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461A -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461A
KR20210089461A KR1020200002650A KR20200002650A KR20210089461A KR 20210089461 A KR20210089461 A KR 20210089461A KR 1020200002650 A KR1020200002650 A KR 1020200002650A KR 20200002650 A KR20200002650 A KR 20200002650A KR 20210089461 A KR20210089461 A KR 2021008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leaning
robot cleaner
hom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철모
전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461A/en
Publication of KR2021008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es: a driving unit moving a main body; a cleaning unit performing a cleaning function; a sensing unit sens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an image sensing unit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cquire image data; a transceiving unit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a control unit performing cleaning in a cleaning area to generate a map for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image data an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imag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o perform homing in a route passing through an area in which the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Therefore, the wireless network strength of each area can be provided while providing a space map similar to real indoor space. Also, a homing signal can be provided for a user terminal by changing to a route in which the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when homing by providing the space map and the wireless network strength together.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로봇 청소기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주행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ing and driving technology of the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a part of factory automation.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 중에서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것을 이동 로봇이라고 한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동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이다.Recentl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robots has been further expanded, and medical robots and aerospace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households are also being made. Among these robots, those capable of driving by their own force are called mobile robots. A typical example of a mobile robot used at home is a robot vacuum cleaner.

로봇 청소기에 구비된 여러 센서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 주변의 환경 및 사용자를 감지하는 여러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청소 구역을 학습하여 맵핑하고, 맵 상에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청소 구역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Various technologies for detecting the environment and the user around the robot cleaner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are known. In addition, techniques are known in which a robot cleaner learns and maps a cleaning area by itself, and recognizes a current location on a map. A robot vacuum cleaner is known that cleans a cleaning area while driving in a predetermined manner.

또한, 종래 기술(한국특허공개번호 10-2017-0003764)에는, 청소영역에 대한 지도(격자지도)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용이한 형태로 가공하고 (외곽선 변경 등), 지도를 통해 입력되는 청소명령에 따라 청소영역에 대한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3764), a map (grid map) for the cleaning area is processed into a form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check (such as an outline change), and a clean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map A method for cleaning a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한편, 종래기술(한국 공개 특허 번호 10-2014-0050898 호에서는 라이다 및 카메라 등의 데이터가 와이파이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3차원의 실내 지도를 만드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0898, it is disclosed that data such as lidar and camera create a three-dimensional indoor map using the Wi-Fi reception signal strength.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해당 지도에 와이파이 수신 신호의 실제 강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아닌,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 위치에 대한 와이파이 수신 강도를 기록함으로써 지도와 와이파이 수신 강도에 대한 편차가 매우 큰 문제가 잇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very large deviation between the map and the WiFi reception strength by recording the WiFi reception strength for the data exchange location with the server, rather than recording the information on the actual strength of the WiFi reception signal on the map. connect.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7-0003764 (공개일자 : 2018년 07월 18일)Korea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03764 (Publication date: July 18, 2018)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14-0050898 (공개일자 : 2014년 04월 28일)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0898 (Published date: April 28, 2014)

제1 과제는 실제 실내 공간과 유사한 공간 지도를 제공하면서 각 영역의 무선 네트워크 강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first task is to provide a cleaning robot that can provide a spatial map similar to an actual indoor space while also providing the wireless network strength of each area.

제2 과제는 공간 지도와 무선 네트워크 강도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호밍 시에 경로를 무선 네트워크 가능한 경로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호밍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cleaning robot capable of providing a homing signal to a user terminal by changing a route to a wireless networkable route during homing by providing a spatial map and a wireless network strength together.

그리고, 제3 과제는 충전대에서 무선 네트워크 신호가 약하거나 잡히지 않은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한 포인트로 충전대 위치 변경을 추천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 third object is to provide a cleaning robot capable of recommending a location change of the charging stand to the point where the network connection is successful when the wireless network signal is weak or not captured at the charging stan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청소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영상 감지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청소 구역에 청소를 진행하여, 상기 센싱부 및 영상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로 호밍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vel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janitors performing cleaning functions;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 image sensing unit to obtain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leaning the cleaning area, generating a map for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 data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image sensing unit, and performing homing in a path passing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It provide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o so.

상기 지도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형상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map may display the physical shape information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togeth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득된 감지된 정보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정보만을 가지는 기초 맵을 작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reate a basic map having only physical information on the cleaning area from the sens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의 기초 맵에서 상기 송수신부로부터의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는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map that separately displays a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from the transceiver in the base map of the clean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에서 주기적으로 현재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신호의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obtain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signal in the cleaning area, and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a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if th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상기 제어부는, 청소 종료 위치로부터 거치대까지의 호밍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homing path from the cleaning end position to the cradle, and determine whether the homing path pass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도록 수정된 변경 호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homing path does not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modified modified homing path to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호밍 경로를 따라 호밍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에 호밍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nsmit hom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reaching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while performing homing along the changed homing path.

상기 로봇 청소기는, 엣지 모드 또는 지그재그 모드로 청소를 진행하면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collect information and image data on the cleaning area while cleaning in an edge mode or a zigzag m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소 구역에 청소를 진행하여, 센싱부를 통해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영상 감지부로부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 상기 영상 데이터, 및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로 호밍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cleaning the cleaning area, obtaining a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obtain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generating a map for a cleaning area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image data, and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And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eding to the homing path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상기 지도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형상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map may display physical shape information and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for the cleaning area together.

상기 맵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득된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정보만을 가지는 기초 맵을 작성하는 단계, 및The step of forming the map may include creating a basic map having only physical information on the cleaning area from the obtained detection signal and the image data, and

상기 청소 구역의 기초 맵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는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generating a map separately indicating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in the base map of the cleaning area.

상기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청소 구역에서 주기적으로 현재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신호의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map may include periodically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a current wireless network signal in the cleaning area,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a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if the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상기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청소 종료 위치로부터 거치대까지의 호밍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map may include generating a homing path from the cleaning end position to the crad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homing path pass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도록 수정된 변경 호밍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oming path pass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may include, if the homing path does not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generating a modified modified homing path to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may include more.

상기 호밍 단계는, 상기 변경 호밍 경로를 따라 호밍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에 호밍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homing step, homing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wireless network coverage area is reached while performing homing along the changed homing path.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실제 실내 공간과 유사한 공간 지도를 제공하면서 각 영역의 무선 네트워크 강도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지도와 무선 네트워크 강도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호밍 시에 경로를 무선 네트워크 가능한 경로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호밍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대에서 무선 네트워크 신호가 약하거나 잡히지 않은 경우에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한 포인트로 충전대 위치 변경을 추천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reless network strength of each area while providing a spatial map similar to an actual indoor space.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patial map and the wireless network strength together, the homing signal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by changing the route to a wireless networkable route during homing.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network signal is weak or not captured at the charging station, it may be recommended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o the point where the network connection is successfu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를 충전시키는 충전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봇 청소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로봇 청소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로봇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로봇 청소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호밍 경로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 및 도 8의 순서도를 설명하는 공간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순서도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home system includ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nd a charging stand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2 as viewed from above.
4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5 is an elevation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2 viewed from the lower sid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robot cleaner of FIG. 2 .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homing path of FIG. 7 .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spatial maps for explaining the flowcharts of FIGS. 7 and 8 .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lowcharts of FIGS. 7 and 8 .

본 설명 전체에 걸쳐 언어적/수학적으로 표현된 대소비교에 있어서, '작거나 같음(이하)'과 '작음(미만)'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크거나 같음(이상)'과 '큼(초과)'은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서로 용이하게 치환가능한 정도이며,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치환하여도 그 효과 발휘에 문제가 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comparative comparison expressed linguistically/mathematically throughout this description, 'less than or equal to (hereinafter)' and 'less than (less than)' are degrees that are easily substituted for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greater than or equal '(Above)' and 'greater than (exceed)' are degrees that can be easily substituted with each o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even if substituted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f course not a problem to exert the effect.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F) / after (R) / left (Le) / right (Ri) / up (U) / down (D)” mentioned below are defined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 This i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예를 들어, 전방은 로봇청소기의 주 진행 방향 또는 로봇청소기의 패턴 주행의 주 진행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주 진행 방향은 일정 시간 내에 진행하는 방향들의 벡터 합산 값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may mean a main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or a main traveling direction of a pattern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Here, the main traveling direction may mean a vector sum of directions traveling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dded before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components referred to, and is irrelevant to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can also be implemented.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or area.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in the specification, if the reference point for the angle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re not clearly mentioned, reference is mad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로봇청소기(100)를 구비하여 집 등의 규정된 장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시스템은 가정 등에서 지정된 장소의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청소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로봇 청소기(100)는 포함하는 기능 블럭에 따라 건식, 습식 또는 건/습식의 청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robot cleaners 100 to provide a service at a prescribed place such as a house. For example, the robot system may include the robot cleaner 100 that provides a cleaning service of a designated place at home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robot cleaner 100 may provide a dry, wet, or dry/wet cleaning service according to the functional blocks it include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복수의 인공지능 로봇청소기(100) 및 복수의 인공지능 로봇청소기(100)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서버(2)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s 100 and a server 2 capable of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s 100. have.

서버(2)는 원격에서 복수의 로봇청소기(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고, 로봇 시스템은 복수의 로봇청소기(100)를 이용하여 더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The server 2 may remotely monitor and control the status of 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 and the robot system may provide a more effective service using 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

복수의 로봇 청소기(100) 및 서버(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봇청소기(100) 및 서버(2)는 PC, 이동 단말기, 외부의 다른 서버(2)와 통신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and the server 2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support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standard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and the server 2 may communicate with a PC, a mobile terminal, or another external server 2 .

예를 들어, 복수의 로봇청소기(100) 및 서버(2)는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로 무선 통신하게 구현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0)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2)의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and the server 2 are implemented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LAN, IEEE 802.15 WPAN, UWB, Wi-Fi, Zigbee, Z-wave, Blue-Tooth, etc. can be The robot cleaner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erver 2 or another device to communicate with.

특히, 복수의 로봇청소기(100)는 5G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로봇(100) 및/또는 서버(2)와 무선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0)가 5G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경우, 실시간 응답 및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robot cleaners 100 may implemen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robots 100 and/or the server 2 through a 5G network. When the robot cleaner 100 wirelessly communicates through a 5G network, real-time response and real-time control are possible.

사용자는 PC, 이동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3)을 통하여 로봇 시스템 내의 로봇들(10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may check information about the robots 100 in the robot system through the user terminal 3 such as a PC or a mobile terminal.

서버(2)는 클라우드(cloud) 서버(2)로 구현되어, 로봇(100)에 클라우드 서버(2)가 연동되어 로봇청소기(100)를 모니터링, 제어하고 다양한 솔루션과 콘텐츠를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 is implemented as a cloud server 2, and the cloud server 2 is interlocked with the robot 100 to monitor and control the robot cleaner 100 and provide various solutions and contents remotely. have.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 기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제공하는 서버(2)일 수 있다. 상기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관제 서버(2)일 수 있다.The server 2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obot cleaner 100 and other devices. The server 2 may be a server 2 provided by a manufacturer of the robot cleaner 100 or a company entrusted with a service by the manufacturer. The server 2 may be a control server 2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robot cleaner 100 .

상기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를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제어하거나, 개별 로봇청소기(100) 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는, 복수의 서버로 정보, 기능이 분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합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erver 2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s 100 in the same batch or for individual robot cleaners 100 .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2, information and functions may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servers,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integrated server.

로봇청소기(100) 및 서버(2)는 하나 이상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erver 2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support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standards,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로봇청소기(100)는 공간(space), 사물(Object),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를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may transmit space, object, and usage related data to the server 2 .

여기서, 데이터는 공간(space), 사물(Object) 관련 데이터는 로봇청소기(100)가 인식한 공간(space)과 사물(Object)의 인식 관련 데이터이거나, 영상획득부가 획득한 공간(space)과 사물(Object)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Here, the data is space and the object-related data is the recognition-related data of the space and the object recognized by the robot cleaner 100, or the space and the object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It may be image data for (Object).

실시예에 따라서, 로봇청소기(100) 및 서버(2)는 사용자, 음성, 공간의 속성, 장애물 등 사물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도록 학습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형태의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erver 2 are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in the form of software or hardware trained to recognize at least one of the properties of objects such as users, voices, properties of space, and obstacles. )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청소기(100) 및 서버(2)는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BN(Deep Belief Network) 등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100)의 제어부(140)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 심층신경망 구조(DNN)가 탑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erver 2 ar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Belief Network (DBN), etc. It may include a deep neural network (DN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equipped with a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DNN)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심층신경망(DNN)을 학습시킨 후, 업데이트된 심층신경망(DNN) 구조 데이터를 로봇(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100)이 구비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심층신경망(DNN) 구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server 2 learns a deep neural network (DNN)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robot cleaner 100, data input by a user, etc., and then transfers the updated deep neural network (DNN) structure data to the robot 1 .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a deep neural network (DN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ed in the robot 100 may be updated.

또한,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는 로봇청소기(100)의 사용에 따라 획득되는 데이터로, 사용 이력 데이터, 센서부에서 획득된 감지 신호 등이 해당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age-related data (Data) is data obtai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may correspond to usage history data, a detection signal obtained from a sensor unit, and the like.

학습된 심층신경망 구조(DNN)는 인식용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사람, 사물, 공간의 속성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The learned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DNN) may receive input data for recognition, recognize properties of people, things, and spaces included in the input data, and output the result.

또한, 상기 학습된 심층신경망 구조(DNN)는 인식용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고, 로봇청소기(100)의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를 분석하고 학습하여 사용 패턴, 사용 환경 등을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ed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DNN) receives input data for recognition, analyzes and learns usage-related data of the robot cleaner 100 to recognize usage patterns, usage environments, etc. have.

한편, 공간(space), 사물(Object), 사용(Usage) 관련 데이터(Data)는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2)로 전송될 수 있다. Meanwhile, space, object, and usage relate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서버(2)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심층신경망(DNN)을 학습시킨 후, 업데이트된 심층신경망(DNN) 구조 데이터를 인공지능 로봇청소기(100)로 전송하여 업데이트하게 할 수 있다.After the server 2 learns a deep neural network (DNN)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updated deep neural network (DNN) structur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cleaner 100 to be updated.

이에 따라, 로봇(100)이 점점 스마트하게 되며, 사용할수록 진화되는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bot 100 may become smarter and provide a user experience (UX) that evolves as it is used.

한편, 서버(2)는 로봇청소기(100)의 제어 및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로봇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배포가능하다.Meanwhile, the server 2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and current state of the robot cleaner 100 to the user terminal, and may generate and distribute suc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3)로서 적용되는 PC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또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is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for a PC applied as the user terminal 3, or may be an application for a smartphone.

일 예로, 본 출원인의 다양한 전자제품을 동시에 제어하고 관리 감독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인 SmartThinQ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스마트 가전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As an example, it may be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smart home appliance, such as a SmartThinQ applic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and supervising various electronic products of the present applicant.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이하, 본체(110)의 각부분을 정의함에 있어서, 주행구역 내의 천장을 향하는 부분을 상면부(도 3 참조)로 정의하고, 주행구역 내의 바닥을 향하는 부분을 저면부(도 5 참조)로 정의하고, 상기 상면부와 저면부 사이에서 본체(110)의 둘레를 이루는 부분 중 주행방향을 향하는 부분을 정면부(도 4 참조)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체(110)의 정면부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부분을 후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 본체(110)는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body 110 . Hereinafter, in defining each part of the main body 110, the portion facing the ceiling in the traveling zone is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portion (see FIG. 3), and the portion facing the floor in the traveling zone is defined as the bottom portion (refer to FIG. 5). And, a portion facing the traveling direction among the portions formi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between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defined as a front portion (refer to FIG. 4 ). In addition, a portion fac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110 may be defined as the rear por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a case 111 that forms a space in which various par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are accommodated.

로봇 청소기(100)는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는 센싱부(130)를 포함한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외부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ensing unit 130 that detects a surrounding situation.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detects a user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n object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센싱부(130)는 청소 구역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주행면 상의 벽체, 가구 및 낭떠러지 등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천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주행면 상에 놓여진 물건 및/또는 외부의 상측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상측 물체는, 로봇 청소기(100)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는 천장이나 가구의 하측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가 감지한 정보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을 맵핑(Mapping)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rea.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obstacles such as walls, furniture, and cliffs on the driving surface.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ceiling. 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n object placed on the driving surface and/or an external upper object. The external upper object may include a ceiling or a lower surface of furniture dispos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rough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0 , the robot cleaner 100 may map the cleaning area.

센싱부(130)는, 로봇 청소기(100) 주변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로봇 청소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상기 사용자와 로봇 청소기(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user around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sen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robot cleaner 100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user.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robot cleaner 100 .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robot cleaner 100 .

상기 위치 정보는, 센싱부(130)의 감지에 의해 곧바로 획득될 수도 있고, 제어부(140)에 의해 처리되어 획득될 수도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obtained by sensing by the sensing unit 130 or may be obtained by processing by the control unit 140 .

센싱부(130)는 주변의 영상을 감지하는 영상 감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에 대한 특정 방향으로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감지부(135)는, 로봇 청소기(100)의 전방으로 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감지부(135)는 주행구역을 촬영하는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상기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상기 광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n image sensing unit 135 that senses an image around it.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detect an image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bot cleaner 100 . For example,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detect an image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image sensing unit 135 captures the driving area and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t least one optical lens and an image sensor (eg, CMOS image sensor)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hotodiodes (eg, pixels) o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lens.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onfigured to construct an image based on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diodes.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may generate a still image as well as a moving image composed of frames composed of still images.

센싱부(130)는 주변의 벽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31)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와 주변의 벽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31)는, 로봇 청소기(100)의 특정 방향으로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한다. 거리 감지부(131)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또는 IR(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distance sensing unit 131 that detects a distance to a surrounding wall.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surrounding wall may be detected through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detects a distance to the user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The distance sensor 131 may include a camera, an ultrasonic sensor, or an IR (infrared) sensor.

거리 감지부(131)는 본체(110)의 정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측방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ortion.

거리 감지부(131)는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거리 감지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may detect a nearby obstacle. A plurality of distance sensing units 131 may be provided.

센싱부(130)는 주행구역 내 바닥에 낭떠러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낭떠러지 감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낭떠러지 감지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 cliff sensing unit 132 that detects whether a cliff exists on the floor in the driving zone. A plurality of cliff detection units 132 may be provided.

센싱부(130)는 바닥의 영상을 획득하는 하부 영상 센서(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image sensor 137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floor.

로봇 청소기(100)는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60)를 포함한다. 주행부(160)는 바닥에 대해 본체(110)를 이동시킨다. 주행부(160)는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바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60)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바퀴(166)는 본체(110)의 좌, 우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각각 좌륜(166(L))과 우륜(166(R))이라고 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traveling unit 160 that moves the main body 110 . The traveling unit 160 moves th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floor. The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ing wheel 166 for moving the main body 110 . The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The driving wheels 166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 and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eft wheel 166 (L) and a right wheel 166 (R), respectively.

좌륜(166(L))과 우륜(166(R))은 하나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좌륜(166(L))을 구동시키는 좌륜 구동 모터와 우륜(166(R))을 구동시키는 우륜 구동 모터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좌륜(166(L))과 우륜(166(R))의 회전 속도에 차이를 두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본체(110)의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The left wheel 166(L) and the right wheel 166(R) may be driven by one driving motor, but if necessary, the left wheel drive motor and the right wheel 166(R) for driving the left wheel 166(L) ) may be provided with right-wheel drive motors respectivel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be switched to the left or right by making a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left wheel 166(L) and the right wheel 166(R).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청소부(180)를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leaning unit 180 that performs a cleaning function.

로봇 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을 이동하며 청소부(180)에 의해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부(180)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장치, 비질을 수행하는 브러시(184, 185), 흡입장치나 브러시에 의해 수거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먼지통(미도시) 및/또는 걸레질을 수행하는 걸레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may move the cleaning area and clean the floor by the cleaner 180 . The cleaning unit 180 includes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brushes 184 and 185 for performing brooming, a dust bin (not shown) for storing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by the suction device or brush, and/or a mop part for mopping. (not shown) and the like.

본체(110)의 저면부에는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180h)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 내에는 흡입구(180h)를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장치(미도시)와, 흡입구(180h)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를 집진하는 먼지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 suction port 180h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 In the main body 110, a suction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a suction force so that air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a dust container (not shown) that collects dust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This may be provided.

케이스(111)에는 상기 먼지통의 삽입과 탈거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먼지통 커버(112)가 케이스(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 opening for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dust container may be formed in the case 111 , and a dust container cover 1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se 111 .

흡입구(180h)를 통해 노출되는 솔들을 갖는 롤형의 메인 브러시(184)와, 본체(110)의 저면부 전방측에 위치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솔을 갖는 보조 브러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브러시(184, 185)들의 회전에 의해 주행구역 내 바닥으로부터 먼지들이 제거되며, 이렇게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먼지들은 흡입구(180h)를 통해 흡입되어 먼지통에 모인다.A roll-type main brush 184 having brushes expos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an auxiliary brush 185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nd having a bru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ed wings. may be provided. The rotation of these brushes 184 and 185 removes dust from the floor in the driving area, and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loo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80h and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배터리(138)는 상기 구동 모터뿐만 아니라, 로봇 청소기(100)의 작동 전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8)가 방전될 시, 로봇 청소기(100)는 충전을 위해 충전대(200)로 복귀하는 주행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귀 주행 중, 로봇 청소기(100)는 스스로 충전대(200)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The battery 138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s well as the driving motor. When the battery 138 is discharged, the robot cleaner 100 may perform a driving to return to the charging station 200 for charging, and during this return driving, the robot cleaner 100 may self-locate the charging station 200 . can be detected.

충전대(200)는 소정의 복귀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신호는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charging station 200 may include a signal transmitting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return signal. The return signal may be an ultrasonic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영상감지부(135)는 본체(110)의 상면부에 구비되어, 청지역 내의 천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나, 영상감지부(135)의 위치와 촬영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영상감지부(135)는 본체(110)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ensing unit 13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acquire an image of the ceiling in the blue area, but the position and shooting range of the image sensing unit 13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image sensing unit 135 may be provid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10 .

또한, 로봇 청소기(100)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inputting On/Off or various commands.

도 6을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0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에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들이 기록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data. Variou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storage unit 150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microprocessor, and include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a ROM, a RAM, a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저장부(150)에는 청소 구역의 맵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맵은 로봇 청소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고, 로봇 청소기(100)가 스스로 학습을 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외부 단말기로는 맵 설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된 리모컨, PDA, 랩탑(laptop), 스마트 폰, 태블렛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 map of the cleaning are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The map may be input by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robot cleaner 1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be generated by the robot cleaner 100 learning itself. In the former case, examples of the external terminal include a remote controller, a PDA, a laptop, a smart phone, a tablet, etc.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setting a map.

상기 맵에는 청소 구역 내의 복수의 지점에 대응(일대일대응)하는 복수의 노드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맵에는 청소 구역 내의 각 지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맵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맵 상에서의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는 주행 과정에서 갱신될 수 있다.The map may display locations of a plurality of nod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cleaning area (one-to-one correspondence). Each area within the cleaning area may be displayed on the map. Als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be displayed on the ma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상기 영상 감지부(135)에서 획득된 영상을 근거로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주행 변위는,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로봇 청소기(100)의 연속적인 이동에 따라 달라지는 바닥 영상의 연속적인 픽셀(pixel) 비교를 통해서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driving displacement based 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sensing unit 135 . The traveling displacement is a concept including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100 . For example, 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through continuous pixel comparison of a floor imag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00 .

또한,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주행부(160)의 동작을 근거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구동 바퀴(136)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또는 과거의 이동속도, 주행한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각 구동 바퀴(136(L), 136(R))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또는 과거의 방향 전환 과정 또한 측정할 수 있다. Also, 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unit 16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measure the current or past moving speed, the distance traveled, etc.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wheel 136 , and each driving wheel 136(L) ) and 136(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current or past direction change process can also be measured.

주행 변위 측정부(165)는 거리 감지부(131) 및 영상 감지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변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may measure the traveling displacemen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and the image sensing unit 135 .

제어부(140)는 이렇게 측정된 주행 변위를 바탕으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based on the measured traveling displacement.

송신부(170)는 로봇 청소기의 정보를 다른 로봇 청소기나 중앙 서버에 송신해줄 수 있다. 수신부(190)는 다른 로봇 청소기나 중앙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170)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수신부(190)가 수신하는 정보는 로봇 청소기의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17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obot cleaner to another robot cleaner or a central server. The receiver 19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another robot cleaner or a central server.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170 or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ceiver 190 may includ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이때, 수신부(190)와 송신부(170)는 주행 영역 내에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를 주기적으로 읽어들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eiver 190 and the transmitter 170 may periodically read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network signal within the driving area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40 .

즉, 수신기(190)를 통해 주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일 예로 와이파이 신호 강도를 파악하여 제어부(140)에 시간, 위치 및 무선 네트워크 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er 190 may periodically detect a signal strength of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Fi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40 together with a time, a location, and a wireless network id.

로봇 청소기(100)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을 학습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맵 상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들(예를 들어, 주행 변위 측정부(165), 거리 감지부(131), 영상감지부(135), 주행부(160), 송신부(170), 수신부(190) 등)의 제어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40 that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for learning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00 (eg, a traveling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65 , a distance sensing unit 131 , an image sensing unit 135 , a traveling unit 160 , and a transmitting unit). 170 , the receiving unit 190 , etc.)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0)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어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는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40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may be a robot cleaner 100 including a control unit 140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each step of the control method,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in a computer is recorded. Th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robot control system including both hardware and software.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0)는 맵핑 및/또는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등 각종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및 학습을 통해 청소 구역을 맵핑하고 현재 위치를 맵 상에서 인식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슬램(SLAM :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processes and determin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mapping and/or recognizing a current location. The controller 140 may be provided to map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image and learning and to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a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제어부(140)는 주행부(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청소부(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60 .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180 .

로봇 청소기(10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저장부(150)는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하는 것으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various data. The storage unit 150 record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for control of the robot cleaner 100 , and may include a volatile or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현실의 청소 구역은 맵 상의 청소 구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청소 구역은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 경험이 있는 모든 평면 상의 구역 및 현재 주행하고 있는 평면 상의 구역을 모두 합한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The real cleaning area may correspond to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The cleaning area may be defined as a range including all areas on a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has a driving experience and an area on a plan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is currently traveling.

제어부(140)는 주행부(160)의 동작을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구동 바퀴(166)의 회전속도를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또는 과거의 이동속도, 주행한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 구동 바퀴(166(L), 166(R))의 회전 방향에 따라 현재 또는 과거의 방향 전환 과정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맵 상에서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가 갱신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6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current or past moving speed, the distance traveled, etc. of the robot cleaner 100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wheel 166, and each driving wheel 166(L) , 166(R)), the current or past direction change process can also be grasp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identified in this way. Also,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on the map may be updated using the imag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을 제어하고, 설정되는 주행 모드에 따라 주행부(1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주행부(160)의 주행 모드로서, 지그재그 모드, 엣지 모드, 나선형 모드 또는 복합형 모드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60 according to a set driving mode. As the driving mode of the driving unit 160 , a zigzag mode, an edge mode, a spiral mode, or a complex mode may be selectively set.

지그재그 모드는 벽면이나 장애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엣지 모드는 벽면에 붙어서 지그재그로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나선형 모드는 대기 중의 한 곳을 중심으로 일정 영역 내에서 나선형으로 청소하는 모드로 정의한다. The zigzag mode is defined as a mode of cleaning while driving in a zigzag spaced apart from a wall surface or an obsta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Edge mode is defined as a mode that attaches to a wall and cleans while driving in a zigzag manner. The helical mode is defined as a helical cleaning mode within a certain area centered on one place in the atmosphere.

한편,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의 맵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140)는 선행 청소를 통해 인식된 위치 및 각 지점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청소 구역의 공간 지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또한 기 생성된 지도를 갱신하고, 조건에 따라 생성된 공간 지도의 청소 구역의 형태를 분류하고, 분류된 형태에 따라 청소 방법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140)는 기본 모드로 청소를 진행하는 것과 매칭된 청소 방법으로 청소를 진행하는 것의 효율을 연산하여 효율이 높은 방법으로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를 실행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40 creates a map of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form a spatial map of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recognized through the prior cleaning and the images acquired at each point. The controller 140 may also update the previously generated map, classify the shape of the cleaning area of the generated spatial map according to a condition, and match the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lassified shap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efficiency of cleaning in a cleaning method matched with cleaning in the basic mode,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100 in a high-efficiency method.

이러한 제어부(140)는 센싱부(130)의 감지신호, 구체적으로는 거리 감지부(131) 및 낭떠러지 감지부(132)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기초 맵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기초 맵은 일반적인 격자 맵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로봇 청소기(100)가 주행을 하면서 회전하는 방향, 직진 이동 거리, 벽으로부터의 이격 거리 등을 기초로 작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a base map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130 , specifically, the sensing signals from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and the cliff sensing unit 132 . Such a basic map may be a general grid map, and may be created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00 rotates while driving, a straight movement distance, a separation distance from a wall, and the like.

이러한 제어부(140)는 영상 감지부(135)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간 정보를 기초 맵에 부가하여 공간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extract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sensor 135 and may generate a spatial map by adding the extracted spatial information to the base map.

제어부(140)는 상기 공간 지도를 형성하기 위한 맵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제어부(140) 내에서 함께 프로세싱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map forming unit for forming the spatial map, but may be processed together within the control unit 140 .

맵 생성부는 선행 청소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기초 맵을 생성하고, 기초 맵에 영상 데이터로부터의 공간 정보를 부가하여 공간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맵 생성부는 연속적으로 촬영되어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공간에 대한 상세 정보인 공간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 지도에 부가할 수 있다.The map generator generates a base map through a detection signal obtained through prior cleaning, and adds spatial information from image data to the base map to generate a spatial map. In this case, the map generator may extract spatial information, which is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space, from image data continuously captured and generated, and add it to the spatial map.

구체적으로, 맵 생성부는 연속적인 영상 데이터에서 직선 추출을 수행하고, 소실점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직선을 정합하여 모서리를 추출할 수 있으며, 각도 계산이 가능하다. 또한 직선 깊이를 추측할 수 있도록 삼각 측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공간 정보에 의해 공간의 넓이, 공간의 높이 등도 추출이 가능하다. 또한, 맵 생성부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장애물이 검출되면, 이와 같은 장애물을 컴볼루션 신경망 기법 등의 알고리즘을 통해 장애물의 크기를 폭과 길이뿐만 아니라 높이까지 판단가능하며, 해당 장애물이 어떠한 물품인지에 대한 정보까지 추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장애물에 대한 명명과 크기가 정의 가능하며 장애물에 대한 정보 또한 공간 지도에 반영하여 최종 공간 지도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p generator may extract a straight line from continuous image data and extract a vanishing point. In addition, edges can be extracted by matching straight lines, and angles can be calculated. It can also be triangulated to estimate the depth of a straight line.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the width of the space and the height of the space from such spatial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from the image data, the map generator can determine the size of the obstacle not only in width and length but also in height through an algorithm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echnique, and information on what kind of object the obstacle is can be extracted up to In this way, the names and sizes of obstacles can be defin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s can also be reflected in the spatial map to form the final spatial map.

이와 같은 최종 공간 지도는 일반적인 격자 구조를 가지는 2차원의 기초 맵과 달리,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벽과 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과 벽이 이루는 공간과 다른 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획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다.Unlike a two-dimensional basic map having a general lattice structure, this final spatial map consists of walls and walls to partition the space, and is shown to be partitionable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wall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paces. have.

맵 생성부는 이러한 최종 공간 지도를 기초로 한번에 주행하여 청소를 진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청소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The map generator may divide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cleaning areas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by driving at once based on the final spatial map.

이와 같은 최종 공간 지도의 형성 및 청소 구역 구획은 맵 생성부에서 진행 가능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에서 일괄적으로 진행 가능하다.The formation of the final spatial map and the division of the cleaning area can be performed by the map generating unit, but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40 as described above.

제어부(140)는 맵핑된 청소 구역의 면적에 따라 청소 구역을 구획하여 구획된 각 서브 청소 구역의 형태에 따른 최적의 청소 방법을 매칭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divide the cleaning zone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mapped cleaning zone to match an optimal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sub-cleaning zone divided.

제어부(140)는 거리 감지부(131) 및 영상감지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맵 상에서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sensor 131 and the image sensor 135 and recognize the current location on the map.

입력부(17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버튼, 키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71 may receive On/Off or various commands. The input unit 171 may include a button, a key, or a touch-type display. The input unit 171 may include a microphone for voice recognition.

출력부(173)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출력부(173)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73 may notify the user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unit 173 may include a speaker and/or a display.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청소를 수행하고 수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청소 구역을 맵핑하며, 송신부 및 수신부(190)를 통해 청소 구역에 존재하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를 읽어들여 이를 맵핑된 공간 지도에 함께 나타냄으로써 로봇 청소기(100)의 호밍 경로 선택 시 반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cleaning and maps the cleaning area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read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network signal existing in the cleaning area through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190 and maps it to a spatial map It can be reflected when selecting the homing path of the robot cleaner 100 by showing it together.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호밍 경로 생성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7 및 도 8의 순서도를 설명하는 공간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순서도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oming path generation method of FIG. 7, and FIGS. 9A and 9B are FIGS. 7 and 8 .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ce map explaining a flowchart,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flowcharts of FIGS. 7 and 8 .

각 순서도들에서 서로 중복되는 내용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each of the flowcharts, overlapping cont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제어방법은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면들의 각 단계와 순서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용 컴퓨터 등에 탑재될 수 있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순서도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The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40 . Each step of the flowchart drawings of the control method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rawing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general purpose computer or a special purpose computer, etc., and the instructions create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step(s).

또한, 몇 가지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in some embodiments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서버(2) 또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해 청소 시작 정보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leaning star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 or the user terminal 3 .

이때, 로봇 청소기(100)는 현재 위치에서부터 청소 구역의 청소를 진행한다(S100). At this time, the robot cleaner 100 proceeds to clean the cleaning area from the current position (S100).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의 주행을 진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고, 청소 구역에 대한 감지를 수행하여 각 감지 신호를 축적한다.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in the cleaning area, and accumulates each detection signal by sensing the cleaning area.

이때, 청소 시의 주행은 엣지 모드 또는 지그재그 모드로 주행이 진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during cleaning may be performed in an edge mode or a zigzag mode.

구체적으로 로봇 청소기(100)는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한 거리 감지부(131)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함으로써 도 9a와 같이 일반적인 격자 지도를 위한 데이터를 획득한다.Specifically, the robot cleaner 100 acquires data for a general grid map as shown in FIG. 9A by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through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즉, 엣지 모드 또는 지그재그 모드로 진행하면서 장애물 감지 센서를 통해 거리 감지부(131)로부터 주행 가능 영역 및 주행 불가능 영역을 구분하면서 도 9a와 같은 격자 지도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때 작성된 격자 지도를 기초 맵으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while proceeding to the edge mode or the zigzag mode, a grid map as shown in FIG. 9A can be created while classifying the drivable area and the non-drivable area from the distance detection unit 131 through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and the grid map created at this time is used as the base map. can be defined as

또한, 제어부(140)는 기초 맵을 형성하기 위한 청소에서 거리 감지부(131)뿐만 아니라 영상 감지부(135)를 통해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초 맵을 형성한다(S110).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forms a base map by analyzing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camera module through the image sensing unit 135 as well as the distance sensing unit 131 in cleaning for forming the basic map (S110).

즉, 도 9a와 같이 영상 감지부(135)가 수득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공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연속적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파악한 공간 정보를 중첩하면 최종적인 공간 정보가 파악될 수 있다. 이때, 공간 정보 파악을 위해 제어부(140)는 직선 추출, 소실점 추출, 직선 정합, 직선 깊이 추측을 위한 삼각 측량 등의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spatial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from the image data obtained by the image sensing unit 135 as shown in FIG. 9A . That is, by superimposing spatial information obtained from continuously photographed image data, final spatial information may be grasped. In this case, in order to grasp spati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140 may perform algorithms such as straight line extraction, vanishing point extraction, straight line matching, and triangulation for straight line depth estimation.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해당 청소 구역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를 감지한다(S120).Next, the control unit 140 periodically detects a signal of the wireless network in the corresponding cleaning area (S120).

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신호 감지는 수신부(190)를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수신부(190), 일 예로 와이파이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네트워크 신호에 대하여 신호 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 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Such a wireless network signal dete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90, and the receiving unit 190, for example, detects a signal strength of a wireless network signal received from a Wi-Fi receiver and controls data on the corresponding signal strength (140) send to

제어부(140)는 수신부(190)로부터 수신된 무선 네트워크 신호 강도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 현재 위치에서 무선 네트워크 신호 강도가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130).The controller 140 reads the data on the wireless network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the receiver 190 and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t the current location ( S130 ).

이때, 임계값은 로봇 청소기(100)가 서버(2) 또는 사용자 단말(3)에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무선 통신할 때, 통신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는 신호 강도로 정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eshold value may be defined as a signal strength at which communication can proceed smoothly when the robot cleaner 100 wirelessly communicates data to the server 2 or the user terminal 3 through a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제어부(140)는 수신한 무선 네트워크 신호 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현재 위치에 대하여 무선 네트워크 가능한 것으로 표시하고, 작성되는 맵 상에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으로 포함시킨다(S140).When the received wireless network signal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as wireless network available and includes the current location a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A on the map (S140).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부(160)를 제어하여 다음 청소구역으로 이동하고 청소를 시작하여 매핑을 진행하고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S150).Next,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raveling unit 160 of the robot cleaner 100 to move to the next cleaning area, start cleaning, perform mapping, and repeat the above operation (S150).

이와 같이, 마지막 청소 구역까지 이동하여 청소를 진행하면, 청소를 완료하고, 마지막 청소 구역까지의 맵핑을 완료하고 해당 구역에 대한 전체 맵을 완성하여 서버(2) 및 사용자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S160).In this way, when cleaning is performed by moving to the last cleaning area,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mapping to the last cleaning area is completed, and the entire map for the area is completed and provided to the server (2) and the user terminal (3). can be (S160).

이와 같이 작성되는 전체 맵은 도 9a와 같이, 각 구역에 대한 격자 지도를 기초로, 현재 로봇 청소기(100)의 위치 및 거치대(200)의 위치가 표시되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지역(A)이 표시될 수 있다.The entire map crea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9A, based on the grid map for each zo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00 and the position of the cradle 200 are displayed, and the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A) is displayed can be

이때, 해당 무선 네트워크 가능 지역(A)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강도에 따른 등고선 또는 음영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A may be express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and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contour line or a shade according to the inten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현재 위치, 즉 청소가 완료된 위치에서 거치대(200)까지 돌아가는 호밍 경로를 생성한다(S170).Next, the control unit 140 creates a homing path returning to the cradle 200 from the curren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where cleaning is completed (S170).

이때, 호밍 경로는 경로 상에서 무선 네트워크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여부를 반영하여 최단 경로에서 경로를 변형한 변경 호밍 경로를 따라 호밍 주행을 진행할 수 있다(S180).In this case, the homing path may be generated by determining whether a wireless network is possible on the path, and homing driving may be performed along the changed homing path in which the path is modified from the shortest path by reflecting whether the wireless network is possible ( S180 ).

이와 같은 호밍 경로 생성에 대하여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generation of such a homing pa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140)는 청소 구역의 청소를 완료하면(S160), 현재 위치 즉, 청소가 완료된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n0)에서 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다(S171).Referring to FIG. 8 , when the cleaning of the cleaning area is completed ( S160 ),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a wireless network is possible at the current location, that is, the current location ( n0 ) of the robot cleaner 100 for which cleaning is completed ( S160 ). S171).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 단말(3) 또는 서버(2)로 호밍을 진행하기 위한 호밍 시작 신호 또는 호밍 종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야 한다.The robot cleaner 100 must perform data transmiss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order to transmit a homing start signal or a homing end signal for homing to the user terminal 3 or the server 2 .

이때,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0)는 최종 맵에 표시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에 현재 위치(n0)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n0 is included in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displayed on the final map.

도 9b와 같이 현재 위치(n0)가 네트워크 가능 영역에 현재 위치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0)는 최단 거리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의 접근점(AP)으로 이동하는 보정된 변경 호밍 경로를 생성한다(S172).As shown in FIG. 9B , when the current location n0 is not included in the networkable area, the control unit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is the access point AP of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at the shortest distance. Creates a corrected modified homing path moving to (S172).

즉, 도 9b를 참고하면, 제어부(140)가 현재 위치(n0)에서 거치대(200)까지 호밍하기 위한 호밍 경로는 P1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을 무시한 최단 경로로 설정가능하다.That is, referring to FIG. 9B , the homing path for the controller 140 to hom from the current location n0 to the cradle 200 can be set as the shortest path ignoring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such as P1.

이때, 호밍 경로 P1은 현재 위치(n0)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노드(n1)까지 직진한 후 방향을 전환하여 제2 노드(n2)까지 직진하고, 제2 노드(n2)에서 거치대(200)까지 중간에 제3 노드(n3)를 거쳐 방향 전환한 후 호밍하는 경로이다.At this time, the homing path P1 goes straight from the current position (n0) to the first node (n1) located above it, then changes the direction to go straight to the second node (n2), and from the second node (n2) to the cradle 200 ) through the third node n3 in the middle, and then homing after changing direction.

이와 같은 최단 거리의 호밍 경로가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을 지나가지 않는 경우에는 서버(2)나 사용자 단말(3)에 호밍하고 있는 현재 상태에 대한 보고를 전혀 수행하지 못하고, 거치대(200)까지 호밍이 진행될 수 있다.If the homing path of the shortest distance does not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A, it is not possible to report the current status of homing to the server 2 or the user terminal 3 at all, and the cradle 200 Homing can proceed until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의 제어부(140)는 호밍 경로 중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 내를 지나는 최단 경로로 변경된 호밍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40 of the robot cleaner 100 may generate a homing path changed to the shortest path passing within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among the homing paths.

변경된 호밍 경로 P2는 도 9b와 같이 제1 노드(n1)에서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A) 내의 제5 노드(n5)로 변경하고, 제5 노드(n5)에서 제2 노드(n2) 및 제3 노드(n3)를 거쳐 거치대(200)에 도달할 수 있다.The changed homing path P2 is changed from the first node n1 to the fifth node n5 in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as shown in FIG. 9B , and the fifth node n5 to the second node n2 and the third The cradle 200 may be reached through the node n3.

이때, 접근점(AP)인 제5 노드(n5)에서 로봇 청소기(100)는 사용자 단말(3)로 호밍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S173), 도 10과 같이 사용자 단말(3)에 청소 완료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bot cleaner 100 from the fifth node n5, which is the access point AP, transmits hom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 (S173), and as shown in FIG. information about the may be displayed.

즉, 사용자 단말(3)에 변경된 호밍 경로 P2로 호밍을 진행하면서 접근점인 제5 노드(n5)에서 사용자 단말(3)에 미리 청소 완료 및 호밍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 및 서버(2)에 호밍하는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by transmitting cleaning completion and hom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 in advance from the fifth node n5, which is an access point, while homing is performed to the user terminal 3 by the changed homing path P2, the user terminal 3 and the server ( 2) can transmit homing status information.

변경된 호밍 경로 P2에 따라 거치대(200)에 호밍하면 로봇 청소기(100)는 호밍 완료를 서버에 전송하고 호밍 경로 P1 및 변경된 호밍 경로 P2에 대한 정보를 모두 함께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174).When homing to the cradle 200 according to the changed homing path P2, the robot cleaner 100 transmits homing completion to the server and transmits all information on the homing path P1 and the changed homing path P2 to the server 2 together (S174). ).

따라서, 거치대(200)이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이와 같은 최종 맵 정보 및 호밍 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거치대(200)을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radle 200 does not exist within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the user may receive such final map information and homing path information and move the cradle 200 to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2: 서버 3: 사용자 단말
100 : 로봇 청소기 120 : 센싱부
140 :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주행부 135: 영상 감지부
180 : 청소부 200 : 충전대
2: Server 3: User terminal
100: robot cleaner 120: sensing unit
140: control unit 150: storage unit
160: driving unit 135: image sensing unit
180: cleaner 200: charging station

Claims (16)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청소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영상 감지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청소 구역에 청소를 진행하여, 상기 센싱부 및 영상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로 호밍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body;
janitors performing cleaning functions;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 image sensing unit to obtain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leaning the cleaning area, generating a map for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 data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image sensing unit, and homing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control unit to control;
A robot vacuum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형상 정보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ap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cal shape information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are displayed toge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득된 감지된 정보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정보만을 가지는 기초 맵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reates a basic map having only physical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rea from the sens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의 기초 맵에서 상기 송수신부로부터의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는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map separately indicating a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from the transceiver in the base map of the cleaning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소 구역에서 주기적으로 현재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신호의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signal periodically in the cleaning area,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a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if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robot clea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소 종료 위치로부터 거치대까지의 호밍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Creating a homing path from the cleaning end position to the crad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homing path pass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the robot clea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도록 수정된 변경 호밍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homing path does not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modified homing path modified to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is gener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호밍 경로를 따라 호밍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에 호밍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hom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wireless network possible area is reached while performing homing along the changed homing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엣지 모드 또는 지그재그 모드로 청소를 진행하면서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bot vacuum cleaner,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information and image data on the cleaning area while cleaning in an edge mode or a zigzag mode.
청소 구역에 청소를 진행하여, 센싱부를 통해 감지 신호를 수득하고, 영상 감지부로부터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 신호, 상기 영상 데이터, 및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청소 구역에 대한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통과하는 경로로 호밍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cleaning the cleaning area, obtaining a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obtaining image data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generating a map for a cleaning area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image data, and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and
homing to a path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verage area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형상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p is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hysical shape information and wireless network information for the cleaning area are displayed toge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득된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영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청소 구역에 대한 물리적인 정보만을 가지는 기초 맵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청소 구역의 기초 맵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는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forming the map is
creating a basic map having only physical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area from the obtained detection signal and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a map separately indicating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in the base map of the cleaning area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청소 구역에서 주기적으로 현재 무선 네트워크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수득하고, 상기 신호의 강도가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 위치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Creating the map includes:
In the cleaning area,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signal is obtained periodically in the cleaning area, and if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a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the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청소 종료 위치로부터 거치대까지의 호밍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generating of the map includes: generating a homing path from the cleaning end position to the cradl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homing path traverses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호밍 경로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을 지나가도록 수정된 변경 호밍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oming path passe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comprises:
When the homing path does not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modified homing path to pass through the wireless networkable area,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밍 단계는,
상기 변경 호밍 경로를 따라 호밍을 수행하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가능 영역에 도달하면 사용자 단말에 호밍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homing step is
When homing is performed along the changed homing path and reaches the wireless network available area, hom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KR1020200002650A 2020-01-08 2020-01-08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89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50A KR20210089461A (en) 2020-01-08 2020-01-08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50A KR20210089461A (en) 2020-01-08 2020-01-08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61A true KR20210089461A (en) 2021-07-16

Family

ID=7715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50A KR20210089461A (en) 2020-01-08 2020-01-08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46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6721A (en) * 2021-12-20 2022-04-12 达闼机器人有限公司 Drawing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cloud server and robo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98A (en) 2012-10-22 2014-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fermentation heat
KR20170003764A (en) 2015-06-30 2017-01-10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acil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98A (en) 2012-10-22 2014-04-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fermentation heat
KR20170003764A (en) 2015-06-30 2017-01-10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acilit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6721A (en) * 2021-12-20 2022-04-12 达闼机器人有限公司 Drawing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cloud server and robot
CN114326721B (en) * 2021-12-20 2024-06-07 达闼机器人股份有限公司 Pi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cloud server and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7122B1 (en) Robot clean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70532B1 (en) A plurality of autonomous mobile robot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75300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41536A1 (en) Autonomous travelling body
KR102021833B1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141535A1 (en) Autonomous traveling device
JP2022540906A (en) Mobile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KR102423573B1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37135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TWI731555B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mobile robots
US11700989B2 (en)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8077685A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KR102048365B1 (en)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US20220257074A1 (en)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90757A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28216B1 (en) a Moving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Controlling system for the moving robot
KR102360875B1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89461A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541736A (en) Mobile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KR20200142865A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13902A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03438B1 (en)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KR20210089463A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89464A (en) A robot clean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36685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