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482A -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 Google Patents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482A
KR20210091482A KR1020200004688A KR20200004688A KR20210091482A KR 20210091482 A KR20210091482 A KR 20210091482A KR 1020200004688 A KR1020200004688 A KR 1020200004688A KR 20200004688 A KR20200004688 A KR 20200004688A KR 20210091482 A KR20210091482 A KR 20210091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aser beam
focal position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0828B1 (en
Inventor
황남구
선상필
유승협
최세규
Original Assignee
(주) 큐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큐알에스 filed Critical (주) 큐알에스
Priority to KR102020000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2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2Optical design, e.g. procedures, algorithms, optimisation rout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unnecessary light, a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Here, the lens includes a lens body and a blocking part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ens body inside the lens body to block incoming light.

Description

렌즈, 이를 포함하는 렌즈군 및 렌즈 가공 광학계{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A lens, a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본 발명은 렌즈, 이를 포함하는 렌즈군 및 렌즈 가공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렌즈, 이를 포함하는 렌즈군 및 렌즈 가공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a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unnecessary light, a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디지털 카메라 및 핸드폰 카메라 렌즈군(Lens Group)의 이미지 품질 저하의 원인으로 플레어 현상을 들 수 있으며, 플레어 현상은 크게 고스트 현상과 포그 현상을 포함한다.A flare phenomenon may be cited as a cause of image quality deterioration of digital cameras and cell phone camera lens groups, and the flare phenomenon largely includes a ghost phenomenon and a fog phenomenon.

일반적으로 플레어 현상은 렌즈군을 구성한 각 렌즈의 표면(경계면)과 이미지 센서에 의해 되 반사 된 불필요한 광이 다시 이미지 센서에 수렴하므로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flare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surface (boundary) of each lens constituting the lens group and unnecessary light reflected back by the image sensor converge back to the image sensor.

플레어 현상은 주위환경과 비교해서 밝은 물체가 피사체에 포함되어있을 때 두드러지며, 야경 촬영 시 더욱 잘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The flare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when the subject contains a bright object compar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 tends to appear better when shooting night scenes.

도 1은 종래의 렌즈군에서 발생하는 고스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ghost phenomen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lens group.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11,12,13)로 이루어지는 렌즈군(10)으로 입사되는 광(L1)은 각 렌즈(11,12,13)를 통과한 후 이미지 센서(20)에 입사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20)로 입사되는 광(L1) 중 이미지 센서(2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L2)은 렌즈군(10)에서 굴절되어 다시 이미지 센서(20)로 수렴하게 되는데 이때, 반사광(L2)의 수렴 영역(A2)이 입사되는 광(L1)의 수렴 영역(A1)과 달라지게 되어 허상이 형성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입사되는 광(L1)의 강도가 클수록 반사광(L2)에 의해 허상이 형성될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 , the light L1 incident to the lens group 10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11 , 12 , 13 passes through each lens 11 , 12 , and 1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mage sensor 20 . is entered into At this time, among the light L1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20, the reflected light L2 reflected from the image sensor 20 is refracted by the lens group 10 and converges back to the image sensor 20. At this time, the reflected light ( The convergence region A2 of L2 is different from the convergence region A1 of the incident light L1, thereby forming a virtual image. In general, as the intensity of the incident light L1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a virtual image is formed by the reflected light L2 also increases.

플레어 현상을 예방 하기 위해서는 촬영각도를 바꾸거나, 후드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There are methods such as changing the shooting angle or installing a hood to prevent flare, but this can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35261호(2019.04.0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9-0035261 (published on March 3, 20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필요한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렌즈, 이를 포함하는 렌즈군 및 렌즈 가공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capable of effectively blocking unnecessary light, a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렌즈몸체; 그리고 상기 렌즈몸체의 내부에 상기 렌즈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body; And it provides a len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ens body inside the lens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the incoming l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렌즈에 구비되는 상기 차단부는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군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prov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blocking portions provided in each of the lens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Lenses are provided.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렌즈 가공 광학계로서, 오목한 출사평면을 가지며, 상기 출사평면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이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고 상기 출사평면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증가되도록 하는 빔 성형부; 상기 빔 성형부에서 출사된 후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렌즈몸체 가장자리의 초점위치에 초점이 맺혀 상기 차단부가 생성되도록 하는 빔 집광부; 그리고 볼록한 입사평면을 가지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초점위치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빔 집광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초점위치보다 전방에서 교차하도록 경로를 수정하여 상기 레이저빔이 지름이 증가하는 빔 경로를 가지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for processing a lens, and has a concave emission plane, so that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emission plane has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a beam forming unit for forming and increasing the diameter away from the emission plane; a beam condensing unit for generating the blocking unit by focusing the laser beam incident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beam forming unit at a focal point of an edge of the lens body; And it has a convex incident plan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focal position, and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centrating unit crosses the path in front of the focal position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increases. It provides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am path and comprises a beam control unit to achie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점위치는 상기 렌즈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초점위치에 맺히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al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and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by the laser beam focused on the focal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빔 집광부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교차하는 교차위치는 상기 초점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은 커지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교차하는 교차위치는 상기 초점위치에 가까워지고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은 작아져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control unit i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densing unit is variable,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centrator and the beam control unit is closer,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is The intersecting position becomes farther from the focal position, and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creases at the focal position,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increases,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increases. The intersecting intersecting position is closer to the focal position and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becomes smaller at the focal position, so that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빔 성형부는 상기 빔 집광부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빔 성형부 및 상기 빔 집광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수렴각은 작아져서 상기 차단부의 표면은 제1거칠기를 가지고, 상기 빔 성형부 및 상기 빔 집광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수렴각은 커져서 상기 차단부의 표면은 상기 제1거칠기보다 거친 제2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form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densing unit is variable,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forming unit and the beam concentrating unit becomes closer,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is increased.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blocking part has a first roughness, and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part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part and the beam condensing part increases. The surface may have a second roughness rougher than the first roughn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빔 성형부로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제어부는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레이저빔의 단면 지름이 커질수록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크게 하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레이저빔의 단면 지름이 작아질수록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작게 하여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레이저빔의 에너지 밀도가 일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ncident to the beam forming unit, the output control uni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is close to the focal position As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ring-shaped laser beam increases,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ncreas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er and the beam controller increases, so that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ring-shaped laser beam becomes smaller at the foc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beam constant at the focal position by decreas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군의 각 렌즈 내부에 차단부를 마련하여 이미지 센서에서 반사된 후 유입되는 불필요한 반사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어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ing unit may be provided inside each lens of the lens group to block unnecessary reflected light that is introduced after being reflected from the image sensor, thereby preventing the flare phenomenon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몸체에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렌즈몸체에는 초점위치에서 레이저빔의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의 차단부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lens body has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a blocking portion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at the focal point is easily provided on the lens body. can be form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렌즈군에서 발생하는 고스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의 렌즈를 나타낸 제1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의 렌즈를 나타낸 제2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레이저빔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를 이용한 차단부 가공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의 다른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ghost phenomen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lens group.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exemplary view showing a lens of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lens of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7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of FIG. 7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a blocking part using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7 .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t is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군(100)은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렌즈(110a,110b,110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렌즈(110a,110b,110c)는 내부에 차단부(112a,112b,112c)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lens group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nses 110a , 110b , and 110c prov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lenses 110a, 110b, and 110c may have blocking parts 112a, 112b, and 112c therein.

차단부(112a,112b,112c)는 유입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차단부(112a,112b,112c)는 입사되는 광(L1) 중에서 이미지 센서(200)에서 반사된 후 유입되는 반사광(L2)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어 현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The blocking parts 112a, 112b, and 112c may block incoming light. That is, the blocking units 112a, 112b, and 112c may block the reflected light L2 that is reflected from the image sensor 200 among the incident light L1 and then enters, thereby preventing the flare phenomenon from occurring.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의 렌즈를 나타낸 제1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3 is a first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ens of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도 3 및 도 4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렌즈(110a)는 렌즈몸체(111a) 및 차단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lens 110a may include a lens body 111a and a blocking portion 112a.

렌즈몸체(111a)의 형상은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렌즈몸체(111a)가 축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인 경우로 하여 설명한다.The shape of the lens body 111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lens body 111a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차단부(112a)는 렌즈몸체(111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몸체(11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part 112a may be formed inside the lens body 111a,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of the lens body 111a.

차단부(112a)는 렌즈몸체(111a)에서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부분이 용융된 후 응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112a)는 광불투과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부(112a)로 유입되는 광은 차단될 수 있다.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formed by solidifying a portion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in the lens body 111a after melting. 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non-transmissive, and thus light entering 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blocked.

본 예시에서, 차단부(112a)는 렌즈몸체(111a)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부(112a)는 렌즈몸체(111a)의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및 하측의 렌즈(110a,110c)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a. That is, 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a. Referring to FIG. 2 , the upper and lower lenses 110a and 110c may correspond to this.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렌즈(110a)는 복수의 차단부(112a,113a,114a)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차단부(112a,113a,114a)는 렌즈몸체(111a)의 지름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부(112a,113a,114a)가 겹겹이 형성되면 유입되는 광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각각의 차단부(112a,113a,114a)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차단부(112a,113a,114a)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b) of FIG. 4 , the lens 110a may have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112a, 113a, and 114a, and each of the blocking portions 112a, 113a, 114a is a lens body 111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In this way, when the blocking portions 112a, 113a, and 114a are formed in layers, the incoming light can be more effectively blocked. Each of the blocking portions 112a, 113a, and 114a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may have different heights. In addition, each of the blocking portions 112a, 113a, and 114a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or to be formed in different thicknesse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군의 렌즈를 나타낸 제2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5 is a second exemplary view showing a lens of a lens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한편, 차단부(112b)는 렌즈몸체(111b)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의 렌즈(110b)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portion (112b)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b). Referring to FIG. 2 , the central lens 110b may correspond to this.

그리고,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이러한 형태의 차단부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단부(112b,113b,114b)는 렌즈몸체(111b)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부(112b,113b,114b)가 렌즈몸체(111b)의 두께방향을 따라 층층이 형성되면 유입되는 광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각각의 차단부(112b,113b,114b)는 모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차단부(112b,113b,114b)는 모두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b) of FIG. 6 , a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of this type may also be formed, and each of the blocking portions 112b, 113b, and 114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b. there is. As such, when the blocking portions 112b, 113b, and 114b are formed layer by layer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b, the incoming light can be more effectively blocked. Each of the blocking portions 112b, 113b, and 114b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or different thicknesses. In addition, each of the blocking parts 112b, 113b, and 114b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being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or having different diameters.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20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L2)은 각 렌즈(110a,110b,110c)와 그 사이의 공기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굴절 또는 반사될 수 있다. 렌즈군(100)의 렌즈(110a,110b,110c)에 형성되는 차단부(112a,112b,112c) 중 적어도 하나는 반사광(L2)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반사광(L2)이 광 경로 상의 전단의 차단부를 빗겨 나아가더라도 그 후단의 복수개의 차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차단될 수 있도록, 각 차단부(112a,112b,112c)는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반사광(L2)의 효과적 차단을 위해, 각 차단부(112a,112b,112c)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 및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혼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reflected light L2 reflected from the image sensor 200 may be refracted or reflected due to an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lenses 110a , 110b and 110c and air therebetween. At least one of the blocking parts 112a, 112b, and 112c formed in the lenses 110a, 110b, and 110c of the lens group 100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reflected light L2. In addition, each blocking portion (112a, 112b, 112c)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so that even if the reflected light L2 deviates from the blocking portion of the front end on the optical path, it can be blocked b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ocking portions at the rear end. can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the reflected light L2, each of the blocking parts 112a, 112b, and 112c may be arranged in a mixture of an axially extending form and a radially extending form.

한편, 앞에서는 상측 및 하측의 렌즈(110a,110c)의 차단부(112a,112c)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중앙의 렌즈(110b)의 차단부(112b)는 다른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차단부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blocking portions 112a and 112c of the upper and lower lenses 110a and 110c have the same shape, and the blocking portion 112b of the central lens 110b has been described in a different form, but this is an example. , of course, the shape of the blocking part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illustrated shape.

이하에서는 전술한 렌즈를 가공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for processing the aforementioned lens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 광학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레이저빔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인데, 도 8의 (a)는 도 7의 A-A’선 단면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도 7의 B-B’선 단면형상을 나타낸 것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of FIG. 7, (a) of FIG. -A' is a cross-sectional shape, and FIG. 8(b)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가공 광학계는 빔 성형부(500), 빔 집광부(600) 그리고 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7 and 8 ,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am shaping unit 500 , a beam concentrator 600 , and a beam control unit 700 .

빔 성형부(500)는 오목한 출사평면(510)을 가질 수 있다. 빔 성형부(500)는 출사평면(5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즉, 빔 성형부(500)는 빔 성형부(500)로 입사되는 레이저빔(LB)이 속이 찬 단면 형상을 가지더라도(도 8의 (a) 참조), 빔 성형부(500)의 출사평면(5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은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The beam shaping unit 500 may have a concave emission plane 510 . The beam shaping unit 500 may shape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emission plane 510 to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the beam shaping unit 500 has an exit plane of the beam shaping unit 500 even if the laser beam LB incident on the beam shaping unit 500 has a solid cross-sectional shape (refer to FIG. 8(a) ).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510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refer to (b) of FIG. 8).

또한, 빔 성형부(500)는 출사평면(51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출사평면(510)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m shaping unit 500 may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emission plane 510 as the distance from the emission plane 510 increases.

빔 집광부(600)는 빔 성형부(500)에서 출사된 후 입사되는 레이저빔(LB)이 초점위치(P1)에서 초점이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즉, 빔 성형부(5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초점위치(P1)는 빔 집광부(6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초점위치(P1)는 렌즈몸체의 내부일 수 있다.The beam condensing unit 600 may focus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forming unit 500 at the focal position P1 . That is, the focal position P1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shaping unit 500 may be determined by the beam concentrator 600 . The focal position P1 may be inside the lens body.

빔 제어부(700)는 빔 집광부(600) 및 초점위치(P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볼록한 입사평면(710)을 가질 수 있다.The beam controller 7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eam condenser 600 and the focal position P1 , and may have a convex incidence plane 710 .

빔 제어부(700)는 빔 집광부(6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초점위치(P1)보다 전방에서 교차하도록 레이저빔(LB)의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즉, 빔 제어부(700)에 의해 경로가 수정되는 레이저빔(LB)은 초점위치(P1)보다 전방에 서로 교차하는 교차위치(P2)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레이저빔(LB)은 교차위치(P2)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증가되다가 초점위치(P1)에서 초점이 맺힐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빔(LB)은 초점위치(P1)에서도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eam controller 700 may correct the path of the laser beam LB so that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centrator 600 crosses in front of the focal position P1 . That is, the laser beam LB whose path is corrected by the beam controller 700 may have an intersection position P2 that intersects each other in front of the focal position P1 . Thereafter, the laser beam LB may be focused at the focal position P1 after increasing in diameter as it goes away from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 Also, the laser beam LB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even at the focal position P1 .

빔 성형부(500) 및 빔 제어부(700)는 액시콘(Axicon) 렌즈일 수 있다.The beam shaping unit 5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may be an axicon lens.

빔 집광부(600)는 빔 성형부(5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수렴되어 초점위치(P1)에서 초점이 맺히도록 하기 때문에, 빔 제어부(700)가 없다면 레이저빔(LB)은 지름이 감소하는 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빔 제어부(700)가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을 빔 집광부(600)에 의해 레이저빔(LB)이 수렴되는 수렴각보다 더욱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초점위치(P1)의 전방에서 레이저빔(LB)이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위치(P2)를 지나는 레이저빔(LB)은 지름이 증가하는 빔 경로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converges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forming unit 500 to be focused at the focal point P1, if there is no beam control unit 700, the laser beam LB is It can have a beam path of decreasing diameter. However, since the beam control unit 700 makes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smaller than the convergence angle at which the laser beam LB is converged by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 the laser beam in front of the focal position P1 . The beams LB may be crossed. Accordingly, the laser beam LB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may have a beam path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도 9는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를 이용한 차단부 가공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cessing a blocking part using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7 .

도 9를 더 포함하여 설명하면,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D1)은 렌즈몸체(111a)에 형성하고자 하는 차단부(112a)의 지름에 대응될 수 있다.9, the diameter D1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may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blocking portion 112a to be formed in the lens body 111a.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은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렌즈몸체(111a)에 레이저빔(LB)이 조사되면 렌즈몸체(111a)에서 레이저빔(LB)이 조사되는 부분만 용융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점위치(P1)는 렌즈몸체(111a)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레이저빔(LB)이 새로이 조사되는 부분은 용융되고, 레이저빔(LB)이 지나간 부분은 응고되어 차단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laser beam LB has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at the focal position P1, when the laser beam LB is irradiated to the lens body 111a, the part to which the laser beam LB is irradiated from the lens body 111a can only be melted. And, the focal position (P1)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111a), the portion to which the laser beam (LB) is newly irradiated is melted,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LB) has passed is solidified and the blocking portion ( 112a) may be formed.

도 9의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빔(LB)의 초점위치는 렌즈몸체(111a)의 상부가 시작위치(S1)가 된 후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렌즈몸체(111a)의 하부가 종료위치(S2)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9의 (a’) 내지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이저빔(LB)의 초점위치는 렌즈몸체(111a)의 하부가 시작위치(S1)가 된 후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렌즈몸체(111a)의 상부가 종료위치(S2)가 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이 진행되더라도, 레이저빔(LB)에 의한 가공이 완료되면, 레이저빔(LB)의 초점이 위치되었던 부분이 차단부(112a)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a) to (c) of Figure 9,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LB is moved downward after the upper part of the lens body 111a becomes the starting position S1, and the lens body 111a The lower part of may be the end position (S2). Alternatively, as shown in (a') to (c') of FIG. 9 ,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LB is moved upward after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body 111a becomes the starting position S1 to move the len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1a) may be the end position (S2). Whatever method is performed, when the processing by the laser beam LB is completed, the portion where the focus of the laser beam LB is located may be formed as the blocking portion 112a.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음부터 렌즈몸체(111a)에 조사되는 레이저빔(LB)은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렌즈몸체(111a)에는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D1)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차단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laser beam LB irradiated to the lens body 111a from the beginning has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the lens body 111a has a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int P1. The blocking portion 112a may be form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D1).

도 10은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가공 광학계에서는 빔 제어부(700)가 빔 집광부(600)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 in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control unit 70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centrator 600 is variable.

빔 집광부(600) 및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교차하는 교차위치(P2)는 초점위치(P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즉, 빔 집광부(600) 및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교차위치(P2)는 더욱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은 점점 커질 수 있다.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increases,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at which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intersects becomes farther from the focal position P1. can That i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increases, the crossing position P2 may be moved further forward.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may gradually increase.

도 10의 (a)와 도 10의 (b)를 비교했을 때, 빔 제어부(700)가 빔 집광부(6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교차위치(P2)는 빔 집광부(600)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은 제1지름(D1)에서 제2지름(D2)으로 커지게 된다. 10 (a) and 10 (b) are compared, when the beam control unit 700 moves closer to the beam condenser 600,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is in the beam condenser 600 direction. is moved Then,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increases from the first diameter D1 to the second diameter D2.

마찬가지로, 도 10의 (b)와 도 10의 (c)를 비교했을 때, 빔 제어부(700)가 빔 집광부(600)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 교차위치(P2)는 빔 집광부(600) 방향으로 더욱 이동된다. 그리고,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은 제2지름(D2)에서 제3지름(D3)으로 더욱 커지게 된다. Similarly, when comparing FIGS. 10(b) and 10(c), when the beam control unit 700 moves closer to the beam concentrator 600,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is the beam condenser 600 ) is moved further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increases from the second diameter D2 to the third diameter D3.

빔 집광부(600)와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을 조절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단부(112a,113a,114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초점위치(P1)에서는 큰 지름에서 작은 지름 순서로 레이저빔(LB)의 지름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측의 차단부(112a)에서 중간의 차단부(113a), 그리고 내측의 차단부(114a) 순서로 가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미 가공된 차단부에 의해 레이저빔(LB)의 간섭 받지 않고 다음의 차단부를 가공할 수 있다. When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is adjusted at the focal position P1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the blocking unit 112a as shown in (b) of FIG. 4 . ,113a,114a) can be generated. At this time, at the focal position P1,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can be adjusted in the order of from large diameter to small diameter, and accordingly, from the outer blocking part 112a to the middle blocking part 113a, and the inner The blocking part 114a may be processed in order. In this way, the next blocking part can be process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laser beam LB by the already processed blocking part.

또한, 빔 집광부(600)와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지름을 조절하여 복수의 차단부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빔의 지름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광학계의 추가 구성이나, 광학계의 교체가 불필요한 이점도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can be adjusted to process a plurality of blocking units, so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 separate optical system for controlling the , or replacement of the optical system is unnecessary.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렌즈 가공 광학계는 출력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7 ,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control unit 900 .

출력제어부(900)는 조사부(800)에서 조사되어 빔 성형부(500)로 입사되는 레이저빔(LB)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unit 9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LB irradiated from the irradiation unit 800 and incident to the beam forming unit 500 .

출력제어부(900)는 빔 집광부(600) 및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LB)의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이 커질수록 레이저빔(LB)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제어부(900)는 빔 집광부(600) 및 빔 제어부(7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의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이 작아질수록 레이저빔의 출력을 작게 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unit 900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LB at the focal position P1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increases. can increase the output of And, the output control unit 900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and as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aser beam at the focal position P1 decreases,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decreases. can be made small

이를 통해, 초점위치(P1)에서 레이저빔의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이 다르게 되더라도 레이저빔의 에너지 밀도는 일정해질 수 있고, 용융 및 응고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가공되는 차단부의 광불투과성도 균일해질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ng shape of the laser beam is different at the focal position P1,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beam can be constant, and melting and solidification can be made uniformly, so that the light opacity of the blocking part to be processed is also uniform can be done

도 11은 도 7의 렌즈 가공 광학계의 다른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of FIG.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가공 광학계에서는 빔 성형부(500)가 빔 집광부(600)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 in the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forming unit 50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is variable.

빔 성형부(500) 및 빔 집광부(6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수렴하는 수렴각은 커질 수 있다.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unit 500 and the beam concentrator 600 increases, the convergence angle at which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converges may increase.

즉, 빔 집광부(600) 및 빔 제어부(700)와의 사이 거리가 일정한 경우, 초점위치(P1) 및 교차위치(P2)는 일정할 수 있다. 그런데, 빔 성형부(500)와 빔 집광부(6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빔 성형부(5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빔 집광부(600)에 입사될 때의 지름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빔 집광부(6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은 커지게 된다. 한편, 빔 제어부(700)는 빔 집광부(6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이 교차위치(P2)에서 교차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은 더 커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and the beam control unit 700 is constant, the focal position P1 and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may be constant. Howev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unit 500 and the beam concentrator 600 is increased,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forming unit 500 is incident on the beam condenser 600 is also it gets bigger Accordingly,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am control unit 700 has to make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denser 600 intersect at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 becomes larger.

즉, 도 11의 (a)와 도 11의 (b)를 비교했을 때, 빔 성형부(500)가 빔 집광부(6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수렴각은 제1수렴각(CA1)에서 제2수렴각(CA2)으로 커지게 된다. That is, when comparing FIGS. 11 (a) and 11 (b), when the beam shaping unit 500 moves away from the beam condenser 600, the convergence angle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is It increases from the first convergence angle CA1 to the second convergence angle CA2.

마찬가지로, 도 11의 (b)와 도 11의 (c)를 비교했을 때, 빔 성형부(500)가 빔 집광부(600)로부터 더욱 멀어지도록 이동하면,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수렴각은 제2수렴각(CA2)에서 제3수렴각(CA3)으로 더욱 커지게 된다. Similarly, when comparing FIG. 11(b) and FIG. 11(c), when the beam forming unit 500 moves further away from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the convergence angle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is is increased from the second convergence angle CA2 to the third convergence angle CA3.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을 작게 하는 것은 빔 성형부(500)와 빔 집광부(600)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Reducing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ler 700 may be implement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unit 500 and the beam concentrator 600 .

이처럼, 본 발명은 빔 성형부(500)와 빔 집광부(6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몸체에 도 4의 (b)와 같은 복수의 차단부(112a,113a,114a)를 가공하는 경우, 렌즈몸체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면 교차위치(P2)가 랜즈몸체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빔 제어부(700)와 교차위치(P2) 사이의 레이저빔(LB)이 이전에 가공된 차단부(즉, 외측의 차단부)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을 작게 하여 빔 제어부(700)와 교차위치(P2) 사이의 레이저빔(LB)이 외측에 이미 가공된 차단부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레이저빔(LB)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내측의 차단부를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ler 70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unit 500 and the beam concentrator 600 . In the case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blocking parts 112a, 113a, 114a as shown in FIG. 4(b) on the lens body, if the thickness of the lens body is too thick,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may be located inside the lens body. . Then, the laser beam LB between the beam control unit 700 and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previously processed blocking unit (ie, the outer blocking unit). In this case, by reducing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the laser beam LB between the beam control unit 700 and the intersection position P2 is on the inside of the already processed blocking unit on the outside. It can be positioned, and through this, energy loss of the laser beam LB can be prevented, and the blocking part inside can be stably processed.

그리고,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이 커질수록 차단부의 표면 거칠기는 커질 수 있다. 즉, 빔 성형부(500) 및 빔 집광부(600)의 거리가 가까워져서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이 작아지는 경우에 가공되는 차단부의 표면이 제1거칠기를 가진다고 하면, 빔 성형부(500) 및 빔 집광부(600)의 거리가 멀어져서 빔 제어부(7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이 커지는 경우에 가공되는 차단부의 표면은 제1거칠기보다 거친 제2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거칠기 및 제2거칠기는 범위값일 수 있으며, 차단부의 표면은 차단부와 렌즈몸체의 경계면일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ler 700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locking part may increase. That is, when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becomes small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forming unit 500 and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becomes close, the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to be processed has a first roughnes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forming unit 500 and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increases, the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processed when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increases is the first It may have a second roughness that is coarser than the roughness. Here, the first roughness and the second roughness may be a range value, and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may be an interface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lens body.

또한, 본 발명은 빔 성형부(500)와 빔 집광부(6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빔 제어부(7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LB)의 수렴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빔의 수렴각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광학계의 추가 구성이나, 광학계의 교체가 불필요한 이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LB irradia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700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forming unit 500 and the beam condensing unit 600 , so the laser beam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 separate optical system for adjusting the convergence angle of , or replacement of the optical system is unnecessar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렌즈군
110a,110b,110c: 렌즈
111a,111b: 렌즈몸체
112a,112b,112c,113a,113b,114a,114b: 차단부
500: 빔 성형부
600: 빔 집광부
700: 빔 제어부
800: 조사부
900: 출력제어부
100: lens group
110a, 110b, 110c: lens
111a, 111b: lens body
112a, 112b, 112c, 113a, 113b, 114a, 114b: blocking part
500: beam forming unit
600: beam condensing unit
700: beam control
800: investigation unit
900: output control unit

Claims (11)

렌즈몸체; 그리고
상기 렌즈몸체의 내부에 상기 렌즈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lens body; And
A len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an edge of the lens body inside the lens body and comprising a blocking part for blocking incoming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is a len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3. The method of claim 2,
A len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portion is a len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5. The method of claim 4,
A len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되고 축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렌즈에 구비되는 상기 차단부는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mprising a len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lens group,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lenses is formed with different diameter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렌즈 가공 광학계로서,
오목한 출사평면을 가지며, 상기 출사평면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빔이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고 상기 출사평면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증가되도록 하는 빔 성형부;
상기 빔 성형부에서 출사된 후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렌즈몸체 가장자리의 초점위치에 초점이 맺혀 상기 차단부가 생성되도록 하는 빔 집광부; 그리고
볼록한 입사평면을 가지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초점위치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빔 집광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초점위치보다 전방에서 교차하도록 경로를 수정하여 상기 레이저빔이 지름이 증가하는 빔 경로를 가지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
As a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for processing the le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beam forming unit having a concave emitting plane, molding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emitting plane to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increasing a diameter as it goes away from the emitting plane;
a beam condensing unit for generating the blocking unit by focusing the laser beam incident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beam forming unit at a focal point of the edge of the lens body; And
It has a convex incidence plan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focal position, and the laser beam is increased in diameter by modifying the path so that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centrating unit intersects in front of the focal position.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am path and comprises a beam control unit to achieve a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위치는 상기 렌즈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초점위치에 맺히는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상기 렌즈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ocal position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and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by the laser beam focused on the focal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제어부는 상기 빔 집광부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교차하는 교차위치는 상기 초점위치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은 커지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교차하는 교차위치는 상기 초점위치에 가까워지고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의 지름은 작아져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렌즈몸체의 지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am control unit i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densing unit is variabl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increases, an intersection position at which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intersects becomes farther from the focal position, and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creases at the focal position.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increases, an intersection position at which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unit intersects is closer to the focal position, and the diameter of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at the focal position is smaller.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lens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성형부는 상기 빔 집광부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빔 성형부 및 상기 빔 집광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수렴각은 작아져서 상기 차단부의 표면은 제1거칠기를 가지고,
상기 빔 성형부 및 상기 빔 집광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빔 제어부에서 출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수렴각은 커져서 상기 차단부의 표면은 상기 제1거칠기보다 거친 제2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eam forming unit is provided such that the distance to the beam condensing unit is variabl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part and the beam condensing part gets closer,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part becomes smaller so that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has a first roughnes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shaping part and the beam condensing part increases, the con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beam control part increases so that the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has a second roughness that is rougher than the first roughness. Lens processing optic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성형부로 입사되는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제어부는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레이저빔의 단면 지름이 커질수록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크게 하고,
상기 빔 집광부 및 상기 빔 제어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링 형태의 레이저빔의 단면 지름이 작아질수록 상기 레이저빔의 출력을 작게 하여 상기 초점위치에서 상기 레이저빔의 에너지 밀도가 일정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광학계.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ncident to the beam forming unit,
The output control uni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becomes closer and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ring-shaped laser beam increases at the focal position,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ncreas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 condensing unit and the beam control unit increases and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ring-shaped laser beam decreases at the focal position,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decreased so that the energy density of the laser beam at the focal position is constant. Lens processing optic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00004688A 2020-01-14 2020-01-14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KR102360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88A KR102360828B1 (en) 2020-01-14 2020-01-14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88A KR102360828B1 (en) 2020-01-14 2020-01-14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82A true KR20210091482A (en) 2021-07-22
KR102360828B1 KR102360828B1 (en) 2022-02-09

Family

ID=7715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688A KR102360828B1 (en) 2020-01-14 2020-01-14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2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428A (en) * 2003-07-09 2005-02-03 Denso Corp Laser beam machining device
JP5576195B2 (en) * 2010-06-30 2014-08-20 株式会社ミツトヨ Autofocus device
JP2015213952A (en) * 2014-05-12 2015-12-03 株式会社ディスコ Laser processing device
KR20190035261A (en) 2017-09-26 2019-04-03 허철 Filter for cutting off reflected light of lens for semiconductor element processing and optical system for exposure using thereof
JP2019084542A (en) * 2017-11-02 2019-06-0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Beam superposition optical system and laser processing device
JP2019090849A (en) * 2017-11-10 2019-06-13 カンタツ株式会社 Optical element and image capturing le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428A (en) * 2003-07-09 2005-02-03 Denso Corp Laser beam machining device
JP5576195B2 (en) * 2010-06-30 2014-08-20 株式会社ミツトヨ Autofocus device
JP2015213952A (en) * 2014-05-12 2015-12-03 株式会社ディスコ Laser processing device
KR20190035261A (en) 2017-09-26 2019-04-03 허철 Filter for cutting off reflected light of lens for semiconductor element processing and optical system for exposure using thereof
JP2019084542A (en) * 2017-11-02 2019-06-0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Beam superposition optical system and laser processing device
JP2019090849A (en) * 2017-11-10 2019-06-13 カンタツ株式会社 Optical element and image capturing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28B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349B2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focused beam diameter
EP1258743B1 (en) Imaging optical instrument
JP6373421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optical elements for focusing a nearly collimated beam
JP2021507474A (en) Projection devices for automobile floodligh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rojection devices
EP0491192B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method
JP2009178725A (en) Laser beam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520883A (en) Laser processing head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laser processing head
CN110908099B (en) Quasi-telecentric high-power optical focusing lens for laser welding machine and imaging method thereof
KR102360828B1 (en) Lens, lens group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system for porcessing lens
CN107363416A (en) A kind of laser ring cutter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8139476A (en) Condensing optical system and laser machining device
CN112643222A (en) Laser cutting method and laser cutting system
JP2814396B2 (en) Ophthalmic optics
KR102612372B1 (en) Beam generation system for chamfering using Airy beam
JP3855563B2 (en) Laser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method
JP2005014018A (en) Laser beam machining apparatus
JP2001075043A (en) Precise variable type long beam optical system
JPS63108318A (en) Laser working device
KR102148012B1 (en) Apparatus for drilling hole using laser
JP2005186099A (en) Laser beam machining device and method
US20200379330A1 (en) Light integration rod and projection device
JPH0990254A (en) Scanning optical system
JP6722795B1 (en) Laser beam shaping device
CN107340587A (en) A kind of camera imaging and Laser Focusing share combined objective
KR101920685B1 (en) Scan Lens for Laser Micro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