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519A -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519A
KR20210094519A KR1020217011824A KR20217011824A KR20210094519A KR 20210094519 A KR20210094519 A KR 20210094519A KR 1020217011824 A KR1020217011824 A KR 1020217011824A KR 20217011824 A KR20217011824 A KR 20217011824A KR 20210094519 A KR20210094519 A KR 2021009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way depth
control system
raceway
furnac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본
Original Assignee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filed Critical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Publication of KR2021009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6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300/00Process aspects
    • C21B2300/04Modeling of the process, e.g. for control purposes; CI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25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a part or of an element of the furnac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어 시스템은 레이더 센서에 의해 송풍구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을 수행하고, 레이더 센서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제어 시스템에 보내고, 제어 시스템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을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와 비교하며, 제어 시스템이 용광로의 둘레에 분할된 복수의 레이더 센서에 의해 복수의 송풍구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용광로(blast furnace)에서 레이스웨이(raceway) 깊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 시스템에 의해 송풍구(tuyere)를 통한 열풍(hot blast)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어 시스템은 레이더 센서에 의해 송풍구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을 수행하고, 레이더 센서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제어 시스템으로 보내고 제어 시스템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와 비교한다. 본 발명은 또한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는 수백 년 동안 알려져 왔다. 그러나 용광로 내부의 상태는 난해하며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대부분 알려지지 않았다. 측정은 설사 가능하더라도 특히 용광로 바닥 부분에서 복잡하다. 제철 업체의 경우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고온 철로 끝내기 위해 운영 노하우와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바닥 부분에서의 측정은 용광로의 바깥 쪽 가장자리 또는 그 근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에서는 일반적으로 조건이 보다 유리하다.
매우 중요한 공정 파라미터는 송풍구를 통한 열풍(산소 농축 공기)의 흐름에 의해 대부분 형성되는 레이스웨이의 크기(주로 깊이)이다. 레이스웨이 깊이는 용광로 바닥의 가스 및 주입 석탄의 연소와 관련이 있으며 지금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과거에는, 용광로 벽면에 온도 및 압력 센서를 설치했지만, 그 측정치는 용광로의 바닥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상이한 송풍구들에 걸친 열풍 및 석탄 분배와 용광로 바닥 부분의 내부 상태에 대한 영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용광로의 안정성 및 균질성은 일정한 품질을 양호한 속도로 생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제철 업체는 용광로 내의 공정을 더 잘 제어하는 데 관심이 크다.
레이스웨이 깊이는 석탄 주입 속도, 전환율(conversion), 장입 프로파일(charging profiles)(용광로 적재 방법), 가스 흐름, 응집 영역 특성, 데드 맨(dead man) 특성, 태핑 방법(tapping practice) 및 석탄/열풍 흐름 혼합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특정 시점에서 레이스웨이가 "붕괴"되고 그 이후에 세워진다고 믿어진다. 이것은 주기적인 움직임이지만 예측할 수 없는 과정인 것 같다.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와 빈번한 붕괴를 갖는 작은 레이스웨이 크기는 특정 레이스웨이를 떠나 바닥 부분 내로 그리고 용광로의 샤프트 내로 올라가는 낮은 가스 흐름을 나타낸다. 송풍구를 통한 가스 흐름을 증가시키면 코크스 베드에 대한 운동 에너지를 증가시켜 더 깊은 레이스웨이를 형성할 것이다.
CN106191350A는 레이더 시스템을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친 측정에 따라 레이스웨이 깊이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 측정은 데이터로 모델을 채우기 위해 개별 송풍구들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제안된 방법은 공정 제어를 위해 충분히 정확하지 않다. 이와 같은 레이더 측정 시스템은 시장의 현지 공급 업체에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더 나은 측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광로에서 더 나은 공정 제어와 제철 공정의 더 나은 안정성을 통해 용광로의 공정을 개선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 다른 목적은 용광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제철 공정의 수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부된 청구항의 특징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분할된 복수의 레이더 센서에 의해 복수의 송풍구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을 수행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상이한 송풍구들을 통해 레이더 센서로 레이스웨이 깊이를 측정한 결과 용광로 둘레에 따라 레이스웨이 깊이가 크게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안정된 공정을 위해서는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가 바람직하다고 믿어진다. 용광로에는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분할된 복수의 송풍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분할된 복수의 레이더 센서는 가능한 복수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더욱 잘 제어할 수 있다. 각 레이더 센서는 특정 송풍구 전용일 수 있지만,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송풍구에 대해 더 많은 전용 레이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를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송풍구에 대해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제어한다. 복수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가 동기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송풍구에 대한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 사이의 개개의 차이가 제어될 수 있다. 용광로 둘레의 열풍 흐름은 송풍구에 위치한 밸브들을 통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들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는 이력 측정치에 따라 설정되는 깊이이며 이러한 측정치는 특정 상황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용광로에 대해 관련이 있다.
상기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작은 개방 각도를 갖는 복수의 레이더 센서가 배치되어 레이더 센서가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분할된 하나 이상의 송풍구를 통해 측정한다. 레이더 센서는 레이스웨이 깊이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는 제어 시스템으로 보내진다. 그런 다음 데이터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다. 레이스웨이 깊이가 최적의 값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는 값들 사이의 최소 및 최대 레이스웨이 깊이를 정의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가 레이스웨이 깊이 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안정성, 수율 및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레이스웨이 깊이가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것이 유리하다고 믿어진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보다 높은 값을 가질 때 하나 이상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감소시키고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보다 낮은 값일 때 하나 이상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열풍의 흐름이 높을수록 레이스웨이 깊이가 깊을 것이다. 따라서 열풍 흐름은 레이스웨이 깊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는 용광로 내부의 최적 공정을 위해 설정된 이상적인 상황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상부 가스 온도, 상부 가스 조성, 적외선 및/또는 가시 광선 이미지, 분광 측정치, CO 및/또는 CO2 양, 벽 온도 및 압력 측정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어 시스템에 보내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용광로 제어 측정치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결합하여 하나 이상의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에 보내진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정치를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와 결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광로 내부의 처리 조건을 보다 철저히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측정치들을 결합함으로써 데이터의 결합을 기반으로 보다 최적화된 용광로 작동이 달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2개 이상 송풍구의 하나 이상의 그룹을 통한 열풍 흐름을 제어한다. 용광로 내부의 공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송풍구를 그룹화하는 것이 좋다. 모든 단일 송풍구는 다른 송풍구에도 약간의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측정된 레이스웨이 깊이에 따라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2개 이상 송풍구의 그룹은 서로 인접한 2개 이상의 송풍구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로 마주 보는 적어도 2개의 송풍구를 그룹화해야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용광로 내부의 특정 처리 조건에 따라 다르며 제어 시스템은 용광로 둘레에 걸쳐 상이한 레이스웨이 깊이의 측정치에 따라 원하는 조합을 설정할 수 있다. 분명한 바와 같이, 거의 무한한 수의 송풍구들의 그룹의 조합이 있으며, 이는 송풍구들의 한 그룹이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송풍구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그룹은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대향하여 또는 다른 패턴으로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용광로의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의 시각화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정 운영자에게는 용광로 둘레의 레이스웨이 깊이에 대한 즉각적인 시각적 개요가 제공된다. 시각화는 해석이 훨씬 쉽기 때문에 데이터 목록에 비해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면 시스템이 이를 자동으로 제어하지 않는 경우 열풍 흐름을 필요에 따라 증가시거나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공정 운영자가 즉시 알 수 있다. 시각화는 공정 제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복수의 센서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를 제어 시스템에 연속적인 방식으로 보낸다. 모든 송풍구를 통한 열풍 흐름을 개별적으로 하지만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 모든 송풍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면 모든 송풍구가 다른 송풍구와 독립적으로 열풍 흐름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현대의 용광로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철을 생산하기 때문에, 이것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에 가깝게 유지하기 위해 측정이 연속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측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되고 즉각적인 제어와 균질성이 지체없이 보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이스웨이 깊이의 급격한 변화 역시 측정될 수 있다. 당연히, 용광로 내부의 조건의 필요성과 안정성에 따라 시간 간격도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용광로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준다.
도 3은 작동 중인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4는 작동 중인 시스템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5는 차선의 조건에서 용광로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의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6은 최적의 조건에서 용광로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의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7은 공정의 순서도를 보여준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적용될 때마다, 이들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1은 샤프트(shaft)(2), 응집 구역(cohesive zone)(3), 드리플링 구역(drippling zone)(4) 및 데드 맨 구역(dead man zone)(5)을 갖는 용광로(1)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드리플링 영역(4)에는 레이스웨이 깊이(R)를 갖는 레이스웨이(6)가 있으며, 도 2에 더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레이스웨이(6)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보여준다. 레이스 웨이는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에 의해 새 둥지(7) 앞의 용광로 코크스 베드에 형성된다. 송풍구(9)의 위치는 용광로(1)의 벽(14)에 있는 개구를 통해 표시되고 설치된다. 도면의 화살표는 송풍구(9)를 통해 드리플링 구역(4)의 새 둥지(7) 앞에 있는 코크스 베드 내로 통과하여 레이스웨이 깊이(R)를 갖는 레이스웨이(6)를 형성하는 열풍(8)의 흐름을 보여준다.
도 3에는 송풍구(9)에 환형 관(bustle pipe)(10)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환형 관(10)은 용광로의 둘레를 따라 진행하고 송풍구(9)에 밸브(18)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공한다. 석탄 주입 랜스(11)도 구성의 일부이다. 또한 용광로(1)의 송풍구(9)를 통해 측정하도록 구성된 레이더 센서(15)가 도시되어 있다. 레이더 센서(15)는 송풍구(9)를 통해 신호를 보내고 형성된 레이스웨이(6)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레이더 센서(15)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제어 시스템(16)으로 보내며, 이는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표시된다.
도 4는 송풍구(9)에 설치된 레이더 센서(15)의 평면도의 예를 보여준다. 명확성을 위해 3개의 레이더 센서(15)만 표시되지만,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분할 배치된 복수의 송풍구(9)에 더 많은 레이더 센서(15)를 설치할 수 있다. 레이스웨이 깊이(R)를 갖는 레이스웨이(6)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용광로(1)의 설계에 따라 다른 구성의 레이더 센서(15)를 선택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벽(14)도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분할 배치된 복수의 송풍구(9)에서 레이스웨이 깊이(R)의 시각화(17)를 보여준다. 모든 점은 레이스웨이 깊이(R)를 나타내며 이 시각화에서는 30개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가진 30개의 송풍구(9)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차선의 용광로 공정에서 플롯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여러 개의 레이스웨이 깊이(R)가 존재하며,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R)의 균일한 분포가 없다.
도 6에는 최적의 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송풍구(9)를 통과하는 열풍 흐름(8)에 의해 형성된 모든 레이스웨이 깊이(R)는 동일한 값을 가지므로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R)가 달성된다(도 5에서와 같이 30개의 송풍구(9)가 30개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가짐).
도 7은 본 발명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복수의 레이더 센서(15)는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분할 배치된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RM)을 수행한다.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는 특정 레이스웨이(6)의 레이스웨이 깊이(R)에서의 신호의 결과이다. 그 다음에 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는 레이더 센서(15)에 의해 제어 시스템(16)으로 보내진다.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함으로써 용광로(1)의 공정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16)은 적어도 하나의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와 비교한다. 이것은 원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주로 제어 시스템에 저장된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제어 시스템은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R)를 달성하기 위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의 차이에 따라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16)은 또한 상부(top) 가스 온도, 상부 가스 조성, 적외선 및/또는 가시 광선 이미지, 분광 측정치, CO 및/또는 CO2 양, 벽 온도 및 압력 측정치와 같은 여러 다른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다른 측정치들은 (M)으로 표시된다. 제어 시스템(16)은 다른 측정 데이터(M)를 수집할뿐만 아니라 이를 분석하고, 이를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와 결합한 다음,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그에 따라 조정하도록 조정된다. 공정 운영자가 용광로(1) 내부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빠르고 유용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정 제어 화면(17)에 레이스웨이 깊이(R)의 시각화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각화는 도 5 및 6에 더 명확하게 나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앞에서 본 발명이 논의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는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 예는 그에 따라 엄격하게 첨부된 청구항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반대로, 실시 예는 청구 범위를 이들 예시적인 실시 예로 제한하려는 의도없이 첨부된 청구 범위의 표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따라서만 해석되어야 하며, 청구 범위 문구의 가능한 모호성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사용하여 해결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용광로(1)의 레이스웨이 깊이(R)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어 시스템(16)에 의해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16)은 레이더 센서(15)에 의해 송풍구(9)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RM)을 수행하고, 상기 레이더 센서(15)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제어 시스템(16)으로 보내고, 제어 시스템(16)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와 비교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16)이 용광로(1)의 둘레에 분할 배치된 복수의 레이더 센서(15)에 의해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RM)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6)은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R)를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송풍구(9)에 대해 상기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상기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M)와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16)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가 상기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증가시키고,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가 상기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보다 낮은 값을 가진 경우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상부 가스 온도, 상부 가스 조성, 적외선 및/또는 가시 광선 이미지, 분광 측정치, CO 및/또는 CO2 양, 벽 온도 및 압력 측정치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어 제어 시스템(16)에 보내진 하나 이상의 다른 용광로 제어 측정치(M)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결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이 2개 이상의 송풍구(9)의 하나 이상의 그룹을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이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R)의 시각화(17)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더 센서(15)가 제어 시스템(16)에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연속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방법.
  8. 용광로(1)의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16)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16)은 송풍구(9)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RM)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15)를 구비하고, 레이더 센서(15)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제어 시스템(16)에 보내도록 구성되고, 제어 시스템(16)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시스템(16)은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분할 배치된 복수의 레이터 센서(15)에 의해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RM)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복수의 송풍구(9)에 대해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와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여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균일한 레이스웨이 깊이(R)를 달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감소시키고,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가 미리 결정된 레이스웨이 깊이(RP)보다 낮은 값을 갖는 경우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상부 가스 온도, 상부 가스 조성, 적외선 및/또는 가시 광선 이미지, 분광 측정치, CO 및/또는 CO2 양, 벽 온도 및 압력 측정치의 그룹에서 선택되어 제어 시스템(16)에 보내진 하나 이상의 다른 용광로 제어 측정치(M)와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을 결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송풍구(9)를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2개 이상의 송풍구(9)의 하나 이상의 그룹을 통한 열풍 흐름(8)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6)은 용광로(1)의 둘레에 걸쳐 레이스웨이 깊이(R)의 시각화(17)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더 센서(15)는 레이스웨이 깊이 측정치(RM)를 제어 시스템(16)에 연속 방식으로 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깊이(R) 제어 시스템.
KR1020217011824A 2018-11-27 2019-11-13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4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8604.1 2018-11-27
EP18208604 2018-11-27
PCT/EP2019/081096 WO2020108987A1 (en) 2018-11-27 2019-11-13 Method and system for raceway depth control in a blast furn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519A true KR20210094519A (ko) 2021-07-29

Family

ID=6450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24A KR20210094519A (ko) 2018-11-27 2019-11-13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87553A1 (ko)
JP (1) JP2022509210A (ko)
KR (1) KR20210094519A (ko)
CN (1) CN113166821A (ko)
WO (1) WO2020108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1617B (zh) * 2020-09-03 2022-03-11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定量评价高炉炉缸活跃指数的方法
EP4264155A1 (en) 2020-12-18 2023-10-25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and device for raceway depth control in a blast furna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813291L (sv) * 1978-12-27 1980-06-28 Aga Ab Forfarande for att overvaka en blestermasugn
JP4318614B2 (ja) * 2003-08-29 2009-08-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の操業方法
JP4778351B2 (ja) * 2006-04-13 2011-09-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炉操業方法
CN106191350B (zh) * 2016-08-30 2018-04-17 武汉钢铁有限公司 基于定点雷达的高炉下部风口工作状况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6821A (zh) 2021-07-23
JP2022509210A (ja) 2022-01-20
WO2020108987A1 (en) 2020-06-04
EP3887553A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4519A (ko) 용광로의 레이스웨이 깊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057626A (zh) 一种连铸坯角部晶粒细化的控制系统及方法
CN106521059B (zh) 用相控阵雷达测量高炉料面矿焦比来控制高炉气流分布的方法
CN110804684B (zh) 一种转炉co2-o2混合喷吹冶炼火点区温度动态控制方法
CN109675933A (zh) 一种棒材水冷闭环控制工艺方法和控制系统
CN201741052U (zh) 连续退火炉加热前区钢板温度检测控制装置
CN109266808A (zh) 转炉的综合感知方法
CN104531936B (zh) 基于火焰图像特征的转炉钢水碳含量在线测量方法
CN106125790A (zh) 模面和板料多点闭环测控的热冲压温度控制系统
CN101929806A (zh) 一种脉冲加热炉控制方法
KR100703557B1 (ko) 혼합가스의 발열량 변동 감소를 위한 제철 부생가스의 혼합방법
CN108106754A (zh) 一种工业设备险情的动态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06435085B (zh) 一种解决转炉自动化炼钢氧枪工作氧压不稳定的方法
CN202849470U (zh) 一种三通道炉风口炉况监测装置
JP2019535995A (ja) 湯面高さの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CN108387107B (zh) 一种回转窑险情的动态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208297008U (zh) 一种工业设备险情的动态监测装置
CN207908413U (zh) 一种工业设备炉衬剥落的动态监测装置
CN108165690B (zh) 一种高炉料流阀控制方法
Shirshov et al. Improving the automatic blast distribution in blast furnaces
KR101100606B1 (ko) 비접촉식 복사 온도계용 커버 및 이를 사용한 비접촉식 복사 온도계
CN104923575A (zh) 轧钢温度控制方法
Lyalyuk et al. Uniformity of blast-furnace parameters over the perimeter
KR101300686B1 (ko) 고로의 연소대 측온 장치
EP42641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ceway depth control in a blas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