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319A -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319A
KR20210089319A KR1020200002339A KR20200002339A KR20210089319A KR 20210089319 A KR20210089319 A KR 20210089319A KR 1020200002339 A KR1020200002339 A KR 1020200002339A KR 20200002339 A KR20200002339 A KR 20200002339A KR 20210089319 A KR20210089319 A KR 2021008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assembly
gas
storage tank
liquefied gas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이재봉
옥민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319A/ko
Publication of KR2021008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4W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가스 돔(10)의 주변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을 위해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30, 30A, 30B)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개시된다.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상기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31)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32)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상기 가스 돔(10)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 돔(10)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INSULATION ASSEMBLY DISPOSED AROUND GAS DOME AND LIQUEFIED GAS STORAGE TANK HAVING THE INSULATION ASSEMBLY}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있어서 단열을 위해 가스 돔의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상태로 액화가스 운반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예를 들어 LNG (Liquefied Natural Gas)나 LPG (Liquefied Petroleum Gas) 등의 액화가스는 천연가스 혹은 석유가스를 극저온(LNG의 경우 대략 -162℃)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므로 저장 및 수송에 매우 적합하다.
LNG 운반선 등의 액화가스 운반선은, 액화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이나 해상의 수요처에 이 액화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극저온 상태의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마련된 해양 구조물의 예로서는, 액화가스 운반선 이외에도 LNG RV (Regasification Vessel)와 같은 선박이나, LNG 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LNG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BMPP (Barge Mounted Power Plant), FSPP (Floating and Storage Power Plant)와 같은 플랜트 등을 들 수 있다.
LNG RV는 자력 항해 및 부유가 가능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한 것이다.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구조물이고,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BMPP는 바지선에 발전설비를 탑재하여 해상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이며, FSPP는 해상에 부유된 구조물에 발전설비와 저장탱크를 탑재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상 플랜트이다.
근래에는 질소 및 황산화물의 배출을 규제하는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LNG를 연료로 하는 선박(LNG 추진 선박)의 건조가 늘어나고 있고, LNG 운반선의 일종으로서 LNG 추진 선박에 LNG를 공급하기 위한 LNG Bunkering Vessel(LNG BV)도 필요하여 건조되고 있다. 이러한 LNG Bunkering Vessel에도 LNG 운반선과 같은 저장탱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BV, LNG RV, LNG FPSO, LNG FSRU, BMPP, FSPP 등의 해양 구조물 내에는 액체화물인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저장탱크의 내부에 저장되는 LNG 등의 액화가스는, 단열벽에 의해 저장탱크가 감싸짐에도 불구하고,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필연적으로 기화될 수밖에 없다. 천연가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천연가스의 액화온도는 상압에서 섭씨 약 -162도의 극저온이므로, 액화천연가스는 그 온도가 상압에서 액화온도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된다.
액화가스가 기화되어 발생하는 가스를 증발가스(Boil-Off Gas)라고 한다. 증발가스는 액화가스의 저장과정에서 나오는 불가피한 현상이며, 증발가스의 처리는 액화가스의 저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발생된 증발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으며 선박의 요동에 따라 액화가스의 유동을 가속시켜 구조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발생된 증발가스를 적절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증발가스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생성된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증발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천장에 대략 원통형상의 가스 돔이 설치되고, 파이프가 가스 돔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인 멤브레인형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8각 기둥 형태를 가지므로, 대부분 편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모서리 부분에서도 대략 직선 형태로 일정한 각도만큼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그에 비해 가스 돔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가스 돔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특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스 돔 주변의 단열벽은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가스 돔의 주변을 단열하기 위한 단열벽의 구조가 복잡하고,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열손실량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단열 박스 및 글래스 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양호한 폴리우레탄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열 패널을 가스 돔의 주변에 배치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설치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용시의 단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가스 돔의 주변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을 위해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로서, 상기 단열 조립체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외형에 맞춰, 또는 상기 가스 돔의 외부에 부착되는 부품이나 장치의 형상에 맞춰, 상기 곡면부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형상맞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하단에 하단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단 단차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열 조립체의 곡면부는, 상기 단열 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열 조립체의 곡면부는, 상기 단열 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로서, 수용되어 있는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밀봉벽과, 외부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단열벽과,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가스 돔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돔의 주변에서 상기 단열벽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은 1차 단열벽 및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1차 단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2차 단열벽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2차 단열벽에 설치된 스터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 조립체의 상기 단열재의 일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플라이우드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과 동일 축선을 가지도록 상기 단열재에 형성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단열 조립체의 조립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된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와셔 및 너트와, 상기 와셔 및 상기 너트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박스 및 글래스 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양호한 폴리우레탄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열 패널을 가스 돔의 주변에 배치함으로써,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설치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용시의 단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에 따르면, 단열 박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공이 용이한 폴리우레탄 폼 소재로 이루어지는 단열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 돔의 원통 형상에 맞춰 단열 패널의 형상을 곡면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글래스 울을 단열 패널과 가스 돔 사이에 끼워 넣을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단열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 개수가 감소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돔의 하단 형상이 계단식으로 단차를 갖는 형상일 경우, 단열 패널의 가스 돔의 하단을 향하는 부분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가스 돔과 단열 패널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가스 돔의 주변에 단열 박스 및 글래스 울을 배치하여 단열벽을 형성하는 단열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스 돔의 주변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를 배치하여 단열벽을 형성하는 단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스 돔의 주변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원통 형상의 가스 돔 주변에 단열 박스 및 글래스 울을 배치하여 단열벽을 형성하는 단열 구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가스 돔(10)은 대략 원형을 이루며, 가스 돔(10)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단열 박스(22)가 배치된다. 단열 박스(22)는 플라이우드에 의해 외형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단열물질을 채워 넣음으로서 만들어진다.
단열 박스(22)의 외형을 제작할 때, 플라이우드로는 곡면을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가스 돔(10)을 향하는 단열 박스(22)의 표면은 복수의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4개의 단열 박스(22)가 가스 돔(10)의 주변에 배치되어 단열 벽을 형성하고 있으며, 4개의 단열 박스(22)의 가스 돔(10)을 향하는 표면은 함께 협력하여 12각 기둥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단열 박스(22)와 가스 돔(10) 사이의 공간에는, 글래스 울(Glass Wool)에 의해 제작된 12개의 글래스 울 부재(24)가 삽입된다. 각각의 글래스 울 부재(24)는, 단열 박스(22)를 향하는 일측 면은 평면을 이루는 한편, 가스 돔(10)을 향하는 타측 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단열 구조에 따르면, 가스 돔(10)의 주변에 단열벽(1차 단열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단열 박스(22)와, 복수의 글래스 울 부재(24)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단열벽의 구조가 복잡하고,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 글래스 울 부재(24)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글래스 울은 폴리우레탄 폼(PUF, Polyurethane Foam)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열손실량이 크고 증발가스 발생량(BOR, Boil Off Rate)이 증가한다.
도 2에는 가스 돔의 주변에, 단열 박스 및 글래스 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양호한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 패널로 제작된 단열 조립체를 배치하여 단열벽을 형성하는 단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가스 돔과 단열 조립체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단열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가스 돔(10)은 대략 원형을 이루며, 가스 돔(10)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단열 조립체(30)가 배치된다. 단열 조립체(30)는, 각각,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31)와, 이 단열재(31)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 돔(10)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스 돔(10)의 소재 및 구체적인 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가스 돔(10)의 내부, 외부, 또는 내부 및 외부 모두에는 단열벽 및 밀봉벽이 적층 설치될 수 있다. 가스 돔(10)은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원통 형상의 가스 돔(10)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35)와, 선체 구조물 또는 2차 단열벽과 같이 단열 조립체(30, 30A, 30B)가 적층되는 대상물에 대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필요에 따라 가스 돔(10)의 외형에 맞춰, 또는 가스 돔(10)의 외부에 부착되는 부품이나 장치의 형상에 맞춰, 곡면부(35)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형상맞춤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단열 패널일 수 있다. 단열 조립체(30, 30A, 30B)는,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곡면부(35)가 형성되는 제1 단열 조립체(30A)(도 3 참조)와, 일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서 곡면부(35)가 형성되는 제2 단열 조립체(30B)(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단열 조립체(30B)는 곡면부(35)가 일측 가장자리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되는 2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들 2가지 형태는 선대칭의 관계에 있으므로, 편의상 곡면부(35)가 일측 가장자리의 일단(도 4에서 볼 때 우측)에 형성되는 형태의 제2 단열 조립체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열 조립체(30A)는,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부(35)와, 하나의 이상의 결합부(40)와, 곡면부(35)의 일부 구간에 형성되는 형상맞춤부(36)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돔(10)의 하단에 하단 단차부(10a)가 형성(도 4 참조)되는 경우, 제1 단열 조립체(30A)는 하단 단차부(10a)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단차부(37)를 포함한다. 이 때, 단차부(37)는 곡면부(35)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열 조립체(30B)는, 일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부(35)와, 하나의 이상의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돔(10)의 하단에 하단 단차부(10a)가 형성(도 4 참조)되는 경우, 제1 단열 조립체(30A)와 마찬가지로, 제2 단열 조립체(30B)는 하단 단차부(10a)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단차부(37)를 포함한다. 이 때, 단차부(37)는 곡면부(35)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단열 조립체(30A)의 곡면부(35)에 2개의 형상맞춤부(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제2 단열 조립체(30B)의 곡면부(35)에 형상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형상맞춤부(36)의 개수 및 형태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선체 구조벽(도시생략)에 적층 설치되는 2차 단열벽(15)과, 이 2차 단열벽(15)에 적층 설치되는 2차 밀봉벽(14)과, 이 2차 밀봉벽(14)에 적층 설치되는 1차 단열벽(13)과, 이 1차 단열벽(13)에 적층 설치되는 1차 밀봉벽(도시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및 2차 단열벽과 1차 및 2차 밀봉벽은, 밀봉 및 단열 시스템(Cargo Containment System, CCS)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소재, 치수, 및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작하기 위해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30)는, 1차 단열벽 및 2차 단열벽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1차 및 2차 단열벽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30)가 1차 단열벽(13)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에는 가스 돔(10)의 주변에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조립체(3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열 조립체(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인 가스 돔(1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곡면부(35)를 포함하며, 가스 돔(10)의 하단에 하단 단차부(10a)가 형성된 경우에는 하단 단차부(10a)에 상응하는 형상의 단차부(37)가 곡면부(35)에 형성될 수 있다.
단열 조립체(30)는 선체 구조벽(도시생략)이나 2차 단열벽(15)에 설치되는 스터드(5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조립체(30)가 1차 단열벽(13)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단열 조립체(30)의 결합부(40)를 2차 단열벽(15)에 설치된 스터드(50)에 결합시킴으로써 단열 조립체(30)가 가스 돔(10)의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단열 조립체(30)가 2차 단열벽(15)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단열 조립체(30)의 결합부(40)를 선체 구조벽(도시생략)에 설치된 스터드(도시생략)에 결합시킴으로써 단열 조립체(30)가 가스 돔(10)의 주변에 장착될 수 있다.
2차 단열벽(15)과 1차 단열벽(13) 사이에는 2차 밀봉벽(14)이 개재될 수 있다. CCS의 유형에 따라서는 2차 밀봉벽(14)이 2차 단열벽(15)과 1차 단열벽(13) 사이에 개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2차 밀봉벽(14)의 적층 위치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결합부(40)는, 단열 조립체(30)의 단열재(31)의 일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플라이우드(32)에 형성된 관통구멍(41)과, 이 관통구멍(41)과 동일 축선 주위에서 단열재(31)에 형성된 결합구멍(44)과, 단열 조립체(30)의 조립시 관통구멍(41)을 통해 삽입된 스터드(50)에 체결되는 와셔(42) 및 너트(43)와, 와셔(42) 및 너트(43)의 체결 작업이 완료된 후 결합구멍(44)에 끼워지는 플러그 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는, 단열 조립체(30)를 선체 구조벽이나 2차 단열벽에 적층시킬 수 있다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 이외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합부(40)를 통해 2차 단열벽(15) 상에 적층된 1차 단열벽으로서의 단열 조립체(30) 상에는 1차 밀봉벽(도시생략)이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 조립체(30)에 의해 가스 돔(10)의 주변에 단열벽(예컨대 1차 단열벽(13))을 형성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박스(22)와 글래스 울 부재(24)에 의해 가스 돔(10)의 주변에 단열벽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소재에 의해 단열 조립체(30)를 제작하므로, 가스 돔(10)의 형상(예컨대 하단 단차부(10a) 등)에 맞춰 곡면부(35) 및 단차부(37)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필요시 다양한 형태의 형상맞춤부(36)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돔(10)의 외주면과 단열 조립체(30)의 곡면부(35)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은 도 1에서의 글래스 울 부재(24)와 가스 돔(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므로, 간극 내에서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가스 돔, 12: 1차 밀봉벽, 13: 1차 단열벽, 14: 2차 밀봉벽, 15: 2차 단열벽, 10a: 하단 단차부, 30: 단열 조립체, 30A: 제1 단열 조립체, 30B: 제2 단열 조립체, 31: 단열재(폴리우레탄 폼 소재), 32: 플라이우드, 35: 곡면부, 36: 형상맞춤부, 37: 단차부, 40: 결합부, 41: 관통구멍, 42: 와셔, 43: 너트, 44: 결합구멍, 45: 플러그 부재, 50: 스터드.

Claims (8)

  1.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가스 돔의 주변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을 위해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로서,
    상기 단열 조립체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돔의 외형에 맞춰, 또는 상기 가스 돔의 외부에 부착되는 부품이나 장치의 형상에 맞춰, 상기 곡면부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형상맞춤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돔의 하단에 하단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단 단차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 조립체의 곡면부는, 상기 단열 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 조립체의 곡면부는, 상기 단열 조립체의 일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6.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로서,
    수용되어 있는 액화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밀봉벽과,
    외부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단열벽과,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가스 돔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 돔의 주변에서 상기 단열벽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는, 폴리우레탄 폼 소재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부 표면에 접합되는 플라이우드에 의해 만들어지며,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 돔의 외주면에 마주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은 1차 단열벽 및 2차 단열벽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1차 단열벽을 형성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열 조립체는 상기 2차 단열벽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2차 단열벽에 설치된 스터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 조립체의 상기 단열재의 일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플라이우드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과 동일 축선을 가지도록 상기 단열재에 형성되는 결합구멍과,
    상기 단열 조립체의 조립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된 상기 스터드에 체결되는 와셔 및 너트와,
    상기 와셔 및 상기 너트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결합구멍에 끼워지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0200002339A 2020-01-08 2020-01-08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10089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39A KR20210089319A (ko) 2020-01-08 2020-01-08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339A KR20210089319A (ko) 2020-01-08 2020-01-08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19A true KR20210089319A (ko) 2021-07-16

Family

ID=7715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339A KR20210089319A (ko) 2020-01-08 2020-01-08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6627A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US20170175952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130113134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US20170144733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130126291A (ko) 이중구조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
KR20220041773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089319A (ko) 가스 돔 주변에 배치되는 단열 조립체 및 상기 단열 조립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00093819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돔 방벽구조
KR101372867B1 (ko) 이중구조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90136624A (ko) 응력 분산용 보조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EP3733500B1 (en) Membrane bonding structure and liquefied gas storage tank comprising same
KR2016000475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50102234A (ko) 단열시스템의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KR10207791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216506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351594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및 그 제작 방법
KR102132720B1 (ko) 가스 벤트 조립체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10085637A (ko) 가스 돔 구조물 및 이를 갖춘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90081146A (ko) 강도 보강용 주름부를 갖춘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226624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215008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33558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3558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3644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