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05A - Refirgerator - Google Patents

Refir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05A
KR20210094905A KR1020200008731A KR20200008731A KR20210094905A KR 20210094905 A KR20210094905 A KR 20210094905A KR 1020200008731 A KR1020200008731 A KR 1020200008731A KR 20200008731 A KR20200008731 A KR 20200008731A KR 20210094905 A KR20210094905 A KR 2021009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inner case
slid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상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905A/en
Publication of KR2021009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of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including an outer case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form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an opening part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opening part.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body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shield the opening part,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recessed downward; and a storage door which is slidably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The storage door includes: a door body shielding the receiving space; and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a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to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storage door.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that is shielded by a door. It is designed to be stored in optimal condition.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실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Such refrigerators are on the trend of enlargement and multifunctionalit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diversification of user preferences, and their shapes are also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storage rooms.

통상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은 배리어에 의해 구획되어 냉장실과 냉동실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storage compartment inside the refrigerator is partitioned by a barrier to form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shap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에는 선반과 서랍과 같은 다수의 수납장치가 구비되며, 이들 수납장치에 의해 상기 저장실 내부가 구획된다. 따라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한 수납장치에 수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shelves and drawers ar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partitioned by these storage devices. Accordingly, various foods can be accommodated in an appropriate storage device.

한편, 냉장고의 저장실 내에 새로운 수납장치를 추가하려면, 드로어와 선반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드로어의 부피를 줄이거나, 선반과 드로어 또는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수납장치의 추가를 위해서는 저장실 중 일부를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Meanwhile, in order to add a new storage devi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t means that some of the drawer and the shelf must be removed, the volume of the drawer must be reduced, or the gap between the shelf and the drawer or the shelf and the shelf must be reduced. This is because in order to add a new storage device, a part of the storage room must be used as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torage device.

그러나 새로운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해 선반과 드로어의 부피나 수를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은 설계 시 의도한 저장물을 드로어나 선반이 수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오히려 저장실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However, design changes such as reducing the volume or number of shelves and drawers for the installation of a new storage device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drawer or shelf cannot accommodate the storage items intended during design, which will rather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storage room. can

또한, 저장실 내부에서 다른 저장실 격리시키는 수납장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의 도어는 수납장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수납장치의 도어가 개방되고 닫히는 과정이 수행되기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도어의 움직임에 필요한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여유 공간은 저장실 내의 저장실을 축소시키는 문제 또한 야기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orage device door for isolating another storage compartment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The door of the storage device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the storage device. However, a free spa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the storage device may be required. That is, a free space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the door may be required. Such free space may also cause a problem of reducing the storage room in the storage room.

그리고, 이러한 수납장치는 여러 개의 구성부품을 필요로 하여,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And, since such a storage device requires several components,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not economical.

한국등록특허 10-0675335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675335 등록특허 10-0674038Registered Patent 10-0674038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of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직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장치와 상기 수납장치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torage device that is vertically depressed and a door that moves horizontal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요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조립공정을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는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torage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necessary parts to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의 조작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특히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이를 지지하는 구성들을 최소화하면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시켜 세련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a sophisticated design by improving the ease of operation of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device, and providing a stylish design by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oor or locating it at both edges while minimizing the components supporting it.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수납장치를 구비하여 냉장고내 저장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by providing a storage devi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forming the internal storage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내부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수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개구된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며,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바디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수납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도어는,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 양측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inet including an outer case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form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an opening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a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opening, wherein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storage body coupled to an upper end open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shield the opening, and forming a storage space recessed downward; It is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includes a storag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storage door includes: a door body for shielding the storage space; and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lower surfaces of the door body to guid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do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바디의 외측면은 상기 단열재에 매립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d it is possi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dy is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캐비닛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2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케이스와 제2 이너 케이스 사이에는 배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배리어 상면에 수납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includes a first inner case provided above the cabinet to form a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inner case to form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located below the first inner case, and the first inner case A barri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se and the second inner case, and a storage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또한,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상기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도어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게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가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that is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ccommodation door, and the opening may be located inside the recessed portion.

상기 함몰부는 상기 수납도어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ssed portion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door.

상기 함몰부는 상기 개구부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수납도어의 개방시 상기 수납도어가 위치되는 도어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ssed portion may include a door receiving portion that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opening, in which the receiving door is located when the receiving door is opened.

상기 도어 수용부는 상기 수납도어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receiving part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door.

상기 저장 공간에는 수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도어의 개방시 상기 수납도어가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으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rage space further includes a storage member, the storage member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orage device, and the door receiv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storage member, so that when the storage door is opened, the storage door is closed to the storage member. It is possible to be inserted under the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수납바디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ccommodation body includes a rim portion bent outwardly along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body, and it is possible to be seated around the opening.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테두리부의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body may include guide rib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rim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테두리부 전면 하측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전면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locking protrusions that are locat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im, and protrude forward.

상기 수납도어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 및 후반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접하면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door may include a slider that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mov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include a coupling part that is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r at the front and the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into which the slider is inserted and mounted.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양측면에 단차지도록 함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양측방에서 지지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slider passes through the guide rail and protrudes below the guide rail; and seating portions recessed i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to support the slider from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do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protrudes downward,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protrus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부와 접하는 전방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접하는 후방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슬라이더는 상기 전방 슬라이더 보다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만큼 더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lider includes a front slider mounted on a front part of the guide rail and in contact with an edg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body, and a rear slider mounted on a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contacting the inner case, the rear slider It is possible to be positioned further lower than the front slider by the thickness of the rim portion.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합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 상단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lider may include a slider body that passes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part and protrudes down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extension part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slider body.

상기 수납도어는 투시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도어의 둘레에는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불투명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rage doo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n opaqu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storage door to be opaque, and the guide rail may be disposed in the opaque portion.

상기 수납도어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include a handle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do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하방으로 함몰되고,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함몰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수납장치를 구비하여 고내 저장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pression that is depressed downwardly on a bottom surface of an inner case and includes an opening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orage space in the refrigerator by providing a storage device in the ope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장치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과 연결되어, 상기 배리어로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배리어에서 함몰된 공간을 저장실로 사용하므로 고내 저장실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수납도어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과 동일연장선상에서 이동하므로 상기 수납도어에 의해 저장실이 축소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Th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and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barrier. That is, since the space recessed in the barrier is used as a storage room, the volume of the storage room in the refrigerator is increased, and since the storage door moves on the same li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the storage room is not reduced by the storage door. There is this.

또한, 상기 도어 수용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수납도어가 상기 수납부재 하방으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수납장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accommodating door is inserted under the accommodating member,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accommoda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 전체와 접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도어를 양측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밀거나 당겨 좌우 속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including the guide rib, it is possible to limi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uide rail.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istortion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speed difference by pushing or pulling the receiving door at a point biased to both sid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오엠(polyoxymethylene; POM)소재로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과 면 접촉하면서 생기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r formed of a polyoxymethyle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바디의 가장자리 부분을 불투명한 색상으로 코팅 처리하거나, 인쇄하여 불투명부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forming a cleaner appearance by coating or printing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body with an opaque color to form an opaque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냉장고의 저장실 내 위치한 수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수납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수납장치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수납장치의 장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수납도어와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더가 분해된 모습을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수납도어와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더가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수납바디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수납도어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13-13'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14-14'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3의 15-15'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torage device located in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3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 as a center,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door is closed.
4 is a view showing the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 as a center,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door is opened.
FIG. 5 shows a cross section 5-5' of FIG. 3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as viewed from below.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door, the guide rail, and the slider as viewed from above.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8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door, the guide rail, and the slider as viewed from the bottom.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and the slider are mounted on the receiving body.
12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orage door as viewed from below.
13 is a cross-sectional view 13-13' of FIG. 5 .
FIG. 14 shows a cross section 14-14' of FIG. 13 .
FIG. 15 shows a cross section 15-15' of FIG. 13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degenerative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서 저장실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a door of a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in a refrigerato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11, 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 30)가 포함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doors 20 and 3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s 11 and 13. can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 및 상기 아웃 케이스(1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실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와 상기 이너 케이스(100)의 사이에는, 냉장고의 외부와 상기 저장실 간에 단열을 수행하기 위한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may include an outer case 10 forming an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and an inner case 100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case 10 and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00 to insulate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저장실에는, 캐비닛(1)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저장실이 제1 저장실(11)과 제2 저장실(13)로 구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side the cabinet 1 , and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is divided into a first storage compartment 11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13 .

상기 제1 저장실(11)에는 냉장실이 포함되며, 상기 제2 저장실(13)에는 냉동실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장실은 상기 캐비닛(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은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식품의 보관 또는 인출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냉장실이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실을 사용할 때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3 may include a freezing compartment. For exampl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 ,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 . That i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disposed above the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hich is relatively frequently used for storage or withdrawal of food, can be arranged at the user's waist height, the user does not have to bend his waist when u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또한, 냉장고에는 저장실(11, 13)을 개폐하는 도어(20, 30)가 구비된다. 이때 도어는 각각 냉동실 도어(20) 및 상기 냉장실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20, 30)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냉장고의 캐비닛(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doors 20 and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s 11 and 13 . At this time, each door ma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 and each door 20 , 3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1 of the refrigerator by a hinge at one end thereof.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at is, as shown in FIG. 1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may be installed in a shape that is opened around both corners of the refrigerator toward the front.

또한, 상기 저장실(11, 13)에는 선반, 드로어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storage members such as shelves, drawers or baskets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s 11 and 13 . The accommodating member may be pulled in and out with the door open if necessary, and food can be accommodated and stored by taking out the accommodating member.

특히, 상기 제1 저장실(11)에는 상측에 식품이 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선반(40)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 may include a shelf 40 on which food is mount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helves 40 may be provided, and food may be placed on each shelf 40 . The shelf 40 may partition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저장실(11, 13)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어(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드로어(50)는 상기 제1 저장실(11) 및 상기 제2 저장실(13)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식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전후방향 폭이 클수록 상기 드로어(50)의 전후방향 길이는 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드로어(50)의 인출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further includes a drawer 50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storage compartments 11 and 13 to the front. The drawer 5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1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3 , and may form a storage space for food therein. As the front-rear width of the storage chamber increases, the front-rear length of the drawer 50 may increase, and accordingly,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drawer 50 may be increased.

여기서, 상기 드로어(50)가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수납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하고,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냉장고를 바라볼 때, 좌측방향을 좌측방, 우측방향으로 우측방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방향에 대한 정의는, 본 기재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50 is drawn out is defined as a front and a direction in which it is received is defined as a rear, and when the refrigerator i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a left direction is defined as a left direction and a right direction is defined as a right direction. The definition of this direction may be equally appli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바스켓(80)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바스켓(8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바스켓(80)의 내부 공간에는 식품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askets 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 Each of the baskets 80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so that food can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kets 80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서 이너 케이스(100)와 수납장치(3)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중심으로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수납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view showing an inner case 100 and a storage device 3 in a refrigerato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door is closed with the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 as the center. And Figure 4 shows an open state of the storage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3)는 상기 이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torage devic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n open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장치(3)는 상기 이너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개구된 상단과 결합되어,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바디(4)와 상기 이너 케이스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납공간(6)을 개폐하는 수납도어(5)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수납장치(3)는 이너 케이스(100) 바닥면에 구비되어 고내 확보된 저장실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추가적으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device 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pe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and is slidab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4 and the inner case to form a storage space recessed downward. and a storage door 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6 . Accordingly, the storage device 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to provide an additional space for storing food without changing the storage room secured in the refrigerator.

또한, 상기 아웃 케이스(10)와 상기 이너 케이스(100)사이에는 냉장고의 외부와 상기 저장실 간에 단열을 수행하기 위한 단열재가 채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이너 케이스 바닥면 개구부 내측에 안착되는 수납바디(4)는 외측면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100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performing heat insulation betwee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dy 4 seated inside the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may be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 이너 케이스(100)에는, 상기 제1 저장실(11)을 형성하는 제1 이너 케이스(110)와 상기 제2 저장실(13)을 형성하는 제2 이너 케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ner case 100 includes a first inner case 110 form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11 and a second inner case 130 forming the second storage chamber 13 .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이너 케이스는 전면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너 케이스(130)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와 제2 이너 케이스(130)는 연결플레이트(1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inner cases are configured such that front portions are opened,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addition, the second inner case 1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 In addition,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the second inner case 13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late 120 to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이너 케이스(130)의 상면 사이에 상기 배리어(1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리어(15)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상기 단열재 및 상기 제2 이너 케이스(130)의 상면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Also, the barrier 15 may be dispos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130 . That is, the barrier 15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ase 130 .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3)는 상기 배리어(15)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15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3)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수납바디(4)가 하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 상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orage devic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That is, an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the accommodation body 4 is provided downward in the opening, and the accommodation door 5 slides from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possible to be placed.

상기 도 5는 도 3의 5-5'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5 shows a cross section 5-5' of FIG.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100)는 바닥면은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11)는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11) 내측에 상기 개구부(112)가 위치하여,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개구부(112) 하측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ner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lude a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1 that is depressed downward. And, the opening 112 is positioned inside the recessed part 111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can be provided below the opening 112 .

그리고, 상기 함몰부(111)는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이너 케이스(100) 바닥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도어(5)의 두께와 최소한 같거나 더 깊게 함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케이스(100) 바닥면에 상기 수납도어(5)가 안착되도록, 상기 함몰부(111)는 상기 수납도어(5)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111 should be recessed at least equal to or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iving door 5 so that the receiving door 5 can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torage door 5 so that the storage door 5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0 .

또한, 상기 함몰부(111)는 상기 개구부(112)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도어(5)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수납도어가 위치되는 공간인 도어 수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111 may include a door accommodating part 11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opening 112 and serving as a space in which the accommodating door is positioned when the accommodating door 5 is moved to the rear. .

즉, 상기 도어 수용부(114)는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수납공간(6)을 개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도어 수용부(114)는 상기 수납도어(5)와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door accommodating part 114 provides a space for the accommodating door 5 to move backward while opening the accommodating space 6 . Accordingly, the door receiving part 114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eceiving door 5 .

상기 함몰부(111) 전방에는 상면이 개구된 개구부(112)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112)에 상기 수납장치(3)가 위치할 수 있다. The receiving device 3 may be located in the opening 112 including an opening 112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in front of the depression 111 .

상세히, 상기 함몰부(111)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배리어(15) 내측으로 구비된다.In detail, the accommodation body 4 is provided inside the barrier 15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111 .

또한, 상기 함몰부(111)의 상면에 수납도어(5)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도어(5)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게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11)는 상기 수납도어(5)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3)의 좌우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ceiving door 5 may be recessed to the same thickness or deeper than the receiving door 5 so that the receiving door 5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111 . 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11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eceiving door 5 . This is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torage device (3).

이하, 상기 수납장치(3)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에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storage device 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은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배리어(15)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12)와, 상기 개구부(112)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수용부(114)를 포함하는 함몰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has an opening 112 through which the accommodation body 4 can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barrier 15, and a door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opening 11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cessed portion 111 including the receiving portion (114).

상기 개구부(112)는 상기 수납장치(3)가 상기 배리어(15)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개구부(112)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2)의 크기는 상기 수납바디(4)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12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torage device 3 can be inserted into the barrier 15 . The opening 1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rounded corners. And, the size of the opening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body (4).

상기 개구부(112)의 단부는 상기 수납도어(5)의 단부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 상단과 상기 수납도어(5)의 상단이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수납바디(4)를 완전히 차폐한 경우, 상기 수납도어(5)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함이다.The end of the opening 11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receiving door 5, and the uppe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door 5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there is. This is to limit the further movement of the receiving door 5 forward when the receiving door 5 completely shields the receiving body 4 .

상기 개구부(112)의 전단에는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에 장착되어 상기 배리어(15)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단 안착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단 안착부(115)는 상기 개구부(112)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단 절곡면(115a)과, 상기 전단 절곡면(115a)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단 안착면(11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112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end seating portion 115 that allows the receiving body 4 to be mounted on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positioned inside the barrier 15 . The front end seating portion 115 includes a front bending surface 115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112, and a front end seating surface 115b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bending surface 115a. can do.

상기 전단 절곡면(115a)는 상기 수납바디(4)의 테두리부(42) 전면이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수납바디(4)와 상기 수납도어(5) 간에 간격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납바디(4)와 상기 수납도어(5) 간의 간격에 상기 슬라이더(53)가 위치하여, 상기 수납도어(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bending surface 115a is such that the front side of the edge portion 42 of the accommodation body 4 is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and the accommodation door 5 ) to form a gap between them. The slider 53 is positioned at a gap between the accommodation body 4 and the accommodation door 5 so that the accommodation door 5 can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전단 절곡면(115a)의 길이는 상기 수납도어(5)의 상단과 상기 테두리부(42)의 하단간의 수직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hear bending surface 115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door 5 and the lower end of the rim portion 42 .

상기 전단 안착면(115b)는 상기 전단 절곡면(115a)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42) 전면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단 안착면(115b)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기 테두리부(42) 전면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42) 전면이 상기 전단 안착면(115b)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end seating surface 115b extends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end bending surface 115a so as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edge portion 42 from the lower side.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ront-end seating surface 115b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onger than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edge part 42, so that the front edge of the edge part 42 is seated on the top of the front edge seating surface 115b. make it possible

또한, 상기 개구부(112)의 양 측면에도 상기 측단 안착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개구부(112)는 상기 개구부(112) 양 측면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단 절곡면과 상기 측단 절곡면 하단에서 상기 수납바디(4) 내측으로 연장된 측단 안착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단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단 안착부는 상기 테두리부(42) 양측면을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side end seating portions (not shown) are also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2 . For example, the opening 112 includes a side bent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opening 112 and a side end seating surface extending inside the accommodation body 4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bent surface. It may include a side end seat. The side end seating portion allows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42 to be fixed to the first inner case 110 .

또한, 상기 도어 수용부(114)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 전방부(113)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수용부(114)의 상단은 상기 전단 안착면(115b) 상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수용부(114) 상단에는 상기 수납바디(4) 테두리부(42)의 후면이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납장치(3)는 상기 수납도어(5)의 전후방향 이동으로 개폐되는데, 상기 수납도어(5)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 수용부(114)는 상기 수납도어(5)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receiving part 114 may be located below the bottom front part 113 of the first inner cas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door receiving part 114 may be form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seating surface 115b.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rim portion 42 of the accommodation body 4 may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door accommodation portion 114 . This is because the storage device 3 is opened and close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torage door 5, to provide a space for the storage door 5 to move backward. Accordingly, the door receiv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eceiving door 5 .

또한, 상기 도어 수용부(114) 후단은 상기 수납도어(5)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되었을 때 상기 수납도어(5) 후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수용부(114) 후단은 상기 함몰부(111)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도어(5)가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수납바디(4)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 상기 수납도어(5)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door receiving part 1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door 5 when the receiving door 5 is completely moved to the rear. And, the rear end of the door receiving part 11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recessed part 111, and when the receiving door 5 is completely moved to the rear and the receiving body 4 is completely opened, It prevents the receiving door 5 from moving backward any longer.

따라서, 상기 도어 수용부(114)의 후단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 전방부(113)의 상단과 전후방향으로 동일 연장선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end of the door accommodating part 114 may be locat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11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상기 제1 저장실(11)과 상기 제2 저장실(13)은 온도가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배리어(15)에는, 상기 제1 저장실(11)과 상기 제2 저장실(13)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로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3)의 수납바디(4)는 외측면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3 have different temperatures, the barrier 15 is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for insulat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11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3 . can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dy 4 of the storage device 3 may be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함몰부(111)는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3)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수납장치(3)의 인접한 상부에는 전술한 수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장치(3)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장치(3)가 제1 저장실 전방에 있어야만 다른 수납 부재의 간섭없이 사용자가 식품을 쉽게 상기 수납공간(6)에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depression 111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When the accommodating devic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the above-described accommodat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adjacent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device 3 . 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member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ng device (3). This is because, only when the storage device 3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the user can easily put food into or take out the storage space 6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storage members.

그리고, 상기 도어 수용부(114)는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도어(5)의 개방시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도어 수용부(114)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114 may be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member. When the receiving door 5 is opened, the receiving door 5 can be inserted below the receiving member, there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door receiving part 114 to the u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3)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orage device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상기 수납장치(3)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수납장치(3)의 장착 구조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3 .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torage device 3 is viewed from below.

상기 수납장치(3)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과 연결되어, 상기 배리어(15)가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배리어(15) 상면에서 함몰된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사용하므로 고내 저장실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수납도어(5)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과 동일연장선상에서 이동하므로 상기 수납도어(5)에 의해 저장실이 축소되지 않는다.The storage device 3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located in the space where the barrier 15 is formed. That is, since the spac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15 is used as a storage space, the volume of the storage room in the refrigerator increases, and the storage door 5 moves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 The storage room is not reduced by the storage door (5).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3)는 상기 캐비닛(1) 도어를 향하는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장치(3)가 배리어(15)에 구비될 경우, 상기 수납장치(3)의 인접한 후방에 선반(40)이나 드로어(50) 등의 수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device 3 is located in the front facing the door of the cabinet 1 . When the storage device 3 is provided in the barrier 15 , a storage member such as a shelf 40 or a drawer 5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rear adjacent to the storage device 3 .

이때, 상기 수납장치(3)와 상기 별도의 장치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상기 수납공간(6)이 캐비닛(1) 도어를 향하는 전방에 있어야만 사용자가 저장물을 쉽게 수납공간(6)에 투입하거나 상기 수납공간(6)에서 인출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f the gap between the storage device 3 and the separate device is narrow, the storage space 6 must be in front of the cabinet 1 facing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t the stored material into the storage space 6 or This is because it will be able to withdraw from the storage space (6).

상기 수납장치(3)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에 고정되는 수납바디(4) 와, 상기 수납바디(4)에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공간(6), 상기 수납바디(4)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6)을 개폐하는 수납도어(5);를 포함한다.The storage device 3 includes a storage body 4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a storage space 6 provided in the storage body 4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stored items. , a storage door (5) provided to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torage body (4)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6); includes.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바디(4)는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둘레면(41)을 형성하고, 개구된 상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41) 내측으로 저장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6)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된 상면은 상기 수납도어(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6 and 7, the receiving body 4 is bent concavely toward the bottom to form a circumferential surface 41,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it provides a storage space (6)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torage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And, the opened upper surface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ceiving door (5).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배리어(15)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이너 케이스(130)를 향해 오목하게 하방으로 절곡되어 둘레면(41)을 형성한다. Specifically, the accommodation body 4 is located in the barrier 15 , and is bent concavely downwardly toward the second inner case 130 to for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

상기 둘레면(41)은 상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개구부(112)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면(41)은 사각형 형상으로,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first inner case opening 112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또한, 상기 수납바디(4)는 상기 둘레면(41) 상단에서 상기 수납공간(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어 형성된 테두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body 4 may include an edge portion 42 formed by extending and b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6 from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

상기 테두리부(42)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42) 상면은 상기 도어바디(51)의 하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바디(51)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이 구비되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52)에 장착된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테두리부(42)와 상기 도어바디(51)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edge portion 42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42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51 . This is because the guide rail 5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51 . The slider 53 mounted on the guide rail 52 can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space between the edge part 42 and the door body 51 .

상기 테두리부(42) 전반부(전단)은 상기 전단 안착면(115b)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전단 절곡면(115a) 후단과 접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42)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의 개구부(112)에 안착되어, 상기 수납바디(4)가 상기 배리어(15) 내측으로 위치하게 한다.The front part (front end) of the edge part 42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end seating surface 115b and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bending surface 115a. That is, the edge portion 42 is seated in the opening 112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is positioned inside the barrier 15 .

상기 테두리부(42) 전단은 상기 수납도어(5)의 전단의 수직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42) 전단은 상기 전단 절곡면(115a)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납도어(5)의 전후 이동에 의한 영향으로 상기 수납바디(4)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edge part 42 may be located vertically below the front end of the receiving door 5 .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edge portion 42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bent surface (115a). Accordingly, the receiving body 4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forward du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eceiving door 5 .

상기 수납바디(4)는 테두리부(42) 전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둘레면(41)에서 테두리부(4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전면 걸림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body 4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locking protrusions 43 that are locat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im portion 42 and protrude from the peripheral surface 4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m portion 42 .

상기 전면 걸림돌기(43)는 상기 전단 안착면(115b)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바디(4)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The front locking protrusion 43 is located below the front end seating surface 115b,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can be fixed more firmly.

또한, 상기 수납바디(4)는 테두리부(42) 후면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둘레면(41)에서 테두리부(4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후면 걸림돌기(4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body 4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r locking projections 44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m portion 42 from the peripheral surface 41 while being located o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rim portion 42 . there is.

상기 후면 걸림돌기(44)는 상기 개구부(112) 후단과 접하여, 상기 수납도어(5)의 이동으로 상기 수납바디(4)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 걸림돌기(44)는 상기 전면 걸림돌기(43) 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바디(4)의 강도를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 rear locking protrusion 44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opening 112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body 4 backward by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door 5 . And, the rear locking projection 44 is forme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ront locking projection 43, so that the strength of the receiving body 4 can be made more solid.

또한, 상기 수납바디(4)는 테두리부(42) 측면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테두리부(4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 걸림돌기(45)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바디(4)를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body 4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m portion 42 and includes a side locking protrusion 45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m portion 42,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is secured to the accommodating body 4 above. The first inner case 110 and the bottom surface can be fixed more firmly.

나아가. 상기 수납바디(4)는 상기 둘레면(41) 중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보강리브(4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에 형성된 보강리브(47)는 수납바디(4)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15) 내 삽입되는 단열재와 접촉면을 크게 하여, 상기 수납바디(4)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receiving body 4 may form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47 protruding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1 . The reinforcing ribs 47 formed on the lower surface ma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receiving body 4 .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barrier 15 is enlarged, so that the accommodation body 4 can be firmly fixed.

또한, 상기 수납바디(4)는 상기 테두리부(42)의 양측에 상기 수납도어(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46)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body 4 may include guide ribs 46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door 5 on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42 .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테두리부(42) 양측면부 상단에서 표면이 볼록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야 한다.The guide rib 46 may be provided with a convexly bent surface at the upper end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edge portion 42 , and should be provid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door 5 .

즉,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테두리부(42)의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uide rib 46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edge portion 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일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양측면 중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가까운 방향에 위치한 일측면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리브(4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수납공간(6)과 멀어지는 외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ib 46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uide rail 52 . In detail, the guide rib 4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52 loc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 That is, the guide rib 46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outside away from the receiving space 6 .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테두리부(42)의 양측 상면을 따라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동등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측면 전체와 접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도어(5)를 양측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밀거나 당겨 좌우 속도차로 인해 발생되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ib 46 may exten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long both upper surfaces of the edg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guide rib 46 may extend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5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ly, the guide rib 46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to limi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uide rail 52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wisting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speed difference by pushing or pulling the receiving door 5 at a point biased to both sides.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46)는 상기 도어바디(51)와는 상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납도어(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 리브(46)의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함이다.Also, the guide rib 46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door body 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to avoid interference from the guide rib 46 when the receiving door 5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 8은 수납도어(5)를 중심으로 상방에서 바라본 가이드 레일(52)과 슬라이더(53)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수납도어(5)를 중심으로 하방에서 바라본 가이드 레일(52)과 슬라이더(53)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가이드 레일(52)과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도어바디(51)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수납도어(5)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수납도어(5)는 상기 수납공간(6)을 차폐하는 도어바디(51)와 상기 도어바디(51) 측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52) 및 상기 가이드 레일(52)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슬라이더(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ail 52 and the slider 53 as viewed from above with the storage door 5 as the center.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8 .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ail 52 and the slider 53 as viewed from below with the storage door 5 as the center.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52 and the slider 53 are mounted on the door body 51 . And,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torage door (5) viewed from below. On the other hand, the accommodation door 5 is mounted through the door body 51 that shields the storage space 6 and the guide rail 52 mounted on the side of the door body 51 and the guide rail 52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der (53).

상기 도어바디(5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단의 2개의 모서리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바디(5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장치(3)의 수용 공간에 수납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The door body 5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n particular, two corners of the front end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 shape. And, the door body 5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ntents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torage device 3 can be checked.

상기 도어바디(51)는 반드시 유리소재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The door body 51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made of a glass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상기 도어바디(5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6)을 완전히 차폐하였을 때,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 전방부(113) 상단과 나란하게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바디(51) 전단은 상기 테두리부(42) 전단과 수직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바디(51) 후단은 상기 테두리부(42) 후단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oor body 5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when the storage space 6 is completely shielded, the door body 51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11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door body 51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front end of the edge portion 42 .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door body 51 may be located more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edge portion 42 .

또한, 상기 수납도어(5)가 완전히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수납도어(5) 후단은 상기 도어 수용부 후단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수납도어(5)는 상기 도어 수용부 전후길이 범위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한된다. In addition, when the receiving door 5 is completely moved rearward,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door 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door receiving unit. That is, the receiving door 5 is limited to be movable only within the front and rear length range of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도어바디(51) 양 측면부 하단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52) 전단은 상기 테두리부(42) 전면부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52) 후단은 상기 테두리부(42)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uide rail 52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door body 51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guide rail 52 may be locate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rim portion 42 ,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rail 52 may be located behind the rear end of the rim portion 42 .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도어바디(51)에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52) 상면에는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함몰된 레일 접착홈(5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rail 52 is preferably injection-form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is coupled and fixed to the door body 51 by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may include a rail bonding groove 521 recessed downward to accommodate the adhesive.

상기 레일 접착홈(521)은 상기 가이드 레일(52) 상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접착홈(52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가이드 레일(52) 상면 중앙부 및 양 측단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되는 레일 접착홈(521)은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상기 접착제와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The rail bonding groove 521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 In addition, the rail bonding groove 521 may be formed in plurality, for example,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and both ends. Also, the rail bonding groove 521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may have a rough surfac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with the adhesive.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레일 접착홈(521)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더(53)가 장착되는 전방 결합부(522) 및 후방 결합부(523)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rail 52 may be positioned in front and rear of the rail bonding groove 521 ,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front coupling part 522 and a rear coupling part 523 to which the slider 53 is mounted.

상기 결합부(522, 523)는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가이드 레일(52)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52)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구(522a, 523a)와 상기 관통구 양 측에는 상기 슬라이더(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52) 양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522b, 5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portions 522 and 523 include through-holes 522a and 523a formed so that the slider 53 passes through the guide rail 52 and protrudes below the guide rail 52, and both of the through-holes. The side includes seating portions 522b and 523b extending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guide rail 52 from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lider 53 can be mounted thereon.

상기 안착부(522b, 523b)는 상기 가이드 레일(52)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부(522b, 523b)의 상하 두께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의 상하 두께보다 적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안착부(522b, 523b) 상면에 상기 슬라이더(53) 연장부 하면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가이드 레일(5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53) 상면은 상기 도어바디(51) 하면과 접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s 522b and 523b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 and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seating portions 522b and 523b may be less than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guide rail 52 . there is.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slider 5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eating parts 522b and 523b. In addition, when the slider 53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52 , an upper surface of the slider 53 may be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51 .

또한, 상기 후방 결합부(523)는 상기 가이드 레일(52)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42) 후면 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coupling part 523 may include a protrusion 5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and positioned at the rear rear of the edge part 42 .

구체적으로, 도 13과 같이, 상기 돌출부(524)는 상기 후방 결합부(523)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 슬라이더(53)가 도어 수용부(114)의 상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돌출부(524)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레일(52)이 전후방향으로 동일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 the protrusion 524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coupling part 523 so that the rear slider 53 can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receiving part 114 . That is, the guide rail 52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protrusion 524 .

또한, 상기 돌출부(524)에는 상기 후방 슬라이더(53)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524a)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 through hole 524a through which the rear slider 53 may pass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524 .

도 14는 도 13의 14-14'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3의 15-15'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14 shows a cross section 14-14' of FIG. 13 . And, FIG. 15 shows a cross section 15-15' of FIG. 13 .

한편,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전방 결합부(522) 및 후방 결합부(52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슬라이더(531) 및 후방 슬라이더(53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rail 52 may include a front slider 531 and a rear slider 532 respectively mou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upling part 522 and the rear coupling part 523 .

도 14와 같이, 상기 수납도어(5)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슬라이더(53)는 상기 테두리부(42)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110) 바닥면과 면 접촉하면서 직접 마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53)는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예컨대 피오엠(polyoxymethylene; POM)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while the receiving door 5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er 53 directly rubs against the edge portion 4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110 while in surface contact.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r 53 has a material excellent in lubricity and wear resistanc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 polyoxymethylene ( POM) material.

상기 슬라이더(53)는 상기 결합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522, 523)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본체(531a, 532a)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31b, 532b)로 구성된다.The slider 53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coupling part and extends horizontally to both sides from the slider body 531a and 532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522 and 523 and the upper end of the slider body. It is composed of parts 531b and 532b.

상기 슬라이더 본체(531a, 532a)의 상하길이는 상기 가이드 레일(52) 수직방향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관통구(522a, 523a)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52) 하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 본체(531a, 532a)의 수평길이는 상기 관통구(522a, 523a)의 수평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lider bodies 531a and 532a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52 , and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522a and 523a of the coupling part to move downwards of the guide rail 52 . will come out Accordingly,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slider bodies 531a and 53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through holes 522a and 523a.

이에, 상기 전방 슬라이더 본체(531a)의 상하 높이 보다, 상기 후방 슬라이더의 본체(532a)의 상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 결합부(523)에는 상기 돌출부(5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이다.Accordingly, the vertical height of the main body 532a of the rear slider is long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front slider body 531a. This is because the rear coupling portion 523 further includes the protrusion 524 .

상기 연장부(531b, 532b)는 상기 결합부의 안착부(522b, 523b)에 대면하여,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결합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xtension parts 531b and 532b face the seating parts 522b and 523b of the coupling part so that the slider 53 can be mounted on the coupling part.

상기 전방 슬라이더(531) 및 후방 슬라이더(532)의 상면은 상기 도어바디(51)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슬라이더(53) 하면은 상기 테두리부(42) 상면과 접하고, 상기 후방 슬라이더(532) 하면은 상기 도어 수용부(114) 상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슬라이더(532)는 상기 전방 슬라이더(531) 보다 상기 테두리부(42)의 두께만큼 더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s of the front slider 531 and the rear slider 532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51 . A lower surface of the front slider 53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rim portion 42 , and a lower surface of the rear slider 532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receiving unit 114 . Accordingly, the rear slider 532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front slider 531 by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42 .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가이드 레일(52)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2) 양측단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텀 리브(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리브(525)는 상기 가이드 레일(52)을 보다 견고하게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guide rail 52 may include bottom ribs 52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52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both ends of the guide rail 52 . The bottom rib 525 ma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guide rail 52 more firmly.

또한, 상기 바텀 리브(525) 하단은 상기 테두리부(42)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텀 리브(525)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53) 하단 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더(5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바텀 리브(525)에 간섭되지 않는다.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bottom rib 525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42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bottom rib 525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slider 53 so that the slider 5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ottom rib 525 when the slider 53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53)가 상기 결합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52)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2)은 상기 도어바디(51)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테두리부(42) 상면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리브(46)에 의해 상기 수납도어(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lider 53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52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guide rail 52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body 51, and the edge part 42 ) It is possib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door (5)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guide rib (4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도어바디(51)는 둘레를 따라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부(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바디(51)는 투명한 유리재질 등 투시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52) 등을 상기 도어바디(51)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 접착제 등이 육안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바디(51)의 가장자리 부분을 불투명한 색상으로 코팅 처리하거나, 인쇄하여 불투명부(511)를 형성함으로서, 보다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body 51 may further include an opaque portion 511 formed to be opaque along the circumference. The door body 51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and the adhesive used to mount the guide rail 52 to the door body 51 may be exposed to the naked eye. In order to prevent this, by coating or printing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body 51 with an opaque color to form the opaque portion 511, a cleaner appearanc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수납도어(5)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5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54)은 상기 불투명부(511)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상기 핸들(54)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불투명부(511)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door 5 may include a handle 54 protruding upward. Specifically, the handle 5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opaque part 511 . And the handle 5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it may be mounted on the opaque part 511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after injection of the plastic material.

상기 핸들(54) 하면에는 접착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함몰된 핸들 접착홈(54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54) 하면에 상기 불투명부(511)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접착제를 상기 핸들 접착홈(541)에 주입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핸들(54)과 상기 수납도어(5)가 견고하게 접착되게 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54 includes a handle adhesive groove 541 recessed upward to accommodate the adhesive. Accordingly, sufficient adhesive can be injected into the handle adhesive groove 541 to be firmly mounted on the opaque part 51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54, so that the handle 54 and the receiving door 5 ) can be firmly attached.

Claims (20)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내부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수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바닥면에 개구된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며,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바디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수납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도어는,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 양측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도어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including an outer case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form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an opening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It includes a storage device provided in the opening,
The storage device,
a storage body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shield the opening,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recessed downward;
It is slid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includes a storag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The storage door is
a door body shielding the storage space; and
and guide rails provided on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door body to guid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바디의 외측면은 상기 단열재에 매립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An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is embedd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캐비닛 상부에 구비되어 제1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1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2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너 케이스와 제2 이너 케이스 사이에는 배리어가 구비되며,
상기 배리어 상면에 수납장치가 배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ase is
a first inner cas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to form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inner case formed under the first inner case to form a second storage chamber,
A barri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ner case and the second inner case,
A refrigerator in which a storage device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제1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 구비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rage device is a refrigerato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n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도어의 두께와 같거나 더 깊게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가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includes a depression that is the same as or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orage door,
A refrigerator in which the opening is located inside the recessed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수납도어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rigerator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torage do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개구부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수납도어의 개방시 상기 수납도어가 위치되는 도어 수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ssed portion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opening,
A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storage door is located when the storage door is ope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수용부는 상기 수납도어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oor accommodating part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accommodating do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에는 수납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는 상기 수납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는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도어의 개방시 상기 수납도어가 상기 수납부재의 하방으로 삽입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A storage memb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nd the storage member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orage device,
The door accommodating part is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when the accommodating door is opened, the accommodating door is inserted below the accommoda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수납바디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안착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body,
It includes a rim portion bent outwar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body,
A refrigerator seated around the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테두리부의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rage body is exten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rim portion, and the refrigerator includes guide ribs protruding upw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바디는,
상기 테두리부 전면 하측에 위치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전면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rage body,
The refrigerator is locat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im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locking protrusions protruding for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 및 후반부에 장착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접하면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ider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mov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a coupling part which is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r and into which the slider is inserted and mount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양측면에 단차지도록 함몰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양측방에서 지지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upling part,
a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slider passes through the guide rail and protrudes below the guide rail;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eating portions recessed i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so as to have a step difference to support the slider from both sid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A refrigerator having a protrusion which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a protrusion on which the coupling part is form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바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부와 접하는 전방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반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접하는 후방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슬라이더는 상기 전방 슬라이더 보다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만큼 더 하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ider is
a front slider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guide rail and in contact with a rim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body;
and a rear slider mounted on the second half of the guide rail and in contact with the inner case,
The rear slider is positioned further lower than the front slider by a thickness of the rim por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합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부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 상단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id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upling part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Refrigerator comprising a;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slider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도어는 투시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도어의 둘레에는 불투명하게 형성된 불투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불투명부에 배치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orage door is formed of a see-through material,
An opaque portion formed opaquely is formed around the receiving door,
The guide rail is disposed in the opaqu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도어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핸들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A refrigerator including a handle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door.

KR1020200008731A 2020-01-22 2020-01-22 Refirgerator KR202100949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31A KR20210094905A (en) 2020-01-22 2020-01-22 Refir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31A KR20210094905A (en) 2020-01-22 2020-01-22 Refir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05A true KR20210094905A (en) 2021-07-30

Family

ID=7714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31A KR20210094905A (en) 2020-01-22 2020-01-22 Refir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490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38B1 (en) 2006-03-14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KR100675335B1 (en) 2006-03-13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35B1 (en) 2006-03-13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KR100674038B1 (en) 2006-03-14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5306B2 (en) Refrigerator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EP2594874B1 (en) Refrigerator
EP2837902B1 (en) Refrigerator
CN107270614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20060250063A1 (e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US10240854B2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en) Refrigerator
KR20110010405A (en) Refrigerator
AU2010218176A1 (en) Basket kick-out
WO2008015181A2 (en) A refrigerator
KR20210094905A (en) Refirgerator
KR101803625B1 (en) A refrigerator
KR20140017190A (en)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KR102488549B1 (en) Refirgerator
KR100766565B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101455863B1 (en) Refrigerator and homebar of refrigerator
CN219037214U (en)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20080066450A (en) A refrigerator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WO2009133006A2 (en) A cooling device
KR101846174B1 (en) refrigerator
KR20100001113A (en) Refrigerator
KR20220061246A (en) Refrigerator
KR20230103412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