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31A -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 Google Patents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31A
KR20210085631A KR1020190178893A KR20190178893A KR20210085631A KR 20210085631 A KR20210085631 A KR 20210085631A KR 1020190178893 A KR1020190178893 A KR 1020190178893A KR 20190178893 A KR20190178893 A KR 20190178893A KR 20210085631 A KR20210085631 A KR 2021008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potassium
plate
lower fram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욥
Priority to KR102019017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631A/en
Publication of KR2021008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which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n LED lamp installed thereon; a lower fram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having the upper surface thereof open; and a seating plate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a cultivation hole in which plant can be seated. In the lower frame,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ccommodating a nutrient solution that does not contain potassium are formed.

Description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for low-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본 발명은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일반적으로 신부전 환자는 신장의 칼륨 배설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칼륨을 잘 배설할 수 없다. 그 결과, 부정맥, 심한 경우에는 심장 정지를 일으키는 고칼륨 혈증 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만성 신장 질환의 병기에 따라 다르지만 신부전 환자에게는 하루 칼륨 섭취량을 1,500 ~ 2,000 mg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칼륨은 많은 식재료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병 환자는 단백질과 염분의 섭취에 조심하고, 칼륨 섭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renal failure patients cannot excrete potassium well because the kidney's ability to excrete potassium is reduced. As a result,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hyperkalemia, which can lead to arrhythmias and, in severe cases, cardiac arrest. Therefore, although it depends on the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daily potassium intake to 1,500 to 2,000 mg or less for renal failure patients. Since potassium is contained in many foods, kidney disease patients need to be careful about protein and salt intake, and be careful about potassium intake.

칼륨은 식물의 3 요소 중의 하나로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식물의 성장에 필수이며, 채소에는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병 환자들을 위해 칼륨 함량이 적은 채소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저칼륨 채소를 재배하기 위해, 칼륨 함유 표준양액으로 재배하고, 그 이후에 칼륨 불함유 표준양액으로 재배함으로써 칼륨 함유량이 낮은 야채를 실현하고 있다. As is well known as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plants, potassium is essential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is necessarily contained in vegetabl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vegetables with a low potassium content for kidney disease patients. Vegetables with low potassium content are realized by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with a standard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and then cultivating them with a standard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o potassium.

종래의 저칼륨 재배 방식은 칼륨이 포함된 칼륨 함유 표준양액 재배 하우징에 야채를 성장시킨 후 칼륨이 불함유된 표준양액을 투입하여 재차 성장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을 칼륨이 함유된 하우징에서 불 함유된 하우징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식물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최초 하우징의 칼륨이 포함된 표준양액을 빼낸 후 재차 칼륨이 불포함된 표준양액을 충진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재배 시간이 지연되며 과도한 인건비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low-potassium cultivation method, after growing vegetables in a potassium-containing standard nutrient solution cultivation housing containing potassium, a standard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o potassium is added to grow again. As such,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that the plant has to be moved from the housing containing potassium to the housing containing no potassium, and in the state that the plant is not moved, the user withdraws the standard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from the first housing and then again without potassium. The process of filling the standard nutrient solution should be repeat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ltivation time is delay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excessive labor cos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778호(2011.10.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4778 (2011.10.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정에서 신선한 저칼륨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that can grow fresh low-potassium vegetables at ho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 램프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식물이 안착될 수 있는 재배홀이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칼륨이 포함된 양액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과 분리되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lamp is installed upper frame; a low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 and a seating plat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and provided with a cultivation hole in which a plant can be seated;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first accommodation It is separated from the space, and provides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for low 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in which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 nutrient solution not containing potassium is formed.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은, 일 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단부가 하방 경사지게 설치되는 양액흐름판; 및 타 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양액흐름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분리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액흐름판 하부에 상기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one side toward the inside, the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a separation plat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top of the other side inner surface, the separation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in which the first receiving space is form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Hydroponics equipmen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분리판의 일 변에 설치되되, 상기 분리판의 상측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판에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설치된 변 이외의 개방된 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수직에 근접하게 회전하면, 상기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may include: a blocking pl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and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and a blocking wall protruding upward from an open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other than the side on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to be formed.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일부가 개방되어 칼륨 미포함 양액이 투입될 수 있도록, 타 측 상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투입구;를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a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opened so that the potassium-free nutrient solution can be put in, a groove-shaped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provides a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for low-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comprising a can do.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양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중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스톤;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양액을 상기 양액흐름판으로 공급하는 양액공급부;를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the air ston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o supply oxygen in the water by spraying air to the nutrient solution;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may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including.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ment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further comprising a.

또한, 상기 제1 수용공간 상측의 재배홀에 육묘가 안착된 상태에서, 육묘가 생육기를 지나 수확기가 되면, 수확기 상태의 식물을 상기 제2 수용공간 상측의 재배홀로 이동시켜, 수확기 상태의 식물에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을 공급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s are seated in the cultivation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when the seedlings pass the growing season and the harvest season comes, the plants in the harvest season are moved to the cultivation hole abov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plants in the harvest seas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that supplies a nutrient solution that does not contain potassi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정에서 신선한 저칼륨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that can grow fresh low-potassium vegetables at hom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 및 회전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의 차단 플레이트가 작동되기 전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의 차단 플레이트가 작동되기 전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의 차단 플레이트가 작동된 후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의 차단 플레이트가 작동된 후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
1 and 2 are views showing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lower frame and a rota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A' cross-section before the blocking plate of the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ure 3 is operated;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BB' cross-section before the blocking plate of the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ure 3 is operated;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AA' section after the blocking plate of the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ure 3 is operated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BB' cross-section after the blocking plate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ure 3 is oper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20) 및 안착 플레이트(30)를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hydroponics apparatus 1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lower frame 20 and a sea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0) is a diagram sho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는 가정에서 신선한 저칼륨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저칼륨 채소는 삶거나 익혀서 섭취해야 했던 신선한 채소들을 생으로 먹는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를 이용한 저칼륨 채소 재배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식단에 맞춰 특수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1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may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fresh low-potassium vegetables can be grown at home. Low-potassium vegetables can be eaten raw, fresh vegetables that had to be boiled or cooked. In addition, the cultivation of low-potassium vegetables using 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conveniently at a lower pr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cultivate special crops according to the user's diet.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는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안착 플레이트(30), 높이 조절부(40) 및 기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 potassium vegetables may include an upper frame 10 , a lower frame 20 , a seating plate 30 , a height adjustment unit 40 , and a pillar unit 50 .

상부 프레임(10)은 높이 조절부(40)에 의해 하부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프레임(10)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면이 하부 프레임(2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프레임(10)은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0 by a height adjustment unit 40 . For example, the upper frame 1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frame 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frame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hedron.

상부 프레임(10)에는 LED 램프(11), 제어부(12) 및 전원버튼(13)이 형성될 수 있다.An LED lamp 11 , a control unit 12 , and a power button 13 may be formed in the upper frame 10 .

LED 램프(11)는 하부 프레임(20)에 안착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LED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LED 램프(11)는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식물에 최적화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소마다 재배 조건에 맞는 최적의 광 파장과 조도가 있다. 따라서, LED 램프(11)는 제어부(12)에 의해 기 설정된 채소 별 최적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되어, 채소의 생육 성장을 조절할 수 있다.The LED lamp 11 may irradiate the LED light source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seated on the lower frame 20 . The LED lamp 11 may supply light optimized to the pla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 . Specifically, each vegetable has an optimal light wavelength and illuminance suitable for cultivation conditions. Therefore, the LED lamp 11 is controlled to emit the optimal light for each vegetable preset by the control unit 12, thereby controlling the growth and growth of the vegetable.

제어부(12)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의 on/off 전원 제어, LED 램프(11)의 광 세기 조절, 차단 플레이트(24)의 회전 각도와 회전 타이머 등의 조절, 에어스톤(27)과 펌프(28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n/off power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control of the light intensity of the LED lamp 11, adjustment of the rotation angle and rotation timer of the blocking plate 24, and the like, air stone (27)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281) can be controlled.

전원버튼(13)은 사용자가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를 ON/OFF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power button 13 may be a button for the user to turn on/off 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하부 프레임(20)은 상부 프레임(10)의 하측에 배치되되, 높이 조절부(40)에 의해 상부 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프레임(20)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상부 프레임(10)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프레임(20)은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20 is disposed below the upper frame 1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 by a height adjusting unit 40 . For example, the lower frame 2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and may be disposed so that a cross-section faces the upper frame 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frame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hedron.

하부 프레임(20)에는 칼륨이 포함된 양액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S1)과, 제1 수용공간(S1)과 분리되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의 구체적인 구조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lower frame 20 has a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in which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to accommodate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o potassium. can be formed. A detailed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lower frame 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안착 플레이트(30)는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안착 플레이트(30)는 하부 프레임(20)의 개방된 상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착 플레이트(30)는 하부 프레임(20)에서 탈착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착 플레이트(30)를 들어서 회전시킨 후 다시 하부 프레임(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안착 플레이트(30)가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2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킬 수도 있다.The seating plate 3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lower frame 20 . That is, the seating plate 30 may be disposed to form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 For example, the mounting plate 3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frame 20 . After the user lifts and rotates the mounting plate 30 , it can be seated on the lower frame 20 again. Alternatively, the user may rotate the mounting plate 30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20 in a state in which i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

안착 플레이트(30)에는 식물이 안착될 수 있는 재배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재배홀(31)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2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The mounting plate 30 may have a cultivation hole 31 in which a plant can be mounted. A plurality of cultivation holes 31 may be formed, and in this embodiment, 12 are formed as an example.

재배홀(31)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육묘가 안착될 수 있다.A seedling of a plant to be cultivated may be seated in the cultivation hole 31 .

재배홀(31)에는 재배 포트(300)가 설치되고, 재배 포트(300)에 육묘가 안착되어, 육묘가 안정적으로 재배홀(3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재배 포트(300)에 육묘가 안착될 때, 육묘의 뿌리 부분에 고형의 배지가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The cultivation port 300 is installed in the cultivation hole 31 , and the seedlings are seated in the cultivation port 300 , so that the seedlings can be stably fixed to the cultivation hole 31 . In addition, when the seedlings are seated in the cultivation port 300 , the solid medium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ot portion of the seedlings.

제1 수용공간(S1)에 위치된 육묘 상태의 식물이 생육기를 거쳐 수확기가 되면, 제2 수용공간(S2)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수용공간(S1) 상측에 형성된 재배홀(31)에 육묘가 안착된 상태에서, 육묘가 생육기를 지나 수확기가 되면, 수확기 상태의 식물을 제2 수용공간(S2) 상측의 형성된 재배홀(31)로 이동시켜, 수확기 상태의 식물에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안착 플레이트(30)를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서 회전시키거나, 재배 포트(300)를 제2 수용공간(S2) 상측에 형성된 재배홀(31)로 이동시켜, 수확기 상태의 식물을 제2 수용공간(S2)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a plant in a seedling state position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goes through a growing season and a harvest season, it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s are seated in the cultivation hole 3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when the seedlings pass the growing season and the harvest season, the plants in the harvesting season are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By moving to the cultivation hole 31, it is possible to supply a nutrient solution that does not contain potassium to the plants in the harvest season. At this time, the user rotates the seating plate 30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20 or moves the cultivation port 300 to the cultivation hole 3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so that the harvester is in the state of the harvester. The plant may b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일 예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는 안착 플레이트(30)의 둘레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착 플레이트(30)를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안착시켜서 안착 플레이트(30)를 하부 프레임(20)에 고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안착 플레이트(30)를 들어서 회전시킨 후에 하부 프레임(20)에 다시 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rotru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late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 Therefore, the user can fix the seating plate 30 to the lower frame 20 by seating the seating plate 30 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and lifting the seating plate 30 as needed. After rotation, it can be fixed to the lower frame 20 again.

다만, 안착 플레이트(30)와 하부 프레임(20)의 체결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 플레이트(30)와 하부 프레임(20)은 다양한 체결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플레이트(30)의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는 돌기가 삽입 가능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 플레이트(30)의 돌기가 하부 프레임(20)의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가 홈부를 따라 이동하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통해 안착 플레이트(30)가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착 플레이트(30)가 하부 프레임(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착 플레이트(30)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However,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mounting plate 30 and the lower frame 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unting plate 30 and the lower frame 20 may be fastened with various fastening structures. For example, a protrusion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30 , and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seating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wer frame 20 , the protrusion may move along the groove and b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this coupling structure, the seating plate 3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lower frame 20 .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late 30 is fastened to the lower frame 20 , the user may rotate the seating plate 3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는 육묘 및 생육기의 식물은 제1 수용공간(S1)에서 칼륨이 포함된 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수확기가 되면 안착 플레이트(30)가 회전하여 수확기의 식물이 제2 수용공간(S2)에서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재배 시기 동안 칼륨의 양을 조절하여, 작물 내에 흡수된 칼륨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칼륨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lants in the seedling and growing season to absorb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and is settled when the harvest season is reached. By rotating the plate 30 so that the plant in the harvest season can absorb the nutrient solution that does not contain potassium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the amount of potassium is adjus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the plant,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absorbed in the crop can reduce Therefore, low-potassium vegetables can be grown.

안착 플레이트(30)가 식물의 성장에 따라 회전하여, 칼륨이 포함된 양액과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재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저칼륨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The mounting plate 30 rotate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and the nutrient solution not containing potassium can be absorbed, thereby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cultivation process.

높이 조절부(40)는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LED 램프(11)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하여 재배 식물이 육성되지만, LED 램프(11)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광량은 식물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높이 조절부(40)는 LED 램프(11)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10)과 식물이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0)는 식물의 종류나 재배 식물의 성장에 맞춰 이격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ma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20 . A cultivated plant is grown b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11 , but the amount of heat and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lamp 11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lant. To this e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10 in which the LED lamp 11 is installed and the lower frame 20 in which the plant is seate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may appropriate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or the growth of the cultivated plant.

높이 조절부(40)는 제1 조절부(41) 및 제2 조절부(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unit 40 may include a first adjusting unit 41 and a second adjusting unit 42 .

제1 조절부(41)는 상부 프레임(10)과 연결되고 제2 조절부(42)는 하부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절부(41) 내부로 제2 조절부(42)가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조절부(41)와 제2 조절부(42)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djustment unit 4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 , and the second adjustment unit 42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0 . As the second adjusting unit 42 is inserted and separated into the first adjusting unit 41 , the height may be adjusted. For example, the first adjusting unit 41 and the second adjusting unit 42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an air cylinder.

제1 조절부(41)는 제1 연결부(411)에 의해 상부 프레임(10)과 연결되고, 제2 조절부(42)는 제2 연결부(421)에 의해 하부 프레임(20)에 안착된 안착 플레이트(30)의 중심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djustment part 41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 by the first connection part 411 , and the second adjustment part 42 is seated on the lower frame 20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1 . It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plate 30 .

제2 연결부(421)는 안착 플레이트(30)와 탈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연결부(421)는 안착 플레이트(30)와 체결되어, 안착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 연결부(421)도 함께 회전되어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제2 연결부(421)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30)의 회전과 별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421 may be detachably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ating plate 30 .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1 is fastened to the seating plate 30 , and as the seating plate 30 is rotate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1 is also rotated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0 . have. Alternatively, it may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1 or formed to be detachable to maintain a fixed state separately from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late 30 .

기둥부(50)는 하부 프레임(20)의 하부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50)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pillars 5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illar part 50 may allow 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low 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to be stably positioned on the ground.

도 4는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의 차단 플레이트(24)가 작동되기 전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의 차단 플레이트(24)가 작동되기 전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A' cross-section before the blocking plate 24 of 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 3 is operated, and FIG. 5 is hydroponic cultivation for low-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according to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BB' cross-section before the blocking plate 24 of the device 1 is actua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0)은 양액흐름판(21), 분리판(22), 격벽(23), 차단 플레이트(24), 회전 구동부(25), 차단벽(26), 에어스톤(27), 양액공급부(28) 및 투입구(29)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 the lower frame 20 includes a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a separation plate 22 , a bulkhead 23 , a blocking plate 24 , a rotation driving unit 25 , and a blocking wall 26 . , an air stone 27 ,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and an inlet 29 may be included.

또한, 하부 프레임(20)에는 상기의 구성들에 의해, 칼륨이 포함된 양액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S1)과, 제1 수용공간(S1)과 분리되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S2)과, 전원부(60)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by the above configurations, and the nutrient solution that does not contain potassium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frame 20 .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and an internal space (S3) in which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the power supply unit 60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양액흐름판(21)은 하부 프레임(20)의 일 측(도 4 기준, 좌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단부가 하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양액흐름판(21)의 하측에는 칼륨이 포함된 양액이 수용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refer to FIG. 4, the left side) of the lower frame 20 toward the inside, and the e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양액흐름판(21)의 일 측에는 양액공급부(28)가 연결될 수 있다. 양액흐름판(21)에는 양액공급부(28)로부터 공급되는 소량의 양액이 박막의 형태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육묘 및 생육기의 식물의 뿌리의 일부가 접촉될 수 있고, 양액흐름판(21)에 닿지 않는 뿌리의 다른 일부는 공중에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A small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may flow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in the form of a thin film. At this time, a part of the root of the plant in the seedling and growing season may be in contact, and the other part of the root not in contact wit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may be exposed to the air.

이와 같이, 양액흐름판(21)을 통해 식물의 뿌리에 양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양액흐름판(21)이 하부 프레임(20)에 형성되는 높이는 안착 플레이트(30)에 안착되는 식물의 뿌리 일부와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plant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the height at whic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20 is a part of the root of the plant seated on the seating plate 30 and It may be formed at a height enough to be in contact.

또한, 양액흐름판(21)의 단부가 하방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일 측의 양액공급부(28)에서 공급된 양액이 양액흐름판(21)의 경사를 따라서 타 측으로 흐르게 되어, 양액흐름판(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낙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end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is inclined downward,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on one side flows to the other side along the slope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and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It can be dropped into the first receiving space (S1)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분리판(22)은 하부 프레임(20)의 타 측(도 4 기준, 우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양액흐름판(21)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late 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refer to FIG. 4, right side) of the lower frame 20 toward the inside,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격벽(23)은 분리판(2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2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분리판(22)과 격벽(23) 내측에 내부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2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paration plate 22 and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 Accordingly, an inner space S3 may be formed inside the separation plate 22 and the partition wall 23 .

이러한 내부공간(S3)에는 전원부(60)와 같은 구성들이 내장될 수 있다.Components such as the power supply unit 60 may be embedded in the inner space S3.

차단 플레이트(24)는 분리판(22)의 일 변에 설치되되, 분리판(22)의 상측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24)는 양액흐름판(21) 상측에서부터 분리판(22)의 상측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blocking plate 2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22 , and may be axial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22 . The blocking plate 24 may be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to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22 .

회전 구동부(25)는 차단 플레이트(24)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회전 구동부(25)는 차단 플레이트(24)를 축회전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구동부(25)는 차단 플레이트(24)의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unit 25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blocking plate 24 . The rotation driving unit 25 may axially rotate the blocking plate 24 .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unit 25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plate 24 .

차단벽(26)은 분리판(22)에서 차단 플레이트(24)가 설치된 변 이외의 개방된 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벽(26)은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locking wall 26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open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22 other than the side on which the blocking plate 24 is installed. Here, the barrier wall 26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which the potassium-free nutrient solution can be stored.

차단 플레이트(24)가 회전하여, 안착 플레이트(30)와 수직에 근접하게 되면, 차단 플레이트(24)와 차단벽(26)과 하부 프레임(20)의 내측면에 의해 상면만 개방된 제2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S2)에는 후술할 투입구(29)를 통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투입될 수 있다.When the blocking plate 24 rotates and comes close to being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plate 30 , the second accommodation in which only the upper surface is opened by the blocking plate 24 , the blocking wall 26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 A space S2 may be formed.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o potassium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through an inlet 29 to be described later.

에어스톤(27)은 제1 수용공간(S1)과 제2 수용공간(S2)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스톤(27)은 제1 수용공간(S1)과 제2 수용공간(S2)에 각각 수용되는 양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중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air stone 27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The air stone 27 may generate oxygen in water by injecting air into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2, respectively.

양액공급부(28)는 제1 수용공간(S1)에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양액을 양액흐름판(21)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to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구체적으로, 양액공급부(28)는 펌프(281), 공급관(282) 및 배출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 may include a pump 281 , a supply pipe 282 , and a discharge unit 283 .

펌프(281)는 제1 수용공간(S1)에 설치되어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양액을 공급관(282)으로 공급할 수 있다. The pump 28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1 to the supply pipe 282 .

공급관(282)은 제1 수용공간(S1)에 설치된 펌프(281)에서부터 양액흐름판(21)을 관통하여 양액흐름판(21)의 상면까지 배치될 수 있다.The supply pipe 282 may be disposed from the pump 281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배출부(283)는 공급관(282)의 단부에 배치되어, 양액흐름판(2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배출부(283)를 통해 소량의 양액이 양액흐름판(21)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283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upply pipe 282 , and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A small amount of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through the discharge unit 283 .

투입구(29)는 제2 수용공간(S2)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타 측 상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투입구(29)를 통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제2 수용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let 29 may have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is opened. A nutrient solution not containing potassium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through the inlet 29 .

도 4 및 도 5에서는, 차단 플레이트(24)가 제2 수용공간(S2)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로써, 차단 플레이트(24)가 양액흐름판(21)과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는 식물이 육묘 및 생육기 시기로써, 양액흐름판(21)에 흐르는 박막의 칼륨이 포함된 양액에 접촉되며 성장하게 된다.In FIGS. 4 and 5 , the blocking plate 24 is in a state befor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is formed, and the blocking plate 24 is rotated at an angle close to parallel to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 At this time, as the seedling and growing season, the pla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the thin film of potassium flowing through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1 and grows.

도 6은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의 차단 플레이트(24)가 작동된 후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3에 따른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의 차단 플레이트(24)가 작동된 후의 B-B'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AA' cross-section after the blocking plate 24 of the hydroponics apparatus 1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according to FIG. 3 is operated, and FIG. 7 is hydroponic cultivation for low-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according to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BB' cross section after the blocking plate 24 of the device 1 is actuat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단 플레이트(24)가 회전하여, 안착 플레이트(30)와 수직에 근접한 각도를 이루는 상태이다. 이때는, 차단 플레이트(24)와, 차단벽(26)과 하부 프레임(20)의 내측벽에 의해 제2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6 and 7 , the blocking plate 24 rotates to form an angle close to the vertical with the seating plate 30 . In this cas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may be formed by the blocking plate 24 , the blocking wall 26 , and the inner wall of the lower frame 20 .

투입구(29)를 통해 제2 수용공간(S2)으로 칼륨 미포함 양액이 투입될 수 있다. Potassium-free nutrient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through the inlet 29 .

생육기를 거친 식물이 수확기가 되면, 사용자가 안착 플레이트(30) 또는 재배 포트(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확기의 식물이 제1 수용공간(S1)에서 제2 수용공간(S2)으로 이동된다. 이때, 수확기의 식물이 제2 수용공간(S2)으로 투입된 칼륨 미포함 양액을 흡수하면서 성장할 수 있다.When the pl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growing season are harvested, as the user rotates the seating plate 30 or the cultivation port 300, the plants of the harvesting season are moved from the first receiving space S1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 At this time, the plant in the harvest season may grow while absorbing the potassium-free nutrient solution input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따라서, 하나의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1)를 통해 칼륨이 포함된 양액과 칼륨이 미포함된 양액을 성장 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저칼륨의 채소를 재배할 수 있다. Therefore, by sequentially supplying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and a nutrient solution not containing potassium through th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1 for cultivating one low potassium vegetable according to the growth period, low potassium vegetables can be cultiv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10: 상부 프레임
11: LED 램프 12: 제어부
13: 전원버튼 20: 하부 프레임
21: 양액흐름판 22: 분리판
23: 격벽 24: 차단 플레이트
25: 회전 구동부 26: 차단벽
27: 에어스톤 28: 양액공급부
281: 펌프 282: 공급관
283: 배출부 29: 투입구
30: 안착 플레이트 31: 재배홀
300: 재배 포트 40: 높이 조절부
41: 제1 조절부 411: 제1 연결부
42: 제2 조절부 421: 제2 연결부
50: 기둥부 60: 전원부
S1: 제1 수용공간 S2: 제2 수용공간
S3: 내부공간
1: Hydroponics equipment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10: Upper frame
11: LED lamp 12: control unit
13: power button 20: lower frame
21: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22: separator plate
23: bulkhead 24: blocking plate
25: rotation drive unit 26: barrier wall
27: Air Stone 28: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281: pump 282: supply pipe
283: outlet 29: inlet
30: seating plate 31: cultivation hole
300: cultivation port 40: height adjustment unit
41: first adjustment unit 411: first connection unit
42: second adjustment part 421: second connection part
50: pillar unit 60: power unit
S1: first accommodating space S2: second accommodating space
S3: interior space

Claims (7)

LED 램프가 설치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면이 개방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되, 식물이 안착될 수 있는 재배홀이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칼륨이 포함된 양액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과 분리되어,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upper frame with LED lamps installed;
a lower fram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open; and
Doedo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rame, a seating plate having a cultivation hole in which a plant can be mounted; including,
In the lower fram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s accommodated, and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is formed with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a nutrient solution not containing potassiu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일 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단부가 하방 경사지게 설치되는 양액흐름판; 및
타 측 내측면의 상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양액흐름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분리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액흐름판 하부에 상기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rame is
A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tha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inner side of one side toward the inside, the end of which is inclined downward; and
Doedoe formed protruding inward from the top of the other side inner surface, a separation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including,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 potassium vegetables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under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분리판의 일 변에 설치되되, 상기 분리판의 상측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 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판에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설치된 변 이외의 개방된 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벽;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수직에 근접하게 회전하면, 상기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frame is
a blocking pl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and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eparating plate; and
Including; and a blocking wall protruding upward from an open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other than the side on which the blocking plate is installed.
When the blocking plate rotates close to the vertical with the seating plate, the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 potassium vegetables in which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일부가 개방되어 칼륨 미포함 양액이 투입될 수 있도록, 타 측 상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투입구;를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 frame is
A hydroponic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w-potassium vegetables, including; a groove-shaped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opened and the potassium-free nutrient solution can be introduc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양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수중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스톤;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양액을 상기 양액흐름판으로 공급하는 양액공급부;를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lower frame,
an air ston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supply oxygen in the water by spraying air into the nutrient solution;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the nutrient solution flow plat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for low potassium vegetable cultiva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 adjustment unit capable of adjus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Hydroponics apparatus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 상측의 재배홀에 육묘가 안착된 상태에서, 육묘가 생육기를 지나 수확기가 되면, 수확기 상태의 식물을 상기 제2 수용공간 상측의 재배홀로 이동시켜, 수확기 상태의 식물에 칼륨이 포함되지 않은 양액을 공급하는 저칼륨 채소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seedlings pass the growing season and the harvest season is reached with the seedlings seated in the cultivation hole abov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he plants in the harvest season are moved to the cultivation hall above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potassium is added to the plants in the harvest season. Hydroponics equipment for growing low-potassium vegetables that supplies non-nutrient solution.
KR1020190178893A 2019-12-31 2019-12-31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KR202100856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3A KR20210085631A (en) 2019-12-31 2019-12-31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893A KR20210085631A (en) 2019-12-31 2019-12-31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31A true KR20210085631A (en) 2021-07-08

Family

ID=7689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893A KR20210085631A (en) 2019-12-31 2019-12-31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63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778A (en) 2010-04-14 2011-10-20 정관선 The multistage growing instrument for a hydroponic pl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778A (en) 2010-04-14 2011-10-20 정관선 The multistage growing instrument for a hydroponic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847C1 (en) System of plant cultivation
KR101034513B1 (en) Appratus for cultivating aquatic plant
KR101423127B1 (en)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EP3661348B1 (en) Wake up light optimization for plant growth
KR102013939B1 (en) Plants cultivating applaratus for family use
KR101454198B1 (en) Light Source for Plant Factory-Planting Bed Set Having Improved Utilization Rate for Light Source and Space and Container Type Plant Factory Applying It
KR20140122821A (en) Hydroponic culturing device
KR101287155B1 (en) Device for multi hydroponics
KR101581432B1 (en) Water culture device of Rotation type
KR20120128526A (en) Hanger type multilayer apparatus with column structure for hydroponic cultivating
KR20150004641U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414473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cultivation method using upper and lower growth lamp
US11723318B2 (en) Indoor plant-growing system
CN210432500U (en) Multilayer incubator
KR102060055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1649870B1 (en) Sprout cultivating cartridge
US20190124862A1 (en) Accelerated Plant-Growing System
KR102472548B1 (en) multi stage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coco culture medium
KR20210085631A (en) Hydroponics system for production of low-potassium content vegetable
KR20120111872A (en) Device to cultivate of plant
CN105815206A (en) Vegetable growing system
KR102416018B1 (en) apparatus for aeroponics
WO2023086186A1 (en) Grow cups for hydroponic growing systems
KR1013256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hydroponics of vegetables
KR102495842B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capable of growing plants through phot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