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234A -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 Google Patents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234A
KR20210078234A KR1020190170074A KR20190170074A KR20210078234A KR 20210078234 A KR20210078234 A KR 20210078234A KR 1020190170074 A KR1020190170074 A KR 1020190170074A KR 20190170074 A KR20190170074 A KR 20190170074A KR 20210078234 A KR20210078234 A KR 20210078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ocket
level
install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209B1 (ko
Inventor
권용욱
박대현
이창락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09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2Joints for the hip
    • A61F2/34Acetabular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57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 A61F2002/4668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implanting artificial joints for measuring an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시 사용되는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골반의 관골구에 설치되는 관절용 소켓;및 상기 관절용 소켓이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관절용 소켓에 설치되고 상기 요구되는 각도에서 수평이 이루어지는 수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Medical instruments for artificial joint surgery of coxa}
본 발명은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관절이 실제 인체의 고관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각도로 관골구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로 사고 또는 노화 등의 원인으로 인공관절로 치환해 주어야 하는 시술이 흔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관절은 다리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대퇴골을 골반과 이어 주는 관절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의 관골구에 대한 설치각도(A)가 매우 중용하다.
이러한 설치각도의 정확성 때문에 도 2와 같은 의료 기구를 활용하여 인공관절을 골반의 관골구에 설치하여 왔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관절용 소켓(100)을 핸들링 하기 위한 기구(B)를 그 관절용 소켓(100)의 중심에 연결시킨 다음, 그 기구에 연결된 수직 로드(C)와 상기 수직 로드(C)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수평 로드(D)를 활용하여 설치각도(A)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각도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도조절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 많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4-01289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109084호 일본 등록특허 587035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관절의 관골구에 대한 설치각도 조절을 편리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골반의 관골구에 설치되는 관절용 소켓; 및 상기 관절용 소켓이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관절용 소켓에 설치되고 상기 요구되는 각도에서 수평이 이루어지는 수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평계의 사용 이후 상기 관절용 소켓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평계가 탑재되고 상기 관절용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지그는, 외면이 상기 관절용 소켓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인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본체부에 연결되고, 중심에 상기 관절용 소켓의 관골구에 대한 일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한정하는 일면에 상기 수평계가 탑재되는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수평계의 관절용 소켓에 대한 상대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180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식별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절용 소켓의 설치 위치 세팅이 가능하도록, 그 관절용 소켓에 끼워진 상태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각도조절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기구는, 상기 수평계가 작용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서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의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가 부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는, 시술자가 각도조절기구를 조작하여 관절용 소켓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도중에 그 관절용 소켓에 설치된 수평계의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관절용 소켓이 3차원 공간을 이루는 3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요구되는 각도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고관절의 인공관절을 편리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게 관골구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의료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각도조절기구에도 수평계가 탑재된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 지그에 탑재된 수평계와 각도조절기구에 탑재된 수평계를 통해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3축 중 적어도 2축을 기준으로 하여 관절용 소켓을 신속 정밀하게 관골구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술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시 관절용 소켓의 관골구에 대한 설치각도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관절 시술시 초래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에 채용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인공관절 설치과정 및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에 채용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인공관절 설치과정 및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는, 관절용 소켓(1)과 수평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용 소켓(1)은, 대퇴골의 골반에 대한 상대 운동(관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골반과 대퇴골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매개체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골반의 관골구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계(2)는, 상기 관절용 소켓(1)에 설치되고 상기 관절용 소켓(1)의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에서 수평이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1)의 정상적인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는 각도조절기구(4)가 도 5의 실선과 같이 배치된 경우에 상기 관절용 소켓(1)에 설치된 수평계(2)의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가 각도조절기구(4)를 도 5의 이점쇄선과 같이 조작하는 도중에 상기 수평계(2)의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1)이 일방향 축선으로 기준으로 하여 수평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상기 수평계(2)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는, 시술자가 각도조절기구(4)를 조작하여 관절용 소켓(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도중에 그 관절용 소켓(1)에 설치된 수평계(2)의 수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관절용 소켓(1)이 3차원 공간을 이루는 3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요구되는 각도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공관절을 편리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게 관골구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의료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계(2)는 상기 관절용 소켓(1)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설치지그(3)를 매개로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1)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설치지그(3)는, 상기 수평계(2)가 탑재되고 상기 관절용 소켓(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수평계(2)의 사용 이후 상기 관절용 소켓(1)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설치지그(3)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1)와 설치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 채택되었다.
상기 본체부(31)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상기 관절용 소켓(1)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인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설치부(32)는, 상기 본체부(31)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본체부(31)에 연결되는 것으로, 중심에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20)을 한정하는 일면에 상기 수평계(2)가 탑재된다. 상기 관통공(320)에는 상기 관절용 소켓(1)의 관골구에 대한 일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기구(4)가 삽입된다.
상기 설치지그(3)의 본체부(31)와 설치부(3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서로 분리 제작된 후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32)에는 상기 수평계(2)가 끼워져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관절용 소켓(1)을 설치지그(3)에 결합시켜 놓은 후 도 4 및 도 5와 같이 설치지그(3)를 조작하여 관절용 소켓(1)의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A)에 부합하는 시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시술 후에는 설치지그(3)를 관절용 소켓(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설치부(32)는, 180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식별편(32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수평계(2)의 관절용 소켓(1)에 대한 상대위치 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즉, 이러한 위치식별편(321)은 상기 수평계(2)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직교하는 위치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됨으로써, 수평계(2)의 관절용 소켓(1)에 대한 초기 세팅 위치가 정확하게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용 소켓(1)이 3차원 공간을 이루는 3축 중 다른 하나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요구되는 각도(A)로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기구(4)와 그 각도조절기구(4)에 탑재된 수평계(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기구(4)는, 그 관절용 소켓(1)에 끼워진 상태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관절용 소켓(1)의 설치 위치를 정밀하게 세팅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기구(4)는 상기 설치지그(3)를 관통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1)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계(4)는, 앞에서 설명한 설치지그(3)에 탑재된 수평계(2)가 작용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서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1)의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가 부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계(4)는 디지털 수평계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설치지그(3)에 탑재된 수평계(2)와 같이 육안으로 수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수평계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설치 지그에 탑재된 수평계(2)와 각도조절기구(4)에 탑재된 수평계(4)를 통해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3축 중 적어도 2축을 기준으로 하여 관절용 소켓(1)을 신속 정밀하게 관골구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술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관절용 소켓 2:수평계
3:설치지그 31:본체부
32:설치부 320:관통공
321:위치식별편 4:각도조절기구
41:수평계 A:설치각도

Claims (5)

  1.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골반의 관골구에 설치되는 관절용 소켓; 및
    상기 관절용 소켓이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관절용 소켓에 설치되고 상기 요구되는 각도에서 수평이 이루어지는 수평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계의 사용 이후 상기 관절용 소켓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평계가 탑재되고 상기 관절용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지그는,
    외면이 상기 관절용 소켓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형상인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서 상기 내측 공간에 억지끼움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본체부에 연결되고, 중심에 상기 관절용 소켓의 관골구에 대한 일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한정하는 일면에 상기 수평계가 탑재되는 설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수평계의 관절용 소켓에 대한 상대위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180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식별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용 소켓의 설치 위치 세팅이 가능하도록, 그 관절용 소켓에 끼워진 상태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각도조절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기구는, 상기 수평계가 작용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서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관절용 소켓의 상기 관골구에 대한 요구되는 각도가 부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KR1020190170074A 2019-12-18 2019-12-18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KR10231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74A KR102311209B1 (ko) 2019-12-18 2019-12-18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74A KR102311209B1 (ko) 2019-12-18 2019-12-18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234A true KR20210078234A (ko) 2021-06-28
KR102311209B1 KR102311209B1 (ko) 2021-10-08

Family

ID=7660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74A KR102311209B1 (ko) 2019-12-18 2019-12-18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135A (ko) * 2021-11-03 202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컵 임플란트 삽입각도 측정장치 및 컵 임플란트 삽입각도 측정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931A1 (en) * 2003-06-09 2009-12-24 OrthAlign, Inc. Surgical orientation device and method
US20100137871A1 (en) * 2008-09-10 2010-06-03 OrthAlign, Inc. Hip surgery systems and methods
KR101109084B1 (ko) 2010-02-05 2012-01-31 주식회사 코렌텍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KR20140128939A (ko) 2011-09-29 2014-11-06 알쓰로메다, 인코포레이티드 고관절 성형술용 삽입물의 정밀 배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5533310A (ja) * 2012-10-26 2015-11-24 インライン オーソピーディックス プロプリ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手術システム
KR20190044324A (ko) * 2017-10-20 2019-04-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삽입 각도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931A1 (en) * 2003-06-09 2009-12-24 OrthAlign, Inc. Surgical orientation device and method
US20100137871A1 (en) * 2008-09-10 2010-06-03 OrthAlign, Inc. Hip surgery systems and methods
KR101109084B1 (ko) 2010-02-05 2012-01-31 주식회사 코렌텍 인공고관절용 양극성비구컵
KR20140128939A (ko) 2011-09-29 2014-11-06 알쓰로메다, 인코포레이티드 고관절 성형술용 삽입물의 정밀 배치 시스템 및 방법
JP2015533310A (ja) * 2012-10-26 2015-11-24 インライン オーソピーディックス プロプリ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手術システム
KR20190044324A (ko) * 2017-10-20 2019-04-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삽입 각도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135A (ko) * 2021-11-03 2023-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컵 임플란트 삽입각도 측정장치 및 컵 임플란트 삽입각도 측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09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7816B2 (ja) ドリルガイドアセンブリ
US11090170B2 (en) Acetabular cup prosthesis positioning instrument and method
US9603722B2 (en) Alignment guide
US89798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section guidelines for joint replacement surgical procedures
US4475549A (en) Acetabular cup positioner and method
CA270275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etabular component positioning
EP3369391B1 (en) Device for patient body positioning and immobilizing, and angle indicator
US899890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ip replacement
JP2005506889A5 (ko)
US200401170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fter insertion of a prosthesis in a hip-joint
US10912656B2 (en) Modular surgical instrument
US10350087B2 (en) Set of instruments for the implantation of an acetabular prosthesis
KR102311209B1 (ko) 고관절의 인공관절 시술용 의료 기구
CN105559951A (zh) 个性化定制的髋臼导板
US200602649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ation of the mobility of a hip joint prosthesis
JP2008526405A (ja) 外科手術器具の位置及び向きを表示する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205866800U (zh) 患者匹配的髋关节定位引导件
CN108938149B (zh) 杵臼关节填充骨块
US7685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lignment of the support socket in the manufacture of leg prostheses
JP2006081569A (ja) 骨追跡装置固定部材
CN108938148B (zh) 杵臼关节填充骨块
CN113509269B (zh) 一种激光截骨辅助全髋关节置换手术机器人
US10195054B1 (en) Acetabular cup alignment system
JP7244178B2 (ja) 人工関節設置手術支援用ガイドシステム及びその器具
WO2016020956A1 (ja) 人工股関節用ソケット及びその装着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