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81A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81A
KR20210088181A KR1020200001359A KR20200001359A KR20210088181A KR 20210088181 A KR20210088181 A KR 20210088181A KR 1020200001359 A KR1020200001359 A KR 1020200001359A KR 20200001359 A KR20200001359 A KR 20200001359A KR 20210088181 A KR20210088181 A KR 2021008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image
displayed
tim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4581B1 (en
Inventor
최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581B1/en
Publication of KR2021008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wi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using an image, displaying an inspection image on a screen, and receiving a user response whether the inspec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is repeatedly performed during an inspection time. The inspection image includes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which are secondly displayed at a first time interval after being firstly displayed, and are thirdly displayed at a second time interval after being secondly displayed. The first and second time intervals can be set based on a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and each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is divided into various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time interval, such that both short- and long-term memories can be accurately measured. A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language and education levels of a user since an image is used, and a learning effect on a test method is not achieved. In addition, an image set can be replaced, such that repeated measurements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

본 발명은 사람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를 이용한 재인 기억(Recognition Memory)을 기초로 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측정하는 장치와 그 방법,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easuring a person's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more particularl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using an image, and a computer for executing such a method It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노인성 질환 중의 하나인 치매(Dementia)는 노인 인구의 세계적인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치매 치료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완전한 치료 방법이 없다.Dementia, one of the geriatric diseases, is increasing with the global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although studies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are actively conducted, there is no complete treatment method yet.

보건복지부의 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치매 환자는 2012년에 540,000명이며, 빠르게 증가하여 2020년에는 840,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치매 인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2050년에 GDP의 1.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According to the prevalence surve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was 540,000 in 2012,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and reach 840,000 by 2020. The dementia population in Korea is growing the fastest in the world, and its social cost is expected to reach 1.5% of GDP in 2050.

치매의 치료 방법으로 여러 가지 약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약품들은 치매의 근원적인 치료가 아니라 진행을 늦추는 효과만을 가지고 있다.Various drugs can be used as a treatment method for dementia, but these drugs only have the effect of slowing the progression, not the underlying treatment of dementia.

하지만, 치매의 초기 단계에서 처방을 받아 치료를 진행하면,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치매의 조기 예측과 조기 진단은 치매 증상 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if prescribed and treated, it shows a relatively high effect. Therefore, early prediction and early diagnosis of dementia can play a decisive role in alleviating dementia symptoms.

치매의 조기 예측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면, 불필요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치매 환자의 빠른 증가와 높은 사회적 비용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매 질환의 조기 예측이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If symptoms are alleviated through early prediction of dementia, unnecessary social/economic costs can be reduced. Early prediction of dementia is an urgent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and high social cos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인들도 짧은 시간 내에 별다른 장비 없이 간단하고 쉽게 기억력과 집중력을 검사하여 치매가 의심되는 상황인지의 여부를 조기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와 그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meet the above needs, so that ordinary people can easily and easily test memory and concentration without special equipment within a short time to determine early whether or not dementia is suspe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such a method is recor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는, 검사용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용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과정을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수행하는 검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for examin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a scree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response; and displaying the image for examination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nd repe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 user's response as to whether the image for examination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during the examination time. It consists of an inspection unit that performs.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은,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가,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a screen; and receiving a user's response as to whether the image for examination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may be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상기 검사 시간 동안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에는, 한 번만 표시되는 일반 이미지와 반복 표시되는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된다.The examination image display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includes a general image displayed only once and a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repeatedly.

이때,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1차 표시된 후 제1 시간 간격을 두고 2차 표시되고, 2차 표시된 후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3차 표시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splayed secondarily at a first time interval after the first display, and is displayed tertiarily at a second time interval after the second display.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 개의 종류로 구분되며, 각 종류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terval, and each typ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20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1
(n은 정수)에 비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Figure pat00001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portional to (n is an integer).

상기 검사부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간격, 상기 제2 시간 간격, 상기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 상기 검사 시간,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 종류의 개수, 및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first time interval, the second time interval, the time to display the image for inspection, the time to wait for the user's response, the inspection time, the number of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types, and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may be set.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연령 및 학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응답 저장부; 및 상기 응답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spons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s response; and an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memory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stored in the response storage unit.

상기 평가부는 표시된 각 검사용 이미지에 대한 정답률, 및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valu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evaluate memory and concentration by using one or more of a correct answer rate and a response time for each displayed image for examination.

본 발명은 일반인들도 검사용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쉽게 기억력과 집중력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ordinary people can easily measure memory and concentration using images for examination.

주기적으로 보이는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보였던 것인지를 판단하는 간단한 방식을 통해 검사가 수행되므로, 검사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고, 편안하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through a simpl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periodically visible inspec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viewed, the stress on the inspection is low and the inspection can be carried out comfortably.

또한,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각종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various computer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and notebook computers.

이미지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언어와 교육 수준 등에 구애받지 않고 측정할 수 있으며, 테스트 방식 자체에 대한 학습 효과가 없고, 이미지 세트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반복 측정이 가능하다.Because images are used,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user's language and education level, and there is no learning effect on the test method itself, and repeated measurement is possible because image sets can be replaced.

검사용 이미지들은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을 모두 평가할 수 있도록 적절히 분포되어 제시되므로, 기억력과 집중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Since the test images are presented appropriately distributed so that both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can be evaluated, memory and concentration can be accurately measured.

간단하고 쉽게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치매의 초기 단계에 처방을 받을 수 있어서, 치매 증상 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 있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과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simple and easy accurate measure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prescription at an early stage of dementia, which can play a decisive role in alleviating dementia symptoms and reduce unnecessary social and economic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검사용 이미지의 표시 주기를 설명하는 예,
도 3은 반복 제시 이미지를 설명하는 예,
도 4는 전체 검사용 이미지의 구성을 설명하는 예,
도 5는 일련의 검사용 이미지들이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display period of the image for inspection;
3 is an example illustrating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4 is an example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 a full examination;
5 is an example showing a series of inspection images displayed;
7 i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100)는, 검사용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110),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130), 이미지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용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검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torage unit 110 for storing an image for examination and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a screen. , an input unit 130 that receives a user's response, and an inspection unit 140 that performs an examination using an image for examination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0 .

또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응답 저장부(150),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는 평가부(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response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the user's response, and an evaluation unit 160 for evaluating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1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기억력 및 집중력을 측정하는 전용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 각종 컴퓨터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측에 구현되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as a dedicated device for measuring a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or by installing software in various computer devices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notebook computer, tablet computer, and smart phone. may be configured.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viding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ement ser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by being implemented on the server side.

디스플레이부(120)는 화면을 통해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명령 등을 입력받는다.The display unit 120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require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through a screen, and the input unit 13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and commands require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from the user.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버튼이나 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입력부(130)를 통해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이 입력된다.The input unit 13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such as a touch screen, a mouse, a keyboard, a joystick, a button or a switch, and the user's response regarding whether the image for the examination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input. do.

검사부(140)는 이미지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용 이미지를 일정한 시간 간격(이미지 표시 주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The inspection unit 140 displays the inspection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110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mage display cycle), and inputs the user's response through the input unit 130 . receive

여기서, 사용자의 응답은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응답이다.Here, the user's response relates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examina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처리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과정이 규정된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실행됨으로써, 재인 기억에 기초한 기억력 및 집중력 검사가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processing it so that the user can see it, and receiving the user's response is repeatedly executed for a prescribed examination time, thereby performing a memory and concentration test based on recognition memory.

통상적으로 재인 기억(Recognition Memory)이란 사용자가 접하는 정보가 이미 기억된 정보인지를 인식하는 기억을 말한다.In general, the recognition memory refers to a memory for recognizing whether information a user encounters is already memorized information.

도 2는 검사부(140)가 각 검사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시간 간격인 이미지 표시 주기(Tu)의 예를 보인 예이다.2 is an example of an image display period Tu, which is a time interval during which the inspection unit 140 displays each inspection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

검사부(140)는 어느 시점 t1에 k번째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시점 t2에 k번째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서 제거하며, 시점 t2로부터 시점 t3까지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린다. 여기서, 시점 t1과 t2 사이가 이미지 표시 구간이고, 시점 t2와 t3 사이가 응답 대기 구간이며, 이미지 표시 주기(Tu)는 이미지 표시 구간과 응답 대기 구간의 합이다.The inspection unit 140 displays the k-th examination image on the screen at a time point t1, removes the k-th examination image from the screen at a time point t2, and waits for a user's response from time t2 to time t3. Here, the image display section is between time points t1 and t2,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is between time points t2 and t3, and the image display period Tu is the sum of the image display section and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그리고, k번째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 시점 t1부터 이미지 표시 주기(Tu)가 경과하면, 'k+1'번째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Then, when the image display period Tu elapses from the time t1 when the k-th examin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k+1'-th examin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process of waiting for a user response is repeated.

도 2에는 응답 대기 구간과 이미지 표시 구간이 분리된 예를 보였지만, 사용자가 현재 순서의 검사용 이미지를 본 즉시 응답을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응답 대기 구간은 k번째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 시점 t1부터 'k+1'번째 검사용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기 전까지 임의 구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and the image display section are separated, however, since 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immediately after viewing the image for examination in the current order,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is the time when the k-th examin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1 until the 'k+1'th inspec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may be set to an arbitrary section.

응답 대기 구간 내에서의 응답 재입력은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불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Response re-input within the response waiting period may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or may be configured to be impossible.

이미지 표시 구간과 응답 대기 구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구간은 0.1초 이상 1초 이하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응답 대기 구간은 5초 이내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section and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s a specific example, an image display section in which an image for examination is displayed may be configured for 0.1 seconds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and a response waiting section waiting for a user's response may be configured for 5 seconds or less.

검사부(140)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검사용 이미지는 크게 일반 이미지와 반복 제시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The inspection image displayed by the inspection unit 140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general image and a repeated presentation image.

여기서, 일반 이미지는 검사 시간 동안 한 번만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이고, 반복 제시 이미지는 두 번 이상 반복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를 말한다.Here, the general image is an image for examination that is displayed only once during the examination time, and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refers to an image for examination that is repeatedly displayed twice or more.

도 3을 참조하자면, 반복 제시 이미지는 검사 시간 도중 임의 시점에 1차로 표시되고, 제1 시간 간격(Ps)이 경과된 후 2차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시간 간격(Pl)이 경과된 후, 다시 3차로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splayed primarily at an arbitrary time point during the examination time, and is displayed secondarily after the first time interval Ps has elapsed. Then, after the second time interval Pl has elapsed, it is displayed as a third time again.

즉,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Ps)을 두고 반복하여 표시되고, 제2 시간 간격(Pl)이 지난 후 다시 한번 표시되므로, 총 3번 표시된다.That i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repeatedly displayed with a first time interval Ps, and is displayed once again after the second time interval Pl has elapsed, so that it is displayed a total of three times.

이러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종류로 이루어진다. 즉,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Ps)이 T1인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부터 제1 시간 간격(Ps)이 Tm인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까지 존재한다. 여기서,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T1 < T2 <...< Tm'이다.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terval. That i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exist from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group hav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of T1 to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group hav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of Tm. Her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1 < T2 <...< Tm'.

그리고, 각각의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된다.In addition, each repeatedly presented image group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peatedly presented images.

각 종류에 속한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는 5개 이상 15개 이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umber of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may consist of 5 or more and 15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종류는 3종류 이상 10종류 이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may be composed of 3 or more and 10 or less typ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를 참조하자면, 검사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전체 검사용 이미지에는, 한 번만 표시되는 일반 이미지들, 및 '제1 시간 간격(Ps)이 T1인 반복 제시 이미지들' 내지 '제1 시간 간격(Ps)이 Tm인 반복 제시 이미지들'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entire examination image displayed to the user during the examination time, general images displayed only once, and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with a first time interval (Ps) of T1' to 'first time interval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where (Ps) is Tm are included.

아래의 표 1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복 제시 이미지의 구체적인 예를 보인 것으로서,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Ps)이 서로 다른 m개의 이미지 종류(그룹)로 구분되고, 각 이미지 그룹에는 10개의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된 예이다.Table 1 below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vided into m image types (groups) with different first time intervals (Ps), and each image group includes An example with 10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이미지 종류Image type 제1 시간 간격first time interval 1차 및 2차 표시 이미지Primary and secondary display images 제2 시간 간격second time interval 3차 표시 이미지tertiary display image
#1

#One
T1T1 이미지 1-1Image 1-1 TlTl 이미지 1-1Image 1-1
T1T1 이미지 1-2Image 1-2 TlTl 이미지 1-2Image 1-2 ...... ...... ...... ...... T1T1 이미지 1-10Image 1-10 TlTl 이미지 1-10Image 1-10
#2

#2
T2T2 이미지 2-1Image 2-1 TlTl 이미지 2-1Image 2-1
T2T2 이미지 2-2Image 2-2 TlTl 이미지 2-2Image 2-2 ...... ...... ...... ...... T2T2 이미지 2-10Image 2-10 TlTl 이미지 2-10Image 2-10 ...... ...... ...... ......
#m

#m
TmTm 이미지 m-1image m-1 TlTl 이미지 m-1image m-1
TmTm 이미지 m-2image m-2 TlTl 이미지 m-2image m-2 ...... ...... ...... ...... TmTm 이미지 m-10image m-10 TlTl 이미지 m-10image m-10

표 1에 보인 예에서, 제1 시간 간격(Ps)이 T1인 이미지 그룹 #1에 10가지의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고, 제1 시간 간격(Ps)이 T2인 이미지 그룹 #2에 10가지의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며, 이런 식으로 제1 시간 간격(Ps)이 Tm인 이미지 그룹 #m에도 10가지의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Table 1, 10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included in image group #1 with a first time interval Ps of T1, and 10 images in image group #2 with a first time interval Ps of T2.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of the branch are included, and in this way, 10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also included in image group #m with the first time interval (Ps) of Tm.

표 1에 보인 예에서, 모든 반복 제시 이미지가 검사에 이용된다면, 검사 시간 동안 'm ×10'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각각 3번씩 표시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Table 1, if all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used for the examination, 'm × 10'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displayed three times each during the examination time.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검사의 효율성,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의 정확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the like.

하나의 예로서,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선형적인 차이가 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may be set to have a linear difference.

즉, 이미지 표시 주기(Tu)가 2초라고 가정하면, 이미지 종류 #1에서 #m까지 제1 시간 간격을 2초, 4초, 6초, ... , '2m'초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반복 제시 이미지를 1차와 2차로 표시할 때, 종류 #1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2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고, 종류 #2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4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고, 종류 #3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6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게 된다.That is, assuming that the image display period (Tu) is 2 seconds, the first time interval from image type #1 to #m can be set as 2 seconds, 4 seconds, 6 seconds, ... , '2m' seconds. . Then, when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display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ype #1 are displayed at an interval of 2 seconds, and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e type #2 are displayed at an interval of 4 seconds, and the typ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3 are displayed at intervals of 6 seconds.

또 다른 예로서,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2
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정수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is
Figure pat00002
can be set to be proportional to where n is an integer.

즉, 이미지 표시 주기(Tu)가 2초라고 가정하면, 반복 제시 이미지를 1차와 2차로 표시할 때, 종류 #1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2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고, 종류 #2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4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고, 종류 #3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8초 간격을 두고 표시하게 된다.That is, assuming that the image display period (Tu) is 2 seconds, when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displayed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e type #1 are displayed at an interval of 2 seconds, and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e type #2 are displayed at an interval of 2 seconds.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re displayed at intervals of 4 seconds, and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ype #3 are displayed at intervals of 8 seconds.

제1 시간 간격(Ps)과 제2 시간 간격(Pl)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는 통상적으로 단기 기억 유지 시간으로 알려진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Pl, a time commonly known as a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used.

이때, 제1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하로 구성하고, 제2 시간 간격은 단기 기억 유지 시간보다 길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시간 간격의 예로서 약 2분 정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An example of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about 2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단기 기억 유지 시간 내에 1차와 2차로 반복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단기 기억력에 대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3차로 다시 한번 표시하는 것은 단기 기억 유지 시간 내에 리허설된 이미지를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기억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장기 기억력과 집중력에 대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Repeatedly display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withi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can be an evaluation factor for the user's short-term memory. In addition, sinc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image rehearsed withi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remembered even after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elapses, displaying it once again in the third time can be an evaluation factor for the user's long-term memory and concentration.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기억력과 집중력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각종 요인이나 연구 결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30초 정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 정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or research results for accurate measur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for about 3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configured for about 20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도 5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련의 검사용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상태를 보인 예로서, 이미지 표시 주기(Tu)가 2초이고,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3
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5 is an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ries of images for examination are display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the image display period (Tu) is 2 seconds, and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is
Figure pat00003
is assumed to be proportional to

검사용 이미지 31과 33은 반복 제시 이미지로서, 검사용 이미지 31은 제1 시간 간격이 16초인 이미지 종류에 속한 것이고, 검사용 이미지 33은 제1 시간 간격이 4초인 이미지 종류에 속한 것이다.The examination images 31 and 33 ar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The examination image 31 belongs to an image type having a first time interval of 16 seconds, and the examination image 33 belongs to an image type having a first time interval of 4 seconds.

검사용 이미지 31은 임의 시점에 1차로 표시된 후, 4번째 순서에 2차로 반복 표시되었으며, 2차 표시 후 제2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다시 3차로 표시되었다.Image 31 for examination was displayed as the primary at an arbitrary time point, then repeatedly displayed in the fourth order, and again displayed in the third after the second time interval elapsed after the second display.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더욱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반복 제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mor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a method for displaying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예를 들어, 어느 이미지 종류에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이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이미지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3차 표시를 생략하고, 1차 표시와 2차 표시만 실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time interval set for an image type exceeds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is image type will omit the tertiary display, and only the primary display and the secondary display may be executed. have.

구체적인 예로서, 이미지 표시 주기(Tu)가 2초이고,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이

Figure pat00004
에 비례한다고 가정할 때, 이미지 종류가 6종류이고, 각 이미지 종류에 설정되는 n 값이 1~6이라면, 이미지 종류 #1 내지 #6에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은 각각 2초, 4초, 8초, 16초, 32초, 64초이다.As a specific example, the image display period (Tu) is 2 seconds, and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is
Figure pat00004
Assuming that there are 6 types of images and n values set for each image type are 1 to 6, the first time intervals set for image types #1 to #6 are 2 seconds, 4 seconds, and 8, respectively. Seconds, 16 seconds, 32 seconds, 64 seconds.

이때,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이 30초라면, 이미지 종류 #1 내지 #4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1차, 2차 및 3차까지 3번 표시될 수 있지만, 이미지 종류 #5와 #6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1차와 2차만 표시되고, 3차 표시는 생략된다.At this time, if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30 second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image types #1 to #4 may be displayed 3 times up to the 1st, 2nd, and 3rd times, but the repetitions belonging to image types #5 and #6 In the presented image, only the 1st and 2nd order are displayed, and the 3rd mark is omitted.

이와 같이 처리하면,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후에 2차로 표시되는 반복 제시 이미지에 대한 정답율은 감소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평가 기준 설정 등 통계와 기계학습 등을 통한 정확한 기억력 평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secondarily after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reduced, but this information can be a great help in accurate memory evaluation through statistics such as setting evaluation criteria and machine learning.

한편,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그 적절성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검사부(140)는 피험자인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1 시간 간격, 제2 시간 간격,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 검사 시간, 반복 제시 이미지 종류의 개수,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appropriateness of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em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situation, the test unit 140 displays the first time interval, the second time interval, and the test image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s the subject. It may be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r more of a time to wait, a time to wait for a user's response, an examination time, the number of types of repetitively presented images, and the number of repeatedly presented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검사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정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사용자의 연령과 학력 등을 들 수 있다.User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examination process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specific examples may include the user's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즉, 나이가 많을수록 육체적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응답 대기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 시간도 편의성이나 연령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at is, as physical reactivity may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a response waiting time may be increased, and an image display time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examination tim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convenience or age.

예를 들어, 20대~30대 사용자는 0.1초 동안 이미지를 표시하고, 응답 대기 시간을 2초 정도로 설정해도 충분할 수 있지만, 60대 이상의 사용자에게는 0.2초 동안 이미지를 표시하고, 응답 대기 시간을 3초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users in their 20s and 30s may display an image for 0.1 seconds and set the response latency to around 2 seconds, but for users in their 60s or older, display an image for 0.2 seconds and set the response latency to 3 It can be set to more than seconds.

응답 저장부(150)는 검사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응답을 저장하고, 평가부(160)는 응답 저장부(150)에 저장된 사용자 응답에 따라 피험자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한다.The response storage unit 150 stores the user response received through the test unit 140 , and the evaluation unit 160 evaluates the subject's memory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 response stored in the response storage unit 150 .

평가부(150)가 사용자 응답에 따라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A method for the evaluation unit 150 to evaluate memory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a user's respons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평가부(150)는 표시된 각 검사용 이미지에 대한 정답률, 응답에 소요된 응답 시간 등을 이용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valuation unit 150 may evaluate memory and concentration by using a correct rate for each displayed test image, a response time required for a response, and the like.

같은 이미지 그룹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동일한 제1 시간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것이므로, 기억력과 집중력 평가에 공통되는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각 이미지 그룹에 대한 정답률과 응답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할 수 있다. Since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e same image group are displayed at the same first time interval, they have properties common to the evaluation of memory and concentration, so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correct answer rate and response time for each image group. can be evaluated

또한, 평가부(150)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so, the evalu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evaluate memory and concentration using machine learning.

평가부(150)는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한 후, 이 사용자의 연령대와 학력 등 조건이 유사한 집단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After evaluating the memory and concentration of the user, the evaluation unit 150 may provi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n a group having similar conditions such as the age and academic background of the user.

구체적인 예로서, 평가부(150)는 1차와 2차로 표시된 반복 제시 이미지에 대한 정답률과 응답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기 기억력을 정량화하고, 3차로 표시된 반복 제시 이미지에 대한 정답률과 응답 시간을 기초로 사용자의 장기 기억력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연령대별 분포상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퍼센트 지표 등으로 표시해 줄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evaluation unit 150 quantifies the short-term memory of the user based on the correct answer rate and response time for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displayed in the first and second order, and based on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response time for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in the third order can quantify the user's long-term memory, and display the user's location in the distribution by age group as a percentage index, etc.

그러면, 사용자는 연령과 학력 등이 자신과 유사한 타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기억력과 집중력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게 된다.Then, the user can know the level of his or her memory and concentr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users whose age and academic background are similar to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이,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이루어진다.6 i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the screen, and the user's response regarding whether the image for examination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The receiving process is repeated during the inspection time.

구체적으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이 시작되면, 현재 순서의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10, S211).Specifically, when the measur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is started, an image for examination of the current sequen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S210, S211).

단계 S211을 통해 표시된 검사용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미지 표시 구간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구간은 0.1초 이상 1초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section in which the examination image displayed through step S211 maintains the displayed state on the scree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section in which the image for examination is displayed may be configured for 0.1 second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그리고, 응답 대기 구간 동안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다(S212, S213).Then, during the response waiting period, the user's response as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examina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is input (S212, S213).

응답 대기 구간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대기 구간은 검사용 이미지의 표시가 종료된 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되는 즉시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sponse waiting perio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esponse waiting period may be configured to start after the display of the image for examination is finished, or may be configured to start immediately after the image for examination is displayed.

사용자는 단계 S211을 통해 표시된 현재 순서의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다면 '예'에 대응하는 응답을 입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에 대응하는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 만일, 응답 대기 구간 동안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아니오'를 입력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response corresponding to 'yes' if the image for examination of the current order displayed through step S211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and otherwise may input a response corresponding to 'no'. If a user response is not received during the response waiting period, it may be processed as input of 'no'.

응답 대기 구간이 종료되면, 검사 시간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시 단계 S211로 진행하여 다음 순서의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검사를 종료한다(S214, S215).When the response waiting period end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1 again depending on whether the examination time remains, and the image for the next examin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r the examination is terminated (S214, S215).

만일 응답 대기 구간이 종료하는 시점과 다음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할 시점이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할 시점까지 기다린 후, 단계 S211을 진행할 수 있다.If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sponse waiting period ends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next examination image is displayed do not match, after waiting until the time point at which the next examination image is displayed, step S211 may be performed.

이미지 표시 구간과 응답 대기 구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구간은 0.1초 이상 1초 이하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응답 대기 구간은 5초 이내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section and the response waiting secti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s a specific example, an image display section in which an image for examination is displayed may be configured for 0.1 seconds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and a response waiting section waiting for a user's response may be configured for 5 seconds or less.

단계 S211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는 크게 일반 이미지와 반복 제시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이미지는 검사 시간 동안 한 번만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이고, 반복 제시 이미지는 두 번 이상 반복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를 말한다.The image for examin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n step S211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general image and a repeated presentation image. Here, the general image is an image for examination that is displayed only once during the examination time, and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refers to an image for examination that is repeatedly displayed twice or mor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복 제시 이미지는 검사 시간 도중 임의 시점에 1차로 표시되고, 제1 시간 간격(Ps)이 경과된 후 2차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시간 간격(Pl)이 경과된 후, 다시 3차로 표시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splayed primarily at an arbitrary time during the examination time, and is displayed secondarily after the first time interval Ps has elapsed. Then, after the second time interval Pl has elapsed, it is displayed as a third time again.

이러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종류로 이루어진다. 즉, 반복 제시 이미지는 제1 시간 간격(Ps)이 T1인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부터 제1 시간 간격(Ps)이 Tm인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까지 존재한다. 여기서,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T1 < T2 <...< Tm'이다.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terval. That is,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exist from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group hav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of T1 to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group hav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of Tm. Her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T1 < T2 <...< Tm'.

그리고, 각각의 반복 제시 이미지 그룹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된다.In addition, each repeatedly presented image group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repeatedly presented images.

각 종류에 속한 서로 다른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는 5개 이상 15개 이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umber of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may consist of 5 or more and 15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종류는 3종류 이상 10종류 이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may be composed of 3 or more and 10 or less typ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검사의 효율성,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의 정확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efficiency of the test,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the like.

하나의 예로서,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선형적인 차이가 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각 이미지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5
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정수이다.As an example,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may be set to have a linear difference.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image type is
Figure pat00005
can be set to be proportional to where n is an integer.

제1 시간 간격(Ps)과 제2 시간 간격(Pl)을 결정하는 기준으로는 통상적으로 단기 기억 유지 시간으로 알려진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 간격은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하로 구성하고, 제2 시간 간격은 단기 기억 유지 시간보다 길게 구성할 수 있다.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first time interval Ps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Pl, a time commonly known as a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first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short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may be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즉, 단기 기억 유지 시간 내에 1차와 2차로 반복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단기 기억력에 대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3차로 다시 한번 표시하는 것은 단기 기억 유지 시간 내에 리허설된 이미지를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기억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장기 기억력과 집중력에 대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That is, repeat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display withi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can be an evaluation factor for the user's short-term memory. In addition, sinc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image rehearsed withi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remembered even after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elapses, displaying it once again in the third time can be an evaluation factor for the user's long-term memory and concentration.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기억력과 집중력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각종 요인이나 연구 결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30초 정도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 정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or research results for accurate measur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for about 30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configured for about 20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더욱 많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반복 제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mor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measure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a method for displaying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may be variously configured.

예를 들어, 어느 이미지 종류에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이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 이미지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는 3차 표시를 생략하고, 1차 표시와 2차 표시만 실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time interval set for an image type exceeds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this image type will omit the tertiary display, and only the primary display and the secondary display may be executed. have.

그러면,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후에 2차로 표시되는 반복 제시 이미지에 대한 정답율은 감소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평가 기준 설정 등 통계와 기계학습 등을 통한 정확한 기억력 평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Then, the correct answer rate for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secondarily after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decreases, but this information can be a great help in accurate memory evaluation through statistics such as setting evaluation criteria and machine learning.

사용자의 기억력과 집중력 측정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그 적절성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1 시간 간격, 제2 시간 간격,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 검사 시간, 반복 제시 이미지 종류의 개수,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appropriateness of the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emen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situation, depending on the user information, the first time interval, the second time interval, the time to display the image for examination, the waiting time for the user's response It may be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of a time, an examination time,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 types, and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여기서 검사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정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사용자의 연령과 학력 등을 들 수 있다.Here, the user information that may affect the examination process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specific examples may include the user's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1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되거나 생략되었다.In describing the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pparatus 100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shown in FIG. 1 ar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그러나, 검사용 이미지의 표시,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 수신, 이미지 표시 주기의 구성, 일반 이미지와 반복 제시 이미지의 구성, 제1 시간 간격과 제2 시간 간격, 반복 제시 이미지의 종류, 단기 기억 유지 시간 등 집중력 측정 장치(100)에 대해 설명된 각 내용은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display of the examination image,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user as to whether the examina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display period, the composition of the normal image and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the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Each of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100, such as the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and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does not go against its properties.

본 발명에 따른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예를 들자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또는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Examples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r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eatures or fiel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110: 이미지 저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입력부
140: 검사부
150: 응답 저장부
160: 평가부
100: A device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110: image storage unit
120: display unit
130: input unit
140: inspection unit
150: response storage
160: evaluation unit

Claims (25)

검사용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용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과정을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수행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시간 동안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에는, 한 번만 표시되는 일반 이미지와, 반복 표시되는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며,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1차 표시된 후 제1 시간 간격을 두고 2차 표시되고, 2차 표시된 후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3차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 개의 종류로 구분되며, 각 종류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for examination;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the screen;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response; and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examination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on the display unit and receiving a user's response as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examination image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is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including an inspection unit that
The examination image display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includes a general image displayed only once and a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repeatedly,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splayed secondarily with a first time interval after the first display, and is displayed tertiarily with a second time interval after the second display,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terval, and each typ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repeatedly presented images,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이미지는 0.1초 이상 1초 이하의 시간 동안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st image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for a time of 0.1 seconds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은 상기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된 후, 5초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ime to wait for the user's response is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5 seconds after the test image is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ime interval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time interval is characterized in that long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20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는 5개 이상 15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is 5 or more and 15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의 종류는 3종류 이상 10종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s of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are 3 or more and 10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6
(n은 정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Figure pat00006
(n is an integer), characterized in that proportional to,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시간 간격, 상기 제2 시간 간격, 상기 검사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시간,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 상기 검사 시간,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 종류의 개수, 및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first time interval, the second time interval, the time to display the image for inspection, the time to wait for the user's response, the inspection time, the number of types of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and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characterized in that,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연령 및 학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ser information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of age and academic backgr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간격이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3차 표시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time interval exceeds a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the tertiary display is omitted,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응답 저장부; 및
상기 응답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espons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er's response; and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further comprising an evaluation unit for evaluating memory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stored in the response storage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표시된 각 검사용 이미지에 대한 정답률, 및 응답에 소요된 응답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valuation unit uses at least one of a correct rate for each displayed image for examination and a response time required for a response, characterized in that for evaluating memory and concentration, a memory and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사용자의 기억력 및 집중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검사용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용 이미지가 이전에 표시된 적이 있었는지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단계가, 검사 시간 동안 반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사 시간 동안 표시되는 검사용 이미지에는, 한 번만 표시되는 일반 이미지와 반복 표시되는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며,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1차 표시된 후 제1 시간 간격을 두고 2차 표시되고, 2차 표시된 후 제2 시간 간격을 두고 3차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복수 개의 종류로 구분되며, 각 종류에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반복 제시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A method of measuring a user's memory and concentration,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for examination on a screen; and
The step of receiving a user's response as to whether the image for examination has been previously displayed is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The examination image displayed during the examination time includes a general image displayed only once and a repeated presentation image displayed repeatedly,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splayed secondarily with a first time interval after the first display, and is displayed tertiarily with a second time interval after the second display,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first time interval, and each typ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이미지는 0.1초 이상 1초 이하의 시간 동안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est image is a method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for a time of 0.1 second or more and 1 second or less.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응답을 대기하는 시간은 상기 검사용 이미지가 표시된 후, 5초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ime to wait for the user's response is a method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5 seconds after the image for examination is display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time interval is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time interval is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nger than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은 20초 이상 40초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is a method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20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종류에 속한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개수는 5개 이상 15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repeated presentation images belonging to each type is 5 or more and 15 or les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의 종류는 3종류 이상 10종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 method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s of the repeatedly presented image are 3 or more and 10 or les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제시 이미지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Figure pat00007
(n은 정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time interval corresponding to each type of the repeated presentation image is
Figure pat00007
A method of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portional to (n is an integ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간격이 기설정된 단기 기억 유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3차 표시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first time interval exceeds a preset short-term memory retention time, the tertiary display is omitted, a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시스템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 system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measuring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4 in a computer system is recorded.
KR1020200001359A 2020-01-06 2020-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KR102354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59A KR102354581B1 (en) 2020-01-06 2020-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359A KR102354581B1 (en) 2020-01-06 2020-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81A true KR20210088181A (en) 2021-07-14
KR102354581B1 KR102354581B1 (en) 2022-01-24

Family

ID=7686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359A KR102354581B1 (en) 2020-01-06 2020-01-06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5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584B1 (en) * 2021-08-09 2022-09-08 주식회사 이모코그 Method for diagnosing dementia based on im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555A (en) 2004-07-28 2006-02-02 박종한 Mini-memory test for screening for memory impair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555A (en) 2004-07-28 2006-02-02 박종한 Mini-memory test for screening for memory impair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oloMartini, Short-term memory for pictures seen once or twice, Vision Research(2009.06.30., 49권)*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584B1 (en) * 2021-08-09 2022-09-08 주식회사 이모코그 Method for diagnosing dementia based on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581B1 (en)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Freitas et al. The effects of dual task gait and balance training in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Van der Elst et al. The Letter Digit Substitution Test: normative data for 1,858 healthy participants aged 24–81 from the Maastricht Aging Study (MAAS): influence of age, education, and sex
Heinemann et al. Measuring participation enfranchisement
Worrell et al. Reliability and structural validity of cross racial identity scale scores in a sample of African American adults
Curtis et al. An examination of factors related to plagiarism and a five-year follow-up of plagiarism at an Australian university
Keyes et al. Epidemiology matters: a new introduction to methodological foundations
US20210398083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uller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outcome measures within mental health practice
Pritchard et al. Factors impacting the household and recreation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Freeman et al. Evaluating change in mobility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relative responsiveness of four clinical measures
CN105139317A (en) Cognitive Index analyzing method for interest orientation value test
Shawky Measuring geographic and wealth inequalities in health distribution as tools for identifying priority health inequalities and the underprivileged populations
Ellison et al. Determining eye–hand coordination using the sport vision trainer: An evaluation of test–retest reliability
Dahri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 application from AI perspective in rural areas of Pakistan
Marquardt et al. How to rate the quality of a research paper: introducing a helpful algorithm for architects and designers
KR1023545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sonal Memory and Concentration based on Recognition Memory
Jaafari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in Iranian colleg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urner et al. Spiritually informed interventions and psychot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ghiêm-Phú Perceptual and Functional Antecedents of Local Residents' Support-for-Tourism: Findings of a Study in Hanoi, Vietnam
Yazdani The occupational wholeness questionnaire
JP2020003690A (en) Learning support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odriguez-Duenas et al. How can technology assist occupational voice users?
Ferguson et al. Thoracic surgeons' perception of frail behavior in videos of standardized patients
KR102296266B1 (en)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device that provides a user&#39;s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function based on a problem solving of difficulty levels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jects
Schmitz et al. The effect of momentary mood on appraisal of facial affect and distrust: An experimental approach using ambulatory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