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410A -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10A
KR20210095410A KR1020200009244A KR20200009244A KR20210095410A KR 20210095410 A KR20210095410 A KR 20210095410A KR 1020200009244 A KR1020200009244 A KR 1020200009244A KR 20200009244 A KR20200009244 A KR 20200009244A KR 20210095410 A KR20210095410 A KR 2021009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are
data
smart
care devic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훈
Original Assignee
나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재훈 filed Critical 나재훈
Priority to KR102020000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410A/ko
Publication of KR2021009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스마트폰과 연동하고,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제삼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가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며; 스마트폰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와 연동하여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어하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제삼자에게 전송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스마트폰과 연동하고,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제삼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진료를 받으려면 병원을 직접 찾아가서 의사와 면담하면서 각종 진료를 받아야 하나, 병원의 진료시간이 직장인들의 근무시간과 일치하기 때문에, 직장에 매여 있는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병원을 찾지 못하여 병이 진행된 후에 찾아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먼 거리에 있는 콘도, 고속도로 휴게소, 항공기 및 선박 내에서 병원이 없으면, 이러한 곳에서 발생한 환자는 아픈 몸을 이끌고 먼 거리에 위치한 병원까지 찾아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이에, 병원의 담당 의사와 게시판 또는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질의하고, 이에 대하여 의사가 진료하는 방법이 인터넷 상에서 운영되었다.
이러한 진료방법은, 컴퓨터의 조작이나 복잡한 기기 조작이 어려운 점과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전문적인 진료를 할 수 없는 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는 경우에는,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심전도,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 이러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의료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체크할 수 있다는 어려운 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6158호(2002.12.12. 등록)는 사용자가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심전도, 체지방 등의 생체정보를 각각의 측정기를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자가 검진 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심전도 등의 생체정보를 체크하는 생체정보 측정기, 진료용 화상카메라 및 의사와의 대화용 마이크와 청진기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측정기연결부; 생체정보 측정기, 진료용 화상카메라, 마이크와 청진기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메뉴조작부; 생체정보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생체정보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DB에 저장하는 메모리부; 유무선 인터넷 통신으로 외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회원 컴퓨터(PC)에 연결하여 측정된 생체정보를 외부 또는 회원 컴퓨터로 전송하고 회원 컴퓨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에 연결된 회원 컴퓨터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회원 컴퓨터에서 측정기연결부에 연결된 생체정보 측정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측정된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원격조작부 및 각종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60654호(2019.03.15. 등록)는 신체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포착하고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의료 디바이스로서, 청진기를 포함하며, 청진기는, 대상체의 신체 외부로부터 대상체의 신체 소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센서,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청진기를 취급하는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진동 발생기, 조명하도록 구성된 라이트, 및 신체 소리의 감지와 함께 실시간으로 감지된 신체 소리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진동 발생기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신체 소리의 감지와 함께 실시간으로 감지된 신체 소리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라이트를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심장 소리, 폐 소리, 복부 소리, 및 다른 신체 소리와 같은 신체 특성 및 온도 및 초음파와 같은 다른 특성을 검출하도록 센서를 구비한 청진기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내장형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또는 SIM 카드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과 짝을 짓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들과 짝짓기 시에, 클라우드에 상주하는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동일한 청진기들의 사용자들의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청진기 등과 같이, 진단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강한 의료 기기에 해당하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또한 휴대성을 지니면서 개인적인 경험과 다양한 형태의 축척된 자료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나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특히, 환자의 가슴 또는 배와 같이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듣고 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청전기의 경우에, 20~200(Hz) 대역의 소리를 듣기 위한 벨, 200~1000(Hz) 대역의 소리를 듣기 위한 다이어프램, 벨과 다이어프램의 소리를 전달하는 튜브 및 진단자의 귀에 걸쳐지는 바이누랄 및 진단자의 귀에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이어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615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6065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스마트폰과 연동하고,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제삼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제삼자에게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제삼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스마트폰과 연동하고,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제삼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진단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강한 의료 기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으로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성을 지니면서 개인적인 경험과 다양한 형태의 축척된 자료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청진기 기능의 경우에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도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체온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심전도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혈압 측정 시 청음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청진음출력부용 커넥터와, 전원공급부용 방수 충전 커넥터와, 음파수신부, 체온측정부, 심전도측정부용 측정면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있는 입력부 및 표시부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체온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심전도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혈압 측정 시 청음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있는 스마트폰에서의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 스마트폰(120)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헬스 케어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네트워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스마트폰(120)과 연동하여 스마트폰(120)의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스마트폰(120)으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청진데이터, 체온데이터, 심전도데이터를 측정데이터로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해 줄 수 있다.
스마트폰(120)은,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와 연동하여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제어하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삼자에게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체온 측정 아이콘(101)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체온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체온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심전도 측정 아이콘(201)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심전도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심전도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폐 청진 위치(301, 302) 및 심장 청진 위치(303, 304)에 정확하게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만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압 측정 시 청음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혈류 청진 위치(401)에 정확하게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만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 태아 청진 위치(501)를 찾은 후에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할 수 있으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진 위치(601)를 찾은 후에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120)은,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사용자식별자를 포함함)를 전달받아 네트워크(150)를 통해 헬스 케어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헬스 케어 서버(130)로 전송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통보해 줄 수 있다.
헬스 케어 서버(130)는,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사용자식별자를 포함함)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해 주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사용자별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태를 진단해서 해당 진단한 데이터를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헬스 케어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앱(즉, 체온 측정 스마트폰 앱, 심전도 측정 스마트폰 앱,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혈압 측정 시 청음 스마트폰 앱,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등)을 판독하여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헬스 케어 서버(130)로부터 등록되는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며, 스마트폰(120)에 필요한 앱(즉, 체온 측정 스마트폰 앱, 심전도 측정 스마트폰 앱,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혈압 측정 시 청음 스마트폰 앱,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 등)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스마트폰(120)과 헬스 케어 서버(13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해서 스마트폰(120)과 헬스 케어 서버(130)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스마트폰(120)과 연동하고,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제삼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진단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강한 의료 기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으로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성을 지니면서 개인적인 경험과 다양한 형태의 축척된 자료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청진기 기능의 경우에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도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은, 스마트폰(120)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청진음, 체온, 심전도 및 검진영상 정보를 동시에 고려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누구나 간단히 진단할 수 있으며,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청진음, 체온, 심전도 및 검진영상 정보를 의사에게 송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급 상황에는 경보를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미리 정한 연락처에 청진음, 체온, 심전도 및 검진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응급상황에도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 데이터처리제어부(115), 통신부(116)를 포함한다.
음파수신부(111)는, 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수신하여 해당 수신한 음파를 음파처리부(112)에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음파수신부(111)는, 고성능의 마이크, 전자 청진기(electronic stethoscope), 음향 청진기(acoustic stethoscope) 등일 수 있다.
음파처리부(112)는, 음파수신부(111)로부터 전달되는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청진데이터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청진데이터를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음파처리부(112)는, 전자 청진기인 경우에, 음파수신부(111)에서 수신한 신체 내부의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이를 증폭하면서 필터링으로 고주파 및 저주파를 제거하여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음향신호(즉, 청진데이터)를 변환하여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체온측정부(113)는, 인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체온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체온데이터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체온데이터를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 전달해 준다.
심전도측정부(114)는, 인체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심전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심전도데이터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심전도데이터를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 전달해 준다.
데이터처리제어부(115)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즉,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 데이터처리제어부(115), 통신부(116)와, 도 9에 도시된 청진음출력부(117), 전원공급부(118), 입력부(119), 표시부(121))를 제어하되, 음파처리부(112)로부터 전달되는 청진데이터, 체온측정부(113)로부터 전달되는 체온데이터, 심전도측정부(114)로부터 전달되는 심전도데이터를 측정데이터로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해 주며,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통신부(116)로 전달해 준다.
통신부(116)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해서,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를 이용하여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데이터처리제어부(115)에서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진단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의존성이 강한 의료 기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으로 자가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성을 지니면서 개인적인 경험과 다양한 형태의 축척된 자료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청진기 기능의 경우에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도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있는 청진음출력부용 커넥터와, 전원공급부용 방수 충전 커넥터와, 음파수신부, 체온측정부, 심전도측정부용 측정면을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 있는 입력부 및 표시부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 데이터처리제어부(115), 통신부(116), 청진음출력부(117), 전원공급부(118), 입력부(119), 표시부(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 데이터처리제어부(115), 통신부(116)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처리제어부(115)는, 음파처리부(112)로부터 획득한 청진데이터를 청진음출력부(117)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청진음출력부(117)는, 데이터처리제어부(115)로부터 전달되는 청진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시킨 전기신호를 청진음으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청진음을 외부로 출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청진음출력부(117)는, 헤드폰, 이어폰,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18)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즉, 음파수신부(111), 음파처리부(112),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 데이터처리제어부(115), 통신부(116), 청진음출력부(117), 전원공급부(118), 입력부(119), 표시부(12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18)는, 충전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에 충전하였다가, 해당 충전 전원을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1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기능을 수행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방수 충전 커넥터(b)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19)는, 전원공급부(118)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와, 통신부(116)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어링 등)을 온/오프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 온/오프 스위치를 도 11의 (d)와 같이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충전 중 또는 충전 완료, 통신, 측정 중 또는 측정 완료 등의 상태)를 도 11의 (e)와 같이 표시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통신부(116)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스마트폰(120)(또는, PC, 노트북, PDA 등)로 전달해 줌으로써, 스마트폰(120)을 이용하여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원격지에 있는 제삼자에게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청진음출력부(117)를 이용하여 청진음을 직접적으로 청음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휴대성이 높고 장소 또는 시간에 관계없이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단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축적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여 주는 것에 의하여 진단의 객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진단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진단 과정에서 생기는 경험적 상황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향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진음출력부(117)를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a)와, 음파수신부(111), 체온측정부(113), 심전도측정부(114)의 측정면(c)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와 연동하여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제어하게 된다(S121).
상술한 단계 S121에서 장치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에서는, 스마트폰(120)과 연동하여 스마트폰(120)의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스마트폰(120)으로 전달해 주게 된다(S122).
상술한 단계 S122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함에 있어서,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에서는,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청진데이터, 체온데이터, 심전도데이터를 측정데이터로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측정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2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하게 되면,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삼자에게 전송해 주게 된다(S123).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체온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여 체온 측정 아이콘(101)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체온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체온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심전도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여 심전도 측정 아이콘(201)을 터치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심전도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심전도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폐 청진 위치(301, 302) 및 심장 청진 위치(303, 304)에 정확하게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만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혈압 측정 시 청음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혈류 청진 위치(401)에 정확하게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만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임산부 태아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 태아 청진 위치(501)를 찾은 후에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음 측정 스마트폰 앱을 내부메모리에 구비하는 경우에,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 반려동물 심장 및 폐 청진 위치(601)를 찾은 후에 청음 측정을 시작하도록 해 주며, 이에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청음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화면에 측정된 청음을 시각화로 표시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함에 있어서, 스마트폰(120)에서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110)로부터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사용자식별자를 포함함)를 전달받아 네트워크(150)를 통해 헬스 케어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헬스 케어 서버(130)에서는,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되는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사용자식별자를 포함함)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해 주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사용자별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상태를 진단해서 해당 진단한 데이터를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폰(120)에서는, 헬스 케어 서버(130)로 전송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111: 음파수신부
112: 음파처리부
113: 체온측정부
114: 심전도측정부
115: 데이터처리제어부
116: 통신부
117: 청진음출력부
118: 전원공급부
119: 입력부
121: 표시부
120: 스마트폰
130: 헬스 케어 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150: 네트워크

Claims (2)

  1.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제삼자에게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2. 스마트폰이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에 따라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 측정기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 헬스 케어 장치에서 획득한 측정데이터 및 시각화데이터를 전달받아 출력해 주거나 제삼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방법.
KR1020200009244A 2020-01-23 2020-0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5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44A KR20210095410A (ko) 2020-01-23 2020-0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44A KR20210095410A (ko) 2020-01-23 2020-0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10A true KR20210095410A (ko) 2021-08-02

Family

ID=7731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44A KR20210095410A (ko) 2020-01-23 2020-01-23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4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158B1 (ko) 2002-07-12 2002-12-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KR101960654B1 (ko) 2014-10-14 2019-03-22 아스일 나이어 후세인 신체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포착하고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158B1 (ko) 2002-07-12 2002-12-31 (주)디지털컴닥터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KR101960654B1 (ko) 2014-10-14 2019-03-22 아스일 나이어 후세인 신체 특성에 관한 데이터를 포착하고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56009B2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EP1153573A2 (en) Stethoscope mouse
US20090312638A1 (en) medical diagnostic device
TWI533845B (zh) 無線電子聽診器裝置
KR20140001816A (ko) 침상 곁 또는 일부 다른 환자 위치에서 환자로부터 진단 및 예후 정보를 취득하는 통합형 핸드헬드 장치 및 관련 방법
US11375976B2 (en) Wireless stethoscope for transmitting, recording, storing and diagnostic capabilities including an earpiece
JP2014502172A (ja) 遠隔医療応用のための多機能医療用装置
WO2015105641A1 (en) Mobile device-based stethoscope system
US20200107745A1 (en) Wireless cardiac sensor
US20160296200A1 (en) MD (The Master Diagnostician)
JP2020022696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システム
CN108366776A (zh) 患者监护仪、生命体征软件控制方法和程序
US20170169176A1 (en) Connected multifunction medical device
US20200375568A1 (en) Auxiliary electrocardiogram (ecg) assemblies and clinical data acquisition systems including auxiliary ecg assemblies
KR2021009541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0132A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원격 진료 시스템
KR20190134314A (ko) 원격 진단 시스템
JP7193080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02297U (ko) 청진기, 체온계 및 심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장치
JP7065592B2 (ja) 超音波プローブ、超音波測定システム
WO2020105229A1 (ja) 診断支援システム
KR102528906B1 (ko) 심전도(ecg) 장치 결합 전자청진기
EP3793445B1 (en) System for digitizing the sound of a stethoscope and for sending it to an electronic instrument
US20240108304A1 (en) Stethoscope
KR20230136574A (ko) 인공지능 기반의 비대면 원격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진료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원격진료를 구현하기 위한 원격진료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