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422A -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 Google Patents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422A
KR20210091422A KR1020200004569A KR20200004569A KR20210091422A KR 20210091422 A KR20210091422 A KR 20210091422A KR 1020200004569 A KR1020200004569 A KR 1020200004569A KR 20200004569 A KR20200004569 A KR 20200004569A KR 20210091422 A KR20210091422 A KR 2021009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reservoir
rate
level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Priority to KR102020000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422A/ko
Publication of KR2021009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4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vertical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수위판에 저수지의 해발표고와 이에 따른 담수율을 동시에 표시하여 저수지의 담수율을 해발표고에 따라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수자원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한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금속수위판의 표면에 해발표고를 나타내는 숫자와 눈금을 표시한 통상의 수위표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의 표면을 양분하여 한 쪽에는 상기한 해발표고의 숫자와 눈금을 표시하고 다른 한 쪽에는 해발표고에 따라 측정된 담수량을 나타내는 담수율을 백분율 숫자로서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Water level table showing desalination rate of reservoir}
본 발명은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수위판에 저수지의 해발표고와 이에 따른 담수율을 동시에 표시하여 저수지의 담수율을 해발표고에 따라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수자원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한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계절별 강우량 편차가 심하고 갈수기에 적어지는 하천수량으로 인해 가뭄에 의한 물부족 현상을 감소시키고 농사에 필요한 농업용 물관리를 위한 약 18,000개 이상의 저수지와 집중호우나 태풍에 의한 토사나 유목을 막아 산사태 및 수해방지를 위한 약 5,500개의 사방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댐과 저수지는 하천의 흐름을 막아 그 저수를 생활 및 공업용수, 농업용수, 환경개선용수, 발전, 홍수조절, 등 그 밖의 용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공작물로서 안정적인 저수용량 확보나 산사태 방지 등을 위해 반드시 준설 작업이 필요하며, 정확한 준설시기와 준설규모 파악을 위해 담수량을 측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과 저수지는 축조시에 높이와 넓이의 용적과 하상의 형태을 참조하여 해발표고를 기준선으로 하여 해발표고에 따른 담수율을 미리 측정하고 이를 표로 만들어 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담수량을 확인할 때에는 저수지에 설치한 해발표고에 따른 수위표를 보고 수위를 먼저 확인한 후 이를 관리소에 비치한 담수율표에 따라 담수율을 확인하여 수리 시설물의 재해를 방지하고 농업용수, 공업용수, 홍수조절 등을 위한 신속한 용수 제어등의 수자원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는 담수울을 확인하기 위해 댐 또는 저수지에 설치한 수위표를 보고 해발표고에 따른 수위를 확인한 후 이를 별도로 비치한 담수율의 측정표에 의해 담수율을 확인하게 되므로 담수율의 측정을 신속하게 할 수 없었고 확인과정도 번거럽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페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평균해수면 수위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한 해발표고에 따른 담수율을 사전에 측정하여 해발표고와 담수율을 동시에 수위표에 표시하여 수위에 따른 담수율을 육안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금속수위판의 표면에 해발표고를 나타내는 숫자와 눈금을 표시한 통상의 수위표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의 표면을 양분하여 한 쪽에는 상기한 해발표고의 숫자와 눈금을 표시하고 다른 한 쪽에는 해발표고에 따라 측정된 담수량을 나타내는 담수율을 숫자로서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수위판은 SPP철판, SPE강판과 같은 저탄소강 소재인 법량용 철판을 사용하고 표면은 유리질을 소성 융착하거나 금속판에 구워 올려 윤이 나게 하는 유약을 칠하는 법랑층으로 구성하며, 눈금과 숫자는 전사 인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발표고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수위에 따른 담수량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수위를 확인하고 다시 담수량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매우 편리하게 담수량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자원 관리에 매우 유효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금속수위판(1)의 표면에 해발표고를 나타내는 숫자(2)와 눈금(3)을 표시한 통상의 수위표(100)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100)의 표면을 양분하여 한 쪽에는 상기한 해발표고의 숫자(2)와 눈금(3)을 표시하고 다른 한 쪽에는 해발표고에 따라 측정된 담수량을 나타내는 담수율(10)을 백분율 숫자로서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수위표(100)의 표면에 해발표고를 나타내는 숫자(2) 및 눈금(3)과 담수율(10)을 나타내는 백분율 숫자를 좌우로 동시에 표시한 것이므로 예를 들어 수위가 해발표고 99m 일 경우 담수율(10)은 15% 라는 것을 육안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수위표(100)의 수위를 확인하고 다시 담수율(10)을 확인하는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수위표(100)는 수위를 표시하는 해발표고를 댐 또는 저수지를 만들때 하상에서 부터 기준선을 중심으로 측정하여 숫자(2)와 눈금(3)으로 표시하게 되는 데 본 발명은 해발표고에 따른 담수율(10)을 저수지의 높이와 넓이 및 하상의 모양과 형태 및 침적된 토사를 감안하여 레이저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담수율(10)을 저수지 전체 용량의 비율로서 해발표고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수위와 담수율(10)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물을 농업용수, 공업용수로 이용할 때나 홍수 조절 등 수자원 관리를 하는 데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여기서 담수율(10)은 백분율로 표시하므로 약 5%의 간격을 두고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발표고는 비교적 자세하게 표시하는 것이 수자원 관리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위표(100)는 장기간 동안 물에 잠겨 있게 되므로 녹이 슬지 않는 SPP철판, SPE강판과 같은 저탄소강 소재인 법량용 철판을 사용하고 표면은 유리질을 소성 융착하거나 금속판에 구워 올려 윤이 나게 하는 유약을 칠하는 법랑층으로 구성하고 그 표면에 눈금(3)과 숫자(2)를 전사인쇄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내구성을 부여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수위표(100)에 해발표과 이에 따른 담수율(10)을 동시에 표시한 것이므로 해발표과와 담수율(10)을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수자원관리에 매우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금속수위판 2 : 숫자 3 : 눈금 10 : 담수율 100 : 수위표

Claims (2)

  1.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금속수위판(1)의 표면에 해발표고를 나타내는 숫자(2)와 눈금(3)을 표시한 통상의 수위표(100)에 있어서, 상기 수위표(100)의 표면을 양분하여 한 쪽에는 상기한 해발표고의 숫자(2)와 눈금(3)을 표시하고 다른 한 쪽에는 해발표고에 따라 측정된 담수량을 나타내는 담수율(10)을 백분율 숫자로서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수위판(1)은 SPP철판, SPE강판과 같은 저탄소강 소재인 법량용 철판을 사용하고 표면은 유리질을 소성 융착하거나 금속판에 구워 올려 윤이 나게 하는 유약을 칠하는 법랑층으로 구성하며, 눈금(3)과 숫자(2)는 전사 인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KR1020200004569A 2020-01-14 2020-01-14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KR20210091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569A KR20210091422A (ko) 2020-01-14 2020-01-14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569A KR20210091422A (ko) 2020-01-14 2020-01-14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22A true KR20210091422A (ko) 2021-07-22

Family

ID=7715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569A KR20210091422A (ko) 2020-01-14 2020-01-14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1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72A1 (ko) 2020-08-11 2022-02-17 (주) 엘지화학 투명 열가소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72A1 (ko) 2020-08-11 2022-02-17 (주) 엘지화학 투명 열가소성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Kamp et al. Long-term water level changes in closed-basin lakes of the Canadian prairies
Clemmens et al. Accuracy of irrigation efficiency estimates
Kim et al. Roughness coefficient and its uncertainty in gravel-bed river
CN104794364B (zh) 海平面上升脆弱性等级评估的定量化方法
Abrahams et al.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of resistance to interrill overland flow on semi-arid hillslopes, southern Arizona
CN109829584A (zh) 一种山洪风险动态评估方法
KR20210091422A (ko) 댐 및 저수지의 담수율을 표시한 수위표
CN104652347A (zh) 山区非静态水体水位与淹没影响人口关系评价方法
van den Elsen et al. Discharge and sediment measurements at the outlet of a watershed on the Loess plateau of China
CN111337100A (zh) 基于条形水位标尺的水位量测方法及装置
Razafison et al. A shallow water model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of overland flow on surfaces with ridges and furrows
Melone et al. Lag prediction in ungauged basins: An investigation through actual data of the upper Tiber River valley
Reinfelds et al. Refinement of the wetted perimeter breakpoint method for setting cease‐to‐pump limits or minimum environmental flows
CN102661741B (zh) 一种小型冲沟沟头形态及侵蚀量的监测方法
Zhu et al. Projected reservoir rating curves based on sedimentation surveys and its application in water planning in Texas
CN102721349B (zh) 一种细沟断面精准测量的方法
AU2019101428A4 (en) Method for amplifying water level measuring accuracy by projection and application thereof
Wilcox et al. Runoff prediction from sagebrush rangelands using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technology
Das et al. Use of asymmetry indices and stability indices for assessing channel dynamics: a study on Kuya River, Eastern India
Lei et al. Determining sediment concentration in runoff flow with gamma ray attenuation and the related theoretical algorithm.
De Ronde et al. Morphological developments and coastal zone management in the Netherlands
Kumar et al. Water Budget Estimation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Drought Prone Areas in Rayalaseema Region, South India
Haregeweyn et al. Reservoir sedimentation and its mitigation strategies: a case study of the Ethiopian highlands
CN211477290U (zh) 一种基于条形水位标尺的水位量测装置
Crance et al. The impact of ice cover roughness on stream hydr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