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236A - 전기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236A
KR20210087236A KR1020200000245A KR20200000245A KR20210087236A KR 20210087236 A KR20210087236 A KR 20210087236A KR 1020200000245 A KR1020200000245 A KR 1020200000245A KR 20200000245 A KR20200000245 A KR 20200000245A KR 20210087236 A KR20210087236 A KR 2021008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using
conductive member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284B1 (ko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0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2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삽입홀을 통공하여 각각 터미널을 삽입 허용하는 하우징, 및 일측면에 노출된 노출전도부재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노출전도부재와 터미널을 직접적으로 접촉 유도하는 직접통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에 커넥터를 삽입함에 연동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함에 따라 기존의 피메일커넥터를 삽입한 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위한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접속장치{ELECTRIC CONNECTING UNIT}
본 발명은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에 커넥터를 삽입함에 연동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함에 따라 기존의 피메일커넥터를 삽입한 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위한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기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피메일, 메일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메일커넥터의 단자핀은 피메일커넥터의 터미널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피메일,메일 커넥터의 체결을 위하여, 피메일커넥터의 하우징은 메일커넥터의 하우징에 정확한 위치,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368호(2016.05.26. 등록)는 소형화된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피메일커넥터에 삽입되는 메일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과 전선에 연결된 회로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메일커넥터에 삽입된 접속핀은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솔더링을 위한 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되고, 이로 인해 커넥터의 조립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에 커넥터를 삽입함에 연동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함에 따라 기존의 피메일커넥터를 삽입한 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위한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전기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는: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삽입홀을 통공하여 각각 터미널을 삽입 허용하는 하우징; 일측면에 노출된 노출전도부재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노출전도부재와 상기 터미널을 직접적으로 접촉 유도하는 직접통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접통전부는, 동일 열에 배치되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타측을 절개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허용하는 절개홈부; 및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노출전도부재 측을 향하는 상기 터미널 각각에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접촉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직접통전부는, 상기 접촉스프링을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촉스프링을 누르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스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시 상기 하우징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접촉스프링이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변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접촉스프링을 지지하는 서포트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케이스와 어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어케이스와 상기 어퍼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용구에 거치된 채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구에 일부 삽입되고, 둘레면에 끼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어퍼케이스 또는 상기 로어케이스는 상기 끼움돌기를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한 끼움홈을 갖는 고정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인쇄회로기판을 내부에 구비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에 커넥터를 삽입함과 연동하여 커넥터에 삽입된 터미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함에 따라 기존의 피메일커넥터를 삽입한 채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일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위한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어퍼케이스를 분리한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하우징을 어퍼케이스에 결속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조립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어퍼케이스를 분리한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하우징을 어퍼케이스에 결속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의 조립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장치(10)는 하우징(20), 인쇄회로기판(40) 및 직접통전부(100)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피메일용 터미널(30)을 삽입하는 피메일 커넥터로서,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삽입홀(22)을 양측으로 개방되게 통공한다. 삽입홀(22)은 각각 터미널(30)을 삽입 허용한다. 물론, 삽입홀(22)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하우징(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터미널(30)은 바디(32)에 압착바렐(34)을 연장 형성한다. 압착바렐(34)은 와이어의 도체 부분을 압착하여 바디(3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바렐(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터미널(30)은 바디(32)의 하측으로 연장된 란스(36)를 포함한다. 란스(36)는 삽입홀(22)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거나 삽입홀(22)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터미널(30)이 삽입홀(22)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란스(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0)은 하나 이상의 터미널(3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신호의 송수신이나 전원의 공급 등의 역할을 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40)은 일측면으로 노출된 노출전도부재(42)를 구비한다. 노출전도부재(42)는 인쇄회로기판(40)의 표면에 부착된 동박 등인 것으로 한다. 각 노출전도부재(42)는 필요에 따라 회로패턴(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노출전도부재(42)는 터미널(30)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구비된다.
한편, 직접통전부(100)는 노출전도부재(42)와 터미널(30)을 직접적으로 접촉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직접통전부(100)는 절개홈부(110) 및 접촉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절개홈부(110)는 복수 열로 배치되는 삽입홀(22) 중 동일 열에 배치되는 삽입홀(22)에 대응되도록 하우징(20)의 축 방향으로 타측을 절개하여 인쇄회로기판(40)을 삽입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40)은 삽입홀(22)의 열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30)은 하우징(20)의 축 방향으로 일측에서 삽입홀(22)에 삽입되고, 절개홈부(110)를 통해 노출된다.
인쇄회로기판(40)은 절개홈부(110)에 삽입된다. 이때, 노출전도부재(42)는 대응되는 터미널(30) 측을 향하는 인쇄회로기판(40)의 표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접촉스프링(120)은 절개홈부(110)를 통해 노출전도부재(42) 측을 향하는 터미널(30) 각각에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42)에 접촉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촉스프링(120)은 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도록 바디(32)에서 연장된다. 물론, 접촉스프링(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직접통전부(100)는 프레스블록(130)을 포함한다.
프레스블록(130)은 접촉스프링(120)을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4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접촉스프링(120)을 누르기 위해 하우징(2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은 둘레면에 설치구(26)를 형성한다. 삽입홀(22)에 삽입된 터미널(30)은 설치구(26)를 통해 하우징(20)의 둘레면으로 노출된다.
프레스블록(130)은 설치구(26)에 삽입되면서 접촉스프링(120)을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42) 측으로 가압한다. 물론, 프레스블록(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프레스블록(130)은 터미널(30)이 삽입홀(22)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30)은, 삽입홀(22)에 삽입시 하우징(20)과의 마찰에 의해 접촉스프링(120)이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변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촉스프링(120)을 지지하는 서포트리브(38)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접촉스프링(120)은 삽입홀(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디(32)의 전측에서 절곡되어 후측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접촉스프링(120)은 단부가 자유단을 이루게 된다.
터미널(30)이 삽입홀(22)에 삽입시, 접촉스프링(120)은 삽입홀(22)의 내측면 및 노출전도부재(42)와의 마찰에 의해 후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서포트리브(38)는 바디(32)에 고정되게 돌출되어 접촉스프링(120)의 단부를 지지한다.
그래서, 서포트리브(38)가 접촉스프링(12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접촉스프링(120)은 형상을 유지하거나 노출전도부재(42) 측으로 더욱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안정적으로 노출전도부재(4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서포트리브(3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케이스(52)와 어퍼케이스(5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이때, 로어케이스(52)와 어퍼케이스(54)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의 인쇄회로기판(40)을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40)은 로어케이스(52)의 내부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은 로어케이스(52)와 어퍼케이스(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용구(53)에 거치된 채 인쇄회로기판(40)을 삽입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40)은 로어케이스(52)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함에 따라, 수용구(53)는 로어케이스(52)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하우징(20)은 로어케이스(52)의 수용구(53)에 일부 삽입된다.
아울러, 프레스블록(130)은 설치구(26)에 일차적으로 삽입 후, 하우징(20)이 로어케이스(52)의 수용구(53)에 수용시, 수용구(53)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며 설치구(26)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20)이 수용구(53)에 수용됨에 연동되어, 인쇄회로기판(40)은 하우징(20)의 절개홈부(110)에 삽입된다. 그래서, 접촉스프링(120)이 자연적으로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42)에 접촉된다.
물론, 수용구(53)는 로어케이스(52)와 어퍼케이스(54)의 일치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하우징(20)을 동시에 삽입 허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은 둘레면에 끼움돌기(24)를 구비하며, 어퍼케이스(54) 또는 로어케이스(52)는 끼움돌기(24)를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한 끼움홈(56)을 갖는 고정블록(55)을 형성한다.
끼움돌기(24)가 고정블록(55)의 끼움홈(56)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20)은 어퍼케이스(54) 또는 로어케이스(52)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편의상, 고정블록(55)은 어퍼케이스(54)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고정블록(55)과 끼움돌기(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하우징(20)에 삽입된 터미널(30)이 인쇄회로기판(40)의 노출전도부재(42)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기존의 메일하우징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기접속장치 20: 하우징
22: 삽입홀 24: 끼움돌기
26: 설치구 30: 터미널
32: 바디 38: 서포트리브
40: 인쇄회로기판 42: 노출전도부재
52: 로어케이스 53: 수용구
54: 어퍼케이스 55: 고정블록
56: 끼움홈 100: 직접통전부
110: 절개홈부 120: 접촉스프링
130: 프레스블록

Claims (6)

  1.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삽입홀을 통공하여 각각 터미널을 삽입 허용하는 하우징;
    일측면에 노출된 노출전도부재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노출전도부재와 상기 터미널을 직접적으로 접촉 유도하는 직접통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통전부는,
    동일 열에 배치되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타측을 절개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허용하는 절개홈부; 및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노출전도부재 측을 향하는 상기 터미널 각각에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에 접촉되는 접촉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통전부는, 상기 접촉스프링을 대응되는 노출전도부재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접촉스프링을 누르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스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시 상기 하우징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접촉스프링이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변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접촉스프링을 지지하는 서포트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케이스와 어퍼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어케이스와 상기 어퍼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수용구에 거치된 채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구에 일부 삽입되고, 둘레면에 끼움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어퍼케이스 또는 상기 로어케이스는 상기 끼움돌기를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한 끼움홈을 갖는 고정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장치.
KR1020200000245A 2020-01-02 2020-01-02 전기접속장치 KR10230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5A KR102302284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5A KR102302284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36A true KR20210087236A (ko) 2021-07-12
KR102302284B1 KR102302284B1 (ko) 2021-09-14

Family

ID=7685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45A KR102302284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2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161Y2 (ja) * 1991-06-14 1997-08-06 株式会社ヨコオ 回路基板用コネクター
JP5672158B2 (ja) * 2011-06-03 2015-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815456B1 (ko) * 2017-01-11 2018-0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1868608B1 (ko) * 2011-12-26 2018-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진동방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190136734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Pcb 다이렉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161Y2 (ja) * 1991-06-14 1997-08-06 株式会社ヨコオ 回路基板用コネクター
JP5672158B2 (ja) * 2011-06-03 2015-02-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868608B1 (ko) * 2011-12-26 2018-06-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진동방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1815456B1 (ko) * 2017-01-11 2018-0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190136734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Pcb 다이렉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284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3482B1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US7597594B2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8100722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spring arms and protrusions to increase retaining force for cards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7581977B1 (en) Safety socket
US6109952A (en)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80705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US20110034076A1 (en) Electric connector
US10651571B2 (en) Metal leaf spring prot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8272894B2 (en) Coaxial connector
US10622730B2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N101552390A (zh) 具有护套支座的插接连接器
CN111628313B (zh) 板缘连接器
KR100731443B1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WO2016094177A1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US9551483B1 (en) Multiple cable disconnect
CN101394048A (zh) 电连接器
US20220344846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US7396258B2 (en) Cable connector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CN101292398A (zh) 电接触元件
KR102302284B1 (ko) 전기접속장치
US7044804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