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626A -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626A
KR20210087626A KR1020200000586A KR20200000586A KR20210087626A KR 20210087626 A KR20210087626 A KR 20210087626A KR 1020200000586 A KR1020200000586 A KR 1020200000586A KR 20200000586 A KR20200000586 A KR 20200000586A KR 20210087626 A KR20210087626 A KR 2021008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ight
makeup
light emit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157B1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배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준 filed Critical 배민준
Priority to KR102020000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는, 바디와, 캡, 그리고, 상기 바디에 구비된 안내제어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 안내제어 회로부는, 상기 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캡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타 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 모뎀과, 상기 무선 모뎀을 통해 상기 타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1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검출부가 상기 캡의 열림을 감지한 시점부터 닫힘을 감지한 시점까지의 시간격, 즉 실제 화장품 사용 추정시간이 상기 특정 정보에 포함된 지정 시간보다 짧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제 1점소등 상태와는 구별되는 제 2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smetic container having a guide function of make-up sequence according to a make-up method}
본 발명은, 개인이 화장을 함에 있어서, 담겨진 내용물이 사용되어야 하는 순서임을 안내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메이크업)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얼굴은 타인에게 스스로를 알려 자신에 대한 인상을 심어주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키되, 트렌트에 맞게 자신의 개성을 살려 화장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남성들도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연예인 등과 같은 특수 직업군의 경우에는, 대신하여 전문적으로 화장을 해주는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도움으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며 때와 장소에 맞는 화장법으로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반인의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매우 특별한 날이 아니면 타인의 전문적인 도움이나 별도의 화장법에 대한 정보 없이 스스로 자신의 생각이나 취향에 따라 화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화장이 동일한 화장품들을 사용하였을 때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화장된 모습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는, 사용하는 화장품들의 선택 및 각각의 사용시간, 순서 등에 대한 최적의 사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적으로 특별한 날을 맞아, 일상적인 화장 스타일을 벗어나 특별한 스타일을 추구하고자 할 때, 또는, 처음으로 화장을 하는 초보자인 경우에,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위한 최적의 화장법을 알 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된 모습이 자신이 그려보는 이미지와 다른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인터넷이나, 잡지 등을 통해 특별한 화장 스타일을 위한 화장법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화장품들의 사용 순서나 개별 화장품의 적절한 시간 또는 화장 정도 등을 확인하면서 화장을 해야 하는데, 이는 번거롭기도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화장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화장법을 한번 확인한 후, 기억에 의존해서 그 방법에 따른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그 화장법이 의도한 화장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는 화장 결과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인이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화장 방법을 안내받는다면 보다 좋은 화장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화장 가이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이라 약칭한다. )이 개발되어야 하겠지만, 이와 함께 그러한 앱과 통신을 통해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화장품도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의 화장에 있어서, 담겨진 내용물이 사용되어야 하는 순서 임을 안내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의 화장에 있어서, 담겨진 내용물이 화장에 사용된 정도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는, 상기 내용물을 담고 있는 상부가 개구된 바디와, 상기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바디와 결합된 캡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안내제어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는, 상기 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캡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타 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 모뎀과, 상기 무선 모뎀을 통해 상기 타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1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검출부가 상기 캡의 열림을 감지한 시점부터 닫힘을 감지한 시점까지의 시간격이 상기 특정 정보에 포함된 지정 시간보다 짧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제 1점소등 상태와는 구별되는 제 2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간격이 상기 지정 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3점소등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정보는, 정해진 화장 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현재 사용되어야 함을 알리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 스타일을 위해 필요한 화장품임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특정 정보에 앞서 상기 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4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1, 제 2, 제 3, 그리고 제 4점소등 상태는 모두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들의 구별은, 점등 또는 소등, 점등 색상, 점등되는 발광소자, 또는 점멸 주기에 의해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는, 가청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원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캡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원 소자를 구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순서에 대한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한 화장법에 있어서 현재 어떤 화장품을 사용하여야 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하므로, 원하는 화장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동일 종류이지만 색상이나 색조를 다르게 표현하는 화장품들이 다수개 있을 때도, 사용자가 캡이나 커버 등을 오픈하여 개별 화장품의 색조 등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없이, 화장품 용기에 표시된 점등 상태를 통해, 이용자가 선택한 화장 스타일에 맞는 개별 화장품을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는 원하는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을 위해 필요한 정도의 해당 화장품의 사용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스타일에 맞는 화장을 보다 충실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순서에 대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들의 외관을 각기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하단부 등에 장착 또는 매립 형태로 구비되는 안내제어 회로부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장 스타일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 가이드 기기와, 화장 순서에 대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간에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순서에 대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서 수행되는 안내 동작에 대한 상태 천이도의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광소자 등을 통해 나타내는 점소등 상태가 통지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순서에 대한 표시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들(10,10')의 외관을 예시한 것으로서, 각 용기(10,10')는, 내측공간에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상부가 개구된 바디(1,1')와, 그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바디(1,1')에 조립 또는 결합된 캡(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 및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화장품 용기(10,10')에 부속된, 예를 들어 바디(1,1')의 측부 및/또는 하단부 등에 장착 또는 매립된 안내제어 회로부(1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 및 1b의 각 화장품 용기(10,10')에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LED들과 같은 복수개의 발광소자(103,103')가 바디(1,1')의 측면에 구비되고, 또한 갭(2,2')이 바디(1,1')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그 밀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Sw,Sw')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예시된 각 스위치(Sw,Sw')는 캡에 의해 가해지는 힘과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지만, 물리적 이동없이 캡(2,2')의 바디(1,1')에의 밀착여부를 감지( 예를 들어, 방전(discharge) 경로가 형성되는 지의 여부를 감지 )하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발광소자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그 단일의 발광소자가 서로 다른 몇가지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만약, 단일 색상으로만 발광하는 하나의 발광소자가 구비된다면, 이 경우에는 표시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점등되는 방식이 달라진다. 상기 발광소자(103)의 점등이 표현하고자 하는 상태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의 안내제어 회로부(100)는, 도 1a 및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화장품들의 용기에 부착 또는 매립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a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에 구비된 것을 전제한다.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는, 캡과 바디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Sw)를 포함하면서 그 스위치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부(101)와, 용기(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발광소자(103)와, 가청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원 소자의 하나인 버저(buzzer)(104)와, 국부 영역에 제공된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을 액세스하기 위한 WiFi 모뎀(102)과, 상기 WiFi 모뎀(102)을 통해 다른 기기와 정보를 교환하며, 이와 함께 상기 개폐 감지부(10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103)의 구동과 버저(104)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저(104)도 외부로 음이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바디(1)에 구비되며,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는, 상기 바디(1)에 함께 매립된 또는 별도로 장착되는 소형의 배터리에 의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는, 화장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 스타일과 관련된 화장방법을 화면을 통해 가이드하기 위한 기기와,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데, 이 가이드 기기는 특별한 앱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패드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이 특별한 앱은, 특정의 서버에 구비된 대용량 저장수단에 수록되어 있다가, 그 특정의 서버에 또한 구비된 통신수단에 의해 통신망를 통해 상호 연결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가 행하는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에 따라 그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할 수 있는 통상의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시스템(O/S) 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설치된 소프트웨어 부분이 실행되면, 그 단말기는, 기 구비된 하드웨어 자원과 함께 도 2에 예시된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와 통신망을 통해 정보교환할 수 있는 기기가 된다. 이러한 기기를 본 명세서에서는 '화장 가이드 기기'라 칭한다.
도 3은, 이와 같은 화장 가이드 기기(20)가,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 스타일에 맞는 화장품 사용순서에 따라,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10)(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용기를 'IOT 용기'라 칭한다. )와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이 신호 흐름에 개입하는 임의의 IOT 용기에 설치된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의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상태 천이도의 일 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4에 예시된 흐름도와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장 가이드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의 특정한 요청이 있게 되면, 예를 들어 다양한 화장 스타일의 제시 요구가 있으면,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화장 스타일을 화면 상에 제공하면서(P30), 그 기기가 현재 있는 장소, 예를 들어 댁내에 통신망을 형성하고 있는 WiFi 망을 통해, 주변의 화장품들( 보다 구체적으로는 IOT 용기들 )을 조회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S31).
그러면, 사용자와 동일 공간내(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방, 댁내의 화장대 등 )에 있는 모든 IOT 용기들 중 하나인 상기 용기(10)에 부착 또는 매립 설치된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의 상기 WiFi 모뎀(102)은, 접속된 WiFi 망을 통해 상기의 조회 메시지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 수신된 신호에서 조회 메시지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M01)에서 상기 WiFi 모뎀(102)으로부터 전달된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S401), 자신에게 기 설정되어 있는 화장품 고유코드를 그 조회 메시지의 응답으로서 전송하고(S32,S402), 다시 대기 모드(M01)로 진입한다. 응답으로서 전송하게 되는 상기 화장품 고유코드는 해당 화장품의 제조회사 코드, 화장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 그리고 색상 또는 색조를 나타내는 코드가 결합되어 또는 제조회사 코드없이 화장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와 색조( 또는 색상 )의 코드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에는 제조사가 해당 제품을 개별적으로 식별케 하는 일련번호가 부가될 수 있지만, 상기 고유코드에는 제품을 개별적으로 식별케 하는 일련번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는, 위와 같이, 주변의 각 IOT 용기가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서 전송하는 화장품 고유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각기 수신하여, 그 고유코드를 수송한 IP 패킷의 송신자의 IP주소와 함께 기록해 둔다.
이와 같이 현재 주변에서 이용할 수 있는 화장품들( 즉, 그 화장품을 내용물로 담고 있는 IOT 용기 )이 확인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선택하면(S33),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는, 그 화장 스타일과 연계되어 수록되어 있는 화장 가이드 정보를 읽고, 그 가이드 정보에 근거해, 해당 스타일의 화장을 위한 권장 화장법, 즉 필요한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 순서와 각 개별 화장품의 권장 사용시간, 그리고 전체 화장 소요시간 등을 보여주는 화장절차 가이드를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 순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는, 화장절차 가이드상 사용해야 하는 순서에 따라 해당 순서의 화장품에 대해서, 그 화장품의 IOT 용기에 대해 앞서 확인하여 기록해 둔 IP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현순서 통지 메시지를 구성하여 WiFi 망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전송하는 통지 메시지에는 해당 순서의 화장품에 대한 사용 권장시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서로 개별 화장품들에 전송하게 되는 현순서 통지 메시지가 상기 용기(10)에 구비된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100)를 목적지로 하면(S34), 이 통지 메시지는 상기 WiFi 모뎀(102)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된다(S411).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복수개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발광소자(103) 중에서 현재 사용되어야 할 순서 임을 나타내는 발광소자, 예를 들어 특정 표기가 부기된 또는 특정 색의 LED를 점등시킨다(S412). 단일의 발광소자인 경우에는, 소등 상태에서 점등 상태로 변경시키거나 또는 점등 색상을 특정 색으로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에 대한 점등 또는 소등의 상태(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 색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된 상태를 통합하여 '점소등(點消燈) 상태'라 칭한다. )를 이전의 점소등 상태와 다르게 변경시킨 후,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 대기중 모드(M02)로 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 대기중 모드로의 전환과 함께, 상기 버저(104)를 구동하여 특정 음의 소리가 일정 횟수 반복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 대기중 모드로 진입함과 동시에, 기 지정된 대기 제한시간을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에 설정한 후 그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장 스타일에 필요한 화장품들에 대한 사용 순서를 화면 상에 표시할 때, 그 필요한 화장품들에 대해서 '필요 화장품'임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어부(110)는, 대기 모드(M01)에서, '필요 화장품'의 통지 메시지를 상기 WiFi 모뎀(102)을 통해 수신할 때, 상기 발광소자(103)를 구동하여 필요한 점등 상태가 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점등 상태에 있는 개별 화장품들을 쉽게 선별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편리한 화장을 할 수가 있다.
필요 화장품임이 통지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10)는, 현순서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의 상기 발광소자(103)에 대한 점소등 상태를, 상기 필요 화장품 통지 메시지의 경우에 대한 점소등 상태와는 구분되게 한다. 예를 들어, 만약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구비된 경우에는, 필요 화장품 통지일 때와는 다른 색상의 발광소자만이 점등된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거나, 또는 복수개가 모두 동일 색상의 발광소자일 때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태를 알리는 표기(51)가 된 발광소자만이 점등된 점소등 상태로 변경시키고(52), 단일의 발광소자인 경우에는, 그 발광소자를 필요 화장품 통지일 때와는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는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거나, 아니면, 필요 화장품 통지일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점등되는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다. 즉, 필요 화장품임이 통지되었을 때는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현순서임이 통지되었을 때는 점멸이 반복되는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현순서임의 통지 시에 행하는 상기와 같은 표시 및/또는 알람을 통하여 사용자는 해당 화장품을 현시점에 사용해야 함을 쉽게 인지하게 되고, 이 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10)의 캡이나 커버를 열면,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Sw)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변하게 되고, 상기 개폐 감지부(101)의 출력신호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도 2의 구성 예에서는, 캡이 열린 상태가 되면 스위치(Sw)가 회로선을 단락하게 되어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 감지부(101)의 출력 전압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천이하게 된다.
사용 대기중 모드(M02)에서, 캡(2)의 개방에 따른 이러한 신호 천이를 검출하게 되면(P35,S421), 상기 제어부(110)는, 화장품 사용시작 알림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WiFi 모뎀(102)을 통해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로 전송하고(S36), 동시에, 앞서 구동한 제한시간 타이머를 중단시키면서 화장시간 측정용 타이머를 구동시킨 후(S422), 현재의 모드를 화장 중 모드(M03)로 전환한다.
만약, 캡의 열림에 따른 신호가 검출될 때의 모드가 상기 사용 대기중 모드(M02)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버저(104)를 구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는, 순서상 현재 사용하여야 할 화장품이 아님에도 사용자가 캡이나 커버 등을 오픈한 경우이고, 이는 사용자가 순간적인 착각이나 실수 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는 주의를 기울여 현재 순서임을 나타내는 표시가 된 다른 화장품을 찾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 대기중 모드(M02)에서 상기 제한시간 타이머가 타임아웃(time-out)될 동안, 캡의 개방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발광소자(103)에 대한 점소등 상태를 초기화시킨 후 대기 모드(M01)로 전환한다.
사용자는 해당 화장품 용기(10)의 캡(2)을 열고, 해당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화장을 한 후에 그 캡을 다시 닫으면,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Sw)의 전기적 연결상태가 변하게 되어 상기 개폐 감지부(101)의 출력 신호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10)가 캡의 닫힘을 검출하게 된다(S431).
화장 중 모드(M03)에서 캡(2)의 닫힘이 검출되면(P38), 상기 제어부(110)는, 그때까지 지속되어 상기 화장시간 측정용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측정 시간(P37)과, 앞서 수신한 현순서 통지 메시지에 실려서 전달된 권장시간과 비교한다(S432). 그 비교에서 측정 시간이 권장시간 이상이면, 권장시간 만큼 화장이 진행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완료 메시지를 구성하고(S433), 만약, 타이머 측정 시간이 권장시간 미만이면, 권장시간 만큼 화장이 진행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완료 메시지를 구성하여(S434), 상기 WiFi 모뎀(102)을 통해 그 구성한 화장완료 메시지를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로 전송한다(S39).
그리고, 타이머의 측정 시간이 권장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는, 현순서임을 알리기 위해 점등되어 있는 발광소자를 소등시킨다. 현순서임을 알리는 발광소자의 점등을 사용자가 캡 등을 개방하였을 때 미리 소등시킬 수도 있다.
만약, 타이머 측정 시간이 권장시간 미만이라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발광소자(103)에 대해, 권장시간 이상일 때와는 다른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103) 중에서, 사용자의 해당 화장품의 사용 정도가 원하는 화장 스타일을 위해서는 불충분할 수도 있음을 알리는 색상의 또는 표기가 된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점등되는 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거나, 단일의 발광소자에 대해 그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점소등 상태( 현재 순서임을 나타낼 때의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점멸하는 깜빡임, 또는 현재 순서임을 나타낼 때의 색상과 구별되는 특정 색상으로 점등 등 )로 전환시켜 일정시간 동안 유지한다(S435).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때 상기 버저(104)를 통해 경고음을 수 회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특별한 점소등 상태에 의한 시각적 정보나 청각적 알람을 통해, 해당 화장품의 캡을 닫는 순간 해당 화장품을 사용한 화장이 불충분할 수도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불충분 가능성을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인지할 수 있게 한 후 대기 모드(M01)로 전환한다.
불충분할 수도 있는 화장에 대한 처리는, 앞서 전송한 화장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화장 가이드 기기(20)가 그 메시지에 따라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사용자의 적절한 화장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위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Sw,Sw': 캡 열림/닫힘 감지용 스위치 1,1': 용기의 바디
2,2': 용기의 캡 10,10': IOT 용기
20: 화장 가이드 기기 100: 안내제어 회로부
101: 개폐 감지부 102: WiFi 모뎀
103: 발광소자 104: 버저(buzzer)
110: 제어부

Claims (5)

  1.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고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담고 있는 상부가 개구된 바디와,
    상기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바디와 결합된 캡과,
    상기 바디에 구비된 안내제어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는,
    상기 바디의 외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캡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검출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타 기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무선 모뎀과,
    상기 무선 모뎀을 통해 상기 타 기기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1점소등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검출부가 상기 캡의 열림을 감지한 시점부터 닫힘을 감지한 시점까지의 시간격이 상기 특정 정보에 포함된 지정 시간보다 짧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제 1점소등 상태와는 구별되는 제 2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인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격이 상기 지정 시간보다 짧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3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3점소등 상태는, 상기 제 1점소등 상태 및 상기 제 2점소등 상태와 서로 구별되는 것인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정해진 화장 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현재 사용되어야 함을 알리는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기의 내용물이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 스타일을 위해 필요한 화장품임을 알리는 정보가, 상기 특정 정보에 앞서 상기 타 기기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구동하여 제 3점소등 상태가 되게 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3점소등 상태는, 상기 제 1점소등 상태 및 상기 제 2점소등 상태와 서로 구별되는 것인 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점소등 상태, 상기 제 2점소등 상태 및 상기 제 3점소등 상태는, 점등 또는 소등, 점등 색상, 점등되는 발광소자, 또는 점멸 주기에 의해 시각적으로 서로 구별되는 것인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제어 회로부는, 가청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원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특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상기 캡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원 소자를 구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더 구성된 것인 용기.
KR1020200000586A 2020-01-03 2020-01-03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425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86A KR102425157B1 (ko) 2020-01-03 2020-01-03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586A KR102425157B1 (ko) 2020-01-03 2020-01-03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26A true KR20210087626A (ko) 2021-07-13
KR102425157B1 KR102425157B1 (ko) 2022-07-26

Family

ID=7685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586A KR102425157B1 (ko) 2020-01-03 2020-01-03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524A (ja) * 2001-11-09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薬剤保存容器
KR20100030508A (ko) * 2008-09-10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KR20190025090A (ko) * 2017-08-28 2019-03-11 (주)아이팩 화장품 용기
JP2019518483A (ja) * 2016-03-17 2019-07-04 カーリー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ali Care, Inc. 容器用のネットワーク接続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524A (ja) * 2001-11-09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薬剤保存容器
KR20100030508A (ko) * 2008-09-10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JP2019518483A (ja) * 2016-03-17 2019-07-04 カーリー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Kali Care, Inc. 容器用のネットワーク接続キャップ
KR20190025090A (ko) * 2017-08-28 2019-03-11 (주)아이팩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157B1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2127B (zh) 发光控制方法和装置
CN105093913B (zh) 智能手表、操作控制方法及装置
KR102273306B1 (ko) 전자 장치들 사이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CN105517277B (zh) 照明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656754B1 (ko) 기능설정 스위치 모듈이 구비된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4837280B (zh) 照明控制装置
CN110114741A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CN113286282B (zh) 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目标设备、连接系统及介质
CN104820631A (zh) 对外部设备状态的呈现方法、装置及用户终端
CN104965452B (zh) 智能插座开关状态显示方法和装置、智能终端和服务器
CN106954321A (zh) 调节灯光的方法及装置
CN108702833A (zh) 包括发光装置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CN113438564B (zh) 控制系统、终端的处理方法、无线开关及其处理方法
CN108989573A (zh) 一种消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CN10708550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425157B1 (ko) 화장법에 따른 화장순서의 안내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023527B1 (ko) 화장품 용기
CN110096249A (zh) 用于提示快捷唤醒词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138042A (zh) 一种在充电盒显示电量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3064641A (zh) 电控设备的预设平台的启动方法及系统、终端和电控设备
CN115665595A (zh) 无线开关及其处理方法,以及控制系统
CN108122395A (zh) 遥控器寻找方法、灯具遥控器、以及灯具遥控器寻找系统
CN107179872A (zh) 键盘的显示方法、显示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832314A (zh) 美容仪及其控制方法、美容装置及存储介质
CN10750875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