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143A -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 Google Patents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143A
KR20210094143A KR1020217022990A KR20217022990A KR20210094143A KR 20210094143 A KR20210094143 A KR 20210094143A KR 1020217022990 A KR1020217022990 A KR 1020217022990A KR 20217022990 A KR20217022990 A KR 20217022990A KR 20210094143 A KR20210094143 A KR 2021009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signal
subbands
energy
reverberation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184B1 (ko
Inventor
쩌신 류
레이 먀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2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6858A/ko
Publication of KR2021009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73Transcoding, i.e. converting between two coded representations avoiding cascaded coding-de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2Mode decision, i.e. based on audio signal content versus extern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59Digital compression and data reduction techniques where the origin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ubset or similar information, e.g. lossy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60General implementation detail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compression
    • H03M7/6047Power optimization with respect to the encoder, decoder, storage or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가 제공된다. 인코딩 방법은: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310);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기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320);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330);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340)를 포함한다.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MULTICHANNEL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CODEC}
본 출원은 2017년 4월 12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236773.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오디오 인코딩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이 개선됨에 따라, 고품질 오디오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모노 오디오와 비교하여, 스테레오 오디오는 각각의 음원에 대한 방위의 감각 및 분포의 감각을 제공하고, 사운드의 개선된 명료도, 요해도(intelligibility), 및 현장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테레오 오디오는 매우 인기가 있다.
스테레오 처리 기술들은 주로 mid/side(Mid/Sid, MS) 인코딩, 강도 스테레오(Intensity Stereo, IS) 인코딩, 및 파라메트릭 스테레오(Parametric Stereo, PS) 인코딩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PS 인코딩을 사용하여 다채널 신호를 인코딩할 때, 인코더 측이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함으로써, 디코더 측이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비교적 많은 양의 비트들이 점유될 필요가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는,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더 나쁜 청각 효과를 야기한다.
본 출원은 인코딩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를 제공한다.
제1 방면에 따르면,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기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인코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종래 기술의 방식과 비교하여, 비트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면 다량의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다른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다운믹싱된 신호에 더 많은 비트들을 할당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전체 인코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채널간 코히런스 IC,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채널간 레벨 차이 IL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상기 채널 신호의 에너지 또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상기 IC, 상기 ILD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부터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신호 품질을 고려하여 비트들이 어느 정도 절약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에 더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도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의 값들은 정규화 처리 후에 획득된 값들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신호들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채널 신호들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클 때, 채널 신호와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 경우,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은 정규화 처리 후에 획득된 값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또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는 서로 비교적 유사한 2개의 채널 신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2개의 채널 신호가 비교적 유사할 때, 2개의 채널 신호를 혼합하여 획득된 혼합 신호는 혼합 전의 2개의 채널 신호와 비교적 유사하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또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는 서로 비교적 상이한 2개의 채널 신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예로서 사용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상기 제1 차이 값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이 값이 비교적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이 값이 비교적 작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를 비교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또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와 비교적 상이할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인코딩하는 것은 비트들을 어느 정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코딩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모든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여전히 인코딩되고, 모든 주파수 대역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면, 최종적으로 복원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원래 신호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큰 왜곡을 갖는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클 때, 보통 고주파 부분에서는 그 2개의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크지만, 저주파 부분에서는 그 2개의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작다. 그러나, 저주파 부분에서의 채널 신호는 인간 청각 경험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클 때,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코딩된 비트가 절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각 경험도 보장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차이 값이 상기 제1 임계치 이하이거나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클 때,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을 인코딩하여, 인코딩 동안 비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잔향 처리 동안 야기되는 신호 왜곡을 가능한 한 많이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작을 때, 상기 채널 신호에 대한 잔향 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왜곡은 매우 작다. 더 나은 청각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제2 주파수 대역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크다.
상기 고주파 부분의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M과 N은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M은 N보다 작음 -;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모든 부대역일 수 있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초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광대역 부분에서의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부대역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를 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는 광대역 신호 또는 초광대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모든 부대역일 수 있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초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광대역 부분에서의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부대역들일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M개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진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진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진폭보다 크다. M의 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의 K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K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의 L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L은 0보다 큰 실수이다.
K 및 L은 상이한 값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과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비교할 수 있다. 계산 복잡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과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단순화되고, 효율이 개선된다.
비교적 큰 에너지를 갖는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비교적 작은 에너지를 갖는 다른 부대역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에 위치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큼 -; 및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제1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대역 내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는 상기 M개의 부대역 중 상기 제1 부대역을 제외한 다른 부대역 내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상기 M개의 부대역에서 비교적 큰 에너지를 갖는 최대 주파수의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분포가 고르지 않은 것으로, 즉,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및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방면과 관련하여, 제1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추정되거나 도출되고, 이는 계산량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방면에 따르면,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대응하는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
제3 방면에 따르면,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N은 0보다 큰 정수임 -;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특정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는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직접 선택될 수 있다.
제3 방면과 관련하여, 제3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및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4 방면에 따르면,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N은 0보다 큰 정수임 -;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디코더 측이,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직접 결정할 수 있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디코더 측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이 감소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제4 방면과 관련하여, 제4 방면의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및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방면에 따르면, 인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인코더는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6 방면에 따르면, 디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디코더는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7 방면에 따르면, 인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인코더는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8 방면에 따르면, 디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디코더는 제4 방면 또는 제4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9 방면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10 방면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11 방면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12 방면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코더가 제공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제4 방면 또는 제4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13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4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5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6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제4 방면 또는 제4 방면의 다양한 구현들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인코딩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디코딩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인코딩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인코딩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10. 좌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L로 표현됨) 및 우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R로 표현됨)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 및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110은 구체적으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을 수행하여 좌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 및 우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다운믹싱 처리 후에 획득된 다운믹싱된 신호는 모노 오디오 신호이고, 오디오 신호들의 원래 2개의 채널이 다운믹싱 처리에 의해 오디오 신호의 하나의 채널로 합성됨).
공간 파라미터(공간 감지 파라미터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는 채널간 코히런스(Inter-channel coherent, IC), 채널간 레벨 차이(Inter-channel Level Difference, ILD), 채널간 시간 차이(Inter-channel Time Difference, ITD), 채널간 위상 차이(Inter-channel Phase Difference, IPD) 등을 포함한다.
IC는 채널간 상호 코히런스 또는 코히런스를 기술한다. 이 파라미터는 음장 범위의 감지를 결정하고, 오디오 신호의 공간 감지 및 사운드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ILD는 스테레오 소스의 수평 방향 각도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채널간 강도 차이를 기술하고, 이 파라미터는 전체 스펙트럼의 주파수 성분들에 영향을 미친다. ITD 및 IPD는 음원의 수평 방향들을 표현하는 공간 파라미터들이고, 채널간 시간 및 위상 차이들을 기술한다. 이 파라미터들은 주로 2kHz 아래의 주파수 성분들에 영향을 미친다. 2개의 채널 신호에 대해, ITD는 좌측 채널 신호와 스테레오의 우측 채널 신호 간의 시간 지연을 표현할 수 있고, IPD는 시간 정렬 후에 스테레오의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파형 유사성을 표현할 수 있다. ILD, ITD, 및 IPD는 음원 위치의 인간의 귀의 감지를 결정하고, 음원 위치를 효과적으로 결정하고, 스테레오 신호 복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행할 수 있다.
120.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130. 공간 파라미터들을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140.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획득된 비트스트림 및 공간 파라미터들을 인코딩하여 획득된 비트스트림을 다중화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인코딩을 통해 획득된 비트스트림은 디코더 측 디바이스에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디코딩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210. 비트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획득된 비트스트림 및 공간 파라미터를 인코딩하여 획득된 비트스트림을 개별적으로 획득한다.
역다중화된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디코딩하는 것을 통해 다운믹싱된 신호 및 공간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단계 210에서는, 디코더 측이 다운믹싱된 신호 및 공간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공간 파라미터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IC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220. 디-코히런스 신호를 획득한다.
또한, 현재 프레임의 디코딩된 다운믹싱된 신호 및 디-코히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획득한다.
230. 공간 파라미터들,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출력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도 2에서 L' 및 R'로 각각 표현됨)를 획득한다.
단계 230에서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각각 도 2에서 L' 및 R'로 표현됨)는 디코딩을 통해 획득되고, 인코더 측에서 인코딩되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운믹싱된 신호가 필터링될 수 있고, 그 후 채널간 코히런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다운믹싱된 신호를 정정하여 디-코히런스 신호를 획득한다.
디-코히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목적은 디코더 측에서 최종적으로 생성된 스테레오 신호의 잔향의 감각을 개선하고, 스테레오 신호의 음장 폭을 증가시켜서, 출력 오디오 신호가 청각 감각에 관하여 더 부드럽고 충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잔향의 감각은 본질적으로 원래 오디오 신호를 상이하게 반사 및 굴절시키는 등 지연시킨 다음 반사 및 굴절된 오디오 신호들을 원래 오디오 신호에 중첩시켜 인간의 귀에 들어가는 효과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다채널 신호가 인코딩될 때, 다채널 신호는 보통 복수의 부대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IC가 결정되고,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IC가 후속하여 인코딩된다. 그러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IC를 인코딩하는 것은 인코딩 동안 점유된 비트들의 수량을 필연적으로 증가시킨다. 일부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복수의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을 때, 복수의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들은 비교적 상이하다. 이 경우, 복수의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들에 대응하는 IC들이 여전히 인코딩되고, 디코더 측이 복수의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에 대응하는 IC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들에 대해 잔향 처리를 수행하면, 복수의 복원된 채널 신호가 크게 왜곡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제공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일부 부대역들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인코딩을 위해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비트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에서의 방법은 인코더 측 디바이스 또는 인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310.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다채널 신호는 복수의 채널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단계 310 전에, 방법은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다운믹싱된 신호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프로세스 간의 순서에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그 프로세스들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믹싱된 신호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들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및 IC, ILD, ITD, 및 IPD와 같은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동일한 공간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또한 동일한 초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제1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와 제2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가 동일하고, 제1 채널 신호의 초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와 제2 채널 신호의 초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동일하다.
또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이 10개의 부대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대역이 하나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그 인덱스 값들이 동일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동일하다.
또한, 제1 채널 신호, 제2 채널 신호, 및 다운믹싱된 신호는 정규화 처리 후에 획득된 채널 신호들일 수 있다.
320.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330.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플래그 비트를 이용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10개의 부대역을 포함하고(부대역들의 인덱스 번호들은 0 내지 9임),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10개의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10개의 플래그 비트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10개의 부대역에 연속적으로 대응한다. 부대역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이다. 그러나, 부대역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가 0이면,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코딩을 수행할 때, 인코더 측은 그 플래그 비트가 1인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만을 인코딩한다.
대안적으로,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하나의 플래그 비트만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플래그 비트는 1 또는 0이다.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이는 선택된 목표 부대역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인코딩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플래그 비트가 0일 때, 이는 모든 부대역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인코딩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의 인덱스 번호들은 0 내지 9 이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이 목표 부대역들이다. 이 경우, 파라미터 지시 정보의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 파라미터 지시 정보의 플래그 비트가 0일 때,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9인 부대역들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
340.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파라미터 지시 정보, 및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인코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종래 기술의 방식과 비교하여, 비트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면 다량의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다른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다운믹싱된 신호에 더 많은 비트들을 할당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전체 인코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선택될 수 있고,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인코딩되지 않을 것이다.
옵션으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생성되고 있을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생성될 수 있고, 즉,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생성되고, 그 후 모든 잔향 이득 파라미터 중의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만이 인코딩 동안 인코딩된다.
대안적으로, 인코딩 효율을 더 개선하기 위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이 수행될 때,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만이 생성될 수 있지만, 인코딩되지 않는 나머지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생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이 수행될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만이 결정될 수 있고,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른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결정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코딩 효율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의 크기, 및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L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또는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채널간 코히런스, 및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채널간 레벨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적절히 결정되어, 비트들이 어느 정도 절약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을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을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에 더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도 인코딩될 수 있다. 즉,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을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에 기초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될 때,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 값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IC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 값이 비교적 작을 때(이 경우,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 값이 비교적 클 때(이 경우,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고주파 부분의 부대역들 및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또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상기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있을 때,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또는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 및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은 정규화 처리 후에 획득된 값들일 수 있다.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신호들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채널 신호들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클 때, 제1 채널 신호와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또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높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는 서로 비교적 유사한 2개의 채널 신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2개의 채널 신호가 비교적 유사할 때, 2개의 채널 신호를 혼합하여 획득된 혼합 신호는 혼합 전의 2개의 채널 신호와 비교적 유사하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또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낮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는 서로 비교적 상이한 2개의 채널 신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예로서 사용된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상기 제1 차이 값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이 값이 비교적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이 값이 비교적 작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차이 값 및 제2 차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임계치를 초과할 때,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되고, 이는 비트들을 어느 정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인코딩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여전히 인코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모든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여전히 인코딩되고, 모든 주파수 대역의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면, 최종적으로 복원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원래 신호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큰 왜곡을 갖는다.
물론, 대안적으로, 제1 차이 값과 제2 차이 값 둘 다가 대응하는 임계치들보다 클 때에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중의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최저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최저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중의 중간 주파수 값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일부의 주파수들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크고, 모든 주파수 대역의 다른 부분의 주파수들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음), 즉,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중간 주파수 값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옵션으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제2 주파수 대역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크다.
즉, 복수의 주파수 빈은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고주파 부분에서의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을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그에 의해 계산 프로세스를 단순화한다.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을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을 비교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도 3에서의 방법은: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 이하이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 이하이고,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 이하일 때,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은 비교적 작다. 이 경우,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는 비교적 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출력 채널 신호의 잔향의 감각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클 때,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을 인코딩하여, 인코딩 동안 비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잔향 처리 동안 야기되는 신호 왜곡을 가능한 한 많이 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 둘 다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작을 때, 상기 채널 신호에 대한 잔향 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신호 왜곡은 매우 작다. 더 나은 청각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신호가 좌측 채널 신호이고 제2 채널 신호가 우측 채널 신호일 때, 제1 차이 값 및 제2 차이 값은 다음의 공식들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1)
Figure pat00002
(2)
Figure pat00003
는 제1 차이 값이고,
Figure pat00004
는 제2 차이 값이고,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 각각의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부분 및 저주파 부분을 포함하고, M1은 고주파 부분의 시작 주파수 빈이고, M2는 고주파 부분의 끝 주파수 빈이고,
Figure pat00005
는 M1과 M2 사이에 인덱스 k를 갖는 주파수 빈에서의 좌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이고,
Figure pat00006
는 M1과 M2 사이에 인덱스 k를 갖는 주파수 빈에서의 우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이고,
Figure pat00007
는 M1과 M2 사이에 인덱스 k를 갖는 주파수 빈에서의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이고,
Figure pat00008
는 다운믹싱된 신호 자체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들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공식 (1) 및 (2)에 기초하여 제1 차이 값 및 제2 차이 값이 계산된 후에, 제1 차이 값 및 제2 차이 값에 대해 프레임간 평활화 처리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고(평활화 처리는 제1 차이 값, 제2 차이 값, 및 이전 프레임에서 계산된 차이 값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평활화 처리를 통해 획득된 제1 차이 값과 제2 차이 값 둘 다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들 간의 관계들을 이용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M과 N은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M은 N보다 작음 -;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를 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에 기초하여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의 K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K는 0보다 큰 실수이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의 L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L은 0보다 큰 실수이다.
K 및 L은 상이한 값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M이 N-M보다 클 때, K는 L보다 작을 수 있고, M이 N-M보다 작을 때, K는 L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과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평균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비교할 수 있다. 계산 복잡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과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단순화되고, 효율이 개선된다.
비교적 큰 에너지를 갖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비교적 작은 에너지를 갖는 다른 부대역 간의 차이들이 비교적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차이가 비교적 큰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저주파 부분에서의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중간 주파수 부분에서의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큼 -; 및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제1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대역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는 상기 M개의 부대역 중 상기 제1 부대역을 제외한 다른 부대역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상기 M개의 부대역에서 비교적 큰 에너지를 갖는 최대 주파수의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분포가 고르지 않은 것으로, 즉, 상기 제1 채널 신호와 상기 제2 채널 신호 간의 코히런스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주파수 대역들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는 광대역 신호 또는 초광대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모든 부대역일 수 있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초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N개의 부대역은 광대역 부분에서의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부대역들일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크기에 더하여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진폭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에서 상기 M개의 부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개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진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진폭은 상기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진폭보다 크다.
M의 값은 인코딩 전에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는 총 10개의 부대역을 포함한다. 이 경우, 최대 에너지 또는 진폭을 갖는 4개의 부대역이 선택될 수 있다. 다운믹싱된 신호의 4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들(에너지 또는 진폭 값들의 합일 수 있거나, 또는 에너지 또는 진폭 값들의 평균 값일 수 있음)이 다운믹싱된 신호의 나머지 6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또는 진폭 값들의 미리 결정된 배수보다 클 때,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다음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유효할 때, 일부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될 수 있다.
조건 1: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또는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 또는 차이 값들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미리 설정된 임계치들보다 크다.
조건 2: 다운믹싱된 신호의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가 다운믹싱된 신호의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미리 결정된 배수보다 크다.
조건 3: M개의 부대역 중의 제1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크다.
제1 부대역에서의 임의의 스펙트럼 계수의 주파수가 M개의 부대역 중 제1 부대역을 제외한 다른 부대역의 임의의 스펙트럼 계수의 주파수보다 크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및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J는 미리 설정된 미리 결정된 수량일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고정된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는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직접 그리고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자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정되거나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결정될 때, 계산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단순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에서의 방법은 디코더 측 디바이스 또는 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의 디코딩 방법은 도 3에서의 인코딩 방법에 대응한다. 도 4에서의 디코딩 방법은 도 3에서의 인코딩 방법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획득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10.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
420.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획득한다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플래그 비트를 이용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10개의 부대역(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9인 부대역들)을 포함하고,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10개의 플래그 비트를 포함하고, 10개의 플래그 비트는 다채널 신호 각각의 10개의 부대역에 연속적으로 대응한다. 부대역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이다. 부대역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가 0이면,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아니다. 구체적으로,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들이 1이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6 내지 9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들이 0이면, 디코더 측은 디코딩 동안 그 인덱스 번호들이 1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을 디코딩한다.
430.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440. 다운믹싱된 신호 및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대응하는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디코더 측은 디-코히런스 신호를 추가로 획득하고,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디-코히런스 신호를 정정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후, 정정된 디-코히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이 10개의 부대역(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9인 부대역들)을 포함하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면, 디코더 측은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을 획득하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6 내지 10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획득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코더 측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해서만 잔향 처리를 수행하고,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그 인덱스 번호들이 6 내지 10인 부대역들에 대해서는 잔향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디-코히런스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히런스 신호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측 채널 신호 및 상기 우측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한다. 현재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는 dmx이고, 현재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는 dmx_pred이고, 목표 다운믹싱된 이득 파라미터는 gain이다. 그 후, dmx_pred 및 gain에 기초하여 디-코히런스 신호 tmp가 먼저 획득된다. 그 후, 현재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디-코히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L=dmx+tmp 및 우측 채널 신호 R=dmx-tmp가 획득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예를 이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다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하고,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인코딩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10. 좌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 및 우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및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예컨대 IC, ILD, ITD, 및 IPD)을 포함한다.
520. 좌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L로 표현됨) 및 우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R로 표현됨)에 대해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한다.
530.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선택한다.
540.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및 다운믹싱된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량화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다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도 6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도 6에서의 디코딩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610.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620.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한다.
630. 비트스트림 중의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고, 플래그 정보의 플래그 비트에 기초하여, 디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640.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서, 잔향 처리를 위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및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예컨대, IC, ILD, ITD, 및 IPD)을 디코딩한다.
640. 디코딩을 통해 획득된 공간 파라미터들에 대해 후속 처리(예를 들어, 평활화 필터링)를 수행한다.
650. 디코딩을 통해 획득되는 다운믹싱된 신호 및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업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획득한다.
업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획득한 후에, 코히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개별적으로 잔향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디코딩을 통해 획득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되고,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잔향 처리 후에 획득된 채널 신호의 품질을 보장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7에서의 방법은 인코더 측 디바이스 또는 인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710.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본 출원은 다운믹싱된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간의 순서에 어떠한 제한도 두지 않는다. 그 프로세스들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믹싱된 신호는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공간 파라미터 분석을 수행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 및 제1 채널 신호와 제2 채널 신호 간의 IC, ILD, ITD, IPD 등을 포함한다.
720.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자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정되거나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가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결정될 때, 계산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단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다.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수량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730. 다운믹싱된 신호 및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한다.
또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는 광대역 신호 또는 초광대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복수의 부대역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모든 부대역일 수 있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가 초광대역 신호일 때, 상기 복수의 부대역은 광대역 부분에서의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부대역들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특정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는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직접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8에서의 방법은 디코더 측 디바이스 또는 디코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서의 디코딩 방법은 도 7에서의 인코딩 방법에 대응한다. 도 8에서의 디코딩 방법은 도 7에서의 인코딩 방법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획득된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서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810.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
820.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비트스트림이 먼저 역다중화될 수 있고, 그 후 다운믹싱된 신호에 대응하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830.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다.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된다.
인코더 측과 디코더 측 둘 다는,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동일한 규칙에 따라,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코더 측은 비트스트림에서 인코딩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디코더 측은 동일한 규칙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 측은,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라고 결정하고, 인코더 측은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수량화하고, 수량화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하고, 비트스트림을 디코더 측으로 송신한다. 디코더 측은, 비트스트림을 수신한 후에,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또한 기초하여,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라고 결정하고, 그 후 디코더 측은 그 인덱스 번호들이 0 내지 5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한다.
840.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더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코더 측에 의해 인코딩된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 예컨대 IC, ILD, ITD, 및 IPD가 획득될 수 있다.
850. 다운믹싱된 신호 및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한다.
본 출원에서는, 디코더 측이,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직접 결정할 수 있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디코더 측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이 감소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디코더 측은 디-코히런스 신호를 추가로 획득하고,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디-코히런스 신호를 정정한다(디-코히런스 신호는 다운믹싱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그 후, 정정된 디-코히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이 10개의 부대역을 포함하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1, 3, 5, 및 7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면, 디코더 측은 그 인덱스 번호들이 1, 3, 5, 및 7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을 획득하고, 그 인덱스 번호들이 2, 4, 6, 8, 9, 및 10인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은 획득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코더 측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그 인덱스 번호들이 1, 3, 5, 및 7인 부대역들에 대해서만 잔향 처리를 수행하고,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그 인덱스 번호들이 2, 4, 6, 8, 9, 및 10인 부대역들에 대해서는 잔향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할 때,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디-코히런스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히런스 신호 및 상기 현재 프레임의 다운믹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좌측 채널 신호 및 상기 우측 채널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예를 이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다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하고,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인코딩하는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910. 좌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 및 우측 채널 신호의 공간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및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예컨대 IC, ILD, ITD, 및 IPD)을 포함한다.
920. 좌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L로 표현됨) 및 우측 채널 신호(도면에서 R로 표현됨)에 대해 다운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한다.
930.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를 결정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자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좌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우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추정되거나 도출될 수 있다.
940.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선택한다.
950.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및 다운믹싱된 신호를 수량화하여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다채널 신호는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도 10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도 10에서의 디코딩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010.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비트스트림을 획득한다.
1020.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여 다운믹싱된 신호를 획득한다.
1030.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를 결정한다.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자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좌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우측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추정되거나 도출될 수 있다.
1040.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잔향 처리를 위한 부대역들을 적응적으로 선택한다.
1050.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잔향 처리를 위한 선택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및 다른 공간 파라미터들(예컨대, IC, ILD, ITD, 및 IPD)을 디코딩한다.
1060. 디코딩을 통해 획득되는 다운믹싱된 신호 및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잔향 이득 파라미터는 인코더 측에 의해 조정된 잔향 이득 파라미터임)에 기초하여 업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획득한다.
업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를 획득한 후에, 코히런스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개별적으로 잔향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에서는, 디코딩을 통해 획득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되고,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좌측 채널 신호 및 우측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잔향 처리 후에 획득된 채널 신호의 품질을 보장한다.
전술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인코더 및 디코더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8에서의 인코더 및 디코더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에서 인코더 및 디코더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간결성을 위해, 반복된 설명은 아래에서 적절히 생략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1에서의 인코더(1100)는: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110) -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1110)은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유닛(1120)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인코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종래 기술의 방식과 비교하여, 비트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면 다량의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다른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다운믹싱된 신호에 더 많은 비트들을 할당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전체 인코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인코더(1100)는 도 3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인코더(1100)는 도 3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110)은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제2 주파수 대역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크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M과 N은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M은 N보다 작음 -;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의 L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일부이고, L은 0보다 큰 실수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큼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제1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대역 중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는 상기 M개의 부대역 중 상기 제1 부대역을 제외한 다른 부대역 중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2에서의 디코더(120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1210) -
상기 획득 유닛(1210)은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획득 유닛(1210)은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220)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대응하는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
디코더(1200)는 도 4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디코더(1200)는 도 4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3에서의 인코더(1300)는: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310) -
상기 처리 유닛(1310)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N은 0보다 큰 정수임 -;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인코딩 유닛(1320)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특정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인코더(1300)는 도 7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인코더(1300)는 도 7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유닛(1310)은: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4에서의 디코더(140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획득 유닛(1410);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1420);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처리 유닛(1430) - N은 0보다 큰 정수임 -;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처리 유닛(1440);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4 처리 유닛(1450)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디코더 측이,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직접 결정할 수 있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디코더 측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이 감소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디코더(1400)는 도 8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디코더(1400)는 도 8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처리 유닛(1420)은: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5에서의 인코더(150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510);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5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520)는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생성하고 -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부대역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 및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가 인코딩되고 있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만이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모든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종래 기술의 방식과 비교하여, 비트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고, 인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이 인코딩된다면 다량의 절약된 비트들을 사용하여 다른 파라미터를 인코딩하거나 다운믹싱된 신호에 더 많은 비트들을 할당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전체 인코딩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인코더(1500)는 도 3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인코더(1500)는 도 3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520)는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및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코히런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520)는: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 각각은 복수의 주파수 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1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1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제2 차이 값을 결정하고 - 상기 제2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에서의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와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 간의 차이 값들의 절대 값들의 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1 차이 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고, 상기 제2 차이 값이 제2 임계치보다 클 때,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작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빈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제2 주파수 대역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중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크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M과 N은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M은 N보다 작음 -;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와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 간의 크기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이 상기 N-M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의 합의 L배보다 클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일부이고, L은 0보다 큰 실수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M개의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상기 M개의 부대역을 제외한 N-M개의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큼 -; 상기 M개의 부대역 중의 제1 부대역의 인덱스 값이 미리 설정된 인덱스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제1 주파수 대역의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라고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대역 중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는 상기 M개의 부대역 중 상기 제1 부대역을 제외한 다른 부대역 중의 임의의 주파수 빈의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 각각의 모든 주파수 대역 중의 일부이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520)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를 결정하고;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에너지는 상기 제1 채널 신호의 에너지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6에서의 디코더(160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610);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6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62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파라미터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의 대응하는 부대역에 대해 잔향 처리가 수행된다.
디코더(1600)는 도 4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디코더(1600)는 도 4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7에서의 인코더(170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710);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7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720)는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 및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 N은 0보다 큰 정수임 -;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각각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모든 부대역 중 특정 수량의 부대역이 직접 선택되어, 인코딩될 필요가 있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가 더 유연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인코더(1700)는 도 7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인코더(1700)는 도 7에서의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720)는: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에서의 디코더(180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810);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8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82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다채널 신호 중의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다운믹싱된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의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 N은 0보다 큰 정수임 -; 상기 비트스트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다운믹싱된 신호 및 상기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는, 디코더 측이, 다운믹싱된 신호의 복수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신호 및 제2 채널 신호의 상이한 부대역들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 중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직접 결정할 수 있어, 인코딩된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디코더 측에 의해 점유되는 비트들이 감소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디코더(1800)는 도 8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에 대응할 수 있고, 디코더(1800)는 도 8에서의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820)는: 상기 N개의 부대역의 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부대역 중 J개의 목표 부대역을 결정하고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 중의 임의의 부대역의 에너지는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과 상이한 다른 부대역의 에너지보다 크고, N과 J는 둘 다 0보다 큰 정수들이고, J는 N보다 작음 -; 상기 J개의 목표 부대역에 대응하는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을 목표 잔향 이득 파라미터들로서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들과 조합하여,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 응용들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목적으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들을 참조하고,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논리적 기능 구분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디스플레이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하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질적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몇몇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출원의 특정 구현들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쉽게 안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치환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

  1. 제1항에 따른 방법.
KR1020217022990A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KR102424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5038A KR202201068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36773.3A CN108694955B (zh) 2017-04-12 2017-04-12 多声道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器
CN201710236773.3 2017-04-12
KR1020197032917A KR102281822B1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PCT/CN2018/077790 WO2018188424A1 (zh) 2017-04-12 2018-03-01 多声道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917A Division KR102281822B1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038A Division KR202201068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143A true KR20210094143A (ko) 2021-07-28
KR102424184B1 KR102424184B1 (ko) 2022-07-25

Family

ID=6379297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036A KR202400421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KR1020227025038A KR202201068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KR1020197032917A KR102281822B1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KR1020217022990A KR102424184B1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036A KR202400421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KR1020227025038A KR20220106858A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다채널 신호 디코딩 방법, 인코더, 및 디코더
KR1020197032917A KR102281822B1 (ko) 2017-04-12 2018-03-01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827297B2 (ko)
EP (2) EP4365894A2 (ko)
JP (4) JP6874151B2 (ko)
KR (4) KR20240042158A (ko)
CN (2) CN108694955B (ko)
BR (1) BR112019021361A2 (ko)
WO (1) WO2018188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4955B (zh) 2017-04-12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声道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器
GB201718341D0 (en) 2017-11-06 2017-12-20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ation of targeted spatial audio parameters and associated spatial audio playback
GB2572650A (en) 2018-04-06 2019-10-09 Nokia Technologies Oy Spatial audio parameters and associated spatial audio playback
GB2574239A (en) 2018-05-31 2019-12-04 Nokia Technologies Oy Signalling of spatial audio parameters
CN111988726A (zh) * 2019-05-06 2020-11-24 深圳市三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声合成单声道的方法和系统
CN111654745B (zh) * 2020-06-08 2022-10-14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声道的信号处理方法及显示设备
CN113132881B (zh) * 2021-04-16 2022-07-19 深圳木芯科技有限公司 基于多麦克风自适应控制佩戴者声音放大程度的方法
EP4379432A1 (en) 2021-07-26 2024-06-05 Sumitomo Electric Optifrontier Co., Ltd. Lens component,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module
WO2023092505A1 (zh) * 2021-11-26 2023-06-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立体声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编码设备、解码设备及存储介质
GB2616280A (en) * 2022-03-02 2023-09-06 Nokia Technologies Oy Spatial rendering of reverber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8107A1 (en) * 2004-07-02 2007-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dio signal decoding device and audio signal encoding device
EP1921605A1 (en) * 2005-09-01 2008-05-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coustic signal processing device
WO2010070016A1 (en) * 2008-12-19 2010-06-24 Dolby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reverb to a multi-channel audio signal using spatial cue parameters
KR20130029254A (ko) * 2011-09-14 201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그에 따른 엔코딩 장치, 및 그에 따른 디코딩 장치
EP2840811A1 (en) * 2013-07-22 2015-02-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ignal processing unit, binaural renderer, audio encoder and audio decoder
KR20160020572A (ko) * 2013-12-23 2016-02-2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이를 위한 파라메터화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767A (en) 1994-02-04 1998-03-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US5960390A (en) * 1995-10-05 1999-09-28 Sony Corporation Coding method for using multi channel audio signals
US7292901B2 (en) 2002-06-24 2007-11-06 Agere Systems Inc. Hybrid multi-channel/cue coding/decoding of audio signals
WO2004072956A1 (en) 2003-02-11 2004-08-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coding
WO2006022190A1 (ja) * 2004-08-27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オーディオエンコーダ
SE0402650D0 (sv) 2004-11-02 2004-11-02 Coding Tech Ab Improved parametric stereo compatible coding of spatial audio
KR20060109299A (ko) * 2005-04-14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한 서브밴드별 공간 정보들의부호-복호화 방법
CN101253556B (zh) * 2005-09-02 2011-06-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能量整形装置以及能量整形方法
FR2897212A1 (fr) * 2006-02-09 2007-08-10 France Telecom Procede de codage d'un signal audio source, dispositif de codage, procede de decodage, signal, support de donnees, produits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KR20070088958A (ko) * 2006-02-27 2007-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시각화 방법과 공간큐를 이용한음상정보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WO2008120933A1 (en) * 2007-03-30 2008-10-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multi object audio signal with multi channel
CN101350197B (zh) * 2007-07-16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立体声音频编/解码方法及编/解码器
CN100571043C (zh) * 2007-11-06 2009-12-16 武汉大学 一种空间参数立体声编解码方法及其装置
KR101444102B1 (ko) * 2008-02-20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오디오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0036059A2 (en) * 2008-09-25 2010-04-01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ignal
KR20100035121A (ko) * 2008-09-25 2010-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WO2011080916A1 (ja) * 2009-12-28 2011-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および音声符号化方法
JP5299327B2 (ja) 2010-03-17 2013-09-25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24852B2 (en) * 2011-02-02 2016-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the inter-channel time difference of a multi-channel audio signal
JP5737077B2 (ja) * 2011-08-30 2015-06-17 富士通株式会社 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オーディオ符号化方法及びオーディオ符号化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717262A1 (en) * 2012-10-05 2014-04-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ncoder, decoder and methods for signal-dependent zoom-transform in spatial audio object coding
CN105009207B (zh) * 2013-01-15 2018-09-2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处理信道信号的编码/解码装置及方法
US8804971B1 (en) 2013-04-30 2014-08-12 Dolby International Ab Hybrid encoding of higher frequency and downmixed low frequency content of multichannel audio
US9666198B2 (en) 2013-05-24 2017-05-30 Dolby International Ab Reconstruction of audio scenes from a downmix
WO2015059154A1 (en) 2013-10-21 2015-04-30 Dolby International Ab Audio encoder and decoder
JP2017058696A (ja) * 2016-12-09 2017-03-23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インターチャネル差分推定方法及び空間オーディオ符号化装置
CN108665902B (zh) * 2017-03-31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声道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器
CN108694955B (zh) * 2017-04-12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声道信号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8107A1 (en) * 2004-07-02 2007-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dio signal decoding device and audio signal encoding device
EP1921605A1 (en) * 2005-09-01 2008-05-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coustic signal processing device
WO2010070016A1 (en) * 2008-12-19 2010-06-24 Dolby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reverb to a multi-channel audio signal using spatial cue parameters
KR20130029254A (ko) * 2011-09-14 201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그에 따른 엔코딩 장치, 및 그에 따른 디코딩 장치
EP2840811A1 (en) * 2013-07-22 2015-02-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ignal processing unit, binaural renderer, audio encoder and audio decoder
KR20160020572A (ko) * 2013-12-23 2016-02-2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이를 위한 파라메터화 장치 및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URNHAGEN, Heiko, et al. Synthetic ambience in parametric stereo coding. Audio Engineering Society Convention 116. 2004.05.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8424A1 (zh) 2018-10-18
KR20190134752A (ko) 2019-12-04
KR20220106858A (ko) 2022-07-29
JP2020516955A (ja) 2020-06-11
EP3605847A1 (en) 2020-02-05
KR102424184B1 (ko) 2022-07-25
JP7379602B2 (ja) 2023-11-14
KR20240042158A (ko) 2024-04-01
EP4365894A2 (en) 2024-05-08
US11832087B2 (en) 2023-11-28
JP2024012444A (ja) 2024-01-30
CN110495105B (zh) 2021-03-30
EP3605847A4 (en) 2020-03-25
US20240056764A1 (en) 2024-02-15
CN108694955A (zh) 2018-10-23
US11178505B2 (en) 2021-11-16
JP2022160440A (ja) 2022-10-19
US20220046376A1 (en) 2022-02-10
CN110495105A (zh) 2019-11-22
JP7106711B2 (ja) 2022-07-26
KR102281822B1 (ko) 2021-07-26
US10827297B2 (en) 2020-11-03
CN108694955B (zh) 2020-11-17
JP2021121853A (ja) 2021-08-26
JP6874151B2 (ja) 2021-05-19
BR112019021361A2 (pt) 2020-05-05
US20210014632A1 (en) 2021-01-14
US20200045494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184B1 (ko) 다채널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코덱
JP7035154B2 (ja) マルチチャネル信号符号化方法、マルチチャネル信号復号化方法、符号器、及び復号器
KR20190009363A (ko) 채널 간 위상차 파라미터 추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