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22A - Rebound Check Device - Google Patents

Rebound Check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22A
KR20210081722A KR1020190173958A KR20190173958A KR20210081722A KR 20210081722 A KR20210081722 A KR 20210081722A KR 1020190173958 A KR1020190173958 A KR 1020190173958A KR 20190173958 A KR20190173958 A KR 20190173958A KR 20210081722 A KR20210081722 A KR 2021008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ound
pile
present
rebound check
che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1930B1 (en
Inventor
이준협
Original Assignee
이준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협 filed Critical 이준협
Priority to KR102019017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930B1/en
Publication of KR2021008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ound checking device comprising: a rebound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surface of a pil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rebound on the pile measured by the rebound measuring unit;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the rebound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and generating rebound data of the pile; and a display unit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the rebound data of the pile from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convenience of a user can be improved during the dynamic load test of the rebound checking device or pile driving, and the accuracy and credibility of dynamic load tests or pile driving can be improved by accurately measuring the rebound of piles and the intensity of vibration which are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of the piles, and using the measured values as basic data to accurately calculat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force to be applied to a drop weight, a hammer, etc. to hit a pile.

Description

리바운드 체크장치{Rebound Check Device}Rebound Check Device

본 발명은 리바운드 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 설치되는 말뚝에 대한 동재하 시험 시,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일의 리바운드와 진동의 세기 등을 편리하고 정확히 측정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말뚝 시공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리바운드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ound che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a dynamic load test for a pil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convenient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rebound and vibration strength of a pil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itting the pile, It relates to a rebound check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ile construction while improving ease of use.

최근 건축 구조물의 대형화 추세와 연약지반의 개발에 따라 깊은 기초 형식의 말뚝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말뚝은 건축 구조물의 전체 하중을 받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말뚝기초의 허용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Recently, the frequency of using deep foundation type piles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trend of enlargement of building structures and the development of soft ground. Since these piles receive the entire load of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very important to calculate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foundation for the safety of the structure.

말뚝기초의 허용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말뚝 재하시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말뚝 재하시험 방법이란 말뚝을 타설하고 난 후 하중을 가하여 말뚝의 극한하중이나 허용 침하량 이내에서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를 구하는 시험으로서 크게 정재하 시험과 동재하 시험으로 나눌 수 있다.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calculating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a pile foundation, but the pile load test method is generally used as the most reliable method. The pile load test method is a test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load that can be supported within the ultimate load or allowable settlement amount of the pile by applying a load after the pile is placed.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tatic load test and a dynamic load test.

동재하시험은 파동 방정식을 근거로하여 개발된 방법으로 말뚝 항타시에 발생되는 응력과 변형을 말뚝 항타 분석기로 측정하여 전산프로그램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또한, 동재하 시험은 시험 비용과 시간이 정재하 시험보다 적게 들고 다양한 분석자료를 얻을 수 있다The dynamic load test is a method developed based on the wave equation, and the stress and deformation occurring during pile driving are measured with a pile driving analyzer and analyzed with a computerized program. In addition, the dynamic load test requires less test cost and time than the static test, and various analysis data can be obtained.

종래의 동재하 시험 장치는 말뚝이 설치된 지면의 주변을 따라 말뚝의 헤드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상하로 작동하면서 말뚝의 헤드부위를 타격하는 해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항타분석기는 말뚝에 설치되는 측정게이지를 통해 측정데이터를 제공받은 후 이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말뚝의 두부에 해머의 낙하시 충격하중을 견딜 수 있는 쿠션부재를 올려놓은 후 동재하 시험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onventional dynamic load test apparatus comprises a guide frame installed to surround the head portion of the pi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ground on which the pile is installed, and a hammer that strikes the head portion of the pile while operating up and down on the guide frame. Afte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through the measurement gauge installed on the pile, it analyzes it. In addition, a dynamic load test may be performed after placing a cushion member capable of withstanding the impact load when the hammer is dropped on the head of the pile.

또한, 기존 재래식 동재하 시험에서는 리더기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윈치를 사용하여 타격용 해머를 자유낙하시켜 두부를 타격하여 시험 결과치를 측정하였다. 이 방식은 크레인에 걸친 해머가 지면과 별도로 고정하는 장치가 없어서 자유낙하한 해머가 파일두부 타격시 정확도가 매우 떨어졌으며, 실험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ynamic load test, the reader was lifted with a crane, and a hammer for striking was freely dropped using a winch to hit the head to measure the test result. In this method,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fixing the hammer across the crane separately from the ground, the accuracy of the free-falling hammer hitting the pile head is very poor, and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may be lowered.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안내로드가 배열되고, 상기 안내로드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안내로드를 고정하는 고정브래킷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하측 고정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안내로드 상에 수직낙하 가능토록 설치되는 낙하추와, 상기 낙하추에 구비되어 상기 낙하추가 지면과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안내로드 상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낙하추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형 낙하충격 시험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항타력이 커질 경우, 자립이 어려워져 말뚝의 동재하시험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s a related art in this regard, a plurality of guide rod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ain body having fixing brackets for fixing the guide rods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guide rods, and installed on the lower fixing brackets, A support leg that supports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a falling weight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fall vertically on the guide rod, a sensor provided in the falling weight to measure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when the falling weight collides with the ground, and the guide rod A movable drop impact test apparatus is disclosed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dropping weight and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limiting the height at which the falling weight is dropped, but when the driving force is increased, it is difficult to stand on its ow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dynamic load test of the pile.

한편, 말뚝 시공 시 말뚝의 항타 반발량과 관입량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주로 작업자가 측정지를 말뚝에 직접 대고 항타 시 직접 수기로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고발생 위험이 높고, 허리굽힘 자세, 쪼그려 않는 자세 등으로 인해 작업자가 각종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driving repulsion and penetration of piles during pile construction, in the past, a method was mainly used in which the operator placed the measuring paper directly on the pile and directly measured it manually when driving.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accident occurrence is high, and the worker may be exposed to various musculoskeletal diseases due to the waist bending posture and the squatting posture.

한국등록특허 제10-1383234호(등록일 2014.04.0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3234 (Registration Date 2014.04.02.) 한국등록특허 제10-1188004호(등록일 2012.09.2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004 (Registration Date: 2012.09.26.)

본 발명의 목적은 말뚝에 대한 동재하 시험 또는 말뚝 시공 시,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일의 리바운드와 진동의 세기 등을 정확히 측정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말뚝 시공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while accurately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rebound and vibration of the pil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riking the pile during a dynamic load test or pile construction, etc.,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ile construction. It is to provide a rebound check device that can be improv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는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리바운드 측정유닛, 상기 리바운드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상기 리바운드 정보를 입수하여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입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bound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il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bound information about the pile measured by the rebound measuring unit, and the rebound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rebound data of the stake by obtaining and a display unit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the rebound data of the stake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말뚝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의 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y a coupl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상기 측정유닛은 지면과 상기 말뚝에 설치된 측정유닛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pile.

상기 수신유닛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rebound information for the stake from the measurement unit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통해 상기 말뚝의 실시간 리바운드 데이터, 평균 반발량 데이터 최종 관입량 데이터 및 설정된 시공관리기준과 최종 관입량의 비교 데이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generates rebound data of a pi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al-time rebound data of the pile, average rebound amount data, final penetration data, and comparison data of set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s and final penetration amount through rebound information about the pile. can do.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는 동재하 시험 또는 말뚝 시공 시,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일의 리바운드와 진동의 세기 등을 정확히 측정하여 말뚝을 타격하기 위한 낙하추나 함마 등에 인가될 힘의 세기와 방향 등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동재하 시험 또는 말뚝 시공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rebound and vibration of the pil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riking the pile during the dynamic load test or pile construction, and the strength of the force to be applied to the dropping weight or hammer for striking the pile. By using it as basic data for accurately calculating the direction, et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ynamic load test or pile construc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의 항타시 리바운드 체크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항타 시공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수신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측정유닛 결합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말뚝 시공 과정에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사진 및 설명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말뚝 시공 과정에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사진 및 설명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표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bound check process when driving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a driving construction process to which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ement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of a rebound chec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the measuring unit coupling device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and description showing a procedure applied to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hotograph and description showing a procedure applied to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table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bound check test process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bound check test process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table showing a rebound check test related method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table showing a rebound check test related method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table showing a rebound check test related method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graph showing a rebound check experiment related method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graph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hotograph and graph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hotograph showing a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table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erical values are merely example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의 항타시 리바운드 체크과정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항타 시공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bound check process when driving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ure 2,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photograph showing the driving construction process is disclosed,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측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수신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나타내지는 데이터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측정유닛 결합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unit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data display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shown, and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measuring unit coupling device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말뚝 시공 과정에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사진 및 설명이 개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의 말뚝 시공 과정에 적용하는 절차를 나타낸 사진 및 설명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다.10 is a photograph and description showing the procedure applied to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Figure 11 is a pil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s and descriptions showing the procedure to be applied to are disclosed, Figure 12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tes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13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bound check test proces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hown, and FIG. 1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bound check test process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다.16 is a table showing a method related to a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showing a rebound check test related metho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disclosed, and FIG. 18 is a table showing a rebound check test related method in a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가 개시되어 있다.19 is a graph showing a method related to a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bles and graphs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rebound check experiment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re shown, and in FIG. 21, tables and graphs showing conditions related to rebound check experiments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has been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22 is a table and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shows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is shown, and 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사진 및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조건을 나타낸 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 개시되어 있다.25 is a photograph and graph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shows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is shown, and FIG. 2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2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pile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showing result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hown, and FIG. 3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rebound ch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device is shown, and in FIG. 33,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related user'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ture evaluation manual is shown.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사용자의 자세 평가 매뉴얼을 나타낸 표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를 이용한 말뚝 시공 과정에서 리바운드 체크실험 관련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3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a rebound check experiment in a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a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is a rebound ch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ble showing the user's posture evaluation manual related to the rebound check experimen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device is disclosed, and FIG. 36 is a rebound check experiment related result in the pil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 shown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는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리바운드 측정유닛, 상기 리바운드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상기 리바운드 정보를 입수하여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입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bound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bound information about the pile measured by the rebound measuring unit, the rebound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for obtaining and displaying the rebound data of the stake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rebound data of the stake by obtaining.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바운드 체크장치는 동재하 시험 또는 말뚝 시공 시, 작업자가 직접 수기로 말뚝의 리바운드를 측정하지 않고, 말뚝의 외주면에 리바운드 측정유닛을 설치하여 이러한 측정유닛과 수신유닛 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말뚝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안전하게 말뚝의 리바운드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말뚝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일의 리바운드와 진동의 세기 등을 정확히 측정하여 말뚝을 타격하기 위한 낙하추나 함마 등에 인가될 힘의 세기와 방향 등을 정확히 측정하여 동재하 시험 또는 말뚝 시공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rebound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rebound measurement uni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without the operator directly measuring the rebound of the pile manually during the dynamic load test or pile construction, such that the measur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control unit and display By making the units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operator can check the rebound of the pile safely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pile by a certain distan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strength of the rebound and vibration of the pil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itting the pile, etc.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ynamic load test or pile construction by accurately measuring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force to be applied to the dropping weight or hammer to hit the pile.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말뚝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의 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장치는 예를 들어, 원형 클램프 형식으로 말뚝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정센서를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말뚝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y a coupl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Such a coupling device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enables coupling of piles in a circular clamp type, for example, and a bracket capable of mounting a measurement senso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oupling device may be formed with a rubber cover so as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상기 측정유닛은 지면과 상기 말뚝에 설치된 측정유닛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닛은 말뚝에 결합된 측정유닛과 지면과의 상대적 거리를 통해 말뚝의 반발량과 관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외관광, 분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말뚝의 리바운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센서, 측정유닛의 구동을 위한 제어보드와 이차전지 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pile. The measurement unit includes an ultrasonic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repulsion and penetration of the pile through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unit coupled to the pile and the ground, so that it is not affected by external light, dust, etc. and stably of the pile Rebound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may be provided with a Bluetooth sens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control board for driving the measurement unit, a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상기 수신유닛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유닛은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신유닛의 구동을 위한 제어보드 등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rebound information for the stake from the measurement unit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the receiv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Bluetooth sensor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board for driving the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gether.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통해 상기 말뚝의 실시간 리바운드 데이터, 평균 반발량 데이터 최종 관입량 데이터 및 설정된 시공관리기준과 최종 관입량의 비교 데이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는 제어유닛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화면상에 구획이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generates rebound data of a pi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al-time rebound data of the pile, average rebound amount data, final penetration data, and comparison data of set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s and final penetration amount through the rebound information about the pile. can do. The rebound data of the pile generated in this way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and the divis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separated.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5)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리바운드 측정유닛;
상기 리바운드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상기 리바운드 정보를 입수하여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입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을 포함하는 리바운드 체크장치.
Rebound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bound information for the pile measured by the rebound measurement unit;
A control unit that obtains the rebound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unit to generate the rebound data of the pile; and
a display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rebound data of the stake from the control unit;
A rebound check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말뚝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구조의 결합장치에 의해 상기 말뚝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리바운드 체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unit is a rebound check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by a coupling device of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지면과 상기 말뚝에 설치된 측정유닛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리바운드 체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easuring unit is a rebound check device comprising an ultrasonic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measuring unit installed on the p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닛으로부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수신하는 리바운드 체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is a rebound check device for receiving the rebound information for the stake from the measurement unit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말뚝에 대한 리바운드 정보를 통해 상기 말뚝의 실시간 리바운드 데이터, 평균 반발량 데이터 최종 관입량 데이터 및 설정된 시공관리기준과 최종 관입량의 비교 데이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말뚝의 리바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리바운드 체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generates rebound data of a pi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al-time rebound data of the pile, average rebound amount data, final penetration data, and comparison data of the set construction management standard and the final penetration amount through the rebound information about the pile. rebound check device.

KR1020190173958A 2019-12-24 2019-12-24 Rebound Check Device KR102541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58A KR102541930B1 (en) 2019-12-24 2019-12-24 Rebound Chec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58A KR102541930B1 (en) 2019-12-24 2019-12-24 Rebound Check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22A true KR20210081722A (en) 2021-07-02
KR102541930B1 KR102541930B1 (en) 2023-06-08

Family

ID=7689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958A KR102541930B1 (en) 2019-12-24 2019-12-24 Rebound Check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9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998B1 (en) * 2022-08-25 2023-07-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f pile and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of pile using the same
KR102619685B1 (en) * 2022-11-04 2023-12-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pile including verticality measurement unit and method of calculating bearing capacity of driving pile using the sam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410U (en) * 1990-07-04 1992-03-11
JPH0633460A (en) * 1992-07-14 1994-02-08 Nkk Corp Automatic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bearing capacity of precast pile
JP2003119784A (en) * 2001-10-11 2003-04-23 Hitachi Ltd Pile driving system
JP2005264505A (en) * 2004-03-17 2005-09-29 Taisei Corp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for pile driving
KR100847096B1 (en) * 2007-03-02 2008-08-06 대림산업 주식회사 The foundation strength characteristic and the pile support power calculation method using driving penetration cone and this
JP2008256375A (en) * 2007-03-30 2008-10-23 Tsutsui Denshi:Kk Ultrasonic wave apparatus for measuring embedded length
KR101188004B1 (en) 2009-12-22 2012-10-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Loading Device For Pile Load Test
KR20140037636A (en) * 2012-09-19 2014-03-27 클리오주식회사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driving pile
KR101383234B1 (en) 2012-11-19 2014-04-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repeatedly horizontal load of pile and test method for horizontal load support force of pil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410U (en) * 1990-07-04 1992-03-11
JPH0633460A (en) * 1992-07-14 1994-02-08 Nkk Corp Automatic measuring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bearing capacity of precast pile
JP2003119784A (en) * 2001-10-11 2003-04-23 Hitachi Ltd Pile driving system
JP2005264505A (en) * 2004-03-17 2005-09-29 Taisei Corp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for pile driving
KR100847096B1 (en) * 2007-03-02 2008-08-06 대림산업 주식회사 The foundation strength characteristic and the pile support power calculation method using driving penetration cone and this
JP2008256375A (en) * 2007-03-30 2008-10-23 Tsutsui Denshi:Kk Ultrasonic wave apparatus for measuring embedded length
KR101188004B1 (en) 2009-12-22 2012-10-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Loading Device For Pile Load Test
KR20140037636A (en) * 2012-09-19 2014-03-27 클리오주식회사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driving pile
KR101383234B1 (en) 2012-11-19 2014-04-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repeatedly horizontal load of pile and test method for horizontal load support force of pile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998B1 (en) * 2022-08-25 2023-07-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f pile and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of pile using the same
KR102619685B1 (en) * 2022-11-04 2023-12-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pile including verticality measurement unit and method of calculating bearing capacity of driving pil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930B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051Y1 (en) Apparatus for measuring soil compaction
KR101447197B1 (en) Device of dynamic cone penetrometer test and measuring method of soil compaction using the same
KR101731070B1 (en) Drop-weight type instrumented Charpy impact tester
KR102541930B1 (en) Rebound Check Device
KR101739075B1 (en) Motor control vibration exciter for measuring dynamic stiffness of structure
KR101905446B1 (en) Dynamic loading test equipment for helix pile
CN106092479A (en) Slab and girder load identification and the multi-function test stand of non-destructive tests
CN109297472A (en) Levelling device and the supervision control method of super high-rise building engineering survey
KR102033506B1 (en) Rebound Check Device for Dynamic Loading Test and Measuring bearing capacity of soil of Pile
JP5483720B2 (en) Concrete compaction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CN207881832U (en) A kind of measurement device of the ground designated depth horizontal direction impedance,motional based on pulse excitation difference response analysis
CN207300531U (en) Oversize falling weight impact test device
KR101729285B1 (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dynamic stiffness of structure
JP2007138626A (en) Dynamic horizontal loading test method for pile
JP2004317406A (en) Light receiving jig for light wave measurement device
KR101519948B1 (en) Welding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779462B1 (en) Device for measuring modulus of dynamic elasticity And Method for measuring Thereof
CN108240003A (en) The pile foundation inspection method of existing building
CN104634689B (en) A kind of asphalt marshall compaction instrument metering device and its metering method
CN211453120U (en) Portable soil hardness detector
JP7297202B2 (en) Standard Penetration Test Apparatus
CN107476355A (en) A kind of building foundation detection means
CN102661780A (en) Vibration parameter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system for vibrating wheel in vibrating road roller
CN219840137U (en) Device for detecting bearing capacity of pile foundation of building engineering
JPH082481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stigation of ground by s-wave generation device and cone penetration device carried on ground investigatio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