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06A -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06A
KR20210078106A KR1020190169847A KR20190169847A KR20210078106A KR 20210078106 A KR20210078106 A KR 20210078106A KR 1020190169847 A KR1020190169847 A KR 1020190169847A KR 20190169847 A KR20190169847 A KR 20190169847A KR 20210078106 A KR20210078106 A KR 2021007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ver
user terminal
event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16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106A/en
Publication of KR2021007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 access request for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user terminal; setting a blacklist cell and a handover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set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releasing the designated blacklist cell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The handover is perform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Method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재난 안전 통신망(public safety-LTE)이란 경찰, 소방, 국방,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이 재난 대응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재난 발생 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국가적 피해의 최소화 등을 추진하고 있는 통합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public safety-LTE) integ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such as the police, firefighting, national defense, and local governments into one to protect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people and minimize national damage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means an integrated network that is being promoted.

종래에는 재난 대응 기관들이 VHF, UHF, TRS 등의 주파수 대역과 통신 방식이 서로 달라 상호 통신이 어려웠고, 이로 인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협력 대응이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나, 재난 안전 통신망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었다. In the past, there was a problem that disaster response agencie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had different frequency bands an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VHF, UHF, and TRS, which made it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and systematically. could be

이러한 재난 안전 통신망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 10-1809042호는 재난안전용 광대역 공공안전통신망 ps-lte와 tetra 동시 서비스를 위한 통합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In relation to such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9042,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an integrated system for simultaneous service of ps-lte and tetra, a broadband public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for disaster safety.

그러나 재난 안전 통신망인 PS-LTE, LTE-M, LTE-R의 경우, 동일 주파수를 공유하여 사용함에 따라, 해당 주파수 간에 간섭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재난 안전 통신망 간의 신호가 중첩되더라도 효과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PS-LTE, LTE-M, and LTE-R, which ar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s, since the same frequency is shared and used,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corresponding frequenc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ffectively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even when signals between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s overlap.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a blacklist cell and handover condition are set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nd the set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re obtain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network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a message to a user terminal.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하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Upon reception of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the specified blacklist cell is released, thereby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handover between second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network is performed.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Blacklist Cell)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상기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access request for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user terminal, and a blacklist cell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Setting a (Blacklist Cell) and handover condition,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set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first base station Receiv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signal strength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leasing the designated blacklist cell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wherein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hich handover is performed between a terminal and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ssage including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o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connected firs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a base station; and a handover performer for performing handover to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at least one detected event corresponds to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can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n access request to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irst base station, accessing the first base station, handover conditions, and a sig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intensity, when the event occurs, transmit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requesting access to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comprising transmitting to a first base station and accessing the second base st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재난 안전 통신망의 경우, 재난 안전 통신망에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주파수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간섭 신호에 대해 블랙리스트 셀을 지정하여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interference between frequencies occurs as the same frequency is used in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handover to be avoided can be provided.

재난 안전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약전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 1 기지국과 제 2 기지국 간의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s to the weak pharmacopeia section, the user terminal performs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through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A method and a user terminal may be provided.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1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2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3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1A and 1B are block diagrams of a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or a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or a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first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second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third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stead performe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은 제 1 기지국(110), 제 2 기지국(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지국(110), 제 2 기지국(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are block diagrams of a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A ,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10 , a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a user terminal 130 .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the user terminal 130 exemplarily illustrate component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

도 1의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 또는 제 2 기지국(12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Each component of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or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t the same time or at a time interval.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and LiFi (LiFi). ),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초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통신망은 재난 안전 통신망인 PS-LTE, 철도 통합 무선망인 LTE-R, 초고속 해상 무선 통신망인 LTE-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기지국(110) 및 제 2 기지국(120)은 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이러한 재난 통신망은 모두 700MHz의 주파수 대역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an access request for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130 . For example,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an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130 . Here,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PS-LTE, which is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LTE-R, which is an integrated railway wireless network, LTE-M, which is a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and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re It falls under any one of these, and all of these disaster networks jointly use a frequency band of 700 MHz.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고,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set a blacklist cell and handover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For example, the first base station 110 sets the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hysical Cell Identity (PCI) set in the disaster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sets the first event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1 Handover conditions can be set.

제 1 기지국(110)은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receive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and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In this case, the designated blacklist cell may be released.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detected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can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하고,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RAN 공유란 Radio access 장비가 공유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The first base station 110 releases the blacklist cell set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and the second hand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second event and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operation parameter Over condition can be set. Here, RAN sharing refers to a technology for sharing radio access equipment.

제 1 기지국(110)은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이후,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a handover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30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과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perform communication for sharing a radio access network (RA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120 based on the received handover request.

제 1 기지국(110)은 RAN 공유를 위한 통신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과 사용자 단말(130)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In this case, a handover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nd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event detected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can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에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고,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sets a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CI set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second event, and releases the first event occurrence condition and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parameters may be set.

제 1 기지국(110)은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및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and the thir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사용자 단말(130)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접속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may access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30 may access the first base station 110 by requesting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사용자 단말(130)은 접속된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Blacklist Cell)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from the connected first base station 11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30 includes the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based on the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first hand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 message including an over condition may be received.

사용자 단말(130)은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ased on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사용자 단말(130)은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transmits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detecte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when the at least one detected even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he user terminal 130 ) may perform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전송부(440)는 검출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고, 수신부(420)는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와 함께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30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transmitter 440 detects the first event transmits th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base station 110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receiving unit 420 generates the second event condition along with the blacklist cell information released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a secon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radio access network (RAN) shared operation parameter may be received.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기지국(120)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a handover request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In this case,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handover request.

사용자 단말(130)은 RAN 공유를 위한 통신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핸드오버 수행부(450)는 RAN 공유 동작 파라미터 및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based on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and the handover performing unit 450 performs the RAN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hared operation parameter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된 이후,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2 이벤트를 검출하고, 전송부(440)는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s performed, the user terminal 130 detects a second event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 the transmitter 44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secon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과 함께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30 is a message including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nd the RAN sharing release parameter together with the blacklist cell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can receive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위치(131)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이 제 1 기지국(110)에 접속한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가 가장 높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 when the user terminal 130 located at a first location 131 accesses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be the highest. .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이 이동 수단(140)을 통해 제 2 위치(132)로 이동함으로써, 제 2 기지국(120)과 근접하게 된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RSRP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terminal 130 moves to the second location 132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and becomes close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the RSRP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lowered. can be checked

이와 같이, 제 1 기지국(110)의 RSRP가 낮아지는 경우,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RAN 공유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이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RSRP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lowered, the user terminal 130 performs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RAN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can make it wor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210), 설정부(220), 전송부(230), 수신부(240) 및 RAN 공유 통신 수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A to 2 ,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210 , a setting unit 220 , a transmitting unit 230 , a receiving unit 240 , and a RAN shared communication performing unit 250 .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초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통신망은 재난 안전 통신망인 PS-LTE, 철도 통합 무선망인 LTE-R, 초고속 해상 무선 통신망인 LTE-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재난 통신망은 모두 700MHz의 주파수 대역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a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130 . For example,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an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for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130 . Here,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PS-LTE, an integrated railway wireless network LTE-R, and a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TE-M, etc. All of thes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s use a 700 MHz frequency band in common. .

설정부(220)는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리스트 셀이란 사용자 단말(130)과 제 1 기지국(110)이 접속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이 다른 기지국의 셀로 접속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정부(220)는 수신한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와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고,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PCI란 각 셀에 할당되는 번호(0~503까지 총 504개의 번호가 부여됨)로, PCI는 사용자 단말(130)이 PCI의 번호를 통해 해당 셀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1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tting unit 220 may set the blacklist cell and handover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Here, when the user terminal 130 and the first base station 110 are connected, the blacklist cell means a cell in which the user terminal 130 is set not to be connected to a cell of another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setting unit 220 sets a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CI set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and sets a first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first event occurrence condition. can Here, the PCI is a number assigned to each cell (a total of 504 numbers are assigned from 0 to 503), and the PCI allows the user terminal 130 to communicate with the corresponding cell through the PCI number. The process of setting the blacklist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구 분division PCI 대역PCI band 개수(총 504개)Number (504 in total) PS-LTEPS-LTE 0 ~ 3500 to 350 351 개351 pieces LTE-MLTE-M 421 ~ 490421 to 490 70 개70 pieces LTE-RLTE-R 351 ~ 420351 ~ 420 70 개70 pieces ReservedReserved 491 ~ 503491 to 503 13 개13 pieces

표 1을 참조하면, 제 1 기지국(110)이 PS-LTE에 해당하는 경우, 설정부(220)는 PCI가 0~350인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을 모두 블랙리스트 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재난 통신망이 모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제 1 기지국(110)의 신호가 다른 기지국의 간섭 신호를 회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PS-LTE, the setting unit 220 may set all cells except for the cells having PCI of 0 to 350 as blacklist cells. This is to prevent the signals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interfering with other base stations by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n all disaster networks.

전송부(230)는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는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핸드오버 조건을 RRC_Reconfig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3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For example,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the RRC_Reconfig message.

수신부(210)는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설정부(220)는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제 1 기지국(110)의 신호가 약전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이 신호 세기가 더 강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하기 위해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할 수 있다.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the setting unit 220 may release the designated blacklist cell. In this case, when the sig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the weak electric field, the user terminal 130 may release the blacklist cell to handover to another base station having a stronger signal strength.

일 실시에에 따르면,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벤트는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가 약전계에 해당함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event detected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 Here, the first event may mean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a weak electric field.

설정부(220)는 수신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하고,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220 releases the set blacklist cell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and the second handover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second event and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operation parameter You can set conditions.

전송부(230)는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3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a handover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30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RAN 공유 통신 수행부(250)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과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 공유 통신 수행부(250)는 제 2 기지국(120)으로 RAN 공유를 요청하고, 제 2 기지국(120)으로부터 RAN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The RAN sharing communication performing unit 250 may perform RAN sharing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120 based on the received handover request. For example, the RAN sharing communication performing unit 250 may request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share the RAN, and receive a response to the RAN sharing request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전송부(230)는 RAN 공유를 위한 통신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과 사용자 단말(130)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3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In this case, a handover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nd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이벤트는 블랙리스트 셀이 해제된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130)이 제 2 기지국(110)으로 핸드오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가 중강전계에 해당함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eceiver 210 may receive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event detected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 Here, the second event means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a medium strong field in a state in which the blacklist cell is released or the user terminal 130 is not handed 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can

설정부(220)는 수신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에 관련하여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고,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tting unit 220 sets the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CI set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second event,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nd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release parameter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전송부(230)는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및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23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and the thir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 1 기지국(110)에서 수행되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지국(110)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ed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shown in FIG. 3 is clocked by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2 . thermally treated steps.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it is also appli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the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2 .

단계 S310에서 제 1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310 ,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an access request for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erminal 130 .

단계 S320에서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320,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set a blacklist cell and handover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단계 S330에서 제 1 기지국(110)은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30 ,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

단계 S340에서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340 ,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eive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user terminal 130 .

단계 S350에서 제 1 기지국(110)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지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할 수 있다. In step S350,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lease the designated blacklist cell.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310 to S3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접속부(410), 수신부(420), 검출부(430), 전송부(440) 및 핸드오버 수행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13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410 , a reception unit 420 , a detection unit 430 , a transmission unit 440 , and a handover performing unit 450 .

접속부(410)는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410)는 제 1 기지국(110)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접속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unit 410 may connec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access unit 410 may connec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by requesting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수신부(420)는 접속된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Blacklist Cell)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420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from the connected first base station 110 .

수신부(420)는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420 includes a first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based on the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a first event occurrence condition. message can be received.

검출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430)는 제 1 기지국(110)의 신호에 대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RSRP란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서빙셀 신호의 세기를 의미한다. The detector 4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ased on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For example, the detection unit 4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y us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for the signal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Here, RSRP means the strength of the serving cell signal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전송부(440)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핸드오버 수행부(450)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44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detecte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When the at least one detected even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he handover performing unit 450 may perform a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부(430)는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벤트는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가 약전계에 해당함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ction unit 4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Here, the first event may mean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a weak electric field.

전송부(440)는 검출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고, 수신부(420)는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와 함께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440 transmits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and the receiver 420 transmits the black released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 A message including a secon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n occurrence condition of the second event and a RAN shared operation parameter along with the list cell information may be received.

전송부(440)는 제 2 기지국(120)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The transmitter 440 may transmit a handover request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In this case,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handover request.

수신부(420)는 RAN 공유를 위한 통신에 기초하여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핸드오버 수행부(450)는 RAN 공유 동작 파라미터 및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42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based on the communication for sharing the RAN, and the handover performing unit 450 is the RAN sharing The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ion parameter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부(430)는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된 이후,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2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이벤트는 블랙리스트 셀이 해제된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130)이 제 2 기지국(110)으로 핸드오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가 중강전계에 해당함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the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s performed, the detector 430 may detect the second event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have. Here, the second event means that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corresponds to a medium strong field in a state in which the blacklist cell is released or the user terminal 130 is not handed 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can

전송부(440)는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44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secon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수신부(420)는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과 함께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420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nd the RAN sharing release parameter together with the blacklist cell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can receiv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30)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or a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or the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user terminal 130 shown in FIG. 5 is time-series by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4 . processing steps.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it is also appli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user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4 .

단계 S5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과 접속할 수 있다. In step S510, the user terminal 130 may access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단계 S5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접속된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Blacklist Cell)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520 , the user terminal 130 may receive a message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connected first base station 110 . have.

단계 S5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In step S530, the user terminal 13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ased on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단계 S5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540 ,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detecte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5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550 , when at least one detected event corresponds to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he user terminal 130 may perform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10 to S55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30)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or a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from the user terminal 130 shown in FIG. 6 to the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s time-series by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5 . steps to be processed.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it is also applied to the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user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A to 5 .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11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10 ,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a request for acces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에 접속할 수 있다. In step S620 , the user terminal 130 may access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조건 및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30 , the user terminal 130 may determine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6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40 , when an event occurs,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6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120)에 대한 접속 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50 ,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an access request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단계 S66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기지국(120)에 접속할 수 있다. In step S660 , the user terminal 130 may access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610 to S6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1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은 제 1 기지국(110), 제 2 기지국(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이동 수단(140)에 탑승되어 있고, 이동 수단(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first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10 , a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a user terminal 13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30 is mounted on the moving means 140 ,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moved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예를 들어, 이동 수단(140)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2 기지국(120)으로 접근한 후,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 1 경로를 따라 운행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 2 기지국(120)으로 접근 시, 제 2 기지국(120)의 제 2 재난 통신망(701)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 시,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means 140 start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 approaches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then travels along a first path to retur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3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firs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700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when approaching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e second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fte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701 , when returning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the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700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제 1 기지국(110)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710). The user terminal 130 located close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quest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710).

제 1 기지국(110)은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30)과 접속된 후,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1).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the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S711).

이후, 사용자 단말(130)이 이동 수단(140)을 통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약전계로 변화될 수 있다(S712).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30 mo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gradually change to a weak electric field. (S712).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의 약전이 검출된 경우,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13).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when a weak weakness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detected (S713).

제 1 기지국(110)은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714).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714).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요청할 수 있다(S715). The user terminal 130 may request a handover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715).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RAN 공유를 제 2 기지국(120)으로 요청하고(S716), 제 2 기지국(110)은 RAN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717).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quest RAN sharing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based on the handover request (S716),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response to the RAN sharing request (S717).

제 1 기지국(110)이 제 2 기지국(12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하면(S718),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완료를 제 2 기지국(120)으로 보고할 수 있다(S719). Wh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the user terminal 130 (S718), the user terminal 130 transmits the handover completion to the second base station (S718). 120) (S719).

제 2 기지국(120)은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천이 조건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조건을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여기서, 천이 조건이란 사용자 단말(130)이 핸드오버를 통해 제 2 기지국(120)으로 잠시 접속된 것이므로,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핸드오버가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transmit a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transition condition for handover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to the user terminal 130 (S720). Here, the transition condition means that the user terminal 130 is temporarily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handover, and thus may include a condition for switching the handover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이후, 사용자 단말(130)이 이동 수단(140)을 통해 제 2 기지국(120)으로부터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중강전계로 변화될 수 있다(S721).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30 return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mobile means 140 ,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be gradually changed to a medium-strength electric field. There is (S721).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의 핸드오버를 제 2 기지국(120)으로 요청할 수 있다(S722). The user terminal 130 may request a handover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20 (S722).

제 2 기지국(120)은 제 1 기지국(110)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S723),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724). The second base station 120 may request a handover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723), and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response to the handover request (S724).

제 2 기지국(120)이 제 1 기지국(110)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하면(S725),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보고를 제 1 기지국(110)으로 보고할 수 있다(S726). When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to the user terminal 130 (S725), the user terminal 130 sends a handover report to the first base station ( 110) can be reported (S726).

제 1 기지국(110)은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727).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727).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2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710 to S727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2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은 제 1 기지국(110), 제 2 기지국(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이동 수단(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second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10 , a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a user terminal 130 .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moved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예를 들어, 이동 수단(140)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중간 지점(802)에서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 2 경로를 따라 운행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8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중간 지점(802)에서 제 2 기지국(120)의 재난 통신망(801)과 접속되기 위한 RAN 공유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게 되고,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8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mobile means 140 start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return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at an intermediate point 802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Assume we are traveling along a second rout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30 receiv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firs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800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and an intermediate point 802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 the RAN sharing condition for accessing the emergency communication network 801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is not satisfied, and as it return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the first disaster network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800)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제 1 기지국(110)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810). The user terminal 130 located close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quest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810).

제 1 기지국(110)은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30)과 접속된 후,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11).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the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S811).

이후, 사용자 단말(130)이 이동 수단(140)을 통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약전계로 변화될 수 있다(S812).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30 mo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gradually change to a weak electric field. (S812).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의 약전이 검출된 경우,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813).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when a weak weakness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detected (S813).

제 1 기지국(110)은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814).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814).

이 때, 블랙리스트 셀이 해제가 되었음에도, 사용자 단말(130)이 제 2 기지국(120)으로 더 이상 접근하지 않고,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0 간의 중간 지점에서 복귀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중강전계로 변화될 수 있으며(S815), 이 경우 RAN 공유를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even though the blacklist cell is released, the user terminal 130 no longer approaches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nd returns from the midpoint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0,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be gradually changed to a medium-strength electric field (S815), and in this case, the condition for sharing the RAN may not be satisfied.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816).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816).

제 1 기지국(110)은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을 다시 설정하고,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817).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configure the released blacklist cell and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thir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817).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10 내지 S8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810 to S817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제 3 경로에 기초하여 재난 통산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핸드오버 수행 시스템(1)은 제 1 기지국(110), 제 2 기지국(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이동 수단(140)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 third path of a user terminal in a handover perfo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 the handover perform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base station 110 , a second base station 120 , and a user terminal 130 .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moved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예를 들어, 이동 수단(140)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출발하여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중간 지점(902)을 지나 제 2 기지국(120)의 영역 일부를 접근한 후,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 3 경로를 따라 운행한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9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 1 기지국(110)과 제 2 기지국(120) 간의 중간 지점(902)을 지나 제 2 기지국(120)의 제 2 재난 통신망(901)의 영역 일부를 진입한 후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함에 따라 RAN 공유가 실패되고, 다시 제 1 기지국(110)으로 복귀 시, 제 1 기지국(110)의 제 1 재난 통신망(90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moving means 140 start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passes a midpoint 902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o move a part of the area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After approaching,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travels along a third route to retur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30 receiv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firs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900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and an intermediate point 902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20 . After entering a part of the area of the second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901 of the second base station 120 after passing through, the RAN sharing fails as it return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nd when returning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again ,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the first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900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제 1 기지국(110)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910). The user terminal 130 located close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request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910).

제 1 기지국(110)은 초기 호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30)과 접속된 후,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11).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the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S911).

이후, 사용자 단말(130)이 이동 수단(140)을 통해 제 1 기지국(110)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약전 계로 변화될 수 있다(S912).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30 mo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rough the moving means 140 ,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gradually change to a weak electric field. (S912).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의 약전이 검출된 경우,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913). The user terminal 130 may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when a weak weakness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is detected (S913).

제 1 기지국(110)은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914).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914).

사용자 단말(130)이 중간 지점(902)으로부터 제 2 기지국(120)으로 일부 이동한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의 약전이 지속될 수 있으며(S912), 사용자 단말(130)이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의 약전으로 인해, 핸드오버 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였으나(S916),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917).When the user terminal 130 is partially moved from the intermediate point 902 to the second base station 120, the weakness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continue (S912), and the user terminal 130 is the second base station (S912). Due to the weak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handover request was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S916 ), but the first base station 110 sends a handover failur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30 . It can be transmitted (S917).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재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였으나(S918),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919).The user terminal 130 transmits the handover re-reques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918), bu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handover failur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30 (S919). .

사용자 단말(130)은 핸드오버 재요청을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였으나(S920), 제 1 기지국(110)은 핸드오버 실패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921).The user terminal 130 transmits the handover re-request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920), but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handover failur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30 (S921). .

이후, 사용자 단말(130)이 제 1 기지국(110)을 향해 복귀하는 경우, 제 1 기지국(110)의 신호 세기는 점차 중강전계로 변화될 수 있으며(S922),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제 1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S923). 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130 returns toward the first base station 110 ,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gradually change to a medium strong electric field ( S922 ), and the user terminal 130 returns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even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110 (S923).

제 1 기지국(110)은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S924)The first base station 11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thir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S924).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910 내지 S92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910 to S92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switched.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is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or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computer. can be Also, the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executed by a computer.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10: 제 1 기지국
120: 제 2 기지국
130: 사용자 단말
140: 이동 수단
210: 수신부
220: 설정부
230: 전송부
240: 수신부
250: 통신 수행부
410: 접속부
420: 수신부
430: 검출부
440: 전송부
450: 핸드오버 수행부
110: first base station
120: second base station
130: user terminal
140: means of transportation
210: receiver
220: setting unit
230: transmission unit
240: receiver
250: communication execution unit
410: connection
420: receiver
430: detection unit
440: transmission unit
450: handover execution unit

Claims (19)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블랙리스트 셀(Blacklist Cell) 및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가 상기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request for access to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from a user terminal;
setting a blacklist cell and a handover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detect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handover condition, releasing the set blacklist cell;
Handover is performed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초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셀 및 상기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와 관련하여 상기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access request comprises:
Receiving an initial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Setting the blacklist cell and the handover condition comprises:
setting the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CI configur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nd
Setting a first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first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at comprising a, handover performing meth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상기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을 해제하는 단계;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receiv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on the first event detected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user terminal;
releasing the set blacklist cell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event;
setting a secon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second event occurrence condition and a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ed operation parameter;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released blacklist cell information and the set secon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Which will further include, a handover performing metho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과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RAN 공유를 위한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receiving a handover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cond base station;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handover request;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ommunication for sharing the RAN
further comprising,
Handover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Receiving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a second event detected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ich will further include, a handover performing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난 통신망에 설정된 PCI에 관련하여 상기 블랙리스트 셀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및 상기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setting the blacklist cell in relation to the PCI set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second event;
setting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n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nd a RAN sharing release parameter;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the configured blacklist cell and the third handover condition to the user terminal
Which will further include, a handover performing method.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과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In a user terminal perform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from the connected first base station;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occurrence of at least one event based on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at least one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When the at least one detected event corresponds to the at least one handover condition, the handover performing unit performs handover to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Containing, the user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초기 호 접속을 요청하여 상기 제 1 기지국과 접속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초기 호 접속에 대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 및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제 1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ccess unit requests an initial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connects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 message including a first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blacklist cell information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based on the request for the initial call connection and a first event occurrence condition. That is, the user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1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검출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해제된 블랙리스트 셀 정보와 함께 제 2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2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st event based on the first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transmitter transmits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secon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condition of the second event and the RAN (Radio Access Network) sharing operation parameter together with the blacklist cell information released by the first base station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receive, the user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간의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이 수행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nsmitter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to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Based on the handover request,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performed, the user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기 RAN 공유 동작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unit receives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a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from the first base sta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 handover performing unit performs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AN shared operation parameter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제 2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검출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handover to the second base station is performed, the detector detects the second event based on the second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The transmitting unit will transmit event generation information for the detected secon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블랙리스트 셀과 함께 상기 제 1 이벤트의 발생 조건 및 RAN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 3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ceiving unit receive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a message including a third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n occurrence condition of the first event and a RAN sharing release parameter together with a blacklist cell set by the first base station,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기지국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1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난 통신망에 포함된 제 2 기지국에 대한 접속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핸드오버 수행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from a user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cluded in a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n access request for a first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irst base station;
accessing the first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based on a handover condition and a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when the event occurs, transmit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transmitting an access request for a second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accessing the second base station
That comprising a, handover performing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 1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RAN(Radio Access Network) 공유 동작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조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The method of claim 14,
determining whether a first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transmit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determined first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handover condition including a radio access network (RAN) shared operation parameter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요청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간의 RAN 공유를 위한 통신이 수행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to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Based on the handover request, communication for RAN sharing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s performed, the user termina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RAN 공유 동작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기지국의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from the first base sta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The step of accessing the second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accessing the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the RAN shared operation parameter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cell of the second base sta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접속된 이후, 상기 핸드오버 조건 및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 2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 2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handover condition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event occurrence information for the determined second event to the first base sta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RAN 공유 해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a RAN sharing release parameter from the first base station.
KR1020190169847A 2019-12-18 2019-12-18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KR202100781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47A KR20210078106A (en) 2019-12-18 2019-12-18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47A KR20210078106A (en) 2019-12-18 2019-12-18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06A true KR20210078106A (en) 2021-06-28

Family

ID=7660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47A KR20210078106A (en) 2019-12-18 2019-12-18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1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139B1 (en) * 2021-08-19 2023-01-24 T-Mobile Innovations Llc Limiting mobility between networks based on cel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139B1 (en) * 2021-08-19 2023-01-24 T-Mobile Innovations Llc Limiting mobility between networks based on cel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72327A1 (en) Network performanc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JP5516164B2 (en) Cell identifier determin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767680B2 (en) Roaming system using wireless access controller to select access point and method thereof
US10021720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millimetric wave radio communication link and terminal device
US11218945B2 (en) Access control method, terminal, and access network device
CN111510981A (en) Wireless link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13382404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acquiring UE security capability
JP7261834B2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720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virtual cell
WO2016054962A1 (en) Access point handover method, network control node and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4904294A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US92043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ximity-based communication
CN109104762B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WLAN network frame transmitting power
KR20210078106A (en) Method and user device for executing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cluded in disaster communication network
US11405783B2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1039388B2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932162B2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US20230055643A1 (en) Service profile identifier (spid) based network transition technique with user equipment (ue) reporting
CN1123994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KR102077110B1 (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s and appratus using thereof
US2018016039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7202287B (en) Order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g data analysis
US11812320B2 (en) Initiation of transfer of user equipment to base station according to visual data
WO202202424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station device
WO2021195890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