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312A - Assembly drawer - Google Patents

Assembly dra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312A
KR20210085312A KR1020190178224A KR20190178224A KR20210085312A KR 20210085312 A KR20210085312 A KR 20210085312A KR 1020190178224 A KR1020190178224 A KR 1020190178224A KR 20190178224 A KR20190178224 A KR 20190178224A KR 20210085312 A KR20210085312 A KR 2021008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flat plate
prefabricated
seat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8522B1 (en
Inventor
오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잇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잇쳐스
Priority to KR102019017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22B1/en
Publication of KR2021008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2Profiles or supporting structures for supporting single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9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refabricated drawer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flat plate. The prefabricated drawer comprises a drawer fastener, a body, and a drawer, wherein the drawer fastener has an angled U-shaped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while enclosing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and seating portion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by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The body has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In the drawer, a sliding portion slidably coupled to the seating portion o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Description

조립식 서랍{Assembly drawer}Assembly drawer

본 발명은 조립식 서랍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평판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ra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drawer that can be simply installed and used on a flat plate such as a desk or table.

일반적으로, 서랍은 양 측면의 판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서랍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3537호(1999. 12. 20. 등록)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크기의 함(300)이 있고 함(300)의 양 측면 판(내측면의 판)에 고정프레임(400)을 형성한 후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서랍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조의 일반적인 서랍의 경우 수직방향으로 양 측면 판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면 판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서랍이 이동하여야 하므로, 필요에 따라 조립을 하거나 분해하기 어려우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서랍장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책상이나 테이블에 서랍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서랍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In general, the drawer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rails formed on the plates on both sides of the draw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3537 (Registered on December 20, 1999), there is a box 300 of a predetermined size and both side plates of the box 300 ( After the fixing frame 40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plate), the drawer moves along the guide rail 500 . However, in the case of a general drawer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both side plat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awer must move along the guide rails formed on the both side plates, it is difficult to assemble or disassemble as needed, and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 In addition, when the drawer is fixed to a desk or table without a separate draw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rawer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평판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rawer that can be simply installed and used on a flat plate such as a desk or tabl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서랍은, 상기 평판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감싸면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의 양 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평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서랍 체결구 및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측의 상부에 상기 안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가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랍을 구비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drawer detachable from the fla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with a U-shaped coupling part inserted while enclosing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On both sides of the drawer fastener having seatin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and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sliding the seat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The sliding unit coupled to be possible may include a drawer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몸체의 양 측의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후면 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의 양 측 끝단에서 상기 서랍 체결구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면 중 전면 측에 제 1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part is bent outwardly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part,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ly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body, and the seating part is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fastener,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상기 서랍의 깊이는 20 cm 이하이고,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 에서 1:3 사이일 수 있다.A depth of the drawer may be 20 cm or less, and a ratio of a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to a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liding part may be between 1:2 and 1:3.

상기 결합부 중 상기 평판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에서 1:3 사이일 수 있다.A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among the coupling portions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may be between 1:2 and 1:3.

상기 서랍은,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고, 다른 서랍의 상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하부면 중 상기 개구된 공간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기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awer may have an open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open space among the lower surfaces so that it can be fitted on top of another drawer. .

상기 서랍은, 하부면에 손잡이용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 상에 양 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서랍의 하부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보강바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awer has a through hole for a handle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both sides on the lower surface to prevent sagging of the drawer may be form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은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평판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서랍에 내용물을 많이 넣는 경우에도 서랍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은 서랍을 빼는 경우 돌기를 이용하여 끝단에서 걸리므로 서랍을 과도하게 빼는 경우에도 서랍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랍을 서랍 체결구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랍을 적층하여 수납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fabricated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simply installing it on a flat plate such as a desk or table, so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at a desired location and prevents sagging of the drawer even when a lot of contents are put in the drawer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In addition, since the prefabricated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ught at the end using a protrusion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wer from falling even when the drawer is excessively pulled out, and the drawer is attached to the drawer faste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drawer or can be used as a storage box by stacking a plurality of drawer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이 평판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서랍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식 서랍 중 서랍 체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조립식 서랍 중 서랍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조립식 서랍 중 서랍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조립식 서랍 중 서랍을 적층하여 수납함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refabricated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flat plate and us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drawer of Figure 1;
4 is a front view of a drawer fastener of the prefabricated drawer of FIG. 2 .
5 is a rear view of the drawer of the prefabricated drawer of FIG. 2 .
7 is a bottom view of the drawer of the prefabricated drawer of FIG. 2 .
7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drawers are stacked and used as a storage box among the prefabricated drawers of FIG. 2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서랍(100)이 평판(170)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서랍(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식 서랍(100) 중 서랍 체결구(11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조립식 서랍(100) 중 서랍(150)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조립식 서랍(100) 중 서랍(150)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조립식 서랍(100) 중 서랍(150)을 적층하여 수납함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flat plate 170 and used, and FIG. 3 is the prefabricated drawer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100). 4 is a front view of the drawer fastener 110 of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of FIG. 2 , FIG. 5 is a rear view of the drawer 150 of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of FIG. 2 , and FIG. 6 is the prefabricated type of FIG. It is a bottom view of the drawer 150 among the drawers 100 . 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drawer 150 is stacked and used as a storage box among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of FIG. 2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립식 서랍(100)은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평판(17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평판(170)은 책상이나 테이블 등의 상판일 수도 있고, 선반, 수납장의 평판 등일 수 있다. 조립식 서랍(100)은 서랍 체결구(110) 및 서랍(15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may be used by being coupled to a flat plate 170 such as a desk or table. The flat plate 170 may be a top plate of a desk or table, or a flat plate of a shelf or a cabinet. The prefabricated drawer 100 may include a drawer fastener 110 and a drawer 150 .

서랍 체결구(110)는 평판(17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부(210) 및 안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평판(170)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감싸면서 삽입되는 부분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ㄷ자 형상의 결합부(210)가 평판(170)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평판(170)에 끼워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210)는 좌우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ㄷ자 형상의 홈은 전후방향(Y)으로 이동하여 평판(170)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210) 중 평판(17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면에는 체결수단(미도시)이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10)에 삽입된 상기 체결수단이 평판(170)에 결합되어 서랍 체결구(110)를 평판(170)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 피스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합부(210)에 반드시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210)를 평판(170)에 억지끼움 함으로써 서랍 체결구(110)를 평판(170)에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The drawer fastener 110 is a portion coupled to the flat plate 170 , and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10 and a seating part 220 . The coupling part 210 is a portion inserted while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and may have a U-shape. That is, the U-shaped coupling portion 210 may be fitted to the flat plate 170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 As shown in FIG. 2 , the coupl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and the U-shaped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170 by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t least one through hole 215 through which a fastening means (not shown) penetrat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 The inserted fastening means may be coupled to the flat plate 170 to insert and fix the drawer fastener 110 to the flat plate 170 . The fastening means may be a bolt, a piece, or the lik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coupling part 210 or it is not required to be coupled using the fastening means, and the drawer fastener 110 is tightened by forcibly fitting the coupling part 210 to the flat plate 170 . It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lat plate 170 .

안착부(220)는 결합부(210)의 하부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210)가 평판에 삽입되는 방향(Y)으로 서랍 체결구(11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2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210)의 하부의 양 측 끝단에서 서랍 체결구(1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서랍(150)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안착부(220)는 전후방향(Y)으로 연장되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ㄴ자 형상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면과 좌우방향(X)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면을 가질 수 있고 좌우방향(X)으로 연장된 면은 서랍 체결구(110)의 내측 방향을 향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extend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rawer fastener 110 in the direction (Y)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can be formed. For example, the seating part 220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fastener 110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210 as shown in FIG. 2 to provide a drawer 15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 to be seated and coupled. That is, the seating portion 220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nd have a bent shape in a L-shape, wherein the L-shape includes a surfac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urface be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X) and extended. and the surfac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may face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fastener 110 .

서랍(150)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250) 및 몸체(250)의 양 측의 상부에 안착부(2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220)가 서랍(25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150)은 몸체(250)의 양 측의 상부가 서랍(15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슬라이딩부(260)가 몸체(250)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drawer 150 has a body 250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sliding part 220 slidably coupled to the seating part 220 on both sides of the body 250 , the front of the drawer 250 . It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back to the rea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drawer 150 has a sliding part 260 having a protruding shape in which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250 are bent outwardly of the drawer 150 to form the body 250 . ) may be formed by extending from

슬라이딩부(260) 중 서랍(250)의 후면 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26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돌기(265)는 슬라이딩부(260)마다 형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부(260)들 중 하나의 슬라이딩부(26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부(210)는 하부면 중 전면 측에 제 1 돌기(265)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돌기(2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랍(250)의 슬라이딩부(260)에 형성된 제 1 돌기(265)와 서랍 체결구(110)의 결합부(210)에 형성된 제 2 돌기(215)가 동일한 위치에 있으므로, 서랍(250)을 서랍 체결구(210)에 임계값 이상의 힘을 가하여 삽입한 경우 다시 서랍(250)을 서랍 체결구(210)에서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임계값 이상을 힘을 가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서랍(250)을 열다가 과도하게 잡아당기는 경우에도 제 1 돌기(265)가 제 2 돌기(215)에 걸리므로 서랍(250)이 쉽게 서랍 체결구(2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A first protrusion 265 protruding upwardly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drawer 250 among the sliding parts 260 .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protrusion 265 may be formed for each sliding part 260 , or may be formed on only one sliding part 260 of the sliding parts 260 .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210 may have a second protrusion 215 protruding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265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protrusion 265 formed on the sliding part 260 of the drawer 250 and the second protrusion 215 formed on the coupling part 210 of the drawer fastener 110 are in the same position, the drawer 250 ) in the drawer fastener 210 by applying a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n order to completely separate the drawer 250 from the drawer fastener 210 again, a forc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must be applied. Accordingly, even when the drawer 250 is pulled excessively while the drawer 250 is opened, the first protrusion 265 is caught by the second protrusion 215 , so that the drawer 25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drawer fastener 210 .

안착부(22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슬라이딩부(26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 에서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안착부(220)의 길이를 슬라이딩부(260)의 길이의 1/2에서 1/3 사이로 줄임으로써 평판(170)에 결합되는 서랍체결구(110)의 크기를 최소화하였다. 만약, 안착부(220)의 길이에 비하여 슬라이딩부(260)의 길이가 3배를 넘어가게 되는 경우 안착부(220)는 서랍(150)을 지지하는 힘이 약하게 되어 서랍(150)이 슬라이딩부(260)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 경우 서랍(150)의 깊이(상기 수납공간의 깊이)는 20 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랍(150)은 책상 등의 평판(170)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서랍(150)의 깊이가 20 cm 보다 크게 되면 사용자가 앉아있는 경우 다리에 걸려서 불편하게 되고, 20 cm 이하의 서랍(150)의 깊이를 가지는 경우 안착부(22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슬라이딩부(26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 에서 1:3 사이이면 슬라이딩부(260)가 안정적으로 서랍(150)을 지지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220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liding part 260 is preferably between 1:2 and 1:3.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drawer fastener 110 coupled to the flat plate 170 was minimized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seating part 220 to between 1/2 and 1/3 of the length of the sliding part 260 . . If the length of the sliding part 260 exceeds three times the length of the seating part 220 , the seating part 220 has a weak force to support the drawer 150 , so that the drawer 150 is the sliding part. There is a case in which separation at (260) occurs. Also,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drawer 150 (the depth of the storage space) is preferably 20 cm or less. The draw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coupled to a flat plate 170 such as a desk. If the depth of the drawer 150 is greater than 20 cm, it becomes inconvenient to get caught on the legs when the user is sitting, and the drawer 150 is 20 cm or less. If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220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liding part 260 is between 1:2 and 1:3 when having a depth of 150, the sliding part 260 is can stably support the drawer 150 .

또한, 결합부(210) 중 평판(17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안착부(22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에서 1: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결합부(210) 중 평판(17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가 안착부(22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1/3보다 작게 되면 평판(170)을 둘러싸면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높인 것이 효과가 없게 되고, 1/2보다 크게 되면 평판(17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에 느끼게 된다.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of the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220 is between 1:2 and 1:3 It is preferable to be I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of the coupling portion 210 is less than 1/3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ortion 220, the flat plate 170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y combining while surrounding it becomes ineffective, and when it is larger than 1/2, the size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170 becomes too large, which makes the user feel uncomfortable.

이와 같이 최적의 비율로 각 부분의 길이의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최대한 편안하게 서랍을 이용할 수 있고 결합부(210)와 슬라이딩부(260)가 안정적으로 서랍(150)을 지지할 수 있다.By determining the ratio of the lengths of each part in an optimal ratio in this way, the user can use the drawer as comfortably as possible, and the coupling part 210 and the sliding part 260 can stably support the drawer 150 .

서랍(150)은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고, 다른 서랍의 상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하부면 중 상기 개구된 공간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기(255)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서랍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상기 개구된 공간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기(255)를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른 서랍(700)의 상부에 서랍(150)을 올려놓는 경우 제 3 돌기(255)가 상기 개구된 공간에 끼워지게 되어 서랍(150)을 안정적으로 다른 서랍(700)의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 drawer 150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55 protrudes down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open space among the lower surfaces so that it can be fitted on the upper part of another drawer. can be That is, since the drawer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size as shown in FIG. 7 ,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255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open space. , when the drawer 15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ther drawer 700, the third protrusion 255 is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so that the drawer 15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drawer 700. there will be

또한, 서랍(150)은 하부면에 손잡이용 관통홀(259)이 형성되어 있고, 서랍(15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 상에 양 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바(25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랍(150)은 하부면에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관통홀(259)을 형성함으로써 전면에 손잡이가 없어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150)은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에 적재되는 물건이 많아지면 서랍(150)의 중앙부가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랍(150)의 하부면 상에 양 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바(257)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바(257)는 서랍(150)의 바닥면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서랍(150)의 바닥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er 150 has a through hole 259 for a handle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 257) may be formed. The draw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259 that can be used as a handle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conveniently even without a handle on the fro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drawer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drawer 150 sags when a large number of items are load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257 are formed on the surface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both sides. The reinforcing bar 257 may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150 from sagging by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150 .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평판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서랍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을 감싸면서 삽입되는 ㄷ자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의 양 측에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평판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서랍 체결구; 및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 측의 상부에 상기 안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가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식 서랍.
In a prefabricated drawer detachable from a flat plate,
A U-shaped coupling part is formed to be inserted while enclosing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at plate, an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coupling part, a seating par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Drawer fasteners formed; and
A prefabricated draw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drawer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liding part slidably coupled to the seating part on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몸체의 양 측의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후면 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의 양 측 끝단에서 상기 서랍 체결구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면 중 전면 측에 제 1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ding part,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body to be bent outwardly and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and protruded upwardly on the rear side,
The seating part,
It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rawer fastener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art,
Prefabricate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깊이는 20 cm 이하이고,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 에서 1: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
According to claim 1,
The depth of the drawer is 20 cm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liding part is from 1:2 to 1:3.
상기 결합부 중 상기 평판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은 1:2에서 1: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The ratio of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par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plate among the coupling parts and the length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seating part is from 1:2 to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고, 다른 서랍의 상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하부면 중 상기 개구된 공간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 3 돌기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er,
The prefabricated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t least one third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wer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open space among the lower surfaces so that it can be fitted on the upper part of another draw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하부면에 손잡이용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면 상에 양 측면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서랍의 하부면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보강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서랍.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wer,
A through hole for a hand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both sides on the lower surface to prevent sagging of the drawer. Features a prefab drawer.
KR1020190178224A 2019-12-30 2019-12-30 Assembly drawer KR102328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24A KR102328522B1 (en) 2019-12-30 2019-12-30 Assembly dra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224A KR102328522B1 (en) 2019-12-30 2019-12-30 Assembly dra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12A true KR20210085312A (en) 2021-07-08
KR102328522B1 KR102328522B1 (en) 2021-11-18

Family

ID=7689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24A KR102328522B1 (en) 2019-12-30 2019-12-30 Assembly dra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5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10Y1 (en) * 1991-06-15 1993-10-09 이철수 Slide drawer
KR20160002874U (en) * 2015-02-10 2016-08-18 (주)건화지기 the locking type drawer case
KR20160003475U (en) * 2015-03-31 2016-10-10 정소영 Shelves apparatus having anti-bend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10Y1 (en) * 1991-06-15 1993-10-09 이철수 Slide drawer
KR20160002874U (en) * 2015-02-10 2016-08-18 (주)건화지기 the locking type drawer case
KR20160003475U (en) * 2015-03-31 2016-10-10 정소영 Shelves apparatus having anti-bend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522B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GB1578672A (en) Drawer of plastics material
CA2491979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KR101142161B1 (en) Drawer typed bed frame
US20070080614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KR20170035677A (en) Apparatus for fixing of shelf
US4712844A (en) Home filing cabinet
KR102328522B1 (en) Assembly drawer
KR200492419Y1 (en) Receiving device
KR200321259Y1 (en) keep box of shape drawer
JP3645869B2 (en) Desk and desk system
US3850482A (en) Method of installing drawer guide, and structure
KR101987725B1 (en) The system furniture
KR101205243B1 (en)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drawer
JP2542263Y2 (en) Desk with drawer
KR101144212B1 (en) A prefabricated drawer
JP3499618B2 (en) desk
KR101789772B1 (en) Bracket for bottom cover drawer of kitchen sink and bottom cover drawer of kitchen sink using the same
KR200409702Y1 (en) Side board for drawer
JP4356586B2 (en) Cabinet wagon
JP3982894B2 (en) Connector
KR20180047537A (en) Drawer of furniture
JPH0622261Y2 (en) A device for mounting a table board on a desk, etc.
JP4363269B2 (en) Cabinet wagon with storage
JPS6341504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