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413A -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 Google Patents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413A
KR20210092413A KR1020200005758A KR20200005758A KR20210092413A KR 20210092413 A KR20210092413 A KR 20210092413A KR 1020200005758 A KR1020200005758 A KR 1020200005758A KR 20200005758 A KR20200005758 A KR 20200005758A KR 20210092413 A KR20210092413 A KR 2021009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ound
vertex
cov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솔루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솔루션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솔루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0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413A/ko
Publication of KR2021009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5/00Preparing the edges or backs of leaves or signatures for binding
    • B42C5/02Preparing the edges or backs of leaves or signatures for binding by rounding or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7/00Manufacturing bookbinding cases or covers of books or loose-lea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4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edges or corners of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이 제공된다. 상기 서적은 복수의 내피지로서, 일측변이 제본 접합된 복수의 내피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커버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내피지 각각은,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변과 평행한 타측변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이다.

Description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BOOK WITH ROUNDED CORNERS TO PREVENT STUDENT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서적에 관한 발명으로, 더 상세하게는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이 서적(또는 책)은 글이나 그림 등을 적거나 인쇄한 종이를 여러 장 겹쳐서 엮은 물건을 의미한다. 서적은 구조적으로 커버지(표지, 책 커버)와 내피지(속지, 내용지)로 구분된다. 또, 커버지는 흔히 양장본이라고 표현하는 딱딱한 표지, 즉 하드 커버와 단행본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부드러운 표지, 즉 소프트 커버로 대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소프트 커버 서적은 커버지와 내피지가 모두 구겨지거나 접히기 쉬운 재질이기 때문에 커버지와 내피지의 가장자리를 정렬시켜 제조한다. 이를 통해 책을 세워놓았을 때 커버지와 내피지가 모두 하중을 받으며 책을 지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서적 중 일부는 커버지와 내피지의 가장자리를 정렬시켜 제조한다. 이 때문에 서적의 모서리 내지는 모퉁이가 뾰족한 형태를 띠게 될 수 있다. 이 뾰족한 형태의 모서리의 끝은 팁 형상이어서 여러 안전 사고의 우려가 상존한다.
예를 들어, 서적이 낙하하여 모서리가 사람을 향하는 경우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 장난이 많은 학생들이 서적을 던지는 등의 장난을 치다 사람이 서적 모서리에 찍히는 사고도 왕왕 발생하곤 한다.
또, 서적의 모서리의 끝이 팁 형상인 경우, 각 내피지의 대응하는 모서리의 끝도 날카로운 형상을 갖게 된다. 때문에 사용자가 서적의 내피지 책장을 넘기다가 손 끝이 베이는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책의 사용자, 특히 학생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서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적은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일 수 있다. 상기 서적은 복수의 내피지로서, 일측변이 제본 접합된 복수의 내피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커버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내피지 각각은,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변과 평행한 타측변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이다.
또, 상기 커버지는,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제본 접합된 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후면 커버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상기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가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또, 상기 전면 커버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 및 상기 후면 커버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은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내피지 각각은, 상기 일측변과 연결된 모든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의 곡률 반지름(R)은 8mm 이상 15mm 이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적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학생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적이 낙하되거나 서적이 던져지는 경우에 모서리에 학생이 다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 학생이 서적의 책장을 넘기다가 모서리에 의해 손이 베이는 등의 안전 사고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운드 가공된 모서리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적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적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 또는 '곡률 반지름'은 곡선의 미소한 부분을 원호(圓弧)로 간주할 경우 그 원호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곡률 반경은 곡률(curvature)의 역수로 정의될 수 있다. 곡률 반경 및 곡률은 곡선의 만곡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곡률 반경이 클수록 만곡이 완만하고,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만곡의 정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직선의 곡률 반경은 무한대이고, 원 또는 원호의 곡률 반경은 그 반지름과 같다. 곡률 반경의 단위는 R 또는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이 10R 또는 10mm인 경우, 그 곡선의 미소한 부분이 속하는 원호의 반지름이 10mm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평면'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또,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중첩'은 상기 평면 시점에서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서적(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V1)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적(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적(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적(1)은 하나 이상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되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서적(1)은 복수의 내피지(200) 및 커버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적(1)은 평면 시점에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쌍의 대향하는 변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대향하는 변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적(1)이 평면 시점에서 대략 직사각 형상인 경우 서적(1)의 모서리 내지 변은 총 4개이고, 서로 연결되거나 최근접한 변 간에 이루는 각은 대략 90도일 수 있다.
복수의 내피지(200)는 제1 방향(X) 일측변(S1)이 제본 접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 커버지(100)는 복수의 내피지(200)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지(100)는 복수의 내피지(200)의 측면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지(100)는 내피지(200)의 전면을 커버하는 부분, 내피지(200)의 측면을 커버하는 부분 및 내피지(200)의 후면을 커버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적(1)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는 뾰족하지 않고 라운드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지(100)와 복수의 내피지(200)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우선 복수의 내피지(200) 각각은, 일측변(S1)의 제1 방향(X)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변(S2) 부근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타측변(S2)은 일측변(S1)과 평행한 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내피지(200) 각각은 제1 꼭지점(V1), 제2 꼭지점(V2), 제3 꼭지점(V3) 및 제4 꼭지점(V4)을 가지되, 타측변(S2)과 인접한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일측변(S1)과 인접한 제3 꼭지점(V3) 및 제4 꼭지점(V4)은 라운드 가공되지 않고 뾰족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꼭지점(V1)은 타측변(S2)과 상측변이 형성하는 꼭지점이고, 제2 꼭지점(V2)은 타측변(S2)과 하측변이 형성하는 꼭지점일 수 있다. 여기서, 타측변(S2)과 상측변, 또 타측변(S2)과 하측변이 형성하는 사이각은 대략 90도일 수 있다. 도 1 등은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이 모두 라운드 가공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 중 어느 하나는 라운드 가공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커버지(100) 또한 내피지(200)와 마찬가지로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을 가질 수 있다. 커버지(100)의 라운드 가공된 위치는 내피지(200)의 라운드 가공 위치와 대략 대응하거나 상응할 수 있다. 커버지(100)는 복수의 내피지(2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110), 복수의 내피지(200)의 제본 접합된 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130) 및 복수의 내피지(20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커버부(130)는 서적(1)의 일측변(S1)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지(100)는 구겨지거나 접힐 수 있는 소프트 커버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커버부(110)와 후면 커버부(120)는 각각, 서적 일측변(S1)의 제1 방향(X)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측변(S2) 부근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여기서 전면 커버부(110)와 후면 커버부(120)는 각각, 제1 꼭지점(V1), 제2 꼭지점(V2), 제3 꼭지점(V3) 및 제4 꼭지점(V4)을 가지되, 타측변(S2)과 인접한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일측변(S1)과 인접한 제3 꼭지점(V3) 및 제4 꼭지점(V4)은 라운드 가공되지 않고 뾰족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 커버부(110), 복수의 내피지(200) 및 후면 커버부(120)는 제3 방향(Z)으로 적층된 종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커버부(110), 복수의 내피지(200) 및 후면 커버부(120)의 제1 방향(X) 양측 단부 및 제2 방향(Y) 양측 단부는 모두 정렬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꼭지점(V1), 제2 꼭지점(V2), 제3 꼭지점(V3) 및 제4 꼭지점(V4)의 위치 또한 정렬될 수 있다. 특히 라운드 가공된 제1 꼭지점(V1) 및 제2 꼭지점(V2)은 정렬되어 일정한 곡률을 나타낼 수 있다.
라운드 가공된 제1 꼭지점(V1)과 제2 꼭지점(V2)의 곡률은 특정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꼭지점(V1) 및/또는 제2 꼭지점(V2)의 곡률 반지름(R1, R2)은 약 8mm 이상 15mm 이하, 또는 약 9mm 이상 12 mm 이하, 또는 약 10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적(1)의 제1 꼭지점(V1) 및/또는 제2 꼭지점(V2)의 곡률 반지름(R1, R2)이 15mm를 초과할 경우 서적(1) 면적의 손실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반면, 곡률 반지름(R1, R2)이 8mm를 미달할 경우 안전 사고 예방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꼭지점(V1)과 제2 꼭지점(V2)의 곡률 반지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1 꼭지점(V1)의 곡률 반지름(R1)은 제2 꼭지점(V2)의 곡률 반지름(R2) 보다 클 수 있다. 제2 꼭지점(V2)은 서적(1)의 하측변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서적(1)의 하측변은 서적(1)을 세워 놓을 때 주된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서적(1) 하측변을 제1 방향(X)으로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책장, 즉 개별 내피지(200)를 넘길 때에 제2 꼭지점(V2)을 이용하기 때문에 미소 부분에 대한 라운드의 정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흔히 서적(1) 내피지(200)에 그림 또는 텍스트를 인쇄함에 있어서 하단에 상대적으로 많은 내용이 인쇄되게 된다. 따라서 제2 꼭지점(V2)의 곡률 반지름(R2)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큰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서적
110: 전면 커버부
120: 배면 커버부
130: 측면 커버부
200: 내피지
V1: 제1 꼭지점
V2: 제2 꼭지점
V3: 제3 꼭지점
V4: 제4 꼭지점
S1: 일측변
S2: 타측변

Claims (4)

  1. 복수의 내피지로서, 일측변이 제본 접합된 복수의 내피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커버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내피지 각각은, 상기 일측변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변과 평행한 타측변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된 상태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는,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제본 접합된 부분을 커버하는 측면 커버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부와 상기 후면 커버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상기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과 대응되는 위치가 라운드 가공된 상태이고,
    상기 전면 커버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 및 상기 후면 커버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은 정렬된 상태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피지 각각은, 상기 일측변과 연결된 모든 꼭지점이 라운드 가공되지 않은 상태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지 및 상기 복수의 내피지의 라운드 가공된 꼭지점의 곡률 반지름(R)은 8mm 이상 15mm 이하인,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KR1020200005758A 2020-01-16 2020-01-16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KR20210092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58A KR20210092413A (ko) 2020-01-16 2020-01-16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758A KR20210092413A (ko) 2020-01-16 2020-01-16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413A true KR20210092413A (ko) 2021-07-26

Family

ID=7712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758A KR20210092413A (ko) 2020-01-16 2020-01-16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24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383A (en) Magnetic manipulatives book
DK164934B (da) Foldet ark
US9969201B2 (en) Page construction for improved manipulation and book incorporating the same
US5823572A (en) Self defense weapon with memo
US4139216A (en) Wrap around cover
US6390507B1 (en) Soft book
US5836614A (en) Book with various sections
WO2022266243A1 (en) Sleeve systems for protecting a trading card
KR20210092413A (ko) 학생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 가공된 서적
US5570906A (en) Corner bind apparatus and method
US1844468A (en) Paper napkin
US5217256A (en) Paper stack protection device
US5533758A (en) Book cover corner guard
US5626366A (en) Book cover corner guard
US1979876A (en) Paper napkin
US20090254429A1 (en) Placement device and method
KR200244004Y1 (ko) 문제지에 별첨되는 해답지의 구조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JP6725947B1 (ja) 防災用製本物
US1870183A (en) Pamphlet and book cover
JP3241465B2 (ja) 問答用袋状冊子
GB2263885A (en) Cover with closure for booklet or map
JP2586370Y2 (ja) シート状物の綴じ合わせ構造
ES2908118T3 (es) Conjunto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fundas para documentos y un elemento de agrupación de esta pluralidad
EP0523947A1 (en) A flip chart p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