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95A -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95A
KR20210085195A KR1020190177977A KR20190177977A KR20210085195A KR 20210085195 A KR20210085195 A KR 20210085195A KR 1020190177977 A KR1020190177977 A KR 1020190177977A KR 20190177977 A KR20190177977 A KR 20190177977A KR 20210085195 A KR20210085195 A KR 2021008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nformation
cushion
pressure distribution
bod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 엠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엘피 filed Critical (주) 엠엘피
Priority to KR102019017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195A/ko
Priority to PCT/KR2020/019372 priority patent/WO2021137608A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4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 G05B19/4145Structure of the control system, e.g. common controller or multiprocessor systems, interface to servo, programmable interface controller characterised by using same processor to execute programmable controller and numerical controller function [CNC] and PC controlled NC [PCN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대상자의 신체적 정보, 기능 정보, 심리 정보, 사용 환경 정보 및 휠체어 조작 능력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와, (c)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단계와, (d) 상기 스캔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방석을 제작하는 단계와, (e) 상기 제작된 방석에 대하여 상기 대상자의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착석 체형을 수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작된 방석에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배치시키고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 custmized cushion for real-time body pressure distribu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휠체어 착석 자세에 대한 체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맞춤형 방석을 만들며 체압 모니터링을 통한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수장애인이나 중증환자의 경우 신체의 움직임 제약으로 인해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생활을 해야 하는데 상지와 체간의 움직임의 제한으로 인해 엉덩이에서 욕창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욕창이란 국소부위의 조직 괴사를 의미하며, 주로 뼈 돌출 부위의 연조직이 지속적인 변형 또는 압박을 받을 때 발생하게 된다. 욕창은 주로 궁둥뼈(Ischial Tuberosity; IT) 부위와 꼬리뼈의 연 조직에서 발생하는데, 척수 손상 환자를 사망까지 이를 수 있게 하는 심각한 합병증이며, 환자의 재활, 직업, 일상생활 등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창예방방석들은 오프로딩의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오프로딩(off­loading)은 궁둥뼈 결절(Ischial Tuberosity; IT)과 꼬리뼈(coccyx), 넙다리뼈 큰 돌기(Greater Trochanter; GT)가 닿는 방석 면을 제거하거나 깊이를 조절하여 닿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방석의 제작방법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방석을 만드는 단계까지 일괄적이지 않고, 그 성능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석을 만드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제작 단계를 보완하여 환자의 체형에 보다 적합하고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방석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21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환자가 편안하고 안정성있게 앉을 수 있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잘못된 자세나 정렬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교정할 수 있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은 (a) 대상자의 신체적 정보, 기능 정보, 심리 정보, 사용 환경 정보 및 휠체어 조작 능력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와, (c)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단계와, (d) 상기 스캔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방석을 제작하는 단계와, (e) 상기 제작된 방석에 대하여 상기 대상자의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착석 체형을 수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작된 방석에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배치시키고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은 환자가 편안하고 안정성있게 앉아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을 통해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잘못된 자세나 정렬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석을 제작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방석을 대상자에게 맞게 수정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뜬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모델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석을 제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의자 또는 휠체어에 적용될 수 있는 쿠션 제작 방법을 예시로 설명하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침대나 매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쿠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순서도와, 그 이하의 참고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은 대상자의 신체적 정보, 기능 정보, 심리 정보, 사용 환경 정보 및 휠체어 조작 능력 정보와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S200),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단계(S300), 상기 스캐닝한 착석 체형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착석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방석을 제작하는 단계(S400), 상기 제작된 방석을 휠체어에 조립하고,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착석 체형을 수정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제작된 방석에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배치시키고 모니터링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대상자의 신체적 정보, 기능 정보, 심리 정보, 사용 환경 정보 및 휠체어 조작 능력 정보와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한다(S100).
여기서, 대상자의 신체 치수, 욕창 발생 부위, 자세, 신체 정렬, 척추 및 골반 배열 상태를 검사하여 신체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키, 몸 둘레 등의 신체 치수를 측정하고, 욕창이 발생되는 부위를 파악한다. 또한, 허리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세, 척추 및 골반 등의 정렬 상태와 신체 대칭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의 착석 상태에서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높은 압력 지수를 보이는 위치를 검사할 수 있다. 대상자를 압력측정 매트 상에 착석시키고, 압력측정 매트에서 감지되는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높은 압력 지수를 보이는 궁둥뼈 결절(Ischial Tuberosity; IT)과 꼬리뼈(coccyx), 넙다리뼈 큰 돌기(Greater Trochanter; GT) 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자의 감각, 호흡, 방광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검사하여 기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20). 여기서, 대상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대상자의 신체 감각, 호흡 기능, 방광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장애 정도에 따라 가능한 일상생활 능력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검사하여 심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30).
아울러, 상기 대상자의 사용 환경을 분석하여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40). 여기서, 대상자의 생활을 하면서 주로 이동하는 활동 반경 등의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자의 휠체어 사이즈, 휠체어 조작 능력을 평가한 조작 능력 정보와 대상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할 수 있다(S150). 여기서, 대상자가 사용하는 휠체어의 사이즈를 측정하고, 대상자가 휠체어의 조작을 원활히 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다음으로,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뜬다(S200). 착석 체형은 두 프로세스(좌판 프로세스, 등판 프로세스)로 나누어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개념적인 분류일 뿐이고 각 프로세스는 개별,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두 프로세스를 동시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엉덩이 부분을 받치기 위한 좌판 방석뿐만 아니라 등부분을 받치기 위한 등판 방석을 함께 제공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왜냐하면, 등을 통하여 체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면, 엉덩이 부분에 가해지는 체중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 뜨는 단계는 먼저, 취형대에 직경 5mm를 갖는 플라스틱 비즈 진공 압축 취형백을 설치한다(S210). 여기서, 취형백이란, 전체적으로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백(bag)으로서, 이 백의 일부는 스타이로폼(styrofoam, 혹은 발포폴리스타이렌) 알맹이들 또는 변형 가능한 다른 재질의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취형백은 탄성있는 재질(소프트한 재질)의 물질들로 채워진 상태에서 환자의 일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취형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취형백 상에 대상자를 착석시켜 대상자의 등과 좌면의 착석 체형을 본 뜬다(S220). 여기서, 취형백에 진공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알맹이들이 취형백 내에서 움직임이게 되는데 대상자가 취형백에 착석하면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맞게 변형이 가능(외부 힘이 가해지게 되면)하고, 진공이 가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알맹이들이 서로 결합되려는 힘이 작용하여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변형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대상자를 취형백이 배치된 취형대에 착석시키고, 취형백에 진공을 가하여 취형백이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맞도록 추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변형은, 보조자에 의해서 취형백을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맞게 밀착되도록 하는 변형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이 가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없는 이상 취형백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뜬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모델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S300).
구체적으로,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한다(S310). 여기서, 취형백의 형상(즉, 환자의 체형에 의해 형성된 음각 형상)을 3차원 스캐닝하고, 이를 메쉬 stl 파일로 데이터화 하여 PC 등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스캔데이터에 기초정보와 측정된 체압 분포를 이용하여 압력이 분산되도록 모델링한다(S320). 여기서, 앞서 수집한 대상자의 기초정보를 참조하여 스캔데이터를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특히, 측정된 체압 분포를 참조하여 압력 지수가 높은 궁둥뼈 결절(Ischial Tuberosity; IT)과 꼬리뼈(coccyx), 넙다리뼈 큰 돌기(Greater Trochanter; GT) 등의 압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해당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배치될 공간을 추가하여 모델링한다(S330). 여기서, 센서를 구성하는 센서, 센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 센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스마트기기와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위치시킬 공간을 추가하여 모델링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석을 제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캐닝한 착석 체형 형상에 기초하여, 착석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방석을 제작한다(S400).
구체적으로, 모델링 된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양각 금형을 제작하고, 상기 양각 금형으로 등판을 열성형하여 제작한다(S410). 여기서, 모델링 된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CNC 기기를 이용하여 CNC 가공하여 양각 금형을 제작하고, 양각 금형으로 등판과 좌판의 버킷과 등판 외판을 PP(Polypropylene)을 열성형하여 가공하고, 1cm 두께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등판 속판을 열성형하여 제작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PP(expand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CNC 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좌판을 제작한다(S420). 여기서, 모델링 된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CNC 기기를 이용하여 CNC 가공하여 좌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15cm 이하 높이의 덩어리만 가공이 가능한 소형 CNC에서 20cm 높이의 좌판을 10cm높이로 두개로 나누어 10cm씩 가공한 후 두개를 접합시켜 20cm 높이의 EVA좌판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작된 방석을 휠체어에 조립하고,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착석 체형을 수정한다(S500).
구체적으로, 완성된 등판과 좌판을 휠체어 위에서 결합하여 휠체어시트 시제품을 조립한다. 그리고 휠체어 시트의 좌면에 압력측정 매트를 깔고 대상자를 착석시켜 착석한 자세가 바르게 되었는지, 좌면의 압력이 높은곳(100mmHg 이상)은 없는지, 궁둥뼈 결절(Ischial Tuberosity; IT), 꼬리뼈(coccyx), 넙다리뼈 큰 돌기(Greater Trochanter; GT)의 압력이 50mmHg 이하가 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자세에 문제가 있거나 압력분포에 이상이 있으면 이상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모델링한 형상데이터로 돌아가 형상데이터를 수정하고 다시 제작하여 자세와 압력분포를 다시 점검한다.
이후, 자세와 압력분포에 문제가 없으면 1시간, 2시간, 4시간, 하루종일 식으로 늘려가며 앉아 있게 한 후 사용자의 피부에 압력에 의한 발적이 없는지 점검하여 발적이 있으면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모델링한 형상데이터로 돌아가 형상데이터를 수정하고 다시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작된 방석에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부착시키고 모니터링한다(S600).
여기서, 앞서 제작된 방석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작된 방석의 앞서 모델링 시 형성한 공간에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배치시키고 모니터링이 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이상이 없으면 외피를 제작하여 씌운다.
이때,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는 IR 센서, 섬유센서, 온도센서, 생체센서, 필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방석에 부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의 센서는 플렉시블한 센서로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작된 방석의 전체를 덮는 형태가 아닌 제작된 방석의 일부분, 즉 착석자가 정확한 자세로 착석할 경우에는 접촉되지 않으나, 착석자의 자세가 미끄러지거나 틀어지게되면 접촉되는 부위에만 센서를 부착하여 착석자의 자세에 변형이 있을 시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제어장치 센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스마트기기, PC와 같은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시리얼통신, Wifi, 블루통신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외부기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측정된 체압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체압 정보를 원격 진료 시스템를 통하여 대상자와 상기 대상자의 보호자, 보조자 및 의료인이 공유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 대상자의 신체적 정보, 기능 정보, 심리 정보, 사용 환경 정보 및 휠체어 조작 능력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
    (c)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단계;
    (d) 상기 스캔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착석 체형에 대응되는 굴곡진 형상을 갖는 방석을 제작하는 단계;
    (e) 상기 제작된 방석에 대하여 상기 대상자의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착석 체형을 수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작된 방석에 상기 대상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배치시키고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대상자의 신체 치수, 욕창 발생 부위, 자세, 신체 정렬, 척추 및 골반 배열 상태를 검사하여 신체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2) 상기 대상자의 감각, 호흡, 방광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검사하여 기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3) 상기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검사하여 심리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4) 상기 대상자의 사용 환경을 분석하여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a-5) 상기 대상자의 휠체어 정보, 휠체어 조작 능력을 평가한 조작 능력 정보와 상기 대상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a-1-1) 상기 대상자의 착석 상태에서 체압 분포를 측정하여 높은 압력 지수를 보이는 위치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취형대에 플라스틱 비즈 진공 압축 취형백을 설치하는 단계; 및
    (b-2) 상기 취형백 상에 상기 대상자를 착석시켜 대상자의 등과 좌면의 착석 체형을 본뜨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본뜬 착석 체형을 3차원 스캐닝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스캔데이터에 상기 기초정보와 측정된 체압 분포를 이용하여 압력이 분산되도록 모델링하는 단계; 및
    (c-3) 착석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상기 센서부가 배치될 공간을 추가하여 모델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모델링 된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양각 금형을 제작하고, 상기 양각 금형으로 등판을 열성형하여 제작하는 단계; 및
    (d-2) 상기 형상데이터를 토대로 CNC 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좌판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판과 상기 좌판은 EVA, EPP, PE 재질로 형성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자가 정확한 자세로 착석할 경우에는 접촉되지 않으나, 상기 대상자의 자세가 미끄러지거나 틀어지게되면 접촉되는 부위에만 배치되어 상기 대상자의 자세에 변형이 있을 시, 이를 감지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센서부를 배치하고 체압을 측정하여 시각, 청각,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측정된 체압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체압 정보를 원격 진료 시스템를 통하여 대상자와 상기 대상자의 보호자, 보조자 및 의료인이 공유하는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KR1020190177977A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KR20210085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77A KR20210085195A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PCT/KR2020/019372 WO2021137608A1 (ko) 2019-12-30 2020-12-30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77A KR20210085195A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95A true KR20210085195A (ko) 2021-07-08

Family

ID=7668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77A KR20210085195A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85195A (ko)
WO (1) WO20211376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02B1 (ko) 2009-12-28 2012-05-07 (주)엘라켐 쿠션 패드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 된 쿠션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220A (ja) * 2002-03-25 2003-10-03 Sumitomo Rubber Ind Ltd 人体接触用の粘弾性構造体の設計方法
JP2012071098A (ja) * 2010-08-31 2012-04-12 Tokai Rubber Ind Ltd シートおよび車椅子
KR101926173B1 (ko) * 2016-10-31 2019-02-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쿠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쿠션
KR101900196B1 (ko) * 2017-06-29 2018-09-18 이재일 사용자기반 다운 침구류 주문 제작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2086064B1 (ko) * 2017-12-13 2020-04-28 (주)에이블 디자인스 욕창 방지용 맞춤형 시트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02B1 (ko) 2009-12-28 2012-05-07 (주)엘라켐 쿠션 패드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 된 쿠션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08A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ssaoui et al. Analysis of sliding and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a repositioning of persons in a simulator chair
US20150128354A1 (en) Methods, circuits, apparatuses and assemblies for providing a mattress or body portion support cushion with a sensor layer
EP3331482B1 (en) Support system and method
CN1047967A (zh) 充气支撑体的充气控制
EP3016549B1 (en) Contouring backrest device
US7220376B2 (en) Individually-contoured seat cushion and shape capturing and fabricating method for seat cushion
JP6893563B2 (ja) 褥瘡防止の可能なクッションの製作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製作されたクッション
Nace et al. Manufacturing custom-contoured wheelchair seating: A state-of-the-art review
JP2024029121A (ja) 体表面形状測定装置、寝具、寝具の製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枕、及び枕の製造方法
JP2023500176A (ja) 車椅子用の調整可能な解剖学的支持及びシートクッション装置
KR20210085195A (ko) 실시간 체압 분포 모니터링이 가능한 맞춤형 방석 제작방법
JP2022552676A (ja) 人の骨盤の場所及び位置を決定する方法
KR102086064B1 (ko) 욕창 방지용 맞춤형 시트 및 그 제작방법
Mansouri et al. Review of assistive device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an engineering perspective
JP3211111U (ja) 立体格子状クッション
Jang et al. A study of pressure distribution effect and user satisfaction of a customized off-loading cushion based on 3d modeling: a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air cushions
WO2015162391A1 (fr)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orthopedique
TWI806635B (zh) 改善壓力性損傷的方法與系統
Ogata et al. Buttock dummy consisting of force sensors and soft material for the validation of deep tissue injury risk
JP2014209958A (ja) エアマット装置またはエアクッション装置
CA2475638C (en) Individually-contoured seat cushion and shape capturing and fabricating method for seat cushion
Arumugam et al. Development of novel customized pressure distribution surface for reduction of pressure ulcer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CN100407966C (zh) 无源自适应式记忆性垫子的制备方法
Tanimoto et al. Measurements of pressure and sinking depth for mattress selection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animoto et al. Measurement of SCI patient's buttock pressure on wheelchair and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