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39A -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 Google Patents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39A
KR20210091639A KR1020200012324A KR20200012324A KR20210091639A KR 20210091639 A KR20210091639 A KR 20210091639A KR 1020200012324 A KR1020200012324 A KR 1020200012324A KR 20200012324 A KR20200012324 A KR 20200012324A KR 20210091639 A KR20210091639 A KR 2021009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ower generation
rotor
generation body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292B1 (ko
Inventor
선상규
Original Assignee
선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상규 filed Critical 선상규
Publication of KR2021009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존의 전기모빌리티(electric mobility)에 대한 주행거리를 개선하고자 운행 중에 스스로 공급에너지를 더 많이 생산하는 시스템으로써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모빌리티는 배터리의 성능이나 설치용량에 한계가 있어서 방전된 후 재충전의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후륜주행모터(100), 전륜발전동체(200), 제1컨트롤러(210), 제1배터리(220)를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전륜발전시스템(3)을 구성하고, 이 때 후륜(10)의 회전동력 때문에 구동되는 전륜(20)에서 잉여 회전력이 발생되며, 전륜(20) 속에 장착된 상기 전륜발전동체(200)가 스스로 기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며,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서브구동모터(300), 서브발전동체(400), 제2컨트롤러(410), 제2배터리(420)를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서브발전시스템(5)을 구성하며, 상기 전륜 발전시스템(3)으로부터 충전된 제1차 기전력을 상기 서브발전시스템(5)의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에게 공급하여 상기 서브발전동체(400)가 제2차 기전력을 증산 발전하도록 하여 전력공급량을 전력수요량보다 많게 제공하며, 주행거리를 개선할 수 있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Self-powered electric mobility to improve driving performance using multiple power generation systems}
본 발명은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self-powered electric mobility)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전기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보다 더 주행거리를 개선하고자 운행 중에 스스로 공급에너지를 더 많이 생산하면서 주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모빌리티는 방전된 후 재충전의 불편을 감수해야 하며,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배터리의 성능이나 설치용량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이미 발명된 ‘2개의 회전자를 이용하는 발전기(10-1955030)와 같이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성을 갖는 전륜발전동체와, 후륜주행모터와, 제1컨트롤러(1st controller)와, 제1배터리(1st battery)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전륜에서 발생하는 잉여 회전동력을 이용해 전륜발전시스템에서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도록 하고,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2개의 회전자가 수 분할된 자석을 이용하는 발전기(10-1955031)’와 같이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성을 갖는 서브발전동체와, 서브구동모터와, 제2컨트롤러(2nd controller)와, 제2배터리(2nd battery)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body & chassis)에 서브발전시스템에서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하여 전력공급량을 전력수요량보다 많게 제공함으로써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서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설치되고 후륜의 휠 내부에 구성하는 후륜주행모터 및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설치되고 전륜에서 발생하는 잉여 회전동력을 활용하도록 전륜의 휠 내부에 구성하는 전륜발전동체와, 제1차 기전력을 변환 및 충전기능을 하는 제1컨트롤러와, 급속 충·방전용 제1배터리를 결합하여 전륜발전시스템을 구성하고,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서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서브구동모터 및 서브발전동체와, 제2차 기전력을 변환 및 충전기능을 하는 제2컨트롤러와, 급속 충·방전용 제2배터리로 구성된 서브발전시스템을 결합하여 전륜발전시스템으로부터 생산된 제1차 기전력을 서브발전시스템에서 다시 제2차 기전력으로 증산 발전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후륜주행모터와,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전륜 에서 발생하는 잉여 회전동력을 활용하는 전륜발전동체와, 제1컨트롤러와, 제1배터리를 활용한 전륜발전시스템을 구성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서브구동모터와, 서브발전동체와, 제2컨트롤러와, 제2배터리를 이용하는 서브발전시스템을 구성 및 설치할 수가 있다.
첫째,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전륜발전시스템은,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설치되는 후륜에 인휠(in wheel)방식으로 후륜주행모터를 구성하고,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설치되는 전륜에 인휠(in wheel)방식으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가지는 전륜발전동체를 구성하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제1컨트롤러 및 제1배터리를 구성한다.
둘째,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서브발전시스템은,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서브구동모터를 구성하고,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가지는 서브발전동체를 구성하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바디섀시에 제2컨트롤러 및 제2배터리를 구성한다.
또한, 서브발전동체는 구동모터와 발전동체를 일체형으로 융합된 서브발전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의 전기모빌리티는 배터리의 성능이나 설치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운행 중 방전된 후 재충전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전륜발전시스템과 서브발전시스템으로 구성된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는 제1차 및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여 주행하며, 2가지의 발전시스템을 동시에 이용하므로 전력공급량을 전력수요량보다 많게 제공하며, 공급 기전력이 더욱 안정되어 급작스런 운행 중단과 재충전의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륜발전동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브발전동체와 서브구동모터가 외부로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구동모터와 발전동체가 내부 일체형으로 융합된 서브발전장치의 단면도
도 6은 전륜발전동체가 장착된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이미지
도 7은 전륜발전동체가 없는 기존 전기모빌리티의 이미지
도 8은 2개의 회전자를 이용하는 발전기의 단면도
도 9는 2개의 회전자가 수 분할된 자석을 이용하는 발전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본 발명의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구성은,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바디섀시(2)와;
상기 바디섀시(2)에 후륜(10)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섀시(2)에 전륜(20)을 결합하며,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주행시키는 상기 후륜(10)에 후륜주행모터(100)를 장착하고,
상기 전륜(20)에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전륜발전동체(200)를 인휠 방식으로 장착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200)와 연결되어 생산되는 제1차 기전력을 변환 및 충전시키는 제1컨트롤러(210)를 연결하고,
상기 제1컨트롤러(210)와 제1배터리(220)를 연결하여 상기 바디섀시(2)에 설치하며,
상기 제1배터리(220)와 서브구동모터(300)를 연결하여 상기 바디섀시(2)에 설치하며,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와 서브발전동체(400)를 연결하여 상기 바디섀시(2)에 설치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와 제2컨트롤러(410)를 연결하여 상기 바디섀시(2)에 설치하며,
상기 제2컨트롤러(410)와 제2배터리(420)를 연결하여 상기 바디섀시(2)에 설치하며,
상기 제2배터리(420)와 상기 후륜주행모터(100)를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전륜(20)은 상기 바디섀시(2)의 앞쪽에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구성 및 결합되고,
상기 후륜(10)은 상기 바디섀시(2)의 뒤쪽에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구성 및 결합되며,
상기 전륜(20)은 상기 후륜(10)의 구동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게 되며,
상기 후륜주행모터(100)는 상기 후륜(10)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후륜(10)의 내부에 인휠(in wheel)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륜발전동체(200)는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전륜(20)의 내부에 인휠(in wheel)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컨트롤러(210)는 상기 전륜발전동체(200)와 연결되어, 생산된 제1차 기전력을 AC-DC 또는 DC-DC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차 기전력을 상기 제1배터리(220)에 충전시키며,
상기 제1배터리(220)는 급속 충·방전 기능을 가지면서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서브구동모터(300)는 상기 제1배터리(220)와 연결되어 제1차 기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서브발전동체(400)를 구동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400)는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제2컨트롤러(41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컨트롤러(410)는 제2차 기전력을 AC-DC 또는 DC-DC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차 기전력을 상기 제2배터리(420)에 충전하며,
상기 제2배터리(420)는 실시간으로 장시간의 제2차 기전력을 상기 후륜주행모터(100)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의 전륜발전동체의 사시도이다.
전륜발전동체 축(205)의 양끝 단이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지지하는 전륜쇼바(21)와 결합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의 외주 면에서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가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로부터 슬립상태에서 스스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의 바깥쪽에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를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의 바깥쪽에 있는 전륜(20)의 휠 내주 면에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를 장착하여 상기 전륜(20)의 구동 때,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와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와 상기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 및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는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 및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를 모두 마그네트로 구성하거나,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나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 중에서 어느 한쪽을 마그네트로 구성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서브발전동체와 서브구동모터가 외부로 결합된 단면도이다.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의 바깥쪽에 구성되는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가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의 바깥쪽에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401s)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401s)의 바깥쪽에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으로부터 슬립 되도록 장착하여,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과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가 회전할 때,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와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와 상기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401s) 및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는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하도록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 및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를 모두 마그네트로 구성하거나,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나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 중에서 어느 한쪽을 마그네트로 구성한다.
또한, 서브구동모터 축(305)과 서브발전동체 축(405)을 직접 결합하거나 상기 서브구동모터 축(305)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을 풀리와 벨트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도3내지 도4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후륜주행모터(100), 전륜발전동체(200), 제1컨트롤러(210), 제1배터리(220)를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전륜발전시스템(3)을 구성하고, 이 때 후륜(10)의 회전동력 때문에 구동되는 전륜(20)에서 잉여 회전력이 발생되며, 전륜(20) 속에 장착된 상기 전륜발전동체(200)가 스스로 기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며,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서브구동모터(300), 서브발전동체(400), 제2컨트롤러(410), 제2배터리(420)를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서브발전시스템(5)을 구성하며, 상기 전륜발전시스템(3)으로부터 충전된 제1차 기전력을 상기 서브발전시스템(5)의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에게 공급하여 상기 서브발전동체(400)가 제2차 기전력으로 증산 발전을 하도록 하여 전력공급량을 전력수요량보다 많게 제공하여 주행거리를 개선할 수 있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구동모터(300)는 전기에너지의 입력 값이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의 전기에너지의 출력값 보다 낮은 수준으로 구성을 하며, 이 때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의 기계적인 출력토크 값은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의 기계적인 입력토크 값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서브구동모터(300)는 회전토크효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증속기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는 구동모터와 발전동체가 내부 일체형으로 융합된 서브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나타낸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와는 다른 실시 예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우징 속에 구동모터와 발전동체가 융합되어 서브발전장치(500)를 구성하며, 상기 서브발전장치(500)는 축(505)의 바깥쪽에 구동모터 코일(501c)을 포함한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상기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의 바깥쪽에 구동모터 로터(501r)를 상기 축(505)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의 바깥쪽에 발전동체 코일(601c)을 포함한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를 유지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의 바깥쪽에 발전동체 로터(601r)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와,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와,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 및 발전동체 로터(601r) 사이에서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되도록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서브발전장치(500)는 상기 제1배터리(220)와 연결된 구동모터 코일(501c)이 제1차 기전력을 공급받아서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가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와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의 바깥쪽에 있는 상기 발전동체 로터(601r)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에서는 제2차 기전력이 발생되며, 제2차 기전력은 상기 제2컨트롤러(410)를 통해 AC-DC 또는 DC-DC로 변환되고, 변환된 제2차 기전력을 상기 제2배터리(420)에 충전하며, 상기 제2배터리(420)는 실시간으로 장시간의 제2차 기전력을 상기 후륜주행모터(100)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변화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self-powered electric mobility)
2 : 바디섀시(body & chassis)
3 : 전륜발전시스템
5 : 서브발전시스템
10 : 후륜(rear wheel)
11 : 후륜지지대
20 : 전륜(front wheel)
21 : 전륜쇼바
100 : 후륜주행모터
200 : 전륜발전동체
201r :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
201s :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
201c : 서브구동모터 코일
202r :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
203L : 좌측하우징 측판
203R : 우측하우징 측판
205 : 전륜발전동체 축
210 : 제1컨트롤러
220 : 제1배터리
300 : 서브구동모터
301r : 서브구동모터 로터
301s : 서브구동모터 스테이터
301c : 서브구동모터 코일
305 : 서브구동모터 축
400 : 서브발전동체
401r :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
401s :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
401c : 서브구동모터 코일
402r :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
403L : 좌측하우징 측판
403R : 우측하우징 측판
405 : 서브발전동체 축
410 : 제2컨트롤러
420 : 제2배터리
500 : 서브발전장치
501r : 구동모터 로터
501s : 구동모터 스테이터
501c : 구동모터 코일
505 : 축
601r : 발전동체 로터
601s : 발전동체 스테이터
601c : 구동모터 코일

Claims (11)

  1.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와;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바디섀시(2)와;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후륜(10)과;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전륜(20)과;
    상기 후륜(10)에 장착되어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주행시키는 후륜주행모터(100)와;
    상기 전륜(20)에 장착되는 전륜발전동체(200)와;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200)에 연결되는 제1컨트롤러(210)와;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며, 상기 제1컨트롤러(210)에 연결되는 제1배터리(220)와;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배터리(220)에 연결되는 서브 구동모터(300)와;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서브발전동체(400)와;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에 연결되는 제2컨트롤러(410)와;
    상기 제2컨트롤러(410)와 연결되는 제2배터리(420); 및
    상기 제2배터리(420)에 연결되는 상기 후륜주행모터(1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20)은 상기 바디섀시(2)의 앞쪽에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구성 및 결합되고;
    상기 후륜(10)은 상기 바디섀시(2)의 뒤쪽에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구성 및 결합되며;
    상기 후륜주행모터(100)는 상기 후륜(10)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후륜(10)의 내부에 인휠(in wheel)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륜발전동체(200)는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해 상기 전륜(20)의 내부에 인휠(in wheel)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컨트롤러(210)는 상기 전륜 발전동체(200)와 연결되며, 생산된 제1차 기전력을 AC-DC 또는 DC-DC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차 기전력을 상기 제1배터리(220)에 충전하며;
    상기 서브구동모터(300)는 상기 제1배터리(220)와 연결되어 제1차 기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서브발전동체(400)를 구동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400)는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제2컨트롤러(41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컨트롤러(410)는 제2차 기전력을 AC-DC 또는 DC-DC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차 기전력을 상기 제2배터리(420)에 충전하며; 및
    상기 제2배터리(420)는 실시간으로 장시간의 제2차 기전력을 상기 후륜주행모터(100)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발전동체(200)에서 전륜 발전동체 축(205)의 양끝 단이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지지하는 전륜쇼바(21)와 결합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의 외주 면에서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가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로부터 슬립상태에서 스스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의 바깥쪽에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를 상기 전륜발전동체 축(2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의 바깥쪽에 있는 전륜(20)의 휠 내주 면에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를 장착하여 상기 전륜(20)의 구동 때,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와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와 상기 전륜발전동체 스테이터(201s) 및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는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에서 서브발전동체 축(405)의 양끝 단이 좌측하우징 측판(403L) 및 우측하우징 측판(403R)의 중심부에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의 바깥쪽에 구성되는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가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의 바깥쪽에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401s)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상기 서브 발전동체스테이터(401s)의 바깥쪽에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으로부터 슬립 되도록 장착하여,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과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가 회전할 때,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와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가 강한 자기장에 의해 서로 붙으려고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와 상기 서브발전동체 스테이터(401s) 및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는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5. 제3항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는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후륜주행모터(100), 전륜발전동체(200), 제1컨트롤러(210), 제1배터리(220)를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전륜발전시스템(3)을 구성하고, 이 때 후륜(10)의 회전동력 때문에 구동되는 전륜(20)에서 잉여 회전력이 발생되며, 전륜(20) 속에 장착된 상기 전륜발전동체(200)가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며, 제1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서브구동모터(300), 서브발전동체(400), 제2컨트롤러(410), 제2배터리(420)를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의 상기 바디섀시(2)에 결합시켜서 무부하 회전저항의 특징을 갖는 서브발전시스템(5)을 구성하며, 상기 전륜발전시스템(3)으로부터 생산된 제1차 기전력을 상기 서브발전시스템(5)의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에게 공급하여 상기 서브발전동체(400)가 제2차 기전력을 증산 발전을 하도록 하여 전력공급량을 전력수요량보다 많게 제공하며, 주행거리를 개선할 수 있는 상기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1)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 및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를 모두 마그네트로 구성하거나,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1로터(201r)나 상기 전륜발전동체 제2로터(202r) 중에서 어느 한쪽을 마그네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 및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를 모두 마그네트로 구성하거나,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1로터(401r)나 상기 서브발전동체 제2로터(402r) 중에서 어느 한쪽을 마그네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8. 제4항에 있어서,
    서브구동모터 축(305)과 서브발전동체 축(405)을 직접 결합하거나 상기 서브구동모터 축(305)과 상기 서브발전동체 축(405)을 풀리와 벨트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9.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구동모터(300)는 전기에너지의 입력 값이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의 전기에너지의 출력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구성을 하며, 이 때 상기 서브구동모터(300)의 기계적인 출력토크 값은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의 기계적인 입력토크 값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10. 제1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전동체(400)와는 다른 실시 예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우징 속에 구동모터와 발전동체가 융합되어 제2차 기전력을 생산하기위한 서브발전장치(500)를 구성하며, 상기 서브발전장치(500)는 축(505)의 바깥쪽에 구동모터 코일(501c)을 포함한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상기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의 바깥쪽에 구동모터 로터(501r)를 상기 축(505)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의 바깥쪽에 발전동체 코일(601c)을 포함한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를 유지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하며,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의 바깥쪽에 발전동체 로터(601r)를 상기 축(505)으로부터 슬립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결합하며, 상기 구동모터 스테이터(501s)와,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와,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 및 발전동체 로터(601r) 사이에서 자기장이 서로 맞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11. 제1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전장치(500)는 상기 제1배터리(220)와 연결된 구동모터 코일(501c)이 제1차 기전력을 공급받아서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가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구동모터 로터(501r)와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의 바깥쪽에 있는 상기 발전동체 로터(601r)의 회전을 통해서 상기 발전동체 스테이터(601s)에서는 제2차 기전력이 발생되며, 제2차 기전력은 상기 제2컨트롤러(410)를 통해 AC-DC 또는 DC-DC로 변환되고, 변환된 제2차 기전력을 상기 제2배터리(420)에 충전하며, 상기 제2배터리(420)는 실시간으로 장시간의 제2차 기전력을 상기 후륜주행모터(100)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KR1020200012324A 2020-01-11 2020-02-02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KR102390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974 2020-01-11
KR20200003974 2020-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39A true KR20210091639A (ko) 2021-07-22
KR102390292B1 KR102390292B1 (ko) 2022-04-26

Family

ID=7715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24A KR102390292B1 (ko) 2020-01-11 2020-02-02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96B1 (ko) * 2022-04-15 2023-06-16 홍성용 주행속도에 따라 전륜모터와 후륜모터의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스위칭하여 작동시키며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잉여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시키는 퍼스널모빌리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94A (ja) * 2003-09-02 2005-03-24 Yutaka Yamazaki 電動自転車
KR100913115B1 (ko) * 2007-11-21 2009-08-19 (주)아진게네시스 전동 자전거
KR100938380B1 (ko) * 2007-11-21 2010-01-22 (주)아진게네시스 전동 스쿠터
WO2012164354A1 (en) * 2011-06-02 2012-12-06 Lan Lee Electricity generating bicycle wheel assemblies
WO2015004408A1 (en) * 2013-07-08 2015-01-15 Navin Dandikar Battery powered cycle and charging method
KR20170099186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KR20190085762A (ko) * 2018-01-11 2019-07-19 김홍익 자가발전 전기 자전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94A (ja) * 2003-09-02 2005-03-24 Yutaka Yamazaki 電動自転車
KR100913115B1 (ko) * 2007-11-21 2009-08-19 (주)아진게네시스 전동 자전거
KR100938380B1 (ko) * 2007-11-21 2010-01-22 (주)아진게네시스 전동 스쿠터
WO2012164354A1 (en) * 2011-06-02 2012-12-06 Lan Lee Electricity generating bicycle wheel assemblies
WO2015004408A1 (en) * 2013-07-08 2015-01-15 Navin Dandikar Battery powered cycle and charging method
KR20170099186A (ko) * 2016-02-23 2017-08-31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용 휠 모터 조립체
KR20190085762A (ko) * 2018-01-11 2019-07-19 김홍익 자가발전 전기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3396B1 (ko) * 2022-04-15 2023-06-16 홍성용 주행속도에 따라 전륜모터와 후륜모터의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스위칭하여 작동시키며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잉여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시키는 퍼스널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292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352B2 (en) Vehicle wheel
US5931249A (en) Kinetic energy storage system
KR102390292B1 (ko) 다수의 발전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전기모빌리티
US8552610B2 (en) Alternator and corresponding electric system
CN108365719A (zh) 一种可偏转双定子开关磁阻式风力发电机
CN215772945U (zh) 便携式摩擦纳米发电机
US11088607B2 (en) Axial flux machine with nutating rotor
KR102303607B1 (ko) 주행성능을 개선하는 자가발전 전기모빌리티
RU2264307C2 (ru) Гибридный силовой агрегат
KR20230064651A (ko) 하이브리드 전기모빌리티
GB2599592A (en) Dual-rotor in-wheel motor based on axial magnetic field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05677A (ko) 전기차용 포터블 발전기
CN205407547U (zh) 一种电动自行车的驱动装置
CN217926951U (zh) 一种重量可调可拆卸式飞轮装置
US20110204639A1 (en) Modular power system
KR102343486B1 (ko) 고효율 다단 발전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CN212811530U (zh) 一种磁悬浮轴向伸缩有刷电机装置
KR101978067B1 (ko) 드론
CN220298682U (zh) 利用惰轮转动惯量的电动车增程机构
CN112511682B (zh) 一种可手动发电的手机背壳
CN210744984U (zh) 具有双转子单定子结构的新型电机
TWI741757B (zh) 具有電磁感應發電裝置之電動車輛
CN216625548U (zh) 一种储能轮毂电机
CN202906663U (zh) 无定子双转子单轴承双平衡电动机-发电机组
CN116937881A (zh) 一种飞轮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