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320A - Un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Unlo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320A
KR20210078320A KR1020190170194A KR20190170194A KR20210078320A KR 20210078320 A KR20210078320 A KR 20210078320A KR 1020190170194 A KR1020190170194 A KR 1020190170194A KR 20190170194 A KR20190170194 A KR 20190170194A KR 20210078320 A KR20210078320 A KR 20210078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ok
wire
seating
un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3393B1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393B1/en
Publication of KR20210078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cking device, which is to manually operate a latch of an actuator for unlocking the same. An inner wire (12) is provided to be relatively moved inside a sheath unit (14) of a cable (10), wherein one end of the inner wire (12) is connected to an actuato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pulling handle (20). The pulling handle (20) includes a ring wire (22) having a closed curve shape and a handle tube (24) for covering a portion of the ring wire (22). Also, the handle tube (24) is press-fitted into a seating penetration unit (30) of a holder (28), and the ring wire (22) passes through an outlet (32) opened to one side of the seating penetration unit (30) to operate the pulling handle (20) separately from the holder (28). Accordingly, the yield is high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Description

잠금해제 장치{Unlocking device}Un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엑츄에이터의 잠금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잠금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locking device for manually releasing a locked state of an actuator.

엑츄에이터는 래치의 전후진 동작을 발생시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엑츄에이터의 래치에 의해 특정한 부품이 잠금되었다가, 엑츄에이터가 동작되지 않게 되어 특정한 부품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엑츄에이터의 래치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잠금해제 장치이다.The actuator generates the forward/backward motion of the latch, there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 specific part may be locked by the latch of the actuator, but the actuator will not operate and thus the lock of the specific part may not be released.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manually operate the latch of the actuator. For this purpose, an unlocking device is used.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에는 충전을 위한 소켓이 있어서, 상기 소켓에 충전기의 충전커넥터를 결합시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진행한다. 충전이 진행되는 과정에는 상기 충전커넥터가 자동차의 충전 소켓에서 분리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충전커넥터가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잠금을 위해 엑츄에이터를 사용한다.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has a socket for charging, and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charger is coupled to the socket to charge the battery. Since the charging connector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socket of the vehicle during the charging process, an actuator is used to lock the charging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socket.

하지만, 충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에 의해 엑츄에이터가 동작되지 않아 충전커넥터를 소켓에서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래치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However, even though charging is complete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actuator does not operate for some reason, so that the charging connecto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ocket. I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nually operate the latch of the actuator.

일본등록특허 제 5249284호Japanese Patent No. 524928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엑츄에이터의 잠금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atisfy the above needs, and to provide an unlocking device capable of manually unlocking the locking state of an actu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해제 장치의 당김핸들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사용시에는 쉽게 분리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pulling handle of the unlocking device to be firmly fixed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and operated during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해제 장치의 케이블의 고정을 보다 쉽게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fixing the cable of the unlocking device easi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단부가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인너와이어와 상기 인너와이어를 둘러싸는 피복부로 구성되는 케이블과, 상기 인너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고리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핸들튜브를 포함하는 당김핸들과, 상기 당김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핸들튜브의 양단이 끼워지는 안착관통부가 있는 거치대와,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를 고정하여 피복부에 대해 상기 인너와이어가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걸이구고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le consisting of an inner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and a covering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ir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A pull handle comprising a ring wire and a handle tube surrounding a partial area of the ring wire, a holder having a seating through-port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are fitted by fixing the pull handle, and an end of the cover portion of the cable It includes a hook fixing part for fixing the inner wire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상기 고리와이어는 폐곡선을 이루고 상기 핸들튜브는 상기 고리와이어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The ring wire forms a closed curve and the handle tube moves relative to the ring wire.

상기 거치대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관통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통부에는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된다.The cradle is installed in the fixed part, and the seating through-portion is symmetrically formed, and an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through part.

상기 안착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핸들튜브가 압입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의 폭은 상기 핸들튜브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고리와이어의 외경보다 크다.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 through portion has a dimension that the handle tube can be press-fitted,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and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wire.

상기 인너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는 연결블록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The inner wire and the ring wi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block.

상기 걸이구고정부 내에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에 고정된 단부걸이구가 위치되어 고정된다.An end hanger fixed to the end of the covering part of the cable is positioned and fixed in the hook fix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단부가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인너와이어와 상기 인너와이어를 둘러싸고 인너와이어가 내부에서 상대 이동되는 피복부로 구성되는 케이블과, 상기 인너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고리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핸들튜브를 포함하는 당김핸들과, 상기 당김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핸들튜브의 양단이 끼워지는 안착관통부가 있는 거치대와,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너와이어가 관통하는 단부걸이구와, 상기 단부걸이구를 고정하여 피복부에 대해 상기 인너와이어가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걸이구고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able is composed of an inner wire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and a cover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inner wire and the inner wire is relatively moved in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A pull handle including a ring wire and a handle tube surrounding a partial region of the ring wire, a holder having a seating through port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are fitted by fixing the pull handle, and at the end of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able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n end hook through which the inner wire passes, and a hook fixing part for fixing the end hook to allow the inner wire to move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상기 단부걸이구의 선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고정부에는 상기 걸이홈에 안착되는 걸이턱이 구비된다.A hook groove is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end hook, and the hook fixing part is provided with a hook to be seated in the hook groove.

상기 걸이구고정부는, 서로 마주보고 내면에 상기 걸이턱이 형성되는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에 동시에 체결되어 상기 걸이구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의 사이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커버를 포함한다.The hook fixing part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 hooking jaw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hook fixing part is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It includes a fixing part cover to be fixed between the fixing plate.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의 외면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커버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체결턱이 걸어지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구비된다.Fastening jaw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cover in the width direction, fastening pieces having fastening holes through which the fastening jaws are hung are provided.

상기 고정부커버의 골격을 커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반원형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다.A cover body forms the skeleton of the fixing part cover, and semicircular inlets and outlets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body.

상기 거치대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관통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통부에는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된다.The cradle is installed in the fixed part, and the seating through-portion is symmetrically formed, and an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through part.

상기 안착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핸들튜브가 압입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through-port has a dimension through which the handle tube can be press-fitted.

상기 출입구의 폭은 상기 핸들튜브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고리와이어의 외경보다 크다.The width of the entranc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and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wire.

본 발명에 의한 잠금해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인너와이어의 일단부가 엑츄에이터의 래치와 연결되어 있고, 인너와이어의 타단부에는 당김핸들이 있으며, 케이블의 피복부중 당김핸들쪽 단부에 있는 단부걸이구가 걸이구고정부에 고정되어 있어 작업자 당김핸들을 당기면 인너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엑츄에이터의 래치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엑츄에이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inner wire is connected to the latch of the actuator,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has a pull handle, and the end hanger at the end of the pull handle of the cable sheath is fixed to the hanger fixing part, so the operator When the pull handle is pulled, the inner wire is pulled and the latch of the actuator can be operated manuall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ctuator can be manually operated.

본 발명의 당김핸들에는 핸들튜브가 원형의 고리와이어의 일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어서 핸들튜브가 거치대의 안착관통부에 압입되어 끼워져 당김핸들이 거치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핸들튜브의 이동에 의해 고리와이어가 노출됨에 의해 안착관통부에서 당김핸들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어 당김핸들을 거치대에서 빼내어 엑츄에이터의 래치를 수동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the pulling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tube is configur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ircular ring wire, so that the handle tube is press-fitted into the seating through-through portion of the holder so that the pulling handle is firmly fixed to the holder, and the handle is operated by the operator As the ring wire is exposed by the movement of the tube, the pull handle can easily come out of the seat through-through, so that the pull handle can be removed from the cradle and the latch of the actuator can be easily operated manually.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의 피복부 일단부에 설치된 단부걸이구가 프레임의 걸이구고정부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커버를 걸이구고정부의 제1 및 제2고정판에 고정함에 의해 단부걸이구가 고정된다. 단부걸이구가 고정됨에 의해 케이블의 피복부에 대해 인너와이어가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잠금해제 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hook is fixed by fixing the fixing part cover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of the hook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end hook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vering part of the cable is located in the hook fixing part of the frame. Since the end hanger is fixed, the inner wire can move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of the cabl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device can be smooth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xing of the cable is eas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잠금해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걸이구고정부와 당김핸들의 고정을 위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케이블과 당김핸들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걸이구고정부와 거치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부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작업자가 당김핸들을 당긴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작업자가 당김핸들을 당긴후 일측 고리와이어를 거치대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작업자가 당김핸들을 거치대에서 분리하여 당길 수 있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fixing the hook and the pull handle for fixing the cab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and a pull hand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hook fixture and a crad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part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pulled the pull hand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hook wire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after the operator pulls the pulling hand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can pull the pull handle by separating it from the crad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블(10)에는 내부에 인너와이어(12)가 있고, 상기 인너와이어(12)를 감싸도록 피복부(14)가 있다. 상기 인너와이어(12)는 강성이 좋은 재질로 되는 것이 좋은데,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피복부(14)는 상기 인너와이어(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너와이어(12)의 양단부는 상기 피복부(14)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인너와이어(12)의 일단부는 엑츄에이터 측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블럭(19)을 통해 당김핸들(20)과 연결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able 10 has an inner wire 12 therein, and a covering portion 14 to surround the inner wire 12 . The inner wire 1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good rigidity, and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covering portion 14 serves to protect the inner wire 12 . Both ends of the inner wire 12 protrude more than the covering portion 14 . One end of the inner wire 12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ull handle 20 through a connection block 19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인너와이어(12)가 상기 피복부(14)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복부(14)의 일측 단부에는 단부걸이구(16)가 있다. 상기 단부걸이구(16)는 상기 피복부(14)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단부걸이구(16)를 상기 인너와이어(12)가 관통하여 통과한다. 상기 단부걸이구(16)의 선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이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걸이부(16)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단차부(18')가 있다. 상기 걸이홈(18)과 단차부(18')는 상기 단부걸이구(16)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구고정부(3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In order for the inner wire 12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covering portion 14 , an end hook 1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vering portion 14 . The end hook 16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end of the covering portion 14 . The inner wire 12 passes through the end hanger 16 . A hook groove 18 is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of the end hook 16 . There is a step portion 18 ′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end hanger 16 . The hook groove 18 and the stepped portion 18 ′ are configured to fix the end hook 16 , and are parts to be hung on the hook fixing part 34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단부걸이구(16)가 있는 쪽의 인너와이어(12)의 단부에는 연결블록(19)이 있다. 상기 연결블록(19)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인너와이어(12)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블록(19)의 타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당김핸들(20)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블록(19)은 아래에서 설명될 거치대(28)에서 당김핸들(20)이 상부로 당겨지더라도 바로 거치대(28)에서 빠지지 않도록 거치대(28)에 간섭된다.There is a connection block 19 at the end of the inner wire 12 on the side where the end hanger 16 is located. The connecting block 19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inner wire 12 . A pulling handle 20 to be described below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block 19 . The connection block 19 interferes with the holder 28 so that it does not immediately come off the holder 28 even when the pull handle 20 is pulled upward from the holder 28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연결블록(19)에는 당김핸들(20)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당김핸들(20)은 고리와이어(22)와 상기 고리와이어(22)를 일정 구간 둘러싸는 핸들튜브(24)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와이어(22)은 폐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리와이어(22)는 상기 인너와이어(12)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튜브(24)는 상기 고리와이어(22)에 대해서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즉, 도 3에서는 연결블록(19)에서부터 핸들튜브(24)의 양측까지 동일한 길이의 고리와이어(22)가 노출되어 있는데,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고리와이어(22)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 고리와이어(22)가 노출되어 있는 길이가 서로 달라진다.A pull handle 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nection block 19 . The pulling handle 20 is composed of a ring wire 22 and a handle tube 24 surrounding the ring wire 22 for a certain section. The ring wire 22 is configured to form a closed curve. The ring wire 2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ner wire 12 . The handle tube 24 is movable relative to the ring wire 22 . That is, in FIG. 3 , the ring wire 22 of the same length is exposed from the connection block 19 to both sides of the handle tube 24 . When the handle tube 24 moves relative to the ring wire 22 , The length at which the ring wire 22 is expos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핸들튜브(24)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핸들튜브(24)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와이어(22)의 일부만을 둘러싼다. 상기 핸들튜브(24)는 금속재질이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고리와이어(22)에 작업자가 힘을 가하는 것이 쉽게 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튜브(24)는 고리와이어(22)의 횡단면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져서 아래에서 설명될 거치대(28)의 안착관통부(30)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관통부(30)의 내경이 비해 상기 핸들튜브(24)의 외경이 조금 크게 만들어진다. 물론 안착관통부(30)의 내경과 핸들튜브(24)의 외경이 같도록 되어도 안착관통부(30)나 핸들튜브(24)의 표면 마찰력이 크다면 상관없다.The handle tube 2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handle tube 24 surrounds only a part of the ring wire 22,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handle tube 24 is made of metal and makes it easy for the operator to apply force to the ring wire 22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e handle tube 24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ring wire 22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through-portion 30 of the holder 28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24 is made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through portion 30 . Of course, even i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 through portion 3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24 are the same, it does not matter if the surface friction force of the seat through portion 30 or the handle tube 24 is large.

한편, 상기 당김핸들(20)이 거치되는 거치대(28)는 프레임(26)의 일측에 있다. 상기 프레임(26)은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모듈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6)은 상기 당김핸들(20)이 고정되는 일종의 고정부이다. 상기 거치대(28)는 상기 프레임(26)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만들어져 프레임(26)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28 on which the pull handle 20 is mounted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rame 26 . The frame 26 constitutes the exterior of a specific module used in, for example, an automobile. The frame 26 is a kind of fixing part to which the pulling handle 20 is fixed. The cradle 2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26 or may be separately made and installed on the frame 26 .

상기 거치대(28)는 도 2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형상이고, 양측에 안착관통부(30)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관통부(30)는 2개가 나란히 상기 거치대(28)를 평면도로 볼 때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관통부(30)의 일측으로는 출입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32)를 통해서 상기 당김핸들(20)의 핸들튜브(24)가 상기 안착관통부(30)로 입출된다. 상기 안착관통부(30)의 내경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튜브(24)의 외경과 같거나 작다. 상기 출입구(32)의 폭은 상기 핸들튜브(24)의 외경보다는 작고 상기 고리와이어(22)의 외경보다는 크다. 따라서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출입구(32)를 통해 안착관통부(30)로 들어가고 안착관통부(30)에서 나가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굉장히 큰 힘이 필요하다. As shown in FIGS. 2 and 4 , the cradle 28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seating through portions 30 on both sides. The mounting through-portion 30 is formed symmetrically when two side by side view the holder 28 in a plan view. An entrance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through-portion 30 . The handle tube 24 of the pulling handle 20 enters and exits the seating through-port 30 through the doorway 32 .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through portion 30 is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24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doorway 32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24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wire 22 . Therefore, it is impossible or very large force is required for the handle tube 24 to enter the seating through-hole 30 through the doorway 32 and exit from the seating through-section 30 .

따라서 자연스럽게 당김핸들(20)이 상기 거치대(28)에 걸어지고,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상기 출입구(32)를 상기 핸들튜브(24)가 통과하기 보다는 고리와이어(22)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당김핸들(20)에서 핸들튜브(24)의 부분보다는 상기 연결블록(19)에 인접하여 노출되어 있는 고리와이어(22) 부분이 상기 출입구(32)를 통과하도록 당김핸들(20)을 당겨서 상기 연결블록(19)이 거치대(28)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한 상태로 고리와이어(22) 부분이 출입구(32)를 통과하도록 당김핸들(2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hook wire 22 to pass through the doorway 32 rather than the handle tube 24 to pass through the doorway 32 in order to naturally hang the pull handle 20 on the holder 28 and exit. That is, by pulling the pull handle 20 so that the part of the hook wire 22 ex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block 19 rather than the part of the handle tube 24 in the pull handle 20 passes through the doorway 32 , It is to move the pull handle 20 so that the hook wire 22 part passes through the doorway 32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block 19 is relatively adjacent to the holder 28 .

상기 단부걸이구(16)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6)에는 걸이구고정부(34)가 있다. 상기 걸이구고정부(34)도 상기 거치대(28)와 같이 프레임(26)과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별도로 만들어져 프레임(26)에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end hanger 16 , the frame 26 has a hanger fixing part 34 . The hook fixing part 34 may also be made integrally with the frame 26 like the holder 28 or may be made separately and installed on the frame 26 .

상기 걸이구고정부(34)에는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이 나란히 있다. 상기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의 내면 그리고 이들 사이에 걸쳐서 걸이턱(37)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37)은 상기 단부걸이구(16)의 걸이홈(18)에 위치되어 단부걸이구(16)가 걸이구고정부(34) 내에서 단부걸이구(16)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 are side by side on the hook fixing part 34 . A hook 37 protrudes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 and between them. The hook 37 is located in the hook groove 18 of the end hook 16 so that the end hook 16 is not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end hook 16 in the hook fixing part 34. do not

상기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에는 또한 스톱턱(38)이 있다. 상기 스톱턱(38)은 상기 걸이턱(37)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스톱턱(38)에는 상기 단차부(18')가 걸어진다. 상기 스톱턱(38)은 단부걸이구(16)가 상기 걸이턱(37)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 also have stop tucks 38 . The stop tuck 38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lasp 37 . The step portion 18 ′ is hung on the stop tuck 38 . The stop tuck 38 serves to block the end hanger 16 from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anger protrusion 37 .

상기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의 외면에는 체결턱(39)들이 있다. 상기 체결턱(39)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부커버(40)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턱(39)은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고정판(36,36')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그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There are fastening jaws 39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 The fastening jaw 39 is for fastening the fixing part cover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fastening jaws 39 are formed in two pieces on one fixing plate 36 and 36'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number may vary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상기 제1고정판(36) 및 제2고정판(36')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 사이에 위치한 단부걸이구(1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커버(40)가 있다. 상기 고정부커버(40)는 도 5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커버(40)는 판형상의 커버몸체(41)의 폭방향 양측에 체결편(4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43)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체결턱(39)에 걸어진다. 상기 체결편(43)에는 상기 체결턱(39)이 위치되는 체결공(45)이 있다. 상기 체결편(43)은 상기 체결턱(39)의 갯수와 같은 갯수가 있다.The fixing part cov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to prevent the end hook 16 located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36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from falling out. There is (40).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art cover 40 is well illustrated in FIG. 5 . The fixing part cover 40 has fastening pieces 4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shaped cover body 41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The fastening piece 43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s hung on the fastening jaw 39 . The fastening piece 43 has a fastening hole 45 in which the fastening jaw 39 is located. The number of the fastening pieces 43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fastening jaws 39 .

상기 커버몸체(41)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입구(47)와 출구(49)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47)와 출구(49)는 각각 반원형상이다. 상기 입구(47)와 출구(49)에는 상기 단부걸이구(16)가 위치된다. 상기 출구(49)에는 케이블(10)이 위치될 수도 있다.An inlet 47 and an outlet 49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body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let 47 and the outlet 49 have a semicircular shape, respectively. The end hook 16 is positioned at the inlet 47 and the outlet 49 . A cable 10 may be located at the outlet 49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잠금해제 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핸들(20)은 상기 거치대(28)에 위치된다. 상기 당김핸들(20)의 핸들튜브(24)가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되어 당김핸들(20)이 거치대(28)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튜브(24)의 양단부는 상기 안착관통부(30)에 각각 압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안착관통부(30)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입구(32)를 통해 핸들튜브(24)가 압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거치대(28)에 상기 당김핸들(20)이 설치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handle 20 is located on the cradle 28 . The handle tube 24 of the pull handle 20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through-port 30 so that the pull handle 20 is fixed to the cradle 28 .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24 are installed by being press-fitted into the seating-through part 30 , respectively. The handle tube 24 is press-fitted through the doorway 32 in order to allow the handle tube 24 to enter the seating through portion 30 . The state in which the pull handle 20 is installed on the cradle 28 is shown in FIG. 1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케이블(10)의 피복부(14) 선단에 고정된 단부걸이구(16)는 상기 걸이고정부(34)에서 상기 고정커버(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판(36)과 제2고정판(36')의 사이에 들어간다. 상기 단부걸이구(16)의 걸이홈(18)이 상기 걸이턱(37)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단부걸이구(16)의 단차부(18')가 상기 스톱턱(38)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커버(40)를 상기 제1,2고정판(36,36')에 체결한다. 이렇게 단부걸이구(16)가 상기 걸이구고정부(34)에 고정되면 상기 단부걸이구(16)가 피복부(14)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인너와이어(12)는 상기 피복부(14)와 단부걸이구(16)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너와이어(12)의 이동은 상기 당김핸들(20)을 당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d hook 16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covering part 14 of the cable 10 is the first fixing plate 36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cover 40 is separated from the hanging part 34 . and the second fixing plate 36'. The hook groove 18 of the end hook 16 is positioned on the hook 37 , and the step 18 ′ of the end hook 16 is hooked on the stop jaw 38 . In this state, the fixing part cover 40 is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36 and 36'. When the end hook 16 is fixed to the hook fixing part 34 in this way, the end hook 16 is coupled to the covering part 14, so that the inner wire 12 is connected with the covering part 14. It can move relative to the end hanger (16). Movement of the inner wire 12 may be made by pulling the pulling handle 20 .

상기 당김핸들(20)은 상기 거치대(28)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인너와이어(12)는 당겨질 수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엑츄에이터의 래치가 전기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기 당김핸들(20)을 사용하여 엑츄에이터의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한다.Since the pulling handle 20 is fixed to the cradle 28, the inner wire 12 cannot be pulled. In this state, when the latch of the actuator is not electrically operated, the locking state of the actuator must be released using the pull handle 20 .

이를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당김핸들(20)을 상기 거치대(28)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당김핸들(20)을 잡아당겨 인너와이어(12)가 일정 길이 이상의 거리를 이동하여야 엑츄에이터의 래치가 잠금해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For this, the operator must separate the pull handle 20 from the cradle 28 . This is because the latch of the actuator can be moved to the unlocked state only when the inner wire 12 moves a certain length or more by pulling the pulling handle 20 .

작업자는 상기 당김핸들(20)을 상기 거치대(2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핸들튜브(24) 부분을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핸들튜브(24)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당김핸들(20) 전체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고리와이어(22)를 덮고 있지 않은 부분이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된다. 즉, 고리와이어(22)의 부분이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된다. 이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separate the pull handle 20 from the cradle 20, the operator moves the handle tube 24 part upward in the state of FIG. 1 based on the drawing. When the handle tube 24 is moved upward, the entire pull handle 20 is moved upward, and the portion where the handle tube 24 does not cover the ring wire 22 is in the seating through part 30 . is located That is, a portion of the ring wire 22 is located in the seat through-through portion 30 . This state is shown in FIG. 6 .

이때, 상기 핸들튜브(24) 양단의 고리와이어(22)가 동시에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고리와이어(2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핸들튜브(24)가 상기 고리와이어(22)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여 일측의 고리와이어(22)만이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되고 타측의 고리와이어(22)는 핸들튜브(24)에 의해 덮혀버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되어 있는 고리와이어(22)가 상기 출입구(32)를 통해 거치대(28)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일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핸들(20)의 일측이 거치대(28)에서 빠져나오면 반대쪽 핸들튜브(24)를 안착관통부(30)에서 분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ing wires 22 at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24 may be simultaneously positioned in the seating through-portion 30 .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for the handle tube 24 to move relative to the ring wire 22, the handle tube 24 moves to one side along the ring wire 22, and the ring wire 22 on one side. Only the seat through-portion 30 is positioned and the ring wire 22 on the other side may be covered by the handle tube 24 . Even in this case, the ring wire 22 located in the seating through-port 30 may come out of the holder 28 through the doorway 32 . Once, as shown in FIG. 7, when one side of the pulling handle 20 comes out of the cradle 28,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opposite handle tube 24 from the seating through-portion 30 with relatively little force. .

한편, 위에서 상기 고리와이어(22)가 동시에 상기 안착관통부(30)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당김핸들(20)을 프레임(26)의 표면쪽으로 이동시켜서 고리와이어(22)가 출입구(32)를 통해 동시에 안착관통부(30)에서 빠져나가도록 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ing wire 22 from above may be located at the same time in the seating through-portion (30). In this case, it is enough to move the pull handle 20 toward the surface of the frame 26 so that the ring wire 22 exits from the seating through-section 30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doorway 32 .

이와 같이 당김핸들(20)을 거치대(28)에서 분리하고 나면,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당김핸들(20)을 일정 거리 이상 당길 수 있다. 상기 당김핸들(20)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블럭(19)을 통해 힘이 상기 인너와이어(12)로 전달되고, 상기 케이블(10)에서 상기 피복부(14)는 상기 단부걸이구(16)에 의해 상기 걸이구고정부(3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너와이어(12)가 상기 피복부(14)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너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엑츄에이터의 래치가 동작되어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After the pulling handle 20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28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pull the pulling handle 20 by a certain distance or more in the state shown in FIG. 8 . When the pulling handle 20 is pulled,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ner wire 12 through the connection block 19 , and the covering portion 14 of the cable 10 is attached to the end hanger 16 . Since it is fixed to the hanger fixing part 34 by this, the inner wire 12 can move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14 . Accordingly, as the inner wire 12 is pulled, the latch of the actuator is operat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케이블 12: 인너와이어
14: 피복부 16: 단부걸이구
18: 걸이홈 18': 단차부
19: 연결블록 20: 당김핸들
22: 고리와이어 24: 핸들튜브
26: 프레임 28: 거치대
30: 안착관통부 32: 출입구
34: 걸이구고정부 36: 제1고정편
36': 제2고정편 37: 걸이턱
38: 스톱턱 39: 체결턱
40: 고정부커버 41: 커버몸체
43: 체결편 45: 체결공
47: 입구 49: 출구
10: cable 12: inner wire
14: cover 16: end hook
18: Hanging groove 18': Step part
19: connection block 20: pull handle
22: ring wire 24: handle tube
26: frame 28: cradle
30: seating through part 32: entrance
34: hook fixed part 36: first fixed piece
36': second fixing piece 37: hanging jaw
38: stop tuck 39: fastening jaw
40: fixed part cover 41: cover body
43: fastening piece 45: fastening hole
47: entrance 49: exit

Claims (14)

일단부가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인너와이어와 상기 인너와이어를 둘러싸는 피복부로 구성되는 케이블과,
상기 인너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고리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핸들튜브를 포함하는 당김핸들과,
상기 당김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핸들튜브의 양단이 끼워지는 안착관통부가 있는 거치대와,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를 고정하여 피복부에 대해 상기 인너와이어가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걸이구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해제 장치.
A cable comprising an inner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and a covering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wire,
And a pull handle comprising a handle tub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ring wire and the r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a holder having a seating through-port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are fitted by fixing the pull handle;
and a hook fixing part for fixing the end of the covering part of the cable so that the inner wire moves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와이어는 폐곡선을 이루고 상기 핸들튜브는 상기 고리와이어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잠금해제 장치.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ng wire forms a closed curve and the handle tube moves relative to the ring wi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관통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통부에는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잠금해제 장치.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radle is installed in a fixing part, the seating through-portion is symmetrically formed, and an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through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핸들튜브가 압입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의 폭은 상기 핸들튜브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고리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잠금해제 장치.
[4] The unlocking device of claim 3,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through portion has a dimension through which the handle tube can be press-fitted, and a width of the entrance is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and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ring wir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는 연결블록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잠금해제 장치.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inner wire and the ring wir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bloc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고정부 내에는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에 고정된 단부걸이구가 위치되어 고정되는 잠금해제 장치.
[6]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n end hanger fixed to an end of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able is positioned and fixed within the hanger fixing portion.
일단부가 잠금장치와 연결되는 인너와이어와 상기 인너와이어를 둘러싸고 인너와이어가 내부에서 상대 이동되는 피복부로 구성되는 케이블과,
상기 인너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고리와이어와 상기 고리와이어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핸들튜브를 포함하는 당김핸들과,
상기 당김핸들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핸들튜브의 양단이 끼워지는 안착관통부가 있는 거치대와,
상기 케이블의 피복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너와이어가 관통하는 단부걸이구와,
상기 단부걸이구를 고정하여 피복부에 대해 상기 인너와이어가 상대 이동하도록 하는 걸이구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해제 장치.
A cable consisting of an inner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and a cover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inner wire and the inner wire moves relative to the inside;
And a pull handle comprising a handle tub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ring wire and the r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wire,
a holder having a seating through-portion into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tube are fitted by fixing the pull handle;
an end hang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vering portion of the cable and through which the inner wire passes;
A lock release device comprising a hook fixing part for fixing the end hook to allow the inner wire to move relative to the covering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걸이구의 선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고정부에는 상기 걸이홈에 안착되는 걸이턱이 구비되는 잠금해제 장치.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hook groove is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end hook and the hook fixing part is provided with a hook to be seated in the hook groov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고정부는, 서로 마주보고 내면에 상기 걸이턱이 형성되는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에 동시에 체결되어 상기 걸이구고정부가 상기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의 사이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커버를 포함하는 잠금해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ook fixing part is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 hooking jaw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hook fixing part is the An un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part cover to be fixed between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판과 제2고정판의 외면에는 체결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커버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체결턱이 걸어지는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구비되는 잠금해제 장치.
10.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fastening jaw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and fastening pieces having fastening holes on which the fastening jaws are hung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cover in the width dir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커버의 골격을 커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커버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반원형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는 잠금해제 장치.
11.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rame of the fixing part cover is formed by a cover body, and semicircular inlets and outle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고정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관통부가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관통부에는 일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잠금해제 장치.
12.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wherein the cradle is installed in a fixing part, the seating through-portion is symmetrically formed, and an entran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through pa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관통부의 내경은 상기 핸들튜브가 압입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지는 잠금해제 장치.
13. The unlocking device of claim 12,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seating through-portion has a dimension through which the handle tube can be press-fitt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폭은 상기 핸들튜브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고리와이어의 외경보다 큰 잠금해제 장치.
The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width of the doorway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tube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wire.
KR1020190170194A 2019-12-18 2019-12-18 Unlocking device KR102313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94A KR102313393B1 (en) 2019-12-18 2019-12-18 Un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94A KR102313393B1 (en) 2019-12-18 2019-12-18 Unloc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20A true KR20210078320A (en) 2021-06-28
KR102313393B1 KR102313393B1 (en) 2021-10-15

Family

ID=7660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94A KR102313393B1 (en) 2019-12-18 2019-12-18 Unl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3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9284A (en) 1992-03-03 1993-09-28 Hitachi Ltd Spent fuel storage rack
KR20010013322A (en) * 1997-06-02 2001-02-26 메리토 라이트 비히클 시스템즈-프랑스 Motor vehicle locking device with cable control for inside opening and outside opening
JP2011238534A (en) *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Structure for manually releasing locking of power supply plug lock device
JP2013187094A (en) * 2012-03-09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Charging port device of electric vehicle
CN104901075A (en) * 2015-06-03 2015-09-09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Horizontal electronic lo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9284A (en) 1992-03-03 1993-09-28 Hitachi Ltd Spent fuel storage rack
KR20010013322A (en) * 1997-06-02 2001-02-26 메리토 라이트 비히클 시스템즈-프랑스 Motor vehicle locking device with cable control for inside opening and outside opening
JP2011238534A (en) * 2010-05-12 2011-11-24 Tokai Rika Co Ltd Structure for manually releasing locking of power supply plug lock device
JP2013187094A (en) * 2012-03-09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Charging port device of electric vehicle
CN104901075A (en) * 2015-06-03 2015-09-09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Horizontal electronic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393B1 (en)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22003A (en) Structure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seat and body
CN105846242A (en) Handle-type high-voltage connector
US5127844A (en) Connection block for plug-in adapter
KR20130124568A (en) Connector
WO2016190265A1 (en) Cover unit with rubber stopper, and connector
KR102313393B1 (en) Unlocking device
CN104379395A (en) Locking device for a charging plug
CN205553968U (en) Safety belt constraint induction system and children vehicle security seat chair
US20150239360A1 (en) Charging portion for vehicle
WO2016098558A1 (en) Charging inlet
KR102627672B1 (en) High voltage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having the same
CN210296758U (en) Emergent unlocking device of socket and vehicle charge
CN104553905B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s
CN111509494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CN114156693A (en) Cable module, vehicl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US4984269A (en) Telephone bracket, in particular for vehicles
CN210243920U (en) Optical cable pre-connection end wiring pull rod device
US20200181954A1 (en) Opening apparatus of a hood of a vehicle for emergency escape
KR101558321B1 (en) High voltage junction box
KR102144932B1 (en) Terminal cover device for block
KR101879823B1 (en) Block for vehicle
CN204367931U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s
US20220307294A1 (en) Cable module,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vehicle
KR100823343B1 (en) Cable entry apparatus for junction box
KR102258474B1 (en) Mounting structure of release cable for the trunk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