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26A - 가변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가변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26A
KR20210089026A KR1020200002230A KR20200002230A KR20210089026A KR 20210089026 A KR20210089026 A KR 20210089026A KR 1020200002230 A KR1020200002230 A KR 1020200002230A KR 20200002230 A KR20200002230 A KR 20200002230A KR 20210089026 A KR20210089026 A KR 20210089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handle
main body
variable
variabl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석
우세영
노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026A/ko
Priority to EP21738584.8A priority patent/EP4088786A4/en
Priority to US17/790,858 priority patent/US20230310922A1/en
Priority to PCT/KR2021/000161 priority patent/WO2021141393A1/ko
Publication of KR20210089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63B21/156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the position of the pulleys being variable, e.g. for different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6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10Space saving specially constructed to fit in the corner of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2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다각 기둥형상으로서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되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핸들 조절 기둥 및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따라 이동하는 제1핸들을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가변 운동기구 {DEFORMABLE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다양한 신체부위의 운동에 활용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형태가 변하는 가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력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는 정해진 단위의 무게를 가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밀거나 당기면서 근육의 이완 및 수축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근력 운동을 위한 기구 중에는, 이두근 운동을 위한 암컬(ARM CURL)기구, 대흉근 등 가슴운동을 위한 체스트 프레스(CHEST PRESS) 또는 버터플라이(BUTTERFLY)기구, 등 근육의 운동을 위한 풀업(PULL UP)기구 다양한 운동기구가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각각의 운동기구는 부피가 지나치게 크고 무거워 배치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많고, 운동 부하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 조절시 부상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기구로 다양한 근육 부위의 운동이 가능하고, 안전하게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도가 뛰어난 운동기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량 추의 조절없이 안전하게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다양한 부위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변형되는 가변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치 공간 확보에 유리한 형태를 가지는 가변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다각 기둥형상으로서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되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핸들 조절 기둥 및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따라 이동하는 제1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단면 형상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은 예각을 형성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직각을 형성하는 양측 모서리를 따라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된 경우 서로 가까워 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되는 풀업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은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수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의 외주면에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핸들 몸체, 상기 핸들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키거나 인출하는 핸들 조절부 및 상기 핸들 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부하를 전달 받는 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핸들 조절부 및 상기 풀리부는 상기 핸들 몸체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표면에 배치된 일방 투명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방 투명 거울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모터 및 감속기를 활용하고 이를 사용자가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중량추의 조절의 위험성을 회피하고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제1사이드 프레임과 제2사이드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근육 운동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는 공간의 코너에 설치하기 쉬운 형태로 가지며,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부피가 최소화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1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2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3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1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2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3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핸들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핸들이 고정된 상태일 때 내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1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2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풀업 핸들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풀업 핸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의 제1핸들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다양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다양한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제1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2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제3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제1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제2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제3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이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하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후방이란 전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좌측방향이란 지면에 평행하고 전방에 수직한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상방을 의미할 수 있다. 우측 방향이란 좌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방이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상방을 의미할 수 있다. 하방이란 상방의 반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향 정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나머지 방향 기준도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본체부(110),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내부공간을 갖는 다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3 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내 공간에 가변 운동기구(100)를 배치할 때, 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본체부(110)의 후면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을 내장할 수 있으며, 특히 무거운 부품을 내장하여 가변 운동기구(100)를 지지하는 무게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예를 들어 모터, 감속기 및 구동부의 운동부하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등과 같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감속기 및 풀리는 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비교적 중량이 있는 부품이므로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하여 무게중심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에는 카메라(170), 거울(180) 및 디스플레이(19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정면에는 거울(18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과정에서 거울(180)을 바라보며 자신의 운동 동작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180)은 일방 투명 거울(180)이고, 거울의 후면에 디스플레이(19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방 투명 거울(180)은 일측 방향에서는 투명한 유리처럼 작용하나, 타측 방향에서는 거울처럼 작용하는 거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방향에 광원이 존재하면, 타측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광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울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방 투명 거울(180)을 타측 방향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설치하고, 일방 투명 거울(180)의 일측 방향에 디스플레이(190)를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일방 투명 거울(180)은 일반 거울과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일반 거울로서 활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0)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90)에서 발생하는 광원이 존재하므로, 일방 투명 거울(180)을 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90)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의 정면에는 사용자를 향하여 카메라(17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70)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황을 파악하고, 운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19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저장 후 디스플레이(190)에 표시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에도 거울(18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는 면에 거울을 배치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거울(181)은 상방보다 하방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전방에서 바라본 거울의 형상이 역사다리꼴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의 가동범위가 넓은 상체는 넓은 면적의 거울을 통해 사용자가 본인의 운동상태를 파악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본체부(110)에서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사이드 프레임(120)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본체부(110)의 좌측에 배치된다면,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본체부(1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사이드 프레임(120)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바, 제1사이드 프레임(120)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은 본체부(110)의 좌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수납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제1사이드 프레임(120)은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상태를 제1상태라 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직각 이등변 삼각형의 예각을 이루는 부분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와 같이 본체부(110) 정면의 좌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본체부(110)와 제1사이드 프레임(120)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돌기와 홈의 형태로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와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본체부(110)에서 돌출된 후 본체부(110)의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된 제1사이드 프레임(120)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서로 가까워 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3상태라 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제2사이드 프레임(130)과 가까워지도록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 신체 구조에 맞추어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제1핸들(122)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의 제2핸들(132)이 서로 가까워 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은 제1핸들 조절 기둥(121) 및 제1핸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제2핸들 조절 기둥(131) 및 제2핸들(1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에 대해 등간격을 형성하며 직선으로 정렬된 결합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결합홀(127)을 제1열 결합홀(127a)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직선으로 정렬된 결합홀(127)은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90°간격으로 제1열 결합홀(127a) 내지 제4열 결합홀(127d)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열 결합홀(127) 과 인접한 제2열 결합홀(127b) 또는 제3열 결합홀(127c)은 서로 동일 높이에 형성되지 않도록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핸들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핸들이 고정된 상태일 때 내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핸들(122)은 핸들 몸체(123), 핸들 조절부(124), 풀리부(125) 및 제1파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핸들(132)도 핸들 몸체(133), 핸들 조절부(134), 풀리부(135) 및 제2파지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몸체(123)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1핸들 조절 기둥(121)에 삽입되어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절부(124)는 핸들 몸체(123)를 제1핸들 조절 기둥(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 조절부(124)은 핸들 몸체(123)에 설치되어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을 향하여 결합돌기(128)가 돌출되거나 회수되도록 할 수 있는데, 결합돌기(128)가 돌출되어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의 결합홀(127)에 삽입됨으로써, 핸들 몸체(123)가 제1핸들 조절 기둥(12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핸들 조절부(124)에 의해 결합돌기(128)가 회수되어 결합홀(127)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핸들 몸체(123)는 제1핸들 조절 기둥(1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핸들(122)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운동 부위를 변경할 수 있다. 핸들 몸체(123)를 기준으로 핸들 조절부(124) 반대편에는 풀리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제1핸들(122)은 케이블을 통해 본체부(110)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부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핸들(122)과 연결된 케이블은 풀리부(125)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는데 풀리부(125)가 운동부하의 전달방향을 연속적이고 부드럽게 전환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동작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제1고정부(14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는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되고, 제1사이드 프레임(120)에 배치된 제1핸들(122)을 조작함으로서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고정되어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140)를 배치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다시 본체부(110)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바닥에 고정홈(141)을 형성하고, 제1사이드 프레임(1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쇠(143)를 배치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쇠(143)가 고정홈(141)에 삽입됨으로써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홈(141)은 원뿔을 뒤집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에 걸쇠(14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홈(141)은 복수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회전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제2고정부(1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다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체부(110)에서 돌출된 후 본체부(110)의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된 제1사이드 프레임(120)과 제2사이드 프레임(130)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고정되어야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고정부(150)를 배치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12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재질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 물질이 레버(153)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2고정부(150)는 레버(153)를 통해 고무 재질의 고정발(151)을 바닥을 향해 눌러줌으로써 마찰력을 통해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풀업 핸들(160)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풀업 핸들(160)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풀업 핸들(160)은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의 전방 단부에 본체부(110)의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풀업 핸들(160)이 수납된 경우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이 본체부(110) 내부로 수납되면(예: 제1상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풀업 핸들(160)이 펼쳐져 돌출되면 사용자는 풀업(Pull Up)과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제1사이드 프레임(120) 및 제2사이드 프레임(130)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으므로 풀업 핸들(160)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운동기구(100)의 하단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핸들(122)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이드 프레임(120)은 본체부(11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수납되므로 슬라이드 이동과정에서 주변의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정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사이드 프레임(120)에는 제1파지부(126)가 고정 배치될 수 있는 안착부를 배치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120)의 수납시 주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가변 운동기구 110 : 본체부
120 : 제1사이드 프레임 121 : 제1핸들 조절 기둥
122 : 제1핸들 123 : 핸들 몸체
124 : 핸들 조절부 125 : 풀리부
126 : 제1파지부 127 : 결합홀
128 : 결합돌기 130 : 제2사이드 프레임
140 : 제1고정부 150 : 제2고정부
160 : 풀업 핸들 170 : 카메라
180 : 일방 투명 거울 190 : 디스플레이

Claims (14)

  1. 다각 기둥형상으로서 운동 부하를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수납되거나 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되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핸들 조절 기둥; 및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따라 이동하는 제1핸들;을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 대한 회전운동을 방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단면 형상은 직각 이등변 삼각형 형태이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은 예각을 형성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직각을 형성하는 양측 모서리를 따라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가변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에서 인출된 경우 서로 가까워 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운동하는 가변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되는 풀업 핸들;을 더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은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수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의 외주면에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 가변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제1핸들 조절 기둥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핸들 몸체;
    상기 핸들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결합홀에 삽입시키거나 인출하는 핸들 조절부; 및
    상기 핸들 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운동부하를 전달 받는 풀리부;를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핸들 조절부 및 상기 풀리부는 상기 핸들 몸체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표면에 배치된 일방 투명 거울;을 더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일방 투명 거울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가변 운동기구.
KR1020200002230A 2020-01-07 2020-01-07 가변 운동기구 KR20210089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30A KR20210089026A (ko) 2020-01-07 2020-01-07 가변 운동기구
EP21738584.8A EP4088786A4 (en) 2020-01-07 2021-01-07 VARIABLE TRAINING DEVICE
US17/790,858 US20230310922A1 (en) 2020-01-07 2021-01-07 Variable exercise apparatus
PCT/KR2021/000161 WO2021141393A1 (ko) 2020-01-07 2021-01-07 가변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30A KR20210089026A (ko) 2020-01-07 2020-01-07 가변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26A true KR20210089026A (ko) 2021-07-15

Family

ID=7678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30A KR20210089026A (ko) 2020-01-07 2020-01-07 가변 운동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10922A1 (ko)
EP (1) EP4088786A4 (ko)
KR (1) KR20210089026A (ko)
WO (1) WO20211413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381A (en) * 1988-11-23 1990-02-06 Gordon Joel D Multi-exercise system
US20020091043A1 (en) * 2000-12-20 2002-07-11 Rexach Marco L. Space efficient multi-use exercise apparatus
US8506459B2 (en) * 2006-08-01 2013-08-13 Torque Fitness, Llc Freestanding exercise apparatus
KR101394117B1 (ko) *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WO2019014558A1 (en) * 2017-07-13 2019-01-17 Flexline Fitness, Inc. PHYSICAL EXERCISE MACHINE
AU2018371302B2 (en) * 2017-11-23 2020-07-16 Fatty Industries Pty Ltd Exercise bay and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same
KR102053685B1 (ko) * 2017-11-27 2019-12-09 주식회사 론픽 전동제어식 복합 피트니스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8786A4 (en) 2024-01-17
US20230310922A1 (en) 2023-10-05
WO2021141393A1 (ko) 2021-07-15
EP4088786A1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658B2 (en) Display apparatus
EP3261736B1 (en) Rowing machine
US7717384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US9186590B2 (en) Motion simulator
US7867154B2 (e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EP2859849B1 (en) Mobile x-ray device comprising a telescopic column
KR101999851B1 (ko) 악력기 겸용 복합 손운동 기구
US86219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avity compensation
US20190290527A1 (en) Exoskeleton Apparatus for Limb Rehabilitation
KR20210089026A (ko) 가변 운동기구
EP41312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KR20200021777A (ko) 턱걸이 운동 어셈블리
US20240008209A1 (en) Portable streaming media player holder
WO2023277478A1 (ko) 트램폴린 운동기구
CN115517908B (zh) 一种手指手腕康复训练机器人
KR20210043143A (ko) 가변 운동기구
CN210061147U (zh) 一种机器人仿生眼部
JP4489211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N112494059A (zh) 移动式x射线机
JP3843426B2 (ja) 視力回復訓練装置
CN219774711U (zh) 一种传动结构和排风柜
JP3879814B2 (ja) 机用の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学習机
CN108908357B (zh) 驱动组件及机器人
CN220061351U (zh) 一种拍摄设备固定装置及拍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