부서에서 관리하는 전자적 체계 관리시스템 또는 자가진단 시스템을 통하여 일일 모니터링 중 4분기에 행정정보 이용률이 높아진 것을 확인한다면, 자가진단 시스템에서 행정정보 이용사유를 분석을 위한 수집대상으로 정의하고, 고객사무를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출력하였을 때, 4분기에 갈수록,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네트워크 연결망에 "청약업무일반"노드(node) 고객사무명이 푸른색으로 크게 변화한 것을 확인하고, 「가족 청약」이라는 키메세지노드(node)가 급격히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키메세지노드(node) 선택을 통한 이용사유 입력내용들을 확인하였을 때, 강남지역본부 소속의 다수 영업점 업무처리자가 조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용기관에서 관리되는 현(現)전자적 체계 시스템에서 정형데이터로 관리되었을 수 있으며, 확인할 수 있으나,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공간에서는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패턴변화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텍스트 중심의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이용사유 내용에서 키메세지별 일관된 주관적 내용을 신속하게 살펴보는 중에 "~경영평가~" 입력한 내용에서 힌트를 얻고, 매년 말 영업점 경영 최종평가를 위하여 청약상품 신규유치를 기획하였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 준비를 위해 인증서 신청이 해당 이전 분기부터 급증한 것과 해당 분기에 행정정보 이용률이 비례한다는 상향식 접근 방법(Bottom Up Approach) 분석을 통하여 해당 결과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공동이용 관리자부서는 이를 우수사례로 모든 영업점에 홍보함으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43조(공동이용에 관한 홍보)를 준행하게 된다.
또한, 키메세지별 상세이력 외 메타데이터 정보 값을 관리하여, 편리한 공유방식을 통하여 개선을 위한 유관 담당자들과 키메세지만을 공유함으로 관련 처리내역 데이터를 살핌으로 심층적 공감을 이루고,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시키어,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회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명의 내용에서 언급했듯이 키메세지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검색 가능하도록 변형되지 않고 추출한 구(句)이기 때문에 키워드만 공유하여도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추출한 원(源) 비정형 데이터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키메세지노드(node) 위치와 색깔로써 가중치(weight, 加重値)를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 키메세지별 관련 법령정보를 관리한다면, 유관 담당자 단말 內 메신저를 통하여 키메세지 이미티콘처럼 드래그 앤 드롭 형식으로 메신저에 전달하여, 수신자 단말에 설치된 에이전트에서 키메세지 메타데이터 정보를 해석(Decoding)하여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에 신속하게 출력할 수 있고, 사전에 정의된 정보제공범위에 따라 개인정보를 제외한 상세내역과 관련법령을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따라 정확하게 처리사유를 입력해야 하는 부담감을 줄이는 정성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업무처리자의 입력내용 중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내용은 현시대를 반영한 업무처리자의 입력내용들을 확인하고, 이를 핵심내용 코드값으로 관리하여, 업무처리자에게 처리내용 입력 전에 제공함으로써, 입력보다는 선택을 통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하는 금융기관 경우 업무처리자는 고객의 요청으로 자녀 청약통장 신규를 위하여 고객 사전동의하에 등ㆍ초본을 확인하였으나, 자녀와 주소지가 상이하여 금융실명제에 따른 상품 신규를 할 수 없게 되었고, 열람한 행정정보도 폐기하여야 할 때, 폐기사유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열람한 행정정보를 선택하는데,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6조(공동이용 대상 사무)에 따라, 열람한 행정정보는 처리업무 근기가 되는 대상 사무별로 분류되기 때문에, 고객사무별로 생성된 키메세지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업무일반”고객사무에서 “주민등록표 등ㆍ초본” 구비서류 열람 건에 대해서 폐기사유를 입력하려 할 때, 사유 입력란 상단에 이전에 없었던 “고객 등ㆍ초본 주소지 상이에 따른 자녀통장 신규불가”라는 핵심내용 대신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작성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입력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팬데믹 선언 이후, 백신 보급이 이루어진 시기라면, “기업대출일반”고객사무에서 “주민등록표 등ㆍ초본” 구비서류 열람 건에 대하여 폐기사유 작성 시 핵심내용으로 제공되었던 “정부 지원금 대상 확인 실패”코드값이 선택 감소함에 따라,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공간에서는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패턴 변화를 통하여 처리내역들을 살피고, 인과관계를 확인한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는 공개여부 설정에서 비공개로 정의하여, 불필요한 선택사항을 업무처리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심층적인 공감을 즉시 반영한 핵심내용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키메세지 관리를 통하여 업무처리자에게 입력 전 핵심내용을 제공함에 따라, 입력절차 간소화를 통한 업무시간 단축과 많은 저장공간을 차지하고 분석하기 어려웠던 비정형 데이터들을 심층적으로 다양하게 정형화하여 효율적으로 디스크 공간을 사용하는 정량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키메세지 관리 초기에는 유사한 의미에 다양한 키메세지가 생성되었지만, 업무처리자로부터 입력 대신 핵심내용 선택과 필요시 보충내용을 입력받아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은 확인 및 관리함으로써, 심층적으로 다양하게 정형화된 키메세지가 생성되고, 유사한 의미의 키메세지는 핵심사유 선택을 통하여 핵심적인 키메세지로 집중되어 발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이용기관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저장공간은 줄어들고, 유사한 내용으로 생성된 키메세지는 핵심내용으로 집중되어, 핵심 키메세지로 발전되고, 심층적 공감을 반영한 다양한 핵심 키메세지를 중심으로 정형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이용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능동적인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미흡기관 현장점검을 피하기 위한 이용활성화 기대보다는 촉진된 언택스시대 도래에 따른 업무 자동화를 원하는 이용기관에게 빅데이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술과 데이터 시각화를 통하여 자가진단 방법과 행정정보 업무 외 다른 업무 진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으로써, 급속도로 발전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자체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증명된 효과로써 설득할 수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 행정정보 공동이용 실태점검 시 심층적인 점검항목 도출과 실질적인 점검 방향성을 제시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많은 이용기관이 자가진단 시스템을 이용하고 활용함으로써, 동종산업 기관에서 데이터들이 공유되고 공통적으로 발전된다면, 기존 서식을 통한 이용기관별 증빙자료 수집에서 이용기관별 진단시스템에서 생성된 키메세지 수집으로 대신함으로써, 4차 산업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실태점검 방향성으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자가진단 시스템이 현행시스템과 연결된 형태에서 이용활성화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활용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를 생성하는 자가진단 시스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업무처리자에게 제공되는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Recommendable Key Message)관리를 통하여, 더욱 높은 설명력과 심층적인 핵심사유로 집중하고, 생성하는 키메세지 발전 사이클을 도시한다.
도 3b는, 키메세지 발전 사이클을 위하여, 업무처리자로부터 수기 입력받은 비정형데이터에 대하여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가 분석하는 순서도이다.
도 4a는, 자가진단 시스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형태의 데이터 시각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b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형태로 데이터 시각화한 출력물로서,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금융기관 공동이용 사무명인 고객사무 “수신업무일반”을 중심성으로 정의한 전과 후를 비교한 도이다.
도 4c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데이터 시각화 출력화면에 키메세지별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의 처리내용 최초 처리일시와 마지막 처리일시 갱신여부, 행정정보 공동이용사무 활용률(活用率)을 생성된 키메세지 메타데이터로 관리하였을 때, 데이터 시각화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이용하는 은행에서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행정정보 폐기관리대장 최근 5년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생성한 키메세지 중 「자녀 청약」을 조건으로 53건의 폐기처리 내역들이 출력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b는, 생성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의 해상도와 마우스 선택에 따른 (x, y)좌표값을 보여주어, 키메세지 메타데이터 값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c는, 일정기준을 중심으로 노드포인트(node point)색깔을 달리하여, 개선실행 전(前)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빨간점(Red Point)과 개선실행 후(後)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푸른색점(Blue Point)을 나타낼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많은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들이 자가진단 시스템 실시 방법과 기대 효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자정부법」제36조(행정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이용)과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 32조(개인정보 보호 등 관리)근거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은 출력된 행정정보에 대한 관리 및 폐기 절차를 마련한다는 지침 준수함를 바탕으로 이용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폐기사유 입력내용을 수집대상으로써, 일 예로 설명한다.
또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별 관리되고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업무처리 내용을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주요 메세지를 추출하고, 코드ID를 부여한 정형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업무지침을 준수하는 이용 활성화와 개선 사후관리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외 업무개선을 위하여 분석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입력내용 분석 방법과 개선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이란,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이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텍스트 중심으로 되어 있으나, 날짜, 숫자, 사실과 같은 데이터도 포함된 비구조적인 대규모 정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기술을 의미하며, 언택트시대 업무 자동화를 통한 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주목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키메세지(Key Message)"란,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통하여 비구조적인 대규모 정보들에게서 공통으로 사용한 두 단어 이상의 구(句)를 말하며, "키워드(Keyword)"와 구분된다. 상기 구(句)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서 하나의 품사 역할을 하는 어구(語句)를 말하지만, 품사를 정확히 구분하여 단어를 추출하기 위한 무리한 개발비용이나, 어구(語句)를 가감 또는 변형하기보다는, 키메세지 선택을 통하여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우선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복되지 않는 핵심내용의 키메세지로서 발전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란, 방대한 양의 정보에서 키워드, 개념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 단어를 구름 모양으로 모아놓고,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는 워드클라우드(wordcloud)기법과 유사하지만, 자가진단 시스템에서는 워드가 아닌 공동이용 사무명을 중심으로 입력한 처리내용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생성한 키메세지노드(node)를 네트워크 연결망 형태 중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알고리즘을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한 것이다.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무명이 중심성노드(node)가 되고,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키메세지노드(node)의 가중치(weight, 加重値)로써, 높은 가중치(weight, 加重値)의 키메세지노드(node) 일수록 중심성노드(node) 가깝게 위치하는 형태로 기본출력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란, 생성한 키메세지(Key Message)를 코드ID을 부여한 코드값으로써,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가 저장된 업무단계에서 업무처리자가 처리내용 입력 대신 선택할 수 있도록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에 의하여 구어체로 수정한 핵심 내용이다. 필수적으로 부여된 코드ID을 기준으로 코드값은 업무처리자공개용, 내부업무담당자공개용, 외부기관담당자공개용으로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가 선택적으로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을 분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인사이트(통찰력)"이란, 위키페디아에서는 특정문맥 안에 영향과 특별한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빅데이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인사이트를 얻는다”라고 표현되어 쓰기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중심성(Centrality)"란, 네트워크 연결망에서 주체가 되는 행위자들은 노드(node)로, 관계들은 노드(node)사이를 연결하는 선(Edge)으로 나타낼 때, 그래프 혹은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에서 꼭지점 혹은 노드(node)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는 척도를 말하며, 이 중심성을 지수(指數)로 계산되는데, 중심성 지수는 계산 방법에 따라 크게 ① 연결 중심성 (Degree Centrality), ② 근접 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 ③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④ 고유벡터 중심성 (Eigenventor Centrality로 분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ID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ID, 회로,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일 예로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 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일 예로서,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망분리"란, 외부 인터넷망을 통한 불법 접근과 내부 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서, 인터넷과 완전히 격리된 환경에서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망(네트워크)을 분리한 업무환경을 말하며, 기업內 업무용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만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망으로써, ‘업무망’ 또는 ‘폐쇄망’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 Relational Database, RDB)"란, 키(key)와 값(value)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table)에서 특정한 단순 자료형으로서, 일련의 데이터값(속성, 컬럼) 세로줄과 단일 구조 데이터 항목을 가리키는 가로줄의 모델을 이용하여 정렬된 데이터 집합(값) 모임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지 않은 이용기관에서도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용기관에서 관리하는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이하 "형상관리"라 한다)"란,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ID 뿐 아니라 개발 환경, 빌드 구조 등 전반적인 환경 전반적인 내역에 대한 관리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이하 "배치"라 한다)"란 컴퓨터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을 뜻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메타데이터"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빨리 찾기 위해 데이터의 위치와 내용, 기타 조건 등을 기록한 데이터를 설명한 데이터를 말하며, 오늘날 공공데이터법 제23조(공공데이터의 표준화), 데이터기반행정법 제16조(데이터관리체계의 구축)등 정부의 메타시스템과 기관 보유 메타시스템을 직접 연계하는 것이 어려운 기관이 메타데이터를 등록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가 구축한 공동활용형 메타시스템이 마련되어 관리 사업이 추친 중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상의 행정정보 공동이용 관련 용어는 「전자정부법」과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에서 설명한 용어를 바탕으로 언급하였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전자정부"란, 「전자정부법」 제2조(정의)에 따라 행정기관의 사무를 전자화함으로써, 행정기관 상호 간 또는 국민에 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행정정보"란, 「전자정부법」제2조(정의)에 따라 행정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자료로서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호ㆍ문자ㆍ음성ㆍ음향ㆍ영상 등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공동이용 행정정보"란, 「전자정부법」제38조(공동이용 행정정보)에 따른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하거나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전자적 자료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신청서」에서 일반적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구비서류를 "공동이용 행정정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센터(공공데이터유통과)에서는 행정기관 등에서 수집·보유하고 있는 행정정보를 다른 기관에서도 민원, 내부업무 처리 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제도를 "행정정보 공동이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행정정보 공동이용 센터(공공데이터유통과)"란, 「전자정부법」제37조(행정정보 공동이용센터)따른 행정안전부장관은 행정정보의 원활한 공동이용을 위하여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센터(이하 “공동이용센터”라 한다)를 두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동이용에 필요한 시책을 추진기관을 말하며, 관련 행정정보의 원활한 공동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공유 허브역할을 한다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센터(공공데이터유통과)에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란, 「전자정부법」제37조(행정정보 공동이용센터) 및 같은법 시행령 제42조(정보주체의 사전동의)에 따른 행정정보공동이용센터를 통한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관련된 세부사항을 정한 행정안전부 예규이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하"이용기관"이라 한다)"이란, 「전자정부법」제39조(행정정보 공동이용의 신청ㆍ승인) 제2항에 따른 승인을 받아 행정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하는 기관으로서,「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9조(공동이용의 신청)에 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의 신청ㆍ승인에 따라 행정기관,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정한 법인ㆍ단체 또는 기관과 은행 등이 있으며,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신청하고자 하는 기관은 공동이용을 통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사무를 지휘ㆍ감독할 권한이 있는 중앙행정기관(은행 등의 경우 금융위원회를 말하며, 이하 "소관부처"라 한다)의 장으로부터 해당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하여 의견조회 후 공동이용센터에 신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공동이용 사무"란,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8조(공동이용 행정정보 선정절차 등), 제12조(공동이용 사무의 등록)에서 이용기관 또는 소관부처와 행정정보 보유기관의 장과 사전협의를 통하여 정한 사무명으로서, 공동이용센터에서 운영하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시스템에 등록하여 관리된 사무명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행정정보 폐기관리대장"이란,「전자정부법」제36조(행정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이용) 근거하여,「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 32조(개인정보 보호 등 관리)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은 출력된 행정정보에 대한 관리 및 폐기 절차를 마련 지침에 대한 근거로 모든 이용기관에서 관리되는 작성양식으로서 일반적으로 행정정보 열람자, 폐기자, 폐기승인자, 처리일시, 폐기사유를 기본속성으로 관리되며, 행정정보 폐기건수 감소는 민원인이나 고객의 만족과 업무처리자 실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행정정보 공동이용 이용활성화를 위한 진단시스템의 주요 데이터이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행정정보 공동이용사무 활용률(活用率)"이란, 국립국어원에서 충분히 잘 이용함을 활용(活用)이라고 정의함에 따라서, 민원인 또는 고객 요청내용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전동의하에 열람한 행정정보를 확인을 통하여 요청내용을 정상적으로 완료하고, 열람한 행정정보를 폐기하지 않은 이용완료 건을 나타낸 비율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공동이용관리자"란, 이용기관의 행정정보 공동이용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분임공동이용관리자"란, 이용기관의 각 권한부여 단위에 대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상의 용어 "업무처리 담당자"란, 업무수행 과정에서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하여 담당 사무를 처리하고자 할 경우, 해당 행정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4조(공동이용시스템의 구축 운영)를 바탕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관리하는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에 연결된 자가진단 시스템이 오픈소스 빅데이터 기술 활용함으로써, 키메세지 생성부(100)에서 이미 보유하고 있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업무처리 내용을 키메세지 선택을 통하여 관련 업무처리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키메세지 관리부(200)를 통하여 생성된 키메세지별 코드ID을 부여함으로써, 정형 데이터로 관리한다. 키메세지 출력부(300)는 시각화된 키메세지 기반의 진단서비스와 공유서비스 그리고 키메세지 패턴변화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사후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들은 더욱 적극적인 진단과 키메세지 관리(N)를 시작으로 오픈소스 발전(∞)과 더불어 심층적인 핵심 내용을 나타내는 키메세지 발전(K)을 이루어냄으로써, 이용활성화(I)를 이루기 위하여, 신규 이용기관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자산으로서, 거래할 수 있는 4차 산업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체계 자가진단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에 따라, 이용기관이 관리하는 현행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에 자가진단 시스템을 연결하여 키메세지(Key Message)를 생성하는 키메세지생성부(100)와 분석 및 진단을 위하여 보조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에서 키메세지(Key Message)를 관리하는 키메세지코드관리부(200)과 이를 바탕으로 진단 또는 추적 또는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형태에서 출력하는 키메세지출력부(300)로 구성되었다.
법령정보는 행정정보 관련 「전자정부법」 제36조~제44조와 「개인정보 보호법」제32조 그리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등을 표현한 모든 것을 포함한 개념일 수 있다. 인터넷망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키워드 검색으로 관련 내용을 확인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망분리된 업무환경에서 자가진단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여 이용하고자 할 때는 별도 저장장치와 색인이 필요하다.
사용자 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의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와 연결한 서버 형태로 구비되어 단말접속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져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가진단 시스템에 접속할 경우, 망분리된 기관별 접속을 위해서는 전용선 도입이나 방화벽 허용이 필요하며, 안정적인 보안 가운데 공유서비스 운영을 위하여, 이용기관의 현행 전자적 체계 접속에는 통제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이용기관의 현행 전자적 체계 저장장치에서 드라이버 제공을 통하여 원본 저장장치에 제한된 권한을 가진 수집전용 접속계정을 신규하여 연결하거나, 데이터 이관(Data Import)한 다른 저장장치(Data Warehouse) 또는 파일로부터 수집함으로써, 기존 업무에 부하를 주지 않고, 빠른 수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저장장치 구매비용과 업무 중요도 및 수행과정 중 발생 트래픽(traffic)을 고려한 합리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도 2는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활용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를 생성하는 자가진단 시스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모듈에 대해서는 부호 앞에 숫자 접두사(Numeral prefix)를 붙였고, 부호 마지막에 알파벳은 보조기억장치에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성격유형을 나타냄으로서 모듈간의 관계를 이해한다.
기본테이블명에 접미사M(Master)은 현재나 최종의 상태를 표시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이력테이블명에 접미사H(History)는 기본테이블와 별도로 과거 정보를 시점별로 보관하는 테이블로서 변경사항을 관리한다.
또한, 내역테이블명에 접미어L(List)는 작업 또는 거래시점에 생성되고, 동일 형식의 정보가 낱개 형태로 변경ㆍ추가되는 테이블이다.
또한, 코드관리테이블명에 접미사C(code)는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가 분석을 위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키메세지 추적을 위하여, 코드ID를 부여하고, 키메세지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한해서, 구어체로 코드값으로 작성한 공개키메세지명(Recomendable Key Message)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키메세지생성부(100)는 키메세지설정부(101)와 키메세지연결부(102)를 통한 키메세지생성ㆍ배치개발부(103) 그리고 키메세지대기부(104)로 구성된다.
상기 키메세지설정부(101)는 수집대상 정보들과 가중치(weight, 加重値)에 따른 시각화 임계치를 정의하는 모듈로써,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의 입력을 통하여 값을 저장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기 위하여 비정형 데이터인 데이터베이스 업무 테이블명과 컬럼명이 수집대상으로 정의되며, 업무테이블이 행정정보 공동이용사무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지를 수집대상성격과 함께 정의하는 대상설정부(101M)가 있다.
또한, 상기 대상설정부(101M)는 키메세지 출력부(300)에서 가독성 높은 데이터 시각화를 위하여, 진단 결과에 따른 키메세지노드(node) 크기, 색깔, 거리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을 정의하고, 추가적으로 가능하다면, 중심성을 정의하여, 진단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후 설명될 키메세지생성ㆍ배치개발부(103)에서 개발을 통하여 설정값에 따른 임시 출력물을 확인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정을 포함한 이전설정내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대상설정이력부(101H)에서 대상설정일시별 생성된 키메세지 클라우드 화면캡쳐 또는 특이사항 등 이력정보를 관리하여,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에게 설정값 복원 또는 신규 설정 값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처리내용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생성된 키메세지 중에서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은 분석 및 관리를 위하여, 키메세지코드관리부(101C)에서 키메세지에 코드ID을 부여하는데, 키메세지(Key Message)를 확인하는 대상자가 공동이용관리자부서, 분임공동이용관리자부서, 그외부서, 대외기관담당자에 따라 동일 코드ID에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상기 키메세지코드관리부(101C)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은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 판단에 따라, 핵심내용으로 현행 행정정보 공동이용 전자적 체계 업무처리내용 입력단계에서 업무처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코드값을 선택하여 수기입력을 대신할 수 있으며, 선택할 경우, 처리내용은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이 등록된다.
따라서, 핵심내용 제공과 관리를 위하여, 진단시스템 키메세지코드관리부(101C)는 현행 전자적 체계절차 저장장치에 데이터 동기화를 이루고, 추가적으로, 공개여부 속성을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 동기화는 이기종 시스템간에 일부 데이터정보를 동일하게 관리하는 것으로써, 업무처리자에게 핵심내용 공개를 실시간으로 실현하기보다는 1일1회 동기화 과정을 통하여, 관리된 내부통제 하에 업무 마감시간을 고려하여 실행하며, 실시간 동기화로 시스템 부하와 업무처리자의 혼란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연결부(102)와 키메세지생성ㆍ배치개발부(103)를 통하여 키메세지대기부(104)에 일일 생성된 키메세지 리스트가 채워진다.
상기 키메세지생성ㆍ배치개발부(103)는 자가진단 시스템 일일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대상설정부(101M)의 정의한 수집대상을 중심으로 일일 정기적인 배치실행를 통하여 이전 업무일을 대상으로 자동수집 및 키메세지(Key Message)를 생성하거나,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로부터 추가적으로 기간 등 조건을 입력받아 해당기간의 키메세지(Key Message)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다시 자동수집 및 키메세지 생성을 위한 배치개발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기적인 배치실행이 아닌,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의 대화식 명령어를 통하여 키메세지(Key Message)를 생성함으로써, 이용기관의 업무환경을 반영한 의미있는 키메세지 생성을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알고리즘을 직접 선택하거나 개발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입력에 따른 신속한 키메세지 생성을 위하여, 데이터 입출력이 원활한 캐시(Cache)나 주기억장치(Main Memory)상에서 키메세지(Key Message)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의한 빈도수 이상만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키메세지대상설정부(101M)에서 정의하거나 명령어로 임계치를 정의하여 출력 또는 특정 키메세지(Key Message)를 삭제할 수 있으며, 배치프로그래밍하여 형상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통하여 실행하고, 정기적으로 자동실행 될 수 있도록 등록한다.
상기 형상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와 배치 자동실행(배치 스케줄러, Batch Scheduler)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기본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이용기관에서 사용하는 공통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진단시스템과 관계없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키메세지대기부(104)는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키메세지(Key Message)를 나열하여, 키메세지코드관리부(101C)와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를 비교하여 출력됨으로써,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로부터 관리되어야 할 키메세지(Key Message)를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의 일일진단은 배치실행을 통하여 생성된 키메세지대기부(104)에서 시작되는데, 키메세지관리부(200)에서 관리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먼저 키메세지대기부(104)에 생성된 키메세지가 기존에 관리되는 키메세지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를 통하여 코드ID가 부여된 키메세지와 동일한 경우, 생성된 키메세지 동일행(Row)상에서 코드ID가 비활성화되어 변경할 수 없는 상태로 출력되고, 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신규 키메세지는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에 등록된 키메세지 단어를 추출하여, 신규 키메세지와 일치하는 단어가 있으면, 해당 키메세지에 부여된 코드ID와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을 동일행(Row)상에서 자동셋팅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어 확정 등록을 기다리거나, 신규로 채번된 코드ID와 함께 코드값을 등록한다.
도 3a는, 업무처리자에게 제공되는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관리를 통하여, 더욱 높은 설명력과 심층적인 핵심사유로 집중하고, 생성하는 키메세지 발전 사이클을 도시하며,
도 3b는, 키메세지 발전 사이클을 위하여, 업무처리자로부터 수기 입력받은 비정형데이터에 대하여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가 분석하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는 처리내용으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높은 키메세지(Key Message) 중 코드ID가 부여되지 않은 신규생성 키메세지들을 대상으로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처리내역을 확인하여, 적절한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을 작성하는 단계이며, 이를 업무처리자에게 공개함으로써, 처리내용 입력 대신 핵심내용 선택을 통한 입력절차 간소화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이 시작되어진다.
상기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을 작성을 위하여, 기존에 코드ID가 등록된 키메세지와 동일한 어구(語句)를 확인하여 등록된 추천 코드ID를 확정할 것인지, 채번된 코드ID를 부여하여, 신규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 작성할 것인지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신규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 작성 시, 사용되는 어구(語句)는 기존에 코드ID가 등록된 키메세지와 동일할 경우, 핵심사유작성에 위배되므로, 작성에 참고하거나, 코드ID가 등록된 키메세지들을 정비하여야 하며, 이는 작성시마다 실시간으로 체크하거나, 등록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코드ID가 등록된 키메세지와 동일한 어구(語句)를 추천 코드ID는 신규로 생성된 분석대상 키메세지들 동일행(Row)상에서 추천 코드ID가 자동셋팅되어 확정 등록을 대기한 상태이며, 이를 확정 등록한 경우, 신규로 생성된 분석대상 키메세지는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과 유사한 의미로 취급되며,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에 코드ID와 이를 부여한 키메세지들은 일대다로 관리된다.
상기 코드ID와 이를 부여한 키메세지들은 일대다로 관리되고, 코드ID와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은 일대일로 관리되어, 이를 업무처리자에게 공개하여 핵심내용으로 선택되면, 코드값이 처리내용에 등록됨으로써, 코드값인 공개키메세지명(Suggest Key Message)에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에 따라 다시 새로운 키메세지(Key Message)를 생성하고, 이는 핵심 키메세지(Key Message)로 발전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코드ID부여 과정이 진단시스템을 사용하는 초기에는 수동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부분이 많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정량적효과를 통하여, 처리내역이 키메세지로 집중하는데, 많은 소요시간이 걸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천 코드ID 확정 등록 판단을 위하여, 추천 코드ID가 부여된 키메세지들의 처리내역을 면밀하게 살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추천 코드ID에 등록된 키메세지들을 OR조건으로 관련 처리내역들을 신속하게 확인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업무처리 개선방안을 위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필요과정이며, 정규적으로 실행되는 배치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키메세지는 동일한 조건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생성된 키메세지가 코드값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처음부터 핵심 키메세지(Key Message)를 추출하기 위하여 개발하는데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기보다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코드값 작성 및 관리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석과정과 키메세지 관리와 공개를 통한 업무처리자 핵심사유 선택을 통하여,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처리내용은 심층적으로 다양한 정형 데이터로 발전되고, 효과적인 업무 처리내역 분석과 진단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되고,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위하여 신청하고자 하는 신규 이용기관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로서, 협의에 따라 거래할 수 있는 기업 內 데이터 자산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이후, 키메세지관리부(200)는 클라우드 시각화를 위한 키메세지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듈로써, 키메세지설정부(101M)에 중심성 정의에 따른 가중치(weight, 加重値) 기본정보와 데이터 시각화하기 위한 정보가 관리되는 키메세지메타데이터관리부(201M)와 가중치(weight, 加重値) 변경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키메세지가중치변경이력부(201H)가 있다.
상기 키메세지메타데이터관리부(201M)는 키메세지 개수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망 규모를 고려하여 메타데이터를 관리하여야 한다.
일 예로서, 데이터 입출력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출력 소요시간이 오래걸리고, 운영비용이 비싸지만, 관리적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는 방법과 웹서비스 모듈에 저장(Load)함으로써, 빠른 출력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운영비용이 저렴하지만, 관리가 어려운 반정형데이터로써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도 4a는, 자가진단 시스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형태의 데이터 시각화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방법의 절충안으로써, 빠른 출력을 위하여 가중치(weight, 加重値) 기본정보와 데이터 시각화에 필요한 키메세지노드(node) 크기, 색깔, 거리정보를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여, 키메세지설정부(101) 정의한 값 변경 또는 신규 키메세지 생성에 따른 시각화출력(Rendering)을 최소화하고자, 가중치(weight, 加重値) 변경에 따른 키메세지노드(node) 크기, 색깔, 거리 출력부를 세분화하여, 변경된 메타데이터 관련 출력부만 호출하고, 변경된 메타데이터는 변경일시별 키메세지가중치변경이력부(201H)에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시각화출력(Rendering) 관련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진단결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정규식을 이용하여 중심성에 따른 비교를 통한 패턴변화를 분석한다.
상기 중심성 정의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 제8조(공동이용 행정정보 선정절차 등), 제12조(공동이용 사무의 등록)에 따라 공동이용 사무명을 중심으로 행정정보 열람함으로써, 이용기관들의 전자적 체계에서 진단하고자 수집한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데이터 업무처리내용이 열람한 행정정보와 관련되었다면, 공동이용 사무명으로 수집 가능함으로, 일반적으로 이를 중심성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에서는 공동이용 사무명을 통하여 생성된 키메세지들을 데이터 시각화하는 방법으로써, 네트워크 연결망을 구성하는 노드(node)간의 경로 사이에 있는 매개가 가장 중심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알고리즘 정규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수식은, 노드(node)(i)에 대한 매개 중 심성이 노드(node)(j)와 노드(node)(k)가 노드(node)(i)를 경유하는 수에 노드(node)(i)를 경유하지 않은 수를 나눈 값으로써, 연결망 내의 다른 노드(node)들 사이의 최다 경로 위에 위치할수록, 노드(node)(i)의 매개중심성이 높아짐을 설명한다. 생성된 키메세지 노드(node) 수에 따라, 네트워 크 규모가 달라짐으로 공동이용사무명 변경에 따른 일관된 기준을 위하여, 이를 상대적으로 정규화하는 방법은, 생성된 전체 키메세지노드(node)의 갯수가 N개라고 하면, 공동이용 사무명노드(node)를 선택하고 남은 노드(node)의 갯수는 N-1개이고, N-1개 중에서 순서 상관없이 2개를 뽑는 경우로써, 총 (N-1) * (N-2) / 2가지이기 때문에, 이 값들이 모두 1이 나오는 경우가 최대값이며, 노드(node) 갯수가 N인 네트워크의 최대 Cb값은 (N-1) * (N-2) / 2가 되고, 이 값으로 나눠서 정규화시키면 정규화된 Cb값은 항상 0~1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즉, 매개 중심성을 공동이용 사무명으로 정의한다면, 공동이용 사무명노드(node) 가중치가 1이되고, 생성된 키메세지노드(node)들의 가중치(weight, 加重値)는 공동이용 사무명을 중심으로 추출한 원(源)비정형 데이터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로써, 1보다 작게 되어, 공동이용 사무명 중심성을 변경에 따라 0~1미만 값에서 생성된 키메세지 수와 네트워크 규모와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데이터 시각화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b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형태로 데이터 시각화한 출력물로서,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금융기관 공동이용 사무명인 고객사무 “수신업무일반”을 중심성으로 정의한 전과 후를 비교한 도이다.
상기 중심성을 정의한 데이터 시각화 출력물이 가독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설명할 키메세지사후관리부(305)에서 개선 전과 후를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생성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가 동일한 중심성을 기준으로, 생성된 키메세지 거리변화 패턴분석이 용이함에 따라, 중심성을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b의 구현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객사무“수신업무일반”노드(node)는 폐기사유 키메세지노드(node)들의 연결망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매개 중심성노드(node) 정의하면, “수신업무일반”노드(node)가 추가되어, Cb값이 1로 정의되고, 중심성에 따른 최단거리를 출력하면, “수신업무일반”노드(node)가 중심성 자신과 가장 최단 거리로써, 서로 일치하게 되고, 폐기사유 키메세지노드(node)들은 1보다 작은 가중치 內에서, 고객사무 “수신업무일반”노드(node)를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으로 최단 거리를 나타낸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키메세지출력부(300)은 키메세지메타데이터관리부(201M)에서 관리된 키메세지 메타데이터 값을 바탕으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형태로 출력하는 모듈로써, 키메세지진단부(301)을 중심으로 진단시스템 공동이용관리자(System Admin) 선택에 따라, 키메세지사후관리부(305), 키메세지공유부(308)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키메세지진단부(301)은 키메세지색출력부(302), 키메세지크기출력부(303), 키메세지간거리출력부(304)로 구성되어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형태의 데이터 시각화를 출력한다.
도 4c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데이터 시각화 출력화면에 키메세지별 추출 원(源)비정형 데이터의 처리내용 최초 처리일시와 마지막 처리일시 갱신여부, 행정정보 공동이용사무 활용률(活用率)을 생성된 키메세지 메타데이터로 관리하였을 때, 데이터 시각화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키메세지색출력부(302)는, 키메세지대상설정부(101M)에 정의된 값에 따라, 수집대상성격이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에 감소를 나타내는 '부정'인 경우에만 중심성노드(node)와 키메세지노드(node) 색을 출력하기 위하여 호출되고, 생성된 키메세지 가중치(weight, 加重値)를 투명도에 반영하여, 진단에 따른 색깔 선명도를 구분함으로써, 진단결과의 상태정도를 나타낸다.
상기 키메세지노드(node)관련 키메세지색출력부(302)는, 중심성여부 상관없이 생성된 키메세지 가중치(weight, 加重値)변경에 따른 진행시에만 호출됨에 따라, 생성경과시간에 따른 활용률(活用率)이 미흡함을 가중시킴을 의미한다.
상기 키메세지 진행여부 판단을 위해서는, '경과진행여부 기준일수'가 키메세지대상설정부(101M) 또는 수기입력을 통하여, 정의되어야 한다.
일 예로서, 키메세지 추출한 원(源)비정형 데이터 처리내역의 최초 처리일자와 마지막 처리일자를 관리하여, '정의된 경과진행여부 기준일수'보다 진단일자에 마지막 처리일자 차이가 크면, 키메세지 미진행으로 판단하여, 흑색(Black)으로 출력하거나, 키메세지색출력부(302)를 호출하지 않는다.
반대로, 키메세지 진행 시, [1-(수집년도 시작기준분기부터 처리내역의 최초 처리일자가 속한 년도분기까지 분기누계 / 수집년도 시작기준분기부터 진단일 분기까지 분기누계 * 100(%)]를 투명도에 반영함으로써, 키메세지노드 생성후 진행이 경과됨에 따라, 붉은색(Red)계열이 선명해짐으로써, 활용률(活用率)에 미흡함이 가중됨을 의미한다.
또한, 중심성노드(node)관련 키메세지색출력부(302)는, 전체 이용률에 따른 해당 중심성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을 진단하는데, 양호함을 진단하는 푸른색(Blue)계열과 미흡함을 진단하는 붉은색(Red)계열로 노드(node)색깔을 나타낸다.
일 예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 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데이터 시각화한 경우, 폐기업무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에 감소시킴에 따라, 수집대상성격을 '부정'으로 정의한다.
상기 '부정' 중심성노드(node) “수신업무일반”에 대한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은 [(1-(해당 공동이용 사무명관련 폐기처리건수 / 전체 공동이용 사무명관련 이용열람건수))*100(%)]이며, 이에 50% 이상을 기준으로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 양호와 미흡을 각각 푸른색(Blue)계열과 붉은색(Red)계열로 구분한다.
상기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이 양호인 경우, 푸른색 (Blue)계열에서는 [100-활용률 결과 값(%)]을 투명도에 반영하여, 활용률(活用率)이 높을수록 푸른색(Blue)계열이 선명하여지고, 더욱 양호되어짐을 의미한다.
상기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이 미흡인 경우, 붉은색(Red)계열에서는 결과 값 두배 수를 투명도에 반영함으로써, 활용률(活用率)이 낮을수록 붉은색(Red)계열이 선명하여지고, 더욱 미흡하여짐을 의미한다.
이후, 키메세지크기출력부(303)는 키메세지대상설정부(101M)에 정의된 값에 따라,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과 점유율(占有率, 해당 처리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중심성노드(node)와 생성된 키메세지노드(node) 가중치에 따라, 글자크기를 출력함으로써, 진단결과의 상태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중심성노드과 키메세지노드 크기비율은 일반적으로 가중치에 따른 점유율에 비례하지만, 수집대상성격이 부정이면서, 중심성 활용률이 양호로 진단되는 경우, 중심성노드 크기비율은 가중치에 따른 점유율에 반비례하며, 중심성노드를 통해 생성한 키메세지노드들의 가중치는 중심성노드와 거리로 표현됨에 따라, 크기는 일정하다.
일 예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이 금융기관인 경우, 수신상품 신규를 위하여, 행정정보를 열람하고, 완료하지 못하여, 폐기 처리한 행정정보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데이터 시각화한 경우, 폐기업무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에 감소시킴에 따라, 수집대상성격을 '부정'으로 정의한다.
상기 '부정' 중심성노드(node) “수신업무일반”에 대한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이 ‘양호’인 경우, 중심성노드(node) 크기 비율은 [1-(해당 중심성 처리건수/전체 중심성 처리건수)*100(%)]산식에 따라, 수신업무일반 점유율(占有率, 해당 처리건수가 차지하는 비율 = 해당 중심성 처리건수/전체중심성 처리건수)에 반비례하여,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성노드(node) 크기는 작아지며, 점차 미흡하여짐을 의미한다.
반대로, '부정' 중심성노드(node) “수신업무일반”에 대한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이 ‘미흡’인 경우, 수신업무일반 점유율(占有率, 해당 처리건수가 차지하는 비율 = 해당 중심성 처리건수/전체중심성 처리건수)에 비례하여,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중심성노드(node) 크기는 커지며, 더욱 미흡하여짐을 의미한다.
이후, 키메세지간거리출력부(304)는 키메세지대상설정부(101M)에 정의된 값에 따라, 점유율(占有率, 해당 처리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생성된 키메세지 가중치에 따른 중심성 노드(node)간의 거리를 출력함으로써, 진단결과의 상태정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키메세지간거리출력부(304)는 키메세지노드(node)에만 적용되며, 중심성이 정의되어진 경우에만, 호출하여 거리를 관리한다.
이후, 키메세지사후관리부(305)는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생성이력과 업무개선 이력을 관리하여, 연결망에 존재하는 노드(node) 색깔, 크기, 거리 변화 패턴을 비교하여, 직관적으로 개선에 따른 영향도를 설명하는 서비스로서, 공동이용 관리자부서에서 관리한 업무개선이력을 관리하거나 업무개선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찾아오는 키메세지추적기준부(306)를 중심으로, 키메세지진단부(301) 해상도를 고려하여, 키메세지가중치변경이력부(201H)를 바탕으로 동일한 해상도에서 시각화출력(Rendering)하는 키메세지추적부(307)가 있다.
상기 동일한 해상도에서 시각화출력(Rendering)은, 개선 실행일자를 기준으로, 동일한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선택할 때 가능하며, 개선실행 전(前)과 후(後), 두 개의 중심성노드(node)에 따른 각각 키메세지노드 가중치(weight, 加重値) 값이 0~1미만 값에서 거리로 출력됨으로써,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네트워크 연결망에 중심점을 맞추어, 개선실행 전(前)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빨간점(Red Point)과 개선실행 후(後)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푸른색점(Blue Point)로 출력하여, 키메세지노드(node) 연결망을 구성한 네트워크 규모를 말한다.
상기 개선실행 전(前)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빨간점(Red Point)과 개선실행 후(後)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푸른색점(Blue Point)을 통하여, 동일한 키메세지노드(node)가 이동한 경로를 한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직관적인 개선 영향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키메세지공유부(308)는 공동이용 관리자 허용에 따라 키메세지 진단부(301)과 키메세지 사후관리부(305)를 개선을 위한 유관담당자와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업무개선을 위하여 사내 또는 기관별 유관 업무담당자는 단말 접속을 통하여 키메세지만 공유하여도 각 단말기에게 설치되어있는 에이전트를 통하여 키메세지 시각화 관련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키메세지설정부(101)에 정의한 수집대상 공유 가능여부에 따라,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 네트워크 연결망에서 표시하거나, 공유된 키메세지 선택을 통하여, 상세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가중치를 여러 형태의 차트로 표현한 보고서로도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집대상 공유 가능여부는 기본적으로 가능하지만, 업무보안을 위하여, 공동이용 업무담당자가 외부로 공개해서는 안되는 처리내역을 관리하고자, 키메세지 공유 가능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공유 가능한 수집대상의 키메세지를 공유한 경우, 상세내역 확인 처리과정 중 업무처리자가 입력한 민원인 또는 고객 개인정보는 공개되지 않도록, 개인정보 패턴을 통한 식별을 통하여 마스킹 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키메세지상세내역출력부(311)는 키메세지 선택을 통하여, 키메세지 관련 처리내역들을 출력하는 모듈로써,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에 관리된 코드ID별 키메세지들과 그에따른 처리내역들이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처리내용에 언급된 빈도수에 따라 생성된 키메세지는, 어구(語句)의 가감이나 변형없이 그대로 처리내역에서 조건으로 즉시 검색할 수 있는 두 단어 이상의 구(句)로써, 키메세지 확인자는 상세내역을 확인하고자, 키메세지를 선택하면, 키메세지등록내역부(101L)에서 선택한 키메세지에 부여된 코드ID와 동일한 ID를 부여받은 키메세지들이 OR조건으로 추출 원(源) 비정형 데이터내역에서 검색되어, 관련 처리내역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는,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이용하는 은행에서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행정정보 폐기관리대장 최근 5년 폐기사유에서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에 따라 생성한 키메세지 중 「자녀 청약」을 조건으로 53건의 폐기처리 내역들이 출력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최근 5년 폐기사유는, 공동이용 관리자부서와 협의 하에, 분석한 샘플데이터로써, 3,917건에 해당하는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데이터 주관적 폐기사유 내용이며, 행정정보 폐기사유 분석을 통하여, 폐기 원인을 찾아, 열람 전에 안내를 통하여, 열람한 행정정보를 폐기처리 해야하는 불필요한 업무량을 줄이고,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活用率) 향상이 영업점 업무실적으로 이어지는 효과를 목표로 시작한 분석 결과이다.
상기 「자녀 청약」 키메세지와 유사한 의미로 생성된 키메세지는 「자녀 통장」, 「자녀명의」
, 「자녀 명의」, 「자녀 주택청약」, 「자녀 등본」, 「미성년자 자녀」, 「자녀와 세대분리」, 「기가입」, 「기개설」이 있어으며, 319건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샘플데이터의 8%에 해당하는 핵심키메세지이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가족 대리인이 금융상품을 신규하기 위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행정정보를 열람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고, 더 많은 처리내역을 대표하는 키메세지를 찾기위하여, 「가족관계 확인불가」와 유사한 키메세지를 검색하면, 969(25%)건이 확인되는데, 이는 배우자 대리인으로서, 상품 신규를 위해 열람한 것과 같이 확인되어, 같은 코드ID를 사용할지 판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을 통하여, 「자녀~」키메세지와는 「주소지 상이~」와 같은 표현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배우자~」는 「가족관계~」, 「등본상~」, 「세대분리~」와 같은 용어를 자주 사용함을 확인 할 수 있어, 코드ID 분리여부 판단에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자녀 대리인으로 상품 신규 요청하였다가, 「기가입~」과 「주소지 상이~」 관련 폐기처리 내역의 고객번호를 고객 관계 관리(CRM)시스템에 전달하여, 주소지와 자녀 나이 관련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유사한 가족관계 고객 요청 시 열람 전 사전안내 또는 대체 상품을 추천함으로 개선되도록 추진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찾아낸 키메세지관련 코드ID 3개 A, B, C를 업무망에서 전체 폐기사유 15,459건을 대상으로 조회한 결과, 각 코드ID별 처리내역건수는 A에서 1,206건, B에서 415건, C에서 254건이 확인되어, 전체 폐기중에 13%에 해당하는 폐기사유 키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배경으로 행정정보 폐기관리대장 등록시 폐기사유 입력란 에 A, B, C 사유를 선택하거나, 수기입력하도록 개선하였으며, 이에 따라, 입력절차 간소화에 따른 업무시간 단축과 폐기사유 통한 디스크저장 효율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정량적 효과와 핵심사유 선택에 따른 폐기관리절차 간소화와 정확한 사유 입력 유도하여 폐기등록 내용의 적정성 파악에 용이한 정성적 효과로서, ‘행정정보 공동이용 자체 실태점검’ 우수사례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키메세지 코드ID D에서 478건의 처리내역과, E에서 303건의 처리내역을 확인하여, 영업점 행정정보 공동이용 업무처리자에게 필요한 심층적인 교육내용을 보충할 수 있다.
도 5b는, 생성된 키메세지 클라우드(Key Message Cloud)의 해상도와 마우스 선택에 따른 (x, y)좌표값을 보여주어, 키메세지 메타데이터 값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c는, 일정기준을 중심으로 노드포인트(node point)색깔을 달리하여, 개선실행 전(前)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빨간점(Red Point)과 개선실행 후(後)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푸른색점(Blue Point)을 나타낼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이다.
구체적으로 코드ID가 부여된 키메세지노드(node)의 위치변화를 한눈에 확인함으로써, 직관적인 개선 영향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키메세지공유부(308)는 공동이용 관리자 허용에 따라 키메세지 진단부(301)과 키메세지 사후관리부(305)를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무개선을 위하여 공유클라우드에서 사내 또는 기관별 유관 업무담당자는 단말 접속을 통하여 키메세지만 공유하여도 각 단말기에게 설치되어있는 에이전트를 통하여 키메세지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키메세지설정부(101)에 정의된 공개범위에 따라 클라우드 또는 상세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가중치를 차트로 표현한 보고서로도 활용 할 수 있다.
상기 상세내역 확인과정에는 업무처리자가 입력한 민원인 또는 고객 개인정보입력에 따라, 노출될 수 있음으로 패턴을 통한 식별기술로 마스킹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일 예로서,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 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텍스트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 주관적 업무처리 내용을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이용하여 키메세지 생성단계
200: 키메세지별 코드ID을 부여하여, 정형 데이터로 관리 및 핵심 키메세지로 발전하는 단계
300: 데이터 시각화를 통하여 업무절차 진단결과 설명 및 개선 사후관리 서비스 제공단계

Claims (1)

  1.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수집대상을 정의하는 키메세지설정부(101);
    상기 가독성을 높인 효과적인 진단을 위하여, 「전자정부법」제36조(행정정보의 효율적 관리 및 이용),「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제 32조(개인정보 보호 등 관리)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은 출력된 행정정보에 대한 관리 및 폐기 절차를 마련에 따라,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을 감소시키는 "행정정보 폐기사유"를 수집하는 대상설정부(101M); 및
    폐기사유에 언급된 어구(語句)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핵심내용(이하 "키메세지 Key Message"라 한다) 생성하는 키메세지생성ㆍ배치개발부(103);
    상기 생성된 키메세지 코드ID와 보정된 키메세지명(이하 "공개키메세지명 Suggest Key Message"라 한다)을 일대일로 관리하여, 행정정보 업무처리자에게 폐기사유 입력 대신 핵심 폐기사유 선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현행 이용시스템과 데이터 동기화를 이루는 키메세지코드관리부(101C); 및
    코드ID와 관리된 키메세지를 일대다로 관리하는 키메세지코드등록내역부(101L);
    상기 코드ID가 부여되어 기존에 관리하고 있는 키메세지들은 코드ID 셋팅되고, 코드ID가 정의되지 않은 신규 키메세지는 코드ID 부여받기 위해 대기하는 키메세지대기부(104);
    상기 공개키메세지명 정의와 공개를 반복하여, 업무처리자의 선택에 따라, 키메세지가 신규 생성되거나, 유사의미 키메세지 집중을 관리하는 키메세지관리부(200); 및
    생성된 키메세지노드(node)들의 가중치(weight, 加重値)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망 구성(이하"키메세지 클라우드 Key Message Cloud"라 한다)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위해 시각정보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키메세지메타데이터관리부(201M); 및
    가중치(weight, 加重値) 변경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키메세지가중치변경이력부(201H);
    상기 메타데이터에 따라, 키메세지 클라우드 생성을 위하여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BC)정규식을 이용하여, 「행정정보 공동이용 지침」제12조(공동이용 사무의 등록)근거하여 마련된 폐기처리하고자 하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무를 중심성노드(node)로 정의하여, 가중치 최대값 1을 주고, 정의한 공동이용 사무를 중심으로 폐기사유 키메세지노드(node)의 가중치값이 0~1미만 값에서 중심성노드(node)로 부터 거리로 표현하는 키메세지간거리출력부(304); 및
    생성된 중심성노드(node)와 키메세지노드(node) 가중치(weight, 加重値)를 투명도에 반영하여, 진단에 따른 색깔 선명도를 구분함으로써, 진단결과의 상태정도를 나타내는 키메세지색출력부(302);
    상기 중심성노드(node)에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용률(活用率, 행정정보 공동이용이 잘 이용되는 비율) 상태정도를 반영하고, 키메세지노드(node)에 점유율(占有率, 해당 처리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의 상태정도를 노드(node)크기로 출력하는 키메세지크기출력부(303);
    상기 키메세지노드 거리,색,크기 출력을 통한 키메세지 진단부(301)과 개선실행 일자를 관리하여, 개선실행 전(前), 후(後) 두개의 동일한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BC) 네트워크 연결망을 동일한 해상도 공간에 겹치어, 개선실행 전(前)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빨간점(Red Point)과 개선실행 후(後) 키메세지노드(node)위치 푸른색점(Blue Point)을 출력함으로써, 코드ID선택에 따른 키메세지노드(node)가 이동한 경로를 한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직관적인 개선 영향도를 확인서비스를 제공하는 키메세지사후관리부(305); 및
    키메세지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 네트워크상에서 허용된 단말에 접속하여 키메세지 공유만으로 관련 법령, 처리내역, 데이터 시각화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키메세지공유부(30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
KR1020210091839A 2021-07-13 2021-07-13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10095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39A KR20210095601A (ko) 2021-07-13 2021-07-13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39A KR20210095601A (ko) 2021-07-13 2021-07-13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601A true KR20210095601A (ko) 2021-08-02

Family

ID=7731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839A KR20210095601A (ko) 2021-07-13 2021-07-13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60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81B1 (ko) 2016-05-31 2017-09-01 주식회사 뉴스젤리 웹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데이터 시각화 방법 및 장치
KR101801257B1 (ko) 2016-03-23 2017-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효율적 건설문서 관리를 위한 텍스트마이닝 적용 기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257B1 (ko) 2016-03-23 2017-11-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효율적 건설문서 관리를 위한 텍스트마이닝 적용 기술
KR101773781B1 (ko) 2016-05-31 2017-09-01 주식회사 뉴스젤리 웹 기반의 사용자 지향적 데이터 시각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rillo et al. Knowledge discovery from post-project reviews
US11709848B2 (en) Focused probabilistic entity resolution from multiple data sources
US20150046369A1 (en) Document generation, interpret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with built in workflows and analytics
CN112927082A (zh) 信用风险的预测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KR20200055165A (ko) 전문가 긴급 추천 서비스 시스템
KR102465711B1 (ko) 소셜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법률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능성 동적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657028B2 (en)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using structured data tables and nodal networks
KR20220108648A (ko) 비대면 온라인 면접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pagianneas Towards smarter and fairer justice? A review of the Chinese scholarship on building smart courts and automating justice
Majumdar et al. Detection of financial rumors using big data analytics: the case of the Bombay Stock Exchange
Singal CSR initiatives and practices: Empirical evidence from Indian metal and mining companies
CN114303140A (zh) 与产品和服务相关的知识产权数据分析
Inau et al. FAIR Equivalency, regulatory framework and adoption potential of FAIR Guidelines in health in Kenya
Sutton et al. Institutional factors affecting expansion within the East African community: An analysis of managers’ personal stories
Rouhani et al. [Retracted] An Architectural Framework for Healthcare Dashboards Design
Huth et al. A Service Definition for Data Portability.
US20230067944A1 (en) Customized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using structured data tables and nodal networks
Andoh-Baidoo et al. Architecture for managing knowledge on cybersecurity in Sub-Saharan Africa
Chen et al. Dynamic and semantic-aware access-control model for privacy preservation in multiple data center environments
US20220292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training, and evaluating models, scenarios, lexicons, and policies
Weichbroth et al. Toward a unified model of mobile Business Intelligence (m-BI) acceptance and use
KR20210095601A (ko) 행정정보 공동이용 활성화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 기반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관 전자적 체계 자가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JP2022078008A (ja) 法令関連情報利用支援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法令関連情報利用支援方法
Sneed Requirement-based testing-extracting logical test cases from requirement documents
Lewis et al. Institutional structures for state growth management: An examination of state development p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