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187A -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187A
KR20210083187A KR1020200180034A KR20200180034A KR20210083187A KR 20210083187 A KR20210083187 A KR 20210083187A KR 1020200180034 A KR1020200180034 A KR 1020200180034A KR 20200180034 A KR20200180034 A KR 20200180034A KR 20210083187 A KR20210083187 A KR 2021008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room
terminal
information
cha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희
Original Assignee
김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희 filed Critical 김강희
Publication of KR2021008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04L51/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가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제1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제1 대화방을 개설하고,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 To Support Creating Chatting Rooms And To Support Multiple User Profiles}
본 실시예는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에 위치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간의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디바이스 기술의 발달로 채팅 프로그램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화보다는 채팅이 더 보편적인 소통 수단이 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도 채팅 대상 등록에는 전화번호가 주된 수단이 되고 있다.
사회 활동에 따라 때로는 "누구누구의 엄마"로서, 때로는 "어느 회사 부장"으로서 대화방 참여가 필요하며 개인정보 노출도 이런 상황에 맞게 이뤄지는 것이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화번호 연락처 기반으로 친구를 등록하는 기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누군지 기억도 나지 않는 대상에게조차 나의 프로파일 사진 변경과 같은 활동(activity)이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방식에서는 주로 사용하는 대화방은 수 개에 불과한 데 비해, 친구 또는 대화방의 수는 수십 내지 수백 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전화번호 노출을 꺼리는 사용자를 위해, QR 코드 및 ID 등을 이용한 친구 맺기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매번 한 사람씩 1대 1로 친구 맺기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친구추가와 대화방 개설이 별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장소에 모인 사람들을 하나의 대화방에 초대하기 위해서는 친구목록에서 해당 사람들을 일일이 찾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Speaker Verification with Short Utterances: A Review of Challenges, Trends and Opportunities" (Arnab Poddar, Md Sahidullah, Goutam Saha) 2018.3.1 "Joint Speech Recognition and Speaker Diarization via Sequence Transduction" (Laurent El Shafey, Hagen Soltau, Izhak Shafran) 2019.7.9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함으로써 각 사용자 프로파일별로 노출되는 정보를 제한하고, 대화방 개설시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 가능한 근거리에 위치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간의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활용하여 한 장소에 모여 있는 많은 사람을 한 번에 대화방에 초대할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간의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버가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제1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제1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제1 대화방에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과정;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하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중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선택된 프로파일이 노출될 대화방을 개설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하는 과정;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서버에게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제1 대화방의 개설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중 제1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노출할 제2 프로파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요청을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프로파일별로 노출되는 정보를 제한하고 대화방 개설시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함으로써, 교류의 목적에 맞는 제한된 개인 정보만 채팅에 노출하게 할 수 있어, 원치 않는 개인정보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활용하여 한 장소에 모여 있는 많은 사람을 한 번에 대화방에 초대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오프라인(off-line)에서의 대화방 개설 및 참여의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구현에 필요한 개체 관계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개설 및 참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근거리 대화방 참여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확장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개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대화방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 및 초대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을 대화상대로 하는 근거리 대화방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이 근거리 대화방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사진 공유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은 단말(100 내지 120) 및 서버(13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1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다른 구성요소들과 통신한다. 이하에서는, 단말(100 내지 120) 및 서버(130) 간의 통신 또는 서버(130)를 경유한 단말(100 내지 120) 간의 통신을 '원거리 통신'이라 하고, 단말(100 내지 120) 간의 직접 통신을 '근거리 통신'이라 한다.
원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유선전화망 또는 유선인터넷 전화망을 통한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100 내지 120)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messaging application)을 탑재한 장치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130) 및/또는 다른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단말(100 내지 120)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랩톱(laptop),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버(130)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100 내지 120)에게 메시징 서비스(messaging service)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시징 서비스는 단말(100 내지 120)에 탑재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각 단말(100 내지 120)의 사용자 간에 문자(text) 또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단말(100) 내지 제3 단말(120)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서버(130)는 그 이상의 복수의 단말에게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0)는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 관리, 대화방(chatting room) 관리, 및 메시지 송/수신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단말(100 내지 120) 별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버(130)는 대화방 개설 및/또는 참여시 단말(100 내지 120)로부터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프로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프로파일 정보를 다른 단말(100 내지 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대화방이란,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이 참여하는 대화방을 의미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범위는 단말의 블루투스 통신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제1 단말(100)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 범위 내에 위치한 제2 단말(110)을 제1 단말(100)이 개설한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30)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원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여기서 원거리 대화방은, 단말의 기존 대화 이력 및/또는 단말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 연락처에 기반하여 다른 단말을 초대하는 대화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제1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3 단말(120)의 정보를 바탕으로, 제3 단말(120)을 제1 단말(100)이 개설한 원거리 대화방에 참여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구현에 필요한 개체 관계 다이어그램(ERD: entity relation diagram)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는 일대 다 관계(one-to-many relations)를 가지는 멤버 엔터티(member entity, 200) 및 프로파일 엔터티(profile entity, 210)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각 프로파일 엔터티(210)는 노출명, 알림음 종류, 전화번호, 프로파일 사진, 주소, 이메일 등의 속성(attribute)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는 프로파일별로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사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등의 개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의 하단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프로파일 목록(300)이 표시된다. 프로파일 목록(300)은 해당 프로파일로 대화시에 대화상대에게 노출되는 명칭(이하, '노출명') 및/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는 사용자가 "woong's mom"이라는 노출명과 "kim narae"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2개의 프로파일을 구성하여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초기화면의 상단 및 중앙에는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의 노출명(310) 및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기존의 대화방 목록(320)이 표시된다. 대화방 목록(320)은 각 대화방의 제목 또는 각 대화방의 참여자, 참여자의 프로파일 이미지, 및 최근 대화 내용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서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의 노출명(310)은 "woong's mom"이고, 대화방 목록(320)에는 "woong's mom"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기존의 대화방 목록이 표시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프로파일 목록(300)에서 "kim narae"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의 노출명(310)은 "kim narae"로 변경되고, 대화방 목록(320)에는 "kim narae"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기존의 대화방 목록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사용 및/또는 노출할 프로파일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프로파일 선택에 따라, 해당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 목록만을 표시하여, 마치 하나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계정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 목록(320)은 채팅이 일정 기간 유지 되는 대화방만을 표시하고, 일정 기간 이상 채팅이 발생하지 않는 대화방은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기간이 지나 대화방 목록(320)에 표시되지 않는 대화방은 검색을 통해 다시 찾을 수 있는데, 특히 검색에는 대화방명, 참여자명, 대화생성 장소/시간등 다양한 검색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할 사람의 이름은 생각나지 않지만 판교역 스타벅스에서 개설한 대화방에 참여했던 사람과 다시 채팅을 하고자 할 경우 "판교 스타벅스"로 검색하여, 해당 대화방을 찾을 수 있다.
한편, 도 3의 (a)를 참조하면, 초기화면의 상단에는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230),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340), 및 기타 설정을 위한 버튼(35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단말의 사용자가 각자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 또는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을 클릭하여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이 참여하는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330) 및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340)을 이용한 근거리 채팅방 개설 및 참여 절차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은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 및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인 근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단말의 사용자가 각각 근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70)을 클릭하여,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이 참여하는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근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70)을 이용한 근거리 채팅방 개설 및 참여 절차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은 원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80)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80)을 이용한 원거리 채팅방 개설 및 참여절차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개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 및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 단말은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개설 입력을 수신한다(S400).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330)을 클릭함에 따라, 제1 단말이 근거리 대화방 개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한다(S402). 여기서, 대화방 개설 요청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 제1 사용자가 대화상대에게 노출/공개할 프로파일 엔터티 정보, 대화방 개설 위치정보, 및 노출/공개 요청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제1 사용자의 멤버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 개설 위치정보는 제1 단말의 위치정보로서, 주소, 건물명 등의 위치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 개설 위치정보는, 대화방 개설 이후 대화방 검색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 될 수있다.
노출/공개(disclosure/exposure) 요청사항은, 대화방 개설자가 대화방 참여자에게 프로파일 정보와는 별도로 노출/공개를 요청하는 사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학급의 학부모의 대화방의 경우, 대화방 개설자는 대화방 참여자에게 노출 공개 요청사항으로서 자녀의 이름이 포함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공동구매를 목적으로 개설된 대화방의 경우 대화방 개설자는 대화방 참여자에게 노출 공개 요청사항으로서 주소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개설 요청 수신에 따라, 대화방 개설을 위한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대화방을 개설한다(S410). 서버는 개설된 대화방과 비콘 ID를 부여한다. 여기서, 비콘 ID는 대화방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대화방 엔터티 정보 중 하나로서, 비콘 I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이 비콘 ID를 생성하고, 비콘 ID를 포함하는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수신한 비콘 ID를 포함하는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한 비콘 ID를 제1 대화방에 부여할 수 있다.
서버는 비콘 ID(beacon ID)를 포함하는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제1 단말에게 전송한다(S412).
제1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한 비콘 ID를 탑재한 브로드캐스팅 패킷(broadcasting packet)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제1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참여 입력을 수신한다(S420).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340)을 클릭함에 따라, 제2 단말이 근거리 대화방 참여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이 제1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단말은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다(S422).
제2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패킷 내에 포함된 해당 비콘 ID, 브로드캐스팅 패킷 수신 신호세기, 및 참여자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424). 여기서, 제2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제2 사용자의 멤버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콘 ID를 이용하여 기 개설된 대화방 중에서 비콘 ID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조회한다(S430).
서버는 조회된 대화방의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한다(S432).
제2 단말은 수신한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바탕으로 대화방 개설자의 프로파일 노출명을 화면에 표시한다(S440). 이때, 대화방 개설자의 프로파일 노출명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참여 화면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이 복수의 단말로부터 비콘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 경우,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수신하고, 각 대화방 개설자의 프로파일 노출명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제2 단말은 제2 사용자로부터 참여할 대화방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442). 제2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프로파일 노출명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노출명을 가진 개설자가 개설한 대화방을 참여할 대화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대화방에 노출/공개 요청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제2 단말은 제2 사용자로부터 노출/공개 요청사항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S444).
제2 단말은 선택된 대화방의 대화방 엔터티 정보 및 참여자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446). 여기서 제2 단말은 참여자 정보로서 제2 사용자가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프로파일 엔터티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입력한 노출/공개 요청사항에 대한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사용자를 선택된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고(S450),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참여자 정보를 제1 단말에게 전송한다(S452).
제1 단말(100)은 수신한 참여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454). 이때, 참여자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현재 참여자 목록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서버는 제2 사용자가 대화방에 정상적으로 참여되었음을 알리는 대화방 참여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한다(S456).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근거리 대화방 참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근거리 대화방 참여 화면은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이하, '참여자 단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340)을 클릭한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참여 화면에는 공개 대화방 목록(500) 및 비공개 대화방 목록(510)이 표시된다.
도 5의 (a)는 "woong's mom" 이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개설자가 개설한 공개 대화방 및 "julia"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개설자가 개설한 공개 대화방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는, 해당 참여화면을 표시하는 단말이 서버로부터 서로 다른 2개의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는, 다시 말해, 참여자 단말이 서로 다른 단말(이하 '개설자 단말')로부터 2개의 비콘 ID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5의 (b)는 "julia"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개설자가 개설한 공개 대화방 및 "woong's mom" 이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개설자가 개설한 비공개 대화방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비공개 대화방은 개설자가 대화 코드(chat code)를 설정한 대화방으로서, 기 설정된 대화 코드와 참여자 단말의 사용자가 입력부(520)에 입력한 대화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화면에 표시된다.
참여자 단말의 사용자가 공개 대화방 및/또는 비공개 대화방 중에서 하나의 대화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대화방에 참여하게 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대화방 화면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기존 대화방 목록(320) 중 하나의 대화방을 선택하거나, 근거리 대화방 개설 및/또는 참여가 완료됨에 따라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6은 각각 "kim", "choi", "kang"의 노출명을 가지는 3명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대화방을 개설한 사용자의 단말(이하, '개설자 단말')에 표시되는 대화방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화면에는 대화방 정보(600)가 표시된다. 대화방 정보(600)는 대화방 유형, 및 현재 참여자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대화방 유형이 공개 대화방인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대화방 유형이 비공개 대화방인 경우, 대화방 정보(600)는 기 설정된 대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설자 단말에 표시되는 대화방 화면은 특정 사용자를 대화방에서 퇴출시킬 수 있는 참여자 퇴출버튼(60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화방 개설자가 "kang"이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사용자의 대화방 참여를 원치 않는 경우, "kang"이라는 노출명(602) 우측 상단에 위치한 참여자 퇴출버튼(604)을 클릭함으로써, "kang"이라는 노출명을 가지는 사용자를 대화방에서 퇴출시킬 수 있다.
한편, 대화방 화면의 상단에는 대화방 이름(620), 근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30) 및 원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4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 이름(620)은 해당 대화방의 제목 및 대화방의 참여자 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3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신규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설자 단말 및/또는 참여자 단말의 사용자가 근거리 참여자 추가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근거리 대화방 개설 과정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신규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과정 S420 내지 S454 또는 도 9의 과정 S910 내지 S934를 통해 새로운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할 수 있다.
원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40)은, 단말의 기존 대화 이력 및/또는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신규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하기 위한 버튼이다. 개설자 단말 및/또는 참여자 단말의 사용자가 원거리 참여자 추가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후술할 원거리 대화방 개설과정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참여자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대화방 개설방식과 참여자 추가방식은 적용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개설된 근거리 대화방 화면에서 원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40)을 이용하여 신규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존 대화 이력 및/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개설된 원거리 대화방 화면에서, 근거리 참여자 추가버튼(630)을 이용하여 신규 참여자를 대화방에 추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제1 단말(700)이 개설자 단말이고, 제2 내지 제4 단말(710 내지 720)이 참여자 단말인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나타나듯이, 제3 단말(720)은 제1 단말(700)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단말(700)이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직접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개시는 개설자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근거리 대화방 참여 가능 범위를 확장시키는 근거리 대화방 확장 방식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대화방 참여 가능 범위를 확장시킨다. 예를 들어, 제1 단말(700)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면, 제1 단말(700)과 가장 가까운 제4 단말(730)이 먼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여 대화방에 참여하고, 다음으로 제2 단말(710)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여 대화방에 참여하게 된다. 이때, 제1 단말(700)과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는 단말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해당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수신 신호세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개설자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의 경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방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 중 브로드캐스팅 패킷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참여자 단말이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전송하게 함으로써, 근거리 대화방 참여 가능 범위를 확장시킨다. 예를 들어, 제3 단말(720)은 대화방에 참여한 제2 단말(710)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하여 대화방에 참여하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확장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 단말은 서버와 연동하여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한다(S800). 예를 들어, 제1 단말은 도 4의 과정 S400 내지 S412를 수행하여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대화방의 비콘 ID를 탑재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제1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이 제1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단말은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다(S802). 이때, 제2 단말은 제2 단말의 사용자(이하 '제2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참여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블루투스 신호 수신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340)을 클릭함에 따라, 제2 단말이 블루투스 신호 수신을 개시하여 제1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패킷 내에 포함된 비콘 ID, 브로드캐스팅 패킷 수신 신호세기, 및 참여자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804). 여기서, 제2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제2 사용자의 멤버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서버와 연동하여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한다(S810).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도 4의 과정 S430 내지 S450을 수행하여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지 확인한다(S812).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서버는 제2 단말이 선택한 대화방의 비콘 ID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한다(S814).
제2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비콘 ID를 탑재한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제3 단말이 제2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3 단말은 제2 단말로부터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한다(S816). 이때, 제3 단말은 제3 단말의 사용자(이하 '제3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참여 입력을 수신하여, 블루투스 신호 수신을 개시할 수 있다.
제3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패킷 내에 포함된 비콘 ID, 브로드캐스팅 패킷 수신 신호세기, 및 참여자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818). 여기서, 제3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제3 사용자의 멤버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3 단말은 서버와 연동하여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한다(S820). 예를 들어, 제3 단말은 도 4의 과정 S430 내지 S450을 수행하여 근거리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서버는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지 확인한다(S822).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서버는 비콘 ID를 포함하지 않는 대화방 참여정보를 제3 단말에게 전송한다(S824).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설자 단말의 블루투스 신호 송신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근거리 대화방 참여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야구장 응원석과 같이 넓은 공간에 모여있는 복수의 단말을 대화방에 참여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 개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근거리 대화방 개설버튼 및 근거리 대화방 참여버튼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인 근거리 대화방 추가버튼을 이용하여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 단말은 제1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추가 입력을 수신한다(S900).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근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70)을 클릭함에 따라, 제1 단말이 근거리 대화방 추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한다(S902). 여기서, 대화방 개설 요청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 제1 사용자가 대화상대에게 노출/공개할 프로파일 엔터티 정보, 대화방 개설 위치, 및 노출/공개 요청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제1 사용자의 멤버 엔터티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개설 요청 수신에 따라 대화방 개설을 위한 제1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제1 대화방을 개설한다(S904). 서버는 개설된 제1 대화방에 비콘 ID#1를 부여한다. 여기서, 비콘 ID는 대화방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대화방 엔터티 정보 중 하나로서, 비콘 ID #1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이 비콘 ID#1을 생성하고, 비콘 ID#1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수신한 비콘 ID#1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비콘 ID#1를 제1 대화방에 부여한다.
제1 대화방의 비콘 ID로서 비콘 ID #1을 포함하는 제1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제1 단말에게 전송한다(S906).
마찬가지로, 제2 단말은 제2 사용자로부터 근거리 대화방 추가 입력을 수신하고(S910),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한다(S912).
서버는 대화방 개설 요청 수신에 따라 대화방 개설을 위한 제2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제2 대화방을 개설한다(S914). 서버는 개설된 제2 대화방에 비콘 ID#2를 부여한다.
서버는 비콘 ID #2를 포함하는 제2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한다(S916).
제1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비콘 ID #1을 탑재한 브로드캐스팅 패킷(broadcasting packet)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920). 이때, 제1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방식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해당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는 제1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제2 단말이 수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브로드 캐스팅 패킷을 제1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콘 ID #2 및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콘 ID #1을 서버에게 전송한다(S922). 이때, 제2 단말은 비콘 ID #1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의 수신신호 세기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비콘 ID #2 및 비콘 ID #1을 바탕으로, 대화방 병합(merge)을 수행한다(S930). 구체적으로, 서버는 비콘 ID #2 및 비콘 ID #1에 대응하는 대화방을 각각 조회하고, 두 개의 대화방을 하나의 대화방으로 병합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제1 대화방에 제2 대화방을 병합하고, 제2 대화방을 삭제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병합정보 및 참여자 정보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게 전송한다(S932 및 S934). 여기서, 참여자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대화상대에게 노출/공개할 프로파일 엔터티 정보 및 제2 사용자가 대화상대에게 노출/공개할 프로파일 엔터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병합정보는 병합된 대화방의 고유 식별자로 사용할 비콘 ID로서 비콘 ID #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화방을 생성한 후 대화방 병합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대화방 개설버튼 및 대화방 참여버튼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대화방 병합정보로서 비콘 ID#1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정보를 제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비콘 ID#1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은 비콘 ID #1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대화방 개설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대화방 병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AAA" 및 "BBB"의 노출명을 가지는 2명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제1 대화방 및 "CCC" 및 "DDD"의 노출명을 가지는 2명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제2 대화방을 병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a)는 대화방 병합을 수행하기 전 "AAA"의 노출명을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이하, '단말 A')에 표시되는 제1 대화방 화면이고, 도 10의 (b)는 대화방 병합을 수행하기 전 "CCC"의 노출명을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이하, '단말 C')에 표시되는 제2 대화방 화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대화방 상에서 참여자 추가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복수의 대화방을 하나의 대화방으로 병합할 수 있다. 이때, 단말 및 서버는 도 9의 대화방 개설 과정과 유사한 절차를 통해 복수의 대화방을 하나의 대화방으로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참여자 추가버튼을 클릭함에 따라, 단말 A 및 단말 C는 현재 대화방의 비콘 ID를 조회한다. 단말 A는 제1 대화방의 비콘 ID를 조회하고 단말 C는 제2 대화방의 비콘 ID를 조회한다. 이를 위해 각 단말은 사용자가 참여중인 모든 대화방의 비콘 ID를 저장하고 있거나, 사용자가 참여자 추가버튼을 클릭함에 따라 서버에게 현대 대화방의 비콘 ID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 A는 제1 대화방의 비콘 ID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단말 C가 해당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C는 제2 대화방의 비콘 ID 및 단말 A로부터 수신한 제1 대화방의 비콘 ID를 서버에게 전송한다.
서버는 수신한 비콘 ID를 기초로 대화방을 병합한다.
도 10의 (c)는 대화방 병합 이후 단말 A에 표시되는 제1 대화방 화면이고, 도 10의 (d)는 대화방 병합 이후 단말 C에 표시되는 제2 대화방 화면이다. 도 10의 (c) 및 (d)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기존의 제1 대화방 및 제2 대화방을 병합 대화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은 기존 대화방에서 병합대상 대화방의 참여자와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기존 대화방과 별도로 병합 대화방을 신규 개설하는 방식으로 병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화방 및 제2 대화방과 별도로, "AAA", "BBB", "CCC", 및 "DDD"의 노출명을 가지는 4명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제3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 및 초대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a)의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은 원거리 대화방을 개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이하, '개설자 단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원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80)을 클릭한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은 기존 대화방 목록(1100) 및 단말에 저장된 전화 연락처 목록(1110)을 표시한다. 개설자 단말의 사용자는 기존 대화방 목록 및 전화 연락처 목록에서 대화상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기존 대화방 목록(1100)은 개설자가 개설 및/또는 모든 대화방 목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대화방 목록(1100)에는 "Kang"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개설자는 개설할 대화방에서 노출할 프로파일과 다른 프로파일로 대화한 이력이 있는 상대를 대화상대로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은 특정 대화방의 참여자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1102)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은 대화상대가 설정한 노출명과 전화 연락처에 저장된 이름 또는 별로도 설정한 이름이 다른 경우, 대화상대가 설정한 노출명과 전화 연락처에 저장된 이름 또는 별로도 설정한 이름을 함께 표시하는 인터페이스(1104)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대화상대가 설정한 노출명이 "DDD"이고, 전화 연락처에 저장된 이름이 "Hong gildong"인 경우, "DDD: Hong gildong"과 같이 노출명과 전화 연락처에 저장된 이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은 대화방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부(1120)를 포함한다. 개설자 단말은 대화방의 참여자 엔터티 정보 및/또는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바탕으로 대화방을 검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설자 단말은 참여자 엔터티 정보로서 참여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존 대화방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화 이력이 존재하고, 연락처에도 등록되어 있는 사람의 이름인 "Hong gildong"을 검색부(1120)에 입력하는 경우, "Hong gildong"이 참여하는 대화방과 "Hong gildong"의 연락처 정보가 순서대로 화면에 표시되며, 대화 이력은 없고 연락처에만 등록되어 있는 사람의 이름인 "Kim narae"를 검색부(1120)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Kim narae"의 연락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설자 단말은 대화방 엔터티 정보로서 대화방 이름, 대화방 개설시 위치정보, 및 대화방 개설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존 대화방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화상대의 이름은 생각나지 않지만 판교역 스타벅스에서 개설한 대화방에 참여했던 사람과 다시 채팅을 하고자 할 경우 "판교 스타벅스"를 검색부(1120)에 입력하여, 해당 대화방 내 참여자를 찾을 수 있다.
도 11의 (b)의 원거리 대화방 초대 화면은 대화상대로 선택된 사용자의 단말(이하, '초대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초대 화면에는 대화방 초대 정보(1130)가 표시된다. 대화방 초대 정보(1130)는 초대 메시지(1132) 및 프로파일 선택부(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초대자 단말은 사용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1의 (b)는 대화방 초대 정보(1130)가 팝업(pop-up) 형태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대화방 개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제1 단말이 개설자 단말이고, 제3 단말이 초대자 단말인 예를 도시한다.
제1 단말은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로부터 원거리 대화방 추가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한다(S1200).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원거리 대화방 추가버튼(380)을 클릭함에 따라, 제1 단말이 근거리 대화방 개설 입력을 수신하여, 도 11의 (a)에 도시된 원거리 대화방 개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제1 사용자로부터 대화상대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202). 이때, 제1 사용자는 선택된 대화상대에게 전달할 초대 메시지(invitation message)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한다(S1204). 대화방 개설 요청은 선택된 대화상대의 정보 및 초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상대의 정보는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대화방의 참여자 엔터티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전화 연락처 목록 중에서 대화상대를 선택한 경우, 제1 단말은 대화상대의 정보로서 전화번호를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대화방 개설 요청 수신에 따라 대화방 개설에 필요한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대화방을 개설한다(S1210).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화상대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상대가 메시징 서비스의 등록자인지를 조회한다(S1212).
대화상대가 메시징 서비스 미등록자인 경우, 서버는 제1 단말에게 대화상대가 메시징 서비스 미등록자임을 알리는 응답을 전송한다(S1220). 이때, 서버는 응답과 함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URL을 제1 단말에게 전송한다.
제1 단말은 다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설치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3 단말에게 전송한다(S1222). 예를 들어, 제1 단말은 설치 URL을 포함하는 SMS를 제3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단말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치 URL을 이용하여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S1224), 메시징 서비스에 등록한다(S1226).
대화상대가 메시징 서비스의 기 등록자인 경우 또는 제1 단말로부터 설치 URL을 수신하여 서비스 등록을 완료한 경우, 서버는 개설된 대화방에 제3 사용자를 참여자로서 추가하고(S1230),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한 초대 메시지를 제3 단말에게 전송한다(S1232).
제3 단말은 대화방 초대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3 사용자로부터 프로파일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234).
제3 단말은 선택된 프로파일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1236).
서버는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를 반영하여 제3 단말의 대화방 참여를 완료하고, 대화방 참여자 정보로서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를 제1 단말에게 전송한다(S1238). 제1 단말은 수신한 참여자 정보를 개설된 대화방의 참여자 엔터티 정보에 반영한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의 변형된 응용으로서, 비콘(beacon), NFC 태그(tag), 및 QR 코드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한 근거리 대화방을 영업점에 활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대화방을 이용한 영업점은, 입구 및/또는 영업점 내 각 테이블에 비콘, NFC 태그,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고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을 대화상대로 하는 근거리 대화방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고객 단말은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 전송한다(S1300). 이때, 대화방 개설 요청은 대화상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비콘 ID, NFC 태그 정보 및 QR 코드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이 1번 테이블에 부착된 NFC 태그와 접촉되는 경우, 고객 단말은 NFC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개설 요청을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대화방 개설에 필요한 대화방 엔터티 정보를 생성하고,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화방 개설 요청을 바탕으로 대화 상대 정보를 조회한다(S1302). 이를 위해, 대화상대 정보와 영업점 입구 및/또는 각 테이블에 부착된 비콘의 ID, NFC 태그 정보 및 QR 코드 정보가 사전에 매핑(mapping)되어 서버에 DB형태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NFC 태그 정보는 특정 영업점의 특정 테이블을 대변하는 계정과 사전에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고, 특정 영업점의 POS 시스템과 사전에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FC 태그 정보가 영업점의 POS 시스템과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대화방은 고객의 단말과 영업점의 특정 테이블을 연결하는 하나의 매체가 되는 것이다.
서버는 대화 상대 정보 조회 결과를 바탕으로, 대화방을 개설한다(S1304). 예를 들어, 대화상대가 특정 영업점의 1번 테이블임을 확인한 서버는 해당 대화상대 정보에 맞는 대화방을 개설한다.
서버는 해당 대화상대 정보, 해당 영업점의 메뉴, 초기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게 전송한다(S1306).
고객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근거리 대화방을 주문형 대화방 모드로 변경하고, 주문형 대화방 화면을 표시한다(S1308).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도시된 대화방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고객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주문 요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주문요청정보를 서버를 경우하여 POS 시스템에게 전송한다(S1310 내지 S1313).
POS 시스템은, 주문을 처리하고 주문 결과를 서버를 경유하여 고객 단말에게 전송한다(S1314 내지 S1316).
고객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입력받음에 따라, 결제 요청 정보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1320 및 S1322).
서버는 결제를 처리하고, 결제 결과를 고객 단말 및 POS 시스템에게 전송한다(S1324 내지 S1328). 예를 들어, 서버는 기 등록된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금액을 이체하거나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업점이 근거리 대화방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의 (a)는 영업점 내 1번 테이블에 동석 중인 "choi"와 "kim"이 근거리 대화방을 이용하여 주문 및/또는 결제를 진행하는 예를 나타낸다.
고객 단말에 표시되는 대화방 화면 상단에는 대화방 이름(1400), 결제버튼(1410) 및 직원 호출버튼(142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방 이름(1400)은 영업점의 이름 및 테이블 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화면에는 메뉴 아이콘(1430) 및 초기 메시지(1432)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메시지는, 주문형 대화방 모드의 대화방에 표시되는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뉴를 보고 주문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뉴 아이콘(1430)을 클릭하고,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중 주문할 메뉴를 선택하거나, 대화 입력부(1440)에 주문할 메뉴를 입력하면, 고객 단말은 서버와 연동하여 POS 시스템에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은 도 13의 과정 S1310 내지 과정 S1316을 통해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버튼(1410)을 클릭하면, 고객 단말은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은 도 13의 과정 S1320 내지 과정 S1328을 통해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4의 (b)는 "XXX 식당"에 부착된 비콘을 이용하여, "kim"이 대기자 알림 기능을 제공받는 예를 나타낸다.
고객 단말은 영업점 입구에 부착된 비콘으로부터 비콘 ID를 수신하여,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은 도 4의 과정 S422 내지 S456 또는 도 9의 과정 S920 내지 S934와 유사한 절차를 통해 근거리 대화방을 개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콘 ID는 특정 영업점을 대변하는 메신저 계정 또는 특정 영업점의 단말과 사전에 매핑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비콘 ID가 특정 영업점의 단말과 매핑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영업점의 단말은 영업점에서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대화방에 고객 단말이 참여하면, 영업점 단말은 초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초기 메시지는 현재 대기인원 수 및 대기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은 버튼 입력 및/또는 문자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대기 의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대기 의사를 밝히면, 영업점 단말은 고객 단말의 대기번호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의 순서가 되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의 사용자는 개인정보 노출 없이 대기자 알림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대화방에서의 채팅은 주로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음성메시지를 대화상대에게 보내는 기능 또한 일반화되어 이미 사용되고 있다. 본 개시는 실시간으로 음성입력을 받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채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고, 더 나아가 현재 음성입력이 대화방 참여자 중 어떤 참여자의 음성입력인지를 구별하여, 해당 참여자의 채팅 메시지 입력으로 변환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회의록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 실시간 음성입력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리를 계속적으로 끊김 없이 디지털화 처리함을 의미한다. 즉, 음성 메시지와 같이 음성 입력시 버튼을 조작하여 녹음하고 전송하는 방식과 달리 추가적인 조작 없이 지속적으로 소리가 처리되어 텍스트로 변환 메시지로 처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 음성입력이 특정 참여자의 음성입력으로 매핑되기 위해서는,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과 함께 화자구분(speaker diarization)이 함께 이뤄져야 하며 구분된 화자를 대화방 참여자에 매핑하는 화자매핑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직접 음성인식, 화자구분, 및 화자매핑을 수행하거나, 음성입력 자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가 음성인식, 화자구분, 및 화자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가 음성인식, 화자구분, 화자매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는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인공지능 기반 음성처리모듈을 구비한다. 음성처리모듈은 비특허 참고 문헌 "Joint Speech Recognition and Speaker Diarization via Sequence Transduction"이 제안하는 음성인식 및 화자구분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음성처리모듈은 실시간 음성에 포함된 복수의 화자의 음성 입력을, 발화순서에 기초하여 화자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kim" - "choi" - "kim" 순으로 발화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kim"의 음성을 제1 화자의 음성으로 구분하고 "choi"의 음성을 제2 화자의 음성으로 구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실사용 환경에서, 실시간 음성에 포함된 발화순서를 사전에 입력받을 수 없으므로, 서버는 음성처리모듈이 구분하는 화자(제1화자 및 제2화자)와 대화방 참여자("kim" 및 "choi") 간 매핑관계를 알 수 없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음성처리모듈에 실시간 음성을 입력하기에 앞서, 발화 순서를 알고 있는 음성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처리모듈이 구분하는 화자와 대화방 참여자 간 매핑관계를 미리 정의하고, 실시간 음성입력에 대한 출력에 해당 매핑관계를 적용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대화방 참여자 별로 기 저장된 사전 목소리를 찾아 하나의 음성데이터로 조합하고,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모듈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사전 목소리는 별도의 설정 과정을 두어 확보해 두었던 샘플 음성 또는 화자매핑이 기 처리된 음성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서버는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구분 및 매칭할 총 화자의 인원수를 지칭하는 파라미터로서 대화방의 참여자 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처리모듈은 사전 목소리의 조합 순서에 따라 음성입력의 화자를 구분하여 출력한다. 서버는 사전 목소리의 조합 순서를 알고 있으므로 화자(제1화자 및 제2화자)와 대화방 참여자("kim" 및 "choi") 간 매핑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im" - "choi" 순으로 사전 목소리를 조합한 경우에는, 제1 화자를 "kim"에 매핑하고 제2 화자를 "choi"에 매핑하는 매핑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실시간 음성을 음성처리모듈에 입력하고, 기 정의된 매핑관계를 이용하여, 음성처리모듈이 구분하는 화자 및 대화방 참여자 간 매핑을 수행한다.
한편, 대화방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이 같은 공간에서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모드로 사용될 경우에는, 동일한 내용의 복수의 음성 데이터가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서버는 수신한 복수의 음성 데이터 중 품질이 가장 좋은 음성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의 결과가 가장 높은 확률을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를 실시간 음성입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choi", "kim" 및 "han"의 노출명을 가지는 3명의 사용자가 참여 중인 대화방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화방 화면의 음성 회의버튼(1600)을 클릭함에 따라 대화방이 음성 회의모드로 변경되고, 단말 및/또는 서버가 음성인식 기반한 회의록 작성을 개시한다.
음성 회의모드로 변경된 대화방의 화면에는 음성입력 아이콘이 표시된다. 음성입력 아이콘은, 현재 입력되는 음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의 음성입력 아이콘(1610a)은 현재 실시간으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있음을 나타내고, 도 16의 (b)의 음성입력 아이콘(1610b)은 현재 실시간으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도 16의 (a)의 도면부호 1620은 음성입력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각각 "choi" 및 "kim"의 채팅 메시지로 매핑되었음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630은 참여자 매핑이 진행중인 채팅 메시지를 나타낸다.
한편, 도 16의 (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채팅메시지에 매핑할 참여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매핑을 수행할 채팅 메시지(1640)를 클릭하면 대화방의 참여자 목록(1642)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참여자 목록 중에서 해당 채팅 메시지의 발화자를 선택하면, 해당 참여자의 채팅 메시지로 매핑되고, 매핑결과를 음성처리모듈에 전달하여 이후 화자 구분 및 화자 매핑 알고리즘에 반영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음성입력과 함께 사전 목소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6의 (c)는 음성 회의모드에서 텍스트 채팅모드로 변경된 대화방 화면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화방 화면의 텍스트 채팅버튼(1650)을 클릭함에 따라 음성인식 기반 회의록 작성이 종료되고, 일반적인 키보드를 이용한 채팅입력이 가능한 대화방으로 변경될 수 있다.
텍스트 채팅모드로 변경된 대화방 화면에는 종료 메시지(166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종료 메시지는, 음성 회의모드 동안 녹음된 음성 파일 및/또는 채팅 메시지 형태로 변환한 내용을 담은 텍스트 파일을 단말에 내려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아이콘(16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사진 공유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의 (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이력이 존재하는 상대에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초기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진 공유 기능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초기화면에 표시된 사진 공유버튼(1710)을 클릭하여, 대화 이력이 존재하는 상대에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특정 프로파일로 대화한 대화상대에게만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이 "woong's mom"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에게만 공유되고, "kim narae"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에게는 공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대화 이력이 존재하는 상대에게만 사진을 공유할 수 있어 불필요한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프로파일별로 사진을 공유할 대상을 제한할 수 있어 사회활동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교류 목적에 맞는 제한된 정보를 상대방에게 노출할 수 있다.
도 17의 (b)는 "woong's mom"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이 공유한 사진 목록을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고, 도 17의 (c)는 사용자가 개설 및/또는 참여한 모든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이 공유한 사진 목록을 제공하는 화면(이하 '공유화면')을 나타낸다.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인터랙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진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입력은 클릭(click), 탭(tap),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스와이프(swipe), 핀치 인 앤 아웃(pinch in and out) 및 플릭(f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초기화면 상에서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woong's mom"라는 노출명으로 대변되는 프로파일로 개설 및/또는 참여한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이 공유한 사진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와이프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개설 및/또는 참여한 모든 대화방의 대화 상대들이 공유한 사진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화면은, 공유된 사진별로 메시지버튼(17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유된 사진을 보다가 메시지버튼(1720)을 클릭하면, 해당 사진을 업로드한 대화 상대에게 해당 사진이 첨부된 1: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화면은,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및/또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와 별도 계약을 맺은 사업자가 제공하는 광고(17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은 프로파일별로 사용자의 관심사를 추출하여 개인화된 광고(personalized advertisement)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화면은, 광고와 함께 구독버튼(173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독버튼(1732)을 클릭하면, 해당 광고를 제공하는 사업자(이하, '광고사업자')와 대화할 수 있는 대화방이 개설될 수 있다. 이후, 공유화면에는 '광고사업자'가 공유하는 광고 및/또는 사진이 노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 과정들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단말 110: 제2 단말
120: 제3 단말 130: 서버

Claims (25)

  1. 서버가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화상대에게 노출할 제1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을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제1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제1 대화방에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과정;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은,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대화방에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정보를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에게 노출할 제2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제1 단말에게 노출할 제2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대화방 개설요청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제2 대화방을 개설하고,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대화방과 상기 제2 대화방을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하나의 동일한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 및 신호 세기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추가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신호 세기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은,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요구할 노출 요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 참여요청은,
    상기 노출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단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에게 노출할 제3 프로파일 정보, 상기 제2 단말의 정보, 및 초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 대화방 개설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3 대화방 개설요청에 따라 제3 대화방을 개설하고, 상기 초대 메시지를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게 노출할 제4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초대수락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제3 대화방의 참여자로 추가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을 대상으로 음성인식과 화자구분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을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 중 하나의 음성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0.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하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중 하나의 프로파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선택된 프로파일이 노출될 대화방을 개설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설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제1 대화방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1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은,
    제1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요구할 노출 요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는,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자가 상기 노출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입력한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거나,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설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제1 전송과정;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제2 대화방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과정;
    제1 대화방에 고유하게 부여된 제1 대화방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제2 전송과정;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대화방과 상기 제2 대화방이 병합된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 및 병합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는,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에게 전송되거나, 상기 제1 대화방 개설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과정은,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의 수신 신호세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수신과정 이후에,
    상기 병합정보가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대화방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로 개설 또는 참여한 대화방 목록 및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전화 연락처 목록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로부터 대화상대에 대한 선택으로서 상기 대화방 목록 및 상기 전화 연락처 목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로부터 대화방 초대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선택된 대화상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초대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3 대화방 개설요청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선택된 대화상대에 대한 정보는,
    선택된 대화방의 참여자 정보 및 선택된 전화 연락처의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설하는 과정은,
    비콘(beacon), NFC 태그,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업점을 대화상대로 하는 대화방을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로 대화한 이력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화상대가 공유한 사진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20. 단말이 수행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profile)을 생성하는 과정;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서버에게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제1 대화방의 개설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중 제1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노출할 제2 프로파일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방 참여요청을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대화방의 참여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정보는,
    상기 제1 대화방의 개설자가 참여자에게 요구하는 노출 요청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 참여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노출 요청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입력한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서버에게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의 수신 신호세기를 전송하고,
    상기 참여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이후에,
    상기 참여정보가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대화방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2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4.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이 포함하는 각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00180034A 2019-12-26 2020-12-21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83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4622 2019-12-26
KR1020190174622 2019-12-26
KR20200001106 2020-01-05
KR1020200001106 2020-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87A true KR20210083187A (ko) 2021-07-06

Family

ID=7686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34A KR20210083187A (ko) 2019-12-26 2020-12-21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90A (ko) 2021-08-06 2023-02-14 주식회사 시어스랩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공감 토픽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30022353A (ko) 2021-08-06 2023-02-15 주식회사 시어스랩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사용자 참여 가상공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9335A (ko) 2022-07-13 2024-01-22 (주)인티그리트 인공지능을 기반의 사용자 음성 식별 기능을 활용한 음성대화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int Speech Recognition and Speaker Diarization via Sequence Transduction" (Laurent El Shafey, Hagen Soltau, Izhak Shafran) 2019.7.9
"Speaker Verification with Short Utterances: A Review of Challenges, Trends and Opportunities" (Arnab Poddar, Md Sahidullah, Goutam Saha) 2018.3.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1890A (ko) 2021-08-06 2023-02-14 주식회사 시어스랩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공감 토픽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30022353A (ko) 2021-08-06 2023-02-15 주식회사 시어스랩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사용자 참여 가상공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9335A (ko) 2022-07-13 2024-01-22 (주)인티그리트 인공지능을 기반의 사용자 음성 식별 기능을 활용한 음성대화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3187A (ko) 대화방 개설 및 복수 사용자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2310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ocial discovery
US20190075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real-time location sharing
US90074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conferencing
US11861153B2 (en) Simplified sharing of content among computing devices
US94971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air service using official account
KR102103809B1 (ko) 메시지의 정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4158985B (zh) 通话方法、装置和系统
KR20160129472A (ko) 클라이언트 봇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20129888A (ko)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211020A (zh) 移动设备的ad hoc对等联网
WO2014189653A1 (en) Joining an electronic conference in response to sound
KR101232229B1 (ko) 전화번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832789B1 (en) Location-based virtual socializing
EP2940978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carrier means
CN112395509A (zh) 信息显示方法、信息提供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160012386A (ko) 근거리 무선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304444A1 (en) Instant Messaging for Mobile Device with offline and online mode
US20150140978A1 (en) Voice conversations in a unified and consistent multimodal communication framework
KR20180098177A (ko)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공유 시스템과 방법
KR20170027061A (ko)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가상 도우미 애플리케이션 이용 방법 및 장치
US11057702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udio feedback
KR20220089379A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15379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서버
US9681255B2 (en) Mobile Proximity bonding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