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69A -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69A
KR20210079769A KR1020190171900A KR20190171900A KR20210079769A KR 20210079769 A KR20210079769 A KR 20210079769A KR 1020190171900 A KR1020190171900 A KR 1020190171900A KR 20190171900 A KR20190171900 A KR 20190171900A KR 20210079769 A KR20210079769 A KR 20210079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mposition
weight
glass
pres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건
김영석
류봉기
차재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769A/ko
Publication of KR2021007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phosphorus,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00Preparing the 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1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halogen or nitrogen
    • C03C3/11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halogen or nitrogen containing fluorine
    • C03C3/11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halogen or nitrogen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boron
    • C03C3/11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halogen or nitrogen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C03C8/08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containing phosphor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SiO2 50~70 중량%; P2O5 1~20 중량%; B2O3 1~15 중량%;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 및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포함하여,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GLASS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표면을 오염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글라스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 조성물은 코팅의 형태로 전자레인지와 오븐 또는 인덕션과 같은 조리기기에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은 조리기기의 표면, 도어의 내면 등에 적용되어 음식물이나 외부 오염물로부터 조리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여러 음식물이나 오염물이 조리기기의 표면에 묻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소금이 포함된 음식물이 조리기기의 표면에 묻고, 조리기기의 표면이 가열되면, 조리기기 표면이 하얗게 변하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백화 현상은 소금이 포함된 음식물과 글라스 코팅의 반응에 의해서 일어나게 된다. 백화 현상에 의해 발생된 하얀 오염물은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글라스 코팅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신규의 글라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학성이 극대화된 신규의 법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고온에서 소금을 포함하는 오염물과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알칼리 성분의 비율을 최소화하고 불화물을 적정 성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SiO2, P2O5, B2O3, 포함하고,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Na2O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내화학성 및 내구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과,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 및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신규의 성분계를 가짐에 따라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글라스 내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조리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글라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법랑 조성물은 SiO2 50~70 중량%; P2O5 1~20 중량%; B2O3 1~15 중량%;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 및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포함한다.
SiO2는 유리 구조를 형성하고 유리 구조의 골격을 강화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SiO2는 50~70 중량%의 범위에서 글라스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SiO2가 70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내화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SiO2가 50 중량% 미만이면 유리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P2O5는 SiO2와 마찬가지로 유리의 구조를 형성하는 성분이다. P2O5는 SiO2 보다 유리 구조의 골격을 강화하는 능력은 부족하지만 유리가 용융할 때 점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P2O5는 1~20 중량%의 범위에서 글라스 조성물에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이 상기 P2O5를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유리화가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P2O5가 1 중량% 미만이면 유리의 구조가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B2O3은 유리 형성제로서 역할을 하며. 상기 글라스 조성물의 각 성분들이 균일하게 녹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또한, B2O3은 상기 글라스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와 Fusion flow를 조절하여, 코팅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B2O3은 법랑의 소성 공정 시 적정한 점도를 유지하게 하며 글라스 조성물이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B2O3 -는 1~15 중량%의 범위에서 글라스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B2O3가 15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청소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B2O3가 1 중량% 미만이면 유리 조성이 붕괴되거나, 유리 조성물의 결정화가 발생될 수 있다.
K2O, CaF 및 AlF3는 글라스 조성물의 용융점을 낮추고 용융 중에 글라스의 점도를 감소시켜 유리화를 용이하게 하는 성분이다. 통상의 글라스 조성물은 유리의 용융화를 위해서 Li2O, Na2O 및 K2O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백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을 적정 함량 포함한다. 글라스 조성물의 Na 성분과 같은 알칼리 성분이 소금을 포함하는 오염물과 접촉하여 백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알칼리 성분의 비율을 최소화하고 불화물 성분을 이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Na의 산화물이나 Na의 불화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을 1~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글라스 조성물의 내열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이 1 중량% 미만이면 유리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백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알칼리 성분의 비율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알칼리 성분 대신 MoO3 및 Bi2O3를 포함하여 유리화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을 1~10 중량% 포함한다.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이 1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반대로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이 1중량% 미만이면 유리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gO, CaO, BaO 및 SnO는 열팽창계수, 내열성, 소성 온도와 같은 열물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을 1~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타 성분의 첨가를 방해하여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이 1 중량% 미만이면 열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2O3 및 ZnO는 포스페이트계 유리의 약한 내구성을 보완하고 코팅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을 1~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투광성이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이 1 중량% 미만이면 코팅의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iO2, ZrO2, CeO2는 유리의 내구성을 보완하고 코팅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을 1~1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투광성이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이 1 중량% 미만이면 코팅의 물리적, 화학적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글라스 조성물은 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신규의 조성비를 가짐으로써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SiO2 50~70 중량%; P2O5 1~20 중량%; B2O3 1~15 중량%;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 및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멜팅하는 단계; 상기 멜팅된 조성물 재료를 퀀칭하여 글라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충분히 혼합한 후, 상기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멜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재료가 1200~1500℃의 온도범위에서 멜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랑 조성물 재료가 1~2시간 동안 멜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멜팅된 조성물 재료는 칠러 등이 사용되어, 퀀칭 롤러에 의해 급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글라스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의 일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체는 금속 플레이트, 유리 플레이트, 조리기기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기의 도어의 내면에 코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11),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4) 및 도어 글라스(14'),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적어도 1개의 가열원(13, 15, 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11)는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13,15,16)은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컨벡션 어셈블리(13), 상기 캐비티(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히터(15), 및 상기 캐비티(1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히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15) 및 상기 하부 히터(16)는 상기 캐비티(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원(13, 15,16)이 반드시 상기 컨벡션 어셈블리(13), 상부 히터(15) 및 하부 히터(16)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열원(13,15,16)은 상기 컨벡션 셈블리(13), 상부 히터(15) 및 하부 히터(1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건식 공정 또는 습식 공정에 의해 상기 도어 글라스(14')의 내면에 코팅될 수 있다.
건식 공정에는, 상기 글라스 조성물 재료가 유기 바인더에 분산되고 상기 재료와 유기 바인더가 볼 밀에서 밀링된 유리 프릿(frit)이 이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습식 공정에는, 상기 글라스 조성물 재료가 물(H2O)과 안료(Pigment)에 분산되고, 혼합된 상기 법랑 조성물 재료와 물(H2O), 안료(Pigment)는 볼 밀에서 밀링된 유리 프릿(frit)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건식 공정 및 상기 습식 공정에 따른 상기 유리 프릿(frit)은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대상물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frit)은 600~900℃의 온도범위에서 100~450초 동안 소성되어 코팅층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은 유리 플레이트 및 상기 유리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코팅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태양을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는 글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원재료들을 V-혼합기(V-mixer)에서 3시간 동안 충분히 혼합하였다. 여기서, Na2O, K2O, Li2O, BaO, CaO의 원재료는 각각 Na2CO3, K2CO3, Li2CO3, BaCO3, CaCO3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성분은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혼합된 재료를 1300℃에서 1시간 30분 동안 충분히 용융시키고, 퀀칭 롤러(quenching roller)에서 급냉 시킨 후 유리 컬릿을 수득하였다.
상기 과정으로 수득한 유리 컬릿을 분쇄기(ball mill)로 초기 입도를 제어 후 젯밀을 이용하여 약 5시간 동안 분쇄 후 325 메쉬 시브(ASTM C285-88)에 통과시켰다. 상기 메쉬 시브를 통과하지 못한 프릿이 1g 내지 3g 남아있는 정도로 입도를 제어하였고, 상기 메쉬 시브를 통과한 분말을 글라스 조성물 프릿(frit)으로 사용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SiO2 58.5 57.2 64.5 60.7 50.2
P2O5 16.2 11.4 8.1 0 11.4
B2O3 9.7 7.6 7.4 13.2 7.6
Na2O  0 0 0 14.4 8.6
K2O 6.1 7.2 5.2 0 6.1
AlF3 1.6 0 2.3 0 0
CaF2  0 0 1.2 0 0
MgO  0 0 2.3 0 0
Al2O3  0 5.3 2.8 11.7 5.3
CaO  0 0.8 0 0 0.4
TiO2  0 0 0.4 0 0
ZnO  0 3.2 0 0 3.1
ZrO2  0 0 0 0 0
MoO3 6.6 4.8 3.8 0 4.8
SnO  0 1.2 0 0 1.2
BaO  0 0 2 0 0
Bi2O3 1.3 0 0 0 0
CeO2 58.5 1.3 0 0 1.3
<글라스 조성물 시편 제조>
위와 같이 제조된 프릿들을 100Х100(mm) 및 두께 1(mm) 이하의 금속 시트에 4g 가량 올려두고 손을 이용해서 간이 코팅하였다. 이러한 시편을 700 ~ 90℃의 온도조건에서 300초 내지 450초 동안 소성하였다.
< 실험예 - 백화 현상 발생 여부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 대해 하기와 같이 백화 현상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편 표면을 에틸 알콜로 씻고 하기 평가 용액을 스포이드로 적가하여 550±3(℃)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상기 시편들을 물로 씻은 후 마른 천으로 닦은 다음 백화 현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평가 용액 : 무수 탄산나트륨 (KSM8267) 10(g)을 100(ml)의 증류수에 용해한 용액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시편에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달리 비교예 1, 2에 따른 시편의 표면에는 백화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 조리기기
11 : 캐비티
12 : 조리실
13 : 컨벡션 어셈블리
14 : 도어
14' : 도어 글라스
16 : 하부 히터
17 : 코팅층

Claims (10)

  1. SiO2 50~70 중량%;
    P2O5 1~20 중량%;
    B2O3 1~15 중량%;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 및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5. SiO2 50~70 중량%;
    P2O5 1~20 중량%;
    B2O3 1~15 중량%;
    K2O, CaF 및 AlF3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 및
    MoO3 및 Bi2O3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료를 멜팅하는 단계; 및
    상기 멜팅된 재료를 퀀칭하여 글라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MgO, CaO, BaO 및 SnO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Al2O3 및 ZnO 가운데 1종 이상 1~1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TiO2, ZrO2, CeO2 가운데 1종 이상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면에 코팅되고 제1항의 글라스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유리 플레이트 및
    상기 유리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코팅되고 제1항의 글라스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90171900A 2019-12-20 2019-12-20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79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00A KR20210079769A (ko) 2019-12-20 2019-12-20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00A KR20210079769A (ko) 2019-12-20 2019-12-20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69A true KR20210079769A (ko) 2021-06-30

Family

ID=7660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00A KR20210079769A (ko) 2019-12-20 2019-12-20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7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0766B2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102216663B1 (ko) 유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1437219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519215B1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KR102577445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2662340B1 (en)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101476501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EP3357877B1 (en) Enamel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of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NO123379B (ko)
KR20130125907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40115562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118456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180089986A (ko) 유리 조성물 및 조리기기
EP3699154A1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20210007296A (ko) 항균 글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01201B2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102547835B1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73335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US20230406756A1 (en) Enamel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enamel composition, and cooking appliance
KR20210079769A (ko) 글라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8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102623353B1 (ko) 법랑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조리기기
KR102582133B1 (ko) 복합기능 유리 코팅막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210093117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
KR20210093116A (ko) 법랑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