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554A -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 Google Patents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554A
KR20210093554A KR1020200007265A KR20200007265A KR20210093554A KR 20210093554 A KR20210093554 A KR 20210093554A KR 1020200007265 A KR1020200007265 A KR 1020200007265A KR 20200007265 A KR20200007265 A KR 20200007265A KR 20210093554 A KR20210093554 A KR 2021009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essure
piezoelectric sensor
textile structure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936B1 (ko
Inventor
박종진
안성철
조유장
박상기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9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 전달체의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굽어지면서 압전 물질의 국부 영역들에 압력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압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 with a pressure carrier in a three-dimensional textile structure}
본 발명은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 전달체에 외력이 가해질 때,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굽어지면서 압전 물질의 국부 영역들에 압력을 가하여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압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분야에서 입력 기술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움직임, 음성 인식 드으이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모든 장치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헬스케어용 입력 기술 장치는 맥박, 호흡, 심전도, 근육의 움직임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 pH, 염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생화학 센서, 주변 온도, 습도, 자외선 등을 검출할 수 있는 환경 센서를 포함하며, 다양한 자극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자극에 선택적이고 민감하게 감응하는 센서 소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자극에 감응하는 감지 센서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저항(resistive), 커패시턴스(Capacitive), 압전(piezoelectric), 마찰전기(Triboelectric), 초전(Pyroelectric)으로 분류된다.
압진 물질은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하게되면 전기를 발생하는 물질로, 고유의 결정 중심을 가지지 않는 결정 구조에 의해 쌍극자 모멘트가 형성되어 외부 전원 없이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전류 및 전압은 가해지는 자극에 비례하여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높은 반응 속도의 센서로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 물질로는 ZnO, PZT(Lead Zirconium Titanate), BaTiO3와 같은 무기 소재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기반 공중합체, Paraylene-C와 같은 고분자 유기 소재가 있다.
그러나, 무기 압전 물질은 유기 압전 물질에 비해 높은 압전 계수 및 압전 특성을 보이지만, 소재 고유의 강성으로 인해 유연 소자로 적용에 해결해야할 문제가 있으며, 유연한 고분자 압전 물질은 매우 유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적용에 적합하나 낮은 압전 특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삼차원 텍스타일의 압력 전달체에 외력을 가하게되면, 압전 물질의 국부 영역들에 압력이 가해지게됨으로써, 압력을 전달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압전 특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 물질; 및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로, 상기 압전 물질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상기 압전 물질의 국부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은 ZnO, GaN, Pb(Zr,Ti)O3(PZT), BaTiO3, PVDF, P(VDF-TrFE), P(VDF-TeFE), P(VDF-TrFE-CTFE), 셀룰로오스(Cellulo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힌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달체:는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 레이어층;과 하부 레이어층; 및 상기 상부 레이어층가 상기 하부 레이어층을 연결하는 필라멘트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어층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연결층을 통해 상기 하부 레이어층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압력 물질의 국부 영역에 압력이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은 멀티 필라멘트로 직조된 층이고, 상기 연결층의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프리-스트레인(Pre-strain)이 가해져 굽어진(bending)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직경은 0.06mm 내지 2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는 1mm 내지 100mm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밀도는 100ea/cm2 내지 1000ea/cm2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영역의 모노 필라멘트는 두께, 길이 또는 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전 센서; 및 상기 압전 센서에 구비되어,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는 복수 개의 모노 필라 멘트가 프리 스트레인(Prestrain)이 가해져 굽어진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외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압전 물질의 국부 지역들에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압전 물질에 가해지는 압력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는 감도가 우수하며,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센서로 사용되어 에너지 하베스팅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변형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종류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갖는 압전 센서를 보여주는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연결층에 대한 응력-압축 변형률 선도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들의 성능을 보여주는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 걸음 걸이에 대한 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 걸음 걸이에 대한 전압 충전 및 전류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100)는 압전 물질(110) 및 압력 전달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100)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와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하나의 스마트 웨어러블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압전 물질(110)은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로 ZnO, Gan, Pb(Zr,Ti)O3(PZT), BaTiO3, PVDF, P(VDF-TrFE), P(VDF-TeFE), P(VDF-TrFE-CTFE), 셀룰로오스(Cellulo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물질(110)은 위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상기 압전 물질(11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물질과 합성하여 1차원 또는 2차원 복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물질(110)은 면, 파이버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물질(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전극(111)이 각각 배치되며, 이에 따라, 압력에 의해 상기 압전 물질(110)에서 생성되는 전압이 상기 전극(111)에 의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전달체(120)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로, 상기 압전 물질(110)의 국부 지역들에 압력을 전달하며, 상부 레이어층(121), 하부 레이어층(122) 및 연결층(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은 외력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층이며,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은 상기 압전 물질(11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으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을 상기 압착 물질(110)로 전달하는 층, 그리고 상기 연결층(123)은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에 가해진 압력을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층이다.
또한, 상기 압력 전달체(120)는 상기 압전 물질(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거나, 양면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은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 형태로 이루어진 층으로, 상기 필라멘트는 멀티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층(123)은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필라멘트(123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층(123)의 필라멘트(123a)는 모노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123a)는 프리-스트레인(Pre-Strain)을 가하여 굽어지도록(bending) 변형된 상태로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라멘트(123a)를 프리 스트레인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에서부터 전달되는 압력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필라멘트(123a)를 일직선으로 핀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에 연결하면,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에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123a)가 구겨지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체 역할을 수행하게되는 문제가 있으나 미리 굽어진 상태로 프리 스트레인을 가하게되면, 에너지 흡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프리 스트레인이 가해진 상기 필라멘트(123a)가 초기 상태보다 더 굽어지게되면서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의 표면을 가압하게되고, 이를 통해 상기 압착 물질(110)까지 압력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라멘트(123a)의 개수만큼 상기 압착 물질(110)의 국부 지역에 압력이 가해지게되고, 압력이 전달되는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생산되는 전압 또한 증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변형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이미지로, 도 3의 a)는 모노 필라멘트가 굽어짐에 따라 하부 레이어층에 압력이 가해지는 표면적이 증가하는 시뮬레이션, 도 3의 b)는 모노 필라멘트가 압력이 가해질 때, 하부 레이어층에 형성되는 변형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도 3의 c)는 하부 레이어층의 변형에 따라 압전 물질에 생성되는 전압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123)의 필라멘트(123a)를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필라멘트(123a)가 굽어지면서 하부 레이어층(122)에 국부 지역에 압력을 가하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국부 지역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압전 물질(110)에서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123a)의 두께는 0.06mm 내지 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123a)의 길이는 1mm 내지 10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라멘트(123a)의 길이는 6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123a)의 밀도는 100ea/cm2 내지 1000ea/cm2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종류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갖는 압전 센서를 보여주는 이미지로, 도 4의 a)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연결층을 보여주는 사진, 도 4의 b)는 목에 착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측정 그래프, 도 4의 c)는 목에 착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2 측정 그래프를 보여준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레이어층(121)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필라멘트(123a)의 두께, 길이, 밀도가 상이하게 배치되도록 나뉠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층(123)이 압력을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으로 전달할 때 상기 하부 레이어층(122)으로 전해지는 압력이 각 영역마다 다르게 전달되어 상기 압전 물질(110)에 생성되는 전압의 크기 또한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영역으로 하나의 압전 센서(100)를 만들게되면, 각 영역마다 상이하게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신체 또는 사물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좌,우,앞,뒤)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예 1]
압력 전달체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연결층을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하되, 각 압력 전달체는 길이가 4mm, 5mm, 6mm인 모노 필라멘트를 일정한 프리 스트레인을 가한 상태에서 상부 레이어층과 하부 레이어층을 연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압력 전달체에 외력을 가해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에 따른 응력-변형률 선도를 관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달체의 연결층에 대한 압축 응력-압축 변형률 선도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mm의 길이를 갖는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한 압력 전달체가 압력에 따라 높은 변형률을 보여주고 있어 상기 모노 필라멘트에서 상기 하부 레이어층으로 압력이 전달될 때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4개의 압전 센서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압력 전달체를 포함하지 않은 압전 센서와 압력 전달체의 연결층이 모노 필라멘트로 구성되되,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가 4mm 이고 밀도가 750ea/cm2인 압전 센서,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가 4mm이고 밀도가 1000ea/cm2인 압전 센서,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가 6mm이고 밀도가 1000ea/cm2인 압전 센서를 각각 제조하여 압력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관찰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들의 성능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압전 센서들의 출력 전압을 보여주는 그래프, b)는 압전 센서들의 출력 전압과 센서 민감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즉 연결 전달체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전 물질에 압력을 가할 경우에는 생산되는 전압과 전압의 증가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결 전달체를 포함하는 압전 센서의 경우 초기 생성되는 전압이 높을뿐만 아니라 압력에 따라 증가하는 전압의 증가량이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가 6mm이고 밀도가 1000ea/cm2인 연결층을 갖는 연결 전달체를 포함하는 압전 센서를 기준으로 센서의 민감도가 압력 전달체를 사용하지 않은 압전 센서보다 8배 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를 제조하여, 신발의 인솔에 부착하고 걸음 걸이에 따라 생성되는 전압과 전류를 관찰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 걸음 걸이에 대한 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이 지면에 닿아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압전 센서로 쏠리게 되면서 전압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전압과 전압이 생성되는 시간의 패턴을 이용하여 신체 이상을 판단하기 위한 의미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만큼 높은 전압이 생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측정된걸음 걸이에 대한 전압 충전 및 전류 그래프로, 도 8의 a)는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생산되는 전압이 커패시터에 충전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8의 b)는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그래프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에 부착된 압전 센서로부터 생산된 전압에 의해 커패시터가 충전이 가파르게 이루어지며, 높은 전압뿐만 아니라 6uA 이상의 높은 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높아 에너지 하베스팅에 적용하여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압전 센서 110:압전 물질
120:압력 전달체 121:상부 레이어층
122:하부 레이어층 123:연결층

Claims (10)

  1.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 물질; 및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로, 상기 압전 물질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복수 개의 필라멘트가 상기 압전 물질의 국부 영역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 전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물질은 ZnO, GaN, Pb(Zr,Ti)O3(PZT), BaTiO3, PVDF, P(VDF-TrFE), P(VDF-TeFE), P(VDF-TrFE-CTFE), 셀룰로오스(Cellulos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달체:는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 레이어층;과 하부 레이어층; 및
    상기 상부 레이어층가 상기 하부 레이어층을 연결하는 필라멘트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레이어층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연결층을 통해 상기 하부 레이어층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압력 물질의 국부 영역에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은 멀티 필라멘트로 직조된 층이고, 상기 연결층의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프리-스트레인(Pre-strain)이 가해져 굽어진(bendin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직경은 0.06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길이는 1mm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밀도는 100ea/cm2 내지 1000ea/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레이어층과 상기 하부 레이어층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영역의 모노 필라멘트는 두께, 길이 또는 밀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전 센서; 및
    상기 압전 센서에 구비되어,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컴퓨터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센서.
KR1020200007265A 2020-01-20 2020-01-20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KR10229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65A KR102290936B1 (ko) 2020-01-20 2020-01-20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65A KR102290936B1 (ko) 2020-01-20 2020-01-20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554A true KR20210093554A (ko) 2021-07-28
KR102290936B1 KR102290936B1 (ko) 2021-08-18

Family

ID=7712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65A KR102290936B1 (ko) 2020-01-20 2020-01-20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959B1 (ko) 2022-04-06 2024-06-18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 효과를 이용한 압력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2507A1 (en) * 2013-12-03 2016-10-2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Flexible, fibrous energy managing composite panels
KR20180038250A (ko) 2016-10-06 2018-04-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원사를 이용한 압전 나노 발전 웨어 소자
KR102060538B1 (ko) 2018-03-13 2019-12-30 한국과학기술원 천 기반 웨어러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9298B1 (ko) 2018-03-13 2020-04-07 한국과학기술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2507A1 (en) * 2013-12-03 2016-10-2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Flexible, fibrous energy managing composite panels
KR20180038250A (ko) 2016-10-06 2018-04-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원사를 이용한 압전 나노 발전 웨어 소자
KR102060538B1 (ko) 2018-03-13 2019-12-30 한국과학기술원 천 기반 웨어러블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9298B1 (ko) 2018-03-13 2020-04-07 한국과학기술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936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Stretchable unsymmetrical piezoelectric BaTiO3 composite hydrogel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nd multimodal sensors
Pyo et al. Recent progress in flexible tactile sensors for human‐interactive systems: from sensors to advanced applications
Zhu et al. Making use of nanoenergy from human–Nanogenerator and self-powered sensor enabled sustainable wireless IoT sensory systems
Liu et al. Recent progress in tactile sensors and their applications in intelligent systems
Zarei et al. Advances in biodegradable electronic skin: Material progress and recent applications in sensing, robotics, and human–machine interfaces
Costa et al. Recent progress on piezoelectric, pyroelectric, and magnetoelectric polymer‐based energy‐harvesting devices
Shen et al. Progress of flexible strain sensors for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Jeon et al. Flexible multimodal sensors for electronic skin: Principle, materials, device, array architecture, and data acquisition method
Tang et al. Self-powered sensing in wearable electronics─ a paradigm shift technology
US9419544B2 (en) Energy harvesting device having self-powered touch sensor
US9444031B2 (en)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Kim et al. Approaches to deformable physical sensors: Electronic versus iontronic
Li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based wearable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Toward informatization and intelligence
Xie et al. Intelligent wearable devices based on nanomaterials and nanostructures for healthcare
CN105580207A (zh) 包括嵌套蛇形互连件的共形电子器件
CN109427955B (zh) 自驱动多级传感器及其制备方法、传感方法及电子皮肤
Dai et al. A PVDF/Au/PEN multifunctional flexible human-machine interface for multidimensional sensing and energy harvesting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10082012B (zh) 一种柔性压力传感器及其制作方法
Ji et al. All-in-one piezo-triboelectric energy harvester module based on piezoceramic nanofibers for wearable devices
Mondal et al. Nanogenerators‐Based Self‐Powered Sensors
Yu et al. Soft human–machine interface sensing displays: materials and devices
Yuan et al. Materials and device architecture towards a multimodal electronic skin
KR102290936B1 (ko) 삼차원 텍스타일 구조의 압력 전달체를 갖는 압전 센서.
US9929336B2 (en) Self-powered genera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piezoelectric enery-harvesting device using the generator
TW201815352A (zh) 超音波傳感器以及具有超音波傳感器的超音波貼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