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702A -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702A
KR20210083702A KR1020190176268A KR20190176268A KR20210083702A KR 20210083702 A KR20210083702 A KR 20210083702A KR 1020190176268 A KR1020190176268 A KR 1020190176268A KR 20190176268 A KR20190176268 A KR 20190176268A KR 20210083702 A KR20210083702 A KR 2021008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xel
layer
electrode
auxiliar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702A/en
Publication of KR2021008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01L27/3258
    • H01L27/3211
    • H01L27/3246
    • H01L27/3276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compris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first electrodes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n auxiliary electrode install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light emitting layer installed on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auxiliary electrode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second electrode install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nstall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Therefore,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an prevent a leakage current from occurring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djacent sub-pixels.

Description

전계 발광 표시 장치{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상기 발광층이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etween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s light by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o display an image.

상기 발광층은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해 엑시톤(exciton)이 생성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발광을 하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퀀텀 도트(Quantum dot)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that emits light when excitons ar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and the generated excitons fall from an excited state to a ground state. dot) may be composed of inorganic materials such as

상기 발광층은 서브 화소 별로 상이한 색상, 예로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브 화소 별로 동일한 색상, 예로서, 백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layer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eg, red, green, and blue, for each sub-pixel, or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eg, white, for each sub-pixel.

고해상도의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조밀한 간격으로 서브 화소를 형성해야 하는데, 마스크를 이용하여 서브 화소 별로 상이한 색상의 발광층을 정밀하게 패턴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마스크 없이 발광층을 적층하는 방법이 고해상의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보다 용이할 수 있다. In order to obtain a high-resolutio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sub-pixels must be formed at close intervals, but it is not easy to precisely pattern the light-emitting layers of different colors for each sub-pixel using a mask. Accordingly, a method of stacking the light emitting layer without a mask may be easier to implement a high resolutio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그러나, 마스크 없이 발광층을 적층하면 인접하는 서브 화소 사이에서 발광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인접하는 서브 화소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emission layers are stacked without a mask, the emission layers are continuously formed between adjacent sub-pixel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eakage current occurs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adjacent sub-pixel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의 경계 영역에서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current from occurring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djacent sub-pixe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각각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보조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발광 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electrod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n auxiliary electrode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auxiliary electrode and provid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mission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layer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본 발명은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각각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 화소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까지 연장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전극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보조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발광 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ub-pixel to the second sub-pixel;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 auxiliary electrode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nd to which a voltag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electrode is applied;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발광층에 존재하는 전하가 인접하는 서브 화소로 이동하지 않고 제2 전극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서브 화소 사이에서 누설전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auxiliary electrode at the boundary between sub-pixels and supplying power to the auxiliary electrode, charges present in the emission layer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do not move to adjacent sub-pixels. The leakage current between the adjacent sub-pixels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them to exit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극과 발광층 사이에 발광 제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에 고전원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발광층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emission control layer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layer, the emission layer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even when a high power is a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high luminance light is not e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극과 중첩되는 영역 또는 발광 제어층과 중첩되는 영역에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제1 서브 화소와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by forming the light blocking layer in the region overlapping the auxiliary electrode or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overlapping the region.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해서 전압, 전류밀도 및 누설전류 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14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해서 전압에 따른 누설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a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 장착형 표시(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able showing voltage, current density, and leakage current values for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1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voltage for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15A to 15C relate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제1 전극(310, 320, 330), 보조 전극(350), 및 제2 전극(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 first electrodes 310 , 320 , 330 , an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a second electrode 600 . made including

상기 기판(100) 상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가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는 제1 방향, 예로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및 제3 서브 화소(SP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includes a first sub-pixel SP1, a second sub-pixel SP2, and a third sub-pixel SP3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don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서로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1 서브 화소(SP1)는 제2 방향,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2 서브 화소(SP2)도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제3 서브 화소(SP3)도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sub-pixels SP1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b-pixels SP2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are also provided in the second direction. A plurality of third sub-pixels SP3 arranged in two directions and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may also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서브 화소(SP1)는 제1 색상의 광, 예로서 적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화소(SP2)는 제2 색상의 광, 예로서 녹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 서브 화소(SP3)는 제3 색상의 광, 예로서 청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sub-pixel SP1 is provided to emit light of a first color, for example, red light, and the second sub-pixel SP2 is provided to emit light of a second color, for example, green light;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provided to emit light of a third color, for example, blue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의 배열 구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may be changed to various structures known in the art.

상기 제1 전극(310, 320, 330)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에 각각 패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에 하나의 제1 전극(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화소(SP2)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서브 화소(SP3)에 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330)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electrodes 310 , 320 , and 330 are respectively patterned i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That is, one first electrode 310 is formed in the first sub-pixel SP1, the other first electrode 320 is formed in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Another first electrode 330 is formed in the sub-pixel SP3 .

상기 제1 전극(310, 320, 330)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에서 애노드(Anode)로 기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에 각각 패턴 형성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electrodes 310 , 320 , and 330 may function as anodes in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and accordingly, the first to third sub-pixels SP1 and SP2 . , SP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r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pattern-formed, respectively.

상기 보조 전극(350)은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하나의 보조 전극(350)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다른 하나의 보조 전극(350)이 형성되어 있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Specifically, one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are formed. Another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therebetween.

상기 보조 전극(350)은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판(100)의 일측, 예로서 하측에서 상기 기판(100)의 타측, 예로서 상측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disposed from one side, eg, a lower side, of the substrate 100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to the other side, eg, an upper side, of the substrate 100 . It may extend to a long distance, and thus may be formed in a stripe structure as a whole.

상기 보조 전극(350)은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해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간격이 조밀하게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내의 발광층에서 발광이 이루어진 경우 그 발광층 내의 전하가 인접하는 다른 서브 화소(SP1, SP2, SP3) 내의 발광층으로 이동하여 누설전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에 상기 보조 전극(350)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전극(35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발광층에 존재하는 전하가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SP3)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600)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에서 누설전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극(350)은 전원 배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 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serves to prevent leakage current between the adjacent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is densely configured to realize high resolution,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layer in any one of the sub-pixels SP1, SP2, SP3, the charge in the light-emitting layer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eakage current may be generated by moving to the light emitting layer in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so that the sub-pixels SP1 , SP2 and SP3 are SP3)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adjacent sub-pixels (SP1, SP2, SP3) by allowing the charge existing in the emission layer to escape to the second electrode 600 without moving to the adjacent sub-pixels (SP1, SP2, SP3). The occurrence of leakage current between them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line.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제1 전극(310, 320, 330)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제1 전극(310, 320, 330)과 중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electrodes 310 , 320 , and 330 . Accordingly,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of the first electrode 310 , 320 , 330 . 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without overlapping.

상기 제2 전극(60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 전체에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600)은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영역 및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 전체에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600)은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에서 캐소드(Cathode)로 기능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6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ver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substrate 100 .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6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tire area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s one body. . The second electrode 600 may function as a cathode 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2에는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만을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nly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are illustrated in FIG. 2 , and the same applies to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below.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회로 소자층(200), 제1 전극(310, 320), 보조 전극(350), 뱅크(400), 발광 제어층(450), 발광층(500), 제2 전극(600), 봉지층(700), 차광층(800), 및 컬러 필터층(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FIG. 2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 a circuit element layer 200 ,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an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a bank 400 . ),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the emission layer 500 , the second electrode 600 , the encapsulation layer 700 ,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 and the color filter layer 9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된 광이 상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Top emisiso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발광된 광이 하부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상부 발광(Bottom emisison)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기판(10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o-called top emisison method in which emitted light is emitted upward. In this case, the substrate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It may also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o-called bottom emisison method in which the emitted light is emitted downward, the substrate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회로 소자층(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 소자층(200)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 이외에도 상기 회로 소자층(200)에는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250) 및 기준 배선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 배선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각종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 등이 구비되어 있다. The circuit element layer 20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s form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200 . In addition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the circuit element layer 200 includes various signal wirings including a gate wiring, a data wiring, a power wiring 250 and a reference wiring, various thin film transistors includ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and capacitors.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상기 기판(100) 상에 구비된 액티브층(210), 상기 액티브층(210) 상에 구비된 게이트 절연막(220),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구비된 게이트 전극(230), 상기 게이트 전극(230) 상에 구비된 층간 절연막(240), 및 상기 층간 절연막(24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층간 절연막(240)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에 구비된 홀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210)과 연결되는 소스 전극(251) 및 드레인 전극(2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티브층(210)으로 외부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액티브층(210)의 아래에 차광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30)이 액티브층(210) 위에 구비된 상부 게이트(Top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게이트 전극(230)이 액티브층(210) 아래에 구비된 하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ncludes an active layer 210 provided on the substrate 100 , a gate insulating layer 220 provided on the active layer 210 , and a gate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 The electrode 230,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40 provided on the gate electrode 23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40 provid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40, the hole provi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40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220 It comprises a source electrode 251 and a drain electrode 252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210 through the. Although not shown, a light blocking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under the active layer 210 to block external light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active layer 210 . Although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having a top gat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230 is provided on the active layer 210 i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electrode 230 is provided under the active layer 210 . It may includ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having a bottom gate structur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may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상기 전원 배선(250)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배선(250)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51) 및 드레인 전극(252)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 배선(250)은 상기 소스 전극(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소스 전극(251)에 고전원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 배선(25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극(310, 32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252)이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였고 그 경우 상기 전원 배선(25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51)이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배선(250)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wiring 250 may be provided in a region overlapping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The power wiring 2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as the source electrode 251 and the drain electrode 25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The power wiring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51 to supply high power to the source electrode 251 . According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supplied from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o generate a data current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wiring 250 and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plays a role The drawing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in electrode 25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and in this case, the power wiring 250 is the source electrode 251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However, in some cases, the source electrode 251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In this case, the power wiring 250 is the drai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252 .

상기 회로 소자층(200)은 패시베이션층(260) 및 평탄화층(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층(260)은 상기 소스 전극(251), 상기 드레인 전극(252) 및 상기 전원 배선(250) 상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평탄화층(270)은 상기 패시베이션층(260) 상에 구비되어 있다. The circuit element layer 200 may include a passivation layer 260 and a planarization layer 270 . The passivation layer 260 is provided on the source electrode 251 , the drain electrode 252 , and the power wiring 250 ,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is provided on the passivation layer 260 . have.

상기 패시베이션층(260) 및 평탄화층(270)은 제1 콘택홀(CH1) 및 제2 콘택홀(CH2)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콘택홀(CH1)은 각각의 서브 화소(SP1, SP2)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의 소스 전극(251) 또는 드레인 전극(252)을 노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콘택홀(CH1)을 통해서 상기 소스 전극(251) 또는 드레인 전극(252)과 제1 전극(310, 3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콘택홀(CH2)은 상기 전원 배선(250)을 노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콘택홀(CH2)을 통해서 상기 전원 배선(250)이 상기 보조 전극(35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are formed to have a first contact hole CH1 and a second contact hole CH2. The first contact hole CH1 is provided to expose the source electrode 251 or the drain electrode 252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 of each of the sub-pixels SP1 and SP2, and the first contact hole CH1 ), the source electrode 251 or the drain electrode 252 and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may be connected. The second contact hole CH2 is provided to expose the power wire 250 , and the power wir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CH2 .

상기 제1 전극(310, 320)은 상기 평탄화층(270) 상에서 제1 및 제2 서브 화소(SP1, SP2) 각각에 패턴 형성되어 있다. 제1 서브 화소(SP1)에 구비된 상기 제1 전극(310)은 제1 콘택홀(CH1)을 통해서 제1 서브 화소(SP1) 내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51) 또는 드레인 전극(252)과 연결되고, 제2 서브 화소(SP2)에 구비된 상기 제1 전극(320)은 제1 콘택홀(CH1)을 통해서 제2 서브 화소(SP2) 내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251) 또는 드레인 전극(25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are pattern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70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SP1 and SP2. The first electrode 310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SP1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251 or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n the first sub-pixel SP1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CH1. The first electrode 320 connected to 252 and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SP2 is the sourc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 in the second sub-pixel SP2 through the first contact hole CH1. It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251 or the drain electrode 25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전극(310, 320)은 반사전극과 투명전극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전극(310, 320)은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op emission type,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reflective electrode and a transparent electrode.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ottom light emission type,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평탄화층(270) 상에서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1, 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극(350)은 제2 콘택홀(CH2)을 통해서 전원 배선(25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전원 배선(250)으로부터 고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쇼트 방지를 위해서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이격되어 있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pattern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70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1 and SP2.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through the second contact hole CH2 , and thus may receive high power from the power wiring 250 .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using the same material and through the same process. Accordingly,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in ord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상기 뱅크(400)는 상기 평탄화층(270) 상에서 상기 제1 전극(310, 320)의 양 끝단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310, 320)의 끝단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뱅크(40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상기 제1 전극(310, 320)의 노출 영역이 발광 영역이 될 수 있다. The bank 400 is formed to cover both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on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and current is concentrated at the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The deterioration problem can be prevented. The exposed region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that are not covered by the bank 400 and are exposed may be the emission regions.

상기 뱅크(400)는 제1 및 제2 서브 화소(SP1, SP2)를 포함한 복수의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뱅크(400)는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상기 보조 전극(350) 상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뱅크(400)는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1, 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개구 영역(OA)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 영역(OA)에 의해서 상기 보조 전극(35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뱅크(400)는 상기 개구 영역(OA)에 노출되지 않은 상기 보조 전극(350)의 일단과 타단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뱅크(4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상기 보조 전극(350)이 서로 마주할 수 있다. The bank 400 is formed in a matrix structure as a whole while being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a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s SP1 and SP2. Accordingly, the bank 400 is formed o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In this case, the bank 400 includes an opening area OA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s SP1 and SP2, and the auxiliary area OA is formed by the opening area OA.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ode 350 is exposed. The bank 400 may be provided to cover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that are not exposed to the opening area OA.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face each other with the bank 400 interposed therebetween.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뱅크(400)에 구비된 개구 영역(OA)은 상기 보조 전극(350)과 마찬가지로 서브 화소(SP1, SP2, SP) 사이의 경계 영역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rea OA provided in the bank 400 may extend along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 similarly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 and thus may be formed in a stripe structure as a whole.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상기 개구 영역(OA)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 영역(OA)에 노출된 상기 보조 전극(350)의 상면을 가린다.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상기 개구 영역(OA)에서 상기 보조 전극(350)과 상기 발광층(500)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하면은 상기 보조 전극(350)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상면은 상기 발광층(500)의 하면과 접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 제어층(450)에 의해서 상기 보조 전극(350)과 상기 발광층(500)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제2 전극(600)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provided in the opening area OA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exposed to the opening area OA.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form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layer 500 in the opening area OA.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mission layer 500 . Accordingly, direct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layer 500 is blocked by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Als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does not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600 .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높은 휘도의 발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상기 발광 제어층(450)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 전극(350)과 상기 발광층(500)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상기 보조 전극(350)에 인가되는 고전원에 의해서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발광층(500)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350)과 상기 발광층(500) 사이에 상기 발광 제어층(4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전극(350)에 고전원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발광층(500)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절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무기 절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serves to prevent high luminance emiss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I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not provide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layer 500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b-pixel ( A problem in that light of high luminance is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500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may occur.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 even when a high power is a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the Light of high luminance is not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500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in particular,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상기 보조 전극(350)과 마찬가지로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을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기판(100)의 일측, 예로서 하측에서 상기 기판(100)의 타측, 예로서 상측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Lik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formed on one side, for example,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100 in the second direction along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It may extend to the other side of (100), for example, the upper side, and thus may be formed in a stripe structure as a whole.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발광층(500)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두께는 1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상기 보조 전극(350)에 고전원을 인가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발광층(500)에 잔존하는 전하가 상기 제2 전극(600)으로 원활히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두께는 상기 발광층(500)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f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too thi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ight of high luminance is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500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be preferably 10 nm or more. If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too thick, the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even when high power is a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Since the charge remaining in 500 may not smoothly escape to the second electrode 600 ,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layer 500 .

상기 발광층(500)은 상기 제1 전극(310, 320), 상기 뱅크(400), 및 상기 발광 제어층(4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The emission layer 50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the bank 400 ,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상기 발광층(500)은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의 경계 영역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발광층(500)은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상기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층(500)은 서브 화소(SP1, SP2)의 발광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전극(310, 3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서브 화소(SP1, 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뱅크(4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개구 영역(OA)에서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emission layer 500 is formed in the first sub-pixel SP1,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entir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That is, the emission layer 500 is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Accordingly, the emission layer 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in the emission regions of the sub-pixels SP1 and SP2, an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SP1 and SP2, the bank ( 400 ,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n the opening area OA.

상기 발광층(500)은 백색(W)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발광층(500)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스택(sta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층(500)은 제1 스택(510), 제2 스택(530), 및 상기 제1 스택(510)과 제2 스택(530)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may be provided to emit white (W) light. To this end,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ck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Specifically, the emission layer 500 may include a first stack 510 , a second stack 530 , and a charge genera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ck 510 and the second stack 530 ; CGL) 520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스택(510)은 차례로 적층된 제1 정공 수송층,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1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유기 발광층은 황녹색 발광층 또는 청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stack 51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and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sequentially stacked. The first organic emission layer may be formed of a yellow-green emission layer or a blue emission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 스택(530)은 차례로 적층된 제2 정공 수송층, 제2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유기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 또는 황녹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tack 53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 second organic emission layer, and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sequentially stacked.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blue light-emitting layer or a yellow-green light-emitt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전하 생성층(520)은 상기 제1 스택(510)에 전자를 제공하는 N타입 전하 생성층 및 상기 제2 스택(530)에 정공을 제공하는 P타입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harge generation layer 520 may include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that provides electrons to the first stack 510 and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that provides holes to the second stack 530 .

상기 제2 전극(600)은 상기 발광층(5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600)은 제1 서브 화소(SP1), 제2 서브 화소(SP2),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의 경계 영역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600)은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상기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600)은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캐소드(Cathode)로 기능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600 is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 The second electrode 600 is formed throughout the first sub-pixel SP1 ,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600 is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The second electrode 600 may function as a cathode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 전극(600)은 투명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2 전극(600)은 반사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top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600 includes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a bottom light.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600 may include a reflective electrode.

상기 봉지층(700)은 상기 제2 전극(6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700)은 상기 발광층(500)으로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층(700)은 무기절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절연물과 유기절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encapsulation layer 70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600 . The encapsulation layer 700 may prevent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 The encapsulation layer 70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re alternately stack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차광층(800)과 상기 컬러 필터층(900)은 상기 봉지층(7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차광층(800)과 상기 컬러 필터층(900)이 상기 제2 전극(600)과 상기 봉지층(7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and the color filter layer 900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700 . In some cases,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and the color filter layer 90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600 and the encapsulation layer 700 .

상기 차광층(800)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어 그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발광 제어층(450)에 의해서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되는 것이 방지될 수는 있지만, 상기 발광 제어층(450)이 구비된다 하여도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낮은 휘도의 광이 발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350)과 중첩되는 영역 또는 상기 발광 제어층(450)과 중첩되는 영역에 상기 차광층(800)을 형성함으로써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is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to block light leakage into the reg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prevent high luminance light from being emitt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the emission control layer ( Even if 450 is provid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ight of low luminance is emitted from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pixel SP1 is formed by forming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in a region overlapping wit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or overlapping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from leaking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상기 컬러 필터층(900)은 상기 서브 화소(SP1, SP2) 내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컬러 필터층(900)은 적색 컬러 필터층, 녹색 컬러 필터층, 및 청색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lor filter layer 900 is formed to overlap the light emitting area in the sub-pixels SP1 and SP2. The color filter layer 900 may include a red color filter layer, a green color filter layer, and a blue color filter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차광층(800)과 상기 컬러 필터층(900)이 상기 회로 소자층(2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차광층(800) 및 상기 컬러 필터층(900)이 상기 패시베이션층(260)과 상기 평탄화층(27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240)과 상기 패시베이션층(26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과 상기 층간 절연막(24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emission type,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and the color filter layer 900 may be formed in the circuit element layer 200 . For example,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and the color filter layer 9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and the passivation layer 260 .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layers, or between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누설전류가 방지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of preventing leakage current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전원 배선(250)을 통해 상기 보조 전극(350)에 상기 제2 전극(600)의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서브 화소(SP1)와 상기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상기 발광층(500) 영역에 존재하는 전하가 상기 제1 서브 화소(SP1) 영역 또는 상기 제2 서브 화소(SP2)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60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 제어층(450)에 의해서 상기 발광층(500)에서 높은 휘도의 광이 발광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대신에 상기 발광층(500)에서 낮은 휘도의 광이 발광될 수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낮은 휘도의 광은 상기 차광층(800)에서 차단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사이에서 누설전류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 화소(SP1, SP2)에서 원하는 계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econd electrode 600 is appli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350 through the power wiring 250 . Then, the charge existing in the emission layer 500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ub-pixel SP1 region or the second sub-pixel SP2 region. It exits to the second electrode 600 without moving to the region. In this case, light of high luminanc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500 by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and light of low luminance may be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500 instead. However, such low luminance light is blocked by the light blocking layer 800 . As described above, since leakage current can be prevented between the sub-pixels SP1 and SP2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desired gray level in each of the sub-pixels SP1 and SP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발광 제어층(450)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FIG. 2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changed.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different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전술한 도 2에 따르면, 발광 제어층(450)이 뱅크(400)에 구비된 개구 영역(OA) 내에만 형성되어 있다. 2 ,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formed only in the opening area OA provided in the bank 400 .

그에 반하여, 도 3에 따르면, 발광 제어층(450)이 뱅크(400)에 구비된 개구 영역(OA)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뱅크(400) 상에도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상기 뱅크(400)의 상면 및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FIG. 3 ,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formed on the bank 400 as well as in the opening area OA provided in the bank 400 . Specifically,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extend to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bank 400 .

따라서, 상기 개구 영역(OA)에 형성된 발광 제어층(450)의 제1 부분은 보조 전극(350) 및 발광층(500)과 각각 접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뱅크(400)와 중첩되면서 상기 뱅크(400)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 제어층(450)의 제2 부분은 뱅크(400) 및 발광층(500)과 각각 접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med in the opening area OA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layer 500 , respectively, while overlapping the bank 400 and the bank 400 . ), the second portion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ank 400 and the emission layer 500 , respectively.

이와 같이, 발광 제어층(450)이 개구 영역(OA) 주변의 뱅크(400) 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개구 영역(OA) 주변에서 원하지 않는 발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extends onto the bank 400 around the opening area OA, it is possible to prevent unwanted light emission around the opening area OA.

한편, 상기 발광 제어층(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화소(SP1, SP2) 내의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상기 뱅크(400)의 일측면 전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끝단이 제1 전극(310, 320)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광 제어층(450)이 상기 뱅크(400)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끝단이 제1 전극(310, 320)과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끝단이 제1 전극(310, 320)과 접하지 않을 경우 발광 영역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formed on the entire side of the bank 400 facing the light emission area in each of the sub-pixels SP1 and SP2 as shown, so that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ends at the end.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since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not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bank 400 , the ends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not contact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 When the end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does not contact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the luminance of the emission region may be im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발광 제어층(450)과 뱅크(400)의 적층 순서가 변경된 점에서 전술한 도 3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FIG. 3 described above in that the stacking order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and the bank 400 is changed. different from the device. Hereinafter,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도 3과 같이, 제1 전극(310, 320)의 끝단을 가리는 뱅크(400)에 개구 영역(OA)을 형성하여 보조 전극(350)을 노출시킨 후 상기 뱅크(400) 및 상기 노출된 보조 전극(350) 상에 발광 제어층(45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뱅크(400)의 상면과 측면 및 상기 개구 영역(OA)의 보조 전극(350)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 제어층(450)을 얻을 수 있다. 3 , an opening area OA is formed in the bank 400 covering the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to expos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then the bank 400 and the exposed auxiliary electrode are expose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350 , and accordingly,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bank 4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of the opening area OA. ) can be obtained.

그에 반하여, 도 4와 같이, 제1 전극(310, 320)의 끝단, 보조 전극(350) 전체, 및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상기 보조 전극(350)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가리는 발광 제어층(450)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발광 제어층(450) 상에 개구 영역(OA)을 구비한 뱅크(4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 영역(OA)은 상기 보조 전극(35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서브 화소(SP1, SP2) 내의 발광 영역과 마주하는 뱅크(400)의 끝단은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끝단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발광 제어층(450)이 상기 뱅크(400)의 하면으로 연장된다. In contrast, as shown in FIG. 4 , the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the entire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the spaced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re covere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may be formed first, and the bank 400 having the opening area OA may be formed on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 In this case, the opening area OA is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an end of the bank 400 facing the emission area in the sub-pixels SP1 and SP2 is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end of the Accordingly,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nk 400 .

도 4에 따르면, 개구 영역(OA)에 형성된 발광 제어층(450)의 제1 부분은 보조 전극(350) 및 발광층(500)과 각각 접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뱅크(400)와 중첩되면서 상기 뱅크(400)의 하면에 형성된 발광 제어층(450)의 제2 부분은 뱅크(400), 평탄화층(270), 제1 전극(310, 320), 및 보조 전극(350)과 각각 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portion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med in the opening area OA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layer 500 , respectively, while overlapping the bank 400 and the bank 400 . A second portion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400 may contact the bank 400 ,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뱅크(400)가 생략된 점에서 전술한 도 4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따라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4 described above in that the bank 400 is omitted. Accordingly,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뱅크가 생략되기 때문에 발광 제어층(450)이 뱅크(40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 since the bank is omitte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bank 400 .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전극(310, 320)의 끝단, 보조 전극(350) 전체, 및 상기 제1 전극(310, 320)과 상기 보조 전극(350) 사이의 이격된 영역을 가리는 발광 제어층(4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 제어층(450) 상에 발광층(500)이 바로 형성되어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5 , light emission covering the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the entire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a region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The control layer 450 is formed, and the emission layer 500 is directly formed on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

따라서,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하면은 제1 전극(310, 320)의 끝단, 보조 전극(350) 및 평탄화층(270)과 접하고, 상기 발광 제어층(450)의 상면 전체는 상기 발광층(500)과 접한다.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first electrodes 310 and 320 ,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is the emission layer. (500) is tangen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 전원 배선(250), 제1 전극(310, 320, 330), 보조 전극(350), 및 제2 전극(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FIG. 6 ,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 a power wiring 250 , first electrodes 310 , 320 , 330 , an auxiliary electrode 350 , and a second electrode. 2 electrodes 600 are included.

상기 기판(100) 상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 외곽에서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이 형성되어 있다. A display area DA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NDA not displaying an image outside the display area DA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에는 제1 전극(310, 320, 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및 상기 제1 전극(310, 320, 3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are formed in the display area DA, and first electrodes 310, 320, and 330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nd the first electrodes 310 , 320 , and 330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전원 배선(250)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배선(250)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에 각각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비표시 영역(ND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배선(250)은 외부 구동부로부터 고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표시 영역(DA)의 개별 서브 화소(SP1, SP2, SP3)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상기 고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는 별도의 전원 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형성된 전원 배선(2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의 전원 배선(250)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이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의 전원 배선(250)으로부터 분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이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의 전원 배선(250)과 상이한 층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콘택홀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The power wiring 250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e power wiring 250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area DA and the non-display area NDA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area DA, but must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ly in one non-display area NDA. The power wiring 250 receives high power from an external driver and transmits the high power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provided in the individual sub-pixels SP1 , SP2 , and SP3 of the display area DA.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power line is formed i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power line in the display area DA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250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e power wiring in the display area DA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power wiring 250 in the non-display area NDA, so that the power wiring in the display area DA is connected to the non-display area NDA. It may have a structure branched from the power wiring 250 in th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ince the power wiring in the display area DA is form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power wiring 250 in the non-display area NDA, a contact hole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ey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은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이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모든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부의 경계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 내의 전원 배선이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형성되지만 제2 서브 화소(SP3)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The power wiring in the display area DA is form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In this case, the power wiring in the display area DA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SP2, and SP3. It may be formed in all boundary regions between SP3), but may be formed only in some boundary regions. For example, a power supply line in the display area DA is form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but the second sub-pixel SP3 and the third sub-pixel SP3 are ) may not be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상기 보조 전극(350)은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DA)에서부터 상기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전극(350)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3 콘택홀(CH3)을 통해서 상기 전원 배선(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전원 배선(250)으로부터 고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extend along a boundary area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and may extend from the display area DA to the non-display area NDA. In particular, the auxiliary electrode 3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CH3 in the non-display area NDA, and accordingly, a high power source from the power wiring 250 . can be suppl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에 상기 보조 전극(350)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 전극(350)에 비표시 영역(NDA)에 구비된 전원 배선(250)을 연결하여 고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전하가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SP3)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 전극(600)으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서브 화소(SP1, SP2, SP3) 사이에서 누설전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b-pixels SP1 , SP2 , and SP3 , and the power wiring 250 is provid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by supplying high power by connecting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to the second electrode 600 without moving the charges existing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to the adjacent sub-pixels SP1, SP2, and SP3. The leakage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adjacent sub-pixels SP1, SP2, and SP3.

상기 제2 전극(60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전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외부의 구동부로부터 저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600 is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DA of the substrate 100 and extends to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substrate 100 to receive low power from an external driver. .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n-display area NDA and a display area DA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FIG. 6 .

도 7에서 표시 영역(DA)의 단면 구조는 보조 전극(350)이 전원 배선(250)과 연결되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도 2에 따른 단면 구조와 상이하다. 즉, 도 7에 따르면, 표시 영역(DA)의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에 제2 콘택홀(CH2)이 형성되지 않아서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이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보조 전극(350)은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area DA in FIG. 7 is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2 described above in that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 That is, according to FIG. 7 , the second contact hole CH2 is not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of the display area DA, so that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도 7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220)과 층간 절연막(240)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층간 절연막(240) 상에 전원 배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배선(250) 상에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이 차례로 형성되고, 상기 평탄화층(270) 상에 보조 전극(350)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전극(350) 상에 봉지층(700)이 형성되고, 상기 봉지층(700) 상에 차광층(800)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7 , a gate insulating layer 220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100 , a power wiring 250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 and the A passivation layer 260 and a planarization layer 27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power wiring 250 , an auxiliary electrode 350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and an encapsulation layer is formed on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700 is formed, and a light blocking layer 800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700 .

이때, 비표시 영역(NDA)의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에는 제3 콘택홀(CH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콘택홀(CH3)을 통해서 상기 보조 전극(350)이 상기 전원 배선(250)과 연결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전원 배선(250)이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과 상기 층간 절연막(24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전원 배선(250)과 상기 보조 전극(350)을 연결하기 위한 제3 콘택홀(CH3)이 상기 패시베이션층(260), 평탄화층(270), 및 층간 절연막(240)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hird contact hole CH3 is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of the non-display area NDA,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CH3. It is connected to the wiring 250 . The power wiring 250 of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formed between the gate insulating layer 22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 In this case, the power wiring 25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 A third contact hole CH3 for connecting to may be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 the planarization layer 270 ,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40 .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display area NDA and a display area DA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FIG. 6 .

도 8에서 표시 영역(DA)의 단면 구조는 보조 전극(350)이 전원 배선(250)과 연결되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도 3에 따른 단면 구조와 상이하다. 즉, 도 8에 따르면, 표시 영역(DA)의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에 제2 콘택홀(CH2)이 형성되지 않아서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이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보조 전극(350)은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area DA in FIG. 8 is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3 described above in that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 That is, according to FIG. 8 , the second contact hole CH2 is not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of the display area DA, so that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도 8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는 전술한 도 7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8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7 , and thus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n-display area NDA and a display area DA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FIG. 6 .

도 9에서 표시 영역(DA)의 단면 구조는 보조 전극(350)이 전원 배선(250)과 연결되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도 4에 따른 단면 구조와 상이하다. 즉, 도 9에 따르면, 표시 영역(DA)의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에 제2 콘택홀(CH2)이 형성되지 않아서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이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보조 전극(350)은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area DA in FIG. 9 is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4 described above in that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 That is, according to FIG. 9 , the second contact hole CH2 is not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of the display area DA, so that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도 9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는 전술한 도 7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9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7 , and thus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n-display area NDA and a display area DA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FIG. 6 .

도 10에서 표시 영역(DA)의 단면 구조는 보조 전극(350)이 전원 배선(250)과 연결되지 않은 점에서 전술한 도 5에 따른 단면 구조와 상이하다. 즉, 도 10에 따르면, 표시 영역(DA)의 패시베이션층(260)과 평탄화층(270)에 제2 콘택홀(CH2)이 형성되지 않아서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이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보조 전극(350)은 표시 영역(DA)의 전원 배선(250)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area DA in FIG. 10 is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5 described above in that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 That is, according to FIG. 10 , the second contact hole CH2 is not formed in the passivation layer 26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270 of the display area DA, so that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is not exposed. Therefor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of the display area DA.

도 10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는 전술한 도 7의 비표시 영역(NDA)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1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non-display area NDA of FIG. 7 , and thus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의 구성이 변경된 점에서 전술한 도 1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according to FIG. 1 described above in that the configurations of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changed. different from the device. Hereinafter,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도 1에 따르면,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이 제1 방향, 예로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 및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제2 방향,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하나의 제1 서브 화소(SP1)와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화소(SP1) 사이의 경계 영역, 하나의 제2 서브 화소(SP2)와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 및 하나의 제3 서브 화소(SP3)와 다른 하나의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도 1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이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1 ,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i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in a horizontal direction. , and one first sub-pixel SP1 and another one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the vertical directio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of , a boundary region between on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other second sub-pixel SP2, and a third sub-pixel SP3 and another It is not form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one third sub-pixel SP3. Accordingly, according to FIG. 1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formed in a stripe structure as a whole.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화소(SP1)는 서로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설령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화소(SP1) 사이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한다 하여도 그로 인한 화상 품질 저하는 크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한다 하여도 그로 인한 화상 품질 저하는 크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two adjacent first sub-pixels SP1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even if a leakage current occurs between the two adjacent first sub-pixels SP1 The resulting image quality degradation may not be significant. Similarly, even if a leakage current occurs between two adjacent second sub-pixels SP2 or a leakage current occurs between two adjacent third sub-pixels SP3, the resulting image quality degradation may not be significant. have.

따라서, 전술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화소(SP1) 사이의 경계 영역,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누설전류 방지를 위한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 , a boundary region between two first sub-pixels SP1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boundary region between two second sub-pixels SP2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are used.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for preventing leakage current are not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and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two third sub-pixels SP3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그에 반하여, 도 11에 따르면,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이 제1 방향, 예로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 및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와 더불어 제2 방향,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화소(SP1) 사이의 경계 영역,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의 경계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350) 및 발광 제어층(450)이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메쉬(mesh) 구조로 형성된다. In contrast, according to FIG. 11 ,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i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 horizontal direction. two first sub-pixels SP1 respectively formed in the region and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and adjacent thereto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boundary region between two second sub-pixels SP2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boundary region between two third sub-pixels SP3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has been Accordingly, according to FIG. 11 ,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to form a mesh structure as a whole.

이와 같은 도 11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동일한 색상을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화소(SP1)들 사이, 두 개의 제2 서브 화소(SP2)들 사이, 및 두 개의 제3 서브 화소(SP3)들 사이에서도 누설전류가 방지될 수 있다.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FIG. 11 as described above, between two first sub-pixels SP1 , between two second sub-pixels SP2 , and between two third sub-pixels SP3 that emit the same color. Leakage current can also be prevented between the two.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보조 전극(350)이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전원 배선과 연결되지 않고 제3 콘택홀(CH3)을 통해서 비표시 영역(NDA)에 구비된 전원 배선(250)과 연결된 점에서 전술한 도 11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1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DA and the third contact hole CH3 It is different from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FIG. 11 described above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250 provid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through .

이와 같은 도 12에 따른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단면 구조는 전술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 display area DA and the non-display area NDA according to FIG. 12 may be variously changed as shown in FIGS. 7 to 10 ,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해서 전압, 전류밀도 및 누설전류 값을 보여주는 표이고, 도 14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 대해서 전압에 따른 누설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3 is a table showing voltage, current density, and leakage current values for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and FIG. 1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leakage current according to voltage for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도 13에서 Ip는 발광하는 서브 화소의 전류 밀도이고 Ip1은 상기 발광하는 서브 화소와 인접하는 서브 화소로서 발광하지 않는 서브 화소의 전류 밀도이다. 따라서, 누설전류는 발광하는 서브 화소의 전류 밀도(Ip)에 대한 상기 발광하는 서브 화소와 인접하는 서브 화소로서 발광하지 않는 서브 화소의 전류 밀도(Ip1)의 비로 표현된다. 13 , Ip is the current density of a sub-pixel that emits light, and Ip1 is a current density of a sub-pixel that does not emit light as a sub-pixel adjacent to the sub-pixel that emits light. Accordingly, the leakage current is expressed as the ratio of the current density Ip of the sub-pixel that emits light to the current density Ip1 of the sub-pixel adjacent to the light-emitting sub-pixel that does not emit light.

도 13 및 도 14에서 실시예는 전술한 도 3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해당하고, 비교예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로서 도 3에서 보조 전극(350)과 발광 제어층(450)이 구비되지 않고 뱅크(400)의 개구 영역(OA)도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뱅크(400)의 상면에 발광층(500)이 형성된 일반적인 구조에 해당한다. 13 and 14 ,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FIG. 3 described abov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is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uxiliary electrode 350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450 are The light emitting layer 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 400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because the bank 400 is not provided and the opening area OA of the bank 400 is not provided. It corresponds to the general structure formed.

도 13 및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7V 이상의 전압에서는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누설전류가 미미하지만, 7V보다 낮은 전압에서는 비교예의 경우 누설전류 값이 큰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는 누설전류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S. 13 and 14 , at a voltage of 7V or higher, the leakage current is insignificant in both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but at a voltage lower than 7V, the leakage current value is large in the comparative example, whereas the leakage current is insignificant in the embodiment. can be known

따라서, 비교예의 경우에는 높은 계조에서는 화상 품질이 양호하지만 낮은 계조에서는 화상 품질이 크게 떨어지게 됨을 알 수 있고, 그에 반하여 실시예의 경우에는 높은 계조 및 낮은 계조 모두에서 화상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quality is good at the high gradation, but the image quality is greatly deteriorated at the low gradation.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quality is excellent at both the high gradation and the low gradation.

도 15a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헤드 장착형 표시(HMD)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5a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5b는 VR(Virtual Reality) 구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5c는 AR(Augmented Reality)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5A to 15C relate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15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IG. 15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R (Virtual Reality) structure, and FIG. 15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R (Augmented Reality) structure.

도 15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장착형 표시 장치는 수납 케이스(10), 및 헤드 장착 밴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FIG. 15A ,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ase 10 and a head mounted band 30 .

상기 수납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표시 장치, 렌즈 어레이, 및 접안 렌즈 등의 구성을 수납하고 있다. The storage case 10 houses a display device, a lens array, and an eyepiece lens therein.

상기 헤드 장착 밴드(30)는 상기 수납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 장착밴드(30)는 사용자의 머리 상면과 양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헤드 장착 밴드(30)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테 형태 또는 헬멧 형태의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다.The head mounting band 30 is fixed to the storage case 10 . The head mounting band 30 is exemplified to be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user's hea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d mounting band 30 is for fixing the head mounted display to the user's head, and may be replaced with a structure in the form of an eyeglass frame or a helmet.

도 15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VR(Virtual Reality) 구조의 헤드 장착형 표시 장치는 좌안용 표시 장치(12)와 우안용 표시 장치(11), 렌즈 어레이(13), 및 좌안 접안 렌즈(20a)와 우안 접안 렌즈(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from FIG. 15B ,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a VR (Virtual Rea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eye display device 12, a right eye display device 11, a lens array 13, and a left eye eyepiece ( 20a) and a right eyepiece 20b.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와 우안용 표시 장치(11), 상기 렌즈 어레이(13), 및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우안 접안 렌즈(20b)는 전술한 수납 케이스(10)에 수납된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11 , the lens array 13 , and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right eyepiece 20b are accommodated in the aforementioned storage case 10 . .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와 우안용 표시 장치(11)는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2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는 좌안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우안용 표시장치(11)는 우안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11) 각각은 전술한 다양한 전계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다양한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면이 상기 렌즈 어레이(13)와 마주하게 된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11 may display the same image, and in this case, the user may view a 2D image. Alternatively,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may display a left-eye image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11 may display a right-eye image. In this case, the user may view a stereoscopic image. Each of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and the right-eye display device 11 may include the various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a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faces the lens array 13 .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 각각과 이격되면서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의 전방 및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11) 각각과 이격되면서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와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의 전방 및 상기 우안용 표시 장치(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lens array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left eye display device 12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left eye display device 12 . That is, the lens array 13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ft eye eyepiece 20a and behind the left eye display device 12 . In addition, the lens array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ight eyepiece 20b and the right eye display device 1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right eyepiece 20b and the right eye display device 11 . have. That is, the lens array 13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right eye eyepiece 20b and behind the right eye display device 11 .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일 수 있다.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핀홀 어레이(Pin Hole Array)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레이(13)로 인해 좌안용 표시장치(12) 또는 우안용 표시장치(11)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에게 확대되어 보일 수 있다. The lens array 13 may be a micro lens array. The lens array 13 may be replaced with a pin hole array. Due to the lens array 13 , the image displayed on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or the right-eye display device 11 may be enlarged to the user.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에는 사용자의 좌안(LE)이 위치하고, 상기 우안 접안 렌즈(20b)에는 사용자의 우안(RE)이 위치할 수 있다. The user's left eye LE may be located in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user's right eye RE may be located in the right eyepiece 20b.

도 15c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AR(Augmented Reality) 구조의 헤드 장착형 표시 장치는 좌안용 표시 장치(12), 렌즈 어레이(13), 좌안 접안 렌즈(20a), 투과 반사부(14), 및 투과창(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5c에는 편의상 좌안쪽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우안쪽 구성도 좌안쪽 구성과 동일하다. As can be seen from FIG. 15C ,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an AR (Augmented Rea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eye display device 12 , a lens array 13 , a left eye eyepiece 20a , and a transmission reflector 14 . , and a transmission window 15 . 15C shows only the left eye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and the right eye configuration is also the same as the left eye configuration.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 렌즈 어레이(13), 좌안 접안 렌즈(20a), 투과 반사부(14), 및 투과창(15)은 전술한 수납 케이스(10)에 수납된다. The left eye display device 12 , the lens array 13 , the left eye eyepiece 20a , 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 and the transmissive window 15 are accommodated in the aforementioned storage case 10 .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는 상기 투과창(15)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투과 반사부(14)의 일측, 예로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가 상기 투과창(15)을 통해 보이는 외부 배경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기 투과 반사부(14)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for example, an upper side, of 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without blocking the transmissive window 15 . Accordingly,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may provide an image to 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without blocking the external background viewed through the transmissive window 15 .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면이 상기 투과 반사부(14)와 마주하게 된다.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may be formed of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n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a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faces the transmissive reflection unit 14 .

상기 렌즈 어레이(13)는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와 상기 투과반사부(1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lens array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eft eyepiece 20a and 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

상기 좌안 접안 렌즈(20a)에는 사용자의 좌안이 위치한다. The user's left eye is positioned in the left eye eyepiece 20a.

상기 투과 반사부(14)는 상기 렌즈 어레이(13)와 상기 투과창(1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투과 반사부(14)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고,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면(1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14a)은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에 표시된 영상이 상기 렌즈 어레이(13)로 진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과층(15)을 통해서 외부의 배경과 상기 좌안용 표시 장치(12)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모두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실의 배경과 가상의 영상을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볼수 있으므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is disposed between the lens array 13 and the transmissive window 15 . The transmissive reflector 14 may include a reflective surface 14a that transmits a portion of the light and reflects the other portion of the light. The reflective surface 14a is formed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proceeds to the lens array 13 . Accordingly, the user can see both the external background and the image displayed by the left-eye display device 12 through the transmission layer 15 . That is, since a user can view a single image by overlapping a real background and a virtual image, augmented reality (AR) can be implemented.

상기 투과층(15)은 상기 투과 반사부(1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The transmission layer 15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reflection unit 14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기판 200: 회로 소자층
310, 320, 330: 제1 전극 350: 보조 전극
400: 뱅크 450: 발광 제어층
500: 발광층 510: 제1 스택
520: 전하 생성층 530: 제2 스택
600: 제2 전극 700: 봉지층
800: 차광층 900: 컬러 필터층
100: substrate 200: circuit element layer
310, 320, 330: first electrode 350: auxiliary electrode
400: bank 450: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500: light emitting layer 510: first stack
520: charge generation layer 530: second stack
600: second electrode 700: encapsulation layer
800: light blocking layer 900: color filter layer

Claims (20)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각각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보조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에서 연결되도록 구비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발광 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including first and second sub-pixel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electrod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n auxiliary electrode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auxiliary electrode and provid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and an emission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layer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층은 절연층으로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전극과 접하지 않도록 구비된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electrode is provided so as not to contact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구비된 뱅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뱅크는 상기 보조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개구 영역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보조 전극의 상면을 가리도록 구비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ank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wherein the bank has an opening region exposing the auxiliary electrode;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provided to cover a top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exposed in the opening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뱅크의 상면 및 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extends to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b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뱅크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extends to a lower surface of the b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보조 전극의 상면 전체 및 상기 제1 전극의 끝단을 가리도록 구비되고, 상기 발광 제어층의 상면 전체는 상기 발광층과 접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provided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층의 두께는 10nm 이상 및 상기 발광층의 두께 이하인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control layer is 10 nm or more and the thickness of the emission layer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uxiliary electrode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as that of the firs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전원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li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전원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wiring is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The auxiliary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through a contact hole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배선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전원 배선과 연결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wiring is arranged in a non-display area outside a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The auxiliary electrode extends to the non-display area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in the non-display area through a contac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과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된 차광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layer provid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uxiliary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 및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상기 제2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를 따라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exten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와 인접하면서 동일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극 및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화소 사이의 경계를 따라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ubstrate includes another first sub-pixel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and emitting light of the same color;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exten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other first sub-pixel in the first direction.
서로 인접하는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각각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서브 화소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까지 연장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의 경계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전극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보조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보조 전극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발광 제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ub-pixel and a second sub-pixel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sub-pixel to the second sub-pixel;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an auxiliary electrode provid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and to which a higher voltage than the second electrode is applied; and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to block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 및 상기 발광 제어층과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된 차광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ight blocking layer provid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uxiliary electrode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콘택홀을 통해서 전원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구비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uxiliary electrode is connected to a power line through a contact hole, and the power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ource electrode or a drain electrode of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층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 제어층은 상기 제1 전극의 끝단을 가리도록 구비되어 있는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uxiliary electrode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mission control layer is provided to cover an end of the first electrode.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계 발광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 or 16,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ens array and a storage case accommodating the lens array.
KR1020190176268A 2019-12-27 2019-12-27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837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8A KR20210083702A (en) 2019-12-27 2019-12-27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8A KR20210083702A (en) 2019-12-27 2019-12-27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02A true KR20210083702A (en) 2021-07-07

Family

ID=7686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68A KR20210083702A (en) 2019-12-27 2019-12-27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7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4938B1 (en) Display device
CN109216413A (en) OLED shows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827504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10783380B (en) Display device
KR20210019256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85248A (en) Display device
KR102043413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520022B1 (en) Display device
KR102565182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20220208880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KR20200048264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20090025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1367850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516722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83702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49292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513769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83715A (en) Display device
KR20200048580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655936B1 (en) Display device
CN111276511B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220158132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20220090022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210082908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633038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