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963A -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963A
KR20210083963A KR1020190176793A KR20190176793A KR20210083963A KR 20210083963 A KR20210083963 A KR 20210083963A KR 1020190176793 A KR1020190176793 A KR 1020190176793A KR 20190176793 A KR20190176793 A KR 20190176793A KR 20210083963 A KR20210083963 A KR 20210083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composition
glycol
group
glycol mono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윤
박현진
이홍기
김자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7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963A/ko
Publication of KR2021008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02Alcoh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소 자동차 연료전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를 통해 주행거리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Coolant composition for hydrogen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부 연소 엔진용 열전이 액체 (예를 들어, 냉각액)는 일반적으로 50 중량%의 물과 50 중량%의 에틸렌글리콜, 미량의 부식 억제제와 같은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 연소 엔진은 연료전지가 잠재적인 대체물로 부각됨에 따라, 다가오는 수 십년 사이에 쓸모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는 연료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전기화학적 장치이다. 이들은 내부 연소 엔진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연료 전지는 연료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터보디젤 엔진의 경우 40%, 가솔린 엔진의 경우 30%이나, 연료 전지는 60 내지 70%의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연료전지는 조용하고 오염물질의 방출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또한, 연료전지의 주 연료원이 수소여서 내부 연소 엔진의 연료원으로 사용되는 가솔린보다 더욱 쉽게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 연소 엔진을 연료 전지로 대체함에 있어서는 공지의 열전이 액체도 동시에 대체될 필요성이 있다.
연료 전지는 통상적으로 양극, 음극 및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한 전해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각 전극은 촉매 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양극에서 수소와 같은 연료는 촉매적으로 전환되어 양이온을 형성하고, 이는 전해물질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한다. 음극에서, 산소와 같은 산화제는 촉매층과 반응하여 음이온을 형성한다. 음이온과 양이온 사이의 반응으로 반응 생성물, 전기 및 열이 생성되게 된다.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류는 전극의 크기 (면적)에 비례한다. 단일 연료 전지는 일발적으로 비교적 적은 전압 (약 1 볼트)을 생성한다. 더 높은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몇 개의 연료 전지가 인접하는 연료 전지를 분리하는 양극판을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집적 (stacked)). 여기서 사용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개별적인 연료전지를 의미한다.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연료 및 산화제는 수소와 산소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에서 양극 및 음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다음의 반응식으로 표시된다:
양극에서의 반응: H2 →2H+ + 2e- (1)
음극에서의 반응: 1/2 O2 + 2H+ + 2e- →H2O (2)
연료전지에서 사용되는 산소는 공기로부터 나온다. 여기서 사용되는 수소는 수소 가스 또는 개질된 수소의 형태일 수 있다. 개질된 수소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선택적인 요소인 개질기에 의해 생산되는데, 탄화수소 연료 (예를 들어, 메탄올, 천연 가스, 가솔린 등)가 수소로 전환되게 된다. 개질 반응은 수소뿐만 아니라 열을 생성한다. 최근에는 전해물질 (고체 또는 액체), 작동 온도 및 연료 선호도에 따라 5가지 유형의 연료 전지가 있다.
이러한 연료 전지의 유형에는 양자 교환막 연료전지("PEMFC"), 인산 연료 전지 ("PAFC"), 용융 카보네이트 연료 전지 ("MCFC"),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및 알카리성 연료 전지("AFC")가 있다.
중합체 전해질 막 연료 전지로도 알려져 있는 PEMFC는 전해물질로서 이온 교환 막을 사용한다. 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단지 양성자만이 통과하도록 한다. PEMFC의 경우 수소 연료는 양극에 도입되어 촉매적으로 산화되어 전자를 방출하고 양성자를 형성한다. 전자는 외부 회로를 따라 음극으로 전류의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양성자는 막을 따라 음극으로 확산되어 거기서 산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하고 결국 전체적인 공정을 마치게 된다. PEMFC는 비교적 저온(약 200°F)에서 작동하며, 이러한 유형의 연료전지는 연료의 불순물에 대해 민감하다는 단점이 있다.
PAFC는 전해물질로써 인산을 사용한다. PAFC의 작동 온도 범위는 약 300 내지 400 °F이다. PEMFC와 달리, PAFC는 연료의 불순물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이런 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료 선택의 폭이 넓다. 그러나 PAFC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PAFC는 값비싼 촉매(백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다른 유형의 연료 전지에 비해 전류와 동력이 낮다는 것이다. 또한 PAFC는 일반적으로 크기와 무게가 크다.
MCFC는 전해물질로써 Li+, Na+ 또는 K+ 와 같은 알카리 금속 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 알카리 금속 카보네이트가 전해물질로써 기능하기 위해서는 액체 형태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MCFC는 약 1200°F의 온도에서 작동한다. 이와 같이 높은 작동 온도는 전해물질의 충분한 전도성을 얻는데 필요하다. 이는 연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어, 개질된 수소) 더 큰 유연성을 허여하나 동시에 전지 구성 요소의 부식과 파손을 증가시킨다.
SOFC는 액체 형태의 전해물질보다 고체의 비다공성 금속 산화물을 전해물질로써 사용한다. MCFC와 같이 SOFC는 약 700 내지 1000℃ (1290 내지 1830°F)의 고온에서 작동한다. SOFC의 높은 작동 온도는 MCFC와 마찬가지의 장점과 단점이 있다. SOFC의 추가적인 장점은 전해물질의 고형 상태 특성에 있는 바, 이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형상에 대한 제한을 없앤다 (예를 들어, SOFC는 평판형 또는 튜브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연료 전지의 마지막 유형은 AFC로 알려져 있는데, 전해물질로써 알카리성 수산화 칼륨의 수용액을 사용한다. 이의 작동 온도는 약 150 내지 200℃ (약 300 내지 400°F)이다. AFC의 장점은 음극 반응이 산성 전해물질에서보다 알카리성 전해물질에서 더 빠르다는 점이다. 그러나, AFC는 오염되기 쉬어 순수한 수소와 산소와 같이 순수한 반응물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어셈블리 (예를 들어, 전기화학적 반응과 개질 반응)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그러나, 이러한 반응에 적용된 촉매는 열에 대해 민감하다. 최적으로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료 전지가 집적되어 있는 각각의 전지를 따라 거의 균일한 특정 온도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온에서는 촉매가 손상될 수 있고, 저온에서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내에 얼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조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열전이 조성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자동차의 연료 전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이를 주행거리 연장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물, 알코올류,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제; 상변화 물질; 및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류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푸르푸롤,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에톡실레이트된 푸르푸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의 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롤의 디메틸에테르, 소르비톨,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메톡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및 헥실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콜 에테르류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기제는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은 탈이온수, 순수 증류수 또는 2회 증류된 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 30 내지 65 중량%, 3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70 중량%, 35 내지 65 중량%, 35 내지 60 중량%, 35 내지 55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5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5 중량%, 45 내지 70 중량%, 45 내지 65 중량%, 45 내지 60 중량%, 45 내지 55 중량%, 예를 들어, 45 내지 54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 중량%, 30 내지 65 중량%, 3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70 중량%, 35 내지 65 중량%, 35 내지 60 중량%, 35 내지 55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5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5 중량%, 45 내지 70 중량%, 45 내지 65 중량%, 45 내지 60 중량%, 45 내지 55 중량%, 예를 들어, 45 내지 54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 (PCM: Phase Change Material)이란, 물질이 고체로부터 액체, 액체로부터 고체로 변화될 때에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외관상의 비열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기염, 파라핀계, 유기산, 폴리머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부식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00 중량%, 0.001 내지 0.050 중량%, 0.001 내지 0.010 중량%, 0.001 내지 0.008 중량%, 0.002 내지 0.100 중량%, 0.002 내지 0.050 중량%, 0.002 내지 0.010 중량%, 0.002 내지 0.008 중량%, 0.003 내지 0.100 중량%, 0.003 내지 0.050 중량%, 0.003 내지 0.010 중량%, 0.003 내지 0.008 중량%, 0.004 내지 0.100 중량%, 0.004 내지 0.050 중량%, 0.004 내지 0.010 중량%, 예를 들어, 0.004 내지 0.008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식 방지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1.0 중량%, 0.0001 내지 10.0 중량%, 0.0001 내지 9.0 중량%, 0.0001 내지 8.0 중량%, 0.0001 내지 7.0 중량%, 0.0001 내지 6.0 중량%, 0.0001 내지 5.0 중량%, 0.0001 내지 4.0 중량%, 0.0001 내지 3.0 중량%, 0.000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0.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방지제는 아졸류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졸계, 티아디졸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계는 N,N-비스(2-에틸헥실)-4-메틸-1 H-벤조트리아졸-1-메틸아민, N,N-비스(2-에틸헥실)-5-메틸-1 H-벤조트리아졸-1-메틸아민, 옥틸 1 H벤조트리아졸, 디터셔리부틸화 1 H벤조트리아졸, 1H-1,2,3-트리아졸, 2H-1,2,3-트리아졸, 1H-1,2,4-트리아졸, 4H-1,2,4-트리아졸, 1-(1', 2'-디-카르복시에틸)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1H-1,2,3-트리아졸, 2H-1,2,3-트리아졸, 1H-1,2,4-트리아졸, 4H-1,2,4-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톨릴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3-아미노-1,2,4-트리아졸, 클로로벤조트리아졸, 니트로 벤조트리아졸, 아미노벤조트리아졸, 시크로헤키사노〔1, 2-d〕트리아졸, 4,5,6,7-테트라하이드록시톨릴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에틸 벤조트리아졸, 나프토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 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1-부틸)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1-옥틸)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2', 3'-디-히드록시 프로필) 벤조트리아졸, 1-(2', 3'-디-카르복시에틸)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아밀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오크트키시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6-카르복실산, 1-나 오일 벤조트리아졸, 1,2,4-트리아졸-3-올, 3-아미노-5-페닐-1,2,4-트리아졸, 3-아미노-5-헵틸-1,2,4-트리아졸, 3-아미노-5-(4-이소프로필-페닐)-1,2,4-트리아졸, 5-아미노-3-메르캅토-1,2,4-트리아졸, 3-아미노-5-(p.tert-부틸 페닐)-1,2,4-트리아졸,5-아미노-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 1,2,4-트리아졸-3-카르복시아미드, 4-아미노우라졸, 1,2,4-트리아졸-5-온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티아디아졸계는 2,5-디머캅토 1,3,4 티아디아졸, 티아디아졸, 2-머캅토-5-하이드로카르빌티오-1,3,5-티아디아졸, 2-머캅토-5-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1,3,4-티아디아졸, 2,5-비스(하이드로카르빌티오)-1,3,4-티아디아졸, 2,5,-(비스)하이드로카르빌디티오-1,3,4-티아디아졸 등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졸계는 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톨루트리아졸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록산 기제 계면활성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기제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하나 이상의 규소-탄소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실란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내지 6개 탄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의 폴리알킬렌 옥시드 공중합체인 R 기를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기제 계면활성제는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는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및 옥시부틸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소 자동차 연료전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를 통해 주행거리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냉각액 조성물의 제조
5개의 상이한 전기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비율은 중량%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30 30 30 30 30
에틸렌 글리콜 65 65 65 65 65
상변화 물질 1 1 1 1 1
소포제 0.008 - - 0.008
부식 방지제 - 1.0 - - 1.0
계면활성제 - - 0.5 - 0.5
폴리알킬렌옥사이드 - - - 1.0 1.0
실험예 1. 물리화학적 안정성 평가
열중량 분석은 TA Q600기기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분당 10℃의 승온 속도로 300℃까지 승온시키면서 측정하였다. 산/알칼리 안정성 시험은 pH 2 내지 12 용액에서 화합물이 분해가 되는지 육안 관찰 및 UV-vis 측정을 통하여 흡광 영역 변화와 흡광도 세기를 측정 및 비교하였다.
안정성은 열중량 분석 결과 250 ℃ 이상에서 중량변화율이 10% 이하이고 산/알칼리(alkali) 안정성이 우수하면 ◎, 열중량 분석 결과 250 ℃ 이상에서 중량변화율이 20% 내외이고, 산/알칼리 안정성이 우수하면 ○, 열중량 분석 결과 150 ℃ 이상에서 중량변화율이 30% 내외이고, 산/알칼리 안정성이 우수하면 △, 그 이외의 모든 상황이면 X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시료 물리 및 화학적 안정성 비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두 약 300 ℃까지 열적으로 안정하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되었다. 또한, 산 및 알칼리 안정성 매우 우수하였다. 즉, 실시예 1 내지 5가 열적 및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전기전도도 평가
전도도 측정은 각각의 냉각액 조성물을 TCX-90³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기절연성은 부동액 조성물의 전기전도도가 3.0 uS/cm 이하이면 ◎, 3.0 내지 10.0 uS/cm 이면 ○, 10.0 내지 20.0 uS/cm 이면 △, 그 이상이면 X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시료 전기 전도도 비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냉각액 조성물은 전기전도도가 모두 3.0 uS/cm 이하로 매우 낮은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각액 조성물은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물, 알코올류, 글리콜류 및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제; 상변화 물질;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류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푸르푸롤,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에톡실레이트된 푸르푸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의 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롤의 디메틸에테르, 소르비톨,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메톡시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5-펜탄디올 및 헥실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에테르류는 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 부틸 에테르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모노 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화 물질은 무기염, 파라핀계, 유기산, 폴리머 및 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6.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부식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100 중량% 포함된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식 방지제는 아졸류인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실록산 기제 계면활성제인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기제 계면활성제는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는 폴리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및 옥시부틸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수소 자동차 냉각액 조성물.
KR1020190176793A 2019-12-27 2019-12-27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KR20210083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93A KR20210083963A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793A KR20210083963A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63A true KR20210083963A (ko) 2021-07-07

Family

ID=7686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793A KR20210083963A (ko) 2019-12-27 2019-12-27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6524B1 (en) Heat transfer compositions with high electrical resistance for fuel cell assemblies
KR101207886B1 (ko) 부식 억제제, 부식 억제 열 전달 유체, 및 이들의 사용
US7419617B2 (en) Coolant comprising azole derivatives for cooling systems in fuel-cell drives
RU2315797C2 (ru) Композиция концентрата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топл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EP1416563A1 (en) Fuel cell and fuel cell coolant composition
KR20210083963A (ko) 수소 자동차용 냉각액 조성물
KR102584448B1 (ko) 열안정성이 향상된 열전달 유체 조성물
AU2003225581B2 (en) Heat transfer compositions with high electrical resisitivity for fuel cell assemblies
WO2023111687A1 (en) Heat transfer system with organic, non-ionic inhibitors compatible with flux exposure in fuel cell operations
EP4239033A1 (en) Cooling liquid composition for electric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