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423A -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 Google Patents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23A
KR20210095423A KR1020200009293A KR20200009293A KR20210095423A KR 20210095423 A KR20210095423 A KR 20210095423A KR 1020200009293 A KR1020200009293 A KR 1020200009293A KR 20200009293 A KR20200009293 A KR 20200009293A KR 20210095423 A KR20210095423 A KR 20210095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drinking
drinking water
infrared
infrared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이스바이오홀딩스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이스바이오홀딩스, 이성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이스바이오홀딩스
Priority to KR102020000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423A/ko
Publication of KR2021009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의 음용으로 혈중 지질 개선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용수가 수용되는 음용본체부와, 음용본체부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음용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원적외선 방사체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2 : 1~1.2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세라믹 분말 25~35 wt%와 황토 65~75 wt%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3.50×102 ~ 3.6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사하여 음용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중 지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Drinking vessel equipped with far-infrared emitter for improving blood lipid}
본 발명은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의 음용으로 혈중 지질 개선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은 태양이 방출하는 빛을 프리즘으로 분산시켜 보았을 때 적색선의 끝보다 더 바깥쪽에 있는 전자기파를 말하는 것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0.75~3㎛의 것을 근적외선, 3~25㎛의 것을 단순히 적외선, 25㎛ 이상의 것을 원적외선이라 한다.
그중 원적외선은 적외선 영역에서 가장 긴 파장을 지닌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태양광선 중 가장 순수하고 열효율이 높은 무색의 자연선이기 때문에 우수한 열작용과 강한 침투력을 가지고 있어 인체에 조사되면 피부 깊숙이 침투되면서 열작용을 유도해 인체에 가장 많은 유익함을 제공한다.
이밖에도 원적외선은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숙면,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및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어 건축자재, 주방기구, 의류, 의료기구 및 찜질방 등의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더구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이에 따른 생명의료산업과 기술의 발전, 건강 관리 기법 개발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섭취하고 있는 식품의 인체에 대한 생리 작용과 기능성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원적외선을 적용해 보고자 한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등록번호: 10-0309182)'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하고, 이온화, 전기현상 등 다양한 작용이 발생하여 인체 및 생체에 활성화기능을 부여하며, 식품의 신선도유지, 탈취, 정수효과 등을 발휘하여 의료, 의류, 청량음료, 신선도 유지제, 화장수, 화장품, 세제, 목욕수, 식물성장제 등 건강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이 가능한 자화된 소성세라믹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맥반석과 견운모를 혼합하고 물을 가해 혼련한 후 숙성시킨 다음 압형하여 얻은 고형물을 소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 한 다음 자력을 조사하여 소성 자화된 세라믹 분말을 얻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기능성 세라믹볼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10-0598694)'에서는 제올라이트, 맥반석, 카오린, 토르말린 및 항균세라믹을 이용한 세라믹볼을 한약을 달일 때 투입해 탕약의 맛을 순하게 변화시키며, 액상 식품에 첨가할 때 섭취 시에 보다 순하고 부드러운 맛을 나타내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원적외선 세라믹은 식품에 첨가되는 방식으로 이용되어져 왔는데, 대부분 식품이 수분을 포함하고 있거나 물과 함께 사용됨을 고려할 때, 혈중 지질 개선을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과, 간기능 보호 및 신장 기능 보호 등에 대한 인식은 아직 없는 실정이므로, 이를 탈피하여 식품에 첨가되지 않고도 원적외선 세라믹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놓여져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09182호, 2001.09.04.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8694호, 2006.07.03.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의 음용으로 혈중 지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용수가 수용되는 음용본체부와, 상기 음용본체부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음용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2 : 1~1.2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세라믹 분말 25~35 wt%와 황토 65~75 wt%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3.50×102 ~ 3.6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사하여 음용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중 지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분말은, 상기 중화맥반석, 상기 진주석 및 상기 목어석이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는,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를 음용하는 것만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과, 간기능 보호 및 신장 기능 보호가 가능하여 혈중 지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체의 시험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XRF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 용기의 구성도.
도 8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온변화 그래프.
도 9는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중변화 그래프.
도 10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복부지방을 나타낸 사진.
도 11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중 지질 변화 그래프.
도 12는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변화 그래프.
도 13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간기능 및 신장기능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온변화 그래프.
도 15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중변화 그래프.
도 16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복부지방을 나타낸 사진.
도 17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중 지질 변화 그래프.
도 18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변화 그래프.
도 19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간기능 및 신장기능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 용기(100)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용 용기(100)는 상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에 음용수가 수용되는 음용본체부(110), 음용본체부(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120), 수납공간에 내장되어 음용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체(130)로 이루어진다. 단, 음용 용기(100)는 예를 들어 텀블러가 될 수 있으며, 텀블러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음용수를 수용할 수 있는 도구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특히 수납부(120)는 음용본체부(110)의 외면에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음용본체부(110)에 수용된 음용수와 비접촉되도록 하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든 가능하다. 이처럼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음용 용기(100)의 별도 공간인 수납부(120)에 저장됨으로써, 음용본체부(110)에 액체와 같은 음용수를 담게 되더라도 원적외선 방사체에 음용수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원적외선 방사체를 녹지 않게 보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체(130)를 나타낸 사진으로, 이러한 도 2를 참조하면,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130)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즉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2 : 1~1.2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세라믹 분말 25~35 wt%와 황토 65~75 wt%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3.50×102 ~ 3.6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사하여 음용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중 지질을 개선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체를 통해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음용수로 간접 흡수되어 음용수를 활성화시켜, 이러한 활성화가 이루어진 음용수를 마시게 되면 혈중 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즉 원적외선 방사체가 방사하는 원적외선이 음용수로 간접 흡수되면서 음용수의 분자 결합을 강화시켜 생체 조직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중 지질 개선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중화맥반석은 연한색의 광물질로써 일반 맥반석에 사장석이 보통 55% 함유된 것과 달리 사장석과 정장석이 70~80% 함유되고, 사장석 함량이 정장석 함량보다 많으며, 석영 함량은 15% 이하인 구성이다. 중화맥반석에는 인체에 필수적인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인 등의 원소와 아연, 철, 셀레늄, 동, 스트론튬, 요오드, 플루오린, 편규산 등 18가지 종류의 미량원소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화맥반석에서 용출하는 액체 중 4가지 미량원소(편규산, Sr, Zn, F)는 중국 국가음료수, 광천수 표준에 적합하고 천연적인 영양원이다. 이러한 중화맥반석 내에는 대량의 지르콘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어 상온 조건 하에서 원적외선 복사율은 0.88~0.92, 상온조건에서 세균 억제율의 경우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감소율 90%로 세균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유해물질 구조의 활성 에네르기를 방사한다. 또한 오염된 물 속에 존재하는 병을 일으키는 유기분자를 분해하며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하여 좋은 질량의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진주석은 Pearl stone이라고도 부르며, 천연 SiO2가 70wt% 이상 함유된 유리를 의미하는 구성이다. 진주석은 점성의 용암(화산용암)이나 마그마가 지표의 호수로 흘러들어 급격한 냉각에 의해 형성된 화산암의 일종으로, 화산지대에서 채취한 퍼라이트 원석(정석)을 1,000~1,300℃로 소성 팽창하여 만들어진 것을 천연 무기재료인 진주석이라 통칭하며, 이러한 소성 팽창 가공을 통해 이루어진 수많은 기공들로 인하여 우수한 경량성, 단열성, 보비성, 배수성 등의 우수한 성능을 보유한 진주석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진주석은 다공성을 가짐에 따라 수분 흡수력과 습도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경량성 및 강도가 높은 성질이 있어 제품의 무게를 경량화시키고 내구성을 좋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주석은 2.5mm 이하의 표준 입도, 0.16kg/ℓ의 겉보기 비중, 4.0(ℓ/kg)의 최대 용수량, 0.045Kcal/mh ℃의 열전도율을 가지며, 건조시 전기 저항률이 무한대이고, 수분 함침시 전기 저항률이 약 350KΩ·m 일 수 있다. 진주석은 수분 0.06%, 유기물질 2.14% 및 광물질 97.4%로 이루어지는데, 광물질은 Ca, Ag, Mg, P, Na, Si, K, Al, Fe, S, Ni, Cl, Co, Ge, Mn, Se, Cr, Ce, Cu, As, Pb, Bi, Zn, Sn, Cd 및 An으로 총 26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진주석은 진주약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목어석은 중공상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알갱이 또는 분말 또는 액체형태로 채워진 구성이다. 표면은 토갈색, 오렌지색, 자홍색 또는 흑색으로 반금속 광택을 나타낸다. 모스경도는 약 5.5이고 비중은 3.6로써 표면이 견고하고 부드럽다. 목어석 광물질의 주요성분은 갈철광으로써 Fe2O3의 함량이 20~78%이고, 기타 구성물질은 일반적으로 인산염이며 소량의 편규산염 및 스트론튬(Sr), 셀레늄(Se), 몰리브덴(Mo), 리튬(Li), 아연(Zn) 등 미량원소도 함유되어 있다. 특히 목어석에서 방출되는 미량 원소 중 스트론튬(Sr), 셀레늄(Se)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항노화 효과가 있고 동맥경화 예방 등 효능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인체에 필요한 여러가지 미량원소를 보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기능을 조절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중화맥반석이 1중량비 미만이면 지르콘 함량이 미미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출량도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1.2중량비율을 초과하면 진주석과 목어석과의 최적 혼합비 조절에 어려움이 생긴다. 진주석의 경우 소성 팽창 가공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1중량비 미만으로 첨가되면 원적외선 방사체의 경량화 달성이 다소 어려워 오히려 음용 용기의 무게 경량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으며, 1.2중량비를 초과하면 진주석의 기공이 원적외선 방사체 성형에 영향을 끼쳐 원적외선 방사체의 강도를 유지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음용 용기를 떨어뜨리거나 큰 외력이 가해질 때 원적외선 방사체의 파손을 야기할 수 밖에 없어진다. 목어석이 1중량비 미만으로 혼합되면 인체에 필요한 여러가지 미량원소를 원활히 방출하지 못해 비경제적이며, 1.2중량비를 초과하면 그 이하의 양이 첨가된 경우와 비교하여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부여하지 않으므로, 굳이 1.2중량비를 초과하여 혼합할 필요성이 없다.
이런 이유로,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은 1~1.2 : 1~1.2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측정을 통하여 원료들 간의 보다 바람직한 최적 혼합률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확인된다.
우선 원적외선 방사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계(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FT-IR)(M2410, MIDAC Corp., USA)를 사용하여 KFIA(Korea Far Infrared Association)-FI-1005 방법에 준해 5~20㎛ 파장에서 실험한다. 즉 원적외선 방사성능은 원적외선 방사율(emissivity)과 원적외선 방사에너지(emissive power)로 측정되는데, 원적외선 방사율은 흑체의 온도가 인체의 체온과 유사한 37℃일 때 흑체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양을 측정하고, 장착된 샘플의 표면온도가 37℃일 때 샘플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양을 측정하여 다음의 식 1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단, [식 1]의 Es(λ, T)는 샘플 표면의 적외선 방사에너지(emissive power)를, Eb(λ, T)는 흑체의 적외선 방사에너지(emissive power)를 나타낸다.
[식 1]
Figure pat00001
정리하자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계는 마이컬슨 간섭계(Michelson interferometer)라는 장치를 사용하는데, 마이컬슨 간섭계는 빛 파장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A. Michelson이 고안한 것으로 광원(source)은 광선분산기(beam splitter)에서 두 개의 빛으로 나누어지면서 각각 정지 거울(stationary mirror)과 이동식 거울(movable mirror)에서 반사된 다음 각각의 빛이 광선분산기로 되돌아오고 다시 반사되어 검출기(detector)에서 합쳐지는데, 이때 샘플을 간섭계에 투입하여 간섭상관도를 기록하고, 흑체의 간섭상관도를 기준으로 샘플과의 에너지 비를 계산하여 원적외선 방사율을 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중화맥반석으로 이루어진 sample 1, 진주석으로 이루어진 sample 2 및 목어석으로 이루어진 sample 3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값과 함께, 중화맥반석과 진주석이 1:1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sample 4, 중화맥반석과 목어석이 1:1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sample 5, 진주석과 목어석이 1:1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sample 6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값과,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1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sample 7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각각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표 1에 나타내었다.
No. 성분 원적외선 방사율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W/m2·㎛, 37℃)
대조군 polypropylene 0.853 3.29×102
sample 1 중화맥반석 0.895 3.43×102
sample 2 진주석 0.854 3.30×102
sample 3 목어석 0.892 3.44×102
sample 4 중화맥반석+진주석
(1:1 중량비율)
0.871 3.36×102
sample 5 중화맥반석+목어석
(1:1 중량비율)
0.894 3.44×102
sample 6 진주석+목어석
(1:1 중량비율)
0.873 3.37×102
sample 7 중화맥반석+진주석+목어석
(1:1:1 중량비율)
0.921 3.55×102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 중 1종이거나, 2종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경우 오히려 방사에너지가 낮게 나타났으나,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을 동일한 중량비율인 1:1:1로 혼합한 경우에는 방사율과 방사에너지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 중 2종이 혼합된 경우 오히려 방사에너지의 감소를 보인 반면, 3종 모두 혼합된 경우 방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 각각의 원료 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산화규소나 게르마늄, 지르콘 등의 성분들 간의 공간에 진주석이 차지하면서 일정한 거리가 만들어져 유지되거나 진주석이 가지는 단열성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열 또는 에너지의 보존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방사에너지의 상승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x축은 방사율, y축은 방사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대조군 대비 단독의 중화맥반석은 방사율이 0.895, 방사에너지가 343W/m2·㎛이고, 단독의 진주석은 방사율이 0.854, 방사에너지가 330W/m2·㎛이며, 단독의 목어석은 방사율이 0.892, 방사에너지가 344W/m2·㎛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에서와 같이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sample 7의 경우에는 방사율이 0.921, 방사에너지가 355W/m2·㎛로써, sample 7의 원적외선 방사 특성이 sample 1 내지 6에 비하여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단, 도 3에 sample 4 내지 6의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sample 1 내지 3과 비슷한 수치임이 표 1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 중 1종 또는 2종으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 형성한 경우 원적외선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더 우수하다.
이러한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은 300~500mesh의 평균 입자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300mesh 미만이면 입자가 너무 커 원적외선 방사체의 적용에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제품성이 없게 되며, 500mesh를 초과하면 입자가 미세하여 제품성이 좋을 수는 있으나, 공정상 흩날림이 발생해 입자의 유실률이 높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원적외선 방사체를 이루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은 300~500mesh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탈취기능이 강한 목어석으로 이루어진 세라믹분말을 1차 혼합한 후, 이러한 세라믹분말 25~35wt%에다가 황토 65~75wt%를 2차 혼합하여 볼 형태로 제조하는데(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라믹분말 30wt%와 점도 70wt%), 이때 세라믹분말이 25wt% 미만이면 목적으로 하는 수준의 원적외선 방사량이 나타나지 못하고, 35wt%를 초과하면 볼 형태의 구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점성에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볼이 완성되더라도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25~35wt%의 세라믹분말과 65~75wt%의 점토를 혼합한 후 미량의 물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어 직경 1mm 이내의 볼을 제조한 다음 자연건조시킨 후 950~1,300℃의 온도에서 구워내 마무리한다. 이런 과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인위적으로 가열을 하지 않아도 음용 용기(100)의 음용본체부(110)에 수용되는 음용수와 비접촉되도록 음용 용기(100)의 외면 즉, 음용본체부(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120)의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음용수로 간접 흡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체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으로 이루어진 세라믹분말 25~35wt%에다가 황토 65~75wt%를 포함하는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가 갖는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의 확인이 가능하다. 도 4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체의 방사율이 0.921이고, 방사에너지가 3.50×102~3.60×102W/m2·㎛임이 확인된다.
이어서 방사율과 방사에너지의 수치가 높은 sample 7에 대하여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장비를 이용하여 국제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주)'에서 한 성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이다. 도 5는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가 가장 높은 sample 7을 근거로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도 5-(a), 도 5-(b) 및 도 5-(c)의 개별 샘플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XRF 그래프이다. 도 6-(a)는 도 5-(a)에 나타낸 샘플을 성분분석하여 XRF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도 5-(b)에 나타낸 샘플을 성분분석하여 XRF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도 5-(c)에 나타낸 샘플을 성분분석하여 XRF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도 5의 샘플을 이용해 도 6에 따른 XRF 성분 결과는 다음과 같이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5-(a) 도 5-(b) 도 5-(c) Mean SD CV%
Si(silicon) 49.65 49.57 49.67 49.63 0.05 0.11
Al(Aluminum) 24.89 24.4 24.75 24.68 0.25 1.02
Fe(Iron) 16.99 17.65 17.59 17.41 0.36 2.10
K(Potassium) 5.21 5.02 4.88 5.04 0.17 3.29
Ti(Titanium) 1.55 1.74 1.64 1.64 0.10 5.78
Ca(Calcium) 1.31 1.31 1.20 1.27 0.06 4.99
기타(Mn, V) 0.40 0.31 0.27 0.33 0.07 20.38
표 2를 참조하면, Si(silicon) 49.63±0.05wt%, Al(Aluminum) 24.68±0.25wt%, Fe(Iron) 17.41±0.36wt%, K(Potassium) 5.04±0.17wt%, Ti(Titanium) 1.64±0.10wt%, Ca(Calcium) 1.27±0.06wt% 및 기타(Mn, V) 0.33±0.07wt%의 무기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즉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1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진 경우 Si(silicon) 49.58~49.68wt%, Al(Aluminum) 24.43~24.93wt%, Fe(Iron) 17.05~17.77wt%, K(Potassium) 4.87~5.21wt%, Ti(Titanium) 1.54~1.74wt%, Ca(Calcium) 1.21~1.33wt% 및 기타(Mn, V) 0.26~0.40w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기타(Mn, V) 0.26~0.40wt%의 경우 잔부 성분을 의미한다.
이어서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음용수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간접 설치된 음용 용기(100)에 수용되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되는 음용수를 음용함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볼 형태로 성형이 완료된 원적외선 방사체(130)는 음용 용기(100)의 외면에 부착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음용수가 수용되는 음용본체부(11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부(120)의 수납공간에 내장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체는 음용 용기의 외면에 구조물(예컨대, 필름)에 의해 싸여져 고정된 상태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음용수와 원적외선 방사체가 비접촉 또는 간접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면 어느 방식으로든 설치 가능하므로, 음용 용기에 원적외선 방사체가 설치되는 방식에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음용 용기(100)에 설치된 원적외선 방사체는 음용수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파동에너지가 음용 용기 내부의 유리나 스테인리스를 투과하여 음용수에 흡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음용수로부터 0.92~0.93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3.50×102~3.60×102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방사된다. 이렇게 파동에너지가 흡수된 음용수를 음용하면 세포가 파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공명작용을 일으키며 열이 발생하므로 체온이 높아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세포의 재생작용, 모세혈관의 활성과, 각종 염증의 완화와 신진대사의 기능에 유익함을 주게 된다.
이때 음용본체부(110)의 내외면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120)에 원적외선 방사체(130)가 구비된 음용 용기(100)에 음용수를 수용한 후, 상온에서 10~14시간 동안 정치 또는 방치하여 음용수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약 10시간 미만이면 파동에너지가 음용본체부(110)의 내부로 투과하지 못해 음용수가 충분히 활성화되기 어려워 결국 세포가 파동에너지를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14시간을 초과하면 그 이하의 시간으로 방치한 경우와 대비하여 더욱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장시간 두게 되면 오히려 효율적이지 못하다.
특히 음용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와 비접촉되는 원적외선 방사체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음용수로 간접 흡수되고, 이렇게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를 음용하게 되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과, 간기능 보호 및 신장 기능 보호에 효과적이어서 혈중 지질 개선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후술해 보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음용수'는 음용 용기의 외면 또는 내면과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 방사체와 간접 접촉되어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을 분말화하여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세라믹분말 300g과 황토 700g을 혼합하고, 반죽될 만큼의 물을 소량 첨가하여 볼 형태로 성형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쳐 1,000℃에서 소성시켜 원적외선 방사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음용 용기에 설치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용 용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 7에서와 같이 진행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한층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두께로 펼쳐 비닐(30×10cm)로 포장한 구조물이 확인되며, 도 7-(b)를 참조하면, 음용 용기의 외부 둘레면에 도 7-(a)의 구조물을 고정시킨 후 음용 용기 내부에 물(약 1,000ml)을 담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정치한 후 그 음용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우선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간접 흡수된 음용수의 음용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류에 음용수를 음용시킴으로써 나타나는 생물학적 변화를 확인하여 지질대사 개선과 연계된 효능 보유 가능성을 실험해 보았다.
즉 원적외선 방사체를 음용수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음용 용기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사체를 12시간 동안 간접 접촉시킨 음용수의 2주 간 음용을 통해 변화되는 생물학적, 혈액 화학적 지표를 확인하고, 지질대사와의 연계성 확인을 위해 고지방사료(FD, fat diet) 섭취 시의 생체 변화를 조사하며, 음용수는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또는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간 음용을 실시하여 고지방사료 섭취군(FD)과 비교하여 보호(예방) 또는 개선(억제)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10주령 웅성 SD rat 20개체(체중 300±50g)를 대조군(Con), 음용수 음용군(IFIR), 34% 고지방사료 섭취군(FD),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으로 각 4개체씩 5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케이지에서 실내온도 22℃, 습도 60%를 유지시킨 상태로 12시간 단위로 조명을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육하였고, 사료(표준사료 또는 고지방사료)와 음수(일반음용생수 또는 본 발명의 음용수)는 자유급식시켰다.
격일로 체온, 체중, 일일 사료섭취 및 음용량을 측정하여 기초건강 유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실험 종료시점에서 복부대정맥에서 혈액 채취 및 장기 적출을 수행하여 이후 분석하였다.
첫째, 정상개체에서의 음용수 음용 실험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우선 원적외선 방사체에 간접 접촉된 음용수의 음용에 따른 체온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는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온변화 그래프를 나타낸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그룹간 종료시점 체온을 비교하여 그 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4주간 음용수 음용에 따라 대조군의 체온(36.5℃) 대비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의 체온이 약 0.2℃ 상승하였으며, 동일 기간 단독의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서는 체온이 약 0.1℃ 상승하였다.
도 9는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중변화 그래프이다. 도 9-(a)는 음용수 음용에 따른 체중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음용 전과 후의 증가량을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음용수 음용군(IFIR)에서와 같이 음용수를 음용함에 따른 체중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서는 약 25% 정도의 체중증가가 확인되었다.
도 10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복부지방을 나타낸 사진으로써, 음용수의 음용에 따른 웅성의 복부지방을 육안으로 살펴본 변화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10-(a)는 대조군(Con)이고, 도 10-(b)는 음용수 음용군(IFIR)이며, 도 10-(c)는 34% 고지방사료 섭취군(FD)의 웅성을 각각 개복하여 복부지방을 살펴본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음용수 음용군(IFIR)에서 복부지방의 현저한 감소가 확인되고,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서 복부지방이 증가됨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도 11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중 지질 변화 그래프이다. 즉 도 11은 혈중 지질 수준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도 11-(a)는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었고, 도 11-(b)는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었고, 도 11-(c)는 HDL-C(H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었으며, 도 11-(d)는 LDL-C(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낸 것이다.
음용수 음용에 따라 총콜레스테롤이 대조군(Con) 대비 약 15% 감소하고 HDL-C이 약 9% 증가함으로써 외삽을 통해 도출된 LDL-C이 40%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중성지방(TG)의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서는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및 HDL-C 모두 증가하였으나, 계산상의 LDL-C 수준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12는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변화 그래프이다. 즉 도 12는 음용수의 음용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수준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혈당(glucose) 변화를 mg/dL로 나타내었으며, 도 12-(b)는 혈청단백질(serum protein) 변화를 mg/dL로 나타내었다. 정상 상태에서의 음용수 음용은 공복 시 혈당과 혈청단백질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지방식이의 경우에는 공복 시 혈당의 수준을 약 20% 상승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3은 정상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간기능 및 신장기능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는 간기능 수치인 GOT(glutamic oxalacetic tranaminase) 지표를 IU/L로 하고, 도 13-(b)는 간기능 수치인 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지표를 IU/L로 하며, 도 13-(c)는 혈액요소질소(BUN) 지표를 mg/dL로 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정상개체에서의 음용수 음용군(IFIR)은 대조군(Con) 대비 GOT는 11%, GPT는 13% 감소되어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고, BUN 수준 역시 18% 감소하여 신장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에서의 음용수 음용 실험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도 14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온변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 비해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과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 모두 체온이 수치상으로 약 0.1℃ 상승하는 것으로 보여지나, 유의적 변화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5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체중변화 그래프이다. 도 15-(a)는 고지방사료 섭취군(FD)에 대한 음용수 음용에 따른 웅성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b)는 그 체중변화 증가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고지방사료 섭취군(FD)과 비교했을 때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에서는 체중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는 약 4% 정도의 체중 감소가 확인되었다.
도 16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복부지방을 나타낸 사진으로써, 음용수의 음용에 따른 웅성의 복부지방을 육안으로 살펴본 변화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16-(a)는 고지방사료 섭취군(FD)을, 도 16-(b)는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을, 도 16-(c)는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을 각각 개복하여 복부지방을 살펴본바, 고지방사료 섭취군(FD)과 비교했을 때,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과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 모두 복부(내장)지방의 감소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보다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 지방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도 17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중 지질 변화 그래프이다. 도 17-(a)는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고, 도 17-(b)는 중성지방(triglyceride, TG)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고, 도 17-(c)는 HDL-C(H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내며, 도 17-(d)는 LDL-C(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mg/dL로 나타낸 것이다.
즉 음용수의 음용에 따라 총콜레스테롤이 고지방사료 섭취군(FD) 대비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에서는 약 24%,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는 약 30% 감소하였으나, H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외삽을 통해 도출된 LDL-C는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에서는 약 70%,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는 약 30% 감소하는 결과가 수치적으로 나타났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도 18은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변화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음용수의 음용에 따른 혈당 및 혈청단백질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도 18-(a)는 혈당(glucose) 변화를 mg/dL로 나타내었으며, 도 18-(b)는 혈청단백질(serum protein) 변화를 mg/dL로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 상태에서의 음용수 음용은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과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 모두에서 공복혈당을 고지방사료 섭취군(FD) 대비 약 7%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청단백질 수준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9는 고지방사료 섭취개체의 음용수 음용 여부에 따른 간기능 및 신장기능 지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a)는 GOT(glutamic oxalacetic tranaminase) 지표를 IU/L로 나타내고, 도 19-(b)는 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지표를 IU/L로 나타내며, 도 19-(c)는 혈액요소질소(BUN) 지표를 mg/dL로 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고지방식이 상태에서의 음용수 음용은 고지방사료 섭취군(FD) 대비 GOT 수준이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에서는 약 22%,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는 약 9% 감소되어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으며, BUN 수준 역시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에서는 약 39%,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에서는 약 20% 감소하여 신장기능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음용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와 비접촉되도록 음용 용기의 외면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음용수로 간접 흡수되는 원적외선 방사체에 대하여,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하였다.
만 19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총 20명(대조군: 10명, 시험군: 10명)의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여 유효성 평가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로, 대조군은 일반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수를 마신 시험대상자를 의미하고, 시험군은 원적외선 방사체에 의해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텀블러를 이용한 음용수를 마신 시험대상자를 의미한다.
시험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는 인체적용시험에 사용되는 텀블러에 물을 담아 1일 6회, 1회 300ml 총 1.8L를 복용하였다. 각 연구대상자당 시험/대조 텀블러에 물을 담아 총 투여기간은 8주로 하였다.
유효성 평가와 관련하여, 지질 중 Triglyceride에서는 군 간 유의성이 나타났다(p=.028). 시험군은 -26.5±33.96(p=.036)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14.3±35.45(p=.234)로 증가하였다. 지질 중 TC에서는 군 간 유의성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시험군은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보하지 못하였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지질 중 LDL-C에서는 군 간 및 군 내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험군은 -2.2±22.65의 변화량을 나타내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시험의 시험군이 대조군 보다 지질(Triglyceride, TC, LDL-C)에서는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본 시험용 음용 용기가 지질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전성 평가와 관련하여, 시험용 음용 용기를 이용한 음용수를 1회 이상 복용한 시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의 대상자에 대해 시험 기간 중에 생체 징후 평가, 임상실험실 검사 등으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기간 중 이상반응이 발생한 사례는 없었으며, 임상실험실 검사치 및 신체검사 등을 통한 안전성 평가결과 임상적으로 위해하다고 판단할 근거는 없었으며, 안전성 평가는 시험에 참여한 임상의사가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음용 용기 내부의 음용수로 간접 흡수된 상태의 음용수를 성인 기준 1.8L/day를 중·장기간 동안 섭취하여도 안전하다고 판정되었다.
단, 실험예 2와 관련하여 '상온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음용 용기를 이용한 음용수의 경구 섭취가 인체의 대사능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대조군 비교 연구자 예비 임상연구'에 대한 인체적용시험결과보고서(IRB No. 02-2018-035 / ver.1.0 / 2019.11.15. / 시험책임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 실시기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의뢰자: (주)그레이스바이오홀딩스)를 기타첨부서류에 첨부하였다.
상술된 실시예 및 실험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는 별개로 간기능 보호 및 신장 기능 보호를 통해 혈중 지질 개선에 유의미한 특징을 가진다.
원적외선 방사체로부터 원적외선이 간접 흡수된 음용수는 체온의 소폭 증가, 복부지방의 육안적 감소, 혈중 총콜레스테롤 감소와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 증가로 인한 저밀도지단백결합콜레스테롤(LDL-C)의 감소로 혈중 지질 수준의 개선 효과가 있고, 혈중 GOT 및 GPT 감소로 간기능 보호 효과와, BUN 수준 감소로 신장기능 보호 효과 등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음용수를 고지방식이 전과 후에 음용처리를 한 결과, 정상개체에서의 음용수 음용 효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고지방사료 섭취 2주 전 음용군(PRIF)의 경우 간기능, 신장기능, 혈당수준 개선 등에 더 나은 효과를 가지고, 고지방사료 2주 섭취 후 2주 음용군(POIF)의 경우에는 복부지방 혈중 지질개선 등에 더 깊은 연관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용 용기를 통해 원적외선 방사체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면서 간접 흡수되는 음용수는 혈중 지질 지표 개선을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과, 간기능 및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용 용기
110: 음용본체부
120: 수납부
130: 원적외선 방사체

Claims (2)

  1. 음용수가 수용되는 음용본체부와, 상기 음용본체부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음용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볼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는,
    중화맥반석, 진주석 및 목어석이 1~1.2 : 1~1.2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세라믹 분말 25~35 wt%와 황토 65~75 wt%가 혼합되어 형성되고, 3.50×102 ~ 3.6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사하여 음용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혈중 지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분말은,
    상기 중화맥반석, 상기 진주석 및 상기 목어석이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KR1020200009293A 2020-01-23 2020-01-23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KR20210095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93A KR20210095423A (ko) 2020-01-23 2020-01-23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93A KR20210095423A (ko) 2020-01-23 2020-01-23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23A true KR20210095423A (ko) 2021-08-02

Family

ID=7731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93A KR20210095423A (ko) 2020-01-23 2020-01-23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4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182B1 (ko) 1999-08-30 2001-09-26 변상율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KR100598694B1 (ko) 2004-10-04 2006-07-07 윤민식 기능성 세라믹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182B1 (ko) 1999-08-30 2001-09-26 변상율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KR100598694B1 (ko) 2004-10-04 2006-07-07 윤민식 기능성 세라믹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e et al. Black phosphorus-based photothermal therapy with aCD47-mediated immune checkpoint blockade for enhanced cancer immunotherapy
Khorasani et al. The effect of saffron (Crocus sativus) extract for healing of second-degree burn wounds in rats
US20180133124A1 (en) Body care product containing porous silver particles
Xue et al. Cu, Zn dopants boost electron transfer of carbon dots for antioxidation
Dai et al. Facile nanolization strategy for therapeutic Ganoderma Lucidum spore oil to achieve enhanced protection against radiation‐induced heart disease
Ferraris et al. Gallic acid grafting to a ferrimagnetic bioactive glass-ceramic
Tan et al. Hollow ZrO 2/PPy nanoplatform for improved drug delivery and real-time CT monitoring in synergistic photothermal-chemo cancer therapy
EP3195849B1 (en) Uv blocking functional composite powder prepared by doubly coating inorganic powder with inorganic uv blocking agent and organic uv absorber, and uv 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Chou et al. The therapeutic effect on bone mineral formation from biomimetic zinc containing tricalcium phosphate (ZnTCP) in zinc-deficient osteoporotic mice
CN116059360A (zh) 一种基于黑磷纳米片的智能近红外光响应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0159682A (ja) 生薬の抗腫瘍活性強化方法、抗腫瘍活性強化生薬含有組成物、生薬処理の抗腫瘍有効性評価方法、および生薬の抗腫瘍有効性評価方法
Wang et al. Biodegradable MoO x@ MB incorporated hydrogel as light-activated dressing for rapid and safe bacteria eradication and wound healing
Li et al. Near-infrared-induced IR780-loaded PLGA nanoparticles for photothermal therapy to treat breast cancer metastasis in bones
KR20060022740A (ko)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 조성물
JP2016164196A (ja) 粘土及び蜂花粉系組成物、その調製方法、並びにその栄養学的使用及び治療的使用
KR20210095423A (ko)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해 원적외선 방사체가 구비된 음용 용기
KR20210095420A (ko) 음용 용기에 설치되어 혈중 지질 개선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8650B1 (ko) 상온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조성물
KR10046052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작용을 하는 고기능성 조성물
Sobeh et al. Curcumin-loaded hydroxyapatite nanocomposite as a novel biocompatible shield for male Wistar rats from γ-irradiation hazard
Viswanathan et al.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wound healing applications of gauze coated with CHX–Ag hybrid NPs
KR100760325B1 (ko) 규산염 광물을 이용한 미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미용용 팩
KR20130091266A (ko) 광천수 부유 콜로이드를 함유한 원적외선 방출용 조성물
KR100586633B1 (ko)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Selvaraj et al.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a mouthwash formulated using clove and ginger mediated by zinc oxide nanoparticles: 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