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92A -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 Google Patents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92A
KR20210083592A KR1020190176036A KR20190176036A KR20210083592A KR 20210083592 A KR20210083592 A KR 20210083592A KR 1020190176036 A KR1020190176036 A KR 1020190176036A KR 20190176036 A KR20190176036 A KR 20190176036A KR 20210083592 A KR20210083592 A KR 2021008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indoor air
target space
monitoring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19017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592A/en
Publication of KR2021008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that can effectively manage the air quality of a target space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target space but also external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comprises: at least one individual device installed in a target space;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and measuring air quality in the target space; and a monitor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evice by us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providing it to a user device.

Description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이하의 설명은 병원 등을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a hospital.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며, 생활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욕구는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공기질을 개선하는 방법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하겠다.As the industry develops, the environment is polluted, and as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the desire to improve it is increasing. However,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of improving air quality is still insufficient.

일 예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활하게 되는 실내의 공기질을, 예로 들면, 종래 창을 통해서는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열고 닫는 동작을 통해서만 실내 공기가 단순히 환기되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히 재실자가 없거나 야간 취침 시 방범을 위해 창을 완전히 닫아 밀폐하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의 환기 또는 제거가 불가능하게 되고, 각종 오염물질은 그대로 실내에 존재하게 되어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indoor air quality in which most people live, for example, is only a degree to which the indoor air is simply ventilated only through the operation of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hrough a conventional window, so especially if there are no occupants or If the window is completely closed to prevent crime when sleeping at night, ventilation or removal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indoors is impossible, and various pollutants are present in the room as they are, causing various problems.

물론, 종래에도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방안으로 공기 청정기가 일부 이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그 기능상 실내 공기질의 개선에는 자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수치를 가늠케 하는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량을 재실자가 수치로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효율적인 공기질 개선 관리가 불가능 하였다. 또한, 다른 방제나 청결 등과 연계되어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등 감각에 의존한 부분적인 공기질 개선 정도가 수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공기 청정기를 장기간 틀 경우 음이온(약 75%)과 더불어 방출되는 오존량(25%)이 계속 증가하여 재실자는 오히려 과다 공급되는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Of course, some air purifiers have been used as a way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the prior art, but in terms of their function, there is a natural limit to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for occupants to check the amount of pollutants numerically because there was no sensor to measure the numerical value, making it im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air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partial air quality improvement is being performed depending on the senses, such as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not being made in connection with other control or cleanliness. In particular, when the air purifier is turned on for a long time, the amount of ozone (25%) emitted along with negative ions (about 75%) continues to increase, resulting in occupants inhaling the excessively supplied organic compounds.

하지만, 산업의 발달과, 문화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생활의 윤택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건강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소중하고도 중요한 요소인 점은 누구나가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생활 공간에서는 차량, 산업 시설로부터 발생 배출되는 수 많은 공해 물질과 석유, 화학 관련 재료로 만들어진 건축자재, 가구, 전자 등의 생활 용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들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그 심각성은 갈수록 더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level, interest in health has recently been on the rise due to the richness of life, and moreover, health is the most precious and important element in human life. It would be an undeniable fact. However, in our living space, numerous polluting substances emitted from vehicles and industrial facilities, and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household products such as construction materials, furniture, and electronics made of petroleum and chemical-related materials are threatening human health. , the reality is that the severity is increasing day by day.

특히,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0% 이상을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계속 생성하게 되고, 그 생성된 오염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오염 농도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 때 실내의 오염 농도가 적절하게 조절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인간은 생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염된 공기를 마실 수밖에 없어서 자신도 모르게 건강을 해치면서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humans live in a limited indoor space for more than about 80% of 24 hours a day, and in this process, polluted air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 pollutant concentration in the room is inevitably increased by the generated polluted air. At this time, if the indoor pollutant concentration is not properly controlled or improved, humans have no choice but to unconsciously breathe polluted air while living, and live without knowing it, harming their health.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로는 아주 작은 물질을 포함하여 약 250여종이 있다. 그 중에서도 주택과 관련하여 보면,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포함하여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 등이 있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보면,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분진, 담배연기, 발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의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나 두통 유발 등의 인체에 각종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There are about 250 kinds of substances polluting indoor air, including very small substances. Among them, in relation to housing, it contains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HCHO), radon, toluene, benzene, and acetone, which are carcinogenic substances generated from various indoor building materials, nitrogen dioxide generated from asbestos, etc. There is this. In addition, in terms of human activity, carbon dioxide (CO2), dust, cigarette smoke, foot odor and microbial substances ( coli, Pseudomonas aeruginosa, 0-157, salmonella) and volatile organic pollutants, and other odors, noise, and radia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se various harmful substances cause various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such as skin allergy, respiratory disease, and headache.

여기서,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은 약1~5년 정도면 실내의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 이하로 자연 소멸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공중위생관리법과 건축법에서 제시한 기준농도(CO2를 기준으로 1000ppm 이하) 이하로 낮아질 때까지의 공기질 개선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인간의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물질들은 없앨 수가 없다. 이는 생태적, 환경적 차원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물질들이다.Here, the pollutants generated from various building materials may naturally disappear to a level of indoor pollution below the allowable standard in about 1 to 5 years. Even in this case,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until it falls below the standard concentration (1000ppm or less based on CO2) suggested by the Public Sanitation Control Act and the Building Act is a problem. In addition, harmful substances such as various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human activities cannot be eliminated. They are also indispensable materials in terms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따라서, 무엇보다도 인간 활동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들은 그 적정 기준치를 설정하여 이 허용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즉시 재실자의 유무나, 창이나 출입구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실내 공기질이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우리의 주택 구조 상 실내 공기가 자연 순환되도록 적정 설계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유해 공기의 자연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결국 재실자는 호흡을 통해 적정 산소량보다 이산화탄소를 더 흡입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뇌 운동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Therefore, above all, variou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human activities set the appropriate standard value and, when generated above this allowable standard, immediately lower the indoor air quality to below the allowable standard, even with the presence of occupants or with the window or door closed.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improve it. This is becaus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human activities is not properly designed for natural circulation of indoor air due to the structure of our houses, so if the natural circulation of harmful air is not achieved, eventually the occupant will breathe more carbon dioxide than the appropriate amount of oxygen through breathing. will inhale In sever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breathing difficulties or serious impairment in brain movement.

하지만, 국내 주택 건설 업계에서는 주택과 관련하여 그 동안 특별히 공기질을 개선할 방법을 찾지 못하였고, 근래에 들어 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급기야, "실내 공기질관리법"이 2004.06부터 시행되도록 법제화되면서 지하 역사, 지하 상가, 여객터미널, 도서관, 종합병원 등 다중 이용시설물과 신축되는 공동주택으로 확대되어 신축공동주택의 경우 공기질을 주민 입주 전에 측정하여 공고하도록 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통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However, the domestic housing construction industry has not found a way to improve air quality in relation to housing, and public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recently. In the end, as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to law in 2004.06, it was expanded to multi-use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stations, underground shopping malls, passenger terminals, libraries, general hospitals, and new apartment houses. In the case of new apartment houses, air quality is measured before residents move in. The government is taking strong measures such as making public announcements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and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데, 종래 각종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살균, 탈취, 공기 청정 기능들을 갖는 각종 제품들의 경우 센서에 의해 단순히 감지만 할 뿐 감지된 공기질을 수치로 체크하여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실내 공기질의 정도를 재실자가 눈으로 직접 보고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해 실내 공기질의 효율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However, the reality does not keep up with these human needs. In the case of various products hav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s,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to improve various air quality, the sensor simply detects the sensed air quality as a numerical value. It is not checked and managed. Above all, because the occupants cannot see and feel the level of indoor air quality with their own eyes, it is im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indoor air quality.

이런 종합적인 환경 개선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센서 값이나 평가치에 대한 지수부터 시작하여 종합적인 개선 작업을 위한 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하겠다.In order to propose such a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mprovement method, it is urgent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comprehensive improvement work, starting with an index for sensor values or evaluation values.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content described as the above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acknowledged as a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목적은, 대상 공간의 실내 공기질과 더불어, 외부의 요인까지 고려하여 대상 공간의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that can effectively manage the air quality of a target space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target space but also external factors.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장치,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 공간 내부에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individual devices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and the target sp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air quality from the inside, and a monitoring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evices using the results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s and provides them to a user devic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개별 장치는, 공기청정기, 환기 장치, 가습기, 제습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individual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purifier,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fier, and a dehumidifie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 장치는,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라돈(Rn), 미세먼지(PM10), 총유기휘발성 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질소(NO2),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온도, 습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CDMA, 블루투스, WiFi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LAN), 적외선 센서, RFID, NF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값을 개별 수치로서 제공하거나, 통합 수치로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detector measures radon (Rn), fine dust (PM10),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s (TVOC), formaldehyde (HCHO), nitrogen dioxide (NO2), methane (CH4), carbon dioxide (CO2), temperature, and humidity.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sensors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The communication unit may us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a local area network (LAN) including CDMA, Bluetooth, and WiFi, an infrared sensor, RFID, and NFC.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may provide the value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as an individual value or as an integrated valu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가중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 재실자 정보, 외부 오염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장치의 동작을 차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재실자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의 재실자 수와, 민감계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감계층 정보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오염 정보는 외부 날씨, 황사나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weight information for the target space is further stored in the monitoring unit, and the weigh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space, occupant information, and external pollution information, and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the weight information.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individual devices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may be differentially controlled using the information. The occupan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occupants of the target space and sensitive layer information. The sensitive layer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organization. The external pollution information may include external weather, yellow sand or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등을 포함하는 다중 이용 시설에서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measure the air quality in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a hospital.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3 is a block diagram of a measuring device in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 description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모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측정 장치(120)의 블록도이다.Hereinafter,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for a multi-use facility according t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For reference, FIGS.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for a multi-us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measurement device ( 120) is a block diagram.

도면을 참조하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가정, 학교나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영유아 시설, 병원 등의 의료 시설을 포함하는 다중 이용 시설인 대상 공간(10)에 설치되어서 실내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실내 공기질을 관리 및 개선하는 시스템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for a multi-use facility is installed in a target space 10 that is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a home, a school or daycare center, a facility for infants such as a kindergarten, and a medical facility such as a hospital. It is a system that monitors indoor air quality and manages and improves indoor air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여기서, '공기질'이라 함은, 대상 공간(10) 내부에서의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유무 또는 농도에 따른 수치를 말한다.Here, 'air quality' refers to a numerical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concentration of various pollutants in the air including fine dust in the target space 10 .

대상 공간(10)은 가정 뿐만 아니라, 학교나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영유아 시설 또는 병원 등의 의료 시설을 포함하며, 영유아나 어린이, 또는 환자와 같이 공기질에 대한 민감계층이 주요 대상이 되는 공간이며, 많은 사람들이 이용 및 거주하는 공간이다. 이와 같이 민감 계층이 주요 대상이 되므로 실내 공기질의 관리가 까다롭고, 보다 세밀하고 높은 청정도로서 실내 공기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The target space 10 includes not only homes, but also medical facilities such as infant facilities such as school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or hospitals, and is a space where sensitive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or patients are the main targets, It is a space where many people use and live. As such, the sensitive class is the main target, so it is difficult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and it is necessary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in a more detailed and high level of cleanliness.

여기서, 대상 공간(10)은 하나의 공간으로서 제어할 수도 있고, 그 내부를 복수의 제어 영역(R1, R2, …)으로 구획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만 대상 공간(10)을 구획하는 제어 영역의 크기와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상 공간(10) 내부에서 제어 영역을 규칙적인 크기로 분할 및 구획할 뿐만 아니라, 변칙적인 크기로 분할 및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공간(10)은 식당과 같이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위치 등과 같이 공간의 종류에 따라 제어 영역의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Here, the target space 10 may be controlled as a single space, and the interior thereof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trol areas R1, R2, ... and monitored. However, the size and number of control regions partitioning the target space 10 may be set substantially variously. In addition, in the target space 10 , the control area may be divided and partitioned into regular sizes and partitioned and partitioned with irregular sizes. For example, the target space 10 may appropriately set the size of the control area according to the type of space, such as a location where a lot of pollutants are generated, such as a restaurant.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개별 장치(110), 측정 장치(120), 모니터링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includes an individual device 110 , a measuring device 120 , and a monitoring unit 130 .

개별 장치(110)는 대상 공간(10)에 설치되어서 대상 공간(10) 내부의 공기의 순환, 환기 및 정화를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개별 장치(110)는 공기청정기, 환기 장치, 가습기, 제습기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장치(110)는 대상 공간(10)에 설치되는 공조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개별 장치(110)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냉난방이 가능하도록 냉난방 장치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ividual device 110 is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10 to circulate, ventilate, and purify the air inside the target space 10 . For example, the individual device 11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n air purifier,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fier, and a dehumidifier. Also, the individual device 110 may be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10 . In addition, the individual device 110 may include devices such as a filter for filtering air and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to enable heating and cooling.

도 3을 참조하면, 측정 장치(120)는 실내의 공기질에 대한 대표적인 오염 인자들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며, 오염 인자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하나 장치로서 모듈화되어 구성된다. 또한, 측정 장치(120)는 복수의 센서가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모듈화된 검출부(121)와, 모니터링부(13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22), 측정 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easuring device 120 is configured to measure representative polluting factors for indoor air quality,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polluting factors are modularly configured as one devic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device 120 includes a detection unit 121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modularized by one interface, a communication unit 122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nitoring unit 130 , and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device 120 . A control unit 123 may be included.

측정 장치(120)는 검출부(121)와, 통신부(122) 및 센서 제어부(123)가 하나의 장치에 구현됨으로써 모듈화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모듈화"되었다는 것은, 측정 장치(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또는 프레임에 검출부(121), 통신부(122) 및 센서 제어부(123)가 장착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The measuring device 120 is modularized by implementing the detection unit 121 , the communication unit 122 , and the sensor control unit 123 in one device. Here, “modularized” means that the detection unit 121 , the communication unit 122 , and the sensor control unit 123 are mounted on a housing or fram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easurement device 120 to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여기서, 실내 공기 중에는, 각종 실내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발암성 물질인 포름알데히드(HCHO), 라돈, 톨루엔, 벤젠, 아세톤 등의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나, 석면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질소(NO2) 등의 오염물질이나,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가스의 발화나 인체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나, 분진, 담배연기, 냄새와 각종 생활 용품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성 물질(대장균, 녹농균, 0-157, 살모넬라)과 휘발성 유기 오염물질, 기타 악취, 소음, 방사선 등이 공기질을 오염시키는 오염물질이 된다.Here, in the indoor air,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HCHO), radon, toluene, benzene, and acetone, which are carcinogenic substances generated from various indoor building materials, nitrogen dioxide (NO2) generated from asbestos, etc. of pollutants, carbon dioxide (CO2), dust, cigarette smoke, odors, and microbial substances (E. col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 0-157, salmonella), volatile organic pollutants, and other odors, noise, and radiation are pollutants that pollute air quality.

측정 장치(120)는 이와 같이 다양한 오염 인자 중에서, 대표적인 실내 공기 오염 인자인 총유기휘발성 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미세먼지(PM10), 이산화질소(NO2),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라돈(Rn) 및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각종 센서들(이하, '검출부(121)'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출부(121)는 총유기휘발성 화합물(TVOC) 센서, 포름알데히드(HCHO) 센서, 미세먼지(PM10) 센서, 이산화질소(NO2) 센서, 이산화탄소(CO2) 센서, 메탄(CH4) 센서, 라돈(Rn)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측정 센서와 습도 측정 센서도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various polluting factors, the measuring device 120 measures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s (TVOC), formaldehyde (HCHO), fine dust (PM10), nitrogen dioxide (NO2), carbon dioxide (CO2), and methane, which are representative indoor air polluting factors. (CH4), radon (Rn), and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tector unit 121') may be included. That is, the detection unit 121 is a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 (TVOC) sensor, formaldehyde (HCHO) sensor, fine dust (PM10) sensor, nitrogen dioxide (NO2) sensor, carbon dioxide (CO2) sensor, methane (CH4) sensor, radon ( Rn) may include a sensor, and may also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검출부(121)에서 측정되는 센서의 종류와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measured by the detector 121 may be substantially changed.

일 예로, 총유기휘발성 화합물(TVOC) 센서는 PID 가스 센서일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HCHO) 센서는 전기화학식 가스 센서일 수 있다. 미세먼지(PM10) 센서는 광학식 파티클 센서일 수 있다. 이산화질소(NO2) 센서는 초소형의 MEMS 센서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CO2) 센서는 NDIR(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방식의 센서일 수 있다. 메탄(CH4) 센서는 NDIR 방식의 센서일 수 있다. 라돈(Rn) 센서 역시 높은 정밀도를 갖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 (TVOC) sensor may be a PID gas sensor. The formaldehyde (HCHO) sensor may be an electrochemical gas sensor. The fine dust (PM10) sensor may be an optical particle sensor. The nitrogen dioxide (NO2) sensor may be a miniature MEMS sensor. The carbon dioxide (CO2) sensor may be a Non-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NDIR) sensor. The methane (CH4) sensor may be an NDIR type sensor. A radon (Rn) sensor may also be a sensor with high precision.

통신부(12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링부(1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120)는 센서 측정값과 더불어 통신하는 측정 장치(120)의 위치 정보도 모니터링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2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onitoring unit 130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120 may als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120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to the monitoring unit 130 .

측정 장치(120)는 대상 공간(10) 내부에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고정 또는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측정 장치(120)의 위치와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20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side the target space 10 , and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or moveable. However,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measuring devices 120 may be substantially variously changed.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대상 공간(10)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개별 장치(110)를 작동시킴으로써 대상 공간(10)에 대해서 구역별로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고 및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monitors the air quality for each zone in the target space 10 and manages the air quality by operating the individual devices 110 using the values measured in the target space 10 . can

모니터링부(130)는 대상 공간(10)에서 측정된 센서 측정값과, 대상 공간(10)에 대한 가중치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한다. 또한, 모니터링부(130)는 측정 장치(120)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개별 장치(110)를 제어한다. 모니터링부(130)는 센서 측정값과 가중치 정보 등이 저장되는 서버(131)와, 민감 계층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국가 질환 통합관리 시스템(132) 및 개별 장치(110)의 통제를 위한 통합 관제 센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130 collects sensor measurement values measured in the target space 10 and weight information on the target space 10 ,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Also, the monitoring unit 130 controls the individual devices 110 by using the results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20 . The monitoring unit 130 is integrated for control of a server 131 in which sensor measurement values and weight information are stored, and a national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32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sensitive layers and individual devices 110 . It may include a control center 133 .

여기서, 센서 측정값은 측정 장치(120)에서 측정되는 값으로, 측정 장치(120)에서 측정되는 복수의 오염 물질에 대한 측정 값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 측정값은 각각의 측정된 수치 뿐만 아니라, 측정된 수치를 하나의 통합 수치로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측정값(131)은 측정된 값을 "매우 나쁨"에서 "매우 좋음"까지를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서 점수화 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센서 측정값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is a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device 120 , and includes measurement values for a plurality of contaminants measured by the measurement device 120 . In addition, the sensor measurement values may be calculated as not only each measured value but also the measured values as a single integrated value. For example,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131 may be displayed by dividing the measured value from “very bad” to “very goo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scoring the measured valu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may be set in various ways.

가중치 정보는 대상 공간(10)에 대한 혼잡도, 외부 환경에 의한 정보, 공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가중치 정보는 대상 공간(10)에 거주 및 재실하는 민감 계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weight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degree of congestion for the target space 10 , information by an external environment, and spati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ensitive layer residing and residing in the target space 10 .

예를 들어, 가중치 정보는 유동 인구, 상주 인구 등과 같이 인구수에 의한 혼잡도를 반영하기 위한 정보로서, 대상 공간(10) 내부에서 이산화탄소(CO2), 미세먼지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혼잡도는 화재 등과 같이 급격하게 오염 물질이 다량 발생하는 환경 상황을 반영하기 위한 정보로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 측정값의 급격한 증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reflecting the degree of congestion due to the number of people, such as floating population and resident popula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on measured values of carbon dioxide (CO2) and fine dust in the target space 10 . In addition, the congestion level is information to reflect an environmental situa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are rapidly generated, such as a fire,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measured valu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nitrogen dioxide (NO2), and fine dust increase rapidly. can

또한, 가중치 정보는 대상 공간(10)에 대한 공간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공간(10)의 크기와 위치, 대상 공간(10)의 종류(예를 들어, 식당, 사무 공간, 휴게실 등의 정보) 등에 대한 정보가 가중치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space for the target space 10 .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target space 10 , the type of the target space 10 (eg, information on a restaurant, an office space, a lounge, etc.) may be used as weight information.

또한, 가중치 정보는 대상 공간(10)의 외부 오염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정보로서, 대상 공간(10)의 외부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eight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reflecting external pollu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space 10 , and include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space 10 .

또한, 외부 환경 정보는, 황사나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외부 환경 정보는 측정 장치(120)에 의해서 측정되거나,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 에어 코리아, 기상청, 지자체를 포함하는 외부 기관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yellow dust or fine dust in the atmosphere, for exampl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20, or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air It may include data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여기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NAMIS)은 전국에 위치하는 측정소에서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도 자료를 수집?관리하는 기관으로서, 국가대기오염정보관리시스템에서 측정 및 제공되는 대기오염 측정망 관련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코리아는 전국 시/군에 설치된 도시대기 측정망, 도로변대기 측정망, 국가배경 측정망, 교외대기 측정망에서 측정된 5개 대기환경기준물질의 측정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표출하여 국민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황사경보제, 미세먼지 경보제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오존경보제 등의 자료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National Air Pollu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AMIS) is an institution that collects and manages air pollution level data such as sulfur dioxide, carbon monoxide, nitrogen dioxide, ozone, and fine dust from measuring stations located across the country. and the provided air pollution measurement network-related infrastructure. In addition, Air Korea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to the public by expressing measurement data of five atmospheric environmental standards measured in urban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roadside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national background measurement network, and suburban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installed in cities/guns across the country in various formats. do. In addition, data such as yellow dust warning system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ine dust warning system, and ozone warning system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can be used.

국가 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132)은 보건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환경성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대상 공간(10)에 거주하는 민감 계층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The national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32 i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diseases based on health information data, and i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a sensitive class residing in the target space 10 .

관제 센터(133)는 측정 장치(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대상 공간(10)에 대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따른 제어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개별 장치(110)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center 133 recognizes the situation for the target space 10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2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evice 110 using a control scenario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

모니터링부(130)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대상 공간(10)에 대해서, 센서 측정값과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공간(10)에 대한 상황(즉, 대상 공간(10)에 대한 공기질 판단)을 인지하게 된다.The monitoring unit 130 uses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the target space 10 , and the situation for the target space 10 using sensor measurement values and weight information (ie, air quality determination for the target space 10 ). become aware of

여기서, 실시예에서는 센서 측정값과, 가중치 정보를 이용해서 상황을 인지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가중치 정보는 외부 환경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할 수 있다.Here, in the embodiment, the situation is recognized using the sensor measurement value and weight informa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weight information may consider various factor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environment.

그리고 모니터링부(130)는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하기 위해서 공기 청정기의 작동이 필요한지, 환기가 필요한지, 습도 조절이 필요한지 등을 판단하여 개별 장치(110)를 작동시킨다. 또한, 모니터링부(130)는 필요에 따라 대상 공간(10)에서 필터의 교체 주기를 안내할 수 있고,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30 operates the individual device 110 by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is necessary, ventilation, humidity control, etc., in order to purify the indoor air.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30 may guid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filter in the target space 10 as necessary, and may monitor the energy consumption.

또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관리자가 개별 장치(1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모니터링부(130)를 통해 개별 장치(110)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부(130)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는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각종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 및 열람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device (not shown) that allows the administrator to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evice 110 . The user device not only controls the individual device 110 through the monitoring unit 130 , but also allows viewing of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monitoring unit 130 . For example, the user device may include various terminals that an administrator can carry. In addition, the user device may also include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r to manipulate and browse.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다양한 공기 중의 오염 인자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장치(120)를 이용하여 대상 공간(10)에서 측정된 센서 값과 대상 공간(10)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오염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장치(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대상 공간(10)에 대해서 개별 장치(110)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대상 공간(10)의 환기 및 청정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uses the measurement device 120 capable of measuring various pollutants in the air, and the sensor value measured in the target space 10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space 10 .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individual device 110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external contamination. In addition, by individually operating the individual device 110 for each target space 10 ,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ontrol ventilation and cleanliness of the target space 10 .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중 이용 시설에 대해서, 대상 공간(10)의 공기질을 차등적으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으며, 측정 장치(120)에서 측정된 센서값과 더불어, 외부 오염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장치(110)를 제어하므로, 개별 장치(110)의 효율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황 및 공간에 맞게 적절하게 개별 장치(110)를 운영할 수 있어서, 개별 장치(110)의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기료 절감을 포함하여 개별 장치(110)의 유지 보수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or a multi-use facility,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lly manage the air quality of the target space 10 , and information such as external pollution as well as a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20 can be managed. Since the individual device 110 is controlled by using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individual device 110 . 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100 can properly operate the individual device 1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space,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individual device 110 and reducing the electricity cost. It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maintenance of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structures, devices,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r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대상 공간
100: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110: 개별 장치
120: 측정 장치
121: 검출부
122: 통신부
123: 센서 제어부
130: 모니터링부
131: 서버
132: 국가 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133: 관제 센터
10: target space
100: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110: individual device
120: measuring device
121: detection unit
122: communication department
123: sensor control unit
130: monitoring unit
131: server
132: national diseas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33: control center

Claims (10)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장치;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대상 공간 내부에서 공기질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at least one or more individual devices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and measuring air quality in the target space; and
a monitor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device by us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devic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장치는,
공기청정기, 환기 장치, 가습기, 제습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vidual device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ir purifier, a ventilation device, a humidifier, and a dehumid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부;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device is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라돈(Rn), 미세먼지(PM10), 총유기휘발성 화합물(TVOC),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질소(NO2), 메탄(CH4), 이산화탄소(CO2), 온도, 습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ctor measures radon (Rn), fine dust (PM10), total organic volatile compounds (TVOC), formaldehyde (HCHO), nitrogen dioxide (NO2), methane (CH4), carbon dioxide (CO2), temperature, and humidity.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comprising one or more sensors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CDMA, 블루투스, WiFi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LAN), 적외선 센서, RFID, NF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munication unit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local area network (LAN) including CDMA, Bluetooth, and WiFi, an infrared sensor, RFID, and NFC.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값을 개별 수치로서 제공하거나, 통합 수치로서 제공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nitoring unit provides the value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as an individual value or as an integrated value,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가중치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공간 정보, 재실자 정보, 외부 오염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장치의 동작을 차별적으로 제어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eight information for the target space is further stored in the monitoring unit,
The weigh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space, occupant information, and external pollution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that differe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individual devices installed in the target space by using the weigh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 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의 재실자 수와, 민감계층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ccupant information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the number of occupants of the target space and sensitive layer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계층 정보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itive layer information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organiz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오염 정보는 외부 날씨, 황사나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rnal pollution information is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ulti-use facility including external weather, yellow sand or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KR1020190176036A 2019-12-27 2019-12-27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KR202100835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36A KR20210083592A (en) 2019-12-27 2019-12-27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036A KR20210083592A (en) 2019-12-27 2019-12-27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92A true KR20210083592A (en) 2021-07-07

Family

ID=7686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036A KR20210083592A (en) 2019-12-27 2019-12-27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59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11B1 (en) * 2021-12-02 2022-09-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ulti-sensor platform for real-time measuring and monitoring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using the same
KR102528949B1 (en)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Assembled sensors capable of situational alar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411B1 (en) * 2021-12-02 2022-09-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ulti-sensor platform for real-time measuring and monitoring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 using the same
KR102528949B1 (en) * 2022-11-30 2023-05-03 주식회사 스퀘어루트 Assembled sensors capable of situational alar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346B1 (en) Indoor air quality detection device by space
KR101532174B1 (en)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wireless devices with interworking air quality notif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7007769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20170077691A (en) Management system for air quality
KR101862087B1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KR20110097001A (en)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and method thereof
KR20190119873A (en) Lighting system with indoor air quality sensor
KR101796296B1 (en) Air cleaner
Sahu et al.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indoor air quality in a university library
KR20140003760A (en) Control system for air quality
KR20190121570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20220036737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air quality prediction method using the same
Kim et al. Wireless monitoring of indoor air quality by a sensor network
KR20200056141A (en) Air quality management divice and system
KR20130061823A (en) Control system for air quality
KR20210083592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multi-use facilities
KR20170078372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air cleaner
Hossain et al. Factors affecting variability in infiltration of ambient particle and gaseous pollutants into home at urban environment
KR20190121571A (en) System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1020070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KR20200076174A (en)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pan communication
Sekhar Enhancement of ventilation performance of a residential split-system air-conditioning unit
KR202200647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ir Quality by Using Indoor and Outdoor Sensor Module
KR20210067070A (en) Multi-functional sensor module
KR20200056798A (en) Environment measurement and improvement system of underground shopping-mall and facility using complex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