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616A -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616A
KR20210079616A KR1020190171596A KR20190171596A KR20210079616A KR 20210079616 A KR20210079616 A KR 20210079616A KR 1020190171596 A KR1020190171596 A KR 1020190171596A KR 20190171596 A KR20190171596 A KR 20190171596A KR 20210079616 A KR20210079616 A KR 2021007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ntibiotic
present
antibacterial
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아름
Original Assignee
현진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이엔지(주) filed Critical 현진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9017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616A/ko
Publication of KR2021007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635Antibio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의 기재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하여 제조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가 세포 독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방부용 조성물, 항생용 약학적 조성물, 병원성 세균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항생용 식품첨가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Novel antibacterial peptide using peptide derived from Styela clava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미더덕의 조직에서 분리된 히스티딘(Histidine)이 많이 함유한, 2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서열번호 1로 기재된 펩타이드를 5번과 12번에 위치된 이소루이신(Isoleucine)을 라이신(Lysine)으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된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 및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생제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에 의한 신체활동의 감소는 면역력의 저하를 초래해 박테리아, 곰팜이, 기생충 등과 같은 미생물 감염으로부터 각종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Clark GC et 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58, 977, 2009),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다양한 약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약물의 오·남용은 병원균의 저항성을 증가시켰다. 특히 superbugs로 불리우는 VRE (vancomysin resistant enterococci),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MDRP(multidrug-resistant pathogens)의 증가는 현재 전 세계적인 관심의 대상이다(Jabra-Rizk. et al M. A, PloS pathog, 6 2010, Woo. J. et al J. Food Prot., 73, 2285, 2010).
이러한 항생제의 저항성(resistance)의 증가는 최초 1970년대에 뉴모코커스(Pneumococcus sp.)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페니실린의 작용 기작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Tomasz et al., Nature, 227, 138-140, 1970). 내성을 보이는 종은 통상적인 농도의 항생제 존재하에서는 성장을 멈추지만 결과적으로 죽지는 않는다. 내성은 항생제가 세포벽 합성 효소를 저해할 때 오토라이신(autolysin)과 같은 세균의 자가분해(autolytic) 효소의 활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데, 페니실린의 경우에 있어서 내인성 가수분해 효소(endogenous hydrolytic enzymes)를 활성화함으로써 세균을 죽이지만,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생제 치료 시에도 생존하는 결과를 나타내게 된다.
세균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것은 임상적으로 대단히 중요한데, 이는 내성 세균을 박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면 임상적인 감염에서 항생제 치료의 효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Handwerger and Tomasz, Rev. Infec . Dis., 7, 368-386, 1985). 아울러, 내성은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저항성이 발생할 선행조건이라고 간주하는데, 이것은 항생제 치료에도 살아남는 균주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균주는 항생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새로운 유전 요소를 획득해서 항생제의 존재하에서도 계속 성장하게 된다. 실제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는 모든 세균들은 그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Liu and Tomasz, J. Infect. Dis., 152, 365-372, 1985), 항생제 저항성을 가지는 세균을 죽일 수 있는 신규한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작용 기작의 측면에서 내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모든 세균에 있어서 성장 속도가 감소할 때 일어나는 외형적(phenotypic) 내성이며(Tuomanen E., Revs. Infect. Dis., 3, S279-S291, 1986), 두 번째는 특정 세균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적인 내성이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기본적인 현상은, 오토라이신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조절(down regulation)이 일어나는 것인데, 이러한 조절은 외부자극에 대한 외형적인 내성일 경우에는 일시적이지만, 세포 용혈을 조절하는 경로의 변화를 야기하는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적인 내성의 경우에는 영구적이다. 명백하게, 가장 간단한 유전적인 내성의 경우는 오토라이신 효소의 결손으로 생긴 경우인데, 확실하지 않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러한 자가분해 효소의 결손에 의해 내성을 가지는 균주가 임상적으로 발견된 적은 없으며, 오히려 임상에서 발견되는 내성은 오토라이신 효소의 활성을 외형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uomanen et al., J. infect. Dis., 158, 36-43, 1988).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며, 오토라이신 효소의 활성과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곤충, 동물 그리고 해양생물 등은 항생 펩타이드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데(Bevins et al., Ann. Rev. Biochem., 59, 395-414, 1990), 구조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시스테인이 풍부한 (cysteine-rich) β-병풍(sheet)구조 펩타이드이고, 두 번째는 a-나선형(helical)구조의 양친화성 펩타이드 분자이며, 세 번째는 프롤린이 풍부한(proline-rich) 펩타이드이다(Mayasaki et al., Int.. J . Antimicrob . Agents, 9, 269-280, 1998). 이들 항균 펩타이드들은 숙주 방어 및 선천적 면역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Boman, H. G., Cell, 65:205, 1991; Boman, H. G., Annu. Rev. Microbiol ., 13:61, 1995). 또한, 상기 항생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다.
현재 개발이 미흡한 해양생물체에서 신규물질의 개발은 무한한 자원으로 여겨지며, 해양 생물체 중 하나인 미더덕(Styela clava)은 각종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Bishop J D et al., PLoS One, 22;6, 2001, Cho M H et al., Cancer Lett. 8;264, 2008, Waring A J et al., Integr Comp Biol. 43;313-22, 2003). 미더덕의 피막에서 분리된 서열번호 1로 기재된 HJ-1 펩타이드는 2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다. 소수성(Hydrophobic) 잔기를 갖은 많은 아미노산 함유는 펩타이드와 펩타이드 간에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으로 중성인 pH에서 꼬인 코인(Coiled-coli) 구조형성으로 펩타이드의 뭉침 현상을 일으킨다. 또한, 히스티딘(Histidine)이 많이 함유되어있으며, 히스티딘의 곁사슬(side chain)의 pK값이 6.04이므로 pH 6 이하에서 양전하를 띠게 된다. 이러한 양이온 전극(cation charge)을 갖는 아미노산에 의해 박테리아의 인지질(phospholipids)인 음이온 분자(anionic molecules)를 형성하는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의 지질다당류(lipopolysaccaride: LPS)와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의 리포테코익산(lipoteichoic acid: LTA)에 정전기적 상호작용(electrostatic interactions)을 일으키는데 특히 중성 pH에 비해 산성 pH에서 박테리아 막 작용이 활발하게 나타남을 보이고 있다(R. I. Lehrer et al., J. Peoetide. Res.., 58, 445-456. 2001).
그러나 아직까지 미더덕 조직에서 유래한 항생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 5번과 12번에 위치된 이소루이신(Isoleucine)을 라이신(Lysine)으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된 서열번호 2(HJ-2)로 기재되는 신규 항생 펩타이드에 대한 발명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미더덕에서 유래한 항생 펩타이드(HJ-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에 위치한 이소루이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함으로써 신규 항생 펩타이드가 미더덕에서 분리한 항생 펩타이드(HJ-1)가 가지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미더덕에서 분리된 HJ-1 펩타이드는 히스티딘(Histidine) 잔기가 많이 함유하고 있어 pH 6.04 보다 낮을 시 양이온 전극(cation charge)의 증가로 세포막에 강한 정전기적 상호작용(electrostatic interaction)하는 단점을 가지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항생 펩타이드는 pH 7.4에서 뭉침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낮은 세포독성을 갖으며 및 항균 활성은 pH에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항생 펩타이드(HJ-1)의 소수성(Hydrophobic) 잔기가 pH 7.4에서 펩타이드와 펩타이드의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의한 꼬인 코인(Coiled-coli) 구조형성으로 펩타이드의 강한 뭉침 현상을 유도하여 낮은 항균 활성과 강한 세포독성을 보이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서열번호 1로 기재된 HJ-1 펩타이드에 5번과 12번에 위치한 아미노산인 이소루이신(Isoleucine, I)을 소수성(Hydrophobic)이 낮은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서열번호 2)하여 pH 7.4에서 뭉침 현상을 줄이고, 강한 항균 활성 및 낮은 세포독성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이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방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용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된 항생 펩타이드는 미더덕 유래 서열번호 1(Clavaspirin)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히스티딘(Histidine) 잔기가 많이 함유하고 있어 pH 6.04 보다 낮을 시 양이온 전극의 증가로 세포막에 강한 정전기적 상호작용, 낮은 항균 활성 및 강한 세포독성을 보이는 반명에, pH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 모두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고 및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인체에 안전한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 항생 펩타이드(HJ-1) 및 실험군 항생 펩타이드(HJ-2)를 사람의 적혈구 세포와 및 사람의 조직 세포에서 세포 독성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실험군 항생 펩타이드(HJ-2)를 세포에서 작용하는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으로 탐라 형광 물질이 pH 5.5 및 pH 7.4에서 펩타이드가 작용하는 부위를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된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은 미더덕(Styela clava)에서 유래한 항생 펩타이드(Clavaspirin)로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존의 알려진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모체 펩타이드인 Clavaspirin의 NMR 나선 구조 확인결과 펩타이드의 소수성(Hydrophobic)을 나타내는 부위로 5번과 12번에 나란히 위치한 두 개의 이소루이신(Isoleucine, I)에 의해 강한 소수성의 증가는 펩타이드와 펩타이드 간에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으로 중성 pH에서 꼬인 코인(Coiled-coli)구조 형성에 의한 펩타이드의 뭉침 현상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로 기재된 항균 펩타이드(Clavaspiein)는 낮은 pH 환경에서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강한 활성을 보이지만 중성인 pH 환경에서는 낮은 활성과 정상 세포에 강한 세포독성이 일어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 (Merrifield, RB., J.Am. Chem. Soc., 85, 2149, 196)에 따라, 모체 펩타이드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나란히 위치한 두 개의 이소루신(Isoleusine, I)을 소수성이 낮은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하여 서열번호 2로 개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HJ-2 펩타이드를 제공한다(표 1 참조). 본 발명의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항균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펩타이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라이신(Lysine, K)은 이외에도, 양전하 아미노산인 아르기닌(Arginine, R) 또는 히스티딘(histidine, H)으로 치환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라이신(Lysine, K)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생 펩타이드(HJ-2)는 모체 펩타이드인 클라바스피린(Clavaspirin)과 대조결과 뭉치는 현상과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강한 항생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된 항균 펩타이드가 그람 음성균 또는 그람 양성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그람 음성균은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데텔라속(The Genus Bordetella), 슈도모나스속(The Genera Pseudomonas), 버크홀데리아속(The Genus Burkholderia), 에어로모나스속(The Genera Aeromonas), 플레시오모나스속(The Genera Plesiomonas), 비브리오속(The Genera Vibrio), 모락셀라속(The Genera Moraxella), 네이세리아속(The Genera Neisseria), 악티노바실러스속(The Genus Actinobacillus), 만하이미아속(The Genera Mannheimia), 파스테우렐라속(The Genera Pasteurella), 해모필러스속(The Genera Haemophilus), 히스토필러스속(The Genera Histophilus), 테일로렐라속(The Genera Taylorella), 브루셀라속(The Genus Brucella), 프란시셀라속(The Genus Francisella), 에스케리시아속(The Genus Escherichia), 시겔라속(The Genus Shigella), 클레비시엘라속(The Genera Klebsiella), 엔테로박터속(The Genera Enterobacter), 시트로박터속(The Genera Citrobacter), 프로테우스속(The Genera Proteus), 모가넬라속(The Genera Morganella), 에드워드시엘라속(The Genera Edwardsiella), 살모넬라속(The Genus Salmonella) 또는 여시니아속(The Genus Yersini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이다.
상기 그람 양성균은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악티노마이스속(The Genera Actinomyces), 아카노박테리움속(The Genera Arcanobacterium), 바실러스속(The Genus Bacillus), 코리니박테리움속(The Genus Corynebacterium), 더마토필러스속(The Genera Dermatophilus), 노카디아속(The Genera Nocardia), 리스테리아속(The Genera Listeria), 에리시펠로트릭스(The Genera Erysipelothrix), 마이코박테리움속(The Genus Mycobacterium) 또는 로도코커스속(The Genus Rhodococcus)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있어서, 상기 항생 펩타이드인 HJ-2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에 대한 생육 최소저해농도(Minimal Inihibitory Concentration; 이하. MIC)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에 대하여 pH에 관계없이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고, 그람 양성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서도 pH에 관계없이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본 발명은 항생 펩타이드(HJ-2)가 산성, 중성, 알칼리성에서 항생 활성을 보이는 항균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생 펩타이드(HJ-2)가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된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있어서, 상기 항생 펩타이드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상의 사람 혈액을 사용하여 항생 펩타이드에 대한 적혈구 용혈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람의 각질 형성 세포주(HaCaT cell line)에 항생 펩타이드를 처리한 후 세포 생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항생 펩타이드에 비해 용혈 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 생존력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으로부터 5번 및 12번째 아미노산에 위치한 이소루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된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하며, 상기 항생 펩타이드는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균 모두에 항균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고, pH 변화에도 항균 활성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항생 펩타이드인 HJ-2가 pH에 따른 뭉침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pH 5.5및 pH 7.4의 10mM 인산나트륨 버퍼에서 서로 다른 농도를 처리하여 12 시간 동안 반응 후 확인결과 뭉침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 모체인 HJ-1 펩타이드는 강한 뭉침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pH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항생 펩타이드인 HJ-2 펩타이드가 세포막에 관한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5.5 및 pH 7.4에서 배양된 대장균 세포에 사이톡스-그린(SYTOX-Green)을 처리하여 15분에서 20분가량 빛이 들어오지 않는 배양기에서 반응을 시킨 후 펩타이드를 최소 억제 농도에서 처리하여 세포막에 작용을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HJ-2)는 모체인 HJ-1 펩타이드에 비해 pH 5.5와 pH 7.4에서 강한 형광의 증가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가 세포막에 강한 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인 HJ-2 펩타이드는 pH 5.5 및 pH 7.4에서 세포막에 강한 작용으로 pH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항생 펩타이드인 HJ-2가 pH에 따른 세포막 작용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세포막과 유사한 거대 리포좀(Giant Unilamellar Vesicle; 이하 GUVs)을 만들어 pH 5.5 및 pH 7.4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HJ-2)는 pH 5.5(A) 및 pH 7.4(B)에서 빠른 시간에 인위적으로 만든 거대 리포좀(GUVs)이 파괴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모체 항생 펩타이드인 HJ-1은 pH 5.5(A)에서 세포막 크기가 줄어들다 많은 시간이 경과 후 파괴되었다. 반면 pH 7.4(B)에서는 많은 시간이 경과 한 후에도 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HJ-2)는 pH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방부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이 없으며, pH에 관계없이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는 모든 물질 및 식품에 있어서 방부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용도는 식품의 방부용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품 보존제, 의약품 보존제 등 항균 활성이 필요한 모든 물질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보존제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pH에 관계없이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균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고, 뭉침 현상이 없어 항생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병원성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의 유효용량은 1~2 ㎎/㎏이고, 바람직하게는 0.5~1 ㎎/㎏ 이며,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는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의 투여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용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pH에 관계없이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균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고, 뭉침 현상이 없어 항생용 식품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는 식품첨가제뿐만 아니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중의 상기 항생 펩타이드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항생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항균 펩타이드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생 펩타이드의 합성 및 분리정제
본 발명자들은 메리필드(Merrifield)의 액상 고상법(Merrifield, RB., J.Am. Chem. Soc., 85, 2149, 196)에 따라, 모체 펩타이드의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HJ-1(비교군)으로부터 소수성(Hydrophobic) 부분인 5번과 12번 위치에 이소루이신(Isoleucine, I)을 라이신(Lysine, K)으로 치환하여 HJ-2 펩타이드(서열번호 2)(실험군1)을 합성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설계한 펩타이드의 카르복실말단이 NH2 형태인 펩타이드는 링크(Rink) 아미드(Amide) MBHA-레진(Resin)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말단이 OH 형태의 펩타이드는 Fmoc-아미노산-Wang 레진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였다.
Fmoc-아미노산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한 펩타이드 사슬(chain)의 연장은 DCC(N-hydroxybenzo triazole(HOBt)-dicyclo-hexycarbodiimide) 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의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coupling) 시킨 후, NMP(20% piperidine/N-methyl pyrolidone)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NMP 및 DCM(dichoromethane)으로 여러 번 씻어준 다음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여기에 TFA(trifluoroaceticacid)-phenol-thioanisole-H2O-triisopropylsilane(85:5:5:2.5:2.5,vol./vol.)용액을 가하고 2 ~ 3시간 반응시켜 보호기의 제거 및 레진으로부터 펩타이드를 분리시킨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로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크루드(crude) 펩타이드는 0.05%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농도구배(acetonitrile gradient)에서 정제형 역상(reverse phase, RP)-HPLC 컬럼(Delta Pak, C18300Å,15,19.0mm×30 cm, Waters, USA)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합성 펩타이드를 6 N HCl로 110℃에서 가수분해한 후 잔사를 감압 농축하고, 0.02 N HCl에 녹여서 아미노산 분석기(Hitachi 8500 A)로 아미노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성된 펩타이드들의 순도를 확인한 결과 95% 이상의 순도를 나타내었으며, MALDI 질량 분석법(Hill, et al ., Rapid Commun. Mass Spectrometry, 5: 395, 1991)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계산하여 얻은 분자량과 비교한 결과, 그 값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펩타이드 서열, 분자량 및 보유 시간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분자량 보유시간
HJ-1 FLRFIGSVIHGIGHLVHHIGVAL-NH2 (서열번호 1) 2492.01 35.2
HJ-2 FLRFKGSVIHGKGHLVHHIGVAL-NH2 (서열번호 2) 2522.04 20.7
<실험예 1>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생 펩타이드들의 항균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균체가 분열되지 않는 펩타이드의 최소 농도인 생육 최소저해농도(MIC) 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람 음성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P 불가리스(Proteus vulgaris)를, 그람 양성균으로 L. 모노싸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 S.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사용하였으며, Escherichia coli(ATCC 25922), 및 Listeria monocytogenes(ATCC 19115)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분양받았고, Streptococcus epidermidis(KCTC 3096), Proteus vulgaris(KCTC 2433)는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로부터 분양받아, 각 균주를 LB 배지(1% 박토 트립톤, 0.5% 박토 이스트 추출물, 1% 염화나트륨; Sigma, USA) pH 5.5와 pH 7.4에서 중간-로그 상(mid-log phase)까지 배양한 다음 1% 박토 펩톤 배지(Difco, USA)로 5×105세포/100 ㎕의 균체 농도로 희석하여 마이크로 타이트레이트 플레이트(Nunc, USA)에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실험군 2) 및 모체 펩타이드(비교군 1)를 각각 96 웰(well)로부터 1/2배씩 pH 5.5와 pH 7.4에서 희석하여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마이크로 타이트레이트 플레이트 판독기(Merck Elisa reader, 독일)를 이용하여 620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균주의 MIC 값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생 펩타이드의 항균 활성
펩타이드 생육 최소저해 농도 (μM)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대장균 P. 블가리스 L. 모노사이토젠스 S. 에피더미스
pH 5.5 pH 7.4 pH 5.5 pH 7.4 pH 5.5 pH 7.4 pH 5.5 pH 7.4
HJ-1 2 64 8 64 16 64 4 32
HJ-2 2 4 4 8 8 4 4 16
그 결과, 서열번호 2로 기재된 펩타이드(HJ-2)(실험군 2)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펩타이드(HJ-1)(비교군 1)에 비해 pH 5.5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했고, pH 7.4에서는 비교군 펩타이드(HJ-1)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서 비교군 펩타이드(HJ-1)는 pH 5.5에서 강한 활성을 보이지만 pH 7.4에서는 모든 균주에서 낮은 활성을 보이는 반면, 본 발명된 펩타이드(HJ-2)는 대부분의 균주에서 pH와 무관하게 높은 항균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2).
<실험예 2> 항생 펩타이드의 용혈 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생 펩타이드들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펩타이드들의 적혈구 용혈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적혈구를 8%의 농도가 되도록 인산염 완충용액(PBS, pH 7.0)으로 희석하고 여기에 12.5 μM/웰부터 1/2의 농도로 [표 1]에 서열번호 1 내지 2로 기재된 펩타이드들을 각각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37℃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1,000 g로 원심 분리하여 그 상등액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량을, 414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세포 파괴 정도를 비교 조사하기 위하여 1% 트리톤 X-100(sigma, USA)을 인간 적혈구 세포에 첨가하여 그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1% 트리톤 X-100의 세포 파괴능을 100%로 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본 발명의 펩타이드(실험군 1 및 2) 및 모체 펩타이드들(비교군)의 적혈구 파괴능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흡광도 A는 414 ㎚ 파장에서 펩타이드 용액의 흡광도, 흡광도 B는 414 ㎚ 파장에서 PBS의 흡광도 그리고 흡광도 C는 414 ㎚ 파장에서 1% 트리톤 X-100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항생 펩타이드의 용혈 활성 측정
펩타이드
% 적혈구 파괴능 (각 펩타이드 농도, μM)
100 50 25 12.5
HJ-1 65 49 24 9
HJ-2 0 0 0 0
그 결과, 서열번호 1로 기재된 펩타이드(HJ-1)(비교군)는 100 μM에서 65%의 용혈작용이 일어난 반면, 본 발명의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펩타이드(HJ-2)(실험군 2)는 동일 농도에서 용혈작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표 3 및 도 1).
<실험예 3> 항생 펩타이드의 정상 세포주에서 세포독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들의 정상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각질 형성 세포주(HaCaT cell line, Dr. NE. Fusenig, Heidelberg, Germany)을 이용하여 독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배양된 사람의 각질 형성 세포주(HaCaT cell line)를 3×103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펩타이드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5% CO2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켰다. 배양 후, 5 mg/ml 농도로 인산 완충액 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녹인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용액 20 ul를 각 웰에 넣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200 ul의 DMSO를 넣어 형성된 MTT 크리스탈을 녹여, 560 nm에서 결과를 확인하였다.
항생 펩타이드 세포독성 측적
펩타이드
% HaCa T 세포 생존력 (각 펩타이드 농도, μM)
100 50 25 12.5
HJ-1 69 96 100 100
HJ-2 100 100 100 100
그 결과, 사람의 각질 형성 세포주(HaCaT cells)에서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펩타이드(HJ-1)(비교군)는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본 발명의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펩타이드(HJ-2)(실험군)는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생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을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및 도 1).
<실험예 4> 항생 펩타이드의 박테리아에서의 작용부위 탐색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생 펩타이드를 pH 5.5와 pH 7.4에서 박테리아에서 작용 부위를 탐색하기 위하여 형광물질(TAMRA)를 이용하여 공초점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작용 부위를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펩타이드를 pH 5.5와 pH 7.4에서 탐라(TAMRA) 형광 물질을 이용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장균(E. coli)을 pH 5.5와 pH 7.4의 LB 브로스로 37 ℃에서 배양한 후 각각의 pH인 10 mM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완충제에서 대장균 세포를 2 x 107 cells/ml로 맞추었다. 이들 대장균 세포에 탐라(TAMRA) 형광 물질을 1 μM을 처리하여 20분동안 빛이 들어오지 않은 배양기에서 반응을 시킨 후 실험군(HJ-2) 펩타이드를 최소억제농도(MIC)로 처리하고 pH에 따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펩타이드(HJ-2)(실험군)는 pH 5.5에서는 형광 밝기가 좀더 강하게 세포막에서 나타났고, 또한 pH 7.4에서도 실험군 펩타이드가 처리된 대장균 세포의 막에서 형광이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막에서 펩타이드가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정제(직접 가압)
항생 펩타이드(HJ-2) 5.0 mg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mg, 크로스포비돈 USNF 0.8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mg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1-2> 정제(습식 조립)
항생 펩타이드(HJ-2) 5.0 mg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mg과 녹말 4.0 mg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80 0.3 mg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mg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제조하였다.
<1-3> 분말과 캡슐제
항생 펩타이드(HJ-2) 5.0 mg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mg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mg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와 함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1-4> 주사제
항생 펩타이드(HJ-2)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1-2> 항생용 식품의 제조
항생 펩타이드(HJ-2)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항균용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항생용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1-2> 항생용 보조음료의 제조
항생 펩타이드(HJ-2) 1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
매실농축액 2 ㎎
타우린 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
통상의 보조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그 효능에 따라 인체에 얇게 도포하여 바를 수 있는 약제 즉, 연고로 제조에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항균 펩타이드.
  2. 청구항 1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균은 그람 음성균 또는 그람 양성균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균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pH (3) 내지 pH (10)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항균 펩타이드는 pH 5 내지 pH 8의 범위에서 항균 활성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의 항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식품첨가제.
KR1020190171596A 2019-12-20 2019-12-20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10079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96A KR20210079616A (ko) 2019-12-20 2019-12-20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96A KR20210079616A (ko) 2019-12-20 2019-12-20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616A true KR20210079616A (ko) 2021-06-30

Family

ID=7660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96A KR20210079616A (ko) 2019-12-20 2019-12-20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6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52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항균 펩타이드 유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
KR102224929B1 (ko) 해삼에서 분리한 항균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734064B1 (ko) 마이시니딘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15725B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h123 및 이의 용도
US9862749B2 (en) Analogue peptide CMA3 derived from CM-MA peptide and use thereof
KR101077180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리보좀 단백질 l1 유래의 새로운 항생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JP5202649B2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のリボソームタンパク質l1由来の新しい抗生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KR101379318B1 (ko) 미더덕 유래 항균 펩타이드의 신규한 유사체 및 이의 용도
WO2023048411A1 (ko)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53141B1 (ko) 비단멍게 유래 항균 펩타이드의 신규한 유사체 및 그 용도
US10695314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7,10-epoxyoctadeca-7,9-dienoic acid as active ingredient
KR20200070081A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79616A (ko)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40035744A (ko) 해양생물체인 미더덕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신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98106B1 (ko) Hp1404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039400B1 (ko) mBjAMP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80897B1 (ko) Ll37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048434B1 (ko)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6021A (ko)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6696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03281B1 (ko) Hylin a1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30125B1 (ko) 스테이플화된 헵타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613964B1 (ko) 글라이코매크로펩타이드 효소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1721A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g72 균주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2395B1 (ko) 호랑나비 유충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인 파필리오신-3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