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231A -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 Google Patents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231A
KR20210085231A KR1020190178064A KR20190178064A KR20210085231A KR 20210085231 A KR20210085231 A KR 20210085231A KR 1020190178064 A KR1020190178064 A KR 1020190178064A KR 20190178064 A KR20190178064 A KR 20190178064A KR 20210085231 A KR20210085231 A KR 2021008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contents
coupled
content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옥
김유섭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9017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231A/en
Publication of KR2021008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ontainer body including at least two content receiving parts. The container body may comprise: the content receiving part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and at least two container inlets formed at the top of the content receiving parts, respectively.

Description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된 용기{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A container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ent receiv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용기본체가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되고, 분할된 내용물 수용부에 각각 용기 입구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결합부재가 수용부 별로 결합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ent accommodat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and 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content accommodat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and each container inlet is provided in the divided content accommodating part. By being formed, it relates to a container in which various coupling members can be coupled to each receiving part.

최근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용도 및 종류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내용물을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높아졌고 이에 따라 하나의 용기에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Recently, as the uses and types of cosmetics or pharmaceuticals have been diversified, the need of consumers to use several contents together has increased. Accordingly, technologies for accommodating various contents in one container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대부분의 용기들은 하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들을 복수 개 조합하는데 그치다 보니, 부피가 커져 휴대성이 떨어지고, 부품수가 많아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most containers only combine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accommodating one content, the volume increases and portability de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한편, 여러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 내에서 혼합시킨 뒤 혼합된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용기 내부에서 이종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한 뒤 단일 토출부재로 혼합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는 각각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없고, 내용물 별로 토출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tainer in which various types of contents are mixed in one container and then the mixed contents are discharged has also been proposed. However, since such a container is a method of discharging the mixed contents with a single discharging member after mix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inside the vessel, each contents cannot be discharged in an unmixed state, and a discharging member is selected for each contents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not be us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용기가 요구된다.Therefore, a container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본체가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됨으로써, 복수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ontents by dividing the container body into at least two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또한, 분할된 내용물 수용부에 각각 용기 입구가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결합부재가 수용부 별로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결합부재 및 용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a container inlet is formed in each of the divided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various coupling members can be coupled to each accommodating part, thereby providing a container in which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ntainer content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는 상단에 각각 용기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content accommodating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content accommodat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the at least two or more content accommodating parts have a container inlet at the upper end, respectively. can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저면이 개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저면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has an open bottom, and is coupled to the open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may include a sealing part fo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부는 외주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sealing portion may include a rim portion extending upward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edg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ents receiv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의 하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턱 및 상기 결합 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include a coupling jaw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contents accommodating part, and a curtai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jaw.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결합 턱에 안착되고, 상기 커튼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rim portion may be seated on the coupling chin, and the curtain portion may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부는 바닥 면에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을 따라 바닥 홈이 형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a bottom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art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dge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 하부는 상기 격벽보다 폭이 좁은 삽입 돌기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삽입 돌기와 대응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 홈이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jection narrower than the partition wall extending downward, and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so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can be coupled ha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 수용부는 제 1 내용물 수용부 및 제 2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 1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ntents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tents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contents receiv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rim portion extending upwardly, the ri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ents receiving portion A first edge part and a second edg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tent receiving part may be included, and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dge part and the second edge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입구는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ntainer inlet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oupling memb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는 토출 부재, 도포 부재 및 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charge member, an application member, and a cap.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 부재는 드로퍼, 점적기, 펌프, 스포이트 및 피펫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discharg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opper, a dropper, a pump, a dropper, and a pipet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나사산, 걸림 돌기 및 걸림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crew thread,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at least two or more contents receiving portions may be form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may be integrally mol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재질일 수 있다.Also, preferabl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상단에 숄더부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may be coupled to a shoulder portion on the upper e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상단에 보호캡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캡은 내측으로 상기 결합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a protective cap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upling memb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되는 용기본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용기 입구;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contents receiving portion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a container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at least two contents receiving part;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부가 격벽에 의해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됨으로써, 하나의 용기로 복수 개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내용물을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적은 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divided into two or more contents receiv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in one container.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and use various contents. In addition,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imple process using a very small number of part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된 내용물 수용부에 각각 용기 입구가 형성됨으로써, 펌프, 드로퍼 등 다양한 결합부재가 수용부 별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되는 화장료의 점도나 성분에 따라 최적의 결합부재를 수용부 별로 적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결합부재 및 용기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iner inlet is formed in each of the divided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various coupling members such as pumps and droppers can be coupled to each accommodating part. Therefore, the optimal coupling member can be applied to each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viscosity or component of the cosmetic to be accommodated, and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ntainer content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용기 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의 (b)는 용기 입구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저면과 밀폐부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결합되는 부분 중 일부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결합부재로 드로퍼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용기본체에 드로퍼와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용기본체에 펌프가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 상단에 보호캡이 결합되고, 보호캡 내측으로 드로퍼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a)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Fig. 1 (b)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aling part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and the closure unit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ontainer body and the closing part are coupled.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aling part in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pper is applied as a coupling member 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6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pper and the pump ar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Fig. 6 (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ump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respectively.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opp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ap.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described below,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irec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용기 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의 (b)는 용기 입구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저면과 밀폐부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1 (a)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container inlet, Figure 1 (b)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inlet.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aling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00)는 내용물 수용부(100), 격벽(200), 용기 입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container body 1000 may include a content accommodating part 100 , a partition wall 200 , and a container inlet 300 .

용기본체(1000)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200)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100)로 분할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ents accommodating part 100 by the partition wall 200 formed therein.

내용물 수용부(1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여기서 내용물은 액상 또는 겔상의 세럼, 에센스, 크림, 립글로즈, 립스틱, 아이새도,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 또는 겔상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ceiving unit 100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ents, where the contents may be cosmetics such as liquid or gel serum, essence, cream, lip gloss, lipstick, eye shadow, foundation,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include all kinds of substances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such as liquid or gel pharmaceuticals or quasi-drugs.

내용물 수용부(100)는 격벽(200)에 의해 용기본체(1000)내에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내용물 수용부(100) 별로 성분, 점도, 색상 등 물성이 상이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At least two contents accommodating part 100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0 by the partition wall 200 , and content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onents, viscosity, color, etc., may be accommodated for each contents accommodating part 100 .

격벽(200)은 용기본체(1000) 내부에 형성되며, 용기본체(1000)를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100)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200)은 용기본체(1000) 내측 상단에서 하단으로 수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격벽(200)이 용기본체(1000) 내측 상단에서 하단으로 수직 형성되는 경우, 내용물 수용부(100)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200 is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00 , and serves to divide the container body 1000 into two or more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100 . The partition wall 200 is preferably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artition wall 200 is vertically form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00,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may be form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격벽(200)은 용기본체(1000) 내측 중앙에 위치하거나, 용기본체(1000) 내측 중앙에서 일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200)의 형성 위치에 따라 내용물 수용부(100)의 부피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내용물을 다양한 부피로 하나의 용기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200 is locat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00, or may be formed to be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volume of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artition wall 200 may vary. Through this, the user can conveniently carry various contents in one container in various volumes.

또한, 격벽(200)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200)의 개수에 따라 내용물 수용부(100)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 수용부(100)의 형성 방향 및 격벽(200)의 개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용기본체(1000)를 격벽(200)으로 분할함으로써, 간단한 설계 공정으로 하나의 용기본체(1000)에 복수개의 내용물 수용부(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partition walls 200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contents accommodating units 1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tion walls 200 .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and the number of partition walls 2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is way, by dividing the container body 1000 into the partition wall 200 , a plurality of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100 can be formed in one container body 1000 by a simple design process.

격벽(200)에 의해 분할된 내용물 수용부(100)의 상단에는 각각 용기 입구(300)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입구(300)를 통해 내용물 수용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거나 내용물 수용부(100)로 충진될 수 있다.A container inlet 30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200 , respectively.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3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filled with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

용기 입구(300)는 각각 대응하는 내용물 수용부(100)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할된 각 내용물 수용부(100) 상단 중앙에서 일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container inlet 300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s receiving unit 100, but may be formed to be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center of each divided contents receiving unit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용기 입구(300)는 결합부재(2000)와 결합하는 체결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0)는 용기 입구(300)에 형성된 체결부(310)를 통해 다양한 결합부재(2000)와 결합할 수 있다.The container inlet 30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10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000 . 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coupled with various coupling members 2000 through the fastening part 310 formed in the container inlet 300 .

체결부(310)는 나사산, 걸림 돌기 및 걸림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입구(300)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결합부재(2000)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고, 용기 입구(300)에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경우, 결합부재(2000)와 스냅온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310)는 나사산, 걸림 돌기, 걸림 홈 이외에 다양한 결합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0)와 결합부재(2000)는 나사결합, 스냅온 결합 이외에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crew thread, a locking protrusion, and a locking groove. For example, when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container inlet 300 as shown in FIG. 1 ( a ), it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2000 by screwing, and when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ntainer inlet 300 . , it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2000 in a snap-on manner. The fastening part 310 may include various coupling methods in addition to the screw thread,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groove, and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be fasten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other than screw coupling and snap-on coupling. .

체결부(310)는 용기 입구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위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체결부(310)는 용기 입구(300) 별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용기 입구(300) 마다 상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쪽 용기 입구(3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쪽 용기 입구(300)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거나, 양쪽 용기 입구(300) 모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fastening part 31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but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position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for each container inlet 300 , or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for each container inlet 300 . For example, a thread is formed in one container inlet 300 ,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ther container inlet 300 , or both container inlet 300 may be threaded.

용기본체(100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본체(1000)를 구성하는 부품을 줄이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용기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별개의 구성을 조립하여 제조하는 경우보다 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integrally mold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tainer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tainer compared to the case of manufacturing by assembling a separate configuration.

용기본체(10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재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내용물 수용부(100) 안의 내용물의 종류 및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type and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

용기본체(1000)는 저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0)의 개방된 저면에 결합하여, 용기본체(1000)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0 may have an open bottom surface, and may include a sealing part 400 that is coupled to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seal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

용기본체(1000)의 저면이 개방됨에 따라, 성형 공정이 용이하고, 내용물 충진이 용이할 수 있다.A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0 is opened, the molding process may be easy, and the contents may be easily filled.

예를 들어, 용기본체(1000)는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일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400)를 제외한 용기본체(1000)가 먼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용기본체(1000) 하단에 밀폐부(400)가 조립되면서 용기본체(1000)를 밀폐할 수 있다. 밀폐부(400)에 의해 용기본체(1000)가 밀폐되면, 용기 입구(300)를 통해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the bottom surface open. 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1000 excluding the sealing part 400 is first integrally injection-molded, and then the container body 1000 can be sealed while the sealing part 400 is assemb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 When the container body 1000 is closed by the sealing part 400 , the contents may be filled through the container inlet 300 .

또 다른 실시예로, 용기 입구(300)가 별도의 마개나 결합부재 등으로 밀폐된 후, 용기본체(100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내용물이 충진되고, 마지막으로 밀폐부(400)가 용기본체(1000) 저면에 체결되면서, 용기본체(1000)가 밀폐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container inlet 300 is closed with a separate stopper or a coupling member, the contents are filled throug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finally the sealing part 400 is the container body (1000) While being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sealed.

밀폐부(400)는 용기본체(1000) 하단에 끼움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400) 또는 용기본체(1000) 일측에 언더컷을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거나,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밀폐부(40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용물을 교체할 수 있으며, 내용물 수용부(100)의 세척이 편리하여 위생적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내용물 수용부(100)에 내용물을 포함하는 별도의 용기를 포함시킨 뒤, 밀폐부(400)를 개방하여 용기를 리필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00 may be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or may be coupled in a detachable manner. For example, an undercu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ling part 400 or the container body 1000 to be fitted or combined by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When the seal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can be replaced, and the washing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is convenient, so that it can be used hygienically. In one embodiment, after a separate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is included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 the sealing unit 400 is opened to refill the container for use.

밀폐부(400)와 용기본체(1000)의 체결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sealing part 400 and the container body 10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결합되는 부분 중 일부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and the closure part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container body and the closure part are coupled, Figure 4 is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and the sealing part is shown in an exploded stat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00) 하부는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턱(110) 및 결합 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0 may include a coupling jaw 110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and a curtain unit 1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upling jaw. have.

결합 턱(110)은 용기본체(1000) 하부에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턱(110)은 용기본체(1000) 하부에 밀폐부(400)가 결합될 때, 밀폐부(400)의 일 측(예를들어,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과 맞닿으며, 밀폐부(400)의 상승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upling jaw 110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0 . When the closure unit 4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0, the coupling jaw 11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losure unit 400 (eg, the edge portion 410 of the closure unit 400). And, it can serve to block the rise of the sealing part (400).

결합 턱(110)은 용기본체(1000) 내측에서 외측으로 폭이 줄어들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기본체(1000) 내측으로 폭이 넓어지거나 돌출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coupling jaw 11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educed width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0, but may be formed to widen or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튼부(120)는 결합 턱(1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결합 턱(110)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튼부(120)는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와 같거나 유사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urtain unit 1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oupling jaw 110 , and may be for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coupling jaw 110 . In addition, the curtain part 1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or similar to the edge part 410 of the closing part 400 .

커튼부(120)는 용기본체(1000) 하단과 밀폐부(400)가 결합되는 경우, 밀폐부(400)의 일부(예를들어,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를 감싸면서 밀폐부(400)를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다. 커튼부(120)가 밀폐부(400)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함으로써, 복잡한 결합구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curtain part 1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closure part 400, while enclosing a part of the closure part 400 (eg, the edge part 410 of the closure part 400) The sealing part 400 may be accommodated inwardly. Since the curtain part 120 wraps around a part of the sealing part 400 and is coupled, a complicated coupling structure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밀폐부(400)는 외주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00 may include a rim part 410 extending up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테두리부(410)는 밀폐부(40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410)는 내용물 수용부(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 수용부(100)가 복수개인 경우, 테두리부(410) 또한 각각의 내용물 수용부(100) 하단과 동일한 형상으로 밀폐부(400)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edge portion 41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400 . The edge portion 4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ents receiving portion 100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ents accommodating units 100 , the edge portion 410 may also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to the sealing unit 400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end of each contents accommodating unit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 상단은 결합 턱(110)에 맞닿아 안착될 수 있으며, 이때, 커튼부(120) 내주면은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를 감싸며 밀폐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400)와 용기본체(1000)는, 테두리부(410) 상단이 결합 턱(110)에 안착하며 상승이 저지되고, 밀폐부(400)의 테두리부(410)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커튼부(120)가 밀폐부(400)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400)와 용기본체(1000)의 결합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edge portion 410 of the sealing unit 400 may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jaw 110 , and 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rtain unit 120 is the sealing unit 400 . It surrounds the edge portion 410 and may be coupled to the sealing portion 400 . Specifically, the sealing portion 400 and the container body 1000, the upper edge of the rim portion 410 is seated on the coupling jaw 110, the rise is prevented, and the same height as the edge portion 410 of the closure portion 400. The curtain part 120 formed of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part 400 . The coupling method of the sealing part 400 and the container body 10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may be applied.

밀폐부(400) 바닥 면에는 테두리부(410) 내측을 따라 바닥 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410) 내측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바닥 홈(430)이 형성됨에 따라, 커튼부(120)와 밀폐부(400) 결합 시, 테두리부(41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밀폐부(400)가 용기본체(1000)에 강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바닥 홈(430)은 테두리부(410)가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밀폐부(400)와 용기본체(10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A bottom groove 43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art 400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dge part 410 . As the bottom groove 430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edge part 410, when the curtain part 120 and the sealing part 400 are combined, the edge part 410 is elastically deformed inward, sealing The part 400 may be strongly fitted to the container body 1000 . The bottom groove 430 improv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losure part 400 and the container body 1000 by providing a free space in which the edge part 410 can be inclined inward.

격벽(200)의 하부에는 삽입 돌기(210)가 형성되고, 밀폐부(400)에는 삽입 홈(420)이 형성되어, 삽입 돌기(210)가 삽입 홈(420)에 삽입됨으로써, 격벽(200)과 밀폐부(400)가 결합할 수 있다.An insertion protrusion 2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00 , and an insertion groove 420 is formed in the sealing part 400 , and the insertion projection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0 , thereby forming the partition wall 200 . and the sealing part 400 may be combined.

삽입 돌기(210)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격벽(200)보다 폭이 좁아지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210)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일 측에 돌기나 턱이 형성되거나, 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에 의해 삽입 돌기(210)가 삽입 홈(420)에 강하게 끼워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protrusion 210 may be narrower in width than the partition wall 200 and extend downward to facilitate insertion.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may include a protrusion or a chin formed on one side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r a portion having a partial thickness. Since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is strong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0 by these parts,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삽입 홈(420)은 삽입 돌기(21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삽입 돌기(210)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420)은 밀폐부(400)의 바닥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테두리부(41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groove 420 is a spac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is inserte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 The insertion groove 420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art 400 , or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dge parts 410 .

예를들어, 내용물 수용부(100)는 제 1 내용물 수용부 및 제 2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테두리부(410)는 상기 제 1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테두리부(410)의 외주면은 용기본체(1000)의 내주면과 접하고, 테두리부(410)와 테두리부(410) 사이에 형성된 삽입 홈(420)은 격벽(200)이 삽입됨으로써 용기본체(1000)와 밀폐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s accommodat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tents receiving unit and a second contents receiving unit, and the rim portion 410 includes a first rim and a seco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ents receiving unit. and a second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At this tim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4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0, the insertion groove 420 formed between the rim portion 410 and the rim portion 410 is the partition wall 200 is inserted by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sealing part 400 may be coupled.

격벽(200)과 밀폐부(400)의 결합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삽입 돌기(210)와 삽입 홈(420)의 형성 위치, 형상, 개수 등도 다양하게 변형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삽입 돌기(210)와 삽입 홈(420)은 형성 위치가 반대 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method of the partition wall 200 and the sealing part 4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he formation position, shape, number, etc. of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and the insertion groove 42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 For example, the insertion protrusion 210 and the insertion groove 420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결합부재로 드로퍼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용기본체에 드로퍼와 펌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용기본체에 펌프가 각각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 상단에 보호캡이 결합되고, 보호캡 내측으로 드로퍼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pper is applied as a coupling member 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6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pper and the pump ar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Fig. 6 (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ump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respectively.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opp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ap.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000)에는 다양한 결합부재(2000)가 결합될 수 있다.5 to 7 , various coupling members 2000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000 .

결합부재(2000)는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용물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 토출 부재, 도포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000)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2000 is a tool that can take out and use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 and may include a discharge member, an application memb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include a cap.

토출 부재는 드로퍼, 점적기, 펌프, 스포이트 및 피펫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부재는 내용물 수용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내용물 수용부(100)에 결합된 상태로 또는 분리된 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부재가 펌프를 포함하는 경우 내용물 수용부(100)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고, 드로퍼, 점적기, 스포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용기본체(1000)로부터 분리된 뒤, 사용자의 가압(또는 토출부재 회전)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The discharge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ropper, a dropper, a pump, a dropper, and a pipette. The discharging member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to the outside, and may be used in a state coupled to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or after being separated.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ing member includes a pump,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user's pressure in a state coupled to th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and when the discharging member includes a dropper, a dropper, and a dropper, the container body ( 1000), the contents may be discharged by the user's pressure (or rotation of the discharging member).

도포 부재는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용물을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용물을 함침하고 있다가 피부에 도포하면서 내용물을 전달하거나, 내용물 수용부(100)의 내용물을 찍어서 피부에 전달하거나, 내용물을 토출하면서 동시에 피부에 펴바르거나 마사지할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member is capable of apply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to the skin, impregna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and transferring the contents while applying the contents to the skin, or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It can be of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and delivering it to the skin, or discharging the contents and spreading or massaging the skin at the same time.

도포 부재는 함침 부재, 브러시, 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무, 금속 등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재 역시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뒤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member may include an impregnating member, a brush, a ball,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or metal. The application member may also be used in a stat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or may be used in contact with the ski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한편, 결합부재(2000)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캡은 토출 부재나 도포 부재에 결합되어, 토출 부재나 도포 부재를 밀폐하거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캡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결합부재(2000)의 종류를 외부에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include a cap. The cap may be coupled to the discharging member or the applying member to seal the discharging member or the applying member or to prevent contamination. The cap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type of the coupling member 2000 accommodated therein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결합부재(2000)는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토출구가 형성된 마개,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be variously transformed into a stopper having a discharge port, a cosmetic applicator,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결합부재(2000)는 용기 입구(300) 별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같은 종류의 드로퍼 2개가 적용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드로퍼와 펌프가 교차 적용되거나, 펌프 2개가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member 2000 may be configur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for each container inlet 300 . For example, as in FIG. 5 , two droppers of the same type may be applied, and as in FIG. 6 , a dropper and a pump may be alternately applied, or two pumps may be applied simultaneously.

결합부재(2000)는 용기본체(10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본체(1000)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결합부재(2000)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스냅온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2000)는 용기본체(1000)와의 결합을 위해 용기본체(1000)에 형성된 체결부(310)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용기본체(1000)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결합부재(2000)에도 이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포함하며, 용기본체(1000)에 스냅온 결합을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경우, 결합부재(2000)는 걸림 홈을 포함한다. 결합부재(2000)와 용기본체(1000)의 결합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결합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20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1000 , and can be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00 .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be fasten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or by a snap-on method. The coupling member 2000 include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art 310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0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body 1000 . For example, when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0, the coupling member 2000 also includes a corresponding screw thread, and when a locking protrusion for snap-on coupling is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0, the coupling member 2000 ) includes a locking groove.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member 2000 and the container body 10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upling method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용기본체(1000) 상단에는 숄더부(3000)가 결합할 수 있다. 숄더부(3000)는 용기본체(1000)와 결합부재(2000) 사이에 체결되어, 결합력을 높이고 용기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며, 용기본체(10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숄더부(3000)는 용기 입구(3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숄더부(3000)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용기 입구(300) 하단에 각각 대응하여 개별로 결합될 수도 있다.A shoulder part 30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 The shoulder part 3000 is fasten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coupling member 2000,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ntainer exterior, and protecting the container body 1000 from external impact. The shoulder part 3000 may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300 . The shoulder portion 3000 may be integral, and may be individually coupled to each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inlet 300 .

용기본체(1000) 상단에는 내측에 결합부재(2000)를 수용할 수 있는 보호캡(4000)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보호캡(4000)은 내측에 결합부재(2000)를 수용하고, 결합부재(2000)는 보호캡(4000) 상단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호캡(4000)을 분리하지 않고도 결합부재(20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드로퍼를 보호캡(4000) 내측으로 수용시키고, 드로퍼를 가압하여 상측으로 돌출시킨 뒤, 이를 인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보호캡(4000)은 상부가 밀폐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호캡(4000)을 용기본체(1000) 상단에서 분리한 뒤, 결합부재(2000)를 사용할 수 있다.A protective cap 400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upling member 2000 on the insid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protective cap 4000 accommodates the coupling member 2000 on the inside, and the coupling member 2000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to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cap 4000 , the protective cap 4000 . The coupling member 2000 can be separated and used without removing the . Specifically, the dropper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by pressing is accommodated inside the protective cap 4000, and after pressing the dropper to protrude upward, it can be withdrawn and used.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tective cap 4000 may have a closed structure. In this case, the protective cap 4000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n the coupling member 2000 may be used. .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1000) 상단과 용기 입구(300) 사이에는 숄더부(3000) 및 보호캡(400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houlder portion 3000 and the protective cap 4000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0 and the container inlet 300 .

용기본체(1000)는 필요에 따라 숄더부(3000) 및 보호캡(4000)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숄더부(3000) 및 보호캡(4000)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며, 모두 포함하지 않고 결합부재(2000)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The container body 1000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shoulder part 3000 and the protective cap 4000 as needed, and may include both the shoulder part 3000 and the protective cap 4000, but not all.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0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100) 별로 결합부재(20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내용물 수용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점도, 성분 등 물성에 따라 적절한 결합부재(2000)를 수용부 별로 용기본체(1000)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결합부재(2000)를 통해 내용물 수용부(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2000 can be coupled for each of two or more contents receiving part 100, and an appropriate coupling member 2000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nd components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ntainer body 1000 for each receiving part.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ents receiving unit 100 through the coupling member 2000,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내용물 수용부 110: 결합 턱
120: 커튼부 200: 격벽
210: 삽입 돌기 300: 용기 입구
310: 체결부 400: 밀폐부
410: 테두리부 420: 삽입 홈
430: 바닥 홈
1000: 용기 본체 2000: 결합부재
3000: 숄더부 4000: 보호캡
100: contents receiving part 110: coupling jaw
120: curtain unit 200: bulkhead
210: insertion projection 300: container inlet
310: fastening part 400: sealing part
410: edge portion 420: insertion groove
430: bottom groove
1000: container body 2000: coupling member
3000: shoulder 4000: protective cap

Claims (19)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본체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는 상단에 각각 용기 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As a container body including at least two contents receiving part,
The container body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ents receiv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or more contents receiving portion each has a container inlet formed at an upper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저면이 개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저면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has an open bottom,
Combined with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m portion extending upwardly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tents receiv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턱 및
상기 결합 턱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4. The method of claim 3,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coupling jaw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t least two contents receiv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rtai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engaging jaw.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결합 턱에 안착되고, 상기 커튼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im portion is seated on the coupling jaw, and the curtain portion wraps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바닥 면에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을 따라 바닥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aling portion,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groove is form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edge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하부는 상기 격벽보다 폭이 좁은 삽입 돌기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에는 상기 삽입 돌기와 대응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 돌기와 상기 삽입 홈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an insertion projection narrower tha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nd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eal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rojec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tainer body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수용부는 제 1 내용물 수용부 및 제 2 내용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제 1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내용물 수용부의 하단과 대응되는 제 2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홈은 상기 제 1 테두리부 및 상기 제 2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nts receiving unit includes a first contents receiving unit and a second contents receiving unit,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rim portion extending upwardly, the rim portion includes a first ri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ents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i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tents receiving portion,
The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etween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입구는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the container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토출 부재, 도포 부재 및 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up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discharging member, the application member and the cap, the container bod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부재는 드로퍼, 점적기, 펌프, 스포이트 및 피펫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charging member is a dropper, a dropper, a pump, a dropper, and a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ipet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나사산, 걸림 돌기 및 걸림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asten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crew thread, a locking projection, and a locking groove,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two content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molded,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material,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단에 숄더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ulder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end, the contai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는 보호캡이 결합하며,
상기 보호캡은 내측으로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본체.
The method of claim 1,
A protective cap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he protective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member on the inside, the container body.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로 분할되는 용기본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내용물 수용부 상단에 형성된 용기 입구; 및
상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a container body divided into at least two contents accommodating parts by a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a container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at least two contents receiving part; and
A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ntainer inlet.
KR1020190178064A 2019-12-30 2019-12-30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KR202100852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64A KR20210085231A (en) 2019-12-30 2019-12-30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64A KR20210085231A (en) 2019-12-30 2019-12-30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31A true KR20210085231A (en) 2021-07-08

Family

ID=7689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64A KR20210085231A (en) 2019-12-30 2019-12-30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2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11B1 (en) Ejecting container
KR102182786B1 (en) Dual tubes for cosmetics and cosmetic products
KR200476731Y1 (en) Container for cream type cosmetic
KR102332817B1 (en) Dual container
CN208017088U (en) Powder box container used for cosmetic with the discharge plate for cosmetics to be equably discharged
KR101635810B1 (en)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EP3305126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KR102161468B1 (en) Cosmetic container with a massage function
KR20210085231A (en) Vessel divided into Multi-Receiving Space by Partition
KR102060918B1 (en) Cap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quid vessel
KR102328232B1 (en) Container
KR200475887Y1 (en) Liquid type lipstick dispenser
KR20130004528U (en) Mixing containers with two separate storage spaces
KR102036479B1 (en) A spuit type container
KR102104248B1 (en) Rotary opening and clos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200479286Y1 (e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independent sealed sub-containing space in the inner of the lid
KR20100005808U (en) Two liquid Tube bottle
KR200485155Y1 (en) Vessel
KR20200029872A (en) Dual container
KR20190045751A (en) Multi cosmetic container
KR200493643Y1 (en) Pouch set
KR200338755Y1 (en) Toilet articles a vessel
CN114786530B (en) Dual container
KR101812083B1 (en) Lquid detergent,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