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244A - Support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244A
KR20210095244A KR1020200004728A KR20200004728A KR20210095244A KR 20210095244 A KR20210095244 A KR 20210095244A KR 1020200004728 A KR1020200004728 A KR 1020200004728A KR 20200004728 A KR20200004728 A KR 20200004728A KR 20210095244 A KR20210095244 A KR 20210095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upport
stretchable
hing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현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너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to KR102020000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244A/en
Publication of KR2021009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2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technical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er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 portable terminal to a position which a user wants,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adjusted position for a long time, being easily carried together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more stably expanding a support area.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upporter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provided on a target mounting part of a portable terminal or a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xing part provided in the target mounting part; a flexible part extended and contracted in length; a rota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lexible part and relatively rotating the fixing part; and an end support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flexible part. The end support part includes: an e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flexible part; and a support area expansion member provided on the end support member to be rotatable and expanding the support area while being spread from one side of the end support member when supporting the flexible par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Support for mobile device}Support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받쳐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이다.In general, a pedestal for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support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so that a user can use the portable terminal more conveniently.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올려 놓고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와, 손 가락 등의 손에 끼워서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손 지지형 받침대와, 길다란 휨 허용 부재(일명, "자바라")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mobile terminal pedestal includes a fixed-body-supporting pedestal that is placed on a fixed object such as a table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 hand-supported pedestal that is inserted into a hand such as a finger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nd an elongated bending allowable member (aka, It can be divided into a bellows-connected pedestal that supports a mobile terminal using "Java").

구체적으로,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휴대 단말기가 올려지는 받침면과,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받쳐 상기 받침면에 올려진 휴대 단말기에 경사 각도를 제공하는 경사면과, 그리고 고정체에 면 접촉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손 지지형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금속 재질의 핑거링(finger ring)을 포함한다.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는, 테이블 등의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그리고 고정부와 파지부를 연결시키며 길다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휘어질 수 있는 구조물이 길게 내장되며 그 외부가 고무 등의 외피로 감싸진 휨 허용 부재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xed-body support type pedestal includes a single body, a support surfac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 inclined surface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an inclination angle to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and It includes a bottom surfac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ture. The hand-supported pedestal includes a case fo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a fixing plat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e through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and a metal finger ring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and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includes The bellows connection type pedestal has a fixed part fixed to a fixed body such as a table, a gripping part for gripping the mobile terminal, and an elongated structure connecting the fixed part and the gripping part, and a structure that can be bent inside is long. It is built-in and includes a bending-permissible member whose exterior is wrapped with a shell such as rubber.

하지만,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기존의 고정체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눈 높이에 맞추는 등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아래에 두꺼운 책 등을 쌓아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고, 기존의 손 지지형 받침대의 경우 눈 높이에 맞추기는 용이하나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손 또는 팔의 힘의 한계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그리고 기존의 자바라 연결형 받침대의 경우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 단말기의 무게로 인해 예상 위치보다 아래로 쳐지게 되며 외팔보(cantilever) 구조여서 쳐지는 동안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정확한 눈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는 예상 위치 보다 더 위로 올려야 하고 회전되는 것을 감안하여 예상 위치보다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비틀어야 하는 등 위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edestal for portable terminals has a problem of inconvenient use becaus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ixed-body support type pedestal, thick books, etc. must be stacked under it to adjust the height, such as adjusting the mobile terminal to eye level. In the case of the hand-supported pedestal of , it is easy to fit it at eye leve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trength of the hand or arm that the user can support. It is lowered than the expected posi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cantilever structure, so it rotates around the fixed end during sagg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sition, such as having to twist mor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mad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으로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maintained at the adjusted position for a long time,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carried together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carrying, and 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stably expand the pedestal are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신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 부재; 및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를 받칠 경우 상기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키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provided in an attached part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 fixing unit to be provided; a stretchable part whose length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 rot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telescopic part and rotating the fixing part relatively; and an end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wherein the end support part includes: an e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and a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end support member and expands the support area by opening from one side of the end support member when supporting the stretchable part.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가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마찰력을 부가하여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는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tal support includes a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that includes the abutment region extending member rotatably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maintains the rotated position by applying a frictional force while the abutment region extending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may include more.

상기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는,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힌지공; 상기 말단 지지 부재 중 상기 힌지공에 상응하는 부위에 돌출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공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ortion may include: a hinge hol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a hinge shaft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end support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and a frict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and applying a frictional force therebetween.

상기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상기 힌지공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힌지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al position maintenance hinge part may further include a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for preventing the hinge ball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hinge shaft.

상기 힌지 이탈 방지부는, 상기 힌지축에 그 축 방향으로 요입되며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공; 및 상기 힌지공 보다 큰 직경의 머리를 가지며 상기 너트공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may include: a nut hole recessed into the hinge shaft in its axial direction and having a thread therein; and a bolt having a hea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inge hole and screwed to the nut hole.

상기 힌지 이탈 방지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가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 중 상기 힌지공과 동심을 이루며 요입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의 직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가지는 머리 안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is concentric with the hinge hole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and a head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bolt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groove.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riction member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completely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힌지축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friction member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hinge axis.

상기 마찰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iction member may be made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 부재; 및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를 받칠 경우 상기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키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provided in a mounted part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nd is a high-speed pedestal for being provided in the mounted part. government; a telescoping part provided in the fixing part and extending in length; and an end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wherein the end support part includes: an e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and a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end support member and expands the support area by opening from one side of the end support member when supporting the stretchable par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와, 신축부와, 회전부와, 그리고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신축부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부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신축부와 말단 지지부를 통한 지지로 휴대 단말기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신축부의 길이를 최소로 한 후 말단 지지부를 회전시켜 신축부를 덮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나아가, 말단 지지부는 말단 지지 부재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받침 영역 확장 부재를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fixed part, a stretchable part, a rotating part, and an end support part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such a way that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part is stretched or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part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user's desired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maintained at the adjusted position for a long time by the support through the stretchable part and the end support part, and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part is minimized and then the end support part is rotated to cover the stretchable part. Therefore, it can be easily carried together with a mobile terminal when carrying it. Furthermore, since the distal support por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n end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region extend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thereto, the support region expanding member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spread from one side of the end support member to expand the support region.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말단 지지부는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받침 영역 확장 부재가 말단 지지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받침 영역 확장 부재에 마찰력을 부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힘 등의 외력이 받침 영역 확장 부재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을 경우 마찰력에 의해 받침 영역 확장 부재의 회전이 정지됨과 함께 그 정지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tal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or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frictional force to the abutment area extension member while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s force is no longer applied to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the rotation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is stopped by frictional force and the stopped position can be maintained as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그 길이가 축소된 상태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신축부가 인입되고 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신축부가 완전히 인입된 후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완전히 인입된 신축부가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의 신축부용 수용홈에 수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받침 영역 확장 부재가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에 접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말단 지지부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XI-X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destal for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in a reduced state.
FIG. 3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tretchable part of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of FIG. 1 is being drawn in. Referring to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retchable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after being completely retracted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is turned over.
6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ully retracted stretchable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nd support member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 the stretchable part of the end support member.
7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area expanding memb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and folded in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of FIG. 7B is turned over.
9 is a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of the distal end support of FIG. 5 .
FIG. 10 is an assembly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art of FIG. 9 .
11 is a view taken along the line XI-XI of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of FIG. 9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를 그 길이가 축소된 상태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of FIG. 1 in a reduced state.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의 신축부가 인입되고 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신축부가 완전히 인입된 후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완전히 인입된 신축부가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의 신축부용 수용홈에 수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받침 영역 확장 부재가 말단 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말단 지지 부재에 접히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가 뒤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tretchable part of the pedestal for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is being retracted,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tretchable part is completely retracted and then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nd support member and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end support member It is a drawing shown as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is turned over. 6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ully retracted stretchable p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nd support member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 the stretchable part of the end support member. 7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area expanding member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and folded in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of FIG. 7B is turned over.

도 9는 도 5의 말단 지지부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IX-IX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조립도이며,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를 XI-XI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9 is a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of the end support of FIG. 5, FIG. 10 is an assembly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of FIG. 9, and FIG. 11 is the rotation of FIG. It is a view of the position maintaining hinge part cut along the line XI-XI.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이하, 피장착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함)(1)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고정부(110)와, 신축부(120)와, 회전부(130)와, 그리고 말단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to 11 , the pedestal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mounted part 1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hereinafter, It is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mounted part) (1), and includes a fixed part 110, a stretchable part 120, a rotating part 130, and an end support part 140. .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1 to 11 .

고정부(11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장착부(1)와 회전부(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110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pedestal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unted unit 1 such as a portable terminal or a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1 , the fixing part 1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unted part 1 and the rotating part 130 .

일 예로, 고정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1)와 양면 테이프(1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11)는 그 일면에 회전부(130)가 고정될 수 있고, 양면 테이프(112)는 고정 부재(111)의 타면을 피장착부(1)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11)와 양면 테이프(112)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회전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unit 110 may include a fixing member 111 and a double-sided tape 112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fixing member 111 may have the rotating part 130 fix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the double-sided tape 112 may attach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11 to the mounted part 1 . Accordingly, through the fixing member 111 and the double-sided tape 112 , the rotating part 130 of the pedestal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rmly fixed to the mounted part 1 .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는, 고정 부재, 자석, 그리고 자석 반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그 일면에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고, 자석은 고정 부재의 타면 또는 피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자석 반응 부재는 고정 부재의 타면 또는 피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석에 반응하는 재질은 상술한 자석과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일 수도 있고, 철, 니켈, 코발트와 같은 강자성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자석 등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회전부(130)가 피장착부(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 보다 큰 외력을 가해 탈거될 수 있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필요할 때만 피장착부(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a magnet, and a magnet responsive member. The fixing member may have a rotating part fixed to one surface thereof, the magnet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or the mounted part, and the magnet responsive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other surface or the mounted part of the fixing membe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responds to a magnet. Here, the material reacting to the magnet may be a magnet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magnet, or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nickel, or cobalt. Therefore, through a magnet, etc., the rotating part 130 of the pedestal 100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mounted part 1 and can be remov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magnetic force, The pedestal 100 for a mobile terminal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mounted part 1 only when necessary.

또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는,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통해 피장착부에 접착될 수 있고, 제2 고정 부재의 일면은 제1 고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 부재의 타면에 회전부가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착탈 가능한 구조를 위해, 제2 고정 부재의 일면에 레일(rail)이 구비되고, 레일에 상응하도록 제1 고정 부재에 레일 가이더(rail guider)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 부재가 서로 착탈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거시 피장착부에 남게 되는 제1 고정 부재를 무선 충전에 방해되지 않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선택할 경우, 무선 충전기를 통한 원활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The first fix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mounted part through a double-sided tape,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rotating part may be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for a detachable structure, a rail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a rail guider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ix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rail. 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are not on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but also when the first fixing member remaining in the mounted part is selected as a material such as plastic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wireless charging, smooth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wireless charger is performed. can

신축부(120)는, 휴대 단말기(1)의 높이를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신축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3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면서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부(130)가 없는 타입의 경우, 신축부(120)는 고정부(110)에 바로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stretchable part 120 is a component for substanti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ortable terminal 1 . As shown in FIG. 1 , the stretchable part 120 may be mounted on the rotating part 130 and may be stretched in length while being drawn in or withdra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a type without the rotating part 130 , the stretchable part 120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fixing part 110 .

따라서, 신축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부(12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고, 말단 지지부(140)와 함께 신축부(120)를 통한 지지로 휴대 단말기(1)를 그 맞춘 위치에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신축부(120)의 길이를 최소로 하는 것으로 휴대시에는 휴대 단말기(1)와 함께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user's desired position by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part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part 120, and the end support part 140 and Together with the support through the telescoping part 120, the mobile terminal 1 can be maintained at the matched position for a long time, and 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telescoping part 120, it can be easily carried with the mobile terminal 1 when carrying. Can be portable.

예를 들어, 신축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각각 가지며 서로 너비가 다른 복수의 미끄럼 부재(S10)가 서로 인입출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slidable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판 형상을 통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도 8 참조)를 얇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길이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신장되고 그 반대로 누르면 신축될 수 있어 그 길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tretchable part 120 is a slidab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liding members S10 each having a plate shape and having different widths are drawn in and out from each other. may have (see FIG. 3). Therefore, through the plate shape, the thickness (refer to FIG. 8) of the pedestal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inly, and when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when pr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t can be easy.

구체적으로, 신축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부재(S11)와 제2 미끄럼 부재(S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끄럼 부재(S11)는 판 형상을 가지며 회전부(130)에 그 일단부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미끄럼 부재(S12)는 판 형상을 가지되 제1 미끄럼 부재(S11) 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미끄럼 부재(S11)가 인입출되도록 인입출용 수용부(M1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인입출용 수용부(M11)는 제2 미끄럼 부재(S12)에 대해 그 길이 방향으로 제1 미끄럼 부재(S11)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인입출용 수용부(M11)를 통해 제1 및 제2 미끄럼 부재(S11)(S12)가 서로 좌우 요동 없이 원활하게 그 길이 방향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tretchable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sliding member S11 and a second sliding member S12 .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may have a plate shape and one end thereof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130 ,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 S12 may have a plate shape and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 and may have a receiving portion M11 for withdrawing and withdrawing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here. The receptacle for withdrawal (M11) may guide the sliding of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liding member (S12), and with this, the first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s S11 and S12 may be smoothly drawn in an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ithout horizontal movement of each other.

따라서, 제2 미끄럼 부재(S12)에 구비된 인입출용 수용부(M11)에 제1 미끄럼 부재(S11)가 수용된 상태에서 인입출될 수 있어, 제1 및 제2 미끄럼 부재(S11)(S12)가 서로 인입되어 서로 겹치더라도 신축부(12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도 8 참조)를 더욱 얇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may be drawn in and out while the first sliding member S11 i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M11 provided in the second sliding member S12,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S11 and S12. Even if they are drawn into each other and overlap each other, the thickness of the stretchable part 120 can be minimized, and ultimately, the thickness (refer to FIG. 8 ) of the pedestal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inner.

또한, 신축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미끄럼 부재(S12) 보다 큰 너비를 가지며 제2 미끄럼 부재(S12)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3 미끄럼 부재(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미끄럼 부재(S13)를 통해 신축부(120)를 충분한 길이로 인출시킬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이를 더 신장시키기 위해, 신축부는 4개 이상의 미끄럼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tretchable part 120 has a larger width than the second sliding member S12 and guides the second sliding member S12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3 It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member (S13). Accordingly, the stretchable portion 120 may be drawn out to a sufficient length through the third sliding member S13 .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further extend the length, the stretchable portion may include four or more sliding members.

회전부(130)는, 신축부(120)에 대해 고정부(11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며 휴대 단말기(1)에 대해 회전 모션(rotation motion)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전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와 신축부(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relatively rotates the fixed unit 110 with respect to the stretchable unit 120 and provides a rotation mo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 . As shown in FIG. 1 , the rotating part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xed part 110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120 .

말단 지지부(140)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를 바닥에 받치는 등의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말단 지지부(14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120)의 말단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end support unit 14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pedestal 100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loor,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3 to 6 , the end support part 140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part 120 .

구체적으로, 말단 지지부(14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지지 부재(141)와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 지지 부재(141)는 신축부(120)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는 말단 지지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있으며 신축부(120)를 받칠 경우 말단 지지 부재(141)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를 말단 지지 부재(141)의 일측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받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1)를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7 , the distal support part 140 may include a distal support member 141 and a support area expansion member 142 . The distal support member 141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telescopic portion 120 , and the support region extension member 142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distal end support member 141 and includes the telescopic portion 120 . In the case of support, it may spread from one side of the end support member 141 to expand the support are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upport area by rotating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in a direction that spreads from one sid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41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1 more stably.

또한, 말단 지지부(14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K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K40)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를 말단 지지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으며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가 말단 지지 부재(141)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마찰력을 부가하여 회전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가 말단 지지 부재(141)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에 마찰력을 부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힘 등의 외력이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을 경우 마찰력에 의해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의 회전이 정지됨과 함께 그 정지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support portion 140, as shown in FIGS. 9 to 11 ,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ortion K40.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art K40 may include a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41 rotatably, and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nd support member 141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otated position by applying a friction force during the oper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ly a frictional force to the abutment area expanding member 142 while the abutment area expanding member 142 is rotated relative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41 , so that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s force is applied to the abutment area expanding member 142 . When it is no longer applied to , the rotation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is stopped due to frictional force, and the stopped position may be maintained as it is.

나아가,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K4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공(K41), 힌지축(K42), 그리고 마찰 부재(K4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공(K41)은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의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힌지축(K42)은 말단 지지 부재(141) 중 힌지공(K41)에 상응하는 부위에 돌출될 수 있다. 마찰 부재(K43)는 힌지공(K41)의 내주면과 힌지축(K42)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enance hinge part K40 may include a hinge hole K41 , a hinge shaft K42 , and a friction member K43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hinge hole K41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region extension member 142 , and the hinge shaft K42 may protrud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K41 of the end support member 141 . The friction member K4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le K4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K42, and a frictional force may be applied therebetween.

또한,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K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이탈 방지부(K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이탈 방지부(K44)는 힌지축(K42)으로부터 힌지공(K4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art K40 may further include a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K44 . 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K44 may prevent the hinge hole K41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hinge shaft K42.

예를 들어, 힌지 이탈 방지부(K4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공(K44a)과 볼트(K44b)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공(K44a)은 힌지축(K42)에 그 축 방향으로 요입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K44b)는 힌지공(K4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힌지공(K41) 보다 큰 직경의 머리를 가질 수 있으며 너트공(K44a)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힌지 이탈 방지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나사 체결이 아닌 리벳(riveting) 구조으로 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K44 may include a nut hole K44a and a bolt K44b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nut hole K44a may be recessed into the hinge shaft K42 in its axial direction, and a thread may be formed therein. The bolt K44b may have a hea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hinge hole K41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hinge hole K41 and may be screwed into the nut hole K44a.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unit may be fastened with a riveting structure instead of a screw fastening structure.

또한, 힌지 이탈 방지부(K4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안착홈(K4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안착홈(K44c)은, 볼트(K44b)의 머리가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 중 힌지공(K41)과 동심을 이루며 요입될 수 있고 볼트(K44b)의 머리의 직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hinge separation preventing part K44 may further include a head seating groove K44c. The head seating groove K44c is concentric with the hinge hole K41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so that the head of the bolt K44b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K44b) may have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또한, 마찰 부재(K4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K42)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K43)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 the friction member K43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completel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K42 . In addition, the friction member K43 may be made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또한, 마찰 부재(K4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K42)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볼트(K44b)의 머리의 저면이 힌지축(K42)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받침 영역 확장 부재(142)가 회전되는 동안 볼트(K44b)가 풀리를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 the friction member K43 may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hinge shaft K42 . Accordingly,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of the bolt K44b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hinge shaft K4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lt K44b from being loosened while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142 is rotated.

또한, 말단 지지부(140)는 신축부(120)가 인입될 경우 신축부(120)의 말단에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신축부(120)를 덮을 수 있고(도 6 참조), 신축부(120)가 인출될 경우 신축부(120)의 말단에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신축부(120)를 받칠 수 있다(도 1 참조).In addition, the end support part 140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stretchable part 120 when the stretchable part 120 is retracted to cover the stretchable part 120 (see FIG. 6 ), and the stretchable part 120 is When it is withdrawn, i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part 120 to support the stretchable part 120 (see FIG. 1 ).

또한, 말단 지지 부재(14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신축부용 수용홈(14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120)를 완전히 인입시킨 후 말단 지지 부재(14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신축부(120)를 덮을 경우(도 6 참조), 신축부용 수용홈(141a)에 신축부(120)를 수용할 수 있어, 휴대시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end support member 141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141a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refore, when the end support member 14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cover the stretchable part 120 after completely retracting the stretchable part 120 (see FIG. 6 ), the stretchable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1a for the stretchable part. can accommod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pedest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rry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 피장착부(휴대폰 단말기 또는 케이스)
100: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110: 고정부
111: 고정 부재 120: 신축부
S10: 복수의 미끄럼 부재 S11: 제1 미끄럼 부재
S12: 제2 미끄럼 부재 S13: 제3 미끄럼 부재
M11: 인입출용 수용부
130: 회전부 140: 말단 지지부
141: 말단 지지 부재 141a: 신축부용 수용홈
142: 받침 영역 확장 부재 K40: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
K41: 힌지공 K42: 힌지축
K43: 마찰 부재 K44: 힌지 이탈 방지부
1: Mounted part (mobile phone terminal or case)
100: pedestal for mobile terminal 110: fixed part
111: fixing member 120: stretchable part
S10: a plurality of sliding members S11: a first sliding member
S12: second sliding member S13: third sliding member
M11: Receptacle for ingress and egress
130: rotating portion 140: end support portion
141: end support member 141a: receiving groove for the stretchable part
142: support area expansion member K40: rotation position maintenance hinge portion
K41: Hinge hole K42: Hinge shaft
K43: Friction member K44: Hinge separation prevention part

Claims (4)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신축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 부재; 및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를 받칠 경우 상기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키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provided in a mounted part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 fixing part to be provided in the to-be-mounted part; a stretchable part whose length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 rotat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telescopic part and rotating the fixing part relatively; and an end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The end support portion,
an e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and
a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expands a support area by opening from one sid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when supporting the stretchable part;
contain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말단 지지 부재를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가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마찰력을 부가하여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는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In claim 1,
The end support portion,
A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ortion rotatably provided with the distal support member to the abutment region extending member and maintaining the rotated position by applying a frictional force while the abutment region expanding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제2항에서,
상기 회전 위치 유지 힌지부는,
상기 받침 영역 확장 부재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힌지공;
상기 말단 지지 부재 중 상기 힌지공에 상응하는 부위에 돌출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공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In claim 2,
The rotational position maintaining hinge portion,
a hinge hol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a hinge shaft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end support member corresponding to the hinge hole; and
a frict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ho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shaft and applying a frictional force therebetween;
contain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등의 피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받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로,
상기 피장착부에 구비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며 길이가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 지지부는,
상기 신축부의 말단에 구비되는 말단 지지 부재; 및
상기 말단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신축부를 받칠 경우 상기 말단 지지 부재의 일측에서 벌어지며 받침 영역을 확장시키는 받침 영역 확장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A pedestal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provided in a mounted part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case of the mobile terminal to support the mobile terminal,
a fixing part to be provided in the to-be-mounted part; a telescoping part provided in the fixing part and extending in length; and an end support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retchable portion;
The end support portion,
an e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etchable part; and
a support area extension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expands a support area by opening from one sid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when supporting the stretchable part;
containing
Stand for mobile terminal.
KR1020200004728A 2020-01-14 2020-01-14 Support for mobile device KR202100952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28A KR20210095244A (en) 2020-01-14 2020-01-14 Support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28A KR20210095244A (en) 2020-01-14 2020-01-14 Support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244A true KR20210095244A (en) 2021-08-02

Family

ID=7731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28A KR20210095244A (en) 2020-01-14 2020-01-14 Support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2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09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WO2012134068A2 (en) Portable book holder
KR102132853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US6678153B2 (en) Flat monitor
KR20210095244A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2120439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2120437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20200078249A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2120428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CN209991187U (en) From rapping bar
KR20220154983A (en) Mount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200078202A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EP3653920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US20040075033A1 (en) Dryer holder
KR20230041165A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CN218992903U (en) Clamping device and cradle head
KR200363813Y1 (en) File case have reading desk
US20220136643A1 (en) Multi-axis foldable mobile phone holder
CN207893381U (en) A kind of fixing bracket of mobile terminal
US20150223649A1 (en) Sliding and pivoting extendable arm for a toilet paper roll dispenser
CN208779071U (en) A kind of novel building engineering detecting tripod
CN220915302U (en) Foldable photographic support and mobile phone clip assembly thereof
CN214467256U (en) Rotary supporting device
CN216119236U (en) Mobile phone model capable of being connected with display desktop in anti-falling mode
CN213957745U (en) Angle-adjustable optical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