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818A -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 Google Patents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818A
KR20210082818A KR1020190175144A KR20190175144A KR20210082818A KR 20210082818 A KR20210082818 A KR 20210082818A KR 1020190175144 A KR1020190175144 A KR 1020190175144A KR 20190175144 A KR20190175144 A KR 20190175144A KR 20210082818 A KR20210082818 A KR 20210082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r
smoking
granules
smoking articles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6074B1 (ko
Inventor
황중섭
나승주
양철남
이동현
이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17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074B1/ko
Priority to PCT/KR2020/003231 priority patent/WO2021132801A1/ko
Publication of KR20210082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86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oating with a coating composition, encapsulation of tobacco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25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with solid additives, e.g. incorporation of a granular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8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은 흡연 물질부와 흡연 물질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제가 과립 형태로 필터부 또는 흡연 물질부에 첨가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휘발성이 높은 향미 물질이 시간 경과에 따라 소실되어 흡연 물품의 맛과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 WITH IMPROVED FLAVOR PRESERVATION}
본 개시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시간 경과에 따라 흡연 물품에 첨가된 향미제의 향 보존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향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과, 상기 향미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레텍(kretek) 담배는 클로브(clove)향 담배로,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애용되는 흡연 물품이다. 크레텍 담배의 맛과 풍미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은 유게놀(eugenol)인데, 유게놀은 유게놀 성분을 포함하는 클로브 추출물(e.g. 클로브 오일)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크레텍 담배의 맛과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흡연 시 유게놀의 이행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클로브 추출물을 첨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클로브 추출물을 담배 원료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 액상의 클로브 추출물을 향 캡슐에 담아 첨가하는 방식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제안된 방식들은 클로브 추출물(e.g. 유게놀)의 휘발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클로브 추출물이 소실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즉, 제안된 방식들에 따르면, 담배에 첨가된 클로브 추출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휘발 및 감소되어, 담배의 맛과 풍미가 점차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향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향 보존성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향미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은, 흡연 물질부; 및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이 첨가되고, 상기 흡연 물질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휘발성 향미 물질은 클로브(clove) 추출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0.4mm 이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1.2mm 이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은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및 검(gum)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바인더로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이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클로브 분말 및 담배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은 탑 스프레이(top spray) 기반의 1차 제조 공정과, 로터리 스프레이(rotary spray) 기반의 2차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흡연 물품은, 상기 흡연 물질부에 포함된 흡연 물질을 래핑하거나,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필터 물질을 래핑하거나 또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흡연 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래핑하는 래퍼(wrap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미 과립은 상기 래퍼에 첨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부,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과립은 상기 캐비티 내부에 첨가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은,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이 첨가된 흡연 물질부 및 상기 흡연 물질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휘발성 향미 물질은 클로브(clove) 추출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0.4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휘발성이 높은 향미 물질이 고체화된 다공성 과립의 형태로 흡연 물품에 첨가됨으로써, 향미제의 향 보존성과 향 발현성이 향상되며, 흡연 물품의 맛과 풍미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브 추출물이 다공성 과립의 형태로 흡연 물품에 첨가됨으로써, 흡연 물품의 클로브향과 풍미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클로브 추출물 포함하는 향미제의 향 발현성이 개선됨에 따라 흡연 시 유게놀 성분의 이행량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 물품의 클로브향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일정 크기의 이상의 직경을 갖는 향미 과립을 필터부에 첨가함으로써, 필터의 성능 저하 없이 흡연 물품의 향 보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향미 과립을 흡연 물질부, 캐비티 및 래퍼 등에 첨가함으로써, 필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흡연 물품의 향 보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탑 스프레이 방식과 로터리 스프레이 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향미 과립을 제조함으로써, 과립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표면 물성이 개선된 고품질의 향미 과립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향미 과립 제조 시 적절한 양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향미 과립의 향 보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향미 과립 제조 시 클로브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흡연 시 유게놀 이행량이 더욱 증대되고, 흡연 물품의 클로브향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흡연 물품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향미 과립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품"(smoking article)이란, 담배, 담배 파생물, 팽화처리 담배(expande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또는 담배 대용물에 기반하느냐에 상관 없이 흡연 가능한 임의의 제품 또는 흡연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은 궐련, 엽궐련(cigar) 및 작은 엽궐련(cigarillo) 등 같은 흡연 가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 물질"(smoking material)이란, 흡연 물품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흡연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발성 향미 물질의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휘발성 향미 물질이 다공성 구조의 향미 과립으로 제조되어 흡연 물품에 첨가될 수 있다. 다공성 구조의 향미 과립을 활용하는 이유는 다공성 구조와 고체 상태가 향미 물질의 휘발성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휘발성 향미 물질이 클로브(clove) 추출물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서 서술되는 실시예들은 실질적인 기술적 사상의 변경 없이 휘발성을 갖는 임의의 향미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향미 과립이 첨가되는 위치는 향미 과립의 직경, 흡연 물품의 세부 구조 등의 요인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되고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흡연 물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흡연 물품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흡연 물품(1)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1)은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필터부(11)는 필터 물질로 구성된 필터 플러그와 이를 래핑하는 필터 래퍼(filter wrapper)를 포함할 수 있고, 흡연 물질부(12)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길이 축 방향으로 정렬되며, 필터부(11)는 흡연 물질부(12)보다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는 티핑 래퍼(tipping wrappe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티핑 래퍼는 필터부(11)의 적어도 일부와 흡연 물질부(12)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래핑하여 필터부(11)와 흡연 물질부(12)를 연결할 수 있다. 필터부(11)가 흡연 물품(1)의 하류 단부에 위치한 경우, 필터부(11)는 마우스피스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물질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 물질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필터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물질은 탄소를 포함하는 흡착제, 활성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플러그의 제조 공정 중에 가소제가 첨가될 수 있고, 클로브 추출물이 가소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친환경/천연 가소제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연구 결과 놀랍게도 클로브 추출물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를 가소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본 발명자들은 클로브 추출물이 첨가된 필터 플러그는 인공 가소제(e.g. 트리아세틴)가 첨가된 경우에 비해 생분해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필터의 생분해성 향상은 클로브 추출물이 클로브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물질이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브 추출물을 가소제로 이용함으로써, 생분해성이 우수한 필터가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유게놀 이행량이 증대되어, 흡연 시 흡연 물품에 나는 클로브향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필터부(11)는 단일 필터 또는 다중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는 다중 필터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11)의 내부(e.g. 캐비티)에는 향미 물질이 함유된 캡슐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11)의 세부 구성 또는 구현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필터부(11)의 세부 구성 또는 구현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부(11)의 세부 구성에 대한 다양한 예시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흡연 물질부(12)는 흡연 물질과 이를 래핑하는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물질부(1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연 물질은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거나 흡연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자는 흡연 물품을 통해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연기 및/또는 에어로졸은 필터부(11)를 통해 흡연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흡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가공된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써, 담배 물질은 분쇄된 담배의 잎, 분쇄된 재구성 담배, 팽화각초, 팽화주맥 및 판상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흡연 물질은 습윤제, 향미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첨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는 담배 물질 내의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유의 맛을 부드럽게 하고, 무화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는 예를 들어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클로브 추출물(또는 클로브 물질)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흡연 물질은 클로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브 물질은 클로브 식물(e.g. 클로브 잎)을 분쇄 또는 가공하여 생성된 클로브 분말, 클로브 식물 절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흡연 중에 타닥타닥(또는 크리텍-크리텍)하는 크래클링 사운드(crackling sound)가 발생하기 때문에, 클로브향과 풍미에 청각적인 효과가 더해져 흡연자에게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흡연 물품(50)의 소리 발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흡연 물질부(52)에 다당류 물질(e.g. 셀룰로오스, 스타치, 글리코겐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다당류 물질이 연소 시 소리가 발생된다는 놀라운 사실은 지속적인 연구 과정 중에 밝혀진 것인데,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다당류 물질이 연소될 때 결정 구조가 깨지면서 일정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된 다당류 물질이 흡연 시 소리 발생 인자의 작용하여, 흡연 물품(50)의 소리 발생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당류 물질은 클로브 물질을 대신하여 첨가될 수 있고, 클로브 물질과 함께 첨가될 수도 있다. 다당류 물질은 예를 들어 입자(particle), 시트(sheet) 및 세장형 물체(e.g. 이쑤시개 형상)로 가공되어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입자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흡연 물질부(52) 또는 흡연 물질을 래핑하는 래퍼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시트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담배 시트와 함께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되거나, 상기 래퍼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세장형 물체 형태의 다당류 물질은 흡연 물질부(52)에 절각된 상태 또는 절각되지 않은 상태로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연 물품(50)의 소리 발생 효과 증대되어, 흡연자에 보다 향상된 흡연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당류 물질(e.g. 스타치)은 일반적으로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흡연 물품(50)의 재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다당류 물질(e.g. 스타치)은 사람이 음식으로 섭취하는 안전한 물질이기 때문에, 흡연 물품(50)의 안전성이 담보되어 안전성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브향과 풍미를 더하기 위해 유게놀 성분을 포함하는 클로브 추출물(e.g. 클로브 오일)이 향미제로써 흡연 물품(e.g. 1 등)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클로브 추출물의 향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향미제가 고형화된 과립의 형태로 흡연 물품(e.g. 1 등)에 첨가될 수 있고, 향미 과립을 첨가하는 위치는 향미 과립의 직경, 흡연 물품의 세부 구조 등의 요인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흡연 물품(2 등)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2)의 전반적인 구성은 도 1에 예시된 흡연 물품(1)과 유사하다. 즉, 흡연 물품(2)도 필터부(21)와 흡연 물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클로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23)이 필터부(21)에 첨가될 수 있다. 흡연자의 구부 측에 가까운 필터부(21)에 향미 과립(23)을 첨가함으로써, 흡연자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클로브향과 풍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 과립(23)은 다공성 구조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공성 구조는 구조적 특성 상 내부 물질의 휘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향미 과립(23)이 다공성 구조로 제조되면, 향 보존성이 향상되고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향 발현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공성 구조의 향미 과립(23)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필터부(21)에 첨가된 향미 과립(23)의 배치 분포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미 과립(23)은 필터부(21) 내에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필터 물질(e.g.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향미 과립(23)들이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향미 과립(23)은 필터부(21)의 하류 단부(즉, 구부 방향) 측에 더 많이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향미 과립(23)이 하류 단부 측에 많이 분포할수록 흡연자에게 보다 직접적으로 발향 효과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향미 과립(23)은 필터부(21)의 상류 단부 측에 더 많이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부(21)에 첨가되는 향미 과립(23)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향미 과립(23)의 직경은 약 0.2mm 내지 약 1.8m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mm 내지 약 1.6mm, 약 0.4mm 내지 약 1.4mm, 약 0.4mm 내지 약 1.2mm 또는 약 0.5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필터부(21)에 첨가되는 향미 과립(23)의 직경은 일정 크기(e.g. 약 0.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미세한 크기의 향미 과립이 필터 물질에 첨가되면, 필터 내에 분진이 발생하거나 향미 과립이 필터에 흡착되어 필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미세 크기의 향미 과립(23)이 필터 내부의 통로를 막아 흡인 저항을 증가시키고 무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향미 과립(23)의 직경은 일정 크기(e.g. 약 1.4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향미 과립(23)의 직경이 너무 커져도 흡인 저항이 증가하여 흡연자의 편안한 흡연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무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향미 과립(23)의 직경은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또는 체진동기(시브쉐이커)로 통과된 입자 크기를 확인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러나 향미 과립(23)의 직경 측정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2)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클로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23)이 필터부(21)에 첨가됨에 따라 흡연 물품(2)의 맛과 풍미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향미 과립(23)을 통해 클로브 추출물에 포함된 유게놀 성분이 방출될 것이므로, 흡연 시에 유게놀 이행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연 물품(2)의 클로브향과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3)은 다중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31, 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연 물품(3)은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 및 흡연 물질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흡연 물품(3)의 필터부(31, 32)가 이중 필터로 구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필터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향미 과립(34)이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에 첨가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3)의 하류 단부에 위치한 제1 필터부(31)에 향미 과립(34)이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클로브 추출물의 발향 효과가 보다 직접적으로 흡연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향미 과립(34)은 제2 필터부(32)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향미 과립(34)은 제1 필터부(31)와 제2 필터부(32) 모두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필터부(31)에 첨가되는 향미 과립(34)의 양은 제2 필터부(32)의 첨가량과 동일할 수도 있고, 더 많을 수도 있다. 클로브 추출물 발향 효과의 전달성 향상을 위해서라면, 제1 필터부(31)에 더 많은 양의 향미 과립(34)이 첨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3)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연물품(3)이 다중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향미 과립(34)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31, 32)에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4)은 제1 필터부(41), 제2 필터부(42), 캐비티(43) 및 흡연 물질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43)는 제1 필터부(41)와 제2 필터부(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향미 과립(45)이 캐비티(43) 내부에 첨가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향미 과립(45)의 첨가가 필터부(41, 42)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향미 과립(45)이 캐비티(43) 내부에 밀집되도록 첨가됨으로써, 향미 과립(45)의 발향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필터부(41)와 제2 필터부(42)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 물품(4)의 하류 측에 위치한 제1 필터부(41)의 길이는 제2 필터부(42)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비티(43)가 구부 측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클로브향과 풍미가 보다 강하게 흡연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4)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향미 과립(45)이 캐비티(43) 내부에 밀집됨으로써, 흡연 물품(4)의 맛과 풍미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향미 과립(45)에 클로브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라면, 흡연 시 클로브향의 발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5)은 필터부(51) 및 흡연 물질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부(51)는 다중 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향미 과립(53)이 필터부(51)가 아니라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향미 과립(53)이 필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흡연 물질부(52)에 첨가되는 향미 과립(53)의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향미 과립(53)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0.8m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7mm 또는 약 0.6mm 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향미 과립(53)의 직경은 약 0.4mm 또는 0.3 mm이하일 수 있는데, 이는 향미 과립(53)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흡인 저항이 증가하거나 흡연 물질의 연소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향미 과립(53)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0.01mm 또는 약 0.05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1mm 이상일 수 있다. 이는, 향미 과립(53)의 크기가 작을수록 향 발현성이 떨어지고, 과립 제조 비용과 난이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5)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향미 과립(53)을 흡연 물질부(52)에 첨가함으로써, 필터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흡연 물품(5)의 맛과 풍미가 증진될 수 있다. 향미 과립(53)에 클로브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라면, 흡연 시 클로브향의 발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연 물품(6)은 필터부(61) 및 흡연 물질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부(61)는 다중 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61)는 필터 물질로 구성된 필터 플러그를 래핑하는 필터 래퍼(6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흡연 물품(6)은 필터 래퍼(63) 외에도 흡연 물질을 래핑하는 래퍼와, 티핑 래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향미 과립(64)이 흡연 물품(6)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래퍼에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흡연 물품(6)의 흡인 저항이나 필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흡연 물품(6)의 맛과 풍미가 증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향미 과립(65)이 별도의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에 첨가되고, 상기 시트(sheet) 또는 필름(film)이 래퍼(e.g. 63) 주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퍼, 상기 시트 또는 필름에 가향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로브 추출물(e.g. 유게놀)로 가향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흡연 물품(6)의 클로브향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연 물품(6)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향미 과립(64)을 래퍼에 첨가함으로써, 향미 과립(64)이 필터 성능 또는 흡인 저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흡연 물품(6)의 맛과 풍미는 증진될 수 있다. 향미 과립(64)에 클로브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라면, 흡연 시 클로브향의 발현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게놀 이행량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향미 과립(e.g. 23, 34, 45, 53, 64)이 필터부(e.g. 11, 21, 31, 32, 41, 42, 51, 61)와 흡연 물질부(12, 22, 33, 44, 52, 62) 양쪽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직경이 기준치 이상인 향미 과립(e.g. 23, 34, 45, 53, 64)은 필터부(e.g. 11, 21, 31, 32, 41, 42, 51, 61)에 첨가되고, 기준치 이하인 향미 과립(e.g. 23, 34, 45, 53, 64)은 흡연 물질부(12, 22, 33, 44, 52, 62)에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약 0.4mm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6은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향 보존성이 향상된 흡연 물품(2 내지 6)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공성 구조의 향미 과립(e.g. 23, 34, 45, 53)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향미 과립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 과립(77)은 탑 스프레이(top spray) 기반의 1차 제조 공정(73)과 로터리 스프레이(rotary spray) 기반의 2차 제조 공정(76)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탑 스프레이와 로터리 스프레이 방식은 유동층 과립 제조 기법 중 하나인데, 당해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각 방식의 동작 원리를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인 바, 각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각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차 제조 공정(73)에서, 탑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클로브 추출물(71)을 포함하는 향미 물질이 비정형(e.g. 표면이 거친 구형)의 향미 과립(74)을 형성할 수 있다. 용이하게 과립(74) 형성되도록 제조 공정 중에 바인더(72)가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더(72)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이하 "HPMC") 및 검(Gum)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제조 공정(75)에서, 로터리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향미 과립(74)의 형태와 표면 물성이 개선될 수 있다. 탑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된 향미 과립(74)은 일반적으로 경도가 약하고 비정형 및 부정형의 표면 특성(e.g. 표면이 거칠고 불균일함)을 갖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쉽게 부서지거나 미분이 발생할 수 있다. 2차 제조 공정(75)은 향미 과립(74)의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여 향미 과립(74)의 물성을 개선하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향미 과립(74)의 경도 증가 및 표면 코팅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제조 공정 중에 바인더(75)가 첨가될 수 있다. 바인더(75)는 예를 들어 스타치(starch)류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제조 공정(76)을 통해 표면이 매끄럽고 구형의 형태를 갖는 향미 과립(77)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정(73 or 76) 중에 추가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분말과 같은 담배 물질과 클로브 분말과 같은 클로브 물질이 제조 공정(73 or 76) 중에 더 첨가될 수 있다. 담배 분말이 포함된 향미 과립(77)은 유게놀 이행량과 니코틴 이행량을 동시에 증진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클로브 분말이 포함된 향미 과립(77)은 클로브향과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향미 과립(77)의 향 보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립 제조 공정 중에 사이클로 덱스트린(cyclodextrin)이 첨가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향 성분을 포집하는 담체로써 동작하여, 향미 과립(77)의 향 보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 감마 또는 베타 사이클로 덱스트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특정 용매(e.g. 에탄올)와 혼합되어 용액 상태로 첨가되는데, 이때 상기 용액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농도는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도는 약 3% 내지 약 60%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 약 6% 내지 약 45%, 약 7% 내지 약 40%, 약 8% 내지 약 37%, 약 9% 내지 약 33% 또는 약10% 내지 약 30%일 수 있다. 이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너무 적게 첨가되는 경우 향 성분이 잘 포집되지 않고, 너무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용매에 잘 녹지 않고 부유(floating)하여 과립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제조 공정은 향미 과립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스프레이, 탑 스프레이, 또는 바텀 스프레이(bottom spray)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향미 과립(e.g. 77)이 제조될 수도 있다. 다만, 고품질의 향미 과립(e.g. 77)을 신속하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제조 공정에 따라 향미 과립(e.g. 77)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향미 과립 제조 방법의 의해 제조된 향미 과립(e.g. 77)의 경도는 8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5% 또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93%, 95% 또는 97%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향미 과립의 경도는 국가 표준 시험 방법인 KSM-1802("활성탄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수치일 수 있다. 향미 과립의 경도 측정 방법의 세부 내용과 및 측정치의 의미에 대해서는 국가 표준 KSM-1802를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향미 과립 제조 방법의 의해 제조된 향미 과립(e.g. 77)의 경도는 80%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5% 또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 93%, 95% 또는 97%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향미 과립의 경도는 국가 표준 KSM-1802("활성탄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수치일 수 있다. 향미 과립의 경도 측정 방법 및 측정치의 의미는 국가 표준 KSM-1802를 참조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향미 과립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탑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신속하게 과립이 형성되고, 로터리 스프레이 공정을 통해 과립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립의 제조 시간은 단축되고, 제조된 과립의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4, 5, 6: 흡연 물품
11, 21, 31, 32, 41, 42, 51, 61: 필터부
12, 22, 33, 44, 52, 62: 흡연 물질부
43: 캐비티
23, 34, 45, 53, 64: 향미 과립
63: 필터 래퍼

Claims (20)

  1. 흡연 물질부; 및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이 첨가되고, 상기 흡연 물질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향미 물질은 클로브(clove) 추출물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0.4mm 이상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1.2mm 이하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은 다공성 구조를 갖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6. 제1 항에 있어서,
    KSM-1802에 의거하여 측정된 상기 향미 과립의 경도는 90% 이상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및 검(gum)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바인더로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스타치(starch)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바인더로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이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의 농도는 50% 이하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클로브 분말 및 담배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은 탑 스프레이(top spray) 기반의 1차 제조 공정과, 로터리 스프레이(rotary spray) 기반의 2차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품은,
    상기 흡연 물질부에 포함된 흡연 물질을 래핑하거나,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필터 물질을 래핑하거나 또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흡연 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래핑하는 래퍼(wrapp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미 과립은 상기 래퍼에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제1 필터부, 제2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고,
    상기 향미 과립은 상기 캐비티 내부에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질부는 클로브 물질을 포함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6. 휘발성 향미 물질을 포함하는 향미 과립이 첨가된 흡연 물질부; 및
    상기 흡연 물질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와 연결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향미 물질은 클로브(clove) 추출물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직경은 0.4mm 이하인,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과립의 제조 공정 중에 클로브 분말 및 담배 분말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첨가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 물질부는 클로브 물질을 포함하는,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KR1020190175144A 2019-12-26 2019-12-26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KR10238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44A KR102386074B1 (ko) 2019-12-26 2019-12-26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PCT/KR2020/003231 WO2021132801A1 (ko) 2019-12-26 2020-03-09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44A KR102386074B1 (ko) 2019-12-26 2019-12-26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18A true KR20210082818A (ko) 2021-07-06
KR102386074B1 KR102386074B1 (ko) 2022-04-12

Family

ID=7657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44A KR102386074B1 (ko) 2019-12-26 2019-12-26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6074B1 (ko)
WO (1) WO2021132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349A1 (ko) * 2021-09-06 2023-03-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물리성이 향상된 향료 시트,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240061060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168A (ko) * 2005-09-30 2008-06-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풍미된 궐련
KR20110089177A (ko) * 2009-01-08 2011-08-04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궐련용 필터
KR20160098213A (ko) * 2013-12-20 2016-08-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투과성 외부층을 구비한 향미 과립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180037619A (ko) 2010-03-26 2018-04-1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향미 비드를 갖는 플러그 공간 플러그 필터
KR20200057063A (ko) 2017-10-25 2020-05-25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제품을 위한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5974A1 (en) * 2012-02-13 2013-08-1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flavour-generating component
KR20150117243A (ko) * 2015-09-30 2015-10-19 한승희 유지류로 코팅된 향 성분을 함유하는 담배필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168A (ko) * 2005-09-30 2008-06-2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풍미된 궐련
KR20110089177A (ko) * 2009-01-08 2011-08-04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궐련용 필터
KR20180037619A (ko) 2010-03-26 2018-04-1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향미 비드를 갖는 플러그 공간 플러그 필터
KR20160098213A (ko) * 2013-12-20 2016-08-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투과성 외부층을 구비한 향미 과립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00057063A (ko) 2017-10-25 2020-05-25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제품을 위한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349A1 (ko) * 2021-09-06 2023-03-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물리성이 향상된 향료 시트,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240061060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801A1 (ko) 2021-07-01
KR102386074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450713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WO2015097187A1 (en) Flavourant containing material
KR102386074B1 (ko) 향 보존성이 개선된 흡연 물품
KR102386075B1 (ko) 생분해성 향상을 위한 가소제,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0712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AU2009294387A1 (en)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WO2015097189A1 (en) Flavour containing material
JPH08505051A (ja) フィルタシガレット
KR102386079B1 (ko) 클로브향 증진을 위한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EP3939440A1 (en) Sound-producing smoking article
KR102391290B1 (ko) 흡연 물품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조립체와 흡연 물품 패키지
KR102386081B1 (ko)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US10368576B2 (en) Additive carrying composition
KR102386080B1 (ko) 클로브향 증진을 위한 흡연 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0714B1 (ko) 소리가 발생되는 흡연 물품
WO2020201716A1 (en) Smoking article
KR102571393B1 (ko) 향 지속성이 개선된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513607B1 (ko)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KR102402070B1 (ko) 마우스피스 주변의 래퍼가 강화된 흡연 물품
KR102640562B1 (ko) 담배 냄새가 저감된 흡연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66512B1 (ko) 흡연물품 필터 및 이를 위한 보조 필터
KR20230036595A (ko) 소리 발생 향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MXPA06006443A (es) Articulo de tabaqu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