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75A -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 Google Patents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75A
KR20210079675A KR1020190171703A KR20190171703A KR20210079675A KR 20210079675 A KR20210079675 A KR 20210079675A KR 1020190171703 A KR1020190171703 A KR 1020190171703A KR 20190171703 A KR20190171703 A KR 20190171703A KR 20210079675 A KR20210079675 A KR 20210079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transaction
blockchain
representative nod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385B1 (ko
Inventor
전우직
윤대일
김성중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주)유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미테크 filed Critical (주)유미테크
Priority to KR102019017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89Hierarchical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블록체인들을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 블록체인은 적용분야에 따라 일정한 규모로 제한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개별 블록체인의 참여노드 중 하나를 대표노드로 선출하고, 이 대표노드에 참여자들의 자산, 자원 그리고 위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대표노드는 위임 받은 자산, 자원, 권한을 통합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들의 계층구조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대표노드는 블록체인 내부의 트랜잭션들을 상위 블록체인과 연동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상위 블록체인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대표노드를 선출하여 차 상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재귀적 (Recursive) 방식을 통하여 블록체인의 계층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개별 블록체인은 성능을 유지하면서 통합적으로는 무제한의 확장이 가능한 방안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Method for Hierarchically Structuring Blockchains via Delegate Node}
본 발명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독립적인 블록체인들을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개별 블록체인은 적용분야에 따라 일정한 규모로 제한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개별 블록체인의 참여노드 중 하나를 대표노드로 선출하고, 이 대표노드에 참여자들의 자산, 자원 그리고 권한을 위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대표노드는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들의 계층구조가 구축되도록 대표노드의 구조와 기능요소가 정해질 수 있다.
블록체인은 암호화폐 BitCoin의 기반기술로 등장한 분산 원장(Ledger)기술로서 트랜잭션들을 블록 단위로 연결(chaining)하여 일단 완료되면 변경이나 수정이 불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블록체인은 한 노드가 제안한 트랜잭션들이 블록에 수록되고 이 블록이 기존의 블록에 연결되어 모두가 공유하는 원장에 기록되는 방식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Trustworthy)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 과정에서 제안된 트랜잭션이나 새로이 생성되는 블록들이 다른 모든 노드로 전파되는데 지연이 발생한다. 이 전파지연으로 인하여 두 개 이상의 노드가 서로 새로운 블록을 원장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분기(Fork)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길이가 가장 긴 연결만이 선택되고 그 외의 블록은 고아(Orphan)블록으로 처리되어 폐기된다.
전파지연의 문제는 특정 노드가 다른 노드에서 새로이 생성된 블록이 도착하기 전 자신의 블록을 생성하여 결과적으로 고아블록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효과는 해당 블록이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에게 전달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 후에 발생된다. 이는 블록체인 성능의 심각한 저하를 초래한다.
초당 트랜잭션 수(TPS: Transactions Per Second)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블록에 더 많은 트랜잭션을 담기 위하여 블록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블록 전파 시간이 길어지므로 성능 향상의 한계가 있다. 블록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트랜잭션의 해쉬(Hash)값만을 싣는 축약블록(Comapact Block) 방식은 필요할 경우 원래의 트랜잭션을 복원해주는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 이 방식으로 블록체인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확장성의 보장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블록체인의 일부 노드들을 shard라는 단위로 그룹핑하고 shard에 속한 노드는 해당 shard에 속한 트랜잭션만을 처리하고 다수의 shard들이 병렬적으로 수행되어 전체적인 트랜잭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sharding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은 트랜잭션의 병행처리를 통하여 확장성 문제에 대한 해결 방향은 제시하였으나 Shard간의 합의방식, Shard간이 통신문제 등 새로이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한 복잡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전파지연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제안된 연계 (Relay) 네트워크 방식은 종래의 느린 P2P 전파방식 대신 연계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연계 네트워크는 상호 연결된 서버들로 구성되어 한 서버에 전파된 정보 다른 모든 서버로 브로드캐스트 (Broadcast)되고 이들 서버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 신속히 전파되는 방식으로 전파지연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방식에서는 전파지연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으나 이는 블록체인이 연계 네트워크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연계 네트워크가 특정 노드에 대한 차별 없이 공정하게 동작하는 경우에만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독립적인 노드들의 합의에 의하여 신뢰가 구축되는 블록체인의 원래 철학에 위배된다.
병행체인 (Parallel Chain) 방식은 다수의 부 체인(Side Chain)들이 주 체인(main Chain)에서 에서 분리되어 (off-the-main-chain)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각 부 체인이 독립적인 네트워크와 합의과정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운용되다가 해당 채널이 완료되면 주 체인에 결과를 반영한다. 이는 주 체인을 중심으로 부 체인을 주변으로 하는 hub-and-spoke 방식으로 다수의 병행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주 블록의 부하를 줄여주고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향상시켜준다. 그러나 이 방식은 다수의 블록체인이 병행 수행하여 성능을 높일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블록체인 간의 상호 의존적인 트랜잭션으로 인하여 성능향상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서로 상이한 블록체인을 연동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하,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인이 국가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나온 결과물로서 출원번호 제10-2019-0136050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대표노드를 선출 및 해임하는 자동화된 방법" 출원발명이 있다. 이 출원발명은 본 발명인 대표노드로 블록체인을 계층적으로 재귀적 구조화하는 기술적 사상과 맥을 같이하는 발명이나 대표노드를 선출 및 해임하는 것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을 다루고 있다. 다른 결과물로서는, 출원번호 제10-2019-0153207호 "서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간 트랜잭션 전송 방법" 발명이 있다. 이 출원발명 역시 본 발명인 대표노드로 블록체인을 계층적으로 재귀적 구조화하는 기술적 사상과 맥을 같이하는 발명으로서 트랜잭션 전송에 세부적으로 특화되어 서술되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1949712 "계층화되고 확률적인 대표자 선출에 의한 노드증명방식의 합의과정과 대가 배분과정을 가지는 블록체인 생성 방법"에는 하나의 블록체인 내에서 대표자 노드를 선정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는 대표노드가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 관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들을 계층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출원번호 제10-2019-0136050호 출원번호 제10-2019-0153207호 등록특허공보 10-1949712 (2019.02.19 공고)
본 발명은 블록체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필연적으로 초래되는 전파지연의 증가와 이에 따른 성능저하 문제를 개별 블록체인의 규모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성능저하를 피하고 다수의 블록체인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확장성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 블록체인에서 대표노드를 선출하고 선출한 대표노드가 해당블록체인의 참여자들로부터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 관리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하나의 노드로서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의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표노드는,
참여자가 대표노드에 자신의 자산, 자원 및 권한의 일부 혹은 전부를 대표노드에 위임하거나, 대표노드로서 다른 참여자로부터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참여자로 참여하는 위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표노드는
다양한 블록체인에 접속하기 위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내부 메커니즘에 무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접속 모듈; 및
한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외부 트랜잭션이 다른 블록체인을 경유하여 최종목적지 블록체인에 전달하기 위하여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보내는 내포 트랜잭션 기능과 경유 블록체인으로부터 내포 트랜잭션을 받았을 경우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하는 트랜잭션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접속 모듈은 각 블록체인에 종속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별 블록체인 접속부들과 인터페이스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고,
상기 트랜잭션 연동 모듈은 특정 블록체인에 종속적이지 않은 독립 인터페이스(Blockchain Independent Interface)로 상기 블록체인 접속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특수성과 무관하게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연동 모듈은,
수신된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인 경우,
트랜잭션 인캡슐레이션(Transaction Encapsulation)이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해당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경유 블록체인에 전파하고,
트랜잭션 디캡슐레이션(Transaction Decapsulation)이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이를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연동 모듈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페이로드에 싣거나 내포 트랜잭션에서 외부트랜잭션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두 블록체인의 자산이 상이할 경우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산변환(Asset Conversion)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을 제공한다.
대표노드가 두 가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의 상호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와 유사하지만 대표노드는 한 블록체인의 트랜?Ъ퓽? 다른 블록체인으로 전파하는 게이트웨이와 달리 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이 완료되고 이들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의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운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재귀적 구조는 내부적으로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외부 형상을 가지는 단일 노드로 추상화하여 상위 계층 블록체인의 구성원으로 참여함으로써 궁극적인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확장성에 대한 해결책은 부가 기능이 블록체인의 체인내부에 구축되는 1계층 해법과 기존 블록체인 기능 위에서 구현되는 2계층 해법으로 구분된다. 1계층 해법은 블록체인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므로 기존의 블록체인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블록체인의 기능의 수정 없이 부가 기능의 추가만으로 확장성을 보장하는 2계층 해법을 제시한다.
개별 블록체인의 기능을 개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수직적 해법이라 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규모나 참여자의 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수평적 해법이라 한다. 수직적 해법은 개별 블록체인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확장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주어진 블록체인의 능력에 적합한 규모의 네트워크와 적절한 참여자 수로 제한하여 성능을 보장하고 개별 블록체인들을 구조화하여 전반적인 확장성 보장하는 수평적 방식을 제시한다.
주 체인의 기능을 이용하여 부 체인을 생성하고 여기에 주 체인에서 파생된 자산과 역할을 부 체인으로 분배한 후 주어진 환경에서 부 체인이 동작하고 그 결과가 주 체인에 주기적으로 반영되는 기존의 Bottom-Up방식은 부 체인의 자율성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개별 블록을 용도에 따라 구축하고 이 블록체인을 대표하는 대표노드를 선정하여 다른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는 Bottom-Up방식을 채택한다. 이 방식에서는 개별 블록체인이 자신의 필요나 참여하고자 하는 블록체인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참여나 탈퇴를 한다는 점이다. 이런 기능은 이미 시장에 등장한 다양한 블록체인 뿐 아니라 미래에 등장할 블록체인도 대상 블록체인의 기능을 장착한 대표노드만 제공되면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게 되므로 새로운 블록체인으로 이동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 블록체인의 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 블록체인의 참여노드들이 대표노드에게 자신의 권리, 자원, 자산을 위임하고, 대표노드는 위임된 권리, 자원, 자산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단일 노드로 참여하는 구조는 해당 블록체인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하나의 블록체인은 내부의 메커니즘과 무관하게 외부적으로는 하나의 노드처럼 동작하므로 외부와 무관하게 블록체인 내부가 수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개별 블록체인 유지나 진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도 1은 하위 블록체인의 노드 중 하나가 대표노드로 선출되고, 이 대표노드가 상위 블록체인에 하위 블록체인 전체를 대표하는 하나의 노드로서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들의 계층 구조가 구축되는 사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블록체인의 대표노드의 기능요소를 도시한다.
도 3은 개별 블록체인의 특수성을 감추고 추상화된 블록체인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블록체인 내부의 트랜잭션을 외부 블록체인으로 전송하거나 외부 블록체인에서 수신된 외부 트랜잭션을 내부로 전달하는 트랜잭션 연동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참조예 및 도면에 기술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확장에 따른 전파지연의 문제를 트랜잭션/블록의 전파 방식의 개선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재귀적 (Recursive) 계층구조로 해결한다.
개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추상화는 해당 네트워크의 자산의 통합, 네트워크 참여자의 권리의 위임, 대표자의 선출, 대표자의 감시 및 변경, 트랜잭션의 통합 등 다양한 기능을 제시한다.
개별 블록체인의 특정 노드는 해당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다른 노드의 권한이나 자산을 위임 받아 다른 블록체인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내의 전체 혹은 일부의 권한을 위임 받은 노드를 대표노드(Delegate Node)라 한다.
대표노드의 선출 방식은 블록체인의 유형에 따라 투표방식과 임의 위임 방식이 선택된다. 블록체인의 참여자가 결정되어 있는 허가형(Permissioned) 블록체인인 경우 등록된 참여자들의 투표에 의하여 선출되고, 참여자가 결정되어 있지 않고 누구나 참여가 허용되는 비허가형(Permissionless) 블록체인인 경우에는 각 참여자의 자발적 위임에 의하여 대표노드가 선정되기도 한다.
선출 혹은 선정된 대표노드는 참여 노드들로부터 권한과 자산의 전부 혹은 일부를 자발적으로 위임 받고 이것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한다. 대표의 선출과 감시, 권한 및 자신의 위임, 작업과 이익의 분배 등 일련의 과정은 위임(Delegation) 프로토콜을 통하여 수행된다.
대표노드는 위임 받은 권리와 자산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의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자신이 대표하고 있는 블록체인의 작업을 대행한다. 따라서 대표노드는 자신이 대표하고 있는 블록체인의 기능과 대표노드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는 다른 블록체인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개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트랜잭션은 전파지연의 문제가 없는 제한된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완료되고(commit), 완료된 트랜잭션들은 블록체인의 대표로 선출된 대표자(Delegate)에 의하여 통합되어 새로운 트랜잭션으로 만들어져 상위계층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출되며 이 과정은 재귀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기존의 블록체인 기능을 가진 노드에 위임 프로토콜 (Delegation Protocols)을 추가하여 유권자 노드 (Voting Node)를 구성하고, 이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표 노드가 선출된다.
대표노드는 유권자 노드로부터 위임 받은 권리 및 자산을 통합하고 이 통합된 자산과 권리를 기반으로 다른 블록체인에 참여한다. 이 경우 원래의 블록체인에서는 대표노드의 역할을 새로이 참여하는 블록체인에서는 다시 유권자 노드 역할을 담당한다.
대표노드는 기존 블록체인의 자산과 권리를 관리하거나 새로운 다른 블록체인의 작업 (예: Mining)에 참여하고 필요한 작업을 유권자 노드에 분배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이익을 분배하는 기능도 가능하다.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은 그 영향이 해당 블록체인 내부로 한정되는 내부 트랜잭션(Internal Transaction)과 블록체인 외부로 확장되는 외부 트랜잭션(External Transaction)으로 구분된다. 내부 트랜잭션은 기존의 블록체인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외부 트랜잭션은 다른 블록체인을 경유하여 전달된다. 대표노드는 외부 트랜잭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다른 블록체인으로 전달한다.
이를 내포 트랜잭션(Embedded Transaction)이라 한다. 대표노드가 다른 블록체인에서 내포 트랜잭션을 수신한 경우 해당 블록체인의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자신의 블록체인으로 전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대표노드의 구성 및 기능 그리고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구조화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Blockchain #1의 참여 노드 중 하나가 대표노드로 선출되어 Blockchain #3에 참여한다. 마찬가지로 Blockchain #2의 한 노드도 대표노드로 선출되어 blockchain #3에 참여한다. Blockchain #3는 블록체인을 대표하는 노드도 일반 노드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Blockchain #3도 동일한 방식으로 대표노드를 선출하고, 이 대표노드가 Blockchain #4에 참여한다. 이 과정은 재귀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1에서 선출된 대표노드는 해당 블록체인의 참여 노드로부터 자산, 자원, 권한을 위임 받고, 위임 받은 자산, 자원, 권한을 통합하여 상위 블록체인의 참여 노드로 참여한다. 상위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을 대표하여 참여한 대표노드도 일반 노드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도 2에서 대표노드로 선출될 자격을 가진 노드를 후보노드라 하고 다음과 같은 기능모듈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노드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거나 노드의 상태나 실행을 표시해 주는 기능모듈이다.
'참여자 관리'는 블록체인의 참여자의 목록을 관리하고 새로운 참여자를 받아들이거나 기존 참여자를 탈퇴시키는 기능 모듈이다.
'식별자 기반 통신'은 참여자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트랜잭션이나 블록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기능 모듈이다.
'투표'는 대표노드가 되고자 하는 후보노드가 투표요청을 하고 과반수 이상의 투표를 수신하여 대표노드로 선출되거나 다른 후보노드로부터 투표요청에 응답하여 투표하는 기능모듈이다.
'위임'은 참여자가 대표노드에 자신의 자산, 자원, 권한의 일부 혹은 전부를 대표노드에 위임하거나, 대표노드로서 다른 참여자로부터 위임 받은 자산, 자원, 권한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참여자로 참여하는 기능 모듈이다.
'블록체인 접속'은 다양한 블록체인에 접속하기 위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내부 메커니즘에 무관하게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블록체인을 용이하게 수용하는 기능 모듈이다.
'트랜잭션 연동'은 한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외부 트랜잭션이 다른 블록체인을 경유하여 최종목적지 블록체인에 전달하기 위하여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보내는 내포 트랜잭션 기능과 경유 블록체인으로부터 내포 트랜잭션을 받았을 경우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하는 기능모듈이다.
도 3에서 각 블록체인에 종속적인 인터페이스(blockchain Dependent Interface)를 통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는 개별 블록체인 접속부 (Blockchain #1 ~ Blockchain #N 접속부)를 기반으로 특정 블록체인에 종속적이지 않은 공통 기능을 블록체인 독립 인터페이스(Blockchain Independent Interface)로 추상화하여 트랜잭션 연동 모듈이 개별 블록체인의 특수성과 무관하게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 트랜잭션 연동은 한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외부 트랜잭션이 경유 블록체인을 통하여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먼저 블록체인 연동부에서 수신된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인 경우 트랜잭션 인캡슐레이션(Transaction Encapsulation)는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해당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경유 블록체인에 전파한다.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경우 이를 내포 트랜잭션(Embeded Transaction)이라 한다. 목적지 블록체인의 대표노드가 내포 트랜잭션을 수신한 경우 트랜잭션 디캡슐레이션(Transaction Decapsulation)은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이를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한다.
외부 트랜잭션을 페이로드에 싣거나 내포 트랜잭션에서 외부트랜잭션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두 블록체인의 자산이 상이할 경우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산변환(Asset Conversion)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개별 블록체인에서 대표노드를 선출하고 선출한 대표노드가 해당블록체인의 참여자들로부터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 관리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하나의 노드로서 참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의 계층구조를 구성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표노드는,
    참여자가 대표노드에 자신의 자산, 자원 및 권한의 일부 혹은 전부를 대표노드에 위임하거나, 대표노드로서 다른 참여자로부터 위임 받은 자산, 자원 및 권한을 통합하여 다른 블록체인에 참여자로 참여하는 위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대표노드는
    다양한 블록체인에 접속하기 위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내부 메커니즘에 무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접속 모듈; 및
    한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외부 트랜잭션이 다른 블록체인을 경유하여 최종목적지 블록체인에 전달하기 위하여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보내는 내포 트랜잭션 기능과 경유 블록체인으로부터 내포 트랜잭션을 받았을 경우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하는 트랜잭션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접속 모듈은 각 블록체인에 종속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개별 블록체인 접속부들과 인터페이스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고,
    상기 트랜잭션 연동 모듈은 특정 블록체인에 종속적이지 않은 독립 인터페이스(Blockchain Independent Interface)로 상기 블록체인 접속 모듈과 인터페이스하여 개별 블록체인의 특수성과 무관하게 블록체인의 기능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연동 모듈은,
    수신된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인 경우,
    트랜잭션 인캡슐레이션(Transaction Encapsulation)이 경유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 해당 외부 트랜잭션을 실어서 경유 블록체인에 전파하고,
    트랜잭션 디캡슐레이션(Transaction Decapsulation)이 이 트랜잭션의 페이로드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이를 목적지 블록체인에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연동 모듈에서,
    외부 트랜잭션을 페이로드에 싣거나 내포 트랜잭션에서 외부트랜잭션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두 블록체인의 자산이 상이할 경우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산변환(Asset Conversion)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화 방법.
KR1020190171703A 2019-12-20 2019-12-20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KR10228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03A KR102281385B1 (ko) 2019-12-20 2019-12-20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703A KR102281385B1 (ko) 2019-12-20 2019-12-20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75A true KR20210079675A (ko) 2021-06-30
KR102281385B1 KR102281385B1 (ko) 2021-07-23

Family

ID=7660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703A KR102281385B1 (ko) 2019-12-20 2019-12-20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101949712B1 (ko) 2018-06-29 2019-02-19 (주) 와이즈엠글로벌 계층화되고 확률적인 대표자 선출에 의한 노드증명방식의 합의과정과 대가 배분과정을 가지는 블록체인 생성 방법
KR20190119920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서로 다른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36050A (ko) 2017-03-31 2019-12-09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050A (ko) 2017-03-31 2019-12-09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안경 렌즈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20190119920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서로 다른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9712B1 (ko) 2018-06-29 2019-02-19 (주) 와이즈엠글로벌 계층화되고 확률적인 대표자 선출에 의한 노드증명방식의 합의과정과 대가 배분과정을 가지는 블록체인 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슈퍼노드 지분증명", 해시넷, http://wiki.hash.kr/index.php?title=슈퍼노드_지분증명&oldid=142108(2019.09.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85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r Dwivedi et al. Blockchai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5G‐enabled Internet of Things: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solutions
US20240048376A1 (en) Methods and systems implemented in a network architecture with nodes capable of performing message-based transactions
Poon et al. Plasma: Scalable autonomous smart contracts
JP720816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ラージ・ブロックを管理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システム及び方法
Yun et al. DQN-based optimization framework for secure sharded blockchain systems
JP7165148B6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整合性のある分散型メモリプール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90149600A1 (en) Partitioning of a blockchain ledger
Fotia et al. Trust in edge-based internet of things architectures: state of the art and research challenges
CN110417558A (zh) 签名的验证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Hassanzadeh-Nazarabadi et al. Lightchain: A dht-based blockchain for resource constrained environments
CN110490305A (zh) 基于区块链网络的机器学习模型处理方法及节点
US20230299984A1 (en) Blockchain-based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231299A (zh) 一种链路由及实现区块链跨链通信的系统
Fersi Fog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in one building block: A survey and an overview of interacting technologies
US20120296995A1 (en) Network-Application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CN106341416B (zh) 一种多级数据中心的访问方法及多级数据中心
Hu et al. Analyzing smart contract interactions and contract level state consensus
CN113821564A (zh) 异构并行区块链及其链上数据与链下合约协同方法
CN108197959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快速验证池、快速验证系统及操作方法
CN10944760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链货币兑换方法、装置、设备和介质
Alrehaili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scalability issues within blockchain-based solu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Aviv Th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s development platform for distributed information systems
Li et al. Three-dimensional tradeoffs for consensus algorithms: A review
Jose et al. Integrating big data and blockchain to manage energy smart grids—TOTEM framework
KR102281385B1 (ko) 대표노드를 통한 블록체인 계층적 구조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