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160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160A
KR20210087160A KR1020200000084A KR20200000084A KR20210087160A KR 20210087160 A KR20210087160 A KR 20210087160A KR 1020200000084 A KR1020200000084 A KR 1020200000084A KR 20200000084 A KR20200000084 A KR 20200000084A KR 20210087160 A KR20210087160 A KR 2021008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entrance
open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안
오민규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160A/ko
Publication of KR2021008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캐비닛과, 제 1 도어, 제 2 도어, 및 냉기 공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방화 기능을 가지는 도어 바디와, 단열 기능을 가지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Entrance Refrigerator}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거나 현관 복도를 경계짓는 벽에 매립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7547호(2004년07월19일)
상기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벽 매립형 현관용 냉장고는, 실외 복도에서 발생한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파 또는 폭염으로 인하여 실외 복도의 온도가 급강하하거나 급상승하는 경우, 외부 도어를 통한 냉기 또는 열기가 저장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단열 성능 확보가 요구된다.
특히, 복도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염으로부터 현관용 냉장고의 외부 도어가 보호되어야 하고, 외부 도어와 캐비닛의 틈새를 통해서 화염 및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캐비닛과, 제 1 도어와, 제 2 도어와, 아우터 씰러와, 인너 씰러, 및 냉기 공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제 1 공간에서 상기 저장 공간으로 물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에 캐비닛의 적어도 일부분이 매립된다.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 1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전면이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전면이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된다.
상기 아우터 씰러는, 상기 제 1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러진다.
상기 인너 씰러는, 상기 제 2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러진다.
상기 제 1 도어는, 방화 기능이 구비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며, 단열 기능이 구비된 도어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실외 복도에 노출되는 외부 도어의 도어 바디는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철판 소재의 방화 도어로 이루어져서, 실외 복도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외부 도어가 녹아내리거나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화재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도어의 도어 라이너에는 단열재가 채워지므로, 실외 복도의 온도가 급강하 또는 급상승하더라도 저장실로 냉기 또는 열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단열 성능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연 소재의 고무 또는 발포재로 이루어지는 난연재가 아우터 실러의 내부에 채워지므로, 화재 발생 시 상기 난연재의 부피가 증가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가 밀폐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화염이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외로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외부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부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부 에어 가이드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후벽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15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벽의 배면 사시도.
도 16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및 단열 기능이 구비된 외부 도어의 배면도.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외부 도어의 횡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20은 캡 너트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씰러의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옥내와 복도를 구획하는 외벽(1)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프레임(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내측에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 도어(3)의 측방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 사이에는 구획부(7) 또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7)에는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 및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일측에는 접근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수납할 택배 물품의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면 인식 센서를 통해서 인식된 접근자의 얼굴 이미지가 상기 컨트롤 패널(4)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4)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안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후술함)와 실내측 도어(후술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택배 물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를 개방시키고, 실외측 도어가 닫힘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실외측 도어의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와 실내측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된 컨트롤 패널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 또는 실외측 도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상측에는 제 1 저장고(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제 2 저장고(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고(5)는 물품을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는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고(6)는 상온으로 유지되어 단순히 택배 물품의 저장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고내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되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저장고(5)가 냉장 또는 냉동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저장고(6)가 택배 물품의 보관 기능만 수행하도록 상온으로 유지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실내 현관 측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3 저장고(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저장고(8)는 신발이나 우산 또는 세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방 일부분이 외벽(1)을 관통하는 벽 매립형 냉장고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단 일부가 외벽(1)에 매립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14)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12)와,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15)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13)와,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개구부(114)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전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측 개구부(115)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측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측 개구부(114)와 내측 개구부(115) 중 어느 하나는 제 1 개구부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개구부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외벽에 장착된다는 것의 범위는, 실내와 외부 복도를 구획하는 벽에 매립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제 1 실내 공간과 제 2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벽에 매립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현관 도어와, 현관과 거실을 구분하는 중간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벽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매립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현관에서 물건을 투입하면 반대편에 있는 주방에서 물건을 인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어(12)와 내부 도어(13) 중 어느 하나는 제 1 도어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도어로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의 후면을 덮는 방열 커버(15)와, 상기 방열 커버(15)를 통해서 배출되는 방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외부 공기 가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상하로 배치되고, 한 쌍의 방열 커버(15)가 각각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커버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공기 가이드(16)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방열 커버(15) 사이에 배치되어, 하측의 방열 커버(15)로부터 배출되는 방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은, 상측의 제 1 냉기 공급 모듈과 하측의 제 2 냉기 공급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냉기 공급 모듈(20)의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중앙에 배치되는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며, 이 구조에서는 상기 외부 공기 가이드(16)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열 커버(15)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전면에서 플랜지가 절곡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커버(15)의 상면과 하면을 제외한 배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만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방열 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방열 커버(15)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 이후에는 상기 상기 방열 커버(1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방열 커버(1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후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상기 캐비닛(11) 내부 공간을, 냉기 공급 모듈(20)이 수용되는 증발실(102)과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101)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는 드레인 팬(drain pan)(14)과, 드레인 호스(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141)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실(102) 바닥에 모인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호스(141)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적어도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실외에 노출되어, 인증된 택배 기사가 개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고(5,6)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이들보다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상기 외벽(1)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이보다 약간 더 돌출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도어(12)는, 접근이 허용되지 않은 사람이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도어(12)의 일측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4)에 장착된 인증 수단에 의하여 배송 물품이 인식 및 인증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4) 또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외부 도어(1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도어(12)를 밀어주는 별도의 구동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외부 도어(12)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하여, 택배 기사가 상기 외부 도어를 개방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이 완료되고 택배 기사가 외부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도어를 잠금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내부 도어(13)의 좌측면까지의 거리(M)는 상기 외벽(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도어(13)의 힌지(후술함)는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벽(1)을 포함한 상기 캐비닛(11)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내부 도어(12)의 힌지(124)도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외벽(1)을 포함한 상기 캐비닛(11) 이외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은, 외형을 이루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내측에 놓여서 상기 저장실(101)을 정의는 인너 케이스(1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인너 케이스(1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에는 다수의 돌기부(112i)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전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가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에 형성됨으로써, 중량이 큰 배송 물품을 상기 저장실(101)에 밀어 넣어 수납할 때, 배송 물품과 인너 케이스(112) 바닥이 선 접촉에 가깝게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도트(dot) 또는 반구 형태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배송 물품의 바닥면과 돌기부 간 점접촉에 가깝게 접촉하도록 하여, 마찰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개구부((114)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아우터 씰러(outer sealer)(31)가 장착되고,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는 인너 씰러(inner sealer)(3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후면에는 내부 에어 가이드 (18)가 장착되어,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저장실(101)로 안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져서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 면은 온도가 증가하여 열을 방출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열전 소자(21)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22)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24)와,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방에 놓이는 흡열팬(23)과, 상기 히트 싱크(24)의 후방에 놓이는 방열팬(25), 및 상기 열전 소자(2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단열 블록(26)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제 2 냉기 공급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을 구성하는 흡열팬과 제 2 냉기 공급 모듈을 구성하는 흡열팬 사이에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에 의하여,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의 흡열팬에 의하여 유동하는 냉기와 상기 제 2 냉기 공급 모듈의 흡열팬에 의하여 유동하는 냉기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팬(23)과 상기 방열팬(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축류팬 또는 원심팬일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22)는 싱크 바디와,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바디의 후면은 상기 열전 소자(21)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열교환 핀은 직사각형 형태의 핀이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은 상기 싱크 바디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팬(23)에 의하여 흡입되는 상기 저장실(101) 내부의 냉기는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부딪힌 다음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분산되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22)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된 냉기는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를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에 형성된 토출 그릴(171)을 통과한 뒤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콜드 싱크(22)와 마찬가지로, 후면이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싱크 바디와,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콜드 싱크(22)보다 열교환 양이 커야 하므로, 콜드 싱크(22)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히트 파이프와 같은 열전달 수단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열전 소자의 냉력(cooling capacity)은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차가 클수록 감소하는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열전 소자(21)의 냉력 극대화를 위해서 상기 히트 싱크(24)의 방열 능력이 상기 콜드 싱크(22)의 흡열 능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24)의 열교환 핀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므로, 방열팬(25)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실내 공기)는 히트 싱크(24)의 싱크 바디 표면에 부딪힌 후 좌우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특히, 하측의 히트 싱크(24)에 부딪혀서 열교환한 뒤 좌우로 나뉘어 흐르는 방열 공기는 상기 외부 에어 가이드(16)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방열 커버(15)의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 흐르도록 안내된다.
한편, 상기 콜드 싱크(22)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뒤, 상기 드레인 호스(141)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 호스(141)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캐비닛(11)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연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외부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 도어(12)는 도어 바디(121)와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도어 라이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121)는, 실외 복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방화 기능이 구비된 메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121) 내부에는 내화성 블록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122)는 상기 외부 도어(12)를 닫았을 때 상기 외측 개구부(114)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 내부로 인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01) 냉기가 외부로 열전도에 의하여 누설되지 않도록 도어 라이너(122) 내부에 단열폼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외측 개구부(114)의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상기 아우터 씰러(31)는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아우터 씰러(31)가 밀착되어, 냉기 누설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도어 바디(121)의 일 측면(또는 외부 도어의 일 측면)에는 상기 힌지(124)가 장착되고, 상기 도어 바디(121)의 타 측면(또는 외부 도어의 타 측면)에는 래치 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 홈(123)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도어(12)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래치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와 상기 현관 도어(3)를 구획하는 구획부(7)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바디(121)의 타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구획부(7)의 측면에 상기 도어 래치가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구획부(7)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구획부(7)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도어 바디(121)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획부(7)의 측면에 래치홈이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부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내부 도어(13)는, 도어 바디(131)와, 상기 도어 바디(131)의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 라이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바디(131) 및 상기 도어 라이너(1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도어 바디(131)는 메탈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32)는, 상기 도어 바디(131)의 배면에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되어, 상기 내부 도어(13)를 닫았을 때, 상기 내측 개구부(115)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 내부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3)를 닫으면, 상기 도어 라이너(132)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바디(131)의 배면에,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인너 씰러(32)가 밀착된다.
상기 도어 바디(131)의 일 측면에는 힌지(133)가 장착되고, 상기 힌지(133)는 상기 외벽(2)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는 상기 외벽(2)에 매립되므로, 상기 내부 도어(13)의 일 측면, 즉 상기 힌지(133)가 장착되는 측면은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로부터 소정 거리(M :도 3 참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133)가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 면에 해당하는 상기 내부 도어(13)의 타 측면은 상기 캐비닛(11)의 후단부보다 더 후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도어(13)의 타 측면이 정의되는 측단부가 상기 캐비닛(11)의 후단부보다 상기 캐비닛(11)의 후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 3 저장고(8)에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방열 커버(15), 드레인 팬(14), 및 외부 공기 가이드(16) 등을 포함하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도어 바디(131)의 배면부는, 상기 도어 바디(131)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라이너(132)의 일 측면에 이르는 좌측 배면부(137)와, 상기 도어 바디(131)의 타 측면으로부터 상기 도어 라이너(132)의 타 측면에 이르는 우측 배면부와, 상기 도어 바디(131)의 상단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32)의 상단에 이르는 상측 배면부(138), 및 상기 도어 바디(131)의 하단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32)의 하단에 이르는 하측 배면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배면부는, 상기 내부 도어(13)를 닫았을때, 상기 캐비닛(11)의 측면과 밀착되는 제 1 우측 배면부(134)와, 상기 제 1 우측 배면부(13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도어 바디(131)의 타 측면에 이르는 제 2 우측 배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우측 배면부(134)에는 래치홈(13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래치홈(136)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도어 래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우측 배면부(134)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에는 내부 도어(13) 잠금을 위한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우측 배면부(135)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캐비닛(11)의 후면과 상기 제 3 저장고(8)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측 배면부(138)의 상하 폭(L1)은 상기 하측 배면부(139)의 상하 폭(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측면 하단에서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가 상기 캐비닛(11)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하단부가 상기 저장실(101)의 바닥부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도어(13)를 열었을 때, 상기 저장실(101)의 바닥에 내려앉은 냉기가 상기 내측 개구부(115)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냉기 누설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외측 개구부(115)의 하단부도 상기 저장실(101)의 바닥부보다 높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바디(172)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73)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보강 리브(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73)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내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한 쌍의 보강 리브(174) 중 어느 하나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한 쌍의 보강 리브(174) 중 다른 하나에 이르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보강 리브(17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에는 다수의 그릴이 상하 방향, 즉 상기 플레이트 바디(17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직 리브들은 상기 그릴을 정의하는 개구부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릴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중앙부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토출 그릴(171)과, 상하로 인접하는 토출 그릴들(171)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 그릴(1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토출 그릴(171)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상측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상부 토출 그릴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토출 그릴, 및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하측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하부 토출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토출 그릴를 정의하는 개구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상부 토출 그릴을 정의하는 개구부의 상하 방향 길이의 2배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토출 그릴을 정의하는 개구부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하부 토출 그릴을 정의하는 개구부의 상하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입 그릴(175)은, 상기 상부 토출 그릴과 중앙 토출 그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흡입 그릴과, 상기 중앙 토출 그릴과 상기 하부 토출 그릴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흡입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 그릴과 상기 하부 흡입 그릴은 동일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흡입 그릴(175)의 후측에는 각각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을 구성하는 흡열팬(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175)을 정의하는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 리브(176)가 연장되어 사각형 형상의 팬 수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열팬(23)의 전면 일부는 상기 지지 리브(176)에 의하여 정의되는 팬 수용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중앙 토출 그릴의 중앙에 해당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172)의 배면에는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열팬(23)이 구동하면, 상기 상부 흡일 그릴과 하부 흡입 그릴을 통해서 저장실(101) 냉기가 상기 증발실(102)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콜드 싱크(22)의 표면에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22)에 부딪히는 냉기는 열교환을 통하여 온도가 하강한 뒤 상기 콜드 싱크(22)의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상기 콜드 싱크(22)의 상하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는 냉기의 일부는 상기 상부 토출 그릴과 하부 토출 그릴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를 따라 흐르는 냉기는 상기 중앙 토출 그릴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01)로 다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흡열팬(23)의 종류에 따라 냉기의 흡토출 유로가 반대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흡입 그릴들은 토출 그릴들로 기능하고, 상기 토출 그릴들은 흡입 그릴들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부 에어 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에어 가이드(18)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는 상부 가이드(181)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라운드지면서 연장되는 하부 가이드(182), 및 상기 상부 가이드(181)와 하부 가이드(182)가 만나는 전단부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플랜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전단부와 만나서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181)와 상기 하부 가이드(182)는, 상기 상부 가이드(181)와 하부 가이드(182)의 전단부가 만나는 지점을 지나는 수평면, 즉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를 상하로 이등분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181)는,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배면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배면과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배면은,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배면들의 반대 면들은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전면과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전면으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83)는 상기 상부 가이드(181)와 하부 가이드(182)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보강 리브(175)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의 전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중앙 토출 그릴을 상하로 이등분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의 흡열팬(2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냉기와 하측의 흡열팬(2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냉기가 상기 중앙 토출 그릴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저장실(101)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183)는, 상기 보강 리브(174)를 관통하는 스크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보강 리브(174)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플랜지(183)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보강 리브(174)에 부착될 수 있다.
더 다른 방법으로, 상기 플랜지(183)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상부 가이드(181)와 하부 가이드(182)가 만나는 전단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배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상면 후단부에는 간섭 방지홈(18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섭 방지홈(182a)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의 후벽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벽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 냉장고(10)의 캐비닛(11)을 구성하는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세히,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캐비닛(11)의 후벽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11)의 후벽에는 상부 관통홀(112a)과 하부 관통홀(11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 중앙에는 센터 리세스(center recess)(112f)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리세스(112f)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 일부가 포밍 공정에 의하여 후방으로 함몰되거나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관통홀(112a)의 상단은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하부 관통홀(112b)의 하단은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다.
또한,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관통홀(112a)의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센터 리세스(112f)를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거나, 계단 형상으로 다수 회 단차지는 상부 가이드부(112g)가 정의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 관통홀(112a)의 하단에 이르는 부분에는 하부 가이드부(112h)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112g)와 하부 가이드부(112h)는, 상기 흡열팬(23)에 의하여 흡입되어 콜드 싱크(22)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토출 그릴(171) 쪽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가이드(112g)와 하부 가이드부(112h)는 인너 케이스(112)의 전방을 향하여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설계되면, 상기 콜드 싱크(2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저장실(101)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관통홀(112a)과 상기 하부 관통홀(112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에는 응축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12c)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돌기(112c)는 상기 상부 관통홀(112a)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112c)는 좌측 경사부(112d)와 우측 경사부(112e)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경사부(112d)의 상단과 우측 경사부(112e)의 상단이 만나서 첨점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경사부(112d)와 우측 경사부(112e)는 상기 하부 관통홀(112b)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112c)는 상기 하부 관통홀(112b)의 상단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다가, 어느 지점에서부터 상기 좌측 경사부(112d)와 우측 경사부(112e)가 시작되어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상부 관통홀(112a)에 장착된 냉기 공급 모듈(20)의 콜드 싱크(22)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가이드 돌기(112c)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상세히, 상기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가이드 돌기(112c)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좌측 유로(112j) 및 상기 센터 리세스(112f)의 우측 가장자리와 상기 가이드 돌기(112c)의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우측 유로(112k)를 따라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 흘러내린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12c)의 상단으로 흘러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좌측 경사부(112d)와 우측 경사부(112e)로 나뉘어서 상기 좌측 유로(112j)와 우측 유로(112k)로 흘러내린다.
또한,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과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드레인 홀(112m)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112m)에는 상기 드레인 호스(141)의 일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드레인 호스(141)를 따라 드레인 팬(14)으로 모이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좌측 경사부(112d)와 우측 경사부(112e)가 상기 하부 관통홀(112b)의 상단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12c)가 삼각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측의 콜드 싱크(22)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가 하측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의 양 측단부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열팬(2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냉기가 상기 응축수에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열팬(23)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01)로부터 상기 증발실(102)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면에 직접 부딪힌 후에 상측과 하측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면 중앙으로부터 양 측단부로 갈수록 콜드 싱크(22)의 전면에 부딪히는 냉기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상기 하부 관통홀(112b)에 장착된 냉기 공급 모듈(20)의 콜드 싱크 표면에 부딪힌 후 상승하는 냉기가, 상측의 콜드 싱크(22)로부터 흘러 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유동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축수 또는 제상수의 유동을 상기 좌측 유로(112j)와 우측 유로(112k)로 분산시키면, 흘러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에 작용하는 유동 저항을 최소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도 7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후단은 상기 센터 리세스(112f)를 정의 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으로부너 이격된다. 이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의 유동이 상기 상부 가이드(181)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후단이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에 닿는 경우,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상면을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전단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181)의 상면을 타고 흐르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를 따라 상기 저장실(101) 바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러면, 인너 케이스(112) 바닥으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 홀(112m) 쪽으로 흐르지 못하여, 저장실(101) 바닥에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저장실(101) 내부에 곰팡이가 생기고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후단은 상기 가이드 돌기(112c)에 접촉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후단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간섭 방지홈(182a)은 상기 가이드 돌기(112c)를 수용하는 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 방지홈(182a)의 폭은 상기 가이드 돌기(112c)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 가이드(182)의 후단부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좌측 유로(112j) 및 우측 유로(112k)를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으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상기 상부 관통홀(112a)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관통홀(112b)의 상단에 이르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의 전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는 상기 좌측 유로(112j)와 우측 유로(112k)를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후벽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에 의하면, 제 1 냉기 공급 모듈(20)의 콜드 싱크(23)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가 제 2 냉기 공급 모듈(20)의 골드 싱크(23)에 직접 부딪혀서 비산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경사진 후벽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상기 제 2 냉기 공급 모듈(20)의 콜드 싱크(23) 표면에 이르도록 하여, 응축수의 비산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및 단열 기능이 구비된 외부 도어의 배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외부 도어의 횡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0은 캡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 도어(12)는, 방화(防火)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바디(121)와,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 결합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도어 라이너(122), 및 상기 도어 라이너(122)를 상기 도어 바디(12)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121)는, 상기 도어 바디(121)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바디(121a)와, 상기 도어 바디(121)의 측면과 배면을 형성하는 인너 바디(121b), 및 상기 아우터 바디(121a)와 인너 바디(121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난연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21a)와 인너 바디(121b)는 화재에 녹지 않고 견디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121)는, 상기 아우터 바디(121a)와 인너 바디(121b)가 결합되는 구조 외에, 단일의 판재가 다수 회 절곡되어 외형을 이루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바디(121a)가 상기 도어 바디(121)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인너 바디(121b)가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을 형성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난연재(121c)는 하니콤(honeycom) 또는 글라스울(glass wo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22)는,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 밀착되는 라이너 베이스(122a)와, 상기 라이너 베이스(122a)의 배면에 결합되는 라이너 커버(122b)와, 상기 라이너 베이스(122a)와 상기 라이너 커버(122b)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재(1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베이스(122a)는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플라스틱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커버(122b)는 상기 라이너 베이스(122a)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라이너 커버(122b)는 상기 캐비닛(11)의 저장실(10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인너 씰러(31)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외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바디(121)의 배면에 밀착되어, 저장실(101) 내기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125)는, 상기 라이너 커버(122b)의 가장자리와 상기 라이너 베이스(122a)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바디(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 스크류(125a)와, 상기 도어 바디(121)의 내부에 돌출되는 상기 체결 스크류(125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캡 너트(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너트(125b)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스크류(125a)의 외주면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부(1250)와, 상기 너트부(1250)의 단부에서 볼록하게 돌출되는 캡부(1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부(1251)가 상기 너트부(1250)에 결합됨으로써, 체결 부재(125)가 삽입되는 홀의 공차로 생기는 틈새로 화염 또는 연기가 저장실(1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25)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지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두 개씩 결합되고,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세 개씩 결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씰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에 제공되는 실러는, 상기 외부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아우터 씰러(31)와, 상기 내부 도어(13)의 배면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인너 씰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우터 씰러(3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며, 상기 인너 씰러(32)의 종단면 구조는 상기 아우터 씰러(31)의 종단면 구조와 동일하므로, 인너 씰러(32)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 씰러(31)와 인너 씰러(32)는 상기 외부 도어(12)의 배면 및 상기 내부 도어(13)의 배면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외측 개구부(114)의 가장자리와 내측 개구부(115)의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씰러들(31,32)이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측면에 각각 고정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측면에는 상기 씰러들(31,32)의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씰러(31)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320)와, 상기 삽입부(3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씰링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부(320)는,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베이스(321)와, 상기 배이스(22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삽입 본체(322)와, 상기 삽입 본체(322)의 단부 가장자리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걸림 리브(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리브(323)는 상기 삽입 본체(322)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상기 베이스(321) 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320)가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 리브(323)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삽입부(320)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후 상기 아우터 씰러(31)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걸림 리브(323)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320)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 본체(322)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완충 공간(324)(또는 완충 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320)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씰러(31) 자체가 실리콘과 같은 연성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320)가 잘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 공간(32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 본체(322)의 종단면적보다 작은 크기의 입구를 가지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부(320)가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씰링부(310)는, 씰링 바디(311)를 포함한다.
상기 씰링 바디(311)의 양 단부는, 상기 베이스(321)의 일측 가장자리(도면에서 상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도면에서 하측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310)는, 상기 씰링 바디(311)의 내부 공간을 전방의 제 1 공간과 후방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 1 구획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에어 포켓(316)으로 정의되고, 상기 에어 포켓(316)에 채워진 공기에 의하여 상기 씰링부(3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잇다.
상세히, 상기 외부 도어(12)가 닫히면, 상기 씰링부(310)가 외력에 의하여 압착되었다가, 상기 외부 도어(12)가 개방되면 상기 씰링부(310)는 원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씰링부(310)는,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 공간과 내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 2 구획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공간에는 난연재(315)가 채워지고, 상기 내측 공간에는 마그넷(31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난연재(315)는, 상기 도어 바디의 내부에 채워지는 난연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열 성능 및 내화 성능이 우수한 방화 고무 또는 방화용 발포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재(315)는 상기 마그넷(314)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3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난연재(315)가 상기 마그넷(314)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포켓(316)은 하나 또는 다수의 구획부에 의하여 다수의 공간으로 더 구획될 수 있다.

Claims (10)

  1.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을 정의하는 인너 케이스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는 아우터 케이스, 및 상기 인너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저장 공간으로 물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매립되는 캐비닛;
    상기 제 1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전면이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는 제 1 도어;
    상기 제 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전면이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아우터 씰러;
    상기 제 2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둘러지는 인너 씰러; 및
    상기 저장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방화 기능이 구비된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며, 단열 기능이 구비된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의 측면 및 배면을 형성하는 인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와 인너 바디 사이에 내부에 채워지는 난연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상기 도어 바디의 배면에 밀착되는 라이너 베이스와,
    상기 라이너 베이스의 배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라이너 커버, 및
    상기 라이너 베이스와 상기 라이너 커버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도어 라이너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바디의 배면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도어 라이너와 상기 도어 바디의 배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 스크류와,
    상기 도어 바디의 내부로 돌출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캡 너트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너트는,
    상기 체결 스크류의 외주면에 나사산 결합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의 단부에서 볼록하게 돌출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씰러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외부 도어의 배면에 밀착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씰링 바디와,
    상기 씰링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넷과,
    상기 실링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는 난연재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씰링 바디의 내부 공간을 전방의 제 1 챔버와 후방의 제 2 챔버로 구획하는 제 1 구획부와,
    상기 제 1 챔버를 외측 챔버와 내측 챔버로 구획하는 제 2 구획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공기가 채워진 에어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재는 상기 외측 챔버에 수용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내측 챔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200000084A 2020-01-02 2020-01-02 현관용 냉장고 KR20210087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084A KR20210087160A (ko) 2020-01-02 2020-01-02 현관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084A KR20210087160A (ko) 2020-01-02 2020-01-02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160A true KR20210087160A (ko) 2021-07-12

Family

ID=7685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084A KR20210087160A (ko) 2020-01-02 2020-01-02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71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47Y1 (ko) 2004-04-30 2004-07-27 김종만 식품 수취용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47Y1 (ko) 2004-04-30 2004-07-27 김종만 식품 수취용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529A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845834B1 (en)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EP3845843B1 (en)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EP3699525A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845839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87160A (ko) 현관용 냉장고
EP3699532A1 (en) Entrance refrigerator
EP3845836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87161A (ko) 현관용 냉장고
CN113063255B (zh) 玄关用物品保管系统
KR20210087156A (ko) 현관용 냉장고
CN113063254B (zh) 玄关用冰箱
EP3699524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87159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68A (ko) 현관용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