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267A -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 Google Patents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267A
KR20210087267A KR1020200000320A KR20200000320A KR20210087267A KR 20210087267 A KR20210087267 A KR 20210087267A KR 1020200000320 A KR1020200000320 A KR 1020200000320A KR 20200000320 A KR20200000320 A KR 20200000320A KR 20210087267 A KR20210087267 A KR 20210087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horizontal
plant cultivation
vertic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형
오소정
한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267A/en
Publication of KR2021008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1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a packing material thereof which can prevent damage during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efficiently conducts packing. The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comprises a containe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seeds and bed soil; and an outer cover for shielding the receiving space.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 {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a packaging material thereof.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A gener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ms a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hav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stores the plants in the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supplying nutrients and light energy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the plant grows by the supplied nutrients and light energy.

종래 기술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282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박스형의 본체 내부에 식물 재배 포트가 장착되는 커버와, 식물 재배 포트에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배양액 공급유로와 배양액을 저장하는 저수 트레이가 구비되며, 상부에 식물 의 성장을 촉진 시키기 위한 엘이디 조명장치가 배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식물 재배 포트에는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이 배치될 수 있는 친환경 배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9-0028218. In this prior art, a cover on which a plant cultivation port is mounted inside the box-shaped body, a culture medium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culture solution to the plant cultivation port, and a storage tray for storing the culture medium are provided, and to promote plant growth on the top A structure in which an LED lighting device is disposed for is disclosed. In particular, the plant cultivation port may be composed of an eco-friendly medium in which seeds of plants for cultivation can be placed, and is configured to be additionally provided to a user.

이와 같은 식물 재배 포트는 통상 1회 사용 후 폐기 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비교적 저렴하거나 회수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운반 및 관리 중 쉽게 손상될수 있는 문제가 있다.Such a plant cultivation port has a structure that is usually discarded after one-time use, and therefore uses a relatively inexpensive or easily recoverable material. Therefore, it has a structurally weak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easily damaged during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또한, 파손의 방지를 위해 과도하게 견고하게 구성될 경우 그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식물 재배 장치 내부의 공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포장 또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f it is configured to be excessively rigid to prevent damage, the volume thereof may increase, so that the space efficiency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ckaging is also not efficient.

특히, 운송 및 보관 중 식물 재배 포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식물 재배 포트가 포장된 박스 내에 스티로폼 또는 비닐 충전제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될 경우 포장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case of excessive use of Styrofoam or vinyl filler in a box in which a number of plant cultivation ports are pack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plant cultivation ports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packaging costs may increase as well a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운송 및 관리 중 파손이 방지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a packaging material thereof that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ring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인 포장이 가능하게 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를 재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packaging material thereof, which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enables efficient packag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는,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에 있어서, 내부에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해당 식물의 재배를 위한 양분이 포함된 상토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에 안착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하면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드에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커버가 부착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용기 상면부; 및 상기 용기 상면부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둘레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replaceably mounted on a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he seeds of a plant for cultivation therein, and nutrients for the cultivation of the plant A contain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ntaining top soil is accommodated, and to be seated on the bed; and an outer cove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hielding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container has an upper surface opened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partially protruded downward to supply water to the bed. The container body including the inlet protrusion; a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to which the outer cover is attached;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t may include a container rim forming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지 본체부는 상기 베드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공간은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The paper body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ed, and the space may be opened downward.

상기 용기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둘레면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rim portion may be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베드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베드와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container rim portion may extend to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ed when the container body is seated on the bed.

상기 파드가 상기 베드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드의 하방으로 급수되는 물과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pod is seated on the bed, the protrusion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and extends to contact water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an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allow moisture to enter the container. can be imported.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water, and may include an absorption member provided inside the protrusion to absorb water from the bed and deliver it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채우는 제 1 흡수부재와; 상기 제 1 흡수부재와 접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 전체에 배치되는 제 2 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sorb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absorbing member filli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A second absorption member in contact with the first absorption member and disposed on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included.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흡수부재 상방에 배치되며,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양분이 포함된 흙으로 구성되는 상토; 및 상기 상토의 상면에 안착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이 배치되는 시드 페이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space, top soil disposed above the absorbent member and composed of soil containing nutrients suitable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plants; and a seed pape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on which seed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dispose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아웃 커버 하방의 공간을 채워 상기 수용 공간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buffer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to fill a space under the outer cover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상기 시드 페이퍼의 상방에는 상기 시드 페이퍼를 덮어서 상기 씨앗의 대기 노출을 방지하는 버미튤라이트 소재의 차폐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A shielding member made of vermitulite material may be formed above the seed pap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seeds to the air by covering the seed paper.

상기 아웃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상면부를 따라 부착되며, 상기 파드의 사용시 제거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와 절취선에 의해 나뉘어져 상기 커버의 제거시 상기 용기 상면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에는 재배되는 식물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shields the accommodation space, is attach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cover portion is removed when the pod is use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cover part, and includes an attachment part that is divided by the cover part and a perforation line to maintain a st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the cover is removed, and information of cultivated plants is displayed on the attachment part. can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재배되는 식물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cultivated plant may be formed on the cover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는,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파드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포장 공간; 상기 포장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가로 방향 양측단을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포장 공간의 가로 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가로 측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세로 방향 양측단을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포장 공간의 세로 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세로 측면부;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에 한쌍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하면 개구; 및 상기 하면 개구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파드의 둘레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파드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aging space in which the plate-shaped material is bent and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the p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 lower surfac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a pair of horizontal side portions bent upward along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ing a horizontal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and a pair of vertical side portions bent upward along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forming a vertical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wherein the lower surface portion includes: a lower surface opening in which a pai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pair of support parts bent upward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and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around the pod to support the pod.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면 개구의 성형을 위해 상기 하면 개구의 둘레를 따라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the lower surface opening of the support part, the cut-out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상기 지지부의 크기는 상기 하면 개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support part may be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파드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od.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로 측면부 및 세로 측면부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ide part and the vertical side part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support part may extend upwardly more than the horizontal side part and the vertical side part.

상기 가로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가로 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는 가로 외측면과 가로 상면, 가로 내측면 및 상기 가로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가로 삽입단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세로 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는 세로 외측면과 세로 상면, 세로 내측면 및 상기 세로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세로 삽입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side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outer surface and a horizontal upper surface that are continuously bent from the horizontal sid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 horizontal inner surface and a horizontal insertion end fixed through the lower surface at the ends of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outer surface, a vertical upper surface, a vertical inner surface, and a vertical insertion end fixed through the lower surface portion at the ends of the vertical inner surface that are continuously bent from the vertical sid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은 상기 하면부의 하방에더 상기 하면부와 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파드가 수용된 상태의 상기 포장재가 적층될 때,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이 하방에 위치된 파드의 용기 상면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are ben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when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state in which the pod is accommodated is stacked,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are located below the It may be supported by the top of the container.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다수회 절곡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외측면과 세로 외측면은 상기 본체 테두리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are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 space therein, and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and the vertical outer surface may protrude more outward than the main body edge portion.

상기 포장 공간의 세로 길이는 상기 파드의 세로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되고상기 포장공간의 가로 길이는 상기 파드의 정수배와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재의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파드가 연속 배치되며,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따라 한쌍의 하면 개구와 지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pod,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integer multiple of the pod, so that a plurality of pod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the pod A pair of lower surface openings and support portions may be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

상기 파드가 안착된 상태의 상기 포장재는 포장 박스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포장 박스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파드의 둘레와 상기 포장 박스를 이격 시킬 수 있다.The packaging material in a state in which the pod is seated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ackaging box,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 portions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to separate the perimeter of the pod and the packaging box.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및 그 포장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packaging material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파드는 측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되는 용기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테두리부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파드의 운송 및 관리 중 상기 파드의 둘레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용기 테두리부에서 이를 완화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파드 내부에 수용된 구성들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구성을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d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tainer rim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side is formed,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container rim. Therefor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pod during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of the pod, it can be mitigated at the container rim, and furthermore,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pod ar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impacted to protect these components Because it can be d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파드는 용기 상면부와 용기 테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 공간에 포장재의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파드가 안정적으로 포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충격에 취약한 상기 파드의 상면과 하면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드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d allows the support of the packaging material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edg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pod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packaged st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which is vulnerable to impac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pod by preventing the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surface.

그리고, 상기 파드가 장착되는 포장재는 한장의 골판지를 이용하여 접어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포장재의 가공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포장재는 별도의 접착부재나 도구의 사용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접어서 상기 파드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 수 있게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nd, since the packaging material on which the pod is mounted can be formed by folding using a single sheet of corrugated cardbo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ing of the packaging material is eas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n particular, the packaging material can be folded by hand without the use of a separate adhesive member or tool to make the pod in a form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significantly improving productivity.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포장재는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를 접어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의 단부를 상기 하면부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ckaging material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horizontal side part and the vertical side part, and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horizontal side part and the vertical side part into the lower surface part to be fixed, the shape may be maintained.

또한,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상기 파드의 둘레면 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파드의 포장 및 운송 중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파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 portions are arranged to be more outward tha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d, so that the impact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during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of the pod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pod, thereby more effectively protecting the pod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able to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다수회 접어서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side part and the vertical side part in the process of fold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tim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buffer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포장재의 하면부를 절개하여 상기 하면 개구와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를 접어 올려서 상기 파드가 양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의 장착 없이도 상기 파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may be cut to form the lower surface opening and the support, and the support may be folded up so that the pod can support both en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ply implement a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pod without the mounting of a separate additional structure.

특히,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파드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파드가 포장재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포장재와 접하지 않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상기 파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는 상기 포장재에 포장된 상태에서 한층 더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upport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pod to maintain the pod mou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ckaging material so that the external impact is You can prevent it from being passed to the Pod. Accordingly, the pod can be further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while being packaged in the packag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은 상기 하면부를 관통한 후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하면부의 바닥에서 다소 돌출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절곡된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은 상기 파드가 장착된 포장재를 적층할 때 하방의 파드의 둘레면 상단 즉, 용기 상면부와 접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중간 부재를 추가 하지 않고도 상기 파드가 안착된 포장재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파드들을 하나의 박스에 포장할 수 있게 되고 포장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bent after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and thus have a shape slightly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bent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d,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stacking the packaging material on which the pod is mounted, so that the pod can be The seated packaging material can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pods can be packaged in one box,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packag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박스의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포장재가 전체로 바닥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파드를 한층 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d can be further protected from impact by preventing the impact of the flo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entire packaging material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ox.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파드가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파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파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포장재를 이용한 파드의 포장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포장재와 상기 파드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포장재의 성형을 위한 전개도이다.
도 8은 상기 포장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포장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포장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포장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12-12'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p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4-4′ of FIG. 2 .
5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state of a pod using a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pod.
7 is an exploded view for molding the packaging material.
8 is a plan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9 is a bottom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10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11 is a side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12 is a cross-sectional view 12-12' of FIG. 5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inventions that are degenerative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element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파드가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p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30)가 사용되는 식물 재배 장치(1)는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배되는 상기 식물은 통상적으로 쌈 또는 샐러드에 사용될 수 있는 엽채, 허브 등과 같이 사용자가 취식 가능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식물들이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in which the pod 30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cludes a cabinet 10 forming a space in which plants are grown, and the cabinet The exterior may be formed by the door 20 that opens and closes (10). In this case, the cultivated plant is generally edible by the user, such as leaf vegetables, herbs, etc. that can be used for wraps or salads, and it is preferable that plants that do not occupy much space are cultivated.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재배 공간(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단열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는 온도 조절 장치에 따라서 상기 재배 공간(100)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cabinet 10 is formed to have an open front surface, and a cultivation space 100 may be provided therein. The cabinet 10 may be insulated, and the cultivation space 100 may maintain a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disposed in the cabinet.

일 예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냉동 사이클, 열전소자,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내의 공기 순환을 위한 팬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a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er, and the like, and at least one fan for circulating air in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드(11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드(110)는 상하 두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드(110)는 상기 캐비닛(10)의 크기에 따라서 2개 이상 더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beds 110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 For example, the bed 110 may be provided with tw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may be arranged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abinet 10 . Of course, two or more beds 11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binet 10 .

그리고, 상기 베드(110)는 식물의 씨앗과 재배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된 파드(30)가 다수개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드(110)에는 다수의 함몰된 안착부(11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에는 상기 파드(30)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파드(30)의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1)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30)의 하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ods 30 containing plant seeds and nutrients necessary for cultivation are seated. In detail, a plurality of recessed seating portions 111 may be provided on the bed 110 , and the pod 3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That is, the seat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30 . A plurality of the seating portions 111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pod 30 .

그리고, 상기 파드(30) 하면의 돌출부(305)는 상기 안착부(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111)의 바닥면 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110)로 공급되는 물과 접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111)의 하방에는 상기 베드(110)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집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305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30 may pass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1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1, and the bed ( 110) can be supplied with water necessary for plant growth. To this end, a water collecting part for sto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bed 110 may be formed below the seating part 111 .

또한, 상기 베드(110)는 서랍과 같이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110)에 상기 파드(30)를 안착시키거나 상기 파드(30)를 꺼내는 등 파드(30)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드(110)는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통해 식물의 성장 관리 및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d 110 may be arranged to be retractable like a drawer, and the management of the pod 30 such as seating the pod 30 on the bed 110 or taking out the pod 30 is performed. can be done easily In addition, the bed 110 may facilitate growth management and harvesting of plants through a pull-out structur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하방에는 워터 탱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탱크(140)는 상기 베드(11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추가적인 급수가 용이하도록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water tank 140 may be provided below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 . The water tank 140 is configured to store the water supplied to the bed 110 ,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take out and enter the water to facilitate additional water supply,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140 .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워터 탱크(140)와 베드의 사이에는 물 공급을 위한 유로와 펌프, 밸브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110)로 일정한 양의 물을 적시에 공급하여 상기 파드(30)가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although not shown, a flow path, a pump, a valve, etc. for supplying wat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ater tank 140 and the b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bed 110 in a timely manner. The pod 30 may be configured to absorb the supplied water.

이때, 상기 워터 탱크(140)에 저장되는 물은 양분이 포함되지 않은 통상적인 물로서, 수도물, 정수기에서 취출된 물, 생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워터 탱크(140)에서 상기 베드(110)까지의 경로 상에는 물 외에 어떠한 양분도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 및 상기 식물 재배 장치(1) 내부의 유로 상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40 is normal water that does not contain nutrients, and may be tap water, water extracted from a water purifier, bottled water, or the like. That is, no nutrients other than water are supplied on the path from the water tank 140 to the bed 110 to minimize contamination on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the flow path insid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 You can have a structure that can do that.

이와 같은 구조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양분은 상기 파드(30)를 통하여 모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구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통해 물이 공급되고, 생장에 필요한 적정 온도와 광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uch a structure can be realized because nutrients necessary for plant growth can all be provided through the pod 30 . In additio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light quantity required for growth.

한편, 상기 베드(110)의 상방에는 라이트 어셈블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130)는 상기 베드(11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식물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130)에 의해 조사되는 광량은 태양광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재배되는 식물에 최적화된 광량과 조사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assembly 130 may be provided above the bed 110 . The light assembly 130 provides light necessary for plants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bed 110 . In this case,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assembly 130 may be set similarly to sunlight, and the amount of light and irradiation time optimized for the cultivated plant may be set.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130)는 상하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베드(110) 상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13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130)는 상방에 배치된 상기 베드(110)의 하면 또는 하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assembly 130 may be provided above each of the beds 110 vertically disposed. For example, the light assembly 130 disposed above may be coupled to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 In addition, the light assembly 130 disposed below may be provided on or below the bed 110 disposed above.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반부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20)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부가 구비되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정 및 입력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assembly 120 may be provided in the opened first half of the cabinet 10 . The display assembly 120 may outp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assembly 120 may be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unit to which a user's manipulation is input to set and inpu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힌지(201)와 로어 힌지(202)가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어퍼 힌지(201)와 로어 힌지(2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재배 공간(100)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0 may have a size capable of shielding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 In addition, an upper hinge 201 and a lower hinge 20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or 20 .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10 by the upper hinge 201 and the lower hinge 202 , and the cultivation space 100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20 .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도어(20)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재배 공간(100)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복수의 단열 유리(22,23)에 의해 전면과 배면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 유리(22,23)의 사이에 프레임(2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유리(22,23)의 사이에는 단열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유리(22,23)에는 필름 또는 코팅이 더 형성되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 내부를 선택적으로 가시화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캐비닛(10)과 도어(20) 사이를 기밀 시키기 위한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door 20 may have a see-through structure, and the cultivation space 100 may be checked even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oor 20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insulating glasses 22 and 23 , and a frame 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sulating glasses 22 and 23 . An insulating gas may be filled between the insulating glasses 22 and 23 . In addition, a film or coating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sulating glass 22 and 23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visualize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 In addition, a gasket 24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door 20 may be provid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

한편, 상기 파드(30)는 소모품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파드(30)를 선택하여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넣기만 하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적합한 온도와 광량을 제공하고 급수하게 되며, 상기 파드(30)에 포함된 양분이 식물에 공급되어 배되는 작물의 수확시까지 생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d 30 is a type of consumable, an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pod 30 and puts it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provides a suitable temperature and light quantity and provides water In this case, the nutrients contained in the pod 30 are supplied to the plants so that growth can be achieved until the crop is harvested.

따라서, 상기 파드(30)는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재배 가능한 다양한 식물의 씨앗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배되는 식물에 필요한 양분이 포함된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드(30)는 단순히 사전적인 화분의 의미로만 이해되기 보다는 씨앗과, 씨앗의 성장을 위한 양분 그리고 씨앗과 양분을 수용하는 용기가 조합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는 파드 어셈블리, 씨앗 패키지, 씨앗 카트리지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Accordingly, the pod 30 may include seeds of various plants that can be grown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nd may be configured in a package form including nutrients necessary for the plant to be grown. The pod 3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 which seeds, nutrients for growth of seeds, and containers for accommodating seeds and nutrients are combined rather than simply understood as a dictionary meaning of potted plants. Therefore, the pod 30 may be variously called a pod assembly, a seed package, a seed cartridge, and the like.

상기 파드(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물을 직접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배 스케줄에 맞추어 다수의 파드(30)가 포장된 형태로 배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파드(30)는 사용자에게 운송 운반될 수 있다.The pod 30 may be used by directly purchasing a crop desired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pods 30 may be delivered in a packaged form according to a crop cultivation schedule. As such, the pod 30 may be transported to a us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파드(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od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상기 파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파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4-4'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d.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d.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4-4' of FIG. 2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드(30)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301)을 형성하는 용기(31)와, 상기 용기(3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아웃 커버(37) 그리고, 상기 용기(31) 내부에 수용되는 흡수부재(32), 상토(33), 시드 페이퍼(3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30)는 수용 공간(301)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부재(35) 완충부재(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d 30 has a container 31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301 therein as a whole, an outer cover 37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31, and the The container 31 may include an absorbent member 32 , top soil 33 , and seed paper 341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31 . In addition, the pod 30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member 35 and a buffer member 36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301 .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기 안착부(1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에서 보았을 때 네 모서리가 라운드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3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식물의 재배를 위한 씨앗과 토양 그리고 양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tainer 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in which four corners are rounded when viewed from above. In addition, the container 31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seeds, soil, and nutrient solution for plant cultivation.

상기 용기(31)는 상기 흡수부재(32)와 상토(33), 시드 페이퍼(341), 차폐부재(35) 및 완충부재(3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3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31)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301)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부(302)와,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상면부(303) 그리고, 상기 용기 상면부(303)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테두리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31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301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bsorbent member 32 , the top soil 33 , the seed paper 341 , the shielding member 35 , and the buffer member 36 . . In detail, the container 31 includes a container body part 302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301 , a container top surface part 303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art 302 , and , It may include a container edge portion 30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상기 용기 본체부(302)는 바닥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드(110)의 안착부(111)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바닥면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3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둘레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302 may have a flat bottom and may be formed to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of the bed 110 . And, it may exten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part 302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301 .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as it goes upward.

한편, 상기 용기 본체부(302)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05)는 상기 베드(110)의 안착부(111)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될 때 상기 안착부(111)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흡수부재(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301)의 내측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body 302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305 protruding downward. The protrusion 305 protrudes downwar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seating part 111 when the pod 3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1 of the bed 110, and the absorption member therein (32)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301)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돌출부(305)의 바닥면에는 돌출부 개구(305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 개구(305a)를 통해서 상기 흡수부재(32)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11)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드(110)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돌출부(305)를 통해서 상기 베드(110)에 급수된 물이 흡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rusion opening 305a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305 , and the absorption member 32 may be exposed through the protrusion opening 305a. 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ed 110 while the pod 3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1 , the water supplied to the bed 110 through the protrusion 305 will be absorbed. can

이때, 급수되는 물의 양은 상기 파드(30)에서 흡수될 수 있는 적정 양이 공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드(110)에는 장기간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may be supplied in an appropriate amount that can be absorbed by the pod 30 , and thus the bed 110 does not maintain a stat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 상면부(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상면부(303)는 상기 수용 공간(301)의 상단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아웃 커버(37)가 부착되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상면부(303)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3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302 .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forms a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space 301 , and provides a surface to which the outer cover 37 is attached. In addition,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may extend outwardly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용기 상면부(303)의 연장된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테두리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는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30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삽입 공간(306)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포장재(40)의 지지부(412)가 삽입될 수 있다. The extended end of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may include a container rim portion 304 extending downward. The container rim portion 304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 and extends downward to an insertion space 306 between the container body 302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 is formed. The support part 412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6 .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는 상기 파드(30)가 상기 안착부(111)에 안착되었을 때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는 상기 용기(31)의 가장 외측의 둘레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으로 외부 충격 또는 하중이 가해지게 될 때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와 가장 먼저 접하게 된다. The container rim portion 304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d 3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 And, the container rim portion 304 forms the outermost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31). Therefore, when an external shock or load is applied to the sid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iner rim portion 304 first.

따라서,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는 상단만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상기 삽입 공간(306)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게 될 때 완충 또는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부(302)는 상기 수용 공간(301) 내부의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의 이격된 구조에 의해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완충될 수 있으며,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의 변형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상기 용기(31)가 손상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iner rim portion 304 has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upper end is fixed, and the insertion space 306 is formed so that it can be buffered or absorbed when an external shock or load is applied. Accordingly, the container body 302 can protect the component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301 from external impact.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by the spaced structure of the container rim part 304, it can be buffered, and although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rim part 304 may occur due to an impact or load, the container 31 is damaged. can be prevented.

또한, 구조적으로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가 일부 변형되더라도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거나 사용자의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의 복원성이 우수하도록 상기 아웃 커버(37)를 제외한 상기 용기(31)는 두께가 비교적 얇은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용기(31)는 사용 후 처리가 용이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PLA:Polylactic acid)로 형성될 수 있다.Also, structurally, even if the container rim part 304 is partially deformed, it can be restored by its own elasticity or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In this way, the container 31 except for the outer cover 37 may be formed of a relatively thin resin material so as to have excellent restoration properties of the container edge portion 304, and is formed to a thickness that allows for flexible deformation. can be For example, the container 31 may be formed of a biodegradable plastic material (PLA: Polylactic acid) that is easy to process after use.

상기 흡수부재(32)는 상기 돌출부(305)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상토(33) 및 시드 페이퍼(341)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분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와 같은 섬유 소재 또는 망상의 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sorbent member 32 is a fibrous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mesh that allows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rotrusion 305 to be absorbed into the top soil 33 and the seed paper 341 . I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material or a porous material.

상기 흡수부재(32)는 상기 돌출부(305)에 수용되는 제 1 흡수부재(321)와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제 2 흡수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sorbing member 32 may include a first absorbing member 321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305 and a second absorbing member 322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

상세히, 상기 제 1 흡수부재(321)는 상기 돌출부(305)의 함몰된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05)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수부재(322)는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inner shape of the protrusion 305 , and may fill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05 . In addition,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may be formed in a sheet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

상기 제 1 흡수부재(321)와 제 2 흡수부재(32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흡수부재(321)의 상면은 상기 제 2 흡수부재(322)의 하면과 서로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흡수부재(321)를 통해 흡수 되는 물은 상기 제 2 흡수부재(322)로 전달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an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are mounte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may be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 Accordingly, water absorbed through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

상기 제 2 흡수부재(322)는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흡수부재(322)에 의해서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바닥면 전체로 균일한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흡수부재(322)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토(33)의 전 영역에 고르게 물이 전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시드 페이퍼(341)로의 균등한 수분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so tha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is uniformly formed by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water supply is possible. That is, water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top soil 33 disposed above the second absorbent member 322 , and further, water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seed paper 341 .

한편, 상기 제 1 흡수부재(321)와 제 2 흡수부재(322)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접하거나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 1 흡수부재(321)와 제 2 흡수부재(322)가 하나의 구성으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an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may be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but the first absorbing member 321 and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may be formed separately. It may be molded into one component.

상기 제 2 흡수부재(322)의 상부에는 상토(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토(33)는 식물의 생장에 칠요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는 양액과 토양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301)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액은 식물의 생장 기간 동안 지속적인 영양분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물에 녹을 수 있는 캡슐 또는 코팅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상토(33)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을 것이다. Top soil 3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absorbing member 322 . The top soil 33 may be evenly disposed throughout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space 301 in a state where the soil and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utrients essential for plant growth are mixed. 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treated with capsules or coatings that can be dissolved in water to enable continuous supply of nutrient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plants, and may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op soil 33 .

그리고, 상기 상토(33)에 포함되는 양액은 재배되는 식물에 따라 적합한 양분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의 안착 후 상기 베드(110)에 수분만 공급하게 되면 상기 파드(30)의 내부에서 수분과 양분이 모두 재배 작물에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d in the top soil 33 may contain a suitable nutrient depending on the plant to be grown. Accordingly, when only moisture is supplied to the bed 110 after the pod 30 is seated, both moisture and nutrients in the pod 30 can be supplied to the cultivated crops.

상기 상토(33)의 상면에는 시드 페이퍼(3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드 페이퍼(341)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드 페이퍼(341)에는 씨앗(341)이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씨앗(341)이 캡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씨앗(341)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시드 페이퍼(341)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씨앗(341)은 상기 시드 페이퍼(341)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가 흔들리게 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씨앗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A seed paper 34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33 . The seed paper 341 may be formed in a sheet shape, and seeds 341 may be evenly disposed on the seed paper 341 .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eds 341 may be configured in a capsule form. In this case, the seed 341 may be fixed to the seed paper 341 so as not to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seeds 341 may be fixed to the seed paper 341 with an adhesive. Therefore, even if the pod 30 is shaken or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seed will be ab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시드 페이퍼(341)는 물에 녹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전분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가 상기 베드(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분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상기 시드 페이퍼(341)는 서서히 녹아서 상기 상토(33)에 흡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드 페이퍼(341)가 녹아서 없어지게 되면 상기 씨앗(341)은 지정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토(33)에 뿌리를 내릴 수 있게 된다. The seed paper 34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oluble in water, for example, may be manufactured in a sheet shape using starch. Therefore, when the water starts to be supplied while the pod 30 is seated on the bed 110 , the seed paper 341 may be gradually melted to be absorbed into the top soil 33 . When the seed paper 341 melts and disappears, the seeds 341 can take root in the top soil 33 while maintaining a designated position.

상기 시드 페이퍼(341)의 상면에는 차폐부재(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35)는 상기 시드 페이퍼(341)의 씨앗이 대기 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드 페이퍼(341)의 상방에서 상기 시드 페이퍼(341)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shielding member 35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ed paper 341 . The shielding member 35 is to prevent the seeds of the seed paper 341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seed paper 341 above the seed paper 341 .

상기 차폐부재(35)는 수분의 흡수 및 습도의 유지가 용이한 질석(버미큘라이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쇄된 형태의 질석이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차폐부재(35)는 상기 질석 분말을 압축하여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35)는 수분의 흡수시 분쇄될 수 있으며, 수분에 의해 시드 페이퍼(341)까지 녹게 될 경우 상기 상토(3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shielding member 35 may be formed of vermiculite, which is easy to absorb moisture and maintain humidity, and may be arranged so that crushed vermiculite forms a layer. And, if necessary, the shielding member 35 may be formed into a plate shape by compressing the vermiculite powder. In addition, the shielding member 35 may be pulverized upon absorption of moisture, and when the seed paper 341 is melted by moisture, 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33 .

상기 차폐부재(35)의 상방에는 완충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6)는 상기 차폐부재(35)와 상기 아웃 커버(37)의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 충격이 완화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완충부재(36)는 스티로폼소재(PSP:Polystyrene paper)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36)는 에어 캡 또는 스폰지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35)와 상기 아웃 커버(37)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A buffer member 36 may be provided above the shielding member 35 . The buffer member 36 is form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shield member 35 and the outer cover 37,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itigating external impact.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36 may be formed of a Styrofoam material (PSP: Polystyrene paper).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36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 air cap or a sponge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shield member 35 and the outer cover 37 .

상기 완충부재(36)에 의해서 상기 아웃 커버(37)와 상기 차폐부재(35)의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파드(30)의 운송 및 관리 과정 중에 상토 또는 시드 페이퍼(341) 상의 씨앗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36)는 상기 파드(30)를 상기 베드(110)에 안착시켜 재배를 시작할 때 상기 아웃 커버(37)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over 37 and the shielding member 35 can be filled by the buffer member 36, and thus the seed on the top soil or the seed paper 341 during the transport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pod 30. This can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wobble. The buffer member 36 may be removed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37 when the pod 30 is seated on the bed 110 to start cultivation.

상기 용기(31)의 상면은 아웃 커버(37)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커버(37)는 상기 수용 공간(301)의 상면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아웃 커버(37)는 상기 파드(30)의 상면 전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상면부(303)와 접착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31 may be formed by an outer cover 37 , and the outer cover 37 shields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01 . The outer cover 37 may form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od 30 , and may be adhered to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

상기 아웃 커버(37)는 종이 또는 비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37)에는 재배되는 식물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사용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커버(37)에는 표시부(37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71A)는 상기 커버부(37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71a)는 식물의 재배 환경에 대한 정보가 바코드 또는 QR코드의 형태로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서 식물의 재배 환경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71a)를 통해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운전이 자동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아웃 커버(37)에는 식물의 재배 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NFC태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outer cover 37 may be formed of a paper or vinyl material. In addition, information on cultivated plants may be printed on the outer cover 37 to enable the user. In addition, a display portion 371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over 37 . The display part 371A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part 371 . In the display unit 371a, information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plants may be printed in the form of a barcode or QR code, and information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plants may be input through a reader provided i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 hav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automatically set through the display unit 371a.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outer cover 37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NFC tag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growing environment of the plant.

상기 아웃 커버(37)는 상기 수용 공간(301)을 차폐하는 대부분의 영역을 형성하는 커버부(371)와 상기 커버부(371)의 모서리 중 일부에 형성되는 부착부(374) 그리고 상기 커버부(371)의 다른 모서리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cover 37 includes a cover portion 371 that forms most of the area for shielding the accommodation space 301 , an attachment portion 374 formed on some of the corners of the cover portion 371 , and the cover portion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372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corner of the (371).

상기 커버부(371)는 상기 부착부(37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71)의 둘레는 상기 용기 상면부(303)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아웃 커버(37)를 분리하게 될 때 상기 용기(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cover part 371 may form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attachment part 374 .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part 37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part 303 of the container,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31 when the user removes the outer cover 37 .

상기 커버부(371)의 모서리에는 손잡이부(3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72)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372)는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외측단 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A handle portion 372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cover portion 371 . The handle portion 372 may extend in a shape protruding outward. That is, the handle portion 372 may extend to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302, and is formed so that a user can easily hold it.

상기 부착부(374)는 상기 커버부(371)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상면부(303)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374)와 상기 커버부(371)는 절취선(37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 커버(37)가 상기 용기(31)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371)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절취선(373)에 의해 상기 커버부(371)로부터 상기 부착부(374)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71)가 상기 용기(3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부착부(374)는 상기 용기 상면부(303)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attachment part 374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our corners of the cover part 371 , an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part 303 of the container. In addition, a perforated line 373 may be formed between the attachment part 374 and the cover part 371 . That is, when the user removes the cover part 371 while the outer cover 37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31 , the attachment is made from the cover part 371 by the perforation line 373 . Part 374 may be detachable. In addition, even when the cover part 371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31 , the attachment part 374 maintains a state attached to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art 303 .

한편, 상기 부착부(374)에는 상기 파드(30)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간단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착부(374)에는 상기 파드(30)에 재배되는 작물의 이름이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371)를 상기 파드(30)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도 상기 부착부(374)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씨앗이 발아되기 전 또는 발아 초기 단계에서도 사용자가 재배되는 작물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simple information about crops grown in the pod 30 may be displayed on the attachment part 374 . For example, the name of the crop grown in the pod 30 may be printed on the attachment part 374 . Therefore, even when the cover part 371 is removed from the pod 30, the attachment part 374 maintains the attach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ltivated crop before the seeds germinate or even in the early stage of germination. can make it

상기 파드(30)는 사용을 위해서 상기 커버부(371)를 제거하고 상기 완충부재(36)를 상기 파드(3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110)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The pod 30 is used by being seated on the bed 110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371 is removed and the buffer member 36 is separated from the pod 30 for use. .

한편,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서 재배 완료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파드(30)가 제거 또는 파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새로운 파드(30)를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 넣어서 재배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may be completed or the pod 30 may be removed or destroy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Then, the user may put the new pod 30 into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nd start cultivation again.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에는 다수의 파드(30)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2단의 상기 베드(110)에는 모두 12개의 상기 파드(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속적인 재배를 위해서 적어도 12개 이상의 상기 파드(30)를 보관하고 있는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파드(30)들은 다수개가 한꺼번에 포장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이처럼 다수개의 파드(30)가 포장된 상태에서는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으로 상기 파드(30)의 구매를 위해 주문하거나, 정기적으로 상기 파드(30)를 배송 공급하는 경우에도 다수개의 상기 파드(30)가 포장재(40)에 안정적으로 포장된 상태로 유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 plurality of pods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 For example, a total of 12 pods 30 may be disposed on the two-stage bed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the user to keep at least 12 or more of the pods 30 for continuous cultivation, and therefore, a plurality of the pods 30 may be distributed in a packaged state. In such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pods 30 are packaged,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may be easy. In particular, even when ordering for the purchase of the pods 30 online or regularly delivering and supplying the pods 30 , a plurality of the pods 30 are stably distribu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40 . It would be preferable 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포장재(4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ackaging material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포장재를 이용한 파드의 포장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포장재와 상기 파드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state of a pod using a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po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드(30)는 포장을 위해 다수개가 나란히 배치되며, 하나의 포장재(40)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3개의 파드(30)가 나란하게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3개의 파드(30)는 하나의 포장재(40)에 삽입된 상태로 한꺼번에 포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포장재(40)의 상면에 3개의 파드(30)가 나란히 안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포장재(40)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재(4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파드(30)의 상부는 상기 포장재(4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30)의 하면은 상기 포장재(4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파드(30)의 하면이 이격된 상태로 포장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a plurality of the pods 30 are arranged side by side for packaging, and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and seated in one packaging material 40 . For example, three pods 30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three pods 30 may be packaged at once while being inserted into one packaging material 40 . That is, three pods 30 may be seat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one packaging material 40 , and a fixed state may be maintained by one packaging material 40 . When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 an upper portion of the pod 30 may be exposed upward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30 is packaged in a spaced apart state.

상세히, 상기 포장재(40)의 한쌍의 지지부(412)가 상기 파드(30)에 형성된 삽입 공간(306)에 삽입되어 상기 파드(3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재(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드(30)의 나머지 부부은 상기 포장재(40)로 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파드(30)는 상기 포장재(40)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지지부(412)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detail, a pair of support parts 412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6 formed in the pod 30 to support the pod 30 from below.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moun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e remaining couple of the pods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at is, the pod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and maintain a stat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412 .

그리고, 상기 포장재(40)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파드(30)의 용기 본체부(302)는 상기 포장재(40)의 수용 공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는 상기 수용 공간(301)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e container body 302 of the pod 30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 and the container edge portion 304 . )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30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포장재(40)에 상기 파드(30)가 모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드(30)의 상면에는 다른 포장재(40)가 적층될 수 있다. 즉, 하방에 배치되는 포장재(40)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드(30)의 상면에 상방에 배치되는 포장재(40)의 하면이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방에 배치되는 포장재(40)에도 상기 파드(30)가 수용될 수 있다. Meanwhile, another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30 in a state in which the pods 30 are all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dispos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disposed abov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30 . At this time, the pod 30 may also be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material 40 disposed above.

이때, 상기 적층되는 상방의 포장재(40)의 하면은 상기 파드(30)의 상면 중 둘레부 즉, 상기 용기 상면부(303)와 대응하는 위치와 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적층에 의한 상기 파드(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기 수용 공간(301)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1) 또한 구조적으로 강도가 높은 용기 상면부(303)에 상방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포장재(40)의 적층시에도 상기 용기(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stacked upper packaging material 4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d 30,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303, and thus the pod ( 30)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301, and the container 31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a load is applied from above to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art 303, which has high structural strength, so that the packaging material (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31 even when stacking.

이와 같이 다단으로 상기 포장재(40)가 적층된 상태에서 포장 박스(50)의 내부 공간(501)에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 박스(50)의 가로 덮개(502)와 세로 덮개(503)를 덮은 후 상기 파드(30)의 포장을 완전히 완료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packaging material 40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put into the inner space 501 of the packaging box 50 . Then, after the horizontal cover 502 and the vertical cover 503 of the packaging box 50 are covered, the packaging of the pod 30 may be completely completed.

도 7은 상기 포장재의 성형을 위한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포장재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포장재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포장재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포장재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5의 12-12' 단면도이다.7 is an exploded view for molding the packaging material. And,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Figure 10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Figure 11 is a side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And,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12-12' of Figure 5.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포장재(40)는 일반적인 포장용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접었을 때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종이 골판지 또는 플라스틱 골판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40)는 시트 형상으로 제공되는 골판지를 상기 포장재(40)의 형상에 맞추어 절단한 후 네면과 중앙 부분을 접어서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formed of a general packaging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using a paper corrugated cardboard or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that can maintain a certain shape when folded.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formed by cutting corrugated cardboard provided in a sheet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and then folding the four sides and the central portion.

상세히, 상기 포장재(40)를 형성하기 위해서 원 재료가 되는 골판지를 톰슨(Thomson) 가공에 의해 전체적인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골판지를 접는 부분과 절단 또는 절개되는 상기 지지부(412)와 슬릿(414,415) 그리고 절개부(425)까지 한꺼번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골판지를 한번의 가공에 의해 절단 및 성형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이후 상기 골판지를 접어 상기 포장재(40)를 완성할 수 있다.In detail, in order to form the packaging material 40, the corrugated cardboard as a raw material may be cut to fit the overall size by Thomson processing. And, at this time, the folding part of the corrugated cardboard and the support part 412, the slits 414 and 415, and the cut-out part 425 to be cut or cut may be formed at once. That is, the corrugated cardboard can be cut and molded by one processing, and then the packaging material 40 can be completed by folding the corrugated cardboard.

상기 포장재(40)는 전체적으로 하면부(41)와 상기 하면부(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는 상기 하면부(41)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부(41)와 가로 측면부(42) 및 세로 측면부(43)에 의해서 상기 파드가 수용되는 포장 공간(40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composed of a lower surface portion 41 as a whole, a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a vertical side portion 4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In addition, the horizontal side part 42 and the vertical side part 43 may be formed by folding so as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part 41 , and the lower surface part 41 and the horizontal side part 42 and the vertical side part A packaging space 400 in which the pod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by (43).

그리고,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의 두께는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 공간(4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재(40)에 안착되어 포장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파드(30)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상기 가로 측면부(42) 및 세로 측면부(43)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side part 42 and the vertical side part 43 may be formed so that the pod 30 can protrude more outward than the container edge part 304 in a state that the pod 30 is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space 400 . can Therefore, even if an impact or loa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ile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and packaged, 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od 30 and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can be filled by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포장재(40)의 길이가 긴 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가로라 정의하고, 길이가 짧은 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세로라 정의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 direction in which a long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is disposed is defined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a short 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is disposed is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포장 공간(400)의 세로 길이는 상기 파드(30)의 세로 길이 즉, 길이가 긴 변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 공간(400)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 공간(400)의 가로 길이는 세개의 상기 파드(30)의 가로 길이의 합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드(30)가 상기 포장 공간(40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드(30)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40)의 둘레 즉,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4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pod 30 , that is, the length of the long side, so that the pod 30 can be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space 400 . . In additi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4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m of the horizontal lengths of the three pods 30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packaging space 400 , the pod 30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erimeter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at is,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may b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상기 포장재(40)를 형성하는 각 부분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면부(41)는 상기 포장 공간(4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 공간(4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하면 개구(4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 개구(411)의 성형을 위해 상기 하면부의 일부를 절개한 후 접게 되면 상기 지지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each part forming the packaging material 40 ,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400 , and the bottom of the packaging space 400 . A plurality of lower surface openings 41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and when a part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is cut and folded to form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 the support portion 412 may be formed.

상기 지지부(412)는 각각의 상기 파드(3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 개구(411) 및 지지부(412)는 상기 포장 공간(400)에 배치되는 상기 파드(30)의 개수보다 2배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포장 공간(400)에 3개의 파드(30)가 배치되며, 상기 하면 개구(411) 및 지지부(412)는 각각 6개씩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412 is formed to support each of the pods 30 from both sides.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and the supporting part 412 may be formed in a number that is twice as large as the number of the pods 30 disposed in the packaging space 40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pods 30 are disposed in the packaging space 400 , and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and the support part 412 may be formed by six each.

즉,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 한쌍의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파드(3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파드(30)의 폭과 대응하는 위치만큼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30)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마다 2개씩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air of support parts 412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may support both ends of the pod 30 . The support part 41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od 30 , and two support parts 412 may be arranged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od 30 .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하면부(41)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 개구(4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개구(411)의 형성을 위해 상기 하면 개구(411)의 둘레를 따라서 절개한 후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인접한 일단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접게 되면 상기 지지부(412)가 형성된다. The support part 412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part 41 . That is, the support part 41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 When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is cu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and then folded upward based on one end adjacent to the horizontal side part 42 , the support part 412 is formed.

상기 하면 개구(411)는 상기 하면 개구(411)의 둘레를 따라 상기 하면부(41)를 절개하여 형성되되, 상기 가로 지지부(412)와 인접하는 일단 상기 하면 개구(4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부 절곡선(413)을 제외한 부분을 절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절곡선(413)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접게 되면 상기 하면 개구(4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절곡선(41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is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part 4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and one end adjacent to the horizontal support part 4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A portion other than the support bending line 413 may be cut. In addition, when the support portion is folded upward based on the bending line 413 ,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is formed, and the support portion 412 extending upward from the support portion bending line 413 may be formed.

상기 지지부(412)는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삽입 공간(306) 중 상기 파드(30)의 둘레 중 가로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용기 본체부(302)의 둘레면과 상기 용기 테두리부(304) 사이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2)의 상단은 상기 삽입 공간(306)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용기 상면부(303)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파드(30)는 상기 지지부(412)의 상단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지지부(412)에 의해 상기 포장재(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 support part 412 may extend upward, and may be inserted into a region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pod 30 in the insertion space 306 . That is, the support 412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2 and the container rim 304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412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306, and supports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art 303 from below. That is, the pod 30 has a structure supported from the bottom b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412 , and maintains its position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ackaging material 40 by the support part 412 .

이때, 상기 지지부(41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파드(30)의 상단에서 하단 사이의 거리(L1)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2)에 의해 상기 파드(30)의 둘레가 지지되더라도 상기 파드(30)의 하면은 상기 하면부(41)와 닿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05)를 포함한 상기 하면부(4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2)의 높이는 상기 하면 개구(411)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면 개구(411)를 상기 지지부(412)의 높이와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L2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412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pod 30 . That is, even if the circumference of the pod 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412 , the lower surface of the pod 3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art 41 and maintains a spaced apart st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41 including the protrusion 305 .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412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412 .

그리고, 상기 지지부(412)의 가로 방향 폭 즉, 상기 하면 개구(411)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파드(30)의 짧은 측 변 즉 상기 파드(30)의 가로 길이와 대응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412)가 상기 삽입 공간(306)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드(30)의 가로 방향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upport part 412 , that i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411 may correspond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hort side of the pod 30 , that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od 30 . have.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41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306 ,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both ends of the pod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하면 개구(411) 및 지지부(412)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파드(30)가 장착되었을 때 길이가 긴 변 즉, 상기 파드(30)의 세로 측면이 서로 접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opening 411 and the support 41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the pod 30 is mounted, the long side, that is, the vertical side of the pod 30, may contact each other. can b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하면부(41)에는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를 성형하기 위해서 접혀진 부분이 삽입되는 가로 슬릿(415)과 세로 슬릿(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 슬릿(415)과 세로 슬릿(414)에 아래에서 설명할 가로 삽입단(424)과 세로 삽입단(434)이 삽입되어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may include a horizontal slit 415 and a vertical slit 414 into which a folded portion is inserted to form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 A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and a vertical insertion end 434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lit 415 and the vertical slit 414 to form the shape of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상기 가로 측면부(42)는 상기 하면부(41)의 둘레 중 길이가 긴 가로 방향의 두 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가로 내측면(423)과 가로 외측면(421) 그리고 가로 상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 측면부(42)는 상기 하면부(41)에서 연장되며, 다수회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측면부(42)에 의해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면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extends from two sides of the long horizontal direction am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and includes a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 a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 and a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 can do.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and may be formed by folding a plurality of times.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formed by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

상세히, 상기 하면부(41)의 길이가 긴 가로 변을 따라서 제 1 가로 절곡선(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외측면(421)은 상기 제 1 가로 절곡선(421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부(41)와 수직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a first horizontal curved line 421a may be formed along a long horizontal side of the lower surface 41 .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first horizontal bending line 421a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 the lower surface 41 .

그리고, 상기 가로 외측면(421)의 상단에는 제 2 가로 절곡선(4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상면(422)은 상기 제 2 가로 절곡선(422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공간(400)을 내측을 향하여 상기 하면부(4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 상면(422)의 높이 즉, 상기 가로 측면부(42)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4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412)는 상기 가로 측면부(42)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horizontal curved line 42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second horizontal bending line 422a,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41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ackaging space 400 .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 that is,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side part 42 may b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412 . Accordingly, the support part 412 may extend upwards more than the horizontal side part 42 .

상기 가로 상면(422)의 연장된 단부에는 제 3 가로 절곡선(4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내측면(423)은 상기 제 3 가로 절곡선(423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공간(40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 내측면(423)의 하단은 상기 하면부(41)와 접하게 된다.A third horizontal curved line 423a may be formed at the extended end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third horizontal bending line 423a, and may extend downward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400 .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그리고, 상기 가로 내측면(423)의 하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가로 삽입단(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삽입단(424)은 상기 하면부(41)에 형성된 상기 가로 슬릿(41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로 슬릿(415)은 상기 가로 삽입단(424)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 슬릿(415)은 상기 제 1 가로 절곡선(421a)으로부터 상기 가로 상면(422)의 폭만큼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 삽입단(424)이 상기 가로 슬릿(415)에 삽입되면 상기 가로 외측면(421)과 가로 내측면(42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verse insertion end 424 protruding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may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lit 415 formed in the lower surface 41 . To this end, the horizontal slit 415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and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at is, the horizontal slit 415 may be positioned inward by the width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from the first horizontal bending line 421a. 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lit 415 ,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and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may be fix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가로 삽입단(424)이 상기 가로 슬릿(415)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로 측면부(42)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로 절곡선(421a)과 제 2 가로 절곡선(422a) 그리고 제 3 가로 절곡선(423a)에는 절개부(4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25)는 상기 제 1 가로 절곡선(421a)과 제 2 가로 절곡선(422a) 그리고 제 3 가로 절곡선(423a)을 따라서 설정 길이만큼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로 절곡선(421a)과 제 2 가로 절곡선(422a) 그리고 제 3 가로 절곡선(423a)의 중앙부와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425)에 의해서 상기 가로 외측면(421)과 가로 상면(422) 및 가로 내측면(423)을 보다 용이하게 접을 수 있게 되며, 상기 골판지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가로 측면부(42)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lit 415 ,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can maintain its shape. In this case, a cutout 425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bending line 421a, the second horizontal bending line 422a, and the third horizontal bending line 423a. The cutout 425 may be formed to be cut by a set length along the first horizontal bending line 421a, the second horizontal bending line 422a, and the third horizontal bending line 423a, and the first horizontal bending line 423a The bending line 421a, the second horizontal bending line 422a, and the third horizontal bending line 423a may be formed at the center and at both ends.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and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can be more easily folded by the cutout 425, and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by minimizing the tension of the corrugated cardboard. can be maintained in a folded state.

그리고, 상기 가로 측면부(42)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로 외측면(421)과 가로 내측면(423) 및 가로 상면(422)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를 향해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을 한층 더 완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is formed, a space may be formed therein by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421 ,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423 ,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It is possible to further mitigate the impact or load applied toward the

상기 가로 삽입단(424)의 단부에는 제 4 가로 절곡선(42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삽입단(424)을 상기 가로 슬릿(415)에 삽입한 후 내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 삽입단(424)은 상기 하면부(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재(40)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적층되는 경우 상방에 배치된 포장재(40)의 가로 삽입단(424)이 하방에 위치된 파드(30)의 용기 상면부(303)에 접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fourth horizontal bending line 424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 and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may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slit 415 and then bent inwardly. In this case,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may have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Therefore, when the pod 30 is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the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pod 30 in which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424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disposed above is positioned below ( 303) and may have a supported structure.

한편, 상기 가로 측면부(4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로 측면부(42)는 상기 하면부(41)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연속하여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40)의 둘레의 외측면과 상면 및 내측면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the horizontal side portions 42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tructure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As such,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may be formed by continuously ben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to form an outer surface, an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상기 하면부(41)의 둘레 중 길이가 짧은 세로 방향의 두 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세로 내측면(433)과 세로 외측면(431) 그리고 세로 상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상기 하면부(41)에서 연장되며, 다수회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측면부(43)에 의해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면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함께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면 전체를 형성하게 된다.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extends from two sides of the shorter length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vertical inner surface 433 , a vertical outer surface 431 , and a vertical upper surface 432 . can do.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and may be formed by folding a plurality of times. In additio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formed by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 and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may be formed.

상세히, 상기 하면부(41)의 길이가 짧은 세로 변을 따라서 제 1 세로 절곡선(4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외측면(431)은 상기 제 1 세로 절곡선(431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면부(41)와 수직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a first vertical bent line 431a may be formed along a shorter vertical side of the lower surface 41 . The vertical outer surface 431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first vertical bending line 431a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그리고, 상기 세로 외측면(431)의 상단에는 제 2 세로 절곡선(4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상면(432)은 상기 제 2 세로 절곡선(432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공간(400)을 내측을 향하여 상기 하면부(4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 상면(432)의 높이는 상기 가로 상면(42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vertical bent line 43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outer surface 431 . The vertical upper surface 432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second vertical bending line 432a ,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41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ackaging space 400 .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vertical upper surface 432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422 .

상기 세로 상면(432)의 연장된 단부에는 제 3 세로 절곡선(43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내측면(433)은 상기 제 3 세로 절곡선(433a)을 기준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공간(40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 내측면(433)의 하단은 상기 하면부(41)와 접하게 된다.A third vertical curved line 433a may be formed at the extended end of the vertical upper surface 432 . The vertical inner surface 433 may be formed by folding based on the third vertical bending line 433a , and may extend downward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400 .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inner surface 43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그리고, 상기 세로 내측면(433)의 하단에는 돌출 형성되는 세로 삽입단(4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삽입단(434)은 상기 하면부(41)에 형성된 상기 세로 슬릿(4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로 슬릿(414)은 상기 세로 삽입단(434)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로 슬릿(414)은 상기 제 1 세로 절곡선(431a)으로부터 상기 세로 상면(432)의 폭만큼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로 삽입단(434)이 상기 세로 슬릿(414)에 삽입되면 상기 세로 외측면(431)과 세로 내측면(43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vertical insertion end 434 protrudingly forme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inner surface 433 .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it 41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41 . To this end, the vertical slit 414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and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at is, the vertical slit 414 may be positioned inward by the width of the vertical upper surface 432 from the first vertical bending line 431a. Accordingly, when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it 414 , the vertical outer surface 431 and the vertical inner surface 433 may be fix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세로 삽입단(434)이 상기 세로 슬릿(414)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 측면부(43)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로 외측면(431)과 세로 내측면(433) 및 세로 상면(432)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를 향해 가해지는 충격 또는 하중을 한층 더 완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세로 절곡선(431a)과 제 2 세로 절곡선(432a) 및 제 3 세로 절곡선(433a)에도 상기 절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it 414 ,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can maintain its shape.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ide part 43 is formed, a space may be formed therein by the vertical outer surface 431 , the vertical inner surface 433 , and the vertical upper surface 432 ,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 It is possible to further mitigate the impact or load applied toward the In addition, the cutout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first vertical bending line 431a, the second vertical bending line 432a, and the third vertical bending line 433a.

상기 세로 삽입단(434)의 단부에는 제 4 세로 절곡선(43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세로 삽입단(434)을 상기 세로 슬릿(414)에 삽입한 후 내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로 삽입단(434)은 상기 하면부(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재(40)에 상기 파드(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적층되는 경우 상방에 배치된 포장재(40)의 세로 삽입단(434)이 하방에 위치된 파드(30)의 용기 상면부(303)에 접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fourth vertical bending line 434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it 414 and then bent inwardly. In this case,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may have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41 . Therefore, when the pod 30 is stacked in a state in which the pod 30 is seated on the packaging material 40, the vertical insertion end 434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disposed abov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of the pod 30 ( 303) and may have a supported structure.

한편,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상기 하면부(41)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연속하여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 측면부(43)는 가로 측면부(4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측면부(43)의 양단에 상기 가로 측면부(42)의 단부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가로 측면부(42)와 세로 측면부(43)는 상기 포장 공간(400)을 정의하고 상기 포장재(4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the vertical side portions 43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tructures may be form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As such,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may be formed by continuously bend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In addition,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 In addition, the ends of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may be formed to contact both ends of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 and thus, the horizontal side portion 42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43 define the packaging space 400 .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ing material 40 may be formed.

Claims (22)

식물 재배 장치의 베드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에 있어서,
내부에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과, 해당 식물의 재배를 위한 양분이 포함된 상토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베드에 안착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아웃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하면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드에 급수되는 물이 유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
상기 용기 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커버가 부착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용기 상면부; 및
상기 용기 상면부의 외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둘레와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replaceably mounted on a bed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 container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seeds of plants for cultivation and top soil containing nutrients for cultivation of the plants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is seated on the bed; and
and an outer cove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shielding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ainer is
a container body part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o form the receiving space, and a lower surface part protruding downwardly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bed is introduced;
a container upper surfac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portion and forming an upper surface to which the outer cover is attached; and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container rim that forms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본체부는 상기 베드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공간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paper body por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bed, the space is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opened downw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둘레면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iner rim portion is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테두리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베드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베드와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연장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iner rim portion is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extends to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ed when the container body is seated on the b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가 상기 베드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드의 하방으로 급수되는 물과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pod is seated on the bed,
The protrusion extend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to be in contact with water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An opening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allow moisture to flow into the container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전달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6. The method of claim 5,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absorbent member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water, provided inside the protrusion, to absorb water from the bed and deliver it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채우는 제 1 흡수부재와;
상기 제 1 흡수부재와 접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 전체에 배치되는 제 2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bsorbent member,
a first absorbing member filli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and a second absorb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first absorbing member and disposed on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흡수부재 상방에 배치되며, 재배되는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양분이 포함된 흙으로 구성되는 상토; 및
상기 상토의 상면에 안착되며, 재배를 위한 식물의 씨앗이 배치되는 시드 페이퍼;가 더 구비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7. The method of claim 6,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p soil disposed above the absorbent member and composed of soil containing nutrients suitable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plants; and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ed pape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soil and on which seeds of plants for cultivation are dispos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아웃 커버 하방의 공간을 채워 상기 수용 공간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하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9. The method of claim 8,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by filling a space under the outer cov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드 페이퍼의 상방에는 상기 시드 페이퍼를 덮어서 상기 씨앗의 대기 노출을 방지하는 버미튤라이트 소재의 차폐부재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9. The method of claim 8,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shielding member made of vermitulite material is formed above the seed paper to cover the seed paper to prevent exposure of the seeds to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커버는,
상기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용기 상면부를 따라 부착되며, 상기 파드의 사용시 제거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둘레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와 절취선에 의해 나뉘어져 상기 커버의 제거시 상기 용기 상면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에는 재배되는 식물의 정보가 표시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over,
a cover part that shields the accommodation space, is attach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is removed when the pod is used;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cover part, and includes an attachment part that is divided by the cover part and the perforation line and maintains a stat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the cover is removed,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 which information of a plant to be grown is displayed on the attachment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재배되는 식물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12. The method of claim 11,
A pod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 whic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cultivated plant is formed in the cover unit.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파드가 수용되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포장 공간;
상기 포장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가로 방향 양측단을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포장 공간의 가로 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가로 측면부; 및
상기 하면부의 세로 방향 양측단을 따라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포장 공간의 세로 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세로 측면부;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에 한쌍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하면 개구; 및
상기 하면 개구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파드의 둘레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파드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A packaging space in which the plate-shaped material is bent and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the p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a lower surfac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a pair of horizontal side portions bent upward along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ming a horizontal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and
a pair of vertical side portions that are bent upward along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form a vertical surface of the packaging space; and
The lower part,
a lower surface opening in which a pai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support parts bent upward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and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around the pod to support the p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면 개구의 성형을 위해 상기 하면 개구의 둘레를 따라 절개된 부분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pport portion is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 which the cut-out portion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is extended upward for the molding of the lower surface open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크기는 상기 하면 개구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is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lower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파드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is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로 측면부 및 세로 측면부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he support portion is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extends upward more than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가로 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는 가로 외측면과 가로 상면, 가로 내측면 및 상기 가로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가로 삽입단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측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세로 변으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는 세로 외측면과 세로 상면, 세로 내측면 및 상기 세로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하면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세로 삽입단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a horizontal insertion end fixed through the lower surface at the ends of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and the horizontal upper surface,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and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that are continuously bent from the horizontal side of the lower surface part,
The vertical side part,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vertical outer surface and a vertical upper surface, a vertical inner surface, and a vertical insertion end fixed through the lower surface at the ends of the vertical inner surface that are continuously bent from the vertical sid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은 상기 하면부의 하방에더 상기 하면부와 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파드가 수용된 상태의 상기 포장재가 적층될 때, 상기 가로 삽입단과 세로 삽입단이 하방에 위치된 파드의 용기 상면부에 의해 지지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are ben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below the lower surface portion,
When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state in which the pod is accommodated is stacked, the horizontal insertion end and the vertical insertion end ar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of the pod positioned below the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다수회 절곡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로 외측면과 세로 외측면은 상기 본체 테두리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are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 space therein,
The horizontal outer surface and the vertical outer surface are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protrudes more outward than the main body rim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공간의 세로 길이는 상기 파드의 세로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되고상기 포장공간의 가로 길이는 상기 파드의 정수배와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재의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파드가 연속 배치되며,
상기 파드의 배치 위치를 따라 한쌍의 하면 개구와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vertic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pod,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ackaging sp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integer multiple of the pod, so that a plurality of pod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 which a pair of lower surface openings and support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pod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드가 안착된 상태의 상기 포장재는 포장 박스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측면부와 세로 측면부는 포장 박스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파드의 둘레와 상기 포장 박스를 이격 시키는 식물 재배 장치용 파드 포장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ackaging material in which the pod is seated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ackaging box,
The horizontal sid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aging box, a pod packaging material fo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o space the periphery of the pod and the packaging box.
KR1020200000320A 2020-01-02 2020-01-02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KR202100872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20A KR20210087267A (en) 2020-01-02 2020-01-02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320A KR20210087267A (en) 2020-01-02 2020-01-02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67A true KR20210087267A (en) 2021-07-12

Family

ID=7685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20A KR20210087267A (en) 2020-01-02 2020-01-02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72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9769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lants
US6050027A (en) Container for shipping young plants or seedlings
KR101079849B1 (en) Packaging case for raising seedling plant
RU2248927C2 (en) Package for flowers having elongated stems
US10973179B2 (en) Live plant container
KR20210087267A (en) Pod for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packing materials thereof
JP3178362U (en) Improved cultivation bottle structure
US20090056210A1 (en) Flower transporting device
US20230380360A1 (en)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US2106487A (en) Display case
KR200461235Y1 (en) Packing Box for Flowering Plant
JP4546272B2 (en) Vertical cut flower shipping box
KR102055688B1 (en) Packing module for carrying pots
KR20220008082A (en)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N215827469U (en) Packing carton of bright cut-flower of rose
KR102632707B1 (en) A Seed Kit
US10773876B2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floral arrangements
KR200461237Y1 (en) Packing Box for Flowering Plant
KR200332248Y1 (en) Cultivatingsprouts
JP2702897B2 (en) Breathable container
KR20110028707A (en) Box to transport a plant to be comprised in houseplant a waterspout cart
KR101429004B1 (en) Set of plant cultivation
JP5346559B2 (en) Container for mushroom cultivation
JP2505750Y2 (en) Mizuiri flower case
EP2238036B1 (en) Method for long-term storage or transport of roses or chrysanthemums, packaging assembly, container comprising packaging assemblies, and use of packaging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