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607A -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607A
KR20210094607A KR1020217019439A KR20217019439A KR20210094607A KR 20210094607 A KR20210094607 A KR 20210094607A KR 1020217019439 A KR1020217019439 A KR 1020217019439A KR 20217019439 A KR20217019439 A KR 20217019439A KR 20210094607 A KR20210094607 A KR 2021009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outlet
valve
exhaust ga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쥬레 펜카
이고르 아크라포비크
Original Assignee
아크라포비크 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라포비크 디.디. filed Critical 아크라포비크 디.디.
Publication of KR2021009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1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1/16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resonance or dead chambers or passages to resonance or dead chambers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controlling or modifying silencing characteristic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having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ilencers in parallel, e.g. having interconnections for multi-cylind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7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having valves upstream of silencing apparatus for by-passing at least part of exhaust directly to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difying or adapting flow area or back-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4Plurality of outlet tubes, e.g. in parallel or with differen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입구,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는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1 도관 및/또는 상기 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를 연결하는 제2 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열된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로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2 도관을 폐쇄하는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도관을 폐쇄하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입구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정렬된 밸브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Description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배기 시스템 및/또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배기 시스템 또는 밸브는 V-엔진(V-engine), 박서 엔진(boxer engine) 또는 임의의 다른 내연기관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고성능 내연기관은 좌측 실린더 군 및 우측 실린더 군을 가지고, 각 실린더 군은 각각 좌측 도는 우측 배기 구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 시스템에서, 각 배기 구역, 상기 좌측 배기 구역 및 상기 우측 배기 구역은,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각 좌측 또는 우측 실린더 군에서부터 주입되어 들어가는 구역 입구를 형성하는 각 구역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시스템은 상기 배기 시스템에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대기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배기 배출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US 2003/0192606 A1은 배기 가스를 하나의 입구에서 제1 또는 제2 배출구로 유도하는 스위치 밸브 혹은 가스 유동 제어 밸브를 기재한다. 상기 스위치 밸브는 입구,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흔들리는 플랩(flap) 형태의 방향 제어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각 다른 배출구가 상기 입구에 연결된 결과로서,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 중 어느 하나는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US 2003/0192606 A1에 따른 스위치 밸브는 생산 노력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구조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US 2003/0192606 A1의 스위치 밸브는 상기 입구부터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의 사운드의 방해받지 않는 전달에는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다수의 언더컷(undercut)으로 인해, 특히 고성능 엔진에서의 왜곡된 기하학적 형상, 원하지 않는 동력의 손실을 야기한다.
EP 3 141 702 A1은 메인 배기 배출구 또는 우회 배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전달은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Y 형상의 파이프 정션이 밸브 장치의 상류에 배열된 배기 시스템을 기재한다. 조악하게 디자인된 경우, 이와 같은 배열은 원치 않는 사운드 배출을 야기하는 의도되지 않은 에코 챔버로 귀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우회 배기 라인을 개방된 채로 방치함으로써, 상기 Y 형상의 정션의 상류 또는 하류에 추가적인 밸브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Y 형상의 정션의 하류 라인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제어된 분할은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 또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제공하고, 특히 효율 및 제어 가능성과 관련하여 개선된 밸브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기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성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내연 기관, 특히 자동차 엔진의 배기 시스템을 위한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입구,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은 정확하게 하나의 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배출구 및/또는 제2 배출구는 상기 입구 단계와 같거나 다른 사이즈, 특히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배출구와 같은 모양,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또는 타원형(oval), 특히 같은 직경일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상기 입구를 상기 제1 배출구와 연결하는 제1 도관 및/또는 상기 입구를 상기 제2 배출구와 연결하는 제2 도관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 내부에 배열된다. 특히,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2 도관을 특히 완전하게 폐쇄하는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도관을 특히 완전하게 폐쇄하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입구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적용된 밸브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구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 축은 상기 입구의 중심선과 동축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를 하나의 입구 및 제1 및 제2 배출구를 갖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열함으로써, 추가적인 밸브 수단 없이 상기 배기 가스 유동은 상기 입구에서부터 상기 제1 배출구 및/또는 상기 제2 배출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공기역학과 배기 가스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고 이로써 어떠한 동력 손실을 회피하면서 시스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언더컷을 회피하고 다른 제어 설계가 가능하게 하여, 이와 관련한 백플로우(backflow), 와류 및 에코(echo)를 막는다.
도 1a 일 구체예에 따른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정면도;
도 1b 도 1a에 따른 밸브의 B-B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1c 도 1a에 따른 밸브의 C-C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1d B-B 단면 라인에 따른 도 1a에서 도시되는 밸브의 사시단면도;
도 2 도 1a 내지 1d에서 도시되는 가시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밸브 부재의 사시도;
도 3a 일 구체예에 따른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평면도;
도 3b B-B 단면 라인에 따른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단면도;
도 3c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C-C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d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D-D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의 개략도;
도 5 2개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의 또 다른 구체예;
도 6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의 또 다른 구체예; 및
도 7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메인 구역 및 막다른 측면 구역을 포함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한 섹션의 개략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입구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상기 제1 도관 및/또는 상기 제2 도관을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스푼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제2 도관을 덮고,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관을 덮도록 치수화 되어있다. 상기 밸브 부재의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제1 또는 제2 도관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이 상기 제1 도관 또는 상기 제2 도관을 주요 범위 내에서만 덮는다면 배기 가스 유동의 적합한 제어에 충분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이 각 제2 또는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각 제1 또는 제2 도관을 3분지2, 4분지3, 90%, 95% 또는 99% 덮는다면 충분하다.
추가적인 발전예에 따르면,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을 중심으로 최소 170° 및/또는 최대 220°만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을 중심으로 최소 180°만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을 중심으로 최대 210° 또는 최대 195°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을 따라 축 방향 연장부(상기 밸브 축과 평행)를 따라 3 cm보다 길게 및/또는 15 cm보다 짧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의 축 방향 연장부를 따라 5 cm보다 길게 및/또는 10 cm보다 짧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의 내부 표면은 곡률 반경을 형성하는 배기 가스의 굽은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의 내부 표면은 연속적으로 굽고, 특히 파이프와 같은 유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와 같은 유동 경로는 특히 일그러짐 및/또는 언더컷이 없는 일정한 단면 및/또는 연속적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거의 일정한 유동 경로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 배열될 때 거의 일정한 유동 경로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발전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Y 형상이고, 상기 배출구의 중심선은 상기 입구의 중심선에 대하여 및/또는 상기 밸브 출구에 대하여 각방향 오프셋을 가지게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는 각각 각방향 오프셋을 가지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배출구의 각방향 오프셋은 상기 제2 배출구의 각방향 오프셋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배출구 및/또는 제2 배출구의 각방향 오프셋은 상기 밸브 축의 중심선 및/또는 상기 입구의 중심선에 대하여 10°에서 120° 사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배출구 및/또는 제2 배출구의 중심선의 각방향 오프셋은 상기 입구 및/또는 상기 밸브 축의 중심선에 대해 45° 오프셋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입구의 중심선,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의 중심선 및 상기 밸브 축은 동평면 상에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1 배출구까지 제1 곡률 반경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2 배출구까지 제2 곡률 반경을 형성한다.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의 곡률 반경은 상기 각 제1 곡률 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다르면,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은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굽혀진 파이프의 유동 경로와 흡사한 배기 가스 유동 결로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상기 각(제1 또는 제2) 도관의 내부 도관 표면과 병합되는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된다면, 상기 밸브 부재는 최적화된 공기역학적 특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굽혀진 파이프, 특히 일정한 곡률 반경 및/또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 굽혀진 파이프의 특성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는 정확하게 하나의 굽힘을 포함하는 파이프의 유동 경로와 흡사한 배기 가스 유동 경로의 바운더리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 경로는 장애물이 없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도관 내부에서 장애물이 없게 형성된 굽혀진 파이프의 유동 경로일 수 있다.
추가적인 발전예에 따르면, 상기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밸브 부재를 따라 (상기 각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로 상기 각 도관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경로는 필수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일정한 단면적은 일정한 원형 단면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입구 깔대기가 타원형 단면, 직사각형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에서 상기 입구의 단면적으로 향하는 경로를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입구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의 단면적은 원형이거나 타원형이다. 상기 입구 및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배출구는 같은 단면 모양 및/또는 치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전의 발명과 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발전예에 따르면, 간극이 상기 스푼 섹션의 방사형 외부 표면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상기 스푼 섹션의 축 방향 연장부를 따라, 밸브 축에 대하여 방사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푼 섹션의 외부 표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방사형의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푼 섹션 및 상기 하우징 사이의 마찰 및 그에 따른 마모가 방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밸브의 제어 가능성과 신뢰도가 개선된다. 상기 간극이 상기 스푼 섹션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열될 수 있는 방향은 상기 도관의 평면에 대하여 교차되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같은 평면에서 배열되는 중심선을 갖는다면, 상기 간극은 상기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밸브 부재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상기 입구에 있는 상류 베어링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밸브 부재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축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동축으로 둘러싸고 상기 상류 베어링에 체결되는 링 섹션(ring section)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은 슬라이딩 부싱(sliding bushing)으로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은 방사형 베어링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베어링은 축방향 베어링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의 링 섹션은 상기 밸브 축을 원주형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링 섹션은 상기 상류 베어링에 방사형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상류 베어링은 상기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의 분기점으로부터 상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입구의 하류에 링 형상 섹션이 상기 밸브 부재의 이음고리(collar)로 기재될 수 있다. 이음 고리 또는 링 섹션은 특히 스푼 형상의 밸브 부재의 상류측 말단에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체예와 조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배열된 중앙 베어링, 특히 축방향 베어링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밸브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중앙 베어링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확장하는 샤프트 섹션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중앙 베어링은 방사형 베어링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 및 상기 샤프트 섹션은 통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베어링은 특히 스푼 형상 밸브 부재의 하류측 말단에 가깝게 배열될 수 있다. 중앙 베어링 또는 상류 베어링 중 어느 하나를 가진 밸브를 제공하는 것은 충분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개선된 제어 가능성 및 밸브 부재로부터의 원치 않는 소음 배출에 높은 저항을 허용하는 방사형 상류 베어링 및 축방향 중앙 베어링 둘 모두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밸브는 축방향 상류 베어링 및 방사형 중앙 베어링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스위치 밸브는 어떤 작동 조건에서는 원치 않는 휘파람 소리(whistle) 및/또는 딸각거리는 소리(clicking sound)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인 발전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스푼 섹션 및 상기 샤프트 섹션 사이에 배열된 쐐기 모양 전환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 섹션은 상기 샤프트 섹션보다 넓은 숄더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축에 대하여 상기 중앙 베어링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섹션은 상기 숄더의 외경보다 작은 샤프트 섹션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 또는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섹션은 상기 스푼 섹션의 상류 말단에서부터 상기 각 개방된 도관까지 확장한다.
상기 전환 섹션은 상기 각 개방된 도관의 표면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는 전환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전환 표면은 상기 도관의 도관 표면을 특히 상기 스푼 형상 밸브 부재의 내측 표면에 연결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상기 밸브 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적인 제어 요소 및/또는 기계적 트랜스미션(transmission)의 방법으로,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를 배열하여,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입구에서 상기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 둘 모두로 항하는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를 유도하도록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1 도관을 부분적으로 덮고 상기 제2 도관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의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5개의 서로 다른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를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5개 이상 다수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를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 및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밸브 부재를 배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상기 제1 구역의 하나 이상의 음향요소만으로,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하나 이상의 음향요소만으로,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구역 각각의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로 부분적으로, 배기 가스가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 각각은 배기 가스를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향하도록 및 통과하도록 방향을 고치게 막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향이 고쳐진 배기 가스는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입구를 통해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이탈한다.
상기 가스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배기 가스가 상기 제1 배출구를 유동하도록, 또는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배출구를 유동하도록, 그리고 각 배출구에 연결된 각 음향 요소로 방향을 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상기 밸브 부재가 중간 위치에 배열될 때, 상기 입구에서부터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로 부분적으로 배기 가스의 방향을 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밸브 부재의 0°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는 180°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0°)에서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180°)로 이동할 때,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밸브 축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도관은 점진적으로 폐쇄되고, 상기 제2 도관은 점진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제1 도관 및 상기 제2 도관을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흐름 분배는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의 각 개방된 단면 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도관의 개방된 면적이 상기 밸브 부재에 의해 현재 커버되지 않은 면적임이 명백해질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부재의 상류 말단, 특히 상기 링 섹션 또는 이음 고리, 및 상기 입구는 동심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내경을 가진다. 상기 밸브 부재의 상류측 말단에서 회전 가능한 상기 밸브 부재의 이음 고리 또는 링 섹션과 동일한 치수로 상기 상류 입구의 내경을 설계함으로써, 상기 입구 및 상기 밸브 부재 사이에서 배기 가스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는 어떠한 언더컷도 방지되고, 이를 통해 음향적으로 및 공기역학적으로 개선된 기하학적 형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내연 기관과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 사이의 분배 정션에 배열된 하나 이사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고,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의 제1 구역은 상기 밸브의 제1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의 제2 구역은 상기 제2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각 구역은 공진기, 확장 챔버, 헬름홀츠(Helmholtz) 공진기, 머플러, 흡수 머플러 또는 그 유사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기 가스 시스템은 제공된 배출구 구역 중 하나의 정션으로부터 하류에 배열된 스위치 밸브 또는 밸브를 가지는 알려진 배기 시스템에 비교해서 개선된 음향적 및 공기역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은 상기 분배 정션의 하류에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이 다시 합류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정션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런 배기 가스 시스템에서, 음향 요소는 상이한 길이 연장부(lengthwise extension)와 함께 상기 분배 정션과 상기 통합 정션 사이에서 상기 구역 섹션을 설계함으로써 제공되어, 상기 분배 정션에서 상기 통합 정션으로 진행하는 사운드 파동이 상기 통합 정션의 하류에서 보강 도는 상쇄 간섭될 수 있다. 특히 사전 결정된 주파수 범위(대역)에서, 상쇄 간섭은 사운드 배출의 감쇠를 귀결할 수 있고, 보강 간섭은 사운드 배출의 제어된 증가를 귀결할 수 있다.
상기 구체예와 조합될 수 있는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은 엔진 실린더의 제1 군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위한 우측 배기 구역 및 엔진 실린더의 제2 군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위한 좌측 배기 구역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배기 구역은 각각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런 배기 가스 시스템은 두개 이상의 본 발명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 시스템은, 상기 좌측 배기 구역 및 상기 우측 배기 구역의 각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제1 배출구와 연결된, 배기 가스 정화 및/또는 소음 감소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배기 가스 조작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우측 및 좌측 배기 구역으로부터 오는 배기 가스가 상기 통상적인 배기 가스 조작 장치 내부에서 통합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인 배기 가스 조작 장치는 EP 3 118 429 A1에서 예시가 기재된다. 엔진 실린더의 우측 군을 위한 우측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엔진 실린더의 좌측 군의 배기 가스를 위한 좌측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각각을 사용함으로써, 배기 가스는 각 실린더 군으로부터 각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로 인도된다. 이런 배기 시스템은 실린더의 둘 모두의 군의 배기 가스로부터 상기 밸브의 제1 배출구를 통과하여 공급될 수 있는 섹션(공통 섹션) 뿐만 아니라 오직 하나의 실린더 군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받아들이는 섹션(우회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의 각 제2 배출구의 하류의 우회 섹션은, 각 다른 실린더 군으로부터 배출되는 어떤 배기 가스와 별개로 유동하는 각 일 실린더 군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타적으로 운송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밸브의 하류의 공통 섹션은 양 실린더 군 모두로부터 배기 가스를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밸브 하류의 공통 섹션은 좌측 및 우측 밸브에 따라서 제어됨으로써 일 실린더 군 또는 다른 실린더 군으로부터 배타적으로 배기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측 밸브는 밸브 부재가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 배열되어 배기가 상기 밸브의 입구에서부터 실제적으로 상기 제2 배출구 및 이에 연결된 우회 섹션으로 유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좌측 구역의 밸브는 배기 가스를 상기 죄측 밸브의 하류의 공통 섹션으로 유도하도록 제1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밸브는 대안적으로, 배기 가스를 부분적으로는 상기 공통 배기 가스 구역 섹션으로, 부분적으로는 상기 좌측 배기 가스 구역의 우회 섹션으로 분배하도록 중간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발전예에서, 상기 우측 배기 구역 및 상기 좌측 배기 구역은 각각 각 밸브의 각 제2 배출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우회 라인을 포함한다. 특히 배기 가스 조작 장치는 하나 이상의 우회 라인으로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배기 가스 조작 장치는 대안적으로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우회 라인과 절대 다시 연결되지 않는 배기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배기 가스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막다른 측면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밸브의 메인 구역의 입구 및 하나 이상의 각 막다른 음향 요소로의 배출구 각각에 연결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메인 구역이라는 용어는 최소한 간접적으로 엔진을 대기에 연결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그것은 좌측 메인 구역, 좌측 우회 구역, 우측 메인 구역, 우측 우회 구역 또는 공통 배기 구역일 수 있다. 특히, 각 막다른 음향 요소는, 상기 막다른 음향 요소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동, 특히 상기 막다른 측면 구역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제어 밸브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 유동을 역전함으로써 메인 라인을 통해 대기로 배타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체예, 특성 및 기술적인 측면들은 종속항에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다.
도 1a 일 구체예에 따른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정면도;
도 1b 도 1a에 따른 밸브의 B-B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1c 도 1a에 따른 밸브의 C-C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1d B-B 단면 라인에 따른 도 1a에서 도시되는 밸브의 사시단면도;
도 2 도 1a 내지 1d에서 도시되는 가시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밸브 부재의 사시도;
도 3a 일 구체예에 따른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평면도;
도 3b B-B 단면 라인에 따른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단면도;
도 3c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C-C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d 도 3a에 도시되는 밸브의 D-D 단면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의 개략도;
도 5 2개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의 또 다른 구체예;
도 6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의 또 다른 구체예; 및
도 7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메인 구역 및 막다른 측면 구역을 포함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의 한 섹션의 개략도.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의 하기 설명에서, 같거나 비슷한 도면 부호는 같거나 비슷한 구성물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로 지정된다. 읽기의 용이성을 위해서, 상기 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예의 설명에서, “밸브”라는 용어가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를 지칭하기 위해서 대신 사용되어야 한다.
도면 부호 100, 200, 300 및 400은 다른 배기 가스 시스템 섹션을 지칭한다. 다른 도면에서 도시되는 설계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 및 6에 도시되는 밸브로부터 상류로 향하는 두 구역 중 하나는 도 4 및/또는 7에 도시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5 및 6에 도시되는 밸브로부터 하류로 향하는 네 개의 구역 각각은 도 4 및 7에 도시되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되는 시스템은 상기 밸브의 하류로 향하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구역에서 도 7에 도시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7에 도시되는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되는 구체예의 밸브의 상류에 또는 도 4에 도시되는 구체예의 통합 정션(unification junction)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 및 3a 내지 3d에 도시되는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에서 배기가스가 상기 밸브의 하나의 입구에서부터 하나의 배출구로 또는 다른 하나의 배출구로, (거의) 일정하고 원통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구부러진 튜브의 통과 흐름(throughflow) 영역과 닮은 통과 흐름 영역을 제공하며, 배기 가스를 유도될 수 있다는 건 일반적으로 구현된 개념이다. 이것은 특히 아래의 도 3a 내지 3d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언더컷(undercut) 및 포켓(pocket)이 결여된 공기 역학적으로 최적화된 모양은 배기가스가 상기 입구에서부터 제1 또는 제2 출구로, 거의 동력 손실 및 배기 시스템의 사운드 발생을 나쁘게 함이 없이 흐르도록 하고, 이에 의해 개선된 사운드 질과 엔진 효율을 도출된다.
상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는 주요 구성물로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에 배열된 밸브 부재(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은 거의 Y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입구(5),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2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하우징(3) 내부에 배열돼서 상기 입구(5)를 상기 제1 배출구(10)과 연결하는 제1 도관(11)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밸브 부재(7)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입구(5)를 상기 제2 배출구(20)과 연결하는 제2 도관(21)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3)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는 이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밸브 부재(7)을 포함한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을 도시한다. 용이하게 생각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부재(7)이 상기 입구(5)와 상기 제1 배출구(10)을 연결하는 도관(11)을 형성하는 제1 사전 결정된 위치는,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지만, 도면 1A 내지 1D에 묘사된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해 거울 대칭이 될 것이다.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제2 도관(21)을 폐쇄한다.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제1 도관(11)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 부재(7)과 상기 하우징(3)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작은 간극(35)를 남겨서 상기 밸브 부재(7)이 각각 닫혀진 제1 또는 제2 도관(11, 21)을 밀폐하는 방식으로 봉인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2에 자세하게 도시되는 상기 밸브 부재(7)는 밸브 축(Av)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밸브 부재(7)는 3차원으로 굽은 섹션(71)로도 지칭될 수 있는 스푼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부재(7)의 3차원으로 굽은 섹션(71)은 상기 밸브 축(Av)에 대해 볼록한 방법으로 형성된 내부 표면(75)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 부재(7)의 3차원으로 굽은 섹션(71)은 상기 밸브 축(Av)에 대해 방사형으로 오프셋(offset) 되어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상류 방향 말단은 상기 밸브 축(Av)와 동축인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하류 방향 말단은 상기 밸브 축 위에 또는 그것에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의 이와 같은 디자인은 튜브형 하우징(3) 내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이 그 축(Av)를 따라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밸브 부재(7)을 따라 축 방향으로 배기 가스가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하우징(3) 안에 배열되어, 상기 밸브 축(Av)는 상기 하우징(3)의 입구(5)의 중심선(A5)에 평행하게 정렬된다(그리고 동축으로 정렬될 수도 있음). 상기 도면에 도시되는 입구(5)가 원형의 단면을 가질 때, 상기 중심선(A5)는 상기 원의 중심을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d 및 3a 내지 3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부재(7)의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각각 제2 또는 제1 도관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덮도록 치수화 되어있다. 상기 밸브 축(Av)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상기 밸브 축을 주위로 확장하여 하나의 도관은 완전히 덮고 다른 하나의 도관은 완전히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숟가락 형상의 섹션의 원주 방향의 연장부(β)는 약 180°, 예를 들어 185°±5° 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제1 도관(11) 또는 제2 도관(21)을 형성하기 위해 두개의 배출구(10, 20)을 가지고, 상기 입구(5)의 중심선(A5), 상기 제1 배출구(10)의 중심선(A10) 및 상기 제2 배출구(20)의 중심선(A20)이 단일한 평면 상에 배열된, 상기 도면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상기 밸브 축(Av)을 중심으로 약 180°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입구(5)의 중심선(A5) 및 상기 밸브 축(Av)의 축 방향에 따른 상기 밸브 부재(7)의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연장부는 상기 도관(11, 21)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덮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 방향 연장부에 따른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연장부는 3 cm보다 길고 10 cm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 또는 3차원으로 굽은 섹션은 상기 밸브 부재의 축(Av)을 따라 굽어 있고, 또한 상기 밸브 축(Av)을 따라 축 방향 연장부에서 굽어있다.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부분적으로 종 모양, 특히 포물선 회전체, 쌍곡선 회전체 및 다른 곡선의 회전체가 축 방향으로 나눠진 모양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상기 밸브(1)은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20)이 같은 모양과 직경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는 입구(5)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10, 20)과 같은 크기와 모양을 가진다. 상기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20)는 다른 크기 및/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상기 입구(5) 및 상기 배출구(10, 20)는 다른 크기 및/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배출구들의 개수는 2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스푼 형상의 섹션(71)을 따라 형성된 내부 표면(75)이 상기 배기 가스의 연속적인 굽혀진 파이프와 유사한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 표면(75)는 가변적이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R7)은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3)과 관련하여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곡률 반경(R7)은 상기 입구(5)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10) 또는 상기 제2 배출구(20)로 호(arc)를 형성하는 굽은 중심선의 곡률 중심과 같거나 또는 최소한 거의 근사한 곡률 중심을 주위로 호를 형성한다(도 1b 참고).
상기 배출구(10, 20)은 상기 배출구(10, 20)의 원형일 수 있는 단면의 중심을 통해 그려진 선으로 형성될 수 있는 중심선(A10, A20)을 형성한다. 상기 중심선(A10, A20)은 상기 입구의 중심선(A5)에 대해 각방향 오프셋(α2)을 갖도록 배열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방향 오프셋은 45°일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10)의 각방향 오프셋(α1) 상기 제2 배출구(20)의 중심선(A20)의 각방향 오프셋에 비교했을 때,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입구(5)에서부터 상기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로 각각 그려지는 곡률 반경(R10 또는 R2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의 곡률 반경(R7)은 상기 제1 곡률 반경(R10)에 대응한다.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의 곡률 반경(R7)은 상기 제2 곡률 반경(R20)에 대응한다. 그렇게 해서,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도, 상기 입구(5)에서 상기 제1 배출구(10) 또는 제2 배출구(20) 각각으로 흐르는 배기 가스는 와류를 막기 위해 일정한 곡률 반경을 따라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배기 가스 유동은 정확하게 하나의 굽힘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아무런 장애물이 없이 형성된 굽혀진 파이프의 유동과 닮도록 설계된다.
상기 밸브 유닛(7)에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배출구(10 또는 20) 중 하나로 상기 입구(5)를 통해 흐르는 배기 가스는 상기 도면, 특히 도 3a 내지 3d의 필수적으로 일정한 단면 유동 면적 Q를 따라 흐른다. 이 일정한 단면 유동 면적 Q는 도 3b 내지 3d에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다.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 유래하여, 상기 배기 가스는 도 3b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5) 상류에서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밸브(7)로 진입한다. 그 후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밸브 부재(7),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와 결합된 상기 하우징(3)의 굽혀진 모양으로 유도된다. 도 3c는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중심부에서 상기 밸브(1)를 통해 흐르는 배기 가스의 굽혀진 유동 경로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c에 의해 도시될 수 있고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밸브와 다르게, 상기 배기 가스가 상기 밸브 부재(7)을 따라 흐르는 단면적은 필수적으로 원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의 입구측 단면적에 대해 크기나 모양이 변하지 않는 채로 남는다.
도 3d는 상기 제2 배출구(20)에서 배기 가스가 흐르는, 원형이고 상기 2개의 단면과 같은 통과 영역을 가지는 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정확하게 동일한 스케일이 아님은 명백할 것이다.
상기 밸브 부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베어링으로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의 하나의 방사형 베어링(31)은 슬라이딩 부싱(32) 및 상기 입구(5)에 가까운 상기 밸브 부재(7)의 상류 방향 말단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부싱(32)에 체결되어,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축(Av)을 완전히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링 섹션(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중심 축 베어링(37)과 함께 상기 하우징(3)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축 베어링(37)은 상기 하우징(3) 안에서 배출구(10 및 20)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축(Av)에 동축으로 정렬된 샤프트 섹션(7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의 샤프트 섹션(77)은 상기 중앙 베어링(37) 및 상기 하우징(3)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섹션(77)은 상기 하우징(3) 내부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을 회전하기 위해 직접 또는 트랜스미션을 통해 엑츄에이터(더 자세히 도시되지 아니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은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과 상기 샤프트 섹션(77) 사이에 배열되는 쐐기 모양 전환 섹션(7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환 섹션(76)은 상기 축(Av)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 베어링(37)을 배기가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기 샤프트 섹션(77)의 우산 형태 커버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축 베어링(37)의 부근의 포켓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보호하는 커버를 구현한다. 상기 전환부(76)은 상기 샤프트 섹션(77)보다 넓고 상기 중앙 베어링(37)에 체결되는 숄더(78)을 형성한다. 상기 전환 섹션은, 도 3b, 3c 또는 1b에서 도시되듯이,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에서 각 개방된 도관(11 또는 2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환 섹션(76)의 전환 표면(79)은 각 개방된 도관(11 또는 21)의 표면에 대응하여 설계되어, 도관 표면(15 또는 25)이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내부 표면(7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 추가하여, 상기 밸브 부재(7)은 상기 하우징(3)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 사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은 상기 입구(5)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20) 둘 모두로 향하는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를 유도한다.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1 도관(11) 및/또는 제2 도관(21)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도관(11 및 21)을 부분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7)는 배기가스가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1 도관(11)을 통해 유동하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2 도관(21)을 통해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입구(5)를 통과하여 유동한 배기 가스에 대한 상기 제1 배출구(10)을 통과하여 유동한 배기 가스의 비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현재 중간 위치의 회전 거리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0° 회전하여, 상기 제1 도관(11)이 완전히 개방되게 하고 상기 입구(5)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10)로 배기 가스의 100%가 유도되게 한다. 반대로,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도면에 도시되는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로부터 180° 회전하여 상기 제1 도관(11)을 완전히 폐쇄되게 함으로써 상기 입구(5)로부터 상기 제2 배출구(20)로 배기 가스의 100%가 유동하게 한다. 상기 배기 가스의 0%가 상기 입구(5)에서 상기 제1 배출구(10)로 유동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작은 간극(35)은 통과 흐름이 100% 또는 0%에서 근소하게 편차를 발생할 수 있게 상기 밸브 부재(7)과 상기 하우징(3)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소한 편차는 보통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본 특허 출원서의 주제와 관련하여, “완전히 개방” 및 “완전히 폐쇄”라는 용어들은 작은 간극(35)가 존재할 수 있는 밸브(1)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제2 도관(21)을 통해 상기 제2 배출구(20)로 향하는 유동의 비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7)의 회전 거리에 비례하여 산정될 수 있음이 보여졌다.
특히 도 1b 및 1c와 관련하여, 상기 밸브 부재(7) 및 특히 링 섹션(73)은 상기 입구(5)에 동심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동축일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7)의 상류 방향 말단은, 상기 링 섹션(73)에 의해 실현될 수 있듯이 상기 입구(5)의 내경(D5)에 대응하는 동일한 내경(D7)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배기 가스가 유동하는 단면의 임의의 변화를 막는다.
상기 밸브 부재(7)는 상류 방향 베어링에 체결되기 위해 상기 샤프트 섹션(77) 및/또는 링 섹션(73) 뿐만 아니라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을 형성하는 하나의 일체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 섹션(76) 및/또는 상기 숄더(78)은 일체형의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밸브 부재(7)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일체형의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밸브 부재는 3D 프린팅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100)의 제1 구체예를 도시한다.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유동(c)은 입구의 상류 방향 지점에서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에 진입한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을 통과하여 유동한 후에, 유동(c’)는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을 이탈한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의 상류 및/또는 하류에서, 예를 들어, 실린더의 뱅크(bank), 배기 가스 정화 장치, 예컨대 촉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머플러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부분적인 스트림을 나누거나 병합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합부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물(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이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배기 가스 시스템(100)의 하류에서, 1개 이상의 대기로의 배출구가 제공된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 내부에서, 배기 가스의 유입되는 유동(c)는 하나의 중심 입구로부터 우측 배기 구역(13), 좌측 배기 구역(23)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우측 배기 구역(13) 및 좌측 배기 구역(23) 둘 모두를 통해 향해질 수 있다. 상기 좌측 및/또는 우측 배기 구역(13, 23)으로의 유입 배기 가스 스트림의 유도는 상기 밸브(1)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밸브(1)는 유입 유동(c)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1)의 상기 제1 도관(11)을 통과하여 상기 우측 배기 구역(13)으로 향하는 스트림(c11)으로 방향을 고칠 수 있다. 상기 밸브(1)는 배기 가스의 유입 유동(c)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밸브(1)의 상기 좌측 도관(21)을 통과하여 상기 좌측 배기 가스 구역(23)으로 향하는 스트림(c21)으로 방향을 고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또는 제2 도관(11, 21)을 통과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우측 또는 좌측 배기 구역(13, 23)을 통과하는 유동의 비는 상기 밸브(1)의 하우징(3) 내부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의 위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도해와 관련하여 사용됨이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밸브(1)와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은 필수적으로 거울상 대칭으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좌측” 또는 “우측”이라는 용어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이해의 용이를 위해, “우측” 및 “좌측” 이라는 용어는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제1” 및 “제2”라는 용어와 서로 바꾸어질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도관, 구역, 개구 등은 하나의 밸브 또는 시스템의 별개의 구성물을 지칭함이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말로, “제1” 및 “제2”라는 용어의 사용은 묘사된 대로 적어도 2개 또는 그 초과의 구성물의 존재를 암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기 우측 배기 구역(13)은 음향 요소(41)와 함께 제공된다. 음향 요소는 공진기, 확장 챔버, 헬름홀츠(Helmholtz) 공진기, 머플러(muffler), 흡수 머플러 또는 그 유사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향 요소(41, 43, 45 또는 47)은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사운드 배출을 수정, 특히 증폭 및/또는 감쇠하는 배기 가스 시스템의 임의의 구성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음향 요소는 다른 제2 주파수 영역에서의 사운드 배출과는 다르게 제1 주파수 영역 내에서 음향 배출을 수정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요소는 제1 주파수 영역에서는 사운드 배출을 증폭하고 제2 주파수 영역에서는 사운드 배출을 감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배기 시스템(100)의 구체예에서, 상기 좌측 배기 구역(23)은 음향 요소가 제공되지 않는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또는 좌측 배기 구역(23)은 또한 음향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미도시).
상기 유입 유동(c)을 상기 제1 도관(13)을 통해 흐르는 상기 제1 유동(c11) 및 상기 제2 구역(23)을 통해 흐르는 상기 제2 유동(c21)으로 분할하는 상기 밸브(1)의 하류에서, 상기 배기 시스템 배출구 구역(51)에서 상기 제1 유동(c11) 및 상기 제2 유동(c21)이 재합류하여 유동(c’)으로 합류되는 곳에 통합 정션(50)이 배열된다. 상기 배기 시스템 배출구 구역(51)에서, 추가적인 통상적인 음향 요소가 배열될 수 있다(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상기 통합 정션(50)과 결합된 상기 좌측 및 우측 구역(13, 23)은 상기 밸브(1) 및 상기 정션(50) 사이에서 상기 제2 구역(23)의 파이프와 길이에서 차이가 있도록 상기 제1 구역(13)의 파이프를 설계함으로써 음향 요소를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역(13) 및 상기 제2 구역(23)의 길이에서의 차이는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사운드를 수정하기 위한 상쇄 및/또는 보강 간섭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사운드 배출의 사전 결정된 주파수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정션(50)과 결합한 상기 제1 및 제2 구역(13 및 23)이 음향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다면, 각 구역(13 및 23)에는 추가적인 음향 요소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200)은 두 개의 상이한 스트림(a, b)를 받아들인다. 바람직하게는, 배기 가스의 상기 제1 스트림(a)는 배타적으로 내연기관의 실린더 제1 군에서부터 유래하고, 상기 제2 스트림(b)은 배타적으로 내연기관의 실린더 제2 군에서부터 유래한다. 이 점에서는, 본 출원서에 전체로서 참조되어 통합되는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EP 3 141 720 A1, 특히 단락 [0002], [0007], [0008], [0026], [0043], [0044] 및 [0108]이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시스템(200)은 상기 제1 유입(a)을 위한 제1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a) 및 상기 제2 스트림(b)을 위한 제2 밸브(1b)를 포함한다. 각 밸브(1a 및 1b)는 각 유입(a21, b21)을 방출하는 각 우회 라인(23a, 23b)로 유도되는 각 제2 배출구(20)를 가지고, 그 방출은 배기 가스 처리 구성품 또는 음향 요소(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대기로 방출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우회 배기 스트림(a21, b21)이 각 타측 유입 스트림(b 또는 a)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와 혼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혼합되지 않도록 방출된다.
상기 각 제1 및 제2 밸브(1a, 2a)는 각 제 1구역(13a, 13b)로 각각 연결되고, 구역(13a, 13b)이 단일한 통상의 음향 요소(43)로 둘 모두가 연결되게 하는 각 제1 배출구(10)를 가진다.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에서, 상기 유입 스트림(a 및 b) 둘 모두와 함께 이동하는 음향 배출은 수정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은 상기 음향 요소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는 전체로서 참조되어 통합되는 EP 3 118 429 A1에 기재된 재로 통상적인 배기 가스 정화 및/또는 소음 감소 장치로서 실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셧오프(shut-off) 장치(EP 3 118 429 A1의 도면 부호 43, 45) 대신에 상기 통상적인 배기 가스 정화 및/또는 소음 저감 장치의 상류에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음향 요소(43)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능한 배기 가스의 혼합된 스트림(ab, ba)을 대기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배출구 도관(44a, 44b)를 가진다.
도 5에 도시된 배기 가스 시스템(200)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밸브(1a, 1b)는 동일하게, 배타적으로 다르게 또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배기 가스의 유입 스트림(a, b)은 제1 스트림(a11, b11) 및/또는 제2 스트림(a21, b21) 각각으로의 유도 및/또는 분할될 수 있다. 각 밸브(1a, 1b)는 상기 밸브의 하우징(3) 내부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의 위치를 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밸브(1a 또는 1b) 중 오직 하나 또는 두 밸브(1a 및 1b) 모두는 각 제2 도관(21)을 통과하여 우회 라인(23a, 23b)로 배타적으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밸브(1a 또는 1b) 중 오직 하나 또는 두 밸브(1a 및 1b) 모두는 각 제1 도관(11)을 통과하여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으로 배타적으로 유입 배기 가스(a 및/또는 b)를 유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밸브(1a 또는 1b) 중 오직 하나 또는 두 밸브(1a 및 1b) 모두는 유입 배기 가스(a 및/또는 b)를 유도하여 각 제1 스트림(a11 및/또는 b11) 및 각 제2 스트림(a21 및/또는 b21)로 나눠질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 및 제2 밸브(1a 및 1b)는, 원하는 음향 배출의 수정, 엔진 실행 및/또는 정화 실행을 위해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을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엔진 세팅, 실행 세팅 및/또는 원하는 사운드 아웃풋 세팅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다.
배기 시스템(300)의 추가적인 구체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의 배기 시스템(300)은, 상기 배출구도관(44a 및 44b)이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유도하여 상기 우회 구역(23a 및 23b)를 유동하는 배기 가스와 병합되도록 유도하게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배기 시스템과 구별된다. 상기 우측 배기 우회 라인(23) 및 우측 배출구 도관(44)은 배기 가스 스트림(a21)이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스트림과 병합될 수 있는 정션(50a)에서 병합되어 혼합된 배출구 스트림(ab’)을 구현한다. 상기 좌측 구역 부분의 설계는, 상기 제2 우회 라인(23)으로의 스트림(b21)이 상기 통상적인 음향 요소(43)으로부터 상기 좌측 배출구 도관(44b)를 통과하여 흐르는 배기 가스 스트림과 상기 좌측 정션(50b)에서 만나 다른 혼합된 배기 가스 스트림(ba’)를 구현하도록, 필수적으로 거울상 대칭일 수 있다.
도 4 또는 도 6의 배기 시스템 100 또는 300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된 정션 50, 50a, 50b가 사용된다면, 설사 상기 정션 50, 50a 또는 50b의 상류 라인 중 하나에 유입 스트림이 공급되지 않아도, 음향 수정은 그것을 에코 챔버(echo chamber) 또는 공명 챔버(resonance chamber)로 사용함으로써 음향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은 배기 가스 시스템(400)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400) 더 큰 배기 가스 시스템, 예를 들어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100, 200 또는 300)의 하위 조립 부품(subassembly)일 수 있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400)은 엔진으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기 가스의 스트림(d)을 받아들이는 메인 라인(55)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라인(55)은 배기 가스의 스트림(d’)을 대기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방출한다. 메인 라인(55)은 상기 우측 또는 좌측 배기 구역(13, 13a, 13b, 23, 23a 및/또는 23b)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 라인(55)은 밸브(1, 1a 및/또는 1b) 및/또는 우회 라인(23a 및/또는 23b) 및/또는 배출구 도관(44a 및/또는 44b), 및/또는 통상적인 퇴출 라인(54, 54a 및/또는 54b)의 상류에 배치된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배기 가스 시스템(400)에서, 막다른 측면 구역(5’)은 상기 메인 구역(5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구역(55)으로부터 상기 막다른 측면 구역(5’)에 진입한 배기 가스는 상기 막다른 측면 구역(5’)으로 부터 직접적으로 대기로 퇴출되지 못하고 대기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퇴출될 수 있게 되기 전 상기 메인 구역(55)로 재진입해야만 한다. 상기 배기 가스 시스템(400)에서, 배기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는 상기 막다른 측면 구역(5’) 내부에 배열된다. 상기 밸브(1)의 각 배출구(10, 20)는 각 하나의 막다른 음향 요소(45, 47)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막다른 음향 요소(45, 47)는 상기 막다른 음향 요소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막다른 음향 요소(45) 및 상기 제2 막다른 음향 요소(47)은 다른 음향 수정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막다른 음향 요소(45)는 사운드 배출을 증폭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2 막다른 음향 요소(47)는 사운드 배출을 감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막다른 음향 요소(45)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의 사운드 배출을 증폭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2 막다른 음향 요소(47)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운드 배출을 증폭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막다른 음향 요소(45, 47) 중 하나로 진입한 임의의 배기 가스는, 메인 라인(55)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막다른 음향 요소(45, 47)로부터 상기 밸브(1)을 통과하여 흐르는 배기 가스 유동을 역전기키는 방법에 의해, 대기로 배타적으로 환기될 수 있다. 상기 밸브(1)는 상기 막다른 측면 구역(5’)으로부터 나오는 배기 가스를 제1 스트림(d11) 및 제2 스트림(d21)로 분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밸브(1)의 제어 및 가능한 세팅은 전술된 바에 대응한다.
상기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개시된 특성들은 별개의 각 구체예에서 뿐만 아니라 그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본 발명의 실현에 유의할 수 있다.
1, 1a, 1b 제어 밸브
3 하우징
5 입구
5a 우측 배기 구역
5b 좌측 배기 구역
5' 막다른 측면 구역
7 밸브 부재
8 액츄에이터
10 제1 배출구
11 제1 도관
13, 13a, 13b 제1 구역
15, 25 도관 표면
20 제2 배출구
21 제2 도관
23, 23a, 23b 제2 구역
31 방사형 베어링
32 슬라이딩 부싱
35 간극
37 중앙 축 베어링
41, 43, 45, 47 음향 요소
44a, 44b 배출구 도관
50, 50a, 50b 정션
51 배출구 구역
54, 54a, 54b 퇴출 라인
55 메인 라인
71 스푼 형상의 섹션
73 링 섹션
74 외측 표면
75 내측 표면
76 전환 섹션
77 샤프트 섹션
78 숄더
79 전환 표면
100, 200, 300, 400 배기 가스 시스템
α1, α2 각방향 오프셋
β 원주 방향의 연장부
Av 밸브 축
A5, A10, A20 중심선
a, b 유입 유동
a21, b21, a23, b23 배출 유동
ab, ba, ab', ba' 혼합 유동
c, c', c11, c21 배기 가스 유동
d, d11, d21 배기 가스 유동
D5, D7 내경
Q 유동 면적
R7, R10, R20 곡률 반경

Claims (18)

  1.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로서,
    입구(5), 제1 배출구(10), 및 제2 배출구(20)를 포함하는 하우징(3); 및
    상기 입구(5)를 상기 제1 배출구(10)와 연결하는 제1 도관(11) 및/또는 상기 입구(5)를 상기 제2 배출구(20)와 연결하는 제2 도관(2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에 배열된 밸브 부재(7)로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부재(7)가 상기 제2 도관(21)을 폐쇄하는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와, 상기 밸브 부재(7)가 상기 제1 도관(11)을 폐쇄하는 제2 결정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3)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7)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입구(5)의 중심선(A5)에 대해 평행하게, 특히 동축으로 정렬된 밸브 축(Av) 주위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입구(5)로부터 상기 제1 도관(11) 및 또는 제2 도관(21)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스푼 형상의 섹션(71)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도관(21)을 덮고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도관(11)을 덮도록 치수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특히 상기 밸브 축(Av)을 따라 3cm보다 길게, 특히 5cm보다 길게 및/또는 10cm보다 짧게, 특히 8cm보다 짧게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 방향 연장부를 따라, 상기 밸브 축(Av)을 중심으로 최소 170°, 특히 최소 180° 및/또는 최대 220°, 특히 최대 210° 또는 최대 195°만큼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내부 표면(75)은 바람직하게 일정하거나 및/또는 가변하는 곡률 반경(R7)을 형성하면서 배기가스를 위한 바람직하게 연속적인 곡선형의, 특히 파이프 같은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특히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유동 경로의 거의 일정한 단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들(10, 20)의 중심선(A10, A20)은 상기 입구(5) 및/또는 상기 밸브 축(Av)의 중심선(A5)에 대하여, 특히 개별적인 각방향 오프셋(angular offset), 바람직하게는 10°에서 120°사이, 바람직하게는 45°오프셋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입구(5)의 중심선, 배열된 상기 배출구들(10, 20)의 중심선(A10, A20) 및 상기 밸브 축(Av)은 동평면 상에 있고,
    특히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입구(5)에서 상기 제1 배출구(10)에 걸쳐 제1 곡률 반경(R10)을 형성하고, 상기 입구(5)에서 상기 제2 배출구(20)에 걸쳐 제2 곡률 반경(R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부재(7)의 곡률 반경(R7)은 상기 제1 및 제2 곡률 반경(R10, R20)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은,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개방된 상기 도관(11, 21)의 각 내부 도관 표면(15, 25)과 병합되어 굽혀진 파이프의 바운더리와 유사한 배기 가스 유동 경로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도록, 내부 표면(75)을 형성하고,
    상기 굽혀진 파이프는 바람직하게 정확하게 한 번의 굽힘을 포함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도관(11,21) 내부에 장애물이 없는 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5)에서부터 상기 밸브 부재(7)를 따라 상기 도관(11, 21)을 각각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 배출구(10, 20)까지 흐르는 배기가스의 경로는 필수적으로 일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단면적을 형성하고,
    다른 단면, 예컨대 타원형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입구의 단면까지 경로를 유도하도록 상기 입구(5)의 상류에 입구 깔대기가 선택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극(35)이 상기 밸브 축(Av)에 대하여 방사형 방향으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방사형의 외측 표면(74)과 상기 하우징(3) 사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축 방향 연장부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입구(5)에서, 슬라이딩 부싱(sliding bushing; 32)과 같은 상류 베어링으로 상기 하우징(3)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축(Av)을 동축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감싸고, 상기 상류 베어링과 체결되는 링 섹션(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하우징(3) 내부에 상기 제1 배출구(10)와 상기 제2 배출구(20) 사이에 배열된 중앙 베어링(37)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3)에 탑재되고,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밸브 축(Av)과 동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중앙 베어링(37) 및 상기 하우징(3)을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shaft) 섹션(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는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과 상기 샤프트 섹션(77) 사이에 배열된 쐐기 모양의 전환 섹션(76)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섹션(76)은 상기 샤프트 섹션(77)보다 넓고 상기 중앙 베어링(37)을 포함하는 숄더(78)를 정의하고 및/또는,
    상기 전환 섹션(76)은, 상기 제1 또는 제2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상기 스푼 형상의 섹션(71)의 상류 방향 말단에서부터 개방된 도관(11, 21)으로 각각 방사형으로 확장하고, 상기 개방된 도관(11, 21)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진 전환부의 표면(79)을 가지며, 상기 도관(11, 21)의 도관 표면(15, 25)을 내부 표면(75)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를 조작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8)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8)는 상기 밸브 부재(7)를, 상기 제1 및 제2 사전 결정 된 위치 사이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에서 배열하도록, 예컨대 상기 밸브 부재(7)가상기 배기 가스의 유동과 소리를 상기 입구(5)에서부터 상기 제1 배출구(10) 및 상기 제2 배출구(20)까지, 특히 상기 제1 도관(11) 및 상기 제2 도관(21)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유도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의 상류측 말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 섹션(73)과 상기 입구(5)가 동심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정렬되어있고 및/또는 서로에 대응하여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내부 지름(D5, D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14.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시스템(100, 200, 300, 400)으로서,
    상기 내연기관 및 하나 이상의 음향 요소(acoustic element; 41, 43, 45, 47) 사이의 분배 정션(junction)에 배열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1, 1a, 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10)에 연결된 제1 구역(13, 13a, 13b) 및 상기 제2 배출구(20)에 연결된 제2 구역(23, 23a, 23b)을 포함하고,
    특히 각 구역(13, 13a, 13b, 23, 23a, 23b)은 하나 이상의 음향 구성 요소(41, 43, 45, 47), 예컨대 공진기, 확장 챔버, 헬름홀츠(Helmholtz) 공진기, 머플러(muffler), 흡수 머플러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역(13, 13a, 13b, 23, 23a, 23b)이 재결합하는 상기 분배 정션의 하류에, 하나 이상의 통합 정션(50, 50a, 50b)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 시스템(100, 200, 300).
  16.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 실린더의 제1 군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위한 우측 배기 구역(5a)을 포함하고,
    엔진 실린더의 제2 군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위한 좌측 배기 구역(5b)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구역(5a, 5b)은 각각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소리 조절 밸브(1a, 1b)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가스 시스템은, 배기 가스 정화 및/또는 소음 저감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배기 가스 조절 장치(43)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기 가스 조절 장치는 상기 좌측 및 상기 우측 배기 구역(5a, 5b)의 각 밸브(1)의 제1 배출구(10)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및 좌측 배기 구역(5a, 5b)으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가 상기 통상적인 배기 가스 조절 장치(43) 내부에 통합되도록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 시스템(200, 30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배기 구역(5a) 및 상기 좌측 배기 구역(5b)은 각각, 각 밸브(1a, 1b)의 제2 배출구(2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우회 라인(23a, 23b)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배기 가스 조절 장치(43)는 하나 이상의 상기 우회 라인으로 유도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라인(44a, 44b)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배기가스 시스템(200, 300).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스 유동 및 소리 조절 밸브(1)가 막다른 측면 구역(5')에 배열되고, 메인 구역(55)로의 입구 및 하나 이상의 각 막다른 음향 구성 요소(45, 47)로의 각 배출구(10,20)에 연결되어 있고,
    특히 상기 각 막다른 음향 구성 요소(45, 47)는 상기 막다른 음향 구성 요소(45, 47)로부터 나오는 배기 가스를, 특히 하나 이상의 상기 가스 유동 조절 밸브(1)를 통해, 되돌림으로서 메인 구역(55)를 통해 대기로 배타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내연기관 배기가스 시스템(400).
KR1020217019439A 2018-11-27 2019-11-15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KR20210094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8611.6A EP3660290B1 (en) 2018-11-27 2018-11-27 Gas flow and sound control valve and exhaust gas system
EP18208611.6 2018-11-27
PCT/EP2019/081533 WO2020109036A1 (en) 2018-11-27 2019-11-15 Gas flow and sound control valve and exhaust ga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607A true KR20210094607A (ko) 2021-07-29

Family

ID=6450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439A KR20210094607A (ko) 2018-11-27 2019-11-15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11965443B2 (ko)
EP (2) EP3660290B1 (ko)
JP (1) JP2022509209A (ko)
KR (1) KR20210094607A (ko)
CN (1) CN113302385B (ko)
AU (1) AU2019387185A1 (ko)
BR (2) BR112021010076A2 (ko)
CA (1) CA3125213A1 (ko)
CL (1) CL2021001372A1 (ko)
CY (1) CY1124589T1 (ko)
DK (2) DK3660290T3 (ko)
EA (1) EA202191475A1 (ko)
ES (2) ES2896234T3 (ko)
FI (1) FI3887661T3 (ko)
HR (2) HRP20231560T1 (ko)
HU (2) HUE056216T2 (ko)
LT (2) LT3660290T (ko)
MA (1) MA63489B1 (ko)
MD (1) MD3887661T2 (ko)
MX (1) MX2021006225A (ko)
PL (2) PL3660290T3 (ko)
PT (2) PT3660290T (ko)
RS (2) RS62479B1 (ko)
SA (1) SA521422121B1 (ko)
SG (1) SG11202105523WA (ko)
SI (2) SI3660290T1 (ko)
TW (1) TWI754859B (ko)
WO (1) WO2020109036A1 (ko)
ZA (1) ZA202103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3286A (zh) * 2020-10-28 2021-02-0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低速机排气分离输出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7646B1 (fr) * 1985-02-14 1987-10-30 Peugeot Vanne rotativ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conduits tubulaires, notamment dans un dispositif d'admission ou d'echappement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3874924T2 (de) * 1987-03-20 1993-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sel-abgas-partikelfilter.
DE10216537B3 (de) 2002-04-15 2004-02-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Umsteuervorrichtung für strömende Medien, insbesondere Weichenventil für die Abgase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0003301B4 (de) * 2009-10-22 2014-12-04 Faurecia Abgastechnik Gmbh Schalldämpfer
DE102014102358A1 (de) * 2014-02-24 2015-08-27 BorgWarner Esslingen GmbH Abgasweiche
PT3118429T (pt) * 2015-07-16 2019-01-16 Akrapovic D D Sistema de escape para um motor automóvel de combustão interna
DK3141720T3 (en) * 2015-09-10 2019-02-04 Akrapovic D D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automotive engine
EP3141702A1 (en) 2015-09-14 2017-03-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 turbine guide vane seg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B201713453D0 (en) * 2017-08-22 2017-10-04 Cummins Ltd Valve
US11492965B1 (en) * 2021-08-31 2022-11-08 Garrett Transportation I Inc. Turbocharger turbine rotary bypass valve providing waste gate regulation and full turbine bypass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10076A2 (pt) 2021-08-24
SI3660290T1 (sl) 2021-12-31
EA202191475A1 (ru) 2021-10-29
CL2021001372A1 (es) 2022-01-07
EP3887661A1 (en) 2021-10-06
JP2022509209A (ja) 2022-01-20
MX2021006225A (es) 2021-12-10
PL3887661T3 (pl) 2024-03-18
HUE056216T2 (hu) 2022-02-28
RS62479B1 (sr) 2021-11-30
AU2019387185A1 (en) 2021-06-17
LT3887661T (lt) 2023-12-27
DK3660290T3 (da) 2021-11-01
SA521422121B1 (ar) 2023-02-21
HRP20231560T1 (hr) 2024-03-15
PL3660290T3 (pl) 2021-12-27
PT3887661T (pt) 2023-12-14
RS64969B1 (sr) 2024-01-31
HRP20211428T1 (hr) 2021-12-10
US20220049635A1 (en) 2022-02-17
EP3660290A1 (en) 2020-06-03
PT3660290T (pt) 2021-10-28
SG11202105523WA (en) 2021-06-29
DK3887661T3 (da) 2023-12-18
BR122023020218A2 (pt) 2024-01-16
SI3887661T1 (sl) 2024-02-29
ES2896234T3 (es) 2022-02-24
TWI754859B (zh) 2022-02-11
WO2020109036A1 (en) 2020-06-04
EP3660290B1 (en) 2021-07-28
MA63489B1 (fr) 2023-12-29
CA3125213A1 (en) 2020-06-04
CN113302385B (zh) 2023-08-29
MD3887661T2 (ro) 2024-02-29
EP3887661B1 (en) 2023-09-13
LT3660290T (lt) 2021-12-10
US11965443B2 (en) 2024-04-23
TW202028599A (zh) 2020-08-01
CN113302385A (zh) 2021-08-24
FI3887661T3 (fi) 2023-12-13
HUE064732T2 (hu) 2024-04-28
ES2966152T3 (es) 2024-04-18
CY1124589T1 (el) 2022-07-22
ZA202103598B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13471T3 (en) AZEOTROPLIMATIC COMPOSITIONS OF 1,1,1,2-TETRAFLUORPROPEN AND 1,1,1,2-TETRAFLUORETHAN
AU2016318413B2 (en)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automotive engine
US5533487A (en) Dynamic enhancement of EGR flow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40166394A1 (en) Exhaus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10094607A (ko) 가스 유동 및 사운드 제어 밸브 및 배기 가스 시스템
US20060102142A1 (en) Inlet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A043134B1 (ru) Клапан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газа и звуком и систем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CN111512031B (zh) 涡轮机
JPWO202010903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