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944A -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 Google Patents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944A
KR20210078944A KR1020190170918A KR20190170918A KR20210078944A KR 20210078944 A KR20210078944 A KR 20210078944A KR 1020190170918 A KR1020190170918 A KR 1020190170918A KR 20190170918 A KR20190170918 A KR 20190170918A KR 20210078944 A KR20210078944 A KR 2021007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shape
housing
f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6527B1 (en
Inventor
이주선
하명우
전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자인
Priority to KR102019017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527B1/en
Publication of KR2021007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air cleaner for a vehicle, which is portable in a tumbler shape with a structure which is easily held and attached to an air outlet in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ir cleaner for the vehicle has an additional heating function for meeting the needs of users who are sensitive to cold by being added to the conventional air purifying function. To this e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er for the vehicle has a full exterior including a housing first body and a housing second body, which are in a square shape and are a tumbler type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in a taper shape having corners with a certain flexion radiu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heightwise direc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detachable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housing includes a large number of functional modules inside for purifying/heating the polluted introduced air.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air cleaner for the vehicle includes heating function, lighting function, and diffusing function as well as the conventional air-cleaning function.

Description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Multifunctional vehicle air purifier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문제가 심하게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 내부로 거치가 용이한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부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열/온열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로, 한정된 크기의 소형 공기청정기에 LED 조명 및 디퓨징 기능을 부가한 다목적 소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하도록 사이즈 소형화 및 미관상 매끄러운 마감처리 뿐만이 아니라 소비자 니즈(needs)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사이즈의 차량용 공기청정기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mounted inside a vehicle that can be usefully used these days when the problem of fine dust is seriously emerging, and in particular, a useful heating/heating function that can be easily used in an enclosed space such as inside a vehicle It relates to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multi-purpose small air purifier with LED lighting and diffusing functions added to a small air purifier of a limited size. For this purpos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portable air purifier that has various functions to meet consumer needs as well as size reduction and aesthetically smooth finish for easy portability and mounting.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밀폐된 좁은 실내 공간에서는 잦은 도어 및 윈도우 개폐로 내부 공기가 쉽게 오염될 수 있으며, 이렇게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 물질은 대부분 가두어진 채 실내를 부유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 오염은 더욱 가중될 수 있다.In general, in a confined and narrow indoor space such as a car, the internal air can be easily polluted due to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windows. can be

그리고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씨에 차량 내부의 좁은 밀폐 공간에서 에어콘을 가동하게 되면, 증발시 생성되는 세균과 곰팡이가 실내로 유입되어 악취가 생기고 미세 분진에 의한 실내 오염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And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a narrow enclosed space inside the vehicle in rainy or humid weather, bacteria and mold generated during evaporation enter the room, causing a bad odor, and indoor pollution by fine dust is aggravat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소형 공기청정기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부에서 동작하는 흡입팬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한 후 다양한 필터로 구성되는 필터유닛을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작동 원리를 이용하는데, 추위를 싫어하는 사용자의 경우 차량 내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차가운 경우는 필터링을 통한 정화된 공기 역시 차가울 수 밖에 없어 사용시 주저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를 위하여는 한정된 소형 공간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 small air purifiers for solving these problems generally use the operating principle of purifying the air by introducing indoor air through an intake port through a suction fan operating inside the housing and then passing it through a filter unit composed of various filters. However, in the case of users who do not like the cold, whe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cold, the purified air through filtering has no choice but to be cold. The need for is being raised.

이를 위하여 히터를 내재한 공기청정기가 다수 종래 기술로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히터 공간 확보 및 구동원 공급시 제약사항 및 가격경쟁력 면에서 휴대가능 차량용 소형 공기청정기에 도입하기에는 무리수가 많이 생길 수 밖에는 없다.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air purifiers with built-in heaters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 this case, there are many unreasonable numbers to be introduced into small air purifiers for portable vehicles in terms of price competitiveness and restrictions on securing heater space and supplying a driving source.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적용한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등록특허공보 10-0726847에서 히터와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등의 구성으로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히터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상 제약 및 형태에 대한 구조적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어 용이하게 사용,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Fig. 1, a vehicle air purifier applied to a vehic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26847 with a heater, a HEPA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re was no choice but to limit the ease of use and application because there were structural constraints on the system.

이를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 특허공개 제10-2015-0032989에서는 온풍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공기 정화필터에 발열체를 일체로 수평 방향으로 적층하여 온풍을 토출하는 형태를 소개하고 있다.As another method for this purpose, Patent Laid-Open No. 10-2015-0032989 discloses an air purifier having a warm air function. In this case, a form in which a heating element is integrally stacked on an air purification fil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discharge warm air is introduced. are doing

하지만, 이 또한 기존의 공기청정기 내부에 선택적으로 게재되는 것으로 휴대용으로 구현하기에는 구조적,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따를 수 밖에는 없었다. However, since this is also selectively posted inside the existing air purifier, structural and economical difficulties were inevitable to implement it as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 가능한 구조의 소형 사이즈인 차량용 공기청정기 내부에 기존의 활성탄 헤파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별도의 발열부를 더 구성하게 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정화되어 발열되어진 공기를 취출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선택 폭을 넓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urif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isting activated carbon HEPA filter is further configured with a separate heating unit inside the compact size portable air purifier for the user to select. The purpose of this is to broaden the user's choice of vehicle air purifiers by allowing the purified and heated air to be blown ou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또한, LED조명등, 방향제 유닛등 차량 내부에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기능을 일반 텀블러 크기의 공기청정기 내부에 부가하여 다양한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는 사용자 편리성을 제고하면서도 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to meet various user needs by adding function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inside the vehicle, such as LED lighting and air freshener units, to the inside of an air purifier the size of a general tumbler, while not impairing the appearance.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체 외관 형상으로는 흡입구 및 취출구가 구비된 텀블러 타입의 사각형 하우징 제1바디 및 하우징 제2바디;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바디는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모서리가 소정 굴곡반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바디 하부 사각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한 끼움홈과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끼움부재를 구비한 바닥뚜껑;과, 내부로 차량 내부 공기를 정화, 발열시킬 수 있는 다수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 내부는, 하부 바닥뚜껑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구로 유입된 차량 내부 공기를 여과, 정화시키는 원통 형상의 활성탄/헤파필터 모듈; 상기 필터 상부로 형성되며 내부 중심의 원통형 고정 끼움부재로 고정되어 공기 흡입시 발열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신호 ON/OFF, 발열공기에 의한 온풍공급 동작시 설정온도 조절, 외부 공기 공급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PCB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 상부로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흡입용 팬; 상기 제어부 모듈 상면과 상기 제1바디 하부 지지대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다수홈을 구비한 다수 돌기가 형성된 지지대 내부를 360도 감싸는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모듈; 상기 기판 상면 일측 중앙으로 설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할 구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신호 입력부; 상기 PCB 제어모듈을 구성하는 기판면에 설치된 전기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면상 발열체 일끝단면 중심부에 전기적 접속되는 전기신호 출력부; 및 상기 지지대 상부와 나사결합되며, 다수의 원형상이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취출구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대략 사각 형상의 취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tumbler-type rectangular housing first body and a housing second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in the overall external shap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dge in the height direction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bending radius and is configured to be mutually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work, and the second body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quadrangular corner of the second body. A bottom lid having a fitting member that protrudes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installed at a distance to be mutually detachable; and a plurality of modules capable of purifying and he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inside a body part; but the inside of the body part is a cylindrical activated carbon/HEPA filter modul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the lower bottom lid to filter and purify the air inside the vehicle flowing into the inlet; 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and fixed with a cylindrical fixed fitting member at the center of the inner part to turn on/off an electric signal to perform a heating function when air is sucked in, control a set temperature when hot air is supplied by heating air, and operate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external air PCB control module for an air intake fan installed above the control module to easily suck in external air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a carbon fiber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that surrounds the inside of the support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groov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and the lower support of the first body is formed; an electric signal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ormed so as to apply an external power; an electric signal output unit connected to an electric signal input terminal install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PCB control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one end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and a substantially square-shaped take-out plate screw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having a plurality of circular shapes deployed in a radial direction and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때, 상기 제1바디는, 하부로는 정화되고 발열되어진 공기가 차량 내부로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오픈된 중공 형상을 위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스가 구비된 중공형상부; 상기 중공형상부 상부로 구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밀폐부; 상기 상부 하우징 최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 돌출홈을 구비한 머리뚜껑;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바디의 밀폐된 상부 저면으로 리모콘 또는 수동으로 점등 가능하게 설치되는 LED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hollow shape part provided with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an open hollow shape of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purified and heated air can be easily radiated into the vehicle interior; a square-shaped seal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mposed of an upper part of the hollow-shaped part;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upper housing and has a head li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grooves on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ighting is installed.

또한, 상기 조명등 상부에는 방향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방향재료를 투입하고 방사할 수 있는 일면이 개구된 방향제 투입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rfume input unit having an open one surface for injecting and radiating a fragrance material so as to add a direction func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lighting lamp.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국기 형상의 ㄱ 자 모양으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와 결합되는 끼움홈은 상기 몸체부 저면 모서리 부분에 상기 끼움부재와 체결 가능한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뚜껑과 몸체부 체결시 개구된 일자 슬릿 형상의 흡입구가 다수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 저면 하측 중앙부로 원통 형상의 끼움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중앙으로 볼 형상의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방향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끝부분이 개구된 클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 내 공기 송풍구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클립홀더;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nd, the fitt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floor in a flag-shaped L-shape having a certain height, and the fitting groove coupled to the fitting member i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apable of fastening with the fitting member at the bottom edge of the body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 form a plurality of straight slit-shaped suction ports that are opened when the bottom lid and the body part are fastened, and a cylindrical fitting supporter to the lower central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ball-shaped fitting to the center of the suppor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ed clip holder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air vent in the vehicle by being hinge-coupled to the member and the fitting member to facilitate direction adjustment and to be configured in a clip shape with an open end. .

상기 주요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 공기 흡입팬에 의하여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불순물을 다수 필터를 통하여 1차적으로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공기가 내부에 감싸져 있는 탄소섬유 면상발열체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온도(추위)에 민감한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따라서 발열된 온풍을 취출 가능하도록 하여 기존 차량용 공기청정기 사용시 사용자 선택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main configuration circulates the polluted air inside the vehicle by the air intake fan inside the housing to first filter fine dust or impurities in the air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and then the filtered air is wrapped inside By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carbon fiber planar heating element, the heated air can be blown out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of the user who is sensitive to temperature (cold).

아울러, 리모콘 또는 수동으로 점등 가능하게 설치되는 LED 조명등 및 방향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방향재료를 투입하고 방사할 수 있는 일면이 개구된 방향제 투입 유닛을 하우징 내부로 더 구비하여 경제적 비용 절감, 공간적 활용도 배가라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n LED lighting lamp installed so as to be litable by remote control or manually, and a fragrance input unit with one side open to inject and radiate a fragrance material so as to add a direction function,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reduce economic costs and reduce space.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doubling.

또한, 이러한 과정을 콤팩트한 텀블러 형상 및 그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필터부와 발열부를 배치하고 유입된 하우징 내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내부 공간 확보 및 라운드된 모서리 처리등을 통하여 원만하게 해결함으로써 기존의 차량용 소형 공기청정기에 비하여 개선된 정화/발열 성능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is process is smoothly solved by properly arranging the filter part and heating part according to the compact tumbler shape and size, securing sufficient internal space so that the air inside the housing can flow smoothly, and processing rounded corners. By doing so, it has the effect of having improved purification/hea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small air purifier for vehicles.

그리고, 하우징 저면 하부에는 차량 내부 에어콘 출구 등 차량 내 공기 송풍구에 쉽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원판, 볼, 클립을 차례로 구비한 힌지 결합된 홀더부를 구성하여 차량 내부 필요한 위치에 운전자가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편리함을 아울러 제공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consists of a hinge-coupled holder that has a disc, a ball, and a clip in sequence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 air vent in the vehicle, such as an air conditioner outlet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mount it at the required position inside the vehicle. is also provi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기청정기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하우징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 및 제2바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바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체 설치시 발열체 유닛을 도시한 구성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디 밀폐부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 미사용시 방향제 투입유닛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저 사용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단면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on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element unit when a planar heating elem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body seal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fume input unit when the perfume is not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structur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ing th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조명 및 디퓨징 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휴대가능한 소형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rtable air purifier for a small multi-functional vehicle equipped with heating, lighting and diffusing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mponent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관 하우징(100)을 설명하면 전체 외관 형상으로는 흡입구(380) 및 취출구(390)가 구비된 텀블러 타입의 하우징 상부에 해당하는 사각형 하우징 제1바디(200) 및 하우징 하부에 해당하는 하우징 제2바디(300)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제1바디(200) 및 제2바디(300)는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모서리가 소정 굴곡반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형 굴곡은 심미감 배가만이 아니라 내부 공기 유동시 공기 유동 저항을 저감시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First, when the exterior hous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overall exterior shape is a rectangular housing first body 200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a tumbler type housing having an intake port 380 and an exhaust port 390 . and a housing second body 3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are provided in a tapered shape with corners having a predetermined bending radius in the horizontal and height directions.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deta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Such a streamlined curve has the effect of not only doubling the aesthetics, but also reducing the air flow resistance when the internal air flows, thereby making the air flow smoother.

본 발명의 주요 사상은 상기 제2바디(300) 내부의 다수 유닛으로 준별되는 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바디(300)에 대한 설명에 집중하여 우선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Since the main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units inside the second body 300,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body 300 will be focused on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nd will be described first.

상기 제2 바디(300)는, 제2바디(300) 하부 사각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한 끼움홈(310b)과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끼움부재(310a)를 구비한 바닥뚜껑(310)이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끼움부재(310a)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국기 형상의 ㄱ자 모양으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310a)와 결합되는 끼움홈(310b)은 상기 몸체부(305) 저면 모서리 부분에 상기 끼움부재(310a)와 체결 가능한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닥뚜껑(310)과 몸체부(305) 체결시 하우징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개구된 일자 슬릿 형상의 흡입구(380)가 다수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second body 300 protrudes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300 so as to be mutually detachable from the fitting groove 310b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quadrangular corner of the second body 300 and the fitting member 310a. A bottom lid 310 having a is formed, in this case, the fitting member 310a protrudes from the bottom in the shape of a national flag having a certain height, and a fitting groove coupled to the fitting member 310a ( 310b) protrudes downwar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apable of being fastened to the fitting member 310a at the bottom edge of the body part 305, so that the bottom cover 310 and the body part 305 are fastened to the housing.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80 in the shape of an open straight sli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can be formed.

이를 통하여 하우징 외부 표면에 별도의 흡입구를 구성하지 않고도 차량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380)를 별도로 인위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착탈식 조립 구조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have the advantage of easily suck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without configuring a separate intake por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uction port 380 is not artificially formed separately and is naturally solved through a detachable assembly structure.

이어서, 상기 바닥두껑(310)과 착탈되는 몸체부(305) 내부로는 차량 내부 공기를 정화, 발열시킬 수 있는 다수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space is secured inside the bottom cover 310 and the detachable body 305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modules capable of purifying and he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same.

먼저, 상기 몸체부(305) 하부 바닥뚜껑(310)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380)로 유입된 차량 내부 오염공기를 여과, 정화시키는 원통 형상의 활성탄/헤파필터 모듈(320)이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흡입되어진 오염된 차량 내부 공기를 정화하게 되는데, 이 경우, 활성탄 필터는 석탄이나 야자각의 탈취필터로 담배연기, 휘발성 유기 화합물, 기타 악취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공기를 통과하여 거르는 방식으로 미세먼지 등을 없애주고 깨끗하게 공기를 내보내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는 프리필터를 사용하여 1차적 여과 후 헤파필터를 통한 미세먼지 제거 후 마지막으로는 활성탄 필터를 통해 유해한 가스를 처리하고 있는 것이다. First, a cylindrical activated carbon / HEPA filter module 32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the lower bottom lid 310 of the body 305 and filters and purifies the polluted air inside the vehicle introduced into the intake 380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activated carbon filter is a deodorizing filter of coal or coconut shell, which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dsorbing and removing cigarette smok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other odorous substances. have.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filtering through air to remove fine dust and clean air. Generally, after primary filtration using a pre-filter, fine dust removal through a HEPA filter, and finally harmful dust through an activated carbon filter gas is being processed.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장치로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공기 중 0.3㎛ 크기의 입자를 99.7% 걸러줄 수 있는 헤파필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Generally. There are a filter type and a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type as a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HEPA filter method that can filter 99.7% of particles with a size of 0.3 μm in the air is adopted.

이렇게 원통형 구조를 360도 감싸는 필터 모듈(320) 외주면 바깥으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링을 거쳐 원통형 내부 중공부를 공기 유동 통로로 하여 흡입팬의 회전 동작에 따라서 상방향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module 320 surrounding the cylindrical structure 360 degrees is filtered through the cylindrical inner hollow part as an air flow passage to maintain an upward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이어서, 상기 필터모듈(320) 상부로 형성되며 내부 중심의 원통형 고정 끼움부재로 고정되어 공기 흡입시 발열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신호 ON/OFF, 발열공기에 의한 온풍공급 동작시 설정온도 조절, 외부 공기 공급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PCB 제어모듈(330)이 구성되는데, 이 경우 면상발열체(353) 일끝단 중심부에 상기 PCB 제어모듈(330)이 형성된 PCB기판 상면에 형성된 전기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된 전기신호 출력부(350a)를 구성하고, 상기 기판 상면 일측 중앙으로는 외부 전원을 인가할 구 있는 전기신호 입력부(33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filter module 3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fixed with a cylindrical fixing fitting member in the center of the inner center to turn on/off an electrical signal for performing a heating function when air is inhaled, a set temperature control during a hot air supply operation by heating air, and external air The PCB control module 330 for operating the driving unit for supply is configured, in this case, the electric signal input terminal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on which the PCB control module 3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ignal output unit 350a, and to form an electrical signal input unit 331 capable of applying an external power to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이 경우 상기 입력부(331)는 별도의 외부 전기선 인입보다는 접근/사용이 용이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USB 포트(331)를 상기 제어모듈(330) 구성요소인 PCB 기판 일측 상면 중앙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외부 하우징 위치에 슬릿홈(331a)을 내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손쉽게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차량 내부 전기 공급원으로부터 사용자는 상기 포트에 맞는 USB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기 연결을 시켜 차량용 공기청정기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for the input unit 331 to use a portable device that is easy to access/use rather than a separate external electric cable ent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port 331 is used as a component of the control module 330 . 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PCB board, and a slit groove 331a is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external housing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pply power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 the USB suitable for the port from the vehicle's internal electricity supply source as necessary to drive the vehicle air purifier.

이어서, 상기 제어모듈(330) 상부로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흡입용 팬(340)이 설치되는데, 상기 팬(340)은 상기 PCB 제어모듈(33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장팬(340)은 구동되어진 외부 공기가 흡입구(380)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후 토출구(39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는, 하부로 개구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300) 구조에 적합한 크기와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공기 흡입용 팬(330) 동작의 동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 구동풍압이 온전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공기흡입 및 공기유동성을 제고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팬(340) 구동을 위한 모터(340b)는 기존 DC모터의 브러쉬 마모 및 소음 문제 해결을 위하여 브러쉬 대신 인버터 회로를 사용하는 BLDC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Next, an air intake fan 340 is instal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module 330 to easily suck the external air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fan 340 is electrically powered from the PCB control module 330 . Selective operation is possible by receiving a signal, and this built-in fan 340 allows the driven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inlet 380 and then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390. make it possible In this case, it is installed in a size and position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cylindrical housing 300 opened downward so that the driving wind pressure is intact in the enclosed inner space so that the power of the operation of the air suction fan 330 can be maximized.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air intake and air flow by making it possible to transm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340b for driving the fan 340 uses a BLDC motor using an inverter circuit instead of a brush to solve the brush wear and noise problems of the existing DC motor.

한편, 상기 제어모듈(330) 상면과 상기 제1바디(200) 하부 지지대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다수홈을 구비한 다수 돌기가 형성된 수직지지대(351) 내부를 360도 감싸는 면상발열체(353)가 구비되는 면상발열체 모듈(350)이 몸체부(305) 상단으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면상발열체(353)는 상기 수직 지지대(351) 내부를 빈틈없이 감싸는 형상으로 부착한다. On the other hand, a planar heating element 353 surrounding the inside of the vertical support 351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hav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groov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330 and the lower support of the first body 200 by 360 degrees is provided. The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5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305, in this case,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is attached in a shape that tightly surrounds the inside of the vertical support 351.

상기 면상 발열체(353)의 고정은 상기 수직 지지대(351) 하부 내면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금속부재(351b)를 부착하고. 상기 발열체(353)가 상기 수직지지대(351)를 감싸는 경우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면상발열체(353) 일단 끝면 하부에 다수개의 자석(353a)을 내재하여 상기 자석(353a)과 금속부재(351b) 사이의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어 감싸는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편리성을 제고하고 있다. The fixing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is to attach a metal member 351b having a certain height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351 . When the heating element 353 surrounds the vertical support 351, a plurality of magnets 353a are embedded in the lower end surface of one end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353a and the metal member 351b. ), it is fixed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two and the enclosing shape can be firmly maintaine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fixing.

이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353)는 용도에 맞게 다양한 소재의 적용이 가능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발열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수 방출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박리 가능성이 적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내스크래치성은 물론 오염방지성, 즉 방오성을 향상시킨 탄소섬유 면상발열체(353)를 사용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may be applied with a variety of materials to suit the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excellent exothermic properties,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such as far-infrared rays are emitted, and the possibility of peeling is small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e durability is excellent, and especially the surface strength is excellent to improve scratch resistance as well as contamination prevention properties, that is, antifouling properties A carbon fiber planar heating element 353 is used.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를 구성하는 탄소(carbon)는 주로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흑연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그 형태로는 실로 만들어진 탄소섬유, 가루로 만들어진 파우더, 솜처럼 만들어진 탄소펠트 및 고형화시킨 탄소봉 등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내부로의 상방향 공기흐름에 대한 구조 적용이 용이하도록 실로 만들어진 면상 구조(353)를 채택하여 원하는 발열 효과를 얻어내고 있다.In general, carbon constituting carbon fiber is mainly inorganic or organic graphite structure, and in its form,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carbon fiber made of thread, powder made of powder, carbon felt made like cotton, and carbon rod made of solidif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sired heating effect is obtained by adopting a planar structure 353 made of threads to facilitate the structural application of the upward airflow into the housing.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탄소의 한 형태인 탄소섬유는 그 원료에 따라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피치계 및 레이온계로 분류되며, 그 중 PAN계와 레이온계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술한 탄소섬유 중 PAN계 탄소섬유는 PAN을 비활성 기체하에서 1,000∼2,00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만든다. 반면, 피치계의 경우 석탄에서 나오는 피치를 섬유화한 뒤 PAN계와 거의 같은 공정을 거쳐서 완성하지만 PAN계열과 비교해 그 값이 싸기 때문에 고온단열재나 보강재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carbon fiber, which is a form of carbon, is classified into polyacrylonitrile (PAN)-based, pitch-based, and rayon-based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thereof, and PAN-based and rayon-based materials occupy most of them. Among the carbon fibers described above, PAN-based carbon fibers are made by calcining PAN at a temperature of 1,000 to 2,000° C. or higher under an inert ga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itch system, the pitch from coal is fiberized and completed through almost the same process as the PAN system, but it is widely used as a high-temperature insulation material or reinforcing material because it is cheaper than the PAN system.

상기 우수한 발열 특성을 갖는 탄소섬유 면상발열체(353)는 일 끝단 중앙으로 전기신호 출력부(350a)를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 모듈(330)의 일 단자와 전선 연결하여 전기신호를 인가받고, 이에 따라서 탄소 소재와 전극간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발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carbon fiber planar heating element 353 having the excellent heating characteristics constitutes an electric signal output unit 350a at one end of the center, and connects one terminal of the control module 330 with a wire to receive an electric signal, and thus carb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electrode performs a heating function.

이어서, 상기 수직지지대(351) 상부의 수평지지판(352)과 나사결합되며, 다수의 원형상이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취출구(390)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대략 사각 형상의 취출판(391)이 제1바디(200)와 제2바디(300) 사이로 구성되는데, 상기 취출판(391)에는 다수의 원형상이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취출구(390)가 다수 구비되어 있으며 대략 사각 형상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방사상 전개된 취출구(390)를 형성하게 하여 직경이 적은 취출용 구멍을 통하여 내보내는 풍속의 세기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상을 채택하여 다수의 동공구멍을 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vertical support 351 is screwed with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52 of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circular shapes are radially developed and a plurality of outlets 390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39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200 and the second body 300, and the ejection plate 39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jection ports 390 that ar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adially developing a plurality of circular shapes. It adopts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radially deployed air outlets 390 to double the strength of the wind speed emitted through the air outlet hole having a small diameter.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hape is adopted and a plurality of pupil holes are form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

한편,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몸체부(305) 하측 중앙부 일측면으로 원판 형상의 끼움지지대(361) 및 상기 지지대(361) 중앙으로 볼 형상의 끼움부재(362)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재(362)와 힌지 결합되어 방향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끝부분이 개구된 클립(363) 형상으로 에어콘 슬릿부와 같은 차량 내 공기 송풍구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클립홀더(360)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크기의 소형 공기청정기는 차량 내부 다양한 공간에 운전자 니즈에 따라서 차량 내부 송풍구 등에 손쉽게 거치가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 3 , a disc-shaped fitting support 361 on one side of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05 and a ball-shaped fitting member 362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361 are provided, and the fitting A fixed clip holder 360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 air vent in a vehicle such as an air conditioner slit in the shape of a clip 363 with an open end formed by being hinged with the member 362 to facilitate direction adjustment are doing Accordingly, the small air purifier of the size of a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in various spaces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needs, etc.

이어서 상기 제1바디(200) 구성에 대하여 도면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바디(200)는 하부로는 정화되고 발열되어진 공기가 차량 내부로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오픈된 중공 형상을 위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스가 구비된 중공형상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형상부(210) 상부로는 소정 두께를 갖는 밀폐부(220)를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100) 최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바디(200)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 돌출홈을 구비한 머리뚜껑(230)을 구성하고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first body 200 is an open hollow of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air that is purified and heated at the bottom can be easily radiated into the vehicle. A hollow shape part 210 provided with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the shape is provided, and an upper part of the hollow shape part 210 constitutes a sealing part 2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most part of the housing 100 is provided. and constitutes a head cover 23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grooves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body 200 upper surface.

이에 따라서 상기 다수 취출구(390)를 통하여 배출된 정화, 발열되어진 공기는 상기 중공형상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공급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밀폐부(220)에 의하여 상방향 흐름(확산)이 저지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원하는 위치로의 국부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purified and he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s 390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hollow shape part 210, and in this case, the air flows upward by the sealing part 220 (diffusion) is inhibited, allowing localized delivery to a desired location where the user can inhal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부가적 기능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하우징 밀폐부(220) 저면으로는 리모콘 또는 수동으로 점등 가능하게 설치되는 LED 조명등(223)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선택적 필요성에 따라 부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조명등(223) 상부로는 머리뚜껑(230) 하면 내부 공간에 원통 형상의 배터리적재부(224)가 구성되는데, 일반적 구성으로는 내부로 건전지를 투입하여 하부로 돌출된 조명등(223) 케이스(223a)를 누르면 전기 접점이 컨택되면서 조명이 켜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리모콘을 통하여 상기 LED 조명등(223)을 ON/OFF 가능함은 공지 기술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LED lighting lamp 223 installed so as to be turned on by a remote control or manually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sealing unit 220, which is a selective necessity of the user. It can be attached according to In this case, a cylindrical battery loading part 224 is configured in the inner space when the head lid 230 is lowe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ing lamp 223. In a general configuration, the lighting lamp 223 protrudes downward by inserting a battery into the interior. ) When the case (223a) is pressed, the electrical contact is contacted and the light is turned on. In this case, since it is a well-known technology that the LED lighting lamp 223 can be turned on/off through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조명등(223)은 향후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차량 내부 공기오염 상태에 대한 지시등 기능으로서 공기오염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 또는 명도, 채도 등 변화로 공기청정기 가동 필요에 따른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용도로서 사용 가능할 것이다. The lighting lamp 223 is a function of an indicator for future Internet-of-Things (IOT)-based air pollution status in a vehicle, and is used to guide functions according to the need to operate the air purifier by changing various colors, brightness, saturation, etc., depending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will be available as

또 다른 기능적 실시예로서, 상기 조명등(223) 상부에는 방향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방향재료를 투입하고 방사할 수 있는 일면이 개구(225a)된 방향제 투입 유닛(225)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또한 사용자 필요에 따라서 추출액 또는 추출 고형제 성분의 방향제를 상기 유닛(225)에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 실내부 공기 방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another functional embodiment, a fragrance input unit 225 having an opening 225a on one side for injecting and radiating a fragrance material so as to add a direction func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ing lamp 223 may be further provided. This can also enable the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vehicle interior by selectively adding and installing an extractant or an extractant-solid component fragrance to the unit 225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러한 방향제 투입은 선택적 사항으로 사용자가 필요치 않는 경우는 방향제 투입 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밀폐부(220) 내부는 빈 공간으로 외부 하우징 자체는 변화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is perfume input is optional, and the perfume input unit may not be used when the user does not need i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part 220 is an empty space and the external housing itself can be used without change.

물론, 이 경우 최근 사무실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디퓨저 형상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징 용기(226)에 일정 깊이로 담겨져 있는 디퓨징액(오일) 및 오픈된 형상의 개구부(227)를 통하여 상기 디퓨징액(오일)에 하부 일정 높이만큼 잠겨 있는 디퓨징 스틱(228)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밀폐부 방향제 투입 유닛(225) 내부로 안전하게 안착 지지시키기 위하여 디퓨징 용기 크기를 상기 밀폐부 상단 내부 홈에 온전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as a diffuser shape frequently used in recent offices, etc., the diffuser (oil) contained in the diffusing container 226 to a certain depth and the opening 227 in an open shape ar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diffusing stick 228 immersed in the diffusing liquid (oil) by a certain height at the bottom through the abov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inner groove of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part.

상기 디퓨징 용기 높이는 상기 밀폐부 내부 방향제 투입 유닛을 구성하는 내부 높이에 맞게 하여 디퓨징 기능을 원치 않는 경우는 상기 디퓨징 용기 상부 개구부를 머리뚜껑을 통하여 닫아 외부 하우징 형상에는 전혀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방향제 투입 유닛을 구성하는 중공 상태인 내부 높이보다 다소 높은 별도의 디퓨징 용기를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안치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height of the diffusing container is adjusted to the inner height constituting the air freshener input unit inside the closure part, so that when the diffusing function is not desired, the upper opening of the diffusing container is closed through the head lid so that the shape of the outer housing is not changed at all Preferably, a separate diffusing container somewhat higher than the hollow inner height constituting the perfume input unit may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이렇게 사용자 니즈에 따라서 디퓨징하는 디퓨저는 다양한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 구조의 외관 하우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향제 적용 구조에 대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diffuser that diffus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to various structures for applying a fragrance without deforming the exterior housing of the air purifi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 요소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compon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or change i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100: 전체 하우징 200: 제1바디
210: 중공형상부 220: 밀폐부
223: LED 조명등 223a: 조명등뚜껑
224: 배터리적재부 225: 방향제 투입 유닛
225a: 개구홈 230: 머리뚜껑
300: 제2바디 310: 바닥뚜껑
310a: 끼움부재 310b: 끼움홈
320: 필터모듈 330: PCB제어모듈
331: 전기신호 입력부 331a: 슬릿홈
340: 공기 흡입용팬 340a: 끼움구멍
350: 면상발열체모듈 350a: 전기신호 출력부
351: 수직지지대 351a: 돌기
351b: 금속부재 352: 수평지지판
352a: 돌기 353: 면상 발열체
353a: 자석 360: 고정클립홀더
361: 끼움지지대 362: 끼움부재
363: 클립 380: 흡입구
390: 취출구 391: 취출판
100: the entire housing 200: the first body
210: hollow shape part 220: sealing part
223: LED lighting lamp 223a: lamp lid
224: battery loading unit 225: air freshener input unit
225a: opening groove 230: head cap
300: second body 310: bottom lid
310a: fitting member 310b: fitting groove
320: filter module 330: PCB control module
331: electrical signal input unit 331a: slit groove
340: fan for air intake 340a: fitting hole
350: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50a: electrical signal output unit
351: vertical support 351a: projection
351b: metal member 352: horizontal support plate
352a: projection 353: planar heating element
353a: magnet 360: fixed clip holder
361: fitting support 362: fitting member
363: clip 380: inlet
390: ejection port 391: ejection plate

Claims (4)

전체 외관 형상으로는 흡입구(380) 및 취출구(390)가 구비된 텀블러 타입의 사각형 하우징 제1바디(200) 및 하우징 제2바디(3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바디(200, 300)는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모서리가 소정 굴곡반경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호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디(300)는,
상기 제2바디(300) 하부 사각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한 끼움홈(310b)과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끼움부재(310a)를 구비한 바닥뚜껑(310);과,
내부로 차량 내부 공기를 정화, 발열시킬 수 있는 다수 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몸체부(305);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305) 내부는,
하부 바닥뚜껑(310)과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구(380)로 유입된 차량 내부 공기를 여과, 정화시키는 원통 형상의 활성탄/헤파필터 모듈(320);
상기 필터모듈(320) 상부로 형성되며 공기 흡입시 발열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신호 ON/OFF, 발열공기에 의한 온풍공급 동작시 설정온도 조절, 외부 공기 공급용 구동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PCB 제어모듈(330);
상기 제어모듈(330) 상부로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외부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흡입용 팬(340);
상기 제어모듈(330) 상면과 상기 제1바디(200) 하부 수직지지대(351)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다수 돌기(351a)가 형성된 수직지지대 내부를 360도 감싸는 탄소섬유 면상발열체 모듈(350);
상기 제어모듈(330)을 구성하는 기판 상면 일측 중앙으로 설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할 구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신호 입력부(331);
상기 제어모듈(330)을 구성하는 기판에 설치된 전기 신호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면상 발열체(353) 일끝단면 중심부에 전기적 접속되는 전기신호 출력부(350a); 및
상기 수직지지대(351) 상부와 나사결합되며, 다수의 원형상이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취출구(390)가 다수 구비되어 있는 대략 사각 형상의 취출판(39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바디(200)는,
하부로는 정화되고 발열되어진 공기가 차량 내부로 용이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오픈된 중공 형상을 위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스가 구비된 중공형상부(210);
상기 중공형상부(210) 상부로 구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의 밀폐부(220);
상기 하우징 최상부로 설치되며 상기 제1바디(200)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저면에 다수 돌출홈을 구비한 머리뚜껑(23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1바디(200)의 밀폐부(220) 저면으로 리모콘 또는 수동으로 점등 가능하게 설치되는 LED 조명등(223)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The overall external shape includes a tumbler-type rectangular housing first body 200 and a housing second body 300 equipped with an inlet 380 and an outlet 390;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00 and 300 are provided in a tapered shape with corners having a predetermined bending radius in the horizontal and height directions, so as to facilitate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second body 300,
The bottom cover 310 having a fitting member 310a protruding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300 so as to be mutually detachable from the fitting groove 310b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quadrangular corner. ;and,
A body portion 305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modules capable of purifying and he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305,
a cylindrical activated carbon/HEPA filter module 32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with the lower bottom lid 310 to filter and purify the vehicle interi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380;
PCB control module ( 330);
an air intake fan 340 instal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rol module 330 to easily suck external air generated inside the vehicle;
Carbon fiber planar heating element module 350 surrounding the inside of the vertical support hav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351a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module 330 and the first body 200 and the lower vertical support 351;
an electric signal input unit 331 installed in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330 and formed so as to apply external power;
an electric signal output unit 350a connected to an electric signal input terminal installed on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control module 3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one end surface of the planar heating element 353; and
The vertical support 351 is screwed with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circular shapes are radially developed and a plurality of outlets 390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The first body 200,
A hollow shape part 210 provided with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an open hollow shape of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purified and heated air can be easily radiated into the vehicle interior;
a square-shaped sealing portion 2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nfigured as an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21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most part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body 200 has a head lid 230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grooves on its bottom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A multifunctional vehic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lighting lamp 223 installed so as to be turned on by a remote control or manually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part 220 of the first body 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223) 상부에는 방향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방향재료를 투입하고 방사할 수 있는 일면이 개구(225a)된 방향제 투입 유닛(225)을 더 구비한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functional vehicl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n air freshener input unit 225 having an opening (225a) on one side for injecting and radiating a fragrance materia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ing lamp 223 to add a direction fun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310a)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국기 형상의 ㄱ 자 모양으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와 결합되는 끼움홈(310b)은 상기 몸체부(305) 저면 모서리 부분에 상기 끼움부재와 체결 가능한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뚜껑(310)과 몸체부 체결시 개구된 일자 슬릿 형상의 흡입구(380)가 다수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fitting member 310a protrudes from the floor in a flag-shaped L-shape having a certain height, and the fitting groove 310b coupled to the fitting member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body 305 with the fitting member and A multi-function vehicle air purifier that protrudes downwar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position and has a plurality of straight slit-shaped suction ports 380 that are opened when the bottom lid 310 and the body are faste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5) 일외주면 하측 중앙부로 원통 형상의 끼움지지대(361) 및 상기 지지대 중앙으로 볼 형상의 끼움부재(362)와 상기 끼움부재와 힌지 결합되어 방향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끝부분이 개구된 클립(363) 형상으로 구성되어 차량 내 공기 송풍구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클립홀더(360);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용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portion 305,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fitting support 361, and the ball-shaped fitting member 362 and the fitting member and the hinge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are configured to facilitate direction adjustment, so that the end portion is The multifunctional vehicl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a fixed clip holder 360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air vent in the vehicle by having an open clip (363) shape.


KR1020190170918A 2019-12-19 2019-12-19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KR102336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18A KR102336527B1 (en) 2019-12-19 2019-12-19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18A KR102336527B1 (en) 2019-12-19 2019-12-19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44A true KR20210078944A (en) 2021-06-29
KR102336527B1 KR102336527B1 (en) 2021-12-07

Family

ID=7662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18A KR102336527B1 (en) 2019-12-19 2019-12-19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5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582A1 (en) * 2021-12-25 2023-06-29 Regonesi Giuliano Sterilization device with uv-c content used in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231B1 (en) 2022-10-21 2023-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Vehicl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biofi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495A (en) * 2013-04-01 2014-10-10 한지수 Air purifier
CN209155338U (en) * 2018-11-12 2019-07-26 广东正商电器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larifier with illumination fun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495A (en) * 2013-04-01 2014-10-10 한지수 Air purifier
CN209155338U (en) * 2018-11-12 2019-07-26 广东正商电器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larifier with illumination fun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582A1 (en) * 2021-12-25 2023-06-29 Regonesi Giuliano Sterilization device with uv-c content used in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27B1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527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KR102357040B1 (en) Portable air cleaner with heating function
CN110103679A (en) A kind of vehicular air purifier
CN112797559A (en) Air purifier
CN111561751A (en) Ceiling fan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CN205938823U (en) Double -deck cleaning luminaries
CN201350822Y (en) Vehicle multifunctional IC automatic control air purifier
CN205641242U (en) Collect air purification and fan in air purification of an organic whole ware
KR200493292Y1 (en) portable air purifier of cartridge type
CN205878391U (en) Purify warm braw all -in -one
CN217303077U (en) Environment-friendly air purifier
CN110410894A (en) A kind of ceiling type indoor air cleaner
CN105841244B (en) Family weather station with air-cleaning function
CN106016676B (en) Fresh air purification all-in-one machine
CN209084956U (en) Small-size air purifier of desktop formula
CN210638216U (en) Purifier with humidifying function
JPH0470924B2 (en)
CN108286759A (en) Smart tea table formula multifunctional air purifier
CN220417566U (en) Multifunctional air humidifying purifier
CN205632043U (en) Vehicle -carried air purifier
CN215723921U (en) Ceiling lamp purifier structure
CN206344660U (en) A kind of vehicular air purifier
CN106739977A (en) A kind of efficiently degerming vehicular air purifier
CN214130732U (en) Portable novel sterilizing machine
CN211876231U (en) Air purifier for off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