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579A -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 Google Patents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579A
KR20210079579A KR1020190171530A KR20190171530A KR20210079579A KR 20210079579 A KR20210079579 A KR 20210079579A KR 1020190171530 A KR1020190171530 A KR 1020190171530A KR 20190171530 A KR20190171530 A KR 20190171530A KR 20210079579 A KR20210079579 A KR 20210079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racelet
medical
receiving body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380B1 (ko
Inventor
장병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비스에너제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비스에너제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비스에너제틱
Priority to KR102019017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2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는, 브라이스릿(bracelet)본체; 상기 브라이스릿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브라이스릿본체에 마련되며, 의료용 제1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수용몸체와, 상기 제1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지재의 분리 및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수용몸체의 저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안착 및 지지하는 안착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용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는, 제1 마그네트를 수용캡부에 내장하고 제2 마그네트를 스트랩 내 내장형 구조로 마련하여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되는 한편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바깥면에 각각의 차폐층을 두어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여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HEATH BRACELET FOR CONTAING MEDICAL MAGNET}
본 발명은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노출 시 독성이 유발될 수 있는 의료용 마그네트의 임의 이탈이나 노출이 최소화되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자기력을 순수 활용하고 응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발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의료 분야에 한정해볼때, 인체로 직접적인 자기력을 투과시켜 영상 진단이나 병변 파괴 등의 적극적인 치료기술 개발과 함께, 인체로 자기력을 순환시켜 생체 활성화나 혈류 개선을 도모하는 등의 간접, 보조적인 기술 개발이병행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들어, 이러한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자석이 포함된 요, 베개 등의 침구류나, 마그네트 팔찌, 마그네트 목걸이 등의 악세사리류에 자기력을 부과하여 인체의 혈행 개선이나 생체 리듬을 활성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의료용 영구자석의 경우, 연철 분말을 원하는 형상으로 소성한 후 그 표면에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도금을 하고, 착자 장치를 통해 자력을 부여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영구자석에는 연철 분말, 니켈 등의 중금속 성분으로서 독성이 있으며 이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 피부병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이탈되어 인체 내로 흡수되면 간독성을 유발하거나 중금속이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쌓이는 등의 위험성이 동반된다. 특히, 일반 소비자의 손목이나 목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악세사리류의 경우 그 위험성은 배가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악세사리 등에는 마그네트가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수용체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어 수용체가 부분적으로 훼손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인체 유해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전자제품에 근접 위치되면 제품이 고장날 가능성이 높고 영유아나 임산부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고 다른 도체성의 귀금속류에 달라붙는 등 보관 및 취급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제1 마그네트를 수용캡부에 내장하고 제2 마그네트를 스트랩 내 내장형 구조로 마련하여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되는 한편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바깥면에 각각의 차폐층을 두어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여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는, 브라이스릿(bracelet)본체; 상기 브라이스릿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브라이스릿본체에 마련되며, 의료용 제1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수용몸체와, 상기 제1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지재의 분리 및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수용몸체의 저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안착 및 지지하는 안착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용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캡부는, 상기 수용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상기 브라이스릿본체에 용이탈착시키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체결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 내부에는 제2 마그네트가 내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은, 상기 안착돌출부와 상기 제1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스트랩부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마련되되 사용자가 착용하는 면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고정수지재의 정량 투입이 체크되도록 상기 수용몸체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가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조립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수지재를 하방 유동시키는 유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출부에는 상기 유동홈부를 따라 유동된 상기 고정수지재가 판면 이동되는 결합패턴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네트에는 외면 둘레 상에 볼록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몸체 내벽에는 상기 볼록돌출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를 결합시키는 오목함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패턴면부는 상기 안착돌출부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패턴홈일 수 있다.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 측벽과 상기 안착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수지재가 저류되는 버퍼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은 투자율이 높은 Al 또는 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는, 제1 마그네트를 수용캡부에 내장하고 제2 마그네트를 스트랩 내 내장형 구조로 마련하여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되는 한편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바깥면에 각각의 차폐층을 두어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여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브라이스릿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A-A라인과 B-B라인을 따라 절개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의 정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브라이스릿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몸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에서 수용캡부의 A-A라인과 B-B라인을 따라 절개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이스릿(bracelet)본체(700); 상기 브라이스릿본체(700)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스트랩부(600); 상기 브라이스릿본체(700)에 마련되는 수용캡부(100); 및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의 일면에 마련되는 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이스릿본체(7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가진 판상 플레이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이스릿본체(700)는 판면이 인체 굴곡에 맞게끔 완만한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이스릿본체(700)의 외면에는 디자인면부(710)가 마련되며, 배면에는 수용캡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자인면부(710)는 브라이스릿본체(700) 상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직사각형의 광물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다른 형상이나 디자인 요소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침구류나 악세사리 등에는 의료용 자석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여 자석을 수용하는 수용몸체(101)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거나 또는 수용몸체(101)가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자석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인체 유해성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브라이스릿본체(700)의 저면부에는 제1 마그네트((400)를 고정하는 별도의 수용체인 수용캡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캡부(100)는 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하되 브라이스릿본체(700)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캡부(100)는 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의료용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하는 수용몸체(101); 상기 제1 마그네트(400)를 고정하는 고정수지재(300)의 분리 및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수용몸체(101)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랜지(110); 상기 수용몸체(101)의 저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400)를 안착 및 지지하는 안착돌출부(140); 및 상기 수용몸체(101)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몸체(101)를 팔찌 또는 목걸이 스트랩에 용이탈착시키는 테이퍼면(210)이 형성되는 체결블록(2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몸체(101)는 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제1 마그네트(4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용몸체(101)는 황동이나 알루미늄 또는 sus 등의 경량 금속 재질로 마련됨이 일반적이며, 후술하는 체결블록(200)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몸체(101)의 내부에는 의료용 제1 마그네트(400)가 수용될 수 있다. 의료용 제1 마그네트(4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되, 외면 상에 볼록돌출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볼록돌출부(410)는 오목함몰부(130)와 상호작용되어 제1 마그네트(4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마그네트(400)는 연철 분말을 원하는 형상으로 소결한 다음, 그 표면에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도금한 후, 착자기 장치를 이용하여 연철에 자력을 부여함으로써 자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볼록돌출부(410)는 연철 분말의 소결 과정에서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몸체(101)에는 제1 마그네트(400)를 견고히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수용몸체(101)의 상부에는 상부플랜지(110)와, 수용몸체(101)의 내벽에 형성되는 오목함몰부(130)와, 하부에 안착돌출부(140)상에 형성되는 결합패턴면부(14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부플랜지(110)는 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몸체(101)의 내벽에서 중심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어, 제1 마그네트(400)의 임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어 제1 마그네트(400)의 견고한 결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플랜지(110)의 내경은 상기 수용몸체(10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수용몸체(101) 중심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플랜지(110)의 내경이 수용몸체(10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110)는 상기 수용몸체(101)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게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진 구조를 통해 상기 고정수지재(300)의 정량 투입이 체크될 수 있는데 이는 조립 과정에서 상세 설명한다.
상기 상부플랜지(110)에는 주로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조립홈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홈부(112)는 상기 제1 마그네트(400)가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110)를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홈부(112)를 180도 간격마다 마련되어 총2개의 조립홈부(112)가 마련되었으나, 조립홈부(112)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01)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수지재(300)를 하방 유동시키는 유동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홈부(120)는 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몸체(101)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 형태의 홈이며, 수용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홈부(120)를 따라 고정수지재(300)가 수용몸체(10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저벽까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몸체(101)의 저벽에는 안착돌출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돌출부(14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몸체(101)의 저벽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돌출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돌출부(140)는 수용몸체(101)의 측벽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며, 이격 간격만큼 버퍼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지재(300)는 버퍼공간(150)에서 저류될 수 있으며 소정량 이상으로 저류된 고정수지재(300)는 결합패턴면부(141)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착돌출부(140)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동홈부(120)를 따라 유동된 상기 고정수지재(300)가 판면 이동되는 결합패턴면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결합패턴면부(141)는 상기 안착돌출부(140)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패턴홈(141)일 수 있다. 이러한 결합패턴홈(141)은 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안착돌출부(140)의 판면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밖에 다른 패턴 형상도 본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패턴면부(141)로 고정수지재(300)가 유동될 수 있어 제1 마그네트(400)와 고정수지재(30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고정수지재(300)의 경화 이후 안착돌출부(140) 상면에 제1 마그네트(400)가 견고하고 균일하게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네트(400)에는 외면 둘레 상에 볼록돌출부(410)가 마련되어 전술한 수용몸체(101)의 오목함몰부(130)에 형상맞춤되면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그네트(400)의 상, 하부에 지지 및 결합구조를 가져 제1 마그네트(400)가 수용몸체(101)에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수용몸체(101)의 하단부에는 체결블록(200)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블록(200)은 수용몸체(101) 하단에 연결부(220)를 통해 결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체결블록(200) 및 연결부(220)는 수용몸체(10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체결블록(200)에는 테이퍼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면(210)을 통해, 상기 수용캡부(100)를 브라이스릿본체(7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수용캡부(100)를 통해, 제1 마그네트(400)가 브라이스릿본체(700)에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브라이스릿본체(700)의 양단에는 주로 도 1 및 도 2를 주로 참조하면, 스트랩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부(600)의 일단에는 체결구(610)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체결을 위한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트랩부(600) 내부에는 제2 마그네트(500)가 내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5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스트랩부(600)의 제작 시 내부에 내장되게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는 다른 공법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마그네트(500)를 스트랩 내 내장형 구조로 마련하여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자석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전자제품에 근접 위치되면 제품이 고장날 가능성이 높고 영유아나 임산부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른 도체성의 귀금속류에 달라붙는 등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에 차폐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은, 상기 안착돌출부와 상기 제1 마그네트(40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코팅층(401); 및 상기 스트랩부(600)와 상기 제2 마그네트(500) 사이에 마련되되 사용자가 착용하는 면에 마련되는 제2 코팅층(5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층(4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출부(140)와 제1 마그네트(400) 사이에 마련되고, 제2 코팅층(5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600) 내에 내장되되 제2 마그네트(50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401, 501)은 투자율이 높은 Al 또는 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제1 및 제2 코팅층(401, 501)을 통해 외부 발산을 최소화가 가능하여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제1 마그네트(400) 수용구조의 조립 과정 및 팔찌의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의료용 제1 마그네트(400)와 수용몸체(101)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수용몸체(101)에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네트(400)를 일측으로 기울이면서 도 7에 도시된 수용몸체(101)의 조립홈부(112)로 투입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몸체(101)의 중앙 구역으로 하방 이동시키고 수용몸체(101)의 오목함몰부(130)에 제1 마그네트(400)의 볼록돌출부(4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마그네트(400)의 볼록돌출부(410)가 수용몸체(101)의 오목함몰부(1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볼록돌출부(410)가 유동홈부(120)에 위치되지 아니하도록, 제1 마그네트(400)를 임의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제1 마그네트(400)의 형상으로 기인하여 수용몸체(101) 내에 결착시킬 수 있다.
다음, 고정수지재(300)가 수용몸체(101) 상면에 투입될 수 있다. 고정수지재(300)는 수용몸체(101)의 유동홈부(120)를 타고 수용몸체(101)의 내벽을 따라 원활히 유동되며, 버퍼공간(150)에 쌓이게 된다.
버퍼공간(150)에 소정량 이상의 고정수지재(300)가 모인 후, 안착돌출부(140)의 결합패턴면부(141)를 타고 제1 마그네트(400) 저면으로 유동될 수 있어 제1 마그네트(400)의 저면에 충분히 균일하게 고정수지재(300)가 접촉되게 도포될 수 있다. 고정수지재(300)는 계속 투입되어 도 5 기준에서 볼 때 결합패턴홈(141)과 버퍼공간(150)과 유동홈부(120)를 채운 다음, 제1 마그네트(400)의 상면 및 수용몸체(101)의 상부면에 채울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고정수지재(300)는 제1 마그네트(400)의 저면과 수용몸체(101)의 안착돌출부(140)를 결착시키고, 제1 마그네트(400)의 측면과 수용몸체(101)의 측벽을 상호 결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지재(300)의 점도나 유동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단차부의 경계까지 고정수지재(300)가 투입되면, 고정수지재(300)의 투입장치의 작동을 멈추어 오프 시점까지의 고정수지재(300)의 투입량이 수용몸체(101)의 상면을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 경계가 고정수지재(300)의 투입을 정지하는 시점, 즉 정량 투입을 체크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이후, 고정수지재(300)의 건조 및 경화 단계를 거쳐 완전히 수용몸체(101)에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체결블록(200)의 테이퍼면(210)을 통해 브라이스릿본체(700)에 견고히 결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단계 구성을 통해, 제1 마그네트(400)의 상, 하부에 지지 및 결합구조를 가져 제1 마그네트(400)가 수용몸체(101)에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수용몸체(101)의 조립홈부(112)로 제1 마그네트(400)의 용이한 투입이 가능하고 오목함몰부(130)에 볼록돌출부(410)가 끼워지듯이 결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간소화 구조로 수용몸체(101)에 제1 마그네트(400)가 조립될 수 있어 조립 편의성이 증대되고 공수를 절약하면서 조립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부(600)의 사출 성형 시 제2 마그네트(500)는 내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1 마그네트(400)를 수용캡부(100)에 내장하고 제2 마그네트(500)를 스트랩 내 내장형 구조로 마련하여 견고히 결착될 수 있어 종래 대비 임의 이탈 및 노출이 최소화되고 인체 유해성이 현저히 저감되는 한편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의 바깥면에 각각의 차폐층을 두어 제1 및 제2 마그네트(400, 50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여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팅층(4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출부(140)와 제1 마그네트(400)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마그네트(400)의 자기장이 외부 발산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팅층(5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600) 내에 내장되되 제2 마그네트(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마찬가지로 외부로의 자기장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악세사리를 사용하는데 제약을 줄이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용캡부
101 : 수용몸체 110 : 상부플랜지
112 : 조립홈부 120 : 유동홈부
130 : 오목함몰부 140 : 안착돌출부
141 : 결합패턴면부, 결합패턴홈 150 : 버퍼공간
200 : 체결블록 210 : 테이퍼면
220 : 연결부 300 : 고정수지재
400 : 제1 마그네트 401 : 제1 코팅층
410 : 볼록돌출부 500 : 제2 마그네트
501 : 제2 코팅층 600 : 스트랩부
700 : 브라이스릿본체 710 : 디자인면부

Claims (12)

  1. 브라이스릿(bracelet)본체;
    상기 브라이스릿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스트랩부; 및
    상기 브라이스릿본체에 마련되며, 의료용 제1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수용몸체와, 상기 제1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고정수지재의 분리 및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수용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수용몸체의 저벽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를 안착 및 지지하는 안착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용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캡부는,
    상기 수용몸체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몸체를 상기 브라이스릿본체에 용이탈착시키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체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 내부에는 제2 마그네트가 내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외부 발산을 줄이도록,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안착돌출부와 상기 제1 마그네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코팅층; 및
    상기 스트랩부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마련되되 사용자가 착용하는 면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는 상기 고정수지재의 정량 투입이 체크되도록 상기 수용몸체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단차지게 마련되며,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가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조립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수지재를 하방 유동시키는 유동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출부에는 상기 유동홈부를 따라 유동된 상기 고정수지재가 판면 이동되는 결합패턴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에는 외면 둘레 상에 볼록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몸체 내벽에는 상기 볼록돌출부에 대응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를 결합시키는 오목함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패턴면부는 상기 안착돌출부의 판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패턴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돌출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몸체 측벽과 상기 안착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고정수지재가 저류되는 버퍼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팅층은 투자율이 높은 Al 또는 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층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KR1020190171530A 2019-12-20 2019-12-20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KR10228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30A KR102287380B1 (ko) 2019-12-20 2019-12-20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530A KR102287380B1 (ko) 2019-12-20 2019-12-20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79A true KR20210079579A (ko) 2021-06-30
KR102287380B1 KR102287380B1 (ko) 2021-08-06

Family

ID=7660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530A KR102287380B1 (ko) 2019-12-20 2019-12-20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3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22U (ja) * 1993-12-27 1995-07-18 株式会社サクセシア ピアス用キャッチ
KR200338248Y1 (ko) * 2003-10-01 2004-01-13 (주)태현 통상 장신구의 보석 설치구조
KR20060024732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강성이 증가된 로터조립체
KR101232285B1 (ko) * 2010-11-04 2013-02-12 김유성 다용도 장신구가 포함된 장식품
KR20130118089A (ko) * 2012-04-19 2013-10-29 김택형 금속 장신구
KR101768130B1 (ko) * 2015-10-23 2017-08-14 주식회사 성조파인세라믹 기능성 건강 팔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22U (ja) * 1993-12-27 1995-07-18 株式会社サクセシア ピアス用キャッチ
KR200338248Y1 (ko) * 2003-10-01 2004-01-13 (주)태현 통상 장신구의 보석 설치구조
KR20060024732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강성이 증가된 로터조립체
KR101232285B1 (ko) * 2010-11-04 2013-02-12 김유성 다용도 장신구가 포함된 장식품
KR20130118089A (ko) * 2012-04-19 2013-10-29 김택형 금속 장신구
KR101768130B1 (ko) * 2015-10-23 2017-08-14 주식회사 성조파인세라믹 기능성 건강 팔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380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5928B2 (ja) 編組されたストランドを有するウォッチバンド
US10466504B2 (en) Eyeglasses with integrated magnetic clip
KR102237188B1 (ko) 의료용 마그네트 수용구조
KR102287380B1 (ko)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팔찌
JP5265817B1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履物
US20100275649A1 (en) Pendant for carrying remembrances such as cremation remains
KR102287381B1 (ko) 의료용 마그네트가 수용되는 건강목걸이
US8683826B2 (en) Earring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842965B2 (en) Interconnect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including same
US5139474A (en) Medical treatment device with self-centering securing members
KR20230113232A (ko) 편조된 스트랜드들을 구비한 시계줄
US20190328064A1 (en) Wrist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0303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포켓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CN112741406B (zh) 磁性饰品
KR20180115625A (ko) 자기치료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US10775640B2 (en) Eyeglasses with integrated magnetic clip
US11994568B2 (en) Local coil for a magnetic resonance system, and method and tool for the manufacture of same
KR20190067983A (ko) 게르마늄칩이 부착된 손목시계
TW201841668A (zh) 磁性治療器具
US11964865B2 (en) Band-like element for forming a bridle headband or a decorative band, as well as bridle headband and decorative band
CN213096400U (zh) 具有嵌入式鞋垫之鞋体结构
CN110236267A (zh) 一种磁性硅胶健康运动手环及其制作工艺
JP2013031612A (ja) 磁気治療器
KR20170001198U (ko) 모발 볼륨 업 부분 가발
KR0182392B1 (ko) 자석 및 세라믹을 부설한 손목시계용 가죽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