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733A -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733A
KR20210083733A KR1020190176331A KR20190176331A KR20210083733A KR 20210083733 A KR20210083733 A KR 20210083733A KR 1020190176331 A KR1020190176331 A KR 1020190176331A KR 20190176331 A KR20190176331 A KR 20190176331A KR 20210083733 A KR20210083733 A KR 2021008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ssential oil
oil extract
presen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섭
강하정
Original Assignee
박창섭
강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섭, 강하정 filed Critical 박창섭
Priority to KR102019017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733A/ko
Publication of KR2021008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향취성이 우수하고 항스트레스 활성을 갖는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나무 뿌리 향료를 각종 방향성 물질인 방향제, 향수, 미용재료, 약제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여 인체 건강과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꾸찌봉의 학명은 "Cudrania tricuspidata"로서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갈잎작은키나무~떨기나무이다. 분포지역 한국(전남·전북·경남·경북·충남·황해)·일본·중국 서식장소 산기슭의 양지쪽, 마을 부근에 서식하며 굿가시나무라고도 한다.
꾸찌뽕은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으며, 3 갈래로 갈라지는 잎은 끝이 둔하고 밑이 둥글다.
달걀 모양의 잎은 끝과 밑이 뾰족하고 길이 6∼10cm, 폭 3∼6cm로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융모(絨毛: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털이 서로 엉킨 것)가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15∼25mm로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가 5mm 정도이며 열매들이 모여 덩어리를 이루는데 지름이 2∼3cm로 둥근 모양이고 육질이며 9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잎은 뽕잎 대용을 쓰고,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잼을 만들거나 술을 담그고, 나무 껍질과 뿌리는 약용이나 종이 원료로 쓴다.
꾸지뽕나무의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 아미노산, 유기산, 당분, 모린(Morin) 등이 들어 있고, 루틴과 가바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암세포를 억제하여 암세포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아스파라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숙취해소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고, 여성의 자궁 건강, 유방암, 자궁근종 및 생리통 등에도 아주 효과적이기 때문에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꾸지뽕나무 뿌리는 혈압을 낮춰주고, 이뇨작용을 촉진시켜 인체 내부의 불순물을 배출시켜주는 효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말려서 차처럼 달여 마시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재료의 특이성에 더하여 이용방법으로서 향료를 살펴보면, 향료는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향수 등의 화장품, 방향제 등의 생활용품, 음료 등의 식품, 치약 등의 의약외품, 연고 등의 의약품 등에 사용되어 청량감과 상쾌감을 주기 위한 발향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심신진정 효과 등의 기능성까지 가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향료는 천연 향료와 합성 향료로 나누어지는데,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향료는 화학 합성 향료이다. 그러나 화학 합성 향료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친화감을 주지 못하고, 또 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제가 알러지 반응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얻은 천연 정유를 이용한 향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천연 향료는 식물 정유(essential oil)를 이용한 것으로, 식물 정유는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 오일로 향기를 지닌 식물의 꽃, 잎, 줄기, 뿌리 등을 증류, 압착, 냉침 등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최근 소비 경향이 단순한 향의 발산뿐만 아니라 기능성까지 갖춘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향취도가 우수하면서도 기능성까지 가지는 식물 정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와 같이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을 활용하기 위한 특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9492호(항 알레르기효과를 갖는 꾸지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0816422호(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로 코팅한 기능성 쌀과 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또한, 천연식물에서 추출하는 향료에 관하여는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24620호는 장미 오일, 백단 오일, 오렌지꽃 오일 및 일랑일랑을 이용한 숙면 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843680호는 레몬 정유, 페퍼민트 정유, 주니퍼베리정유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지는 향료 조성물을 천연 향료가 제안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꾸찌뽕의 열매, 잎, 줄기 등을 추출하여 의약 및 식품에 이용하는 기술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고 아직까지 꾸지뽕나무 뿌리를 이용하여 향료의 추출물로 활용하는 조성물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뿌리를 3일간 자연 건조하는 단계와, 통상의 분쇄기로 사용하여 뿌리를 분쇄하는 200-30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하여 얻어진 꾸지뽕나무 뿌리 분말 1kg을 초임계유체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초임계추출장치(SFE500R1, EYESEL CO, Ltd.)에 투입하는 단계, 초임계추출장치에 투입된 꾸지뽕나무 뿌리 분말을 압력 300~450bar, 온도 55~75℃, 이산화탄소 유속 2.5~3.5㎖/min, 추출시간 2-4시간의 추출 조건으로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꾸지뽕나무 뿌리를 이용한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발향이 유익한 제품, 발향과 더불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가지는 심신 진정 효과가 유익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방향제, 화장품(립스틱, 향수 등), 비누,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헤어크림), 바디 케어 조성물, 입욕제, 인체(손, 얼굴) 세정제, 주방 식기 세척제, 소독 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구강용 조성물(샴푸, 치약, 가그린 등), 의약품(연고제 등), 식품(음료 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꾸지뽕나무 근피의 경우 꾸지뽕나무에서 6종의 prenylated xanthones를 분리해냈고, 이에 따른 cudraxanthone B, isocudraxanthone K, cudraxanthone H, cudratricusxanthone A, cudraxanthone L, macluraxanthone B 등 6종의 화합물은 공중보건 및 인수전염병과 관련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향균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특히 cudratricusxanthone A에서 두드러진 향균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지뽕나무 뿌리와 줄기, 목림(木林)에서 추출한 플라본과 에타놀 추출 엑기스는 흰생쥐 육류(肉瘤)-180, 자궁암-27에 대하여 30%의 억제율을 갖고 있으며, 체외실험에 의하면 본품은 식도암 세포에 세포독상작용(細胞毒狀作用)을 일으킨다.
좀흰생쥐를 가지고 열판법(熱板法) 진통(鎭痛)시험을 실시한 결과 본품이 뚜렷한 진통작용을 갖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뿌리를 3일간 자연 건조하는 단계와, 통상의 분쇄기로 사용하여 뿌리를 분쇄하는 200-300메쉬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하여 얻어진 꾸지뽕나무 뿌리 분말 1kg을 초임계유체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초임계추출장치(SFE500R1, EYESEL CO, Ltd.)에 투입하는 단계, 초임계추출장치에 투입된 꾸지뽕나무 뿌리 분말을 압력 300~450bar, 온도 55~75℃, 이산화탄소 유속 2.5~3.5㎖/min, 추출시간 2-4시간의 추출 조건으로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꾸지뽕나무 뿌리를 이용한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뿌리의 정유 추출물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향료"는 청량감을 느끼도록 사람에게 유익한 향을 제공하거나 심신 진정 효과 등 인간에게 유익한 기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호감이나 제품의 효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재료를 말한다.
또 여기에서, "정유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꾸지뽕나무뿌리 또는 줄기로부터 향기 성분을 응측시켜 얻어진 오일상의 추출물을 말한다. 정유 추출물의 제조에는 수증기 증류법, 휘발성 용제(벤젠, 헥산 등)를 이용한 용제 추출법, 침출법(추출 대상에 상처를 내어 침출 수액을 수집하는 방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 품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존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보존제는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 세균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 광(光)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광안정제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제, 방부제, 광안정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그 용도에 적합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을 사용하는 경우 그것이 첨가되는 양은 향료 성분 중 산패되는 성분의 양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것이 사용됨으로써 인간에게 유익한 향을 제공하거나 이와 더불어 심신 안정감 등 인간에게 유익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이므로, 발향(發香)이 유익한 모든 발향성 제품, 발향과 더불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가지는 심신 진정 효과가 유익한 모든 발향성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발향성 제품으로서는 방향제, 화장품(립스틱, 향수 등), 비누,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헤어크림), 바디케어 조성물, 입욕제, 인체(손, 얼굴) 세정제, 주방 식기 세척제, 소독 청결제, 샤워폼, 물티슈, 구강용 조성물(샴푸, 치약, 가그린 등), 의약품(연고제 등), 식품(음료 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것이 사용되는 상기 열거한 제품에 그것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0.01 중량% 내지 99.99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물티슈 제품을 제조할 경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 물티슈 제품에 통상 0.01 중량%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제품 형태로서 대표적으로 방향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방향제 제품에 사용될 경우, 그 방향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0.01 중량% 내지 20.0 중량% 범위, 특히 0.01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겔화제, 폴리머, 계면활성제, 유화제, 휘산 촉진제 등을 하나 이상 추가로 함유하여 액상 제형, 겔상 제형 또는 고형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제로는 카라기난, 한천, 젤라틴, 젤란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머는 휘산을 조절하여 지속적이고 일정한 발향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아크릴, 아마이드, 비닐알콜 폴리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비닐피롤리돈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이소밤-110(isobutylene/maleic acidanhydride co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와 상기 계면 활성제, 상기 유화제 각각은 본 발명의 방향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1 내지 10.0 중량%로 사용될 수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다른 제품 형태로서 대표적으로 화장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될 경우,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0.5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무기 분말 및 유기 분말(예: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수지)을 들 수 있다. 특히 그러한 분말로서는 활석, 견운모, 운모, 카올린, 실리콘 수지, 나일론 등이 그 우수한 감촉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이들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5㎛, 특히 1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사용시 감촉을 고려할 때, 상기 분말은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1 내지 60중량 %, 특히 5 내지 25중량 %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오일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바람직한 오일성 물질에는 아보카도유, 스바키유, 터틀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소맥배아유, 대두유, 조조바유, 땅콩유, 코코아 버터, 라놀린, 액체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바셀린,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이 있다. 이러한 오일성 물질의 바람직한 함량 범위는 0.1 내지 20 중량%, 특히 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알콜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알콜에는 에틸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등이 있다. 알콜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감촉 면에서, 알콜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30 중량%, 특히 1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기타 기능성 물질들 예컨대 보습제, 소염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살균제, 제한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임의의 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로션, 유액, 크림, 분말, 찜질약,팩, 마사지제, 겔, 페이스트, 스프레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또 다른 제품 형태로서 대표적으로 입욕제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입욕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될 경우, 입욕제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01%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입욕제 조성물은 입욕제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무기 염, 유기산, 오일성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염으로서는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붕사, 황산나트륨, 황화나트륨, 세스퀴탄산나트륨,질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염화칼륨, 황화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무기 염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으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석신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유기산은 입욕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로 입욕제에 첨가될 수 있다.
오일성 성분으로서는 왁스, 탄화수소,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입욕제는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로서는 (a) 붕산, 메타규산, 규산 무수물과 같은 무기산, (b) 회향풀, 은행, 생강, 감귤 껍질, 쥐오줌풀 뿌리, 박하, 인삼, 귀리 등의 생약재 분말, (c) 콜타르 염료, 클로로필, 리보플라빈, 사프플라워, 안트라퀴논와 같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된 천연 색소, (d)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e) 황,운모 분말, 백토 분말, 황토 분말, 쌀겨 탄화물, 살균제,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욕제는 과립, 정제, 액제, 산제 등의 [0042] 임의의 성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제품으로서 대표적으로 방향제, 화장품 및 입욕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아니 되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이 인간에게 유익한 향을 제공하거나 이와 더불어 심신 안정감 등 인간에게 유익한 기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호감과 효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 임의의 모든 발향성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석창포 뿌리 및/또는 줄기의 정유 추출물, 및/또는 비자나무 미숙과 정유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스트레스"란 정신적 피로 회복의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긴장 완화, 불안 완화 또는 심신 진정의 의미이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항스트레스용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항스트레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식품의 형태는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산제, 정제, 캡슐제등의 건강식품 제제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058]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 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꾸찌뽕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과 이의 성분이 인체에 작용하는 효능을 살펴보면 이래의 표 1과 같다.
성 분 인 체 작 용
폴라보노이드 고혈압, 노화방지, 항암작용, 항염증, 항간독성, 면역증강,항체형성
가 바 콜레스트롤 제거와 당뇨병개선, 고혈랍 등 성인병 예방, 기억력, 사고력 등에 관여하는 신결전달물질
루 틴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동백경화, 고혈압, 뇌출혈 같은 심순환계질환예방, 당뇨병개선, 항암작용, 비만효과, 녹내장, 암고치근막염, 잇몸출혈, 구취제거
쿠 마 린 혈액 항 응고, 폐암발생 억제
모 린 감염예방 및 억제
모 르 틴 모 르 틴 중추신경계와 위장계에 효과, 말기암환자 통증 감소
아스파라긴 숙취해소
글루타민산 칼슘흡수 촉진
후라보노이드 후라보노이드 암세포 성장저해효과 탁월, 항암효과 월등
비타민 B1 식욕증진, 노화방지, 장운동원활, 신경안정, 심장병
비타민 B2 노화방지, 장운동원활, 눈피로감소, 신경안정
비타민 C 당뇨개선, 스트레스해소, 항암작용, 피부건강유지,동맥경화, 모세혈관 강화
아 데 닌 고혈압, 해열, 해독, 감기로인한 두통
니 코 틴 산 동백경화, 피로회복, 신장염
탄 닌 질 항바이러스, 구충작용
엽 산 류마티스
리보폴라빈 시력감퇴, 눈의 가려움 방지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 줄기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심신 진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향성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방향제, 화장품, 비누,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바디 케어 조성물, 입욕제, 인체 세정제, 주방 식기 세척제, 소독 청결제, 샤워 폼, 물티슈, 구강용 조성물, 의약품 또는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성 제품.
  5. 꾸지뽕나무 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 줄기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식품 조성물.
KR1020190176331A 2019-12-27 2019-12-27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20210083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31A KR20210083733A (ko) 2019-12-27 2019-12-27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31A KR20210083733A (ko) 2019-12-27 2019-12-27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33A true KR20210083733A (ko) 2021-07-07

Family

ID=7686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331A KR20210083733A (ko) 2019-12-27 2019-12-27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7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22009308A (ja) 更年期症状又は骨粗鬆症改善用組成物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1490114B1 (ko)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20210083733A (ko)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과 꾸지뽕나무뿌리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029280A (ko) 한방비누 조성물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89492B1 (ko) 처진뽕나무, 자두나무, 및 큰달맞이꽃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EP3449736B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or osteoporosis
US10806766B2 (en) Method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osteoporosis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2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096824A (ko) 천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9811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