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372A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372A
KR20210088372A KR1020200001699A KR20200001699A KR20210088372A KR 20210088372 A KR20210088372 A KR 20210088372A KR 1020200001699 A KR1020200001699 A KR 1020200001699A KR 20200001699 A KR20200001699 A KR 20200001699A KR 20210088372 A KR20210088372 A KR 2021008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d
sensing unit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372A/en
Priority to PCT/KR2020/018533 priority patent/WO2021141272A1/en
Publication of KR2021008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s formed; a bed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on which pods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seated; a water collecting unit recessed in the bed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pod,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od; a sen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a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provided under the bed and in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residual water is present, wherein, a water stagnant preventing uni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to partially protrude and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A gener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ms a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hav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stores the plants in the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nutrients and light energy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the plant grows by the supplied nutrients and light energy.

종래 기술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4037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캐비닛의 내부에 다단의 트레이가 배치되고, 광조사부에서 트레이로 빛을 조사하고 양액회수함을 통해 양액을 트레이로 공급하며, 냉난방장치와 공기 순환팬에 의해 캐비닛 내부를 설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40375. In this prior art, multiple trays are arranged inside the cabinet,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irradiation unit to the tray, and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tray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y box,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is set at a set temperature by the air conditioner and air circulation fan. A structure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by maintaining a structure is disclos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물과 양액이 양액 회수함을 통해 공급 및 회수되는 구조를 가지며, 양액이 순환되는 구조로 오염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ater and nutrient solution have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nutrient solution are supplied and recovered through nutrient solution recover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and thus vulnerable to contamination.

특히, 장시간 사용시 양액은 부폐되거나 오염되는데, 이러한 양액이 양액회수함은 물론 전체 유로를 순환하는 구조에서는 필연적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nutrient solution is spoiled or contamina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s the nutrient solution as well as circulates through the entire flow path, there is a problem that inevitably a sanitary environment cannot be maintained.

또한, 양액과 물의 보충을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유로가 연결된 구조로 볼 때 고정식의 양액 회수함의 구조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급수 관리와 세척이 매우 불편안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 structure for replenishing the nutrient solution and water is not disclosed, and when view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is connected, it can be viewed as a structure of a fixed nutrient solution recovery box. In this case, water supply management and washing are very inconvenient.

한편, 미국특허 2018/0359946호에는 캐비닛의 내부에 식물의 재배를 위한 다수의 트레이가 구비되고, 트레이 상방에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와 급수 수단이 구비되어 양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냉각장치와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캐비닛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US Patent No. 2018/0359946, a plurality of trays for plant cultivation a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a light irradiating light and a water supply means are provided above the tray to supply nutrient solution, and cooling using a refrigeration cycle A structure is disclosed in which a device and a heating device are provid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binet.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탱크가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어 양액 보충 또는 청소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structure, a tank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replenish or clean or manage the nutrient solution.

특히 기계실 내부에 탱크가 배치되는 경우 별도의 배관 연결을 통한 물 보충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설치의 제약과 곤란성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tank is disposed inside the machine room, it has no choice but to have a water replenishment structure through a separate pipe connection,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is limited and difficult.

또한, 탱크의 오염시 필연적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격실 전체가 오염될 수 밖에 없으며, 양액과 물이 혼합된 상태로 저장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ank is contaminated, the entire compartment in which plants are grown is inevitably contaminated, and this problem becomes more serious when the nutrient solution and water are stored in a mixed state.

본 발명은 재배 공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a cultivation space.

본 발명은 적시에 베드로 재배를 위한 물이 적량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allows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or bed cultivation to be supplied in a timely manner.

본 발명은 베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베드상에 잔존하는 시간을 줄여 상기 베드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reduces the time that water supplied to the bed remains on the bed so that the bed can maintain a clean state.

본 발명은 인출입 가능한 베드에 잔존하는 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적시 급수 가능하도록 하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accurately detects the water remaining in the withdrawable bed and enables timely water supply.

본 발명은 잔수 감지 장치의 감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the detection reliability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apparatus.

본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되는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상기 베드에 함몰되어 상기 파드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파드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감지부; 상기 베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와 접촉되어 잔수 여부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물 고임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s formed; a bed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on which pods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seated; a water collecting unit recessed into the be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pod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od; a sen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provided under the bed and in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residual water is present, and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 addition may be formed.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드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11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lower surface of the bed is depressed upward, and an upper end of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11 .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상기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트레이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 트레이에는 복수의 파드가 각각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된 파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bed tray on which the pods are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a pod seating portion recessed to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the bed tray to seat a plurality of pods, respectively.

상기 파드 안착부에는 상기 파드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파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안착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 개구는 상기 집수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잇다. A seating part opening into which a po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pod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pod seating part, and the seating part opening may be disposed along the water collecting part.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파드 안착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od seating units.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중앙부가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베드의 인출입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the highest, and to be lowered toward the inlet/out direction of the bed.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감지부의 타단과 이격될 수 있다.The water pool prevention part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nsing unit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상기 물 고임 방지부의 단부와 상기 감지부의 단부 사이 거리는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생기지 않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and the end of the sensing part may be set to a distance at which water droplets are not generated by surface tension.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가로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nsing part.

상기 베드는 상기 재배 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bed may be mounted to be drawn out and insert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감지 센서가 수용되는 감지 장치 커버와; 상기 감지 장치 커버의 상면이 상기 베드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cludes: a detection device cover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cover may include a spring supporting it from below to maintain a contact state with the bed.

상기 감지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일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may be a capacitive sensor.

상기 감지 장치 커버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베이스와; 상기 커버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 센서가 수용되는 커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cover may include a cover base supported by the spring; It protrudes upward from the cover base and may include a cover protrusion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상기 감지부의 하면은 상기 커버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될 수 있다.A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may b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over protrusion.

상기 감지부의 하면과 상기 커버 돌출부의 상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 돌출부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타단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nsing unit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상기 물 고임 방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타단 사이에는 평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A planar reg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water pooling preven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평면 영역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planar area.

상기 평면영역은 상기 베드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센서의 영영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The planar area may be vertically overlapped with an area of the detection sensor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retra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재배 공간 내부에 개폐 가능한 워터 탱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물을 추가 급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에 급수를 위한 별도의 라인이 필요하지 않아 상기 식물 재배 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able and openable water tank is provid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so that the user can additionally supply water.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line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is not requi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be easily installed at a desired place by a user.

그리고, 상기 베드에 양액과 씨앗이 포함된 파드가 베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로부터 베드까지 배치되는 전체 유로 상에는 물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워터 탱크와 베드 및 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오염되지 않게 되며, 전체적으로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d containing the nutrient solution and seeds in the bed can be seated on the bed, and only water is supplied on the entire flow path arrang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bed, so that the water tank, the bed, and the flow path connecting them are not contaminated. ,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sanitary and clean state as a whole.

또한, 적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물 또는 양액을 회수하는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유로가 간결하게 되고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configured to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for recover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path is simplified and management is easy.

그리고,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상기 베드의 하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물 없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간결한 배치 구조를 가지면서도 정확한 잔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aintains a contact stat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and detects the absence of water using a capacitive sensor, so that it has a simple arrangement structure and can accurately detect whether residual water is present. have.

그리고,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집수부가 형성되는 베드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베드의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의 하방에 배치되는 잔수 감지 장치는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상기 베드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 내부의 구성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ay have a structure disposed below the bed instead of being disposed inside the bed in which the water collecting part is formed. 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bed may detect whether water is present in the b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water.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bed can be simplified.

즉, 상기 잔수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감지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베드에 수용된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상기 베드에 물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에 물이 있는 경우 상기 감지 센서에서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급수부 즉 상기 베드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비 접촉 방식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상기 베드가 아닌 다른 구성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드는 자유로운 인출입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etection sensor constituting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ay be a capacitive sensor.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water in the b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bed. For example, when there is water in the sensing unit, the sensing sensor may detect a change in curren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water in the water supply unit, that is, the bed. By using the non-contact capacitive sensor as described above,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can be arranged in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bed, and the bed can have a free pull-out structure.

상기 집수부에는 감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 내부의 물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A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may be guided to be positioned at a fixed position by the sensing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water exist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집수부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지만, 돌출된 상면에 물 고임 방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부의 물이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ensing unit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a water stagnant preventing unit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upper surface to induce the water of the sensing unit to flow down without pooling.

따라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감지부 상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잔수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nsing unit can guide the position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and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thereby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the remaining water is present.

그리고,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 전체 영역 중 일부에 형성되며, 나머지 상기 감지부 영역은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재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자연스럽게 집수부로 향하게 되고 상기 감지부 상에 맺히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한 잔수 감지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entire area of the sensing unit, and the remaining sensing unit area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a set width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forming due to surface tension.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member is naturally dir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and does not form on the sensing uni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residual water detection by the sensing sensor.

상기 잔수 감지 장치에 의한 잔수 감지 신뢰성이 보장됨으로써 상기 베드에 물 공급이 적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식물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reliability by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s ensured, water supply to the bed can be made in a timely manner,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effectively controlling the growth of pla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기계실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라이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식물 라이트 어셈블리와 잔수 감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15-15'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급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18-18'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급수 모듈의 펌프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펌프 커버와 잔수 감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21-21'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재배 공간 내부의 급수 유로 배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
도 2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베드와 급수 유로의 배치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베드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상기 베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D"부 확대도이다.
도 29는 상기 도 28의 29-29' 단면도이다.
도 30은 상기 베드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베드가 인출입 되는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2는 상기 베드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 안착되는 파드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4의 "C"부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door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IG. 4 is a 4-4′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2 .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ine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viewed from the front.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viewed from the rear.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ase of the light assembly.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ant light assembly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as viewed from below.
15 is a cross-sectional view 15-15' of FIG. 12 .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modul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modul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18-18' of FIG. 16 .
19 is a rear view of the pump cover of the water supply module.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ump cover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21 is a cross-sectional view 21-21' of FIG. 16 .
2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flow path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2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withdrawn.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bed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26 is a plan view of the bed.
2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ed.
FIG. 2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27 .
29 is a cross-sectional view 29-29' of FIG. 28 .
3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separated.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drawn out.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completely retracted.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d seated 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FIG. 3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degenerative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elem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4-4'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캐비닛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door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 4 is a 4-4'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2 . An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binet.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1)에 관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을 개폐하는 도어(1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배되는 상기 식물은 통상적으로 쌈 또는 샐러드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식물들이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씨앗과 양분이 포함된 파드(1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s a whole with respect to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100 forming a space in which a plant is grown therein, and a door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binet 100 The appearance may be formed by At this time, the cultivated plant is usually edible by the user, such as leaf vegetables and herbs that can be used in wraps or salads, and it is preferable that plants that do not occupy a lot of space are grown, and seeds and nutrients ar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cluded pod 10 .

상기 캐비닛(10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재배 공간(10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0)와, 상기 재배 공간(101)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상기 재배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을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abinet 100 is formed to have an open front surface, and a cultivation space 101 may be provided therein. The cabinet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0 forming an exterior and an inner case 120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A heat insulator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to insulate the cultivation space and maintain the cultivation space 101 at a set temperature.

상기 아웃 케이스(110)와 이너 케이스(1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판상의 소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너 케이스(120)는 양측면과 후면 및 상면이 각각 금속 판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case 110 and the inner case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materials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inner case 120 may have both side surfaces, a rea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metal plate shape,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드(30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 두개의 베드(300a,300b)가 구비되며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라 부를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드(300)는 상기 캐비닛(10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beds 300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0 . In this embodiment, two upper and lower beds 300a and 300b are provided an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 bed 300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bed 300b and a lower bed 300a, respective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course, two or more beds 30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binet 100 .

상기 베드(300)는 식물의 씨앗과 재배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된 파드(10)가 다수개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드(300)는 선반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파드(10)의 안착 및 안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파드(10)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파드(10)에서 자라는 식물의 관리 및 수확이 용이하도록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bed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ods 10 containing plant seeds and nutrients necessary for cultivation are seated. The bed 300 may be called a shelf or a tray. In addition, the bed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od 10 can be seated and maintained in a seated state. In addition, the bed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od 10 can be easily seated, and to facilitate management and harvesting of plants growing in the pod 10 .

또한, 상기 베드(300)에는 워터 탱크(7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어 상기 베드(300)에 안착된 전체 파드(10)들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상기 파드(10)에 상시 수분을 공급 가능하도록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700 flows and is delivered to all the pods 10 seated on the bed 300 . In addition, the bed 300 may maintain an appropriate water level so as to constantly supply moisture to the pod 10 .

한편, 상기 캐비닛(100)의 하방에는 기계실(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재배 공간(101)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610)와 응축기(62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machine room 200 may be provided below the cabinet 100 . The machine room 200 may include a compressor 610 and a condenser 620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그리고, 상기 기계실(200)의 전면에는 그릴 커버(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커버(220)에는 상기 기계실(20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그릴 흡입구(221)와,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그릴 토출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A grill cover 22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chine room 200 , and the grill cover 220 includes a grill suction port 22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machine room 200 , and the machine room 200 . ) A grill outlet 222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한편, 상기 재배 공간은 냉동 사이클(600)에 의해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증발기(63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측 후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롤본드 타입의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벽면에 부착이 용이한 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30)는 판상의 구조로 인해 상기 재배 공간(101)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한편, 상기 재배 공간(101)과 근접하여 상기 재배 공간(101)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may be controlled by the refrigeration cycle 600 . In this case, the evaporator 6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rear wall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e evaporator 630 may be provided with a roll bond type heat exchang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The evaporator 630 may have a plate-shaped structure that is easily attached to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In addition, the evaporator 630 minimizes the loss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due to the plate-like structure and is close to the cultivation space 101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벽면에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의 후방 영역에서 가열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0) 및 히터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는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예컨데 18℃ - 28℃)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히터가 아닌 다른 가열을 위한 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핫가스를 통한 가열 구조 또는 냉동사이클의 전환을 통한 가열 구조등 다양한 가열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의 온도는 내부 온도 센서(450)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A hea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ccordingly, heating and cooling may be performed in the rear region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interior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by the evaporator 630 and the heater to maintain a temperature suitable for plant growth (eg, 18 ℃ - 28 ℃). Of course, if necessary, a configuration for heating other than the heater may be provided, and various heating methods such as a heating structure through hot gas or a heating structure through conversion of a refrigeration cycle will be possib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sensed by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450 , so that it can be kept constant regardles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cabinet 100 .

그리고, 상기 증발기(630)의 전방에는 블로워 어셈블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재배 공간(101)을 고르게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lower assembly 50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630 . The blower assembly 500 may circulat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to uniformly cool or heat the cultivation space 101 .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베드(300)에 의해 나누어진 상방의 공간에 배치되는 상부 블로워 어셈블리(500b)와, 하방의 공간에 배치되는 하부 블로워 어셈블리(5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배치되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서로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베드(30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측의 각 공간에 독립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blower assembly 500 may include an upper blower assembly 500b disposed in an upper space divided by the bed 300 and a lower blower assembly 500a disposed in a lower space. The blower assembly 500 disposed up and down has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with only a difference in mounting position from each other. The blower assembly 500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300 , and may blow air from the rear of the bed 300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independent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in each spac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partitioned by the bed 300 .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에 의해서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고, 특히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630)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가지는 한편, 빠르게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베드(300) 상면과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을 지나면서 유동될 수 있다. The air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is circulated by the blower assembly 500, and in particular, the circulated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630 so that the entire interior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has a uniform temperature while rapidly Temperature control can be achieved. In addition, the air circulated by the blower assembly 500 may flow whi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 .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베드(300) 상면을 지나면서 상기 베드(30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호흡을 보다 원활하도록 하고 식물이 적절하게 흔들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생육에 필요한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을 지나면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assembly 500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to make the respiration of the plants grown in the bed 300 more smooth and the plants to shake properly by controlling the stress to grow It can provide the optimal airflow required for In addition,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assembly 500 can prevent overheating of the light assembly 400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 .

한편, 상기 베드(300)의 상방에는 라이트 어셈블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베드(30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식물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은 태양광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재배되는 식물에 최적화된 광량과 조사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assembly 400 may be provided above the bed 300 . The light assembly 400 provides light necessary for plants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bed 300 . In this cas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assembly 400 may be set similarly to sunlight, and the amount of light and irradiation time optimized for the plant being grown may be set.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베드(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방의 공간에 구비되는 상부 라이트 어셈블리(400b)와, 하방의 공간에 구비되는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라이트 어셈블리(400b)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는 상기 상부 베드(300b)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light assembly 400 may include an upper light assembly 400b provided in an upper space partitioned by the bed 300 and a lower light assembly 400a provided in a lower space. The upper light assembly 400b may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may b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ed 300b.

즉, 상기 상부 라이트 어셈블리(400b)와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는 각각 하방에 배치된 상기 베드(300)의 수직한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구획된 상기 재배 공간(101)의 상면에서 상기 베드(30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light assembly 400b and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bed 300 disposed below, respectively,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vided cultivation space 101 , the bed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3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rowth of the cultivated plant.

상기 캐비닛(100) 내측의 바닥면에는 워터 탱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기 베드(30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700)는 복수의 상기 베드(300)들 중 가장 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베드(30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면이 위치할 수 있다.A water tank 700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inside the cabinet 100 . The water tank 700 may store water supplied to the bed 300 . The water tank 700 may be located below the bed 300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beds 300 , and the front side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bed 300 . can

상기 워터 탱크(700)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 공간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베드(300)와 상기 재배 공간(10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 탱크(700)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하부 베드(300a) 하방의 공간 전체를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700) 후방의 공간은 상기 워터 탱크(7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water tank 7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100 .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water tank 7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bed 3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at is, the water tank 700 may be formed to fill the entire space under the lower bed 300a locat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space behind the water tank 700 is located in the water tank 700 . can be covered by

상기 워터 탱크(700)에 의해 가려지는 후방의 공간에는 펌프 커버(7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74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워터 펌프(720)와 급수 밸브(7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740), 상기 펌프 커버(740) 내부의 구성들 및 구성과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여 급수 유닛 또는 급수 모듈이라 할 수도 있다. A pump cover 740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hind the water tank 700 covered by the water tank 700 . A water pump 720 and a water supply valve 724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provided inside the pump cover 740 . The pump cover 740 and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ump cover 740 and the piping connected to the components may be referred to as a water supply unit or a water supply module.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워터 탱크(70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워터 탱크(700)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탱크 레일(73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는 인출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추가 급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water tank 7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to be withdraw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is end, tank rails 730 for guiding the inlet/outlet of the water tank 700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 tank 700 . In addition, the water tank 7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dditional water supply is possible by being opened in the drawn-out state.

한편,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반부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부가 구비되어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정 및 입력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는 터치 스크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 스위치와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assembly 800 may be provided in the opened first half of the cabinet 100 . The display assembly 800 may outp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800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to which a user's manipulation is input to set and inpu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example, the display assembly 800 may include a touch screen structure, and may include a structure such as a button or a switch.

상기 도어(130)는 상기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3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힌지(135)와 로어 힌지(136)가 축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어퍼 힌지(135)와 로어 힌지(136)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01)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130 may have a size capable of shielding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0 . In addition, an upper hinge 135 and a lower hinge 136 may be shaft-coupled to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130 . The door 1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0 by the upper hinge 135 and the lower hinge 136 , and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130 .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도어(130)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재배 공간(101)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oor 130 may have a see-through structure, and the cultivation space 101 may be checked even when the door 130 is closed.

상세히, 상기 도어(130)는 둘레를 형성하며 중앙부가 개구되는 도어 프레임(131)과, 상기 도어 프레임(131)의 개구를 차폐하는 도어 패널(132,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132,133)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132,133)은 색상을 가지거나 유색의 코팅, 금속 증착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상기 재배 공간(101)이 선택적으로 보이거나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130 may include a door frame 131 forming a periphery and having an opening in the center, and door panels 132 and 133 for shielding the opening of the door frame 131 . The door panels 132 and 133 may be formed of glass or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interior can be seen through. In addition, the door panels 132 and 133 may have a color or a colored coating, metal deposition, or film attached thereto so that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selectively visible or invisible.

한편, 상기 도어 패널(132,133)은 복수개가 전후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도어 패널(132,133)의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132,133)은 단열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0)의 내부와 외부를 단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a plurality of the door panels 132 and 133 may be disposed in front and rear, and a heat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oor panels 132 and 133 . And, if necessary, the door panels 132 and 133 may include insulating gla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su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도어(130)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 패널(132)에 의해 상기 도어(130)의 전면 외관 전체가 형성될 수도 있다. And, if necessary, the entire front exterior of the door 130 may be formed by the door panel 132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130 .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의 구성들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components of reference numerals not described in FIGS. 1 to 5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 장치(1)의 구조를 각 구성 별로 도면을 참보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ach configuration.

도 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기계실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chine room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200)은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100)의 하방에서 상기 재배 공간(101)과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기계실(200)은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플레이트(211)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12) 그리고,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레이트(213)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machine room 20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 and forms a space independent from the cultivation space 101 under the cabinet 100 . The machine room 200 may be configured by a bottom plate 211 forming a lower surface, a pair of side plates 212 forming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plate 213 forming a rear surface.

상기 바텀 플레이트(211)와 사이드 플레이트(212) 및 리어 플레이트(213)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결합되어 기계실 프레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기계실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상면과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 프레임은 상기 캐비닛(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00) 하방에 상기 기계실(200)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bottom plate 211 , the side plate 212 , and the rear plate 213 may be combined in a single module form to be referred to as a machine room frame. The space formed by the machine room frame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re opened. Accordingly, the machine room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00 to form the machine room 200 space under the cabinet 100 .

상기 기계실(200)의 내부 공간은 베리어(2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230)는 상기 기계실(200)의 개구된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230)에 의해 구획된 좌측의 공간에는 응축기(6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230)에 구획된 우측의 공간에는 압축기(6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230)의 후단에는 상기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방열팬(611)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nal space of the machine room 200 may be partitioned by a barrier 230 . The barrier 230 may extend rearward from the opened front end of the machine room 200 . A condenser 620 may be provided in a space on the left side partitioned by the barrier 230 , and a compressor 610 may be provided on a space on the right side partitioned by the barrier 230 . In addition, a heat dissipation fan 611 for forcibly flowing air from the left to the right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arrier 230 .

한편, 상기 기계실(200)의 개구된 전면에는 그릴 커버(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커버(220)는 상기 기계실(20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베리어(230)에 의해 구획된 좌측 공간 전면에는 그릴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우측의 공간 전면에는 그릴 토출구(2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grill cover 220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machine room 200 . The grill cover 220 shields the ope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0, a grill inlet 221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left space partitioned by the barrier 230, and a grill outlet 221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right space ( 222) may be formed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방열팬(611)의 구동시 상기 그릴 흡입구(221)를 통해서 상기 기계실(200)의 좌측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유동되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620)를 지나면서 상기 응축기(620)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방열팬(611)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압축기(610)를 지나면서 상기 압축기(610)를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610)를 지난 공기는 상기 그릴 토출구(222)를 통해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611 is driven, external air is sucked and flows into the space on the left side of the machine room 200 through the grill suction port 221 , and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620 , and the condenser (620) is to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inside.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an 611 cools the compressor 610 while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610 . Als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610 may be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grill outlet 222 .

즉,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의 흡입과, 상기 기계실(200) 내부 공기의 토출이 모두 그릴 커버(220)를 통과하면서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좌우 양측과 후면이 막힌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싱크대와 같은 가구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더라도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상기 압축기(610)와 응축기(620)의 냉각 및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at is, in the installed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 both the intake of external air and the discharge of the air inside the machine room 200 pass through the grill cover 220 and are performed from the front. Accordingl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can be installed even in a space w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are blocked. In particular, even i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s installed in a furniture such as a sink, cooling and heat exchange of the compressor 610 and the condenser 620 inside the machine room 200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한편, 상기 냉동 사이클(600)을 구성하는 증발기(630)는 상기 캐비닛(10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면에 상하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구성들과 냉매 배관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vaporator 630 constituting the refrigeration cycle 600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0 ,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includes components and refrigerant pipes in the machine room 200 . can be easily connected by

상기 기계실(200) 내에는 응축수받이(2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응축수받이(250)는 상기 응축기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응축기(620)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재배 공간(101)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 될 수도 있다. A condensate receiver 250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0 . In this case, the condensate receiver 250 may be provided below the condenser, and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condenser 620 may be stored,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101 may be stored. .

한편, 상기 기계실(200)의 상측에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측 저면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커버(220)를 개방하여 접근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제어부(190)로 접근 가능하며,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machine room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90 may be provid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may be accessible by opening the grill cover 220 . 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installed and in use, the control unit 190 can be easily accessed, and maintenance can be facilitated.

도 7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lower assembly viewed from the rear.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벽면 즉에는 상기 증발기(630)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630)의 전방에는 블로워 어셈블리(50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vaporator 6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the blower assembly 50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630 .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베드(3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상방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베드(30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단 및 상기 베드(300)와 인접되는 상방에 구비된다.The blower assembly 500 is configured to circulate air above the cultivation space 101 partitioned by the bed 300 . Accordingly, the blower assembly 500 is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300 ,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ight assembly 400 and at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bed 300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블로워 팬(520)과, 상기 블로워 팬(520)이 장착되는 팬 가이드(510)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510) 및 상기 증발기(630)를 차폐하는 블로워 커버(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lower assembly 500 shields the blower fan 520, the fan guide 510 to which the blower fan 520 is mounted, and the fan guide 510 and the evaporator 6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cover (530).

상세히, 상기 블로워 팬(520)은 박스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 가이드(51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팬(520)은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의 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blower fan 5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fan, and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an guide 510 . In addition, the blower fan 520 may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rear of the blower assembly 500 to the front.

상기 팬 가이드(510)는 상기 블로워 팬(52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블로워 팬(5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팬 가이드(5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형성되며, 상기 팬 가이드(510)의 배면 중앙에 상기 블로워 팬(520)이 장착될 수 있다. The fan guide 5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blower fan 520 is mounted, and is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 of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520 . The fan guide 510 is injection-molded with a plastic material, and the blower fan 520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

한편, 상기 팬 가이드(510)의 전면에는 에어 가이드부(512)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 팬(5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부(512)는 상기 블로워 팬(520)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팬(5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유동하게 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팬 가이드(5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토출구와 가까워질 수 있다.Meanwhile, an air guide part 51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to guid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fan 520 upward. The air guide part 512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lower fan 520 , and may be configured to become wider toward the upper side.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520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may become closer to the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n guide 510 toward the outside.

상기 팬 가이드(510)의 전면 상단에는 토출 안내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안내부(513)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토출 안내부(513)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 면을 형성하게 되며,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 안내부(513)의 단부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과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 안내부(513)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 후단에서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 유동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발열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A discharge guide 5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fan guide 510 . The discharge guide 513 forms a surfac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at is, the discharge guide 513 forms an inclined surface or a round surface, and guides the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ward the front. At this time, since the end of the discharge guide 513 is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assembly 500 is transferred to the light assembly 400 by the discharge guide 513 . ), it is possible to flow from the rear end to the front. The light assembly 400 can be cooled when the light assembly 400 is heated by such an air flow.

상기 팬 가이드(510)의 일측방에는 커넥터 홀(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514)은 상기 이너 재배 공간의 후벽면에 장착된 커넥터(124a)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의 장착시 상기 커넥터(124a)가 상기 커넥터 홀(514)에 삽입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팬(520)과 연결된 전선은 상기 커넥터 홀(514)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A connector hole 51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an guide 510 . The connector hole 514 is formed to b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124a mounted on the rear wall of the inner cultivation space. Accordingly, when the blower assembly 500 is mounted, the connector 124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51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blower fan 5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exposed through the connector hole 514 .

상기 팬 가이드(51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415)에 삽입 장착되는 블로워 브라켓(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브라켓(550)의 일단은 상기 팬 가이드(510)의 상면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 후단에 형성된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415)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와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Blower brackets 550 that are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art 415 may b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 One end of the blower bracket 5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 and the other end may be mounted to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art 41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 . Accordingly, the light assembly 400 and the blower assembly 5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ly intersecting form. In addition, the blower assembly 500 may discharge air from the rear end of the light assembly 400 toward the front.

또한, 상기 팬 가이드(510)의 하면에는 유입 가이드(5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가이드(511)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팬 가이드(510)의 하방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팬 가이드(510)의 후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flow guide 511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 The inlet guide 511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may guide air sucked in from the lower side of the fan guide 510 to smoothly flow to the rear of the fan guide 510 .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510)의 전면 과 후면에는 각각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된 공간의 내측에는 각각 전면 단열재(541)와 후면 단열재(54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630)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발기(63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직접적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ecessed spac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an guide 510 , and a front insulator 541 and a rear insulator 542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ssed space,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630 generated in the evaporator 63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ront directly through the blower assembly 500 .

한편, 상기 블로워 커버(530)는 상기 팬 가이드(510)의 전방에서 상기 팬 가이드(510) 및 상기 팬 가이드(510)에 장착된 구성들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 커버(530)는 상기 베드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630) 및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후벽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wer cover 530 may shield the fan guide 510 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fan guide 510 in front of the fan guide 510 . In addition, the blower cover 530 is extend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top of the bed to prevent the rear wall surfaces of the evaporator 630 and the inner case 120 from being exposed when the blower assembly 500 is mounted. can

그리고, 상기 블로워 커버(530)와 상기 베드(300)의 사이에는 다소 이격 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로워 커버(530)의 하단과 상기 베드(300)의 상면 사이를 통해서 상기 베드(300)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되는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블로워 팬(520)을 향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wer cover 530 and the bed 300 may be slightly spaced apart, and the blower cover 530 is rearward along the bed 300 throug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ower cover 5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may be sucked toward the blower fan 520 .

이대, 상기 블로워 커버(530)와 상기 베드(300)의 사이 틈새를 통해 상기 증발기(63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증발기(630)의 대응하는 영역에는 차폐판(5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evaporator 630 from being expos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lower cover 530 and the bed 300 , a shielding plate 560 is further provided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evaporator 630 . can be

상기 블로워 커버(53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벽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blower cover 53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상기 블로워 커버(5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20)와 동일한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커버(530)는 전면부(531)와 측면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er cover 5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inner case 120 , and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ate-shaped material. The blower cover 530 may include a front part 531 and a side part 532 .

상기 전면부(531)는 상기 재배 공간(101)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재배 공간(101)의 가로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531)의 상단은 상기 팬 가이드(510)의 상단 및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블로워 팬(52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재배 공간(101)으로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면부(531)의 하단은 상기 팬 가이드(51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상면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블로워 팬(52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The front part 531 may be exposed through the cultivation space 101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length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rt 531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fan guide 510 and the upper end of the light assembly 400 , and the air substantially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520 . serves as an outlet to be discharg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531 may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fan guide 510 , and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 and substantially the blower fan 520 . It serves 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oward the

즉, 상기 블로워 커버(530)에 의해 후방의 구성들을 차폐하고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30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흡입구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구 역할을 하여 상기 재배 공간(101) 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의 구조에 의해 상기 베드(300)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를 따라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팬 가이드(510)의 후방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증발기(630) 또는 히터에 의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재배 공간(101)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지속적인 순환을 통해서 상기 재배 공간(101)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베드(300) 내부의 식물이 생장하기 위한 기류를 제공하는 등 상기 재배 공간의 내부가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rear components are shielded by the blower cover 530 and the rear exterior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an inlet of air flowing along the bed 300 and the light assembly 400 ) may serve as a discharge port for the air discharged along the , so that air circulates in the cultivation space 101 .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the blower assembly 500 may allow air flow along the bed 300 and the light assembly 400 , and while flowing along the rear of the fan guide 510 , the evaporator 630 or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heater continuously circulates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continuous circulation of air, the cultivation space 101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as a whole, and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is in an optimal state, such as providing an airflow for plants to grow inside the bed 300. can do.

상기 측면부(532)는 상기 전면부(531)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팬 가이드(510)의 양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532)에는 상기 팬 가이드(510)의 측면과 대응하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의 체결 없이 상기 측면부(532)가 가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532 may be bent backward at both ends of the front portion 531 , and may be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an guide 510 . The side part 532 may have a coupl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fan guide 510 ,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ity of the side part 532 itself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mber.

도 10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의 라이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식물 라이트 어셈블리와 잔수 감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assembly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case of the light assembly.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lant light assembly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상면 또는 상기 베드(30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방에 배치된 상기 베드(300)의 전체 영역에 빛을 고르게 조사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 assembly 40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or the bed 300 . Therefore, light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bed 300 disposed below.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엘이디 모듈(420)이 수용될 수 있는 라이트 케이스(410)와,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assembly 400 includes a light case 410 having an open lower surface and in which the LED module 420 can be accommodated, and a cover plate 460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ight case 410 . can do.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는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411)과,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스 테두리(4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테두리(412) 중 전면(412a)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130)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case 410 may have a bottom surface 411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case edge 412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Meanwhile, the front surface 412a of the case edge 412 may be inclined to minimize exposure of the light assembly 400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130 .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바닥면(411) 중앙을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모듈 장착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장착부(413)는 상기 엘이디 모듈(42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복수의 엘이디 모듈(42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420)이 하나로 구성될 경우 상기 엘이디 모듈(420)의 이상 발생시 전체 엘이디 모듈(420)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엘이디 모듈(420)이 개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장착 및 조립 작업이 어렵고 상기 엘이디 모듈(420)과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 모듈(420)은 2개로 구성되어 전후 배치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엘이디 모듈(420)의 사이에 온도 센서(450)와, 잔수 감지 장치(440)를 배치하기 위한 온도 센서 장착부(415)와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 module mounting part 413 may be formed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light case 410 .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is a part on which the LED module 420 is mounted, and may be configured to mount a plurality of LED modules 420 . When the LED module 420 is configured as 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LED module 420 must be replace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LED module 420, and when the number of the LED modules 420 is too large, mounting and assemb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connected to the LED module 420 is not easy. Therefore, the LED module 420 is composed of two and arranged in front and rear, and a temperature sensor mounting part 415 for disposing a temperature sensor 450 and a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between the LED modules 420 .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ounting unit 414 can be arranged.

한편,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 중 상기 재배 공간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라이트 어셈블리(400b)는 상방에 베드(300)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는 상기 상부 라이트 어셈블리(400b)와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 모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기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만 구비되어 상부 베드(300b)의 잔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700)에 구비되는 잔수 감지 장치(770)와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부 잔수 감지 장치(440)라 부를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bed 300 is not provided on the upper light assembly 400b of the light assembly 40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may not be provided.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mounting part 414 may be formed in both the upper light assembly 400b and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but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is provided only in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and thus the upper bed 300b. ) can be detected.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module 700 ,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

상기 모듈 장착부(413)는 장착부 테두리(413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테두리(413a)는 상기 엘이디 모듈(420)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상기 장착부 테두리(413a)에 의해 상기 엘이디 모듈(42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테두리(413a)는 상방에서 볼 때 돌출된 형상이며, 하방에서 볼 때는 함몰된 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라이트 커버(430)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may be defined by a mounting part rim 413a. The mounting part rim 413a protrudes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D module 420 , and thus a space in which the LED module 420 is accommodated by the mounting part rim 413a may be formed. The mounting part rim 413a has a protruding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a recessed shape when viewed from below, so that the light cover 43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mounted thereon.

상기 모듈 장착부(413)의 내측에는 라이트 그루브(4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b)는 상기 엘이디 모듈(420)에 구비되는 엘이디(422)의 배치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듈 장착부(413)의 내측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light groove 413b may be formed inside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 The light groove 413b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of the LEDs 422 provided in the LED module 420 , and extends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inside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 and is continuous in the front-rear direction. can be placed as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b)는 상방에서 볼 때 돌출되며, 하방에서 볼 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의 돌출된 중앙을 따라서 다수의 엘이디 홀(413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홀(413c)은 상기 엘이디(422)가 수 있도록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홀(413c)을 중심으로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b)의 양측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b)를 통해 반사되어 하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그루브(413b)의 내측면은 빛의 반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면 처리 또는 코팅될 수 있다.The light groove 413b may have a protruding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a recessed shape when viewed from below. In addition, a plurality of LED holes 413c may be formed along the protruding center of the light groove 413 . The LED holes 413c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o allow the LEDs 422 to pass therethrough.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light groove 413b are inclined or rounded around the LED hole 413c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422 is reflected through the light groove 413b and irradiated downward.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groove 413b may be surface-treated or coated to more effectively reflect light.

상기 엘이디 모듈(420)은 다수의 엘이디(422)가 기판(421)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421)은 상기 모듈 장착부(413)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장착부 테두리(413a)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The LED module 4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LEDs 422 are mounted on a substrate 421 . The substrate 42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 and thus may be fixed inside the mounting part rim 413a.

그리고, 상기 엘이디(422)는 상기 기판(421)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엘이디(422)는 상기 엘이디 홀(413c)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22)는 태양광과 유사한 광량(파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LEDs 422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bstrate 421 . In this case, the LED 42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D hole 413c. The LED 42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quantity (wavelength) similar to sunlight, and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of a color capable of promoting photosynthesis of plants.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420)의 상방에는 커버 시트(4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423)는 상기 기판(421)으로의 수분 침투 또는 오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판(421)을 상방에서 완전히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시트(423)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422) 동작시의 열이 상방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ver sheet 423 may be provided above the LED module 420 . The cover sheet 423 is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or contamination damage into the substrate 421 , and may be formed in a size to completely shield the substrate 421 from above. The cover sheet 423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heat from penetrating upw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ED 422 .

한편,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내측에는 상기 엘이디 모듈(420)과 연결되는 전선들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4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가이드(417)는 좌우 양측 중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모듈 장착부(413)와 상기 테두리(412) 사이 공간을 따라 전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 모듈(420)과 연결된 전선이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 후단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 배면의 커넥터(124a)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 wire guide 417 for guiding wires connected to the LED module 420 may be formed inside the light case 410 . The wire guide 417 is locat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be dispos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and the edge 412 . Accordingly,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LED module 420 may be guided to the rear end of the light case 41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4a on the rea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그리고,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가 장착될 수 있는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 장착부(415)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블로워 브라켓(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blower assembly mounting parts 415 to which the blower assembly 500 can be mounte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light case 410 . The blower assembly mounting part 415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case 410 so that the blower brackets 550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blower assembly 500 can be inserted.

상기 커버 플레이트(460)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60)에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 장착 보스(416)와 대응하는 보스 홀(4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 보스(416) 하방에서 체결되는 스크류는 상기 보스 홀(462)을 통과하여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가 장착되기 위한 면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The cover plate 46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ight case 410 ,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hield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light case 410 . Boss holes 462 corresponding to mounting bosses 416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light case 410 may be formed in the cover plate 460 . In addition, the screw fastened under the mounting boss 416 may pass through the boss hole 462 to be fasten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ight assembly 400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60)에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감지 홀(46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가 구비된 잔수 감지 장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60)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베드(300) 내부의 잔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홀(461)은 상부 베드(300b)의 잔수를 감지하는 상부 잔수 감지 장치(4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부 감지 홀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tection hole 461 may be formed in the cover plate 46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 Therefore,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may be exposed upwards of the cover plate 460 and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disposed above to detect the residual water inside the bed 300 . can detect The sensing hole 461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ensing hole because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440 for sensing residual water in the upper bed 300b.

물론,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 중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라이트 어셈블리(400b)의 상방에는 상기 베드(30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잔수 감지 장치 및 상기 감지 홀(461)은 생략될 수 있다. Of course, since the bed 300 is not disposed above the uppermost light assembly 400b among the light assemblies 400 ,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and the detection hole 461 may be omitted.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이 다단의 상기 베드(300)에 의해 구획된 경우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상방의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하방의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상기 베드(300)의 하방에서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인접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장착을 위해 체결되는 스크류는 상기 장착 보스(416)와 보스 홀(462)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light assemblies 400 may be provided when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partitioned by the beds 300 in multiple stages. In addition, the uppermost light assembly 400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the lower light assembly 400 may be located below the bed 300 ,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 It can be fixedly mounted adjacent to the In this case, the screw fastened for mounting the light assembly 400 may be fastened through the mounting boss 416 and the boss hole 462 .

한편,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하면에는 라이트 커버(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커버(430)는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하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모듈 장착부(413)를 하방에서 차폐하며,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엘이디(422)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cover 430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ight case 410 . The light cover 430 is mounted on the light case 410 to form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case 410 , shields the module mounting part 413 from below, and the LED 422 disposed therein. can be configured to protect

상기 라이트 커버(43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커버(430)에는 빛의 확산을 위한 코팅 또는 표면처리가 부가될 수 있다. The light cover 4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and a coating or surface treatment for light diffusion may be added to the light cover 430 .

상기 라이트 커버(430)의 둘레는 상방으로 절곡된 커버 테두리(4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테두리(431)는 상기 장착부 테두리(413a)의 함몰된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A cover edge 431 bent upward may be formed around the light cover 430 , and the cover edge 431 may be inserted into a recessed inside of the mounting part edge 413a to be fixedly mounted.

한편,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는 잔수 감지 장치(4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a)는 상기 베드(300b)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a)의 상면은 상기 베드(300b)의 하면과 접하거나 매우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may be provided in the light assembly 400a. The light assembly 400a may be provided below the bed 300b, and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a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a lower surface of the bed 300b.

상기 베드(300)에 안착된 파드(10)에 적시에 물을 급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드(300)에 물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베드(300)는 공간이 협소하고,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선의 배치 등에 어려움이 있으며, 잔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의 전원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pod 10 seated on the bed 300 in a timely manner, it will b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water remains in the bed 300 . However, the bed 300 has a narrow spac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rawn in and out, so it is difficult to arrange wires, etc., and it will be difficult to implement a structure for supplying power to a device for detecting residual water.

따라서, 상기 베드(300b) 하방의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 잔수 감지 장치(440)를 배치하여 인출입 가능한 베드(300b)의 잔수 감지가 용이하고, 전선의 배치 또한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베드의 구조를 슬림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을 전체적으로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by disposing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in the light assembly 400a under the bed 300b,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of the withdrawable bed 300b can be easily detect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can be facilitated. Due to this, the structure of the bed can be made slim, and the cultivation space 101 can be efficiently configured as a whole.

상세히, 상기 라이트 케이스(410)의 내측에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의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베드(300)의 집수부(320)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는 상기 베드(300)의 감지부(323)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를 통한 정확한 잔수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In detail,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ounting part 414 may be formed inside the light case 410 . The position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mounting part 414 may b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of the bed 300 to be described below. In particular,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mounting unit 414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ng unit 323 of the bed 300 to enable accurate residual water detection through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

그리고,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는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제공하며, 내부에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가 상하 유동되면서 동작 되더라도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를 이탈하지 않고 장착 위치를 유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mounting part 414 provides a spac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llows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to be seated therein. Therefore, even i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is operated while moving up and down,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can maintain the mounting position without leaving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mounting part 414 .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감지 장치 커버(441)와, 감지 센서(442), 그리고 감지 센서 케이스(443) 그리고 스프링(44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may include a detection device cover 441 , a detection sensor 442 , a detection sensor case 443 , and a spring 444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보하여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3은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2의 15-15'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And,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as viewed from below. And,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15-15' of FIG. 12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커버 베이스(445)에 의해 바닥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베이스(445)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커버 돌출부(447)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be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size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414 . 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have a bottom surface formed by a cover base 445 , and a cover protrusion 447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base 445 .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상기 감지 홀(461)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a)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상기 감지 홀(46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a) 상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드(300)의 감지부(323)와 접촉될 수 있다.The cover protrusion 447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hole 461 . Accordingly, when the light assembly 400a is assembled,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penetrate the sensing hole 461 and protrude upward. That is,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protrude fur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a, and thus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323 of the bed 300 .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상기 감지부(323)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은 상기 감지부(323)와 면접촉되어 상기 베드(300)에 물이 남아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nsing unit 323 , and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323 on the bed 300 .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water remains.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상기 커버 베이스(445)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둘레면(447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베이스(445)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은 상기 감지부(323)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이 상기 감지부(323)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5 ,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have a protrusion peripheral surface 447a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cover base 445 .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over base 445 .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is form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so that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323 . can do.

한편,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 둘레를 따라서 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돌출부 둘레면(447a)과 상면(447b)을 연결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300)의 인출입시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접촉될 수 있다.Meanwhile, a round part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round and connect the peripheral surface 447a and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protrusion. In particular, the roun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ver protrusion 447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when the bed 300 is pulled out and inserted.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는 제 1 라운드부(447c)와 제 2 라운드부(447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는 상기 돌출부의 둘레면(447b)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라운드부(447d)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라운드부(447d)는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의 단부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까지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nd part may include a first round part 447c and a second round part 447d. The first round portion 447c may extend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47b of the protrusion, and may extend to an end of the second round portion 447d. In addition, the second round part 447d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first round part 447c and may extend to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따라서, 상기 베드(300)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부(323)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삽입되는 과정과 빠져나오게 되는 과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pulling out the cover protrusion 447 into the sensing unit 323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ed 300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naturally.

또한,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는 상기 제 2 라운드부(447d) 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는 상기 제 2 라운드부(447d)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300)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감지부(323)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삽입되거나 빠져 나오게 될 때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와 제 2 라운드부(447d)를 차례로 거치도록하여 보다 상기 베드(300)와의 걸림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링(444)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가 돌출될 때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the first round portion 447c may be rounded to have a greater curvature than the second round portion 447d. In addition, the first round part 447c may extend longer than the second round part 447d. Accordingly, when the cover protrusion 447 is inserted into or pulled out of the sensing unit 323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bed 300 is pulled out, the first round part 447c and the second round part 447d are inserted. ) to prevent more jamming with the bed 300 and to prevent noise when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protrud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44 .

한편,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하방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내측에는 상기 감지 센서(442)가 장착된 감지 센서 케이스(443)가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ver protrusion 447 is opened downward,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442 is mounted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protrusion 447 .

상기 커버 베이스(445)에는 스프링 수용부(4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수용부(446)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를 지지하는 상기 스프링(44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수용부(446)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스프링(444)의 상단을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44)이 압축 및 인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444)이 탈락지 않게 된다.A spring receiving part 446 may be formed in the cover base 445 . The spring receiving part 446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and the spring 444 supporting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be mounted thereon. The spring accommodating part 446 may protrude downward, and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upper end of the spring 444 therein. Accordingly, the spring 444 does not fall off while the spring 444 is compressed and stretched.

그리고, 상기 잔수 감지 장치 장착부(414)의 내측에는 한쌍의 스프링 보스(4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보스(414a)는 상기 스프링 수용부(446)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되는 스프링 보스(414a)는 상기 스프링(444)의 하단을 관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spring bosses 414a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mounting part 414 . The spring boss 414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pring receiving part 446 , and the protruding spring boss 414a may pas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pring 444 .

따락서, 상기 스프링(444)은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를 양측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가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항상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pring 444 may effectively support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from both sides, and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always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는 내측에 상기 감지 센서(4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가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 센서(442)가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 센서(442)는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가장 근접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베드(300)의 잔수를 신뢰성있게 감지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may be formed in an acceptable size inside the cover protrusion 447 .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has an upwardly opened space to accommodate the detection sensor 442 therein. When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is mounted inside the cover protrusion 447 , the detection sensor 44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Therefore, the detection sensor 442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detection device cover 441, and maintain the state closes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to reliably detect the remaining water in the bed 300. can

상기 감지 센서(442)는 정전 용량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 센서(442)는 상기 베드(300)에 수용된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상기 베드(300)에 물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323)에 물이 있는 경우 상기 감지 센서(442)에서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집수부(320) 즉 상기 베드(300)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비 접촉 방식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기 베드(300)가 아닌 다른 구성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베드(300)는 자유로운 인출입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The detection sensor 442 may be a capacitive sensor.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442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water in the bed 300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bed 300 . For example, when there is water in the detection unit 323 , the detection sensor 442 may detect a change in current, and through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that is, the bed 300 . judgment becomes possible. As such, by using the non-contact capacitive sensor,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can be arranged in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bed 300, and the bed 300 can have a free pull-out structure. do.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의 양측에는 케이스 구속 돌기(44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구속 돌기(443b)는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의 장착시 상기 커버 돌출부(447) 내측의 구속 홈(445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442)가 수용된 상태의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443)는 상기 케이스 구속 돌기(443b)와 구속 홈(445b)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의 상하 방향 이동시에도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Case restraining protrusions 443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 The case restraining protrusion 443b may be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445b inside the cover protrusion 447 when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is mounted. The detection sensor case 443 in the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442 is accommodated can be maintained in a fixedly mounted state on the detection device cover 441 by the coupling of the case restraining protrusion 443b and the restraining groove 445b. Also, when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

한편, 상기 재배 공간(101)에는 다수의 베드(300)가 상하 배치될 수 있으며, 최하방에 배치된 베드(300a)에는 라이트 어셈블리(400a)가 구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최하방에 배치된 베드(300a)의 하방에는 급수 모듈(700)이 구비되며,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는 상기 급수 모듈(7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700)에 배치되는 잔수 감지 장치(770)는 그 장착 위치만 다를 뿐 내부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beds 300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the light assembly 400a may not be provided in the lowermost bed 300a. In addition, a water supply module 700 may be provided below the bed 300a dispos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module 700 .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module 700 may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except for a different mounting position thereof.

이하에서는 상기 급수 모듈(700) 및 상기 급수 모듈(700)에 장착되는 잔수 감지 장치(77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module 700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mounted on the water supply module 7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6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급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6의 18-18'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급수 모듈의 펌프 커버의 배면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modul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module.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18-18' of FIG. 16 . And, Figure 19 is a rear view of the pump cover of the water supply module.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급수 모듈은 작물의 재배를 위해 상기 파드(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적정 시기에 적정 용량 만큼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supply module is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d 10 for cultivation of crops, and the water stored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can be supplied by an appropriate capacity at an appropriate time. It can be configured to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급수 모듈을 통해서 단지 물만 공급될 수 있으며, 양분은 파드(1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작물이 요구되는 다양한 양분들은 상기 파드(10)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종의 파드(10)가 하나의 베드(300)에 제공되더라도 각각의 파드에서 양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모듈에서는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급수 모듈 내부는 물 외에 다른 성분이 저장 또는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오염이 방지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only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module, and nutrient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od 10 . That is, various nutrients required for a variety of crop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od 10 , and even if heterogeneous pods 10 are provided in one bed 300 , nutrients may be provided from each pod. In addition,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odule, so that other components other than water are not stored or flowed inside the water supply module, so that contamination is prevented and a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상기 급수 모듈은 급수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 탱크(700)와, 상기 워터 탱크(700)의 물을 강제 공급하는 워터 펌프(720), 그리고, 상기 워터 펌프(720)의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워터 펌프(720)를 비롯한 구성들을 차폐하는 펌프 커버(7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740)에는 급수 밸브(7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밸브(724)에는 상기 베드(300)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관(780a,780b)이 연결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module forms a water tank 700 for storing water for water supply, a water pump 720 for forcibl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700, and a mounting space for the water pump 720, , may include a pump cover 740 that shields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water pump 720 . In addition, a water supply valve 724 may be provided on the pump cover 740 , and water supply pipes 780a and 780b for guiding water to the bed 3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724 .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베드(300)로 급수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가로 방향 길이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 하면과 상기 베드(300) 하면의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water tank 7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bed 30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water tank 70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fill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 300 . It can be formed so that

상기 워터 탱크(700)의 개구된 상면에는 탱크 커버(7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커버(713)는 상기 워터 탱크(70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이 상기 워터 탱크(7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탱크 커버(713)를 개방한 후 상기 워터 탱크(700)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다.A tank cover 713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The tank cover 713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and a rear end thereof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Accordingly, the user may fill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700 with water after opening the tank cover 713 .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의 좌우 양측면에는 탱크 레일(7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레일(730)은 상기 워터 탱크(700)의 인출입을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레일(730)은 일단은 상기 워터 탱크(70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너 케이스(120)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워터 탱크(700)의 인출입을 안내하게 된다. In addition, tank rails 730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water tank 700 . The tank rail 730 is for drawing in and out of the water tank 700 , and may have a sliding drawing in and out structure. In addition, one end of the tank rail 730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case 120 to guide the inlet and outlet of the water tank 700 .

한편, 상기 워터 탱크(700)는 인입된 상태에서 전면이 상기 베드(300)의 전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의 전면에는 탱크 손잡이(7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탱크 손잡이(711)를 잡고 전방으로 당겨 상기 워터 탱크(700)를 인출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tank 70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300 in the retracted state. A tank handle 71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and the user may take out the water tank 700 by holding the tank handle 711 and pulling it forward.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기 탱크 커버(713)가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7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 커버(713)를 개방하여 상기 워터 탱크(700) 내부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The water tank 700 may be withdrawn as much as a distance at which the tank cover 713 can be completely exposed, and the water tank 700 is opened by opening the tank cover 713 while the water tank 700 is withdrawn. 700) can be filled with water.

상기 워터 탱크(700)에는 연결 배관(7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관(760)은 상기 워터 탱크(7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 탱크(700)의 물이 상기 워터 펌프(720)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펌프 커버(740)에 형성된 배관 접속부(72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pipe 760 may be formed in the water tank 700 . The connection pipe 7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ater from the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water pump 720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700 is introduced.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formed in the pump cover 740 according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water tank 700 .

상세히, 상기 연결 배관(760)은 상기 탱크 커버(71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커버(713)의 좌우측방향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 커버(713)가 개폐를 위해 회전되더라도 상기 연결 배관(760)이 상기 워터 탱크(7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nection pipe 760 may be provided in the tank cover 713 ,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ank cover 7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Accordingly, even when the tank cover 713 is rotat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ipe 760 may be configured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tank 700 .

상기 연결 배관(760)은 상기 탱크 커버(71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관(761)과 상기 수직관(76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관(7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761)은 상기 탱크 커버(713)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탱크 커버(713)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 커버(7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수직관(761)을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ipe 760 may include a vertical pipe 76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ank cover 713 and a horizontal pipe 76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761 . The vertical pipe 76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tank cover 713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cover 713 . Accordingly,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cover 713 may flow upward along the vertical pipe 761 .

그리고, 상기 수평관(762)은 상기 수직관(761)의 상단과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762)은 상기 워터 탱크(700)의 후면 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접속부(72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762)은 상기 워터 탱크(700)가 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접속부(7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관(761)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된 물이 상기 배관 접속부(721)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ipe 76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761 and may extend rearward. The horizontal pipe 762 may protrude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and may extend rear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The horizontal pipe 762 may be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700 is fully drawn in, and the water flowing upward through the vertical pipe 761 is the pipe connection part. It can be guided to be supplied to (721).

상기 수평관(762)은 상기 워터 탱크(70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관 접속부(7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커버(713)를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배관 접속부(721)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관(762)과 대응하는 상기 탱크 커버(713)의 후면은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탱크 커버(7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관(762)이 함께 회전될 때에 상기 탱크 커버(713)의 후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rizontal pipe 762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when the water tank 700 is withdrawn, and even if the tank cover 713 is rotated,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It can be configured not to.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tube 76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ank cover 713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tube 762 are partially depressed and the horizontal tube 762 is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tank cover 713, the tank cover 713 )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rear surface.

한편, 상기 워터 탱크(700)의 후방에는 펌프 커버(7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740)는 양단이 상기 재배 공간(101)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되며, 전면과 상면이 형성되어 상기 워터 탱크(700) 후방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펌프 커버(740)가 구비되는 재배 공간(101)의 바닥면은 상기 기계실(200) 내부의 상기 압축기(610)의 높이로 인해 후반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펌프 커버(740)는 단차진 부분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는 상기 펌프 커버(74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워터 탱크(700)의 상면과 상기 펌프 커버(740)의 상면 및 상기 압축기(610) 상방의 재배 공간(101) 바닥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Meanwhile, a pump cover 74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water tank 700 . Both ends of the pump cover 740 may be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may be formed to shield the space behind the water tank 700 .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in which the pump cover 740 is provided has a step height in the second half due to the height of the compressor 610 in the machine room 200 , and the pump cover 740 has a step step. I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part. In addition, the water tank 7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pump cover 740 .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above the compressor 610 may have the same height, and are shielded by the bed 300 . can be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740)에는 배관 접속부(721)와, 워터 펌프(720) 및 급수 밸브(724)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mp cover 740 may include a pipe connection part 721 , a water pump 720 , and a water supply valve 724 .

상세히, 상기 펌프 커버(740)의 전면 일측에는 연결 배관(760)과 연결되는 배관 접속부의 개구된 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접속부(721)의 전면은 상기 연결 배관(760)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 탱크(700)의 인입시 상기 연결 배관(760)의 후단은 상기 배관 접속부(72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760 may be exposed on one front side of the pump cover 740 . The front surface of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pe 760 . Accordingly, when the water tank 700 is drawn i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pe 760 may be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740)의 배면에는 워터 펌프(7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펌프(720)는 상기 워터 탱크(700)의 물이 상기 베드(300)로 향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워터 펌프(720)의 입구는 상기 배관 접속부(721)와 연결되고, 출구(722)는 상기 급수 밸브(724)와 연결되는 배관(723)이 접속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pump 72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The water pump 720 forces the water of the water tank 700 to flow toward the bed 300 , and the inlet of the water pump 720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and the outlet 722 is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 may be connected to a pipe 723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724 .

상기 급수 밸브(724)는 상기 워터 펌프(720)의 구동시 개방되어 상기 베드(300)를 향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 밸브(724)는 상기 베드(300)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급수 밸브(724)가 분지되어 복수의 베드(300)로 각각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valve 724 is opened when the water pump 720 is driven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ward the bed 300 . A plurality of water supply valves 724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eds 300 , and one water supply valve 724 may be branched to supply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eds 300 .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급수 밸브(724)의 입력측(733)은 상기 워터 펌프(720)의 출구(722)와 배관(72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급수 밸브(724)의 출력측이 분지되어 각각 상부 피팅(724b)과 하부 피팅(724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피팅(724b)과 하부 피팅(724a)에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에 각각 독립적인 물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에 서로 다른 급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 각각에 적절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input side 733 of the water supply valve 724 is connected to the outlet 722 of the water pump 720 and the pipe 723, and the output side of the water supply valve 724 is branched, so that the upper A fitting 724b and a lower fitting 724a may be formed. In addition, an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a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are connected to the upper fitting 724b and the lower fitting 724a, respectively, so that independent water supply to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is possible. can have a structure. Accordingly, different water supply environments may be created in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따라서, 상기 연결 배관(760)과 배관 접속부(721), 워터 펌프(720) 급수 밸브(724) 및 급수관은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워터 펌프(7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 탱크(700)의 물이 상기 워터 펌프(720)와 상기 급수 밸브(724)를 지나 상기 베드(300)로 공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pipe 760 and the pipe connection part 721 , the water pump 720 , the water supply valve 724 , and the water supply pipe are sequentially connected,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700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720 . Th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bed 300 through the water pump 720 and the water supply valve 724 .

한편, 상기 펌프 커버(740)의 전면에는 수위 감지 장치(7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장치(750)는, 상기 워터 탱크(700)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 장치(750)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7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 탱크(700)의 둘레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장치(750)에 의해 상기 워터 탱크(700)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를 통해서 상기 워터 탱크(700)에 물이 없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워터 탱크(700)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 water level sensing device 75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The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750 is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700 and may include a capacitive sensor.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750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while the water tank 700 is retract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700 is lower than the set water level by the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750 , the controller 190 detects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water tank 700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800 . It can b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fill the water tank 700 with water.

상기 펌프 커버(740)의 전면에는 탱크 스위치(7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스위치(741)는 워터 탱크(70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탱크(7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워터 탱크(700)의 후면과 접하여 눌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 tank switch 74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The tank switch 741 may protrude toward the water tank 700 , and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ank 700 while the water tank 700 is fully retracted.

따라서, 상기 탱크 스위치(741)는 상기 워터 탱크(700)가 정상 장착되어 급수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스위치(741)에 의해 상기 워터 탱크(700)의 장착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의 미장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7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수위 감지 장치(750)를 통한 상기 워터 탱크(700)의 수위 감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ank switch 741 may detect whether the water tank 700 is normally mounted and provide water supply to the controller. When the installation signal of the water tank 700 is not input by the tank switch 741 , the pump may not be operated.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not mounting the water tank 7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ssembly 8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ing performance of the water tank 70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750 may be guaranteed by maintaining the water tank 700 in a fully retracted state.

한편, 상기 펌프 커버(740)의 상면에는 잔수 감지 장치(7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는 상기 하부 베드(300a)에 급수된 물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 구비되는 상부 잔수 감지 장치(440)와 구별하기 위하여 하부 잔수 감지 장치(770)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상부 잔수 감지 장치와 하부 잔수 감지 장치(770)는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is for determining whether water supplied to the lower bed 300a remains, and to distinguish it from the upper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provided in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the lower residual water It may be called a sensing device 770 . The upper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and the lower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with only a difference in their mounting positions.

도 20은 상기 펌프 커버와 잔수 감지 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16의 21-21' 단면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ump cover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21-21' of FIG. 16 .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펌프 커버(740)의 상면에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가 장착되는 감지 장치 장착부(7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는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가 상기 펌프 커버(740)의 외측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a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70 on which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is moun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The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47 may be recessed,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may be accommod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의 바닥면에는 감지 센서(773)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747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의 바닥면의 양측에는 스프링 보스(747a)가 구비될 수 있다. Also, a wire hole 747b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773 enters and exit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tection device mounting part 747 . In addition, spring bosses 747a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47 .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는 케이스 프레임(771), 감지 장치 커버(772), 감지 센서(773), 감지 센서 케이스(774) 및 스프링(7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상부 잔수 감지 장치(44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may include a case frame 771 , a detection device cover 772 , a detection sensor 773 , a detection sensor case 774 , and a spring 775 .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except for the case frame 771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upper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은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에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의 양측에는 프레임 고정부(77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771b)는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의 내측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The case frame 77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47 . In addition, a downwardly extending rim is formed around the case frame 771 , and a space in which the sensing device cover 772 can be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 the case frame 771 . Further, frame fixing parts 771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e frame 771 , and the frame fixing parts 771b may be caught and restrained inside the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47 .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의 상면은 상기 감지 장치 장착부(747)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 커버(74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프레임(771)의 상면에는 감지 홀(77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홀(771a)은 상기 하부 베드(300a)의 잔수를 감지 하는 하부 잔수 감지 장치(77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하부 감지 홀이라 부를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frame 771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cover 740 while being fixed to the sensing device mounting part 747 . In addition, a sensing hole 771a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frame 771 . Since the detection hole 771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for detecting residual water in the lower bed 300a, it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detection hole.

상기 감지 홀(771a)은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의 커버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는 상기 감지 홀(771a)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의 커버 베이스는 상기 감지 홀(771a)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The sensing hole 771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ver protrusion of the sensing device cover 772 . Accordingly, the cover protrusion may protrude upward through the sensing hole 771a. In this case, the cover base of the sensing device cover 772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nsing hole 771a, thus preventing the sensing device cover 772 from falling off.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는 하방에 위치된 상기 스프링(77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기 커버 돌출부는 상기 급수 모듈(70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센서(773)는 상기 감지 센서 케이스(774)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의 상하 이동시에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300a)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드(300a)의 하면 즉, 상기 감지부(323)와 상기 감지 장치 커버(772)의 커버 돌출부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773)는 상기 베드(300a)의 잔수를 감지 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cover 772 may be supported by the spring 775 positioned below, and thus the cover protrusion may maintain a more protruding stat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module 700 . Meanwhile, the detection sensor 773 may be mounted on the detection device cover 772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detection sensor case 774 , and may be moved together when the detection device cover 772 is vertically moved.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bed 300a is retracted,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a, that is, the sensing part 323 and the cover protrusion of the sensing device cover 772 may be in contact, and the sensing sensor 773). can detect the remaining water in the bed (300a).

도 22는 상기 재배 공간 내부의 급수 유로 배치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도 5의 "B"부 확대도이다.2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a water supply flow path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And,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5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펌프 커버(740)의 내측에는 배관 접속부(721)와 워터 펌프(72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워터 펌프(720)는 급수 밸브(724)와 배관(7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724)의 출력측에는 상기 베드(3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로(780)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a pipe connection part 721 and a water pump 7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pump cover 740, and the water pump 720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valve 724 and a pipe 723. can be connected by In addition, a water supply flow path 780 for supplying water to the bed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water supply valve 724 .

상기 펌프 커버(740)의 장착시 물공급을 위한 구성들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 커버(740)의 하방에는 토출 팬(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팬(180)은 상기 재배 공간(101)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200)을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 팬(180)은 상기 펌프 커버(7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0)과 인접하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하면에 구비되어 배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ump cover 740 is mounted, components for water supply may be shielded. In addition, a discharge fan 180 may be provided under the pump cover 740 . The discharge fan 180 allows the air in the cultivation space 101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machine room 200 . The discharge fan 180 can be shielded by the pump cover 740 to prevent exposure to the outside, an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adjacent to the machine room 200 so that exhaust is more can make it run smoothly.

배관 안내부(121a)는 상기 급수 유로(780) 즉,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상기 배관 안내부(121a)를 따라서 배치되어 각각 상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pipe guide 121a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water supply passage 780, that is,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and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 may be disposed along the pipe guide portion 121a and extend to the rear ends of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respectively.

상기 배관 안내부(121a)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므로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베드(300)들에 간섭되지 않는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배 공간(101)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pipe guide part 121a is recess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interference by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may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eds 300 that are arranged to be withdrawa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lum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from being reduced.

그리고, 상기 배관 안내부(121a) 중 재배 공간(101) 측으로 노출되는 일측에는 안내부 커버(79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관 안내부(121a)를 차폐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 커버(79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 안내부(121a)을 차폐하는 것은 물론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guide cover 79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pe guide 121a exposed toward the cultivation space 101 to shield the pipe guide 121a. The guide part cover 79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shield the pipe guide part 121a and may be fixed so that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maintain a set position.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are independently arranged, and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can be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그리고,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상기 재배 공간(101)의 측벽에 함몰된 배관 안내부(121a)를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101)의 후벽면 즉 상기 리어 플레이트(124)의 위치까지 안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follow the pipe guide 121a recessed in the sidewall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along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at is, the rear plate 124 . can be guided to the location of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상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의 급수부(310)를 각각 지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기 급수부(310)를 향하여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각각 상기 안내부 커버(790)에 형성된 급수관 장착부(79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extend upward to pass the water supply part 310 of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a, respectively, and then are bent toward the water supply part 310 again. have a structure that becomes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may be fixed by the water supply pipe mounting part 792 formed on the guide part cover 790 , respectively.

즉,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은 상기 베드(300)의 상방에서 상기 재배 공간(101)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드(300)의 인출입시에도 전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부(310)의 중앙부에 상기 상부 급수관(780b)과 하부 급수관(780a)의 출구가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 베드(300b)와 하부 베드(300a)로의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are configured to exten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from above the bed 300 so that they do not interfere at all even when the bed 300 is pulled out and entered.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completely retracted, the outlets of the upper water supply pipe 780b and the lower water supply pipe 780a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supply unit 310 so that the upper bed 300b and the lower bed (300b) are located. Water supply to 300a)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하에서는 상기 베드(3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베드(300)는 복수개가 구비되더라도 장착 위치만 다를 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베드(3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ed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ven if a plurality of beds 300 are provided, only one bed 300 will be described because they all have the same structure except for different mounting positions.

도 24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베드와 급수 유로의 배치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베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베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withdrawn. And, Figure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bed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Figure 26 is a plan view of the bed. And, Figure 2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드(300)는 상기 재배 공간(101)을 구획하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베드 레일 장치(140)에 의해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ed 3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at partitions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by the bed rail device 140 . It may be mounted so that it can be drawn in and out.

상기 베드 레일 장치(140)는 슬라이딩 연장되는 베드 레일(142)과, 상기 베드 레일(142)이 상기 재배 공간(101)의 양측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레일 브라켓(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드 레일(142)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좌우 양측면과 상기 레일 브라켓(14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bed rail device 140 may include a slidably extending bed rail 142 and a rail bracket 141 capable of fixing the bed rail 142 to both sides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The bed rail 142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in multiple stages, and may connect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ed 300 and the rail bracket 141 .

상기 베드(3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파드(1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급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3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급수되는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bed 3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pods 10 are disposed, and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water supplied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bed 3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form a structure for guiding the flow of supplied water.

상기 베드(3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베드 플렌지(301)가 형성된다. 상기 베드 플렌지(301)에 아래에서 설명할 베드 트레이(35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 플렌지(301)의 내측 영역이 상기 파드(10)가 배치될 수 있는 영역이 된다.A bed flange 301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around the bed 300 . A bed tray 35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seated on the bed flange 301 . And, the inner area of the bed flange 301 becomes an area in which the pod 10 can be arranged.

상기 베드 플렌지(301) 내측에는 함몰부(302)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302)에 베드 트레이(3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2)는 상기 베드 트레이(350)에 형성된 다수의 파드 안착부(352)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 트레이(350)의 장착시 상기 베드(300)의 상면과 상기 베드 트레이(350)의 하면은 서로 접하여 포개어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A depression 302 is formed inside the bed flange 301 , and the bed tray 350 may be seated in the depression 302 . The recessed part 302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entire plurality of pod seating parts 352 formed in the bed tray 350 . In addition, when the bed tray 350 is mounted,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tray 35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verlapped.

상기 베드(300)의 후단에는 급수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0)는 좌우 양측 중 일측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재배 공간(101)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급수관(780a,780b)의 단부의 수직 하방에 상기 급수부(310)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art 310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ed 300 . The water supply part 310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ed 300 . That is, the water supply unit 310 may be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ends of the water supply pipes 780a and 780b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

상기 급수부(310)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0)의 둘레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관(780a,780b)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튀거나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rt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lower surface is depressed. The periphery of the water supply unit 310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preven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s 780a and 780b from splashing or overflowing.

상기 베드(300)에는 상기 급수부(3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10)와 상기 집수부(320)의 사이에는 워터 가이드부(33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는 상기 급수부(310)와 집수부(3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부(31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를 따라서 상기 집수부(320)로 공급될 수 있다. A water collecting unit 320 in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310 is stored may be formed in the bed 300 . A water guide part 330 may be recessed between the water supply part 310 and the water collection part 320 . That is, the water guide unit 330 may connect the water supply unit 310 and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310 follows the water guide unit 330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may be supplied.

상기 급수부(310)는 상기 집수부(320)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급수부(310)의 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집수부(320)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는 상기 급수부(310)에서 집수부(320)를 향할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부(310)로 물이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를 따라서 상기 집수부(320)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31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unit 310 may naturally flow into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 In addition, the water guide part 330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water supply part 310 toward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Accordingl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310 , it may be naturally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along the water guide unit 330 .

한편,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의 양측에는 가이드 월(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월(331)은 상기 급수부(310)에서 집수부(32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한쌍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월(331)은 상기 베드 플렌지(301)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하방에서 상기 베드 트레이(350)를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guide walls 33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guide part 330 to form the water guide part 330 . The guide wall 331 may exten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10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 and a pai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both sides of the water guide unit 330 . In addition, the guide wall 331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bed flange 301 to support the bed tray 350 from below.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에 의해서 상기 급수부(310)로부터 상기 집수부(320)로 안내되는 물이 외측으로 넘치지 않고 상기 집수부(320)를 향할 수 있다. 특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월(331)에 의해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의 바닥면이 상기 집수부(320)보다 높은 높이에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310)와 집수부(320) 사이의 높이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도 상기 급수부(310)로 공급되는 물이 넘치지 않고 상기 집수부(320)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집수부(320)의 함몰 깊이를 과도하게 깊게 하지 않고도 상기 급수부(310)의 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 베드(300)의 상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베드(300)가 슬림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guid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310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by the water guide unit 330 may be directed toward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without overflowing to the outside.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guide part 330 may be inclined at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by the guide wall 331 extending upward. In addition,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supply unit 310 and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is not l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310 does not overflow and can be dir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smooth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h with sufficient space to be guided. That is, i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unit 310 can be stably supplied without excessively deepening the depression depth of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 thereby increasing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bed 300 . This can be prevented, and thereby the bed 300 can have a slim structure.

그리고, 상기 가이드 월(331) 및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는 상기 베드 트레이(350)에 함몰 형성되는 한쌍의 파드 안착부(352)의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월(331)이 상기 베드 트레이(350)의 안착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웃하는 상기 파드 안착부(352)들의 사이를 통해 급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guide wall 331 and the water guide part 330 may extend between a pair of pod seating parts 352 recessed in the bed tray 350 . Accordingly, the guide wall 331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hen the bed tray 350 is seated, and a space for water supply can be secur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pod seating parts 352 .

한편, 상기 베드(30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파드(1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32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20)는 상기 집수부(320) 둘레에 형성되는상기 함몰부(302)의 바닥면보다 더 함몰되어 상기 급수부(310)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집수부(320) 영역 내에만 저장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ed 300 , a water collecting unit 320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od 10 may be recessed.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is more depressed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302 formed around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rt 310 is stored only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area. to exist as a state.

상세히, 상기 집수부(320)는 상기 베드(30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베드(30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320)는 상기 베드 트레이(350)에 형성되는 안착부 개구(351a)가 모두 수용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ed 3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bed 300 .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all of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formed in the bed tray 350 can be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베드(300)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베드 돌출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돌출부(340)의 높이는 상기 함몰부(302)와 동일하거나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베드 돌출부(340)는 상기 집수부(32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320)는 폐루프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워터 가이드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폐루프 형상의 상기 집수부(320) 내부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320)의 영역 중 상기 베드 돌출부(340)의 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전방측 집수부(321)라 할 수 있고 상기 베드 돌출부(340)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을 후방측 집수부(322)라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ed protrusion 340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d 300 . The height of the bed protrusion 340 may be the same as or higher than that of the depression 302 . The bed protrusion 340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Accordingly,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may have a closed loop shape, an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guide unit 330 may flow along the inside of the closed loop water collecting unit 320 .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located in front of the bed protrusion 340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water collecting unit 321 , and a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bed protrusion 340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water collecting unit 322 .

그리고, 상기 집수부(320)의 외측단과 상기 베드 돌출부(34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안착부 개구(351a)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 트레이(350)의 안착시 상기 안착부 개구(351a)는 상기 집수부(320)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and the bed protrusion 340 may be greater than the front-rear width of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Accordingly, when the bed tray 350 is seated,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may be disposed along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상기 안착부 개구(351a)가 위치되는 상기 전방측 집수부(321)와 후방측 집수부(322)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파드 안착부(352)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파드(10)로의 급수에 필요한 적량의 물이 상기 파드(10)로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320)에 불필요한 물이 장기간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베드(300)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front water collecting part 321 and the rear water collecting part 322 in which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is located may be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pod seating part 352. Therefor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water supply to the pod 10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pod 10 . In addition, unnecessary water is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for a long tim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bed 300 and to always maintain a clean state.

상기 베드(300)의 전면에는 베드 손잡이(3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손잡이(361)는 사용자가 상기 베드(300)의 인출입시 잡을 수 있도록 하면이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 손잡이(361)의 전면은 상기 탱크 손잡이(71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동일 질감의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 bed handle 3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300 . The bed handle 36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surface is depressed so that a user can hold the bed 300 when withdrawing it.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bed handle 36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ank handle 711 or may be formed of the same texture material to have a sense of unity.

한편, 상기 베드 트레이(350)는 상기 베드(3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베드(3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드 트레이(35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ed tray 35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 and may form an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bed 300 . The bed tray 3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to keep the appearance neat and hygienically managed.

상기 베드 트레이(350)는 상기 베드(300)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 트레이(350)가 상기 베드(3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드(30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The bed tray 350 is formed in a size capable of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bed tray 350 is mounted on the bed 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is formed.

그리고, 상기 베드 트레이(350)에는 상기 파드(10)가 안착되는 다수의 파드 안착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드 안착부(352)는 상기 파드(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파드(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파드(10)가 상기 베드 트레이(350)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od seating portions 352 on which the pods 10 are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bed tray 350 . The pod seating part 352 is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d 10 so that the pod 10 can be seated, and a plurality of pod seating parts 352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pods 10 may be disposed on the bed tray 350 .

상기 파드 안착부(352)는 중앙을 기준으로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다수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 안착부(352)에는 안착부 개구(3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개구(351a)는 상기 파드(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파드 돌출부(16)가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 돌출부(16)가 상기 집수부(320) 내부의 물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the pod seating parts 352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same size. In addition, a seating part opening 351a may be formed in the pod seating part 352 .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allows the pod protrusion 16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10 to pass through, and the pod protrusion 16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

상기 안착부 개구(351a)는 각각의 상기 파드 안착부(352) 마다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파드 안착부(352)에 각각 형성된 상기 안착부 개구(351a)들은 상기 집수부(320)와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pod seating parts 352 . In addition,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pod seating parts 352 may be disposed alo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상세히, 상기 베드(300)에 상기 베드 트레이(350)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안착부 개구(351a)는 상기 집수부(32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집수부(32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안착부 개구(351a)를 통해서 상기 파드(10)로 공급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bed tray 350 is seated on the bed 300 ,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is located on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so that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is stored in the seating part opening. It can be supplied to the pod 10 through (351a).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드(300)의 중앙에 상기 집수부(32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안착부 개구(351a)들 또한 상기 집수부(320)의 내측과 대응하는 상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드 트레이(350)의 중앙측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베드(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파드 안착부(352)에 형성된 안착부 개구(351a)들은 모두 상기 파드 안착부(352)의 후단과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베드(3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파드 안착부(352)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 개구(351a)들은 모두 상기 파드 안착부(352) 전단과 인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 개구(351a)들은 상기 집수부(320)의 내측 영역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ed 300 , so that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are also located above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side of the bed tray 350 . In more detail, all of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formed in the pod seating part 352 disposed in front of the bed 300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pod seating part 352, and the bed ( All of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formed in the pod seating part 352 disposed at the rear of 30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pod seating part 352 . That is,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inner region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한편, 상기 집수부(320)의 내측 영역에는 감지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3)는 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3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따라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가 상기 감지부(323)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in an inner region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770 located below.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fully retracte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7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etection unit 323 can be in close contact.

이때, 상기 감지부(323)는 상방에서 볼 때 돌출되고, 하방에서 볼 때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드(300)를 인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770)가 상기 감지부(323)와 간섭되어 상기 베드(300)의 인출입에 장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323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recessed when viewed from below.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770 from interfering with the sensing unit 323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and inserting the bed 300 , thereby preventing the bed 300 from being blocked.

그리고, 돌출된 상기 감지부(323)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감지부(323)에는 급수되는 물이 고여 있지 않게 되며, 상기 집수부(320)에 추가 급수의 필요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sensing unit 323 , the water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323 does not accumulate,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dditional water is need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부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n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8은 도 27의 "D"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도 28의 29-29' 단면도이다. FIG. 2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27 . And,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29-29' of FIG. 28 .

상기 감지부(323)는 전체 집수부(320) 중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77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770)는 상기 하부 라이트 어셈블리(400a)에서의 배치 구조와, 상기 펌프 커버(740)에서의 배치 구조를 모두 고려하여 상기 후방측 집수부(32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23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s 440 and 770 disposed below among all the water collecting units 320 .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s 440 and 7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water collecting unit 322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lower light assembly 400a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pump cover 740 . .

그리고, 상기 파드(10)가 상기 베드(3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파드(10)의 돌출부(447)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323)는 상기 안착부 개구(351a)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 개구(351a)의 사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d 10 is mounted on the bed 300 , it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trusion 447 of the pod 10 . That is, the sensing part 32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eating part opening 351a,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d between the seating part openings 351a.

한편, 상기 감지부(323)는 상기 집수부(320)의 바닥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하방에서 볼 때 상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323)의 돌출 높이는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의 커버 돌출부(447) 상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320)의 물이 상기 감지부(323)로 쉽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300)로 1회 급수되는 물이 적어도 상기 감지부(323)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32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and may be depressed upward when viewed from below. At this tim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ensing unit 323 is formed onl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protrusion 447 of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can be inserted, so that the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can easily enter the sensing unit 323 . can be made to mov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bed 300 once is filled to at least a position higher than that of the sensing unit 323 .

따라서, 상기 집수부(320)로 상기 파드(10)에서 흡수 가능한 설정량의 물이 설정 시간 내에 다수회 공급되며, 상기 집수부(320)의 물이 공급되면 상기 파드(10)로 즉시 흡시되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감지부(323)의 수분 존재 여부는 상기 집수부(320)의 수분 존재 여부와 상응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323)의 수분 존재 감지를 통해 상기 집수부(320)의 수분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 set amount of water that can be absorbed by the pod 10 is supplied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a plurality of times within a set time, and when the water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supplied, it is immediately sucked into the pod 10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isture in the sensing unit 323 may correspon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isture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That is, the presence of moisture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may be determined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moisture by the sensing unit 323 .

그리고, 상기 감지부(323)의 크기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상기 감지부(323)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323)와 면접촉되어 상기 감지부(323)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Accordingly, the cover protrusion 447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32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nsing unit 323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water is present in the sensing unit 323 .

한편, 상기 감지부(323)의 하면은 상기 커버 돌출부(447)와 면접촉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447) 및 상기 집수부(32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323) 상면에 물이 고이거나 표면 장력에 의해 물이 장시간 머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part 323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ver protrusion 447 , and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s of the cover protrusion 447 and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can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or allowing water to stay for a long time due to surface tension.

상세히,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물 고임 방지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23)는 상기 커버 돌출부(447)와의 면접촉을 위해서 설정된 면적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수용된 상태에서 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In detail, a water pooling prevention part 324 protrudingly form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part 323 .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area for surface contact with the cover protrusion 447 . That is, in order to detect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rotrusion 447 is accommodated, it must be formed to at least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하지만, 상기 감지부(323)가 상기 커버 돌출부(447) 상면(447b)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에 위치되는 물이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방울을 형성하여 장기간 남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부(320) 내의 물이 상기 파드(10)에 모두 흡수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323)에 물방울이 표면 장력에 의해 남게 되는 경우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기 감지부(323)의 물방울로 인해 상기 베드(300)에 급수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장기간 상기 베드(300)로 물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nsing unit 323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the wat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forms water droplets by surface tension to remain for a long time. can b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all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absorbed by the pod 10 , when water droplets remain in the sensing unit 323 due to surface tension,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440 is the sensing unit Due to the water droplets of 323 , it is determined that water supply is not necessary to the bed 300 , and thus a problem may occur in that water cannot be supplied to the bed 300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에는 물 고임 방지부(324)를 형성하여 상기 감지부(323) 상면에 표면 장력에 의해 물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water retention preventing part 3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to prevent water from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due to surface tension.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중앙이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중앙이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water retention prevention part 324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tection part 323 .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sensing part 323 , and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such that the center protrudes and becomes lower toward the front and rear. Of course,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ortion 32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enter protrudes and becomes lower toward the front and rear.

그리고,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 전체 영역 중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가 상기 감지부(323)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경우 상기 감지 센서(442)의 감지 성능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상면 중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be partially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part 323 . That is, when the water accumulation prevention part 324 is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etection part 323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detection sensor 442 is not guaranteed. Accordingly,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part 323 .

상세히,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 전후 방향 중 일측의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는 상기 감지부(323)의 후단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다.In detail, the water retention preventing part 32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nsing part 323 . In addition, the water pooling prevention part 324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am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nsing part 323 . For example, the water retention prevention part 324 may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detection part 323 .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의 후단은 상기 감지부(323)의 후단과 대응하거나 매우 인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를 따라서 후방으로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감지부(323)의 후단에 고이지 않고 좌우 양측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부(320)로 향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r very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sensing part 323 .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backward along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flow dow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out accumulating at the rear end of the sensing part 323 and may be dir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그리고,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의 전단은 상기 감지부(323)와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 전방의 상기 평면 영역(W2)의 폭은 적어도 표면 장력에 의해서 물방울이 형성되지 않는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323) 영역의 폭은 10~ 20m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water pool prevention part 32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etection part 323 by a set distance.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planar area W2 in front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have a width at least to the extent that water droplets are not formed by surface tension.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region of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to be about 10 to 20 mm.

따라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를 따라 전방으로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평면 영역(W2)에 도달한 후 자연스럽게 좌우 양측으로 흘러내려 집수부(320)로 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forward along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part 324 may naturally flow dow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fter reaching the planar area W2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

또한, 상기 평면 영역(W2)은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 센서(442)와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전체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 중 상기 감지 센서(442)는 일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442)의 수직 상방이 상기 평면 영역(W2)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 센서(442)는 상대적으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 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평면 영역(W2)에서 잔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Also, the planar area W2 may substantially correspond to the detection sensor 442 . That is, the detection sensor 442 of the entir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may be located in a partial area, and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detection sensor 442 may correspond to the planar area W2 . 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442 can accurately detect whether water remains in the flat area W2, which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part 324 .

한편,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의 폭(W1)은 상기 감지부 영역(W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323)는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와 감지부 영역(W2)에 의해서 상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dth W1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part 324 may form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sensing part area W2. Accordingly,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323 may be formed by the water accumulation preventing unit 324 and the sensing unit region W2.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상기 집수부(3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부(323)에도 물이 위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442)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후 상기 파드(10)에서 물을 흡수하게 되면 상기 집수부(320)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며, 상기 감지부(323)보다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감지부(323)에 위치된 물 또한 상기 물 고임 방지부(324)를 따라서 흘러내리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감지부 영역(W2)에도 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 센서(442)는 물 없음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90)는 경과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베드(300)로 재급수를 결정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filled with water, water is also located in the sensing unit 323 , and the detection sensor 442 may detect it. Then, when water is absorbed by the pod 10 after water supply,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lowered, and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at of the detecting unit 323 , the water located in the detecting unit 323 is lowered. In addition, the water flows down along the stagnant prevention part 324 and finally, no water exists in the sensing part area W2. In this state, the detection sensor 442 detects no water, and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e elapsed time to determine re-watering to the bed 300 .

한편, 상기 베드(300)는 탈착 또는 인출입될 수 있으며, 이때 잔수 감지 장치(440)는 상기 베드(300)의 상태에 따라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베드(300)의 잔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드의 상태에 따른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디고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bed 300 can be detached or pulled out, and at this time,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ed 300 to detect the residual water in the bed 300. . Hereinafter, the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ed will be looked at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0은 상기 베드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3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separat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드(300)는 청소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서 상기 재배 공간(1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드(300)는 상기 베드 레일(142)과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베드(300)는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작을 통해 상기 베드 레일(142)과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3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청소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the bed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101 for cleaning or maintenance. At this time, the bed 30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ed rail 142 by a simple operation. For example, the bed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ed rail 142 through an upward lifting operation, and cleaning and maintenanc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separated. do.

상기 베드(300)가 상기 재배 공간(10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에는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의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방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bed 3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101 ,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8 , the detection device cover 441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is most protruded upward.

즉, 상기 베드(300)가 분리된 상황에서는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기 스프링(444)에 의해 지지되어 상방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드(300)가 도 24에서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기 베드(300)와 접촉되지 않아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가 가장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at i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bed 300 is separated,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is supported by the spring 444 to maintain the most protruding state upward. In addition,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fully drawn out as in FIG. 24 , the detection device cover 441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ed 300 so that the detection device cover 441 protrudes most upward. can keep

그리고, 상기 베드(300)를 다시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베드(300)를 인입하게 되면,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다시 접촉될 수 있다.And, when the bed 300 is drawn in with the bed 300 mounted again,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may be in contact again.

도 31은 상기 베드가 인출입 되는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drawn out.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드(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드(300)가 인출입되는 과정 중에는 상기 베드(300)와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the bed 300 and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440 may mainta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of withdrawing and withdrawing the bed 300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mounted.

상세히, 상기 베드(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출입될 때, 상기 베드(300)의 하면은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의 상면 즉,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과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가장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상기 스프링(444)은 가장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bed 300 is pulled out in a mounted state,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 that is,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 become a state At this time,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be in the most downwardly moved state, and the spring 444 may be in the most compressed state.

이와 같이 상기 베드(300)의 이동시에도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이 상기 베드(300)의 하면과 지속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베드(300)가 완전히 인입될 때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상기 감지부(3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even when the bed 300 is moved,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is pressed upward so that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300. , so that the cover protrusion 447 can be inserted into the sensing unit 323 when the bed 300 is fully retracted.

도 32는 상기 베드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completely retract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드(3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감지부(323)가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 커버(441)는 상기 스프링(444)에 의해서 상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면(447b)은 함몰된 상기 감지부(323)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지부(323)에 물이 존재하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As shown, when the bed 300 is fully retracted, the sensing unit 323 is positioned above the residual water sensing device 440 . In addition, the sensing device cover 441 may be pressed upward by the spring 444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447b of the cover protrusion 44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ed sensing unit 323 , and thus it may be accurately determined whether water is present in the sensing unit 323 .

한편, 상기 베드(300)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상기 감지부(323)의 내측에 삽입되기 직전에 상기 감지부(323)의 둘레는 상기 제 2 라운드부(447d)와 제 1 라운드부(447c)를 차례로 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는 자연스럽게 상기 감지부(323)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커버 돌출부(447)의 상방 이동시 발생되는 소음 또는 베드(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just before the cover protrusion 447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nsing unit 323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ed 300 is introduced,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ing unit 323 is the second round unit 447d and It passes through the first round part 447c in turn. Accordingly, the cover protrusion 447 can be natur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ensing unit 323 ,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cover protrusion 447 moves upward or the flow of the bed 300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베드(3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상기 감지부(323)를 빠져 나오는 순간에 상기 감지부(323)의 들레가 상기 제 1 라운드부(447c)와 제 2 라운드부(447d)를 차례로 지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돌출부(447)가 상기 감지부(323)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베드(300)의 인출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lso, in the process in which the bed 300 is drawn out, at the moment when the cover protrusion 447 exits the sensing unit 323 , the lifting of the sensing unit 323 is the first round unit 447c and the second round unit 447c. It is possible to pass through the round parts 447d in turn. Accordingly, the cover protrusion 447 can easily come out of the sensing unit 323 , and the bed 300 can be pulled out more smoothly.

이하에서는 상기 집수부(320)의 물이 상기 파드(10)로 공급되는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supplied to the pod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3은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 안착되는 파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도 4의 "C"부 확대도이다.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d seated o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FIG. 3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드(1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로 재배 가능한 식물들이 종류별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여러 종류의 식물로 구성되는 각각의 파드(10)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파드 안착부(35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배를 원하는 식물의 상기 파드(10)를 선택하여 상기 베드(300)상의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켜 재배를 시작할 수 있다.As shown, the pod 10 may be configured by types of plants that can be cultivated with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 Of course, each of the pods 10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plants may all have the same size, and may have a size set to be accommodated in the pod seat 352 .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the pod 10 of a plant desired to be cultivated, and may start cultivation by seating it in a desired position on the bed 300 .

상세히, 상기 파드(10)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드(10) 내에는 양액물질(도시는 생략됨)이 포함된 상토(11) 가 충전된다. 상기 양액물질은 식물이 더욱 잘 자랄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영양소가 포함된 물질이다. 이러한 양액물질은 물에 점진적으로 녹는 수용성의 캡슐형으로 제공하여 공급수의 공급시마다 조금씩 녹으면서 공급수에 함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pod 10 may have an outer shape formed by a container opened upward. Top soil 11 containing a nutrient solution material (not shown) is filled in the pod 10 . The nutrient solution material is a material containing nutrients that are supplied so that plants can grow better. Such a nutrient solution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ater-soluble capsule that is gradually dissolved in water,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tained in the feed water while gradually dissolving whenever the feed water is supplied.

상기 상토(11)의 상면에는 시드 페이퍼(12)가 제공된다. 상기 시드 페이퍼(12)는 씨앗들이 일정 배열을 갖도록 배치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드 페이퍼(12)를 상기 상토(11)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공급수가 공급되면 상기 시드 페이퍼(12)는 녹아서 없어지고 씨앗은 상기 상토(11)에 남게 된다.A seed paper 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11 . The seed paper 12 may be composed of a sheet in which seeds ar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rrangement. When supply water is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seed paper 1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11 , the seed paper 12 melts and disappears, and the seeds remain in the top soil 11 .

상기 시드 페이퍼(12)의 상면에는 브릭(13)이 제공된다. 상기 브릭(13)은 토양의 수분 및 습도 조절과 곰팡이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질석 또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와 같은 무기물 광석이 분말상태로 가공된 후 압착되어 만들어진다.A brick 1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ed paper 12 . The brick 13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is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and prevent the formation of mold, and is made by pressing and processing inorganic ore such as vermiculite or vermiculite into a powder state.

또한, 상기 파드(10)의 상면은 보호지(15)로 덮혀 그 내부가 보호된다. 특히, 상기 브릭(13)의 상면과 보호지(15) 사이에는 패킹부재(14)가 더 구비되면서 상기 브릭(13)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지(15)의 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프린팅 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파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10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paper 15 to protect the inside. In particular, a packing member 14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ck 13 and the protective paper 15 to protect the brick 13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type of plant to be cultivated may be printed on the protective paper 15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od to the user.

한편, 상기 파드(1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6)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6)는 저면에 통수공(1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6)는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trusion 16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d 10 , and a water-through hole 16a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16 . The protrusion 16 may be formed in a pipe structure with a hollow inside while being opened up and down.

상기 돌출부(16) 내에는 베드(300a,300b)로 급수된 물을를 흡수하는 제 1 흡수부재(17)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흡수부재(17)와 상토 사이에는 평판 형상의 제 2 흡수부재(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수부재(18)는 상기 제 1 흡수부재(17)가 흡수한 공급수를 상토(11)의 전 부위로 고르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A first absorbing member 17 for absorbing water supplied to the beds 300a and 300b is provided in the protrusion 16, and a second absorbing member having a flat plate shap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bsorbing member 17 and the top soil. (18) may be provide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18 functions to evenly supply the supplied water absorbed by the first absorbing member 17 to the entire area of the top soil 11 .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드(10)가 상기 파드 안착부(352)에 안착되면, 상기 파드 돌출부(16)는 상기 안착부 개구(351a)를 통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드 돌출부(16)는 상기 집수부(320) 즉, 상기 전방측 집수부(32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8 , when the pod 10 is seated on the pod seat 352 , the pod protrusion 16 may protrude downward through the seat opening 351a. At this time, the pod protrusion 16 is position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that is, the front water collecting unit 321 .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집수부(320) 내측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파드 돌출부(16)는 상기 집수부(320) 내부의 물에 닿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수공(16a)을 통해 상기 집수부(320)의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 돌출부(16) 내측의 상기 제 1 흡수부재(17)와 제 2 흡수부재(18)를 따라 물이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수부재(17)와 제 2 흡수부재(18)를 통해 흡수되는 물은 상기 파드(10)의 상토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n this state, the pod protrusion 16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inside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And, the wa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20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through hole 16a, and along the first absorbing member 17 an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18 inside the pod protrusion 16 . Water may be absorbed. In addition,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absorbing member 17 an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18 may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top soil of the pod 10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재배를 원하는 식물을 선정하고, 해당하는 파드의 보호지를 제거한 후에 상기 베드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베드(300)에는 파드(10)가 안착되면, 상기 워터 탱크(7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베드(300)로 일정량 공급된다. The user selects a plant to be cultivated, removes the protective paper of the corresponding pod, and then places it on the bed. When the pod 10 is seated on the bed 300 ,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700 is supplied to the bed 300 .

이때, 공급되는 물의 양은 설정된 양으로, 상기 파드(10)에 충분히 공급되기 위한 양보다는 다소 적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물은 상기 집수부(320)에서 상기 파드(10)로 흡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완전히 흡수되어 상기 집수부(320)에는 물이 남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s a set amount, and may be slightly less than the amount to be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pod 10 . Accordingly, the supplied water may be absorbed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to the pod 10 ,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upplied water is completely absorbed, so that no water remain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770)에서는 상기 집수부(320)에 물이 남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베드(3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는 도 30에서와 같이 상기 감지부(323)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감지 센서(442)는 상기 감지부(323)에 물이 존재 하는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s 440 and 770 determine whether water remain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In a state in which the bed 300 is retracted,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tection unit 323 as shown in FIG. 30 , and the detection sensor 442 is the detection unit 323 . ) can accurately detect the presence of water.

이때, 상기 감지부(323)는 상기 집수부(320) 보다 다소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감지부(323)에 물이 있는 것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집수부(320)에는 물이 있는 것이 확실시 되므로 상기 감지부(323)에서의 물 존재를 감지하여 상기 집수부(320)로의 물 공급을 결정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ensing unit 323 protrudes slightly from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when it is detected that there is water in the sensing unit 323 ,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water in the unit 323 ,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is determined.

상기 잔수 감지 장치(440)를 통해 물 없음이 감지되면, 상기 급수관(780a, 780b)을 통해서 상기 베드(300)로 정량의 물을 급수하고, 다시 상기 집수부(320)에 물이 남지 않게 될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90)에서는 재급수 까지의 시간을 감지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When no water is detected through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440,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30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s 780a and 780b, and no water remain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again. time is measured until The control unit 190 detects the time until re-watering and determines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정량의 물을 지속 공급하고 상기 파드(10)에 흡수되는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만약 급수 후 상기 집수부(320)에 물이 남지 않게 되는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충분한 물 공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급수를 일정 기간동안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재 급수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다시 급수를 개시하게 된다.While repeating this process, a quantity of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time taken to be absorbed into the pod 10 is measured. If the time for which no water remains in the water collecting unit 320 after water supply has elapsed for a set time, it is determined that sufficient water has been suppli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hen the conditions for re-watering are satisfied, water-supply is started again.

따라서, 상기 집수부(320)에는 장시간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이 적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양분은 상기 파드(10) 내부에 포함된 양액의 형태로 공급되어 상기 파드(10) 내부의 식물이 효과적으로 성장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water collection unit 320 does not mainta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for a long time, and water in an amount necessary for plant growth can be supplied in a timely manner. In addition, the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are supplied in the form of a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pod 10 so that the plant inside the pod 10 can grow effectively.

한편,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베드(300)에서 생장되는 식물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는 식물의 생육 상태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시간 주기로 온 오프 될 수 있다. 특히 계절에 따른 실제 일조량에 맞추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가 온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의 식물이 외부의 자연환경에서 생장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plant growing in the bed 300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 assembly 400 . The light assembly 400 may be turned on and off at an appropriate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plant. In particular, by turning the light assembly 400 on and off according to the actual amount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seas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the plants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growing in the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상기 베드(300)의 식물은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에서 제공하는 빛에 의해 광합성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상기 재배 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lants in the bed 300 perform photosynthesis by the light provided by the light assembly 400 , and in this process, carbon dioxide necessary for this process may be supplied throug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한편,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상기 히터가 구동되며,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상기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고 상기 증발기(630)가 냉각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too low, the heater is driven, 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is too high, the refrigeration cycle is driven and the evaporator 630 performs a cooling action. do.

상기 히터 또는 증발기(63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는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500)를 통해서 전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공기의 유동 과정 중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의 하면을 냉각하게 된다. Air heated or cooled by the heater or evaporator 630 is discharged forward through the blower assembly 500 . At this time, air flows from the rear end of the light assembly 400 to the fron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assembly 400 is cooled during the air flow process.

그리고,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하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베드(300)의 전단에서 상기 베드(300)의 후단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베드(300)의 상면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베드(300)에서 생장되는 식물의 줄기와 잎이 흔들리게 되어 재배되는 식물의 상채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Then, the air moved forward flow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ed 300 to the rear end of the bed 300 . Stems and leaves of plants grown in the bed 300 are shaken by the flow of air flow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30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ultivated plants can be remarkably improved.

상기 베드(300)의 후단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증발기(630) 및 히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지나게 되며 상기 블로워 팬(520)에 의해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0) 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ear end of the bed 300 passes through the space in which the evaporator 630 and the heater are disposed again, and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light assembly 400 by the blower fan 520 .

상기 블로워 팬(520)의 구동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며, 순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라이트 어셈블리(400)를 공냉시키고 상기 베드(300)의 식품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air flowing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520 circulates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 and continuously air-cools the light assembly 400 during the circulation process and prevents the growth of food in the bed 300 . to facilitate it.

그리고 반복되는 공기의 순환 과정으로 상기 재배 공간(101)의 내부를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가열 및 냉각하여 상기 재배 공간(101) 전체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tinuously and uniformly heating and cooling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101 through a repeated air circulation process, the entire cultivation space 101 may maintain a set temperature.

사용자는 상기 도어(130)를 통해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재배 공간(101) 내부의 식물이 수확 가능한 상태에 도달하면 식물을 수확하게 된다. 그리고, 수확전 필요에 따라서 식물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적합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불필요한 작물을 폐기하거나 수확 완료된 파드(10)를 제거할 수도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stat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101 through the door 130 , and when the plants in the cultivation space 101 reach a harvestable state, the plants are harvested. In addition, if plant management is required before harvest, an appropriate operation is performed, and unnecessary crops may be discarded or the harvested pod 10 may be removed.

이러한 수확 및 관리의 작업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800)를 통한 안내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한 기기로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의 수확 및 관리 작업을 안내할 수도 있다.This harvesting and management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user through guidance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800 , o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carried by the user to guide the user's harvesting and management operation.

Claims (20)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양분이 포함되는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상기 베드에 함몰되어 상기 파드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파드로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감지부;
상기 베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와 접촉되어 잔수 여부를 감지하는 잔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는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의 상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물 고임 방지부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a cabinet in which a growing space is formed;
a bed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on which pods containing seeds and nutrient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seated;
a water collecting unit recessed in the be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pod and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pod;
a sen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unit;
A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provided under the bed and in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to detect whether residual water is present; includ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water stagnant prevention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to partially protrude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드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잔수 감지 장치의 상단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unit is formed by rec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ed upward,
A plant cultivation device having a size that can accommodate the upper end of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disposed below the det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의 상면에는 상기 파드가 안착되는 베드 트레이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 트레이에는 복수의 파드가 각각 안착되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된 파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ed tray on which the pod is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pod seating portion recessed to a corresponding size is formed on the bed tray to seat a plurality of pods,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 안착부에는 상기 파드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파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안착부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 개구는 상기 집수부를 따라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seating part opening is formed in the pod seating part into which a po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is inserted,
The seating part opening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disposed along the water collecting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파드 안착부 사이에 구비되는 식물 재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uni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od seatin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중앙부가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베드의 인출입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the highest, plant cultivation device is formed to be lowered toward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b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감지부의 타단과 이격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uni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nsing uni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의 단부와 상기 감지부의 단부 사이 거리는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생기지 않는 거리로 설정되는 식물 재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ng unit and the end of the sensing unit is set to a distance where water droplets do not form due to surface ten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가로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portion the det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상기 재배 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i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is mounted to be withdrawn in and out of the cultivation sp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 감지 장치는,
감지 센서가 수용되는 감지 장치 커버와;
상기 감지 장치 커버의 상면이 상기 베드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에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sidual water detection device,
a detection device cover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is accommodate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pring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cover from below to maintain a contact state with the b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인 식물 재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tection sensor is a capacitive sens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 커버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베이스와;
상기 커버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 센서가 수용되는 커버 돌출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ing device cover,
a cover base supported by the spr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cover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ver base and 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therei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하면은 상기 커버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식물 재배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is recessed to accommodate the cover protrus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하면과 상기 커버 돌출부의 상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되는 식물 재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are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 돌출부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ing uni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rotrus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는 상기 감지부의 일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타단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un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nsing unit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고임 방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타단 사이에는 평면 영역이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planar area is formed between the water stagnant preven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sensing uni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평면 영역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detection sensor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flat area.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영역은 상기 베드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센서의 영영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식물 재배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lanar area i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overlaps with the area of the detection sens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ed is retracted.
KR1020200001699A 2020-01-06 2020-01-06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8837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99A KR20210088372A (en) 2020-01-06 2020-01-06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PCT/KR2020/018533 WO2021141272A1 (en) 2020-01-06 2020-12-17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99A KR20210088372A (en) 2020-01-06 2020-01-06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72A true KR20210088372A (en) 2021-07-14

Family

ID=7686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99A KR20210088372A (en) 2020-01-06 2020-01-06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3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887B1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US11758858B2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US2023002695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US11564364B2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CN115250899B (en) Plant cultivation device
EP4088564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200100499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00100493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361420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30113737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210121743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88358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00100495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88372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US20230062056A1 (en) Water supply device in cabinet
KR20210121744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1742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20008113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5780A (en) Plants ciltivation apparatus
KR102565777B1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21740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21738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137339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10011865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