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39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391A
KR20210090391A KR1020200003579A KR20200003579A KR20210090391A KR 20210090391 A KR20210090391 A KR 20210090391A KR 1020200003579 A KR1020200003579 A KR 1020200003579A KR 20200003579 A KR20200003579 A KR 20200003579A KR 20210090391 A KR20210090391 A KR 2021009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piece
cooking applian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391A/ko
Priority to CN202110023508.3A priority patent/CN113100639B/zh
Priority to US17/144,833 priority patent/US11841144B2/en
Priority to EP21150684.5A priority patent/EP384863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닫힘 유지상태에서도 수동으로 도어 개방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모듈은,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에 탄성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캠과; 상기 래치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래치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외력을 래치에 전달하는 레버브라켓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수동 개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도어의 닫힘 유지상태에서도 수동으로 도어 개방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가열원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같은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조리실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조리실 전방에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힌지 연결된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나 홈(groove)이 마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사용 품질을 높이기 위해, 조리기기 도어의 개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즉, 조리실의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해 미국 특허공개 US2006-232077A1와 같이 셀프클리닝 기능도 추가되고 있으며, 중국 실용신안 공고 CN206091628U에서와 같이 셀프클리닝 동안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셀프 클리닝은, 조리실 내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실 내벽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을 태우거나 고온의 수증기로 불려서, 청소할 때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셀프 클리닝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도어는 조리기기의 도어는 굳게 닫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셀프 클리닝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셀프 클리닝 작업시 고장이 발생하거나 전기의 끊김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자동 개방과 도어의 잠김 또는 닫힘 유지 기능 등이 각각의 모드로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성과 서비스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처럼 도어의 자동 개방 또는 잠김 기능을 적용하더라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도어를 수동으로 여닫는 수동 개방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도어의 개방과 잠금 및 닫힘 유지 등의 기능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공개 US2006-232077A1 중국 실용신안 공고 CN206091628U 미국 특허등록 US10138669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2067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이나 최초 조리기기의 설치시 수동으로 간단히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자동 개방과 도어 잠금 그리고 닫힘 유지 및 수동 개방 기능이 하나의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바에 의해 외부에서 래치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가 차단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래치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의 잠금 모드에서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래치에 결합되는 별도의 레버브라켓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공기 유동 홀(hole)을 통해 레버브라켓을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래치의 유동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버브라켓의 상단에 접하여 래치를 유동시키는 별도의 작동바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래치의 회전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작동바에 손잡이와 걸림편 그리고 경사진 걸림연장편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도어와 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레버브라켓을 조작하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모듈은,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에 탄성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캠과; 상기 래치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래치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외력을 래치에 전달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브라켓은,
상기 래치의 일면에 결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장착편과 일정 각도를 가지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편은 상기 래치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장착편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편의 상단에는, 상기 연장편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단부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선단과 상기 하단부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연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부의 선단에는, 상기 도어의 핀이 수용되는 후크홈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홈의 일면에는, 상기 핀이 접촉하여 걸어지거나 슬라이딩하는 걸림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면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어잠금면과, 상기 후크홈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이탈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경사면의 끝단에는, 상기 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래치의 상승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와 상기 장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장착돌기와 돌기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와 상기 장착면에는, 체결기구가 상하로 관통되는 장착홀과 관통홀이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작동바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바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브라켓의 걸림단부와 간섭되는 걸림편과;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와 걸림편을 일체로 연결하는 걸림연장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단부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단부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연장편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은, 상기 손잡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메인편과, 상기 메인편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래치가 회전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잠금 모드에서도 사용자가 외부에서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래치에 결합되는 별도의 레버브라켓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공기 유동 홀(hole)을 통해 레버브라켓을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 상측으로 노출되는 레버브라켓을 좌우로 유동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래치의 유동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요시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셋, 본 발명에서는 레버브라켓의 상단에 접하여 래치를 유동시키는 별도의 작동바가 구비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래치의 회전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작동바에 손잡이와 걸림편 그리고 경사진 걸림연장편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도어와 본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레버브라켓을 조작하기 용이하게 된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레버브라켓은 래치의 일면에 결합되는 장착편 및 장착편과 일정 각도를 가지는 연장편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편의 상단에는 연장편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단부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 본체의 구획편 상측으로는 걸림단부만 노출되므로 구획편의 절개 부위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레버브라켓의 무게가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래치의 후크부 끝단에는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이탈경사면에 접한 도어의 핀(pin)이 저절로 이탈경사면을 벗어나 도어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래치의 상면에 유동방지돌기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래치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이 브라켓에 의해 차단되므로 지나친 상하 유동이 방지되어 소음이나 작동불량이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래치와 레버브라켓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장착돌기와 돌기홀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래치에 레버브라켓을 정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장착이 견고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아우터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래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작동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작동바를 본체의 내부에 삽입하여 도어를 여는 상태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조리기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조리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내부에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되어 조리되는 조리실(1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이너하우징(11)과, 상기 이너하우징(11)의 외측에서 상기 이너하우징(11)을 둘러싸는 아우터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하우징(11)과 아우터하우징(14)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너하우징(11)과 아우터하우징(14) 사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거나 공기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이너하우징(11)의 전단부에는 본체패널(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패널(16)은 상기 이너하우징(11)의 전단부에 결합되거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도어(20)가 힌지기구(2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12)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20)의 하단에 상기 힌지기구(24)가 연결되어 도어(20)의 개폐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된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20) 외부의 공기는 상기 도어(20)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배출되는 도어 도어 공기 출구(2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도어 공기 출구(21)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공기 입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는 상기 본체패널(16)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를 통해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를 유동한 후에 본체 공기 출구(18)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도 상기 본체패널(16)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세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20)에는 컨트롤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 장치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20)에서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패널(16) 중에서 상기 조리실(12)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조작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 장치를 통해서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정보를 표시 및/또는 사용자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패널(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전면패널(22)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2)은,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전면패널(22)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패널(22)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패널(2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패널과, 상기 중간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패널은 상기 조리실(12)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 패널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패널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2)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 및 상기 리어패널도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2)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22)에서 조리기기(1)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패널(22)의 상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디스플레이창(26)이 형성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창(26)의 후측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아우터하우징(14)이 제거된 상태의 조리기기(1)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이너하우징(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실(12)이 소정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본체(10)의 상부와 하부, 후방, 측방에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20)는 도어의 하단부에 수평의 힌지기구(24)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따라서,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전방 하부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후방 상부로 회동하여 폐쇄된다.
상기 도어(20)의 면적은, 단지 조리실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면적일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은 물론 조리실 상부 공간의 전방을 모두 덮는 면적일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부 측방에는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주고, 도어(20)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거나, 도어(20)를 걸어 잡아 도어(20)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잠그는 래치모듈(30)이 마련된다.
상기 래치모듈(30)은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래치모듈(30)의 선단부, 즉 아래에서 설명할 후크부(51) 부분은 상기 본체(10)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모듈(30)은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거나, 도어(20)의 상부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전방 하부와 도어(20)의 하부에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과 댐퍼 그리고 서브스프링 등이 설치된 힌지모듈(28)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은 도어(20)가 후방 상부로 회동하는 방향, 즉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20)를 가세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은 도어(20)가 열리며 하강할 때 도어(20)가 세게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댐퍼는 상기 도어(20)가 열릴 때 도어(20)의 회전력을 감쇠하여 도어(20)가 천천히 열리도록 해준다. 필요에 따라 상기 댐퍼는 도어가 열릴 때에만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열리는 방향과 닫히는 방향으로 모두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든 회동각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회동각의 범위 중 일부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댐퍼는 도어의 소정의 개방각 구간에서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고, 상기 개방각을 벗어나는 구간에서는 감쇠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댐퍼가 도 3의 a2 ~ a3에 해당하는 개방각 구간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면서 감쇠가 시작되는 감쇠 돌입각(a2)은 35 ± 5° 일 수 있으며, 서브스프링은 도어(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도어를 가세한다. 상기 서브스프링이 도어를 개방 가세 하는 개방각 범위는 0° ~ a1 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상기 래치모듈(30)의 일례기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래치모듈(30)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기 래치모듈(30)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모듈(30)은 전체적인 토대가 되는 브라켓(40)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40)은 판금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판 형태의 금속 판재의 가장자리 부분은 하부로 절곡되거나 상부로 절곡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래치모듈(30)을 다른 부품에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브라켓(40)에 각종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40)에는 동력전달부인 캠(7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캠수용홀(42)과, 브라켓(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50)가 회동하는 구간을 규제할 수 있는 원호홀(41)이 마련된다.
상기 브라켓(40)에는 래치(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50)는 일단(후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50)는 긴 금속 평판을 절곡한 구조이며, 래치(5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브라켓(40)에 대한 래치(50)의 회동의 중심이 되는 피봇축부(54)가 마련된다.
상기 피봇축부(54)에 피봇축(미도시)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래치(50)가 브라켓(4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봇축부(54)를 포함하는 래치(50)의 후반부는 브라켓(4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40)의 상부에 배치된 래치(50)의 일측면(도 4 및 도 5에서는 좌측면)에는, 캠(70)의 래치 위치조정 프로파일(73)과 접하는 접촉면(55)과, 경우에 따라 상기 캠(70)과 간섭되어 래치(50)의 동작 오류를 기구학적으로 보완하는 간섭연장부(58)가 마련된다.
상기 간섭연장부(58)는 상기 접촉면(55)으로부터 측방(도 4 및 도 5에서는 좌측)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55)과 간섭연장부(58)는 전체적으로 L자(후방 상측에서 볼 경우) 형태를 가진다.
상기 래치(50)의 중간 부분에는 전방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40)의 원호홀(41)을 관통하는 삽입연결부(50c)가 마련된다.
상기 원호홀(41)은, 상기 삽입연결부(50c)가 상기 원호홀(4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래치(50)가 회동하는 궤적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브라켓(40)에 있어서 상기 원호홀(41)보다 상기 피봇축부(54)에 가까운 위치에는, 상기 래치(50)의 회동을 지지하는 원호 형의 접동비드면(43)이 마련된다.
상기 접동비드면(43)은 브라켓(40)의 표면(도 4 및 도 5에서는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볼록 튀어나온 형태를 가지며, 상기 래치(50)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브라켓(40)의 표면과 래치(50)가 직접 접촉하여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삽입연결부(50c)의 전방 단부는 다시 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래치(50)의 선단부에는 후크부(51)가 마련된다.
상기 후크부(51)는 도어(20)의 핀(도시되지 않음)과 걸리거나 걸림 해제됨으로써, 도어(20)가 열리거나 닫힘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래치(50)는 후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 강제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용수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가 탄성을 가하여 상기 래치(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래치(50)에는 탄성체인 용수철(90)의 단부를 걸 수 있는 걸림단(57)이 마련된다. 용수철(9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걸림단(57)에 걸려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브라켓(40)에 고정된다.
상기 걸림단(57)은 상기 래치(5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홀(hole) 형태로 상기 래치(5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수철(90)은 상기 래치(50)를 용수철 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상기 용수철(90)은, 상기 래치(50)보다 상기 래치(50)의 회동 방향의 좌측방향(도 4 및 도 5에서) 쪽에 배치되어, 상기 래치(50)를 좌측방향(도 4 및 도 5에서)으로 회동하도록 가세한다.
상기 래치(50)보다 좌측방향(도 4 및 도 5에서) 쪽에는 캠(7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캠(70)은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 가능하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래치(5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캠(70)의 회전중심인 축홀(71)은 상하로 관통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캠(70)은 수직의 회전축을 가진다.
상기 캠(70)은 상기 브라켓(40)의 캠수용홀(42)을 관통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캠(70)의 상부는 상기 브라켓(40)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캠(70)의 하부는 상기 브라켓(40)의 하부로 노출된다.
상기 캠(70)은, 앞서 설명한 래치(50)의 접촉면(55)과 접하여 래치(50)의 회동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래치 위치조정 프로파일(73)과, 후술할 스위치들(81, 82)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하는 스위치 누름 프로파일(72)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 위치조정 프로파일(73)은 캠의 상부에 마련되고, 스위치 누름 프로파일(72)은 캠의 하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캠(70)이 상기 브라켓(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 위치조정 프로파일(73)은 브라켓(40)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래치(50)의 접촉면(55)과 접하고, 상기 스위치 누름 프로파일(72)은 브라켓(40)의 하부로 노출되어 브라켓(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스위치들(81, 82)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한다.
상기 캠(70)의 재질은, 강도와 내열성이 좋은 합성수지, 가령 PPS(Poly Phenylene Sulfide)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캠(70)의 접동 마모를 최소화하고 고온의 조리기기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는 탄성체와 다른 힘을 가하는 구동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60)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래치(50)가 상기 탄성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캠(70)은 구동부인 모터(6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캠(70)은 모터(60)의 회전축(61)에 직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60)는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회전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모터(60)는 회전축(61)이 하향하도록 상기 브라켓(4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61)은 상기 캠(70)의 축홀(71)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40)의 하부에는 제1스위치(81)와 제2스위치(8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버튼(81a, 82a)을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스위치들의 버튼(81a, 82a)은 대략 캠(70)의 중심을 바라보도록 돌출된다.
상기 버튼(81a, 82a)은, 상기 캠의 회전중심(71)을 기준으로, 90° 이상 180°미만의 사잇각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캠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잇각은 110° 내지 160° 일 수 있으며, 120° 정도가 적정하다.
상기 래치(50)에는 레버브라켓(1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상단은 상기 이너하우징(1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레버브라켓(100)의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작동바(200)에 의해 간섭된다. 즉,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작동바(200)의 힘이 상기 래치(50)에 전달되도록 하여 래치(50)가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상기 래치(50)에 일단(하단)이 연결되며, 상기 래치(50)가 외력(사용자 등의 힘)에 의해 회전하도록 외력을 래치(50)에 전달하게 된다.
도 7에는 상기 래치(5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5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단부(50a) 및 하단부(50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50a)와 하단부(50b) 사이에는, 상기 상단부(50a)의 선단과 상기 하단부(50b)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연결부(50c)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50a)와 하단부(5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연결부(50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상단부(50a)와 하단부(50b)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래치(50)의 선단부, 즉 전방 단부에 마련된 후크부(51)는 측방, 구체적으로는 래치(50)의 좌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래치(50)의 선단에는 좌측(도 7에서)으로 개방된 후크홈(5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단부(50b)의 선단에는, 상기 도어(20)의 핀이 수용되는 후크홈(56)이 일측(우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홈(56)에는 상기 도어(20)의 핀(도시되지 않음)이 수용되어 걸어지게 된다.
즉,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기술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단부에는 상하로 핀(pin)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핀(pin)이 상기 후크홈(56)에 수용되면 도어(20)가 잠기게 되고, 핀(pin)이 상기 후크홈(56)으로부터 벗어나면 도어(20)가 열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크홈(56)의 일면(도 7에서는 전면)에는, 상기 도어(20)의 핀이 접촉하여 걸어지거나 슬라이딩하는 걸림면(5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52)은, 상기 후크홈(56)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어잠금면(52b)과, 상기 후크홈(56)의 출구측(도 7에서는 좌측)에 형성되는 이탈경사면(52a) 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후크부(51)의 안쪽에는, 상기 도어(20)의 핀(도시되지 않음)의 이면과 걸리는 걸림면(52)이 제공된다. 즉, 상기 후크홈(56)의 외측면(도 7에서는 전방쪽 면)에는 걸림면(5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52)은 이탈경사면(52a)과 걸어잠금면(52b)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경사면(52a)은 걸림면(52)에서 좌측방향 쪽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걸어잠금면(52b)은 걸림면(52)에서 우측방향 쪽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경사면(52a)보다 걸어잠금면(52b)이 후크홈(56)의 보다 깊숙한 곳(도 7에서는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래치(50)가 피봇축부(5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핀(도시되지 않음)의 이면이 상기 이탈경사면(52a)에 접하는 수동잠김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이탈경사면(52a)은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도어(20)의 개방 방향으로 경사지는 표면을 가진다. 즉, 상기 이탈경사면(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갈수록 상기 후크홈(56)의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자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50)가 피봇축부(5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핀(도시되지 않음)의 이면이 상기 걸어잠금면(52b)에 접하는 걸어잠금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걸어잠금면(52b)은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과 수직한 표면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어잠금면(52b)이 위치되는 후크홈(56)의 안쪽(우측)의 폭은 좌우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내측(안쪽)으로 갈수록 후크홈(56)의 폭이 증가하도록 상기 걸어잠금면(52b)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핀이 상기 걸어잠금면(52b)에 수용되면 저절로 좌측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이탈경사면(52a)과 걸어잠금면(52b)이 연결되는 부분은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이탈경사면(52a)과 접하고 있던 핀(도시되지 않음)의 이면이 상기 래치(50)가 회전하여 상기 걸어잠금면(52b) 쪽으로 접동할 때 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래치(50)의 이동이 탄성체인 용수철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접동이 부드럽게 될수록 래치의 이동이 더욱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면(52)의 끝단에는 이탈방지턱(52c)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경사면(52a)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20)의 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c)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턱(52c)은, 상기 이탈경사면(52a)에 상기 도어(20)의 핀이 접하여 수동잠김위치에 위치할 때, 소정 크기의 당김이 없는 한 저절로 도어(2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탈경사면(52a)과 대향하는 후크부(51)의 반대면에는 삽입경사면(53)이 마련된다. 삽입경사면(53)은 래치(50)가 수동잠김위치에 위치할 때,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삽입경사면(53)은, 래치가 수동잠김위치에 있을 때, 도어의 핀(도시되지 않음)의 표면과 접하게 된다. 즉 이탈경사면(52a)과 삽입경사면(53)에 의해, 후크부(51)는 끝부분(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형태, 즉 뾰족해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래치(50)의 측면(좌측면)에는 캠(70)과 접하는 접촉면(55)이 마련된다. 접촉면(55)은 캠(70)의 회전중심보다 우측 방향 쪽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면(55)의 일측 단부(후반부)에는 상기 접촉면(55)으로부터 외향(좌측) 연장되는 간섭연장부(5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간섭연장부(58)와 접촉면(55)은 전체적으로 상하에서 볼 경우 'L' 자 형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접촉면(55)과 간섭연장부(58)는 캠(70)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간섭연장부(58)의 연장 방향에 대한 측방향으로는 상기 캠(70)과 마주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캠(70)의 표면과 접하고 간섭되는 간섭부(58a)가 마련된다. 간섭부(58a)는 상기 간섭연장부(58)로부터 좌측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 있어, 간섭부(58a) 외의 다른 간섭연장부(58) 부위가 캠(70)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간섭부(58a)는, 상기 래치(50)가 좌측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 캠(70)의 표면에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50)가 우측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간섭부(58a)는 상기 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간섭연장부(58)는 상기 래치(50)의 바디 부분과 반드시 일체로 제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뒤 조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간섭연장부(58)가 상기 래치(50)의 바디 부분과 하나의 강체(rigid body)처럼 거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래치(50)가 이동(회전)하는 동안, 그리고 상기 래치(50)가 어느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캠(70)이 간섭연장부(58)를 좌측방향 등으로 회동하도록 밀어낼 때 그러한 힘이 래치(50)의 바디 부분에 전달되도록 하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캠(70)에 의해 상기 래치(50)가 유동되는 것은 종래기술에도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삽입연결부(50c)의 일면에는, 상기 래치(50)의 상승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59)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연결부(50c)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진 삽입연결부(50c)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유동방지돌기(59)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59)는 상기 래치(50)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래치(50)는 후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4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하 유동이 생길 수 있는 바, 이러한 래치(50)의 상하 유동시 상기 유동방지돌기(59)가 상기 브라켓(4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측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돌기(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반구(球)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외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단(57)과 장착돌기(57a) 그리고 장착홀(57b) 등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부(50a)의 선단 상면에는 걸림단(57)과 장착돌기(57a) 및 장착홀(57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57)은 상기 탄성체인 용수철(90)의 일단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돌기(57a)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브라켓(100)의 장착편(110)이 설치되는 위치를 안내하고 결합을 돕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부(50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상기 장착돌기(57a)는 아래에서 설명할 레버브라켓(100)의 돌기홀(1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돌기홀(112)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홀(57b)은 상기 상단부(50a)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기구 등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홀(57b)은 2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50)의 후단에는 래치(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는 피봇축부(54)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8에는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작동바(200)에 의해 상기 래치(50)가 회전되도록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상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작동바(200)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레치(50)가 회전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상기 래치(50)의 일면에 결합되는 장착편(110) 및 연장편(120)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레버브라켓(100)은, 상기 래치(50)의 상면에 결합되는 장착편(110)과, 상기 장착편(110)의 일단(도 8에서는 좌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장착편(110)과 일정 각도를 가지는 연장편(1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착편(110)은 상기 래치(50)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편(120)은 상기 장착편(110)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편(110)과 연장편(1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편(120)의 상단에는, 상기 연장편(1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단부(122)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부(122)는 상기 연장편(120)의 상단이 상기 본체(10) 내부의 구획판(도시되지 않음)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연장편(120)이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작동바(200)와 간섭되도록 내부 구획편 등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연장편(120)의 상단이 모두 노출되려면 구획판 등의 구조물을 보다 크게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연장편(120)보다 폭이 좁은 걸림단부(122)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단부(122)는 상기 연장편(12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치우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8에는 상기 걸림단부(122)가 상기 연장편(120)의 우측단에 치우치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장착편(110)에는 상기 장착돌기(57a)가 수용되는 돌기홀(1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편(110)의 선단(도 8에서)에는 상기 래치(50)의 장착돌기(57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홀(112)이 형성되며, 이러한 돌기홀(112)에 상기 장착돌기(57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장착편(1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4)이 상하로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114)은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래치(50)의 장착홀(57b)과 대응되는 상하 위치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체결기구 등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도 9에는 상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래치(50)의 회전을 강제하기 위한 기구인 작동바(2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210)와,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걸림단부(122)와 간섭되는 걸림편(220)과, 상기 손잡이(210)와 걸림편(220)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210)와 걸림편(220)을 일체로 연결하는 걸림연장편(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10)는 사람의 손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편(220)은 상기 손잡이(210)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걸림단부(122)와 간섭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1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연장편(230)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연장편(23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편(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연장편(230)은 상기 걸림편(220)과 동일한 폭 및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편(220)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단부(122)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단부홈(22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편(220)의 좌측면에는 우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단부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단부홈(222)은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걸림단부(122)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단부홈(222)의 폭은 적어도 상기 걸림단부(122)의 두께보다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210)와 걸림편(220)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연장편(23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손잡이(210)와 걸림편(22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편(220)은 상기 손잡이(210)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형성되며, 상기 걸림연장편(23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걸림편(220)과 손잡이(21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21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메인편(212)과, 상기 메인편(212)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단(2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편(212)은 소정 크기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메인편(212)의 두께는 상기 걸림연장편(230)와 걸림편(2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편(212)의 후단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보관홀(216)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보관홀(216)은 상기 작동바(200)를 고리나 못 등에 걸어두기 편하도록 하거나, 열쇠고리와 같은 걸이기구가 관통하도록 하여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작용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0에는 상기 작동바(200)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하여 도어(20)를 여는 상태가 부분 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에서의 상태가 부분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0에서의 상태가 부분 사시도로 도시도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래치모듈(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조리실 상측에는 상기 래치모듈(30)과 송풍팬(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기계실공간(300)이 소정 크기로 형성되며, 이러한 기계실공간(300)의 상측은 상부커버(310)에 의해 감싸여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10)의 하측에는 구획편(320)이 더 형성되며, 이러한 구획편(320)과 상부커버(31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상부커버(310)의 전방(도 10에서는 좌측)에는 상단데코(3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20)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모듈(30)을 구성하는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상단은 상기 구획편(32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즉, 상기 걸림단부(122)의 상단은 상기 구획편(32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노출공(322)을 통과하여 상기 구획편(32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작동바(200)의 손잡이(2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220)을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삽입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바(200)의 걸림편(220)과 걸림연장편(230)은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상단데코(3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걸림편(220)은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를 관통하여 본체(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도 11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바(200)의 걸림편(220)은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걸림단부(122)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바(2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레버브라켓(100)이 작동바(200)에 밀려 우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레버브라켓(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래치(50)가 후단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한다.
상기 래치(50)가 후단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래치(50)의 선단은 우측(도 11 및 도 12에서)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래치(50)의 후크홈(56)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20)의 핀(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후크홈(56)을 벗어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핀(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후크홈(56)을 벗어나면, 상기 도어(20)는 잠금이 해제되어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작동바(200)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브라켓(100)을 우측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동으로 도어(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50)에 상기 장착돌기(57a)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브라켓(100)의 장착편(110)에는 상기 돌기홀(112)을 형성하여 돌기홀(112)에 장착돌기(57a)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래치(50)에 돌기홀(11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편(110)에 장착돌기(57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조리기기 10. 본체
11. 이너하우징 12. 조리실
14. 아우터하우징 16. 본체패널
18. 본체 공기 출구 20. 도어
22. 전면패널 24. 힌지기구
26. 디스플레이창 28. 힌지모듈
30. 래치모듈 40. 브라켓
50. 래치 51. 후크부
52. 걸림면 53. 삽입경사면
54. 피봇축부 55. 접촉면
56. 후크홈 57. 걸림단
58. 간섭연장부 59. 유동방지돌기
60. 모터 70. 캠
81. 제1스위치 82. 제2스위치
90. 용수철 100. 레버브라켓
110. 장착편 120. 연장편
122. 걸림단부 200. 작동바
210. 손잡이 220. 걸림편
222. 단부홈 230. 걸림연장편
300. 기계실공간 310. 상부커버
320. 구획편 330. 상단데코

Claims (20)

  1.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래치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래치모듈은,
    일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에 탄성을 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탄성체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래치에 전달하는 캠과;
    상기 래치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래치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외력을 래치에 전달하는 레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라켓은,
    상기 래치의 일면에 결합되는 장착편과;
    상기 장착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장착편과 일정 각도를 가지는 연장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은 상기 래치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편은 상기 장착편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의 상단에는,
    상기 연장편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단부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선단과 상기 하단부의 후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삽입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선단에는,
    상기 도어의 핀이 수용되는 후크홈이 일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의 일면에는,
    상기 핀이 접촉하여 걸어지거나 슬라이딩하는 걸림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은,
    상기 후크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어잠금면과, 상기 후크홈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이탈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경사면의 끝단에는,
    상기 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래치의 상승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상기 장착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장착돌기와 돌기홀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상기 장착면에는,
    체결기구가 상하로 관통되는 장착홀과 관통홀이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삽입되는 작동바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브라켓의 걸림단부와 간섭되는 걸림편과;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와 걸림편을 일체로 연결하는 걸림연장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일면에는,
    상기 걸림단부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단부홈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연장편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손잡이와 걸림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손잡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메인편과, 상기 메인편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200003579A 2020-01-10 2020-01-10 조리기기 KR20210090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79A KR20210090391A (ko) 2020-01-10 2020-01-10 조리기기
CN202110023508.3A CN113100639B (zh) 2020-01-10 2021-01-08 烹饪设备
US17/144,833 US11841144B2 (en) 2020-01-10 2021-01-08 Cooking appliance
EP21150684.5A EP3848638B1 (en) 2020-01-10 2021-01-08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579A KR20210090391A (ko) 2020-01-10 2020-01-10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391A true KR20210090391A (ko) 2021-07-20

Family

ID=7412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579A KR20210090391A (ko) 2020-01-10 2020-01-1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1144B2 (ko)
EP (1) EP3848638B1 (ko)
KR (1) KR20210090391A (ko)
CN (1) CN113100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73B1 (ko) * 2018-04-16 2019-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 모듈,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USD945824S1 (en) * 2019-06-25 2022-03-15 Lg Electronics Inc. Oven range
CN114737830B (zh) * 2022-03-22 2023-10-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门锁装置及烹饪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2077A1 (en) 2005-04-14 2006-10-19 Courter Harry I Lock release for motorized oven lock
CN206091628U (zh) 2016-09-22 2017-04-12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烤箱门锁机构
US10138669B2 (en) 2016-04-15 2018-11-27 Nuova Star S.P.A. Actuating system for a door of an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
KR20190120676A (ko) 2018-04-16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 모듈,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214A (en) * 1974-05-17 1975-07-08 Gen Electric Door-locking apparatus for a cooking oven
US4163443A (en) * 1977-08-15 1979-08-07 Preway, Inc. Latch mechanism for an oven door
US4927996A (en) * 1988-05-23 1990-05-22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ooking apparatus, door latching construction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4862870A (en) * 1988-12-21 1989-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Bimetal lock arrangement for a self-cleaning oven latch
US5918589A (en) * 1996-05-10 1999-07-06 Whirlpool Corporation Low moisture/closed door broil oven ventilation system
US6079756A (en) * 1998-01-28 2000-06-27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latch
US6302098B1 (en) 2000-05-16 2001-10-16 France/Scott Fetzer Company Oven door latch assembly
US7040673B2 (en) * 2003-12-08 2006-05-09 Emerson Electric Co. Motorized oven lock
US20070240699A1 (en) * 2006-04-18 2007-10-18 France/Scott Fetzer Company Assembly for locking an oven door
DE102006024899B3 (de) * 2006-05-24 2007-10-31 Miele & Cie. Kg Türverriegelung für ein Haushaltsgerät
DE102016013554B4 (de) * 2016-11-12 2021-04-08 Oechsler Ag Türverriegelung, insbesondere für ein Haushaltsgerät mit hohem Gefährdungspotential
US11085648B2 (en) * 2017-07-05 2021-08-10 Hti Technology And Industries, Inc. Motorized cable latch for a cooking oven
US10720812B2 (en) * 2017-07-05 2020-07-21 Hti Technology And Industries, Inc. Electric motor module with integrated cam switches incorporating a single wiring connection po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2077A1 (en) 2005-04-14 2006-10-19 Courter Harry I Lock release for motorized oven lock
US10138669B2 (en) 2016-04-15 2018-11-27 Nuova Star S.P.A. Actuating system for a door of an electrical domestic appliance
CN206091628U (zh) 2016-09-22 2017-04-12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烤箱门锁机构
KR20190120676A (ko) 2018-04-16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 모듈,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8638B1 (en) 2023-08-23
US20210215346A1 (en) 2021-07-15
US11841144B2 (en) 2023-12-12
EP3848638A1 (en) 2021-07-14
CN113100639A (zh) 2021-07-13
CN113100639B (zh) 202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0391A (ko) 조리기기
KR101762971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도어 어셈블리
US11236911B2 (en) Push-to-open/signal-to-open appliance door latching system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US20060201928A1 (en) Springless Oven Door Latch Assembly
EP1041345B1 (en) Improved hinge for furniture and the like, with movable arm arranged inside the fixed arm
KR20190113071A (ko)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래치 홀더 및 이를 적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EP2016339A1 (en) Oven withdoor equipped with push-pull device
US7156428B2 (en) Single switch springless oven door latch assembly
EP1686225A2 (en) A handle for turn opening or tilt and turn opening doors or windows.
CN112696107B (zh) 开门装置和具有其的家电设备
CN217408458U (zh) 一种烹饪电器
CN220522370U (zh) 烹饪器具的门组件和烹饪器具
CN220378057U (zh) 烹饪器具的门组件和烹饪器具
CN220522282U (zh) 烹饪器具
CN218338171U (zh) 烹饪器具
CN215687006U (zh) 烹饪器具
CN114737830B (zh) 门锁装置及烹饪电器
KR92000389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960008213Y1 (ko) 가스오븐레인지용 오븐실 도어 개폐장치
CN116624029A (zh) 烹饪器具的门组件和烹饪器具
CN116556780A (zh) 烹饪器具的门组件和烹饪器具
CN116753544A (zh) 烹饪器具
CN116446730A (zh) 烹饪器具
CN116657987A (zh) 烹饪器具的门锁装置和烹饪器具
CN114753719A (zh) 烹饪设备的门锁结构及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