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036A -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036A
KR20210079036A KR1020190171095A KR20190171095A KR20210079036A KR 20210079036 A KR20210079036 A KR 20210079036A KR 1020190171095 A KR1020190171095 A KR 1020190171095A KR 20190171095 A KR20190171095 A KR 20190171095A KR 20210079036 A KR20210079036 A KR 20210079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itter
controlling
movemen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645B1 (ko
Inventor
주승진
임명희
주재원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filed Critical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Priority to KR102019017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3Earth materials for determining biological parameters concerning composting, biodegradability or bioavailability
    • G01N2033/24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터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동물 개체군 크기에 맞추어 부식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얇은 막 재질의 다양한 메시 사이즈(격자 범위: 10㎛ ~4㎜)를 가지는 메시망이 구비된 커버를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시켜 식물체 리터 분해과정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으로 정한 토양동물군의 이동 및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허용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 및 물질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토양동물의 기여율과 시계열 변화에 따른 정량적인 리터 분해속도를 규명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자연적인 토양생태계 및 리터층의 환경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본체 내부의 리터(litter, 낙엽)들이 인위적으로 서로 압착되어 과 습해지는 상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야외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리터 분해속도 측정 및 샘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를 고정 핀으로 고정시켜 강한 바람, 폭우, 폭설 등의 악 기상 조건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OUTDOOR SAMPLING LITTERCASE APPARATUS FOR CONTROLLING MIGRATIONS OF SOIL FAUNA}
본 발명은 리터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동물 개체군 크기에 맞추어 부식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얇은 막 재질의 다양한 메시 사이즈(격자 범위: 10㎛~4㎜)를 가지는 메시망이 구비된 커버를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시켜 식물체 리터 분해과정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으로 정한 토양동물군의 이동 및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허용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 및 물질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토양동물의 기여율과 시계열 변화에 따른 정량적인 리터 분해속도를 규명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자연적인 토양생태계 및 리터층의 환경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본체 내부의 리터(Litter, 낙엽)들이 인위적으로 서로 압착되어 과 습해지는 상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야외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리터 분해속도 측정 및 샘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를 고정 핀으로 고정시켜 강한 바람, 폭우, 폭설 등의 악 기상 조건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기체인 대기 중의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우려는 지구온난화 및 지구 탄소순환과 관련하여 현 인류에게는 최고의 관심사항이 되었다. 녹색식물에 의한 대기권의 탄소를 생물권으로 가져오는 독립영양 고정(fixation)과 탄소를 다시 대기권으로 돌려보내는 호흡(respiration) 사이의 균형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구 육상에서 대부분의 호흡활동은 토양에서 일어나며, 토양호흡(soil respiration)은 주로 식물체의 잎, 가지, 줄기, 나무껍질, 꽃, 종자, 뿌리, 동물의 사체 및 배설물 등이 토양에 떨어진 유기잔류물(dead organic detritus or litters)의 분해, 살아있는 식물의 뿌리호흡(living plant root respiration) 및 토양유기물(soil organic matter)의 느린 분해에 의한 것이다.
식량생산의 증진을 위한 활발한 토지의 개간 및 경작은 토양호흡을 가속화하였으며, 대기권 이산화탄소 축적의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 자연에서 이산화탄소의 두 가지 주된 생물학적 수지는 광합성에 의한 고정과 지구적인 호흡인데, 매년 대기 탄소의 7% 정도를 서로 역방향으로 운반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 전체적인 관점은 규모가 작고 정의가 용이한 생태계의 탄소순환을 이해하는 골격을 제공한다.
토양유기탄소의 저장량, 온실가스의 토양호흡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례로 다양한 삼림생태계에서 주로 낙엽 리터를 대상으로 하여 계절변화 및 연변화에 따른 분해율을 확인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삼림생태계의 중요한 두 가지 기능은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인데, 에너지와 물질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식물체 리터의 생산과 분해는 그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필수과정이다(Bray and Gorham 1964, Wiegert and Monk 1972, Berg and Agren 1984, Berg et al. 1987). 삼림생태계에서 낙엽낙지 등의 형태로 임상에 이입된 유기물질의 영양염류는 분해과정을 통하여 토양에 다시 이입되어 식물 뿌리(세근)에 의해 재흡수가 일어난다.
대부분의 삼림생태계에서 영양염류의 유입은 다양한 식물체 리터 가운데 주로 낙엽 생산과 분해에 의존하고 있다(Bray and Gorham 1964). 낙엽은 떨어지는 시기에 따라 영양염류의 함량이 다르며, 토양 표면에 떨어진 낙엽은 토양미생물과 토양동물군에 의해 분해되고, 그 과정 중에서 유기탄소는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CO2) 가스로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이 과정에서 영양염류는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가용성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낙엽 분해는 삼림의 제 1차 생산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Cole and Rapp 1981, Meentemeyer et al. 1982, Blanco et al. 2008).
삼림생태계에서 토양 1g에는 100만~10억의 세균이 있고 1m2에 1~5억이 넘는 토양동물이 서식하고, 이들의 개체수와 종 다양성은 매우 풍부하지만 실제적으로 토양 1g 당 그들의 질량은 토양 질량에는 비교되지 못할 정도로 매우 미미하지만 토양미생물과 토양동물군들은 토양에 공급되는 죽은 동·식물체의 모든 리터들로부터 끊임없이 생물화학적으로 분해하고 물리적으로 분쇄시켜 지구 탄소순환 및 물질순환의 중대한 연결고리로서 생태계의 연속성을 이끈다.
토양미생물은 육안으로 볼 수 없고,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세균류, 방선균류, 균류, 조류 등이 있으며, 토양동물군은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될 수 있는 소형토양동물(microfauna)인 원생동물, 윤충류, 완보동물, 선충류 등과 주로 해부 현미경을 통해서 형태를 관찰할 수 있는 중형토양동물(mesofauna)인 응애류, 톡토기류, 앉은뱅이, 낫발이목, 총채벌레목, 파리목유충, 진딧물류 등과 야외에서 육안으로 관찰 될 수 있는 대형토양동물(macrofauna)인 지렁이, 딱정벌레류, 반날개류, 거미류, 개미류, 애지네류, 노래기류, 등각류 등 그리고 체장이 2㎝ 이상인 거형토양동물(magafauna)인 개구리, 도마뱀, 뱀, 두더지 등으로 몸체의 크기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토양생태계에 분포하는 생물들의 영양방식은 광합성을 하는 녹색식물처럼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얻은 에너지와 무기화합물을 가지고, 유기물을 합성하여 필요한 영양소를 만드는 독립영양생물과 죽은 미생물과 동물의 배설물 및 사체 또는 식물체 리터를 분해하여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분을 획득하는 종속영양생물로 크게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든 토양 생물의 생명유지 활동은 토양생태계의 물질순환을 지속시키고, 에너지를 소비하며, 그들의 호흡작용의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최종적으로 토양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식물체 리터 분해연구에서 토양미생물들 중심의 생물화학적 분해 작용은 익히 널리 알려졌으나, 직·간접적으로 토양동물군들만의 식물체 리터 분해과정과 분해속도에 기여하는 효과와 동시에 토양생태계에서의 토양미생물과의 상호작용 및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에 대한 결과 및 정보는 매우 빈약하다. 더욱이 토양동물군들이 육상생태계에서 탄소수지에 영향을 끼치는 정량적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실제적으로 야외현장에서 리터 분해에 관련된 토양동물군의 역할과 기능을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야외실험 방법들은 매우 부족하고 현재까지 적합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낙엽 분해에 영향을 주는 화학성분 중 중요한 것은 낙엽의 목질소(lignin), 질소 그리고 인이다. 특히, 낙엽의 초기 목질소(lignin)/N 비, C/N 비율이 낙엽 분해율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데, 이들의 비가 낮을 경우 질소 이용도가 높아 낙엽분해가 빠르다(Berg and Agren 1984, Berg and Theander 1984, Kelly and Beauchamp 1987).
하지만 토양의 질소 함량이 높을 경우 토양미생물이 낙엽의 질소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 낙엽의 리그닌 함량이 전반적인 분해율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낙엽의 분해는 식물의 수종 및 낙엽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그 분해율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데, 이중 C/N 비율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낙엽의 분해는 대부분 토양 생물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이 크다. 일반적으로 위도가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해 낙엽 분해가 느려 임상에 축적되는 낙엽의 양이 많다.
이러한 낙엽의 분해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를 이용한다.
낙엽은 나무에서 갓 떨어진 신선한 낙엽을 수거하여 60~80℃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 시킨 후 사용한다. 낙엽 분해 주머니는 나이론 그물을 사용하여 정사각형으로 만들어 일정 무게의 낙엽을 낙엽 분해 주머니에 넣고, 낙엽 분해 주머니를 해당 낙엽 수거 지역에 설치한다. 설치한 이후, 실내 연구실로 주로 3개월 간격으로 회수하고 그 낙엽 분해 주머니 안의 낙엽을 약 60~80℃ 건조기에 건조시킨 후, 그 건조 항량을 측정하여 분해에 의해 낙엽 분해 주머니로부터 소실된 양을 산출한 다음 낙엽의 탄소, 질소, 인, 리그닌 등의 화학적 성분 분석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는 주로 1~2㎜로 구성된 나이론 그물은 낙엽 분해에 큰 영향을 주는 중형(체폭: 0.2~2㎜ 미만) 및 대형(체폭: 2㎜ 이상) 토양동물군의 침입 이주를 제외시켜, 이는 특정 토양생태계에서 자연적인 생물학적 요인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억제하여 낙엽 분해속도를 떨어트리고 과소평가되어지는 결과를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Coleman et al. 2018).
반면에 4㎜ 이상의 큰 사이즈의 그물로 구성된 낙엽 분해 주머니는 야외에서 주머니 외부 바깥으로 분해가 진행되고 있는 낙엽의 파편 조각들이 빠져나가서 오히려 낙엽 분해속도가 과대평가되는 단점이 있다(Swift et al. 1979).
더욱이 항량된 낙엽을 넣고 야외현장에 설치한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의 밀착된 내부의 수분 환경조건은 자연적인 낙엽층 보다 과다하게 습하고, 오히려 토양미생물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조건으로 바뀌어 인위적인 토양미생물의 활성이 높아지게 되어 토양생태계에서의 실질적인 낙엽 분해속도는 과소평가되어지거나 모호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매우 크다(Vossbrinck et al. 1979, Coleman et al. 2018).
게다가, 토양생태계의 낙엽 분해과정 중에서 토양미생물과 체폭 500㎛ 이하의 작은 크기의 특정 토양동물군과의 상호관계 및 낙엽 분해속도에 미치는 기여효과를 알아보고자, 500㎛ 격자사이즈의 그물로 구성된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들을 야외현장에서 사용할 경우에 각 주머니 내부에 밀착된 낙엽들의 수분 환경조건은 상시 매우 과습한 상태로 물이 고여 있어서 정상적인 장기간의 야외실험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들을 야외현장에서 장기간 설치 및 사용시, 강한 바람, 폭우, 폭설 등의 악기상 조건으로부터 파손되거나 소실되고 태양광에 의해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외부환경에 오염정도가 높아서 한 번 사용된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샘플링 수거 후, 폐기 처분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낙엽 분해 주머니(Litter Bag)는 토양생태계에서 시계열에 따른 낙엽 분해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대기 중으로 방출 되어지는 이산화탄소 속도와 농도의 야외현장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001) 한국습지학회지제14권제4호, 2012년11월, 공주와 진주지역에서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선행기술문헌 002) 한국생태학회지29권제6호, 2006년12월,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의 낙엽 생산량 및 낙엽 분해에 따른 양분 동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동물 개체군 크기에 맞추어 부식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얇은 막 재질의 다양한 메시 사이즈(격자 범위: 10㎛~4㎜)를 가지는 메시망이 구비된 커버를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시켜 식물체 리터 분해과정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으로 정한 토양동물군의 이동 및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허용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 및 물질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토양동물의 기여율과 시계열 변화에 따른 정량적인 리터 분해속도를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자연적인 토양생태계 및 리터층의 환경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본체 내부의 리터(litter, 낙엽)들이 인위적으로 서로 압착되어 과 습해지는 상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야외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리터 분해속도 측정 및 샘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를 고정 핀으로 고정시켜 강한 바람, 폭우, 폭설 등의 악 기상 조건으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밀폐순환 자동 챔버시스템에 쉽게 연결시킬 수 있어 야외현장에서 시계열 변화에 따른 리터 분해 작용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속도 및 농도를 측정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핀 고정 고리가 구비되는 본체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 테두리에 상기 본체의 저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1결합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1메시망이 접합되는 하부 커버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 테두리에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2결합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2메시망이 접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본체의 핀 고정 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자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가 분리되어 상호 나사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본체는 높이를 연장하도록 저면과 상면에 각각 연결 핀 홈이 형성되어 고정 핀에 의해 이웃하는 본체와 수직으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본체는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메시망은 각각 메시 사이즈가 10㎛~4㎜로 형성되되, 동일한 메시 사이즈를 가지고, 메시 사이즈별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는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각각 감싸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에 따르면, 토양동물 개체군 크기에 맞추어 부식에 강한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얇은 막 재질의 다양한 메시 사이즈(격자 범위: 10㎛~4㎜)를 가지는 메시망이 구비된 커버를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시켜 식물체 리터 분해과정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으로 정한 토양동물군의 이동 및 접근을 물리적으로 제한하거나 허용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토양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 및 물질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토양동물의 기여율과 시계열 변화에 따른 정량적인 리터 분해속도를 규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자연적인 토양생태계 및 리터층의 환경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어 본체 내부의 리터(litter, 낙엽)들이 인위적으로 서로 압착되어 과 습해지는 상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리터 분해속도 측정 및 샘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체를 고정 핀으로 고정시켜 강한 바람, 폭우, 폭설 등의 악 기상 조건으로부터 견딜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밀폐순환 자동 챔버시스템에 쉽게 연결시킬 수 있어 야외현장에서 시계열 변화에 따른 리터 분해 작용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속도 및 농도를 측정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1)는 본체(10)와,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 및 고정 핀(4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0)는 PVC와 같이 무독성이고, 불투명인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핀 고정 고리(11)가 구비된다. 이때, 본체(10)는 자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가 분리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고, 본체(10)의 높이는 국내 산림토양의 L층(낙엽층) 높이에 대응되도록 3~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는 일측에 공기 흡입구(13)와 공기 배출구(15)를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20)는 PE, 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 테두리에 본체(10)의 저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1결합턱(2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1메시망(23)이 접합된다. 이때, 제 1메시망(23)은 메시 사이즈가 10㎛~4㎜로 형성되되, 동일한 메시 사이즈를 가지고, 메시 사이즈별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커버(30)는 상부 커버(20)와 동일 재질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데, 저면 테두리에 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2결합턱(3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2메시망(33)이 접합된다. 이때, 제 2메시망(33)은 메시 사이즈가 10㎛~4㎜로 형성되되, 동일한 메시 사이즈를 가지고, 메시 사이즈별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메시망(21)과 동일 메시 사이즈를 가진다.
또, 고정 핀(4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본체(10)의 핀 고정 고리(11)에 결합되어 본체(1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1)는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를 감싸 밀폐시켜 운반시 낙엽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 커버(50)가 더 구비된다. 이때, 밀폐 커버(50)는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가 내부에 압입되도록 PE, 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2개 이상 적층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높이를 연장하도록 저면과 상면에 각각 연결 핀 홈(17)이 형성되어 연결 핀(60)에 의해 이웃하는 본체(10)와 수직으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나무에서 갓 떨어진 신선한 낙엽을 수거하여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하부 커버(30)가 결합된 본체(10)에 낙엽을 넣은 다음 상부 커버(10)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커버(30)에 밀폐 커버(50)를 결합하여 본체(10) 저면을 밀봉시켜 설치 장소로 이동한다.
설치 장소에 설치시 낙엽이 쌓인 L층(L)을 제거하고, L층(L)의 높이와 동일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본체(10)의 높이를 최대로 하여도 L층(L)의 높이보다 낮으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다른 본체(10)를 결합시켜 높이를 맞춘다.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본체(10)를 F층(F)위에 올려놓고, 고정 핀(40)을 본체(10)의 핀 고정 고리(11)에 결합한 다음 지면에 삽입하여 본체(10)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본체(10)를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 핀(40)을 제거한 다음 본체(10)를 들어올린 후 하부 커버(30)에 밀폐 커버(50)를 결합해서 실험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후, 실험 장소로 이동되면 본체(10)의 밀폐 커버(50)를 제거한 다음 본체(10)를 이산화탄소 측정 장비에 올린 상태에서 낙엽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한다.
또한, 설치장소에서 본체(10)의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를 밀폐 커버(50)로 밀폐시키거나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만을 설치한 상태에서 공기 흡입구(13)와 공기 배출구(15)에 국내 등록특허 제10-1773981호(명칭: 밀폐순환법 적용 챔버의 개폐감지 작동을 이용한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량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밀폐순환 자동 챔버시스템의 튜브와 연결시켜 야외현장에서 시계열 변화에 따른 리터 분해 작용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속도 및 농도를 측정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상부 커버
30 : 하부 커버 40 : 고정고정 핀
50 : 밀폐 커버 60 : 고정 핀

Claims (6)

  1.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핀 고정 고리가 구비되는 본체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면 테두리에 상기 본체의 저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1결합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1메시망이 접합되는 하부 커버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 링 형태로 형성되되, 저면 테두리에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제 2결합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 2메시망이 접합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본체의 핀 고정 고리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2개가 분리되어 상호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높이를 연장하도록 저면과 상면에 각각 연결 핀 홈이 형성되어 연결 핀에 의해 이웃하는 본체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메시망은,
    각각 메시 사이즈가 10㎛~4㎜로 형성되되, 동일한 메시 사이즈를 가지고, 메시 사이즈별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는,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를 각각 감싸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KR1020190171095A 2019-12-19 2019-12-19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KR10232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95A KR102328645B1 (ko) 2019-12-19 2019-12-19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95A KR102328645B1 (ko) 2019-12-19 2019-12-19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36A true KR20210079036A (ko) 2021-06-29
KR102328645B1 KR102328645B1 (ko) 2021-11-24

Family

ID=7662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95A KR102328645B1 (ko) 2019-12-19 2019-12-19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863A (en) * 1990-09-07 1993-08-17 W. L. Gore & Associates, Inc. Soil-gas sampling apparatus
KR200335024Y1 (ko) * 2003-08-30 2003-12-01 김진수 캐비닛 높이 조절구
KR101348077B1 (ko) * 2012-08-14 2014-01-03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KR101410320B1 (ko) * 2013-06-13 2014-06-24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중의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기 및 측정방법
KR20150120833A (ko) * 2014-07-21 2015-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토양 샘플링 장치
CN209803134U (zh) * 2019-04-24 2019-12-17 内蒙古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凋落物分解-土壤养分归还量模拟测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863A (en) * 1990-09-07 1993-08-17 W. L. Gore & Associates, Inc. Soil-gas sampling apparatus
KR200335024Y1 (ko) * 2003-08-30 2003-12-01 김진수 캐비닛 높이 조절구
KR101348077B1 (ko) * 2012-08-14 2014-01-03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KR101410320B1 (ko) * 2013-06-13 2014-06-24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중의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기 및 측정방법
KR20150120833A (ko) * 2014-07-21 2015-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토양 샘플링 장치
CN209803134U (zh) * 2019-04-24 2019-12-17 内蒙古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凋落物分解-土壤养分归还量模拟测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문헌 001) 한국습지학회지제14권제4호, 2012년11월, 공주와 진주지역에서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선행기술문헌 002) 한국생태학회지29권제6호, 2006년12월, 계방산 장기생태조사지의 낙엽 생산량 및 낙엽 분해에 따른 양분 동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645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nhorn et al. Growth and vitality of epiphytic lichens: I. Responses to microclimate along a forest edge-interior gradient
Wuytack et al. The effect of air pollution and other environmental stressors on leaf fluctuating asymmetry and specific leaf area of Salix alba L
Marmor et al. The vertical gradient of bark pH and epiphytic macrolichen biota in relation to alkaline air pollution
Kuehn et al. Diel fluctuations in rates of CO2 evolution from standing dead leaf litter of the emergent macrophyte Juncus effusus
Dossa et al. Qua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wood decomposition across a tropical forest disturbance gradient
Zechmeister et al. Distribution of endangered bryophytes in Austrian agricultural landscapes
Wuyts et al. Gradual forest edges can mitigate edge effects on throughfall deposition if their size and shape are well considered
Gillespie et al. Pulse events in Great Basin Desert shrublands: physiological responses of Artemisia tridentata and Purshia tridentata seedlings to increased summer precipitation
Chiapusio et al. Sphagnum physiological responses to elevated temperature, nitrogen, CO2 and low moisture in laboratory and in situ microhabitats: a review
Astiani et al. Local knowledge on landscape sustainable-hydrological management reduces soil CO2 emission, fire risk and biomass loss in West Kalimantan Peatland, Indonesia
KR102328645B1 (ko) 토양동물 이동 제어가 가능한 야외 샘플링용 리터케이스 장치
Catarino et al. Application of CO 2-porometer methods to assessment of components of photosynthetic production in estuarine ecosystems
Pearson Active monitoring
Suren Assessment of artificial bryophytes for invertebrate sampling in two New Zealand alpine streams
Pallardy et al. Vegetation Inventory of Oak-Hickory Forest at Missouri Ozark (MOFLUX) Site: 2004-2017
Han et al. Leafweb: dataset in support of coupled modeling of photophysics, photo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photosynthesis, December 2022 Release
Wood et al. Leaf-area index of Oak-Hickory Forest at Missouri Ozark (MOFLUX) site: 2007–2022
Mestdagh Macromoth communities along forest edges
Craig et al. Microbial Biomass in Soils Receiving Varying Levels of Organic Inputs-A Data Compilation
Wood et al. Eddy Flux and Meteorology over Deciduous Forest, Prairie, and Soybean Ecosystems in Missouri, USA, during the Total Solar Eclipse of 2017
Kong et al. A review of lichen transplant studies and methods
Abramoff et al. NIST: Soil Respiration, Moisture, Temperature, Chemistry; and Fine Root Measurements from a Transect Through a Forest Edge, Gaithersburg, Maryland, 2017-2021
Božanić Mosses as living environment for invertebrates
Fernandez-Salegui et al. Chlorophyll a fluorescence in transplants of Parmelia sulcata Taylor near a power station (La Robla, León, Spain)
Hopkins et al. Whole leaf photosynthetic light response in a carnivorous plant species Sarracenia al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