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525A -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525A
KR20210085525A KR1020190178639A KR20190178639A KR20210085525A KR 20210085525 A KR20210085525 A KR 20210085525A KR 1020190178639 A KR1020190178639 A KR 1020190178639A KR 20190178639 A KR20190178639 A KR 20190178639A KR 20210085525 A KR20210085525 A KR 20210085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ulfurizer
exhaust gas
burner
way valv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순
양동근
우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525A/en
Publication of KR2021008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5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75Removal of sulf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generating a desulfurizer which regenerates a desulfurizer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to be reused. The system for regenerating a desulfu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usts city gas in a burner to discharge exhaust gas of a set temperature or more, and uses the exhaust gas of a set temperature or mo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to conduct a desorption reaction which desorbs sulfur components absorbed on an absorbent in a desulfurizer, thereby generating the desulfurizer.

Description

탈황기 재생 시스템{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본 발명은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시간 이상 사용한 탈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시키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regenerates a desulfurizer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so that it can be reused.

연료전지 시스템은 크게 연료개질장치 및 연료전지스택을 포함한다. A fuel cell system largely includes a fuel reformer and a fuel cell stack.

연료개질장치는 도시가스를 수소로 개질하고 연료전지스택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The fuel reformer reforms city gas into hydrogen, and the fuel cell stack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and oxygen.

도시가스 개질을 통해 구동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은 개질기 및 연료전지스택의 촉매 피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가스의 황 성분 제거가 필수적인다. 따라서 연료개질장치에는 도시가스에 포함된 황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기가 포함된다.In a fuel cell system driven through city gas reforming, it is essential to remove sulfur components from city gas in order to prevent catalyst poisoning of the reformer and fuel cell stack. Therefore, the fuel reformer includes a desulfurizer that removes sulfur components contained in city gas.

도 1은 종래의 연료개질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시가스는 탈황기(11)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후 버너(12)와 개질기(13)로 공급된다.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fuel reformer. The city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12 and the reformer 13 after the sulfur component is removed in the desulfurizer 11 .

개질기(13)에서는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가 수증기가 반응하여 수소를 생산하고 생산된 수소는 연료전지스택(14)로 공급된다. In the reformer 13 ,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reacts with water vapor to produce hydrogen, and the produced hydrogen is supplied to the fuel cell stack 14 .

개질기(13)에서 도시가스와 수증기가 반응하기 위한 반응온도는 버너(12)에서 연소용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의해 얻어진다.The reaction temperature for the reaction between city gas and water vapor in the reformer 13 is obtained by exhaust gas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burner 12 .

탈황기(11)은 흡착제에 황 성분을 흡착시켜 도시가스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탈황기(11)를 장시간 사용할수록 흡착제에 황 성분이 흡착되어 기능이 저하되므로 약 6~12개월 정도의 주기로 교체해야 한다. 탈황기는 고가의 제품이므로 교체비용은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The desulfurizer 11 adsorbs the sulfur component to the adsorbent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contained in the city gas. Therefore, as the desulfurization device 11 is used for a long time, the sulfur component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and the function deteriorates, so it should be replaced at a cycle of about 6 to 12 months. Since the desulfurizer is an expensive product, the replacement cost can be a big burden.

이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3-0116109호(선행문헌 1)에는 연료전지 시스템 연료변환기의 황 피독 개질촉매 재생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6109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 sulfur poisoning reforming catalyst for a fuel converter in a fuel cell system.

하지만, 선행문헌 1은 개질기의 재생반응을 위해 필요한 재생가스 저장탱크와 재생가스 이송장치 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Prior Document 1, a regenerating gas storage tank and a regenerating gas transfer device required for the regeneration reaction of the reformer need to be install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cost is increased.

또한, 수소를 사용하여 촉매를 재생할 경우 생기는 H2S를 흡착하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사용하는 탈황기 이외에 별도의 촉매를 가지는 탈황기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dsorb H2S generated when the catalyst is regenerated by using hydrogen, a desulfurizer having a separate catalyst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desulfurizer used at room temperature.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3-0116109호(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6109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적은 비용으로 탈황기를 재생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regenerates the desulfurize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low cos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을 정지시킨 후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regenerates the desulfurizer after stopping the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하면서 탈황기를 재생시킬 수 있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capable of regenerating a desulfurizer while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탈황기를 재생시켜서 탈황기의 교체 없이 연료전지 시스템을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without replacing the desulfurizer by regenerating the desulfurizer.

본 발명은 탈황기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can dramatically exte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desulfuriz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된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에 의해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는 탈황기를 포함한다.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for burning city gas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desulfurizer in which a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a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an adsorbent inside is desorbed by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공급된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는 제1 탈황기;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제2 탈황기를 포함한다.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sulfurizer for removing sulfur components from supplied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 burner for burning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first desulfurizer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second desulfurizer in which a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a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an adsorbent inside is desorbed is performed by using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and is regenerated.

이때,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흡착반응이 일어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 탈황기는 공급되는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며,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된다.At this time,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adsorption reaction occurs in the first desulfurizer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s output, the second desulfurizer performs an adsorption reaction in the supplied city gas.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through the burner, the burn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second desulfurizer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the first desulfurizer exhausts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A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nside is desorbed is performed using gas and is re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1 및 제2 탈황기; 공급되는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외부에서 공급되는 도시가스 및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 탈황기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사방향밸브; 상기 제1 및 제2 탈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버너 및 외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2 사방향밸브를 포함한다.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gas supplied; a burner for discharging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burning the supplied city gas; a first four-way valve that receives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and a second four-way valve receiving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gas to the burner and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1 사방향밸브에서 상기 외부의 도시가스를 제1 탈황기로 전달하면,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버너로 전달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제2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된다.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city gas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four-way valve to the first desulfurizer, the first desulfurizer removes the sulfur component from the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nd delivers it to the burner, and the burner is the The first desulfuriz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desulfurizer uses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to use the sulfur adsorbed to the internal adsorbent. The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component is desorbed proceeds and is regenerated.

그리고, 상기 제1 사방향밸브에서 상기 외부의 도시가스를 제2황기로 전달하면, 상기 제2황기는 상기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버너로 전달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된다.And, when the first four-way valve transfers the external city gas to the second astragalus, the second astragalus removes the sulfur component from the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nd delivers it to the burner, and the burner is the The second desulfuriz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the first desulfurizer uses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to use the sulfur adsorbed to the internal adsorbent. The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component is desorbed proceeds and is regener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2개의 입구(P1,P3) 및 2개의 출구(P2,P4)를 갖는 제1 사방향밸브; 2개의 입구(N1,N3) 및 2개의 출구(N2,N4)를 갖는 제2 사방향밸브; 입구(A1)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와 연결되고 출구(A2)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N1)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로부터 상기 입구(A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1 탈황기; 입구(B1)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와 연결되고 출구(B2)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2입구(N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로부터 상기 입구(B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2 탈황기; 입구(C1)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와 연결되고 출구(C2)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P1)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로부터 상기 입구(C1)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입구(P3)로는 외부로의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N4)로는 상기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our-way valve having two inlets (P1, P3) and two outlets (P2, P4); a second four-way valve having two inlets (N1, N3) and two outlets (N2, N4); An inlet A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 outlet A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a first desulfurizer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outlet (P2) to the inlet (A1); The inlet B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of the first four-way valve, the outlet B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first four-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B1. a second desulfurizer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gas supplied from the second outlet (P4) to the inlet (B1); An inlet C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 outlet C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a burner that burns th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outlet (N2) to the inlet (C1) and discharges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and the second inlet (P3) of the first four-way valve The city gas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and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of the second four-way valve.

이때, 상기 제1 사방향밸브는 상기 외부 도시가스가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고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는 상기 제1 탈황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탈황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한다.At this time, the first four-way valve operates such that the external city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operates to supply the first desulfurizer. The gas discharged from the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sulfurizer operate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1 사방향밸브는 상기 외부 도시가스가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고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는 상기 제2 탈황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로 공급되고 상기 제1 탈황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한다.In addition, the first four-way valve operates such that the external city gas i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second desulfurization unit. The gas discharged from the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er operate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1 탈황기 또는 제2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임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first desulfurizer or the second desulfurizer.

본 발명의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탈황기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적게 든다.According to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ulfurizer can be regenera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e cost is low.

본 발명의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을 정지시킨 후 탈황기를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수명이 완료되어 교체된 탈황기를 안전하게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ulfurizer can be regenerated after the fuel cell system is stopped, the lifespan is completed and the replaced desulfurizer can be safely regenerated.

본 발명의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중에도 탈황기를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탈황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ulfuriz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the desulfurizer can be regenerated even while the fuel cell system is operating.

본 발명의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탈황기의 교체를 위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중단이 없고 탈황기의 교체 없이 연료전지 시스템을 연속적으로 계속 가동할 수 있으므로 전력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interru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for replacement of the desulfurizer, and the fuel cell system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desulfurizer, so that the power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의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탈황기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므로 탈황기의 교체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desulfurizer can be remarkably extended, the cost for replacing the desulfurizer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탈황기를 포함하는 연료개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서 제2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시스템에서 제1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uel reformer including a conventional desulfurizer.
Figure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second desulfurizer i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first desulfurizer i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도시가스를 직접 공급받는 버너(120)와, 버너(12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공급받는 탈황기(11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120 directly supplied with city gas, and a desulfurizer 110 receiving high-temperatur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120 . ) is composed of

일반적으로 탈황기(110)에서는 도시가스 내에 포함된 황 성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는 흡착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흡착반응으로 인해 도시가스 중 황 성분이 제거되는 탈황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In general, in the desulfurizer 110, an adsorption reaction of adsorbing sulfur components contained in city gas to an adsorbent occurs. Due to this adsorption reaction, a desulfurization process in which sulfur components in city gas are removed is in progress.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시가스는 탈황기(110)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버너(120)로 직접 공급된다. 버너(120)는 도시가스를 연소함으로써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탈황기(110)로 공급된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ity gas is not supplied to the desulfurizer 110 bu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burner 120 . The burner 120 discharges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burning city gas. This exhaust gas is supplied to the desulfurizer 110 .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탈황기(110)는 일정시간 이상 장기사용으로 인해 내부의 흡착제에는 황 성분이 흡착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desulfurizer 110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is adsorbed to the adsorbent inside due to long-term us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버너(120)로부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가 탈황기(110)로 공급되면 탈황기(110)에서는 흡착제에 흡착된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일어난다. When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is supplied from the burner 120 to the desulfurizer 110 , a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s desorbed occurs in the desulfurizer 110 .

이러한 탈착반응으로 인해 흡착제로부터 황 성분이 제거되는 재생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탈황기(11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된다. Due to this desorption reaction, a regeneration process in which sulfur components are removed from the adsorbent proceeds.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esulfurizer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탈황기(110)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에 의하여 황 성분의 탈착반응이 일어나서 탈황기(110)의 재생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ulfurizer 110 , the desulfurization process of the desulfurizer 110 may be performed because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of the sulfur component occurs by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탈황기(110)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의 배기가스가 버너(120)에서 탈황기(110)로 공급되어야 한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aust gas having a temperature at which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desulfurizer 110 must be supplied from the burner 120 to the desulfurizer 110 .

본 실시예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는 3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이상인 경우에 탈황기(110)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나 탈황기(110)가 재생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is preferably 350 ℃ or higher.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is temperature, a desulfurization reaction occurs in the desulfurizer 110 and the desulfurizer 110 may be regenerated.

도 2에 도시된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 바람직하게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어 탈황기 등을 점검 및 유지보수하는 동안에 동작할 수 있다.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shown in FIG. 2 may operate while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is stopped, preferably,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is stopped and the desulfurizer is inspected and maintained.

또한, 도 2에 적용되는 탈황기는 장시간 사용하여 흡착제에 황 성분이 많이 흡착되어 탈황 효율이 저하된 탈황기나 교체주기에 따라 교체한 탈황기 등이 될 수 있다. 즉, 수명이 다한 탈황기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esulfurizer applied in FIG. 2 may be a desulfurizer in which a large amount of sulfur components are adsorbed to the adsorbent and the desulfurization efficiency is lowered or a desulfurizer replaced according to a replacement cycle after using for a long time. That is, it is to regenerate the desulfurizer that has expir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제1 탈황기(210)와 제2 탈황기(220), 제1사방향밸브(230)와 제2 사방향밸브(240), 그리고 버너(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sulfurizer 210 and a second desulfurizer 220 , a first four-way valve 230 and a second four-way valve. 240 , and a burner 250 may be included.

제1 탈황기(210) 및 제2 탈황기(220)는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및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desulfurizer 210 and the second desulfurizer 220 may undergo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and a desorption reaction depending on the supplied gas.

즉, 제1 및 제2 탈황기(210,220)는 각각 도시가스가 공급되면 도시가스에 포함된 황 성분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버너(250)로부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가 공급되면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That is, when city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 respectively, an adsorption reaction of adsorbing the sulfur component contained in the city gas to the adsorbent may occur, and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is supplied from the burner 250 . In this case, a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s desorbed may occur.

흡착반응에서는 도시가스에서 황 성분이 제거되는 탈황과정을 일어나고, 탈착반응에서는 흡착제에서 황 성분이 제거되는 재생과정이 일어나는 것이다.In the adsorption reaction, a desulfurization process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city gas occurs, and in the desorption reaction, a regeneration process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adsorbent occurs.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탈황기(210,220)는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서 흡착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고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즉, 탈황과이 일어날 수도 있고 재생과정이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may undergo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depending on the supplied gas. That is, desulfurization may occur or the regeneration process may occur.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탈황기(210,22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도시가스 또는 버너(25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o this end, any one of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

제1 및 제2 탈황기(210,220)로 도시가스 또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치가 제1 및 제2 사방향밸브(230,240)이다.A device for selectively supplying city gas or exhaust gas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is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

제1,2 사방향밸브(230,240)는 가스의 흐름을 네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may control the flow of gas in four directions.

제1 사방향밸브(230)는 2개의 입구(P1,P4)와 2개의 출구(P2,P4)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사방향밸브(240)는 2개의 입구(N1,N3)와 2개의 출구(N2,N4)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our-way valve 230 may have two inlets P1 and P4 and two outlets P2 and P4,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has two inlets N1 and N3 and Two outlets N2 and N4 may be provided.

제1 사방향밸브(230)는 제1입구(P1)가 제1출구(P2)와 제2출구(P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제2입구(P3)도 제2출구(P4)와 제1출구(P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four-way valve 230 may operate such that the first inlet P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outlet P2 and the second outlet P4, and the second inlet P3 is also the second outlet It may operate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P4) and the first outlet (P2).

이때, 제1입구(P1)가 제1출구(P2)와 제2출구(P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 제2입구(P3)는 나머지 하나에 연결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inlet P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outlet P2 and the second outlet P4, the second inlet P3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예들 들어, 제1 사방향밸브(230)에서 제1입구(P1)가 제1출구(P2)에 연결되면 제2입구(P3)는 제2출구(P4)에 연결되고, 반대로 제1입구(P1)가 제2출구(P4)에 연결되면 제2입구(P3)는 제1출구(P2)에 연결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first four-way valve 230, when the first inlet (P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the second inlet (P3)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and vice versa, the first inlet ( When P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 the second inlet P3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

제2 사방향밸브(240)로 동일하다. 제2 사방향밸브(240)는 제1입구(N1)가 제1출구(N2)와 제2출구(N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제2입구(N3)도 제2출구(N4)와 제1출구(N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is the same.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may operate such that the first inlet N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outlet N2 and the second outlet N4, and the second inlet N3 is also the second outlet It may operate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N4) and the first outlet (N2).

이때, 제1입구(N1)가 제1출구(N2)와 제2출구(N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 제2입구(N3)는 나머지 하나에 연결된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inlet N1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outlet N2 and the second outlet N4, the second inlet N3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예를 들어, 제2 사방향밸브(240)에서 제1입구(N1)가 제1출구(N2)에 연결되면 제2입구(N3)는 제2출구(N4)에 연결되고, 반대로 제1입구(N1)가 제2출구(N4)에 연결되면 제2입구(N3)는 제1출구(N2)에 연결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nlet N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in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the second inlet N3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N4, and vice versa, the first inlet When (N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N4), the second inlet (N3)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제1 사방향밸브(230)에서는 제1입구(P1)로는 버너(25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입력되고 제2입구(P3)로는 외부로부터 도시가스가 입력된다.In the first four-way valve 230 ,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is input to the first inlet P1 , and city gas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inlet P3 .

제2 사방향밸브(240)에서 제1입구(N1)로는 제1 탈황기(21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입력되고 제2입구(N3)로는 제2 탈황기(220)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입력된다.In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er 210 is input to the first inlet N1 , and the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sulfurizer 220 is input to the second inlet N3 . do.

제1 및 제2 사방향밸브(230,24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부는 제1,2 탈황기(210,220)에서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이 필요한지에 따라 상기 제1,2 사방향밸브(230,24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according to whether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is required in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 사방향밸브(230,240)의 동작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제1,2 탈황기(210,22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흡착반응 및 탈착반응을 교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2 사방향밸브(230,240)가 교대로 동작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set period.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may alternately perform an adsorption reaction and a desorption reaction according to a set cycle,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alternately operate according to the set cycle. can be

제1,2 탈황기(210,220) 및 버너(250)와 제1,2 사방향밸브(230,240) 간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and the burner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탈황기(210)는 가스가 입력(공급)되는 입구(A1)와 출력(배출)되는 출구(A2)가 구비된다. 제2 탈황기(220)도 가스가 입력(공급)되는 입구(B1)와 출력(배출)되는 출구(B2)가 구비된다. 또한, 버너(250)도 가스가 입력(공급)되는 입구(C1)와 출력(배출)되는 출구(C2)가 구비된다.First, the first desulfurizer 210 is provided with an inlet (A1) to which gas is input (supplied) and an outlet (A2) through which gas is output (discharged). The second desulfurizer 220 is also provided with an inlet (B1) to which the gas is input (supplied) and an outlet (B2) through which the gas is output (discharged). In addition, the burner 250 is also provided with an inlet C1 through which the gas is input (supplied) and an outlet C2 through which the gas is output (discharged).

제1 탈황기(210)의 경우 입구(A1)가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와 연결되고 출구(A2)가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N1)와 연결된다. In the case of the first desulfurizer 210 , the inlet A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d the outlet A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제1 탈황기(210)는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로부터 입구(A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desulfurizer 210 may undergo either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depending on th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outlet P2 to the inlet A1 of the first four-way valve.

제1 탈황기(210)의 입구(A1)로는 외부로부터 도시가스 또는 버너(250)로부터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가 입력될 수 있다.As the inlet A1 of the first desulfurizer 210 , any one of city gas or exhaust gas from the burner 250 may be input from the outside.

제2 탈황기(220)의 경우 입구(B1)가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와 연결되고 출구(B2)가 제2 사방향밸브의 제2입구(N3)와 연결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the inlet B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d the outlet B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제2 탈황기(220)도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로부터 입구(B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The second desulfurizer 220 may also undergo either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depending on the gas supplied to the inlet B1 from the second outlet P4 of the first four-way valve.

제2 탈황기(220)의 입구로도 역시 외부로부터 도시가스 또는 버너(250)로부터 배기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가 입력될 수 있다.Any one of the city gas or the exhaust gas from the burner 250 may be inputted from the outside also into the inlet of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이때, 제1,2 탈황기(210,220)로 도시가스 또는 배기가스 중 어느 가스가 입력되는지는 제1,2 사방향밸브(230,240)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At this time, which gas among the city gas or exhaust gas i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our-way valves 230 and 240 .

버너(250)의 경우 입구(C1)가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와 연결되고 출구(C2)가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P1)와 연결된다.In the case of the burner 250, the inlet C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the outlet C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버너(250)는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로부터 상기 입구(C1)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고, 이러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The burner 250 burns the gas supplied to the inlet C1 from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discharges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such combustion.

버너(25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 탈황기(210)로도 입력될 수 있고 제2 탈황기(220)로도 입력될 수 있다. 버너(25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제1,2 탈황기(210,220) 중 어디로 공급될지는 제1 사방향밸브(230)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may be input to the first desulfurizer 210 and may also be input to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Whether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is supplied among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

그리고 버너(250)의 입구(C1)에는 제1 탈황기(2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입력될 수도 있고, 제2 탈황기(22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입력될 수도 있다. 제1,2 탈황기(210,220) 중 어느 탈황기의 가스가 버너(250)로 입력될지는 제2 사방향밸브(220)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In additi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er 210 may be input to the inlet C1 of the burner 250 or the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sulfurizer 220 may be input. Which of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gas is input to the burner 250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20 .

여기서, 제1 사방향밸브(230)의 제2입구(P3)로는 외부로의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2출구(N4)로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2출구(N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2 탈황기(210,220)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가스이다. 어느 탈황기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지는 역시 제2 사방향밸브(240)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Here, the city gas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inlet P3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and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At this time,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is the gas output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 Which desulfurizer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also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은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탈황기 재생 시스템이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1출구(N2)에 개질지(250)가 연결될 수 있고 개질기(260)에 연료전지스택(270)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uel cell system. Whe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s applied to a fuel cell system, the reformer 2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as shown in FIGS. 3 to 5 and the reformer A fuel cell stack 270 may be connected to the 260 .

개질기(260)는 제1 탈황기(210) 또는 제2 탈황기(220) 중 어느 하나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공급받아 수증기와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도록 하고, 생산된 수소는 연료전지스택(270)으로 전달된다.The reformer 260 receive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from either the first desulfurizer 210 or the second desulfurizer 220 and reacts with water vapor to produce hydrogen, and the produced hydrogen is used in a fuel cell It is passed to the stack 270 .

연료전지스택(270)는 애노드, 캐소드 및 전해질을 포함하며, 애노드에 공급된 수소와 외부에서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의 산소와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The fuel cell stack 270 includes an anode, a cathode, and an electrolyte, and may generate electricity throug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with hydrogen supplied to the anode and oxygen i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cathode.

이때,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반응에 소비되지 않은 가스, 즉 애노드 오프 가스(Anode Off Gas, AOG)가 버너(250)로 공급된다. 이에 버너(250)는 AOG 가스를 연료로 재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 gas not consumed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hydrogen and oxygen, that is, an anode off gas (AOG) is supplied to the burner 250 . Accordingly, the burner 250 may reuse the AOG gas as fuel.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이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제1,2 탈황기(210,220)를 이중화로 동작하도록 한다. 즉,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중에 제1 탈황기(210)가 탈황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제2 탈황기(220)는 재생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대로 제2 탈황기(220)가 탈황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제1 탈황기(210)가 재생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Whe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uel cell system,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are operated in a redundant manner. That is, while the first desulfurizer 210 performs the desulfurization oper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the second desulfurizer 220 performs the regeneration operation. Conversely, while the second desulfurizer 220 performs the desulfurization operation, the first desulfurizer 210 performs the regeneration operation.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도시가스는 제1 탈황기(210)로 공급된다. Specifically,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210 .

제1 탈황기(2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The first desulfurizer 210 removes sulfur components from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버너(250)는 제1 탈황기(210)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The burner 250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first desulfurizer 210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제2 탈황기(220)는 버너(250)로부터 배출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된다.The second desulfurizer 220 is regenerated by performing a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nside is desorbed by using the exhaust gas having a set temperature or higher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

이때, 제2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제2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어도 350℃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second desulfurizer. For example, the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only when the temperature is at least 350° C. or higher.

이러한 경우는 제1 탈황기(210)를 일반적인 탈황기로 사용하여 도시가스에서 황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고 제2 탈황기(220)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desulfurizer 210 is used as a general desulfurizer to remove sulfur components from city gas and to regenerate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도시가스는 제2 탈황기(2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탈황기(220)가 공급된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한다.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That is,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In this case, the second desulfurizer 220 removes the sulfur component from the supplied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버너(250)는 제2 탈황기(220)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The burner 250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second desulfurizer 220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제1 탈황기(210)는 버너(250)로부터 배출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것이다.The first desulfurizer 210 is regenerated by a desorp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nside is desorbed by using th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

이러한 경우는 제2 탈황기(210)를 일반적인 탈황기로 사용하여 도시가스에서 황 성분을 제거하도록 하고 제1 탈황기(220)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desulfurizer 210 is used as a general desulfurizer to remove sulfur components from city gas and to regenerate the first desulfurizer 220 .

이때, 상기 반대의 경우는 설정시간 이후 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 탈황기(210)에서 흡착반응이 일어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반대의 경우가 진행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everse case may be performed after a set time or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is,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adsorption reaction occurs in the first desulfurizer 210 or a control signal is output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e reverse case proceeds. .

이는 설정된 주기마다 반대의 경우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제1 탈황기(210)로 황을 제거하는 동안 제2 탈황기(220)를 재생시킨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설정된 주기가 되면), 반대로 제2 탈황기(220)로 황을 제거하는 동안 제1 탈황기(210)를 재생시키는 것이다. 물론 제어부가 판단하여 반대의 경우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면 반대의 경우도 진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verse case may be performed at each set period.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econd desulfurizer 220 is regenerated while the sulfur is removed with the first desulfurizer 210 (at a set period), the sulfur is removed with the second desulfurizer 220 on the contrary. While the first desulfurizer 210 is to be regenerated. Of course,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opposite case needs to be executed, the reverse case may also be performed.

제1,2 탈황기(210,220)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버너(25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최소 350℃ 이상이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desorption reaction to occur in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210 and 220 ,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250 must b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Preferably, it should be at least 350° C. or higher so that the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 시스템에서 제2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황기 재생시스템에서 제1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second desulfurizer i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the first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desulfurizer.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전 중에 제2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second desulfurizer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제어부는 제1 사방향밸브(230)의 제1입구(P1)와 제2출구(P4)를 연결하고 제2입구(P3)와 제1출구(P2)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1입구(N1)와 제1출구(N2)를 연결하고 제2입구(N3)와 제2출구(N4)를 연결한다.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first inlet P1 and the second outlet P4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and connects the second inlet P3 and the first outlet P2. And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first inlet (N1) and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and connects the second inlet (N3) and the second outlet (N4).

이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된 도시가스가 제1 탈황기(210)로 입력된다. 제1 탈황기(210)는 입력된 도시가스에 포함된 황 성분을 제거하는 흡착반응이 진행되고, 황 성분이 제거된 가스는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1입구(N1)로 입력된다.Accordingly,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input to the first desulfurizer 210 . The first desulfurizer 210 undergoes an adsorption reaction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contained in the input city gas, and the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s input to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do.

제2 사방향밸브(240)에서 제1입구(N1)는 제1출구(N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입구(N1)로 입력된 가스는 제1출구(N2)를 통해 버너(250)로 입력된다. 동시에 해당 가스는 개질기(260)로도 입력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the gas input to the first inlet N1 is directed to the burner 250 through the first outlet N2. is input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gas may also be input to the reformer 260 .

버너(250)에서는 상기 공급된 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제1 사방향밸브(230)의 제1입구(P1)로 배출한다.The burner 250 burns the supplied gas and discharges th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to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

제1 사방향밸브(230)에서 제1입구(P1)는 제2출구(P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입구(P1)로 입력된 배기가스는 제2 탈황기(220)로 공급된다. Since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 the exhaust gas input to the first inlet P1 i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제2 탈황기(220)에서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에 의해 탈착반응이 일어나면서 흡착제에 부착된 황 성분이 탈거되는 재생과정이 진행된다.In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a regeneration process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ttached to the adsorbent is removed while the desorption reaction occurs by the exhaust gas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performed.

제2 탈황기(220)는 배기가스를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2입구(N3)로 배출하고, 이러한 배기가스는 제2출구(N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second desulfurizer 220 discharges the exhaust gas to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and this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

이러한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탈황기(210)에서 탈황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 탈황기(220)는 재생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is process, while the desulfu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desulfurizer 210 , the regener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전 중에 제1 탈황기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first desulfurizer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제어부는 제1 사방향밸브(230)의 제1입구(P1)와 제1출구(P2)를 연결하고 제2입구(P3)와 제2출구(P4)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1입구(N1)와 제2출구(N4)를 연결하고 제2입구(N3)와 제1출구(N2)를 연결한다.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first inlet P1 and the first outlet P2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and connects the second inlet P3 and the second outlet P4. And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first inlet (N1) and the second outlet (N4)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and connects the second inlet (N3) and the first outlet (N2).

이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된 도시가스가 제2 탈황기(220)로 입력된다. 제2 탈황기(220)는 입력된 도시가스에 포함된 황 성분을 제거하는 흡착반응이 진행되고, 황 성분이 제거된 가스는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2입구(N3)로 입력된다.Accordingly,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input to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The second desulfurizer 220 undergoes an adsorption reaction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contained in the input city gas, and the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s input to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do.

제2 사방향밸브(240)에서 제2입구(N3)는 제1출구(N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입구(N1)로 입력된 가스는 제1출구(N2)를 통해 버너(250)로 입력된다. 동시에 해당 가스는 개질기(260)로도 입력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the gas input to the first inlet N1 is directed to the burner 250 through the first outlet N2. is input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gas may also be input to the reformer 260 .

버너(250)에서는 상기 공급된 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제1 사방향밸브(230)의 제1입구(P1)로 배출한다.The burner 250 burns the supplied gas and discharges th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to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230 .

제1 사방행밸브(23)에서 제1입구(P1)는 제1출구(P2)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입구(P1)로 입력된 배기가스는 제1 탈황기(210)로 공급된다. In the first four-way valve 23 , the first inlet P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 so the exhaust gas input to the first inlet P1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210 .

제1 탈황기(210)에서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에 의해 탈착반응이 일어나면서 흡착제에 부착된 황 성분이 탈거되는 재생과정이 진행된다.In the first desulfurizer 210 , a desorption reaction occurs by the exhaust gas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a set temperature, and a regeneration process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ttached to the adsorbent is removed is performed.

제1 탈황기(210)는 배기가스를 제2 사방향밸브(240)의 제1입구(N1)로 배출하고, 이러한 배기가스는 제2출구(N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first desulfurizer 210 discharges the exhaust gas to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240 , and this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

이러한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탈황기(220)에서 탈황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 탈황기(210)는 재생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is process, while the desulfu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econd desulfurizer 220 , the regener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irst desulfurizer 21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탈황기를 이중화로 구성하고 어느 한 탈황기에서 탈황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탈황기는 재생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desulfurizers are configured as redundant, and while the desulfuriz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one desulfurizer, the other desulfurizer may be regenerated. 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정지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운전중에도 장시간 사용한 탈황기를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황기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탈황기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탈황기의 교체주기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sulfurizer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can be regenerated during normal operation as well as when the fuel cell system is stopped, the cost of replacing the desulfurizer can be reduc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ulfurizer can be regenera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desulfurizer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10,210,220 : 탈황기 120,250 : 버너
230 : 제1 사방향밸브 240 : 제2 사방향밸브
260 : 개질기 270 : 연료전지스택
110,210,220: Desulfurizer 120,250: Burner
230: first four-way valve 240: second four-way valve
260: reformer 270: fuel cell stack

Claims (18)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된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에 의해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는 탈황기를 포함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a burner that burns city gas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a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a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an adsorbent is desorbed by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desulfurizer is at least a temperature at which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는 350℃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is 350 ℃ or mor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공급된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는 제1 탈황기;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제2 탈황기를 포함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a first desulfurizer for removing sulfur components from the supplied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 burner for burning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first desulfurizer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a second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a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a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an adsorbent is desorbed is performed using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and is regenera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is at least a temperature at which a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second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흡착반응이 일어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탈황기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 탈황기는 공급되는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며,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adsorption reaction occurs in the first desulfurizer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s output,
The second desulfurizer removes sulfur components from the supplied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nd the burn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in the second desulfurizer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1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the desulfurization system is regenerated by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in which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adsorbent is desorbed using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is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temperature at which a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first desulfurizer.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는 3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탈황기 재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5 or 7,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for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is 350 ℃ or mo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황기로부터 배출되는 도시가스와 수증기를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개질기를 더 포함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reformer for producing hydrogen by reacting the city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er with water vapor.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1 및 제2 탈황기;
공급되는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
외부에서 공급되는 도시가스 및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 탈황기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사방향밸브;
상기 제1 및 제2 탈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버너 및 외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2 사방향밸브; 를 포함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supplied gas;
a burner for discharging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burning the supplied city gas;
a first four-way valve that receives the city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a second four-way valve that receives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esulfurizers and selectively transmits it to the burner and to the outside;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방향밸브에서 상기 외부의 도시가스를 제1 탈황기로 전달하면,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버너로 전달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제2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irst four-way valve transfers the external city gas to the first desulfurizer, the first desulfurizer removes sulfur components from the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nd transfers it to the burner, and the burner is the first desulfurizer. The desulfuriz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the second desulfurizer uses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internal adsorbent.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is regenerated by the desorption reaction proceed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is at least a temperature at which a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second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방향밸브에서 상기 외부의 도시가스를 제2황기로 전달하면, 상기 제2황기는 상기 도시가스에서 흡착반응을 통해 황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버너로 전달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제2 탈황기에서 황 성분이 제거된 도시가스를 연소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상기 제1 탈황기는 상기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내부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황 성분이 탈착되는 탈착반응이 진행되어 재생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irst four-way valve transfers the external city gas to the second astragalus, the second astragalus removes sulfur components from the city gas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nd delivers it to the burner, and the burner is the second The desulfurizer burns the city gas from which the sulfur component has been removed to discharg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the first desulfurizer uses the exhaust gas above the set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burner to remove the sulfur component adsorbed to the internal adsorbent.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is regenerated by the desorption reaction proceed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1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is at least a temperature at which the desulfuriza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first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2개의 입구(P1,P3) 및 2개의 출구(P2,P4)를 갖는 제1 사방향밸브;
2개의 입구(N1,N3) 및 2개의 출구(N2,N4)를 갖는 제2 사방향밸브;
입구(A1)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와 연결되고 출구(A2)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N1)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P2)로부터 상기 입구(A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1 탈황기;
입구(B1)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와 연결되고 출구(B2)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2입구(N3)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P4)로부터 상기 입구(B1)로 공급되는 가스에 따라 흡착반응 또는 탈착반응 중 어느 하나의 반응이 진행되는 제2 탈황기;
입구(C1)가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와 연결되고 출구(C2)가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1입구(P1)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1출구(N2)로부터 상기 입구(C1)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설정온도 이상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방향밸브의 제2입구(P3)로는 외부로의 도시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의 제2출구(N4)로는 상기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a first four-way valve having two inlets (P1, P3) and two outlets (P2, P4);
a second four-way valve having two inlets (N1, N3) and two outlets (N2, N4);
An inlet A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P2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 outlet A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N1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a first desulfurizer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outlet (P2) to the inlet (A1);
The inlet B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4 of the first four-way valve, the outlet B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N3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first four-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B1. a second desulfurizer in which any one of an adsorption reaction or a desorption rea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gas supplied from the second outlet (P4) to the inlet (B1);
An inlet C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N2 of the second four-way valve, an outlet C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P1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and a burner for burn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outlet (N2) to the inlet (C1) and discharging the exhaust gas above a set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city gas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inlet (P3) of the first four-way valve and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N4) of the second four-way valv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방향밸브는 상기 외부 도시가스가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고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는 상기 제1 탈황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로 공급되고 상기 제2 탈황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four-way valve operates such that the external city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ation unit.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the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sulfuriz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방향밸브는 상기 외부 도시가스가 상기 제2 탈황기로 공급되고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1 탈황기로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2 사방향밸브는 상기 제2 탈황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로 공급되고 상기 제1 탈황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동작하는 탈황기 재생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four-way valve operates such that the external city gas is supplied to the second desulfurizer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supplied to the first desulfurizer, and the second four-way valv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sulfurization unit.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in which the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first desulfuriz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상기 제1 탈황기 또는 제2 탈황기에서 탈착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이상인 탈황기 재생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urner is a desulfurizer regeneration system that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temperature at which a desorption reaction can occur in the first desulfurizer or the second desulfurizer.
KR1020190178639A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KR202100855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39A KR20210085525A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639A KR20210085525A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525A true KR20210085525A (en) 2021-07-08

Family

ID=7689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639A KR20210085525A (en) 2019-12-30 2019-12-30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5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109A (en) 2012-04-13 2013-10-2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Re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lfur-poisoned reform catalyst in the fuel processor of fuel cel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109A (en) 2012-04-13 2013-10-23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Re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lfur-poisoned reform catalyst in the fuel processor of fuel cel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99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heating assembly operation through pressure swing adsorption purge control
EP2518013B1 (en)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system
JP5133165B2 (en) Fuel cell system
CA27036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ying auxiliary fuel streams during intermittent byproduct discharge from pressure swing adsorption assemblies
US80708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ying auxiliary fuel streams during intermittent byproduct discharge from pressure swing adsorption assemblies
JP4603379B2 (en) Fuel cell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044657A1 (en) Fuel cell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ly increasing hydrogen recovery through vacuum-assisted pressure swing adsorption
US8053118B2 (en) Hydrogen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utting down the same
US20200052314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rmal regeneration of desulfurization adsorbates
KR20210085525A (en) System for regenerating desulfurizer
JP2016009594A (en) Fuel battery power generation device
JP6319555B2 (en) Hydrogen generator, fuel ce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hydrogen generator
KR20220095417A (en) Fuel processor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7103078A (en) Fuel cell system
JP2016184456A (en) Gas manufacturing apparatus
JP6755964B2 (en) Fuel cell system combining an inert adsorption bed and an active adsorption bed
JP5632688B2 (en) Desulfuriz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desulfurization system
JP4041085B2 (en) Fuel gas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pping the same
JP7183095B2 (en) fuel cell system
JP2017004743A (en) Fuel cell system
WO2020170491A1 (en) Pretreatment method of desulfurizer, start-up preparation method of hydrogen generation device, and start-up preparation method of fuel cell system
KR20230100394A (en)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608617B2 (en) Fuel cell system
JP2017045509A (en) Fuel batte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JP2017174574A (en) Fuel cel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