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078A -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 Google Patents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078A
KR20210078078A KR1020190169790A KR20190169790A KR20210078078A KR 20210078078 A KR20210078078 A KR 20210078078A KR 1020190169790 A KR1020190169790 A KR 1020190169790A KR 20190169790 A KR20190169790 A KR 20190169790A KR 20210078078 A KR20210078078 A KR 2021007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s
touch
coordinate
time poi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양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9016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078A/ko
Priority to CN202011313050.7A priority patent/CN112987961A/zh
Priority to US17/110,752 priority patent/US20210191598A1/en
Priority to TW109143938A priority patent/TW202125196A/zh
Publication of KR2021007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드로잉된 터치라인의 지터를 감소시키면서 터치 밀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는, 터치전극들로부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한 터치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산출부; 및 상기 터치좌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터치좌표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좌표 보정부는, 제1 시점 이전의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가 상기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예측좌표 산출부;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한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보정좌표 산출부; 및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출력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Touch Sensing Device for Reducing Jitter and Touch Sensing Method}
본 명세서는 터치센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드로잉시 지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센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나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한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유무 및 터치좌표(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터치센싱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사용자가 터치입력으로 라인 드로잉(Line Drawing)을 수행하면, 고주파 성분의 지터 노이즈(Jitter Noise)로 인하여 라인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무딩(Smoothing) 기법을 이용하여 터치좌표를 보정함으로써 지터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스무딩 기법은 터치좌표에서 고주파 노이즈의 영향을 줄여 터치 입력으로 그려지는 라인 드로잉이 부드럽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좌표에 스무딩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드로잉은 지터로 인해 구불구불하고 부드럽지 않게 표시됨에 반해, 터치좌표에 스무딩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지터가 감소되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드로잉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라인으로 표현된다.
상술한 스무딩 기법은 과거 터치좌표와 현재 터치좌표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현재 터치좌표를 보정하는데, 과거 터치 좌표의 가중치를 크게 설정할수록 지터는 감소된다.
하지만, 과거 터치좌표의 가중치를 크게 설정할수록 지터는 감소되지만 실제 터치위치보다 느리게 터치 궤적이 그려지는 터치 궤적 지연(Latency)이 발생하고, 특히, 곡선 드로잉 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라인이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보다 안쪽으로 그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로잉된 터치라인의 지터를 감소시키면서 터치 밀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에 부합하는 드로잉 라인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는, 터치전극들로부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한 터치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산출부; 및 상기 터치좌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터치좌표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좌표 보정부는, 제1 시점 이전의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가 상기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예측좌표 산출부;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한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보정좌표 산출부; 및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출력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은 제1 시점 이전에 발생된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가 상기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인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한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산출된 가상의 적합직선을 기초로 현재 터치좌표에 대한 예측좌표를 산출하고, 과거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예측좌표간의 가중치 합을 이용하여 현재 터치좌표에 대한 최종 출력좌표를 산출하기 때문에 터치라인의 지터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터치 밀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가상의 적합직선을 산출하기 때문에 가상의 적합직선을 기초로 결정되는 예측좌표가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예측좌표와 기준좌표간의 가중치 합으로 산출된 최종 출력좌표들로 그려지는 드로잉 라인이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에 매우 가깝게 그려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스무딩 기법이 적용되지 않은 터치좌표들로 구성된 드로잉 라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b는 스무딩 기법을 이용하여 보정된 터치좌표들로 구성된 드로잉 라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패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터치센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장치가 제1 시점의 터치좌표를 보정하여 출력좌표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장치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 게이트 구동부(220), 데이터 구동부(230), 타이밍 콘트롤러(240), 호스트시스템(250), 터치 스크린 패널(TSP), 및 터치센싱장치(2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서로 교차 배열되어 복수의 픽셀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G1~Gn)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D1~Dm), 및 복수개의 픽셀영역에 각각 구비된 화소(P)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G1~Gn)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D1~Dm)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G1~Gn)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D1~Dm)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되는 액정셀들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1~Gn)을 통해 공급되는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1~Dm)을 통해 공급되는 소스신호를 액정셀로 공급한다.
액정셀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공통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접속된 서브 픽셀전극으로 구성되므로 등가적으로 액정 커패시터(Clc)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셀은 액정 커패시터(Clc)에 충전된 소스신호를 다음 소스신호가 충전될 때까지 유지시키기 위하여 이전단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픽셀영역은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서브픽셀들은 행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거나 2*2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픽셀들 각각에는 각 색에 대응되는 컬러필터가 배치되는 반면, 백색(W) 서브픽셀에는 별도의 컬러필터가 배치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픽셀들은 동일한 면적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서브픽셀들 다른 면적 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220)는 타이밍 컨트롤러(24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 Gate Control signal)에 따라 스캔펄스 즉, 게이트 하이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턴-온된다.
게이트 구동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측, 예컨대 좌측에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측 및 타 측, 예컨대 좌측 및 우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220)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IC(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20)는 게이트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이트 드라이버 IC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4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소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40)로부터의 전송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 Data Control Signal)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들(D1~Dm)로 아날로그 소스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측, 예컨대 상측에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일 측 및 타 측, 예컨대 상측 및 하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30)는 소스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컨트롤러(24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소스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소스 드라이버 IC(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호스트 시스템(250)으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수신하여 데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 및 게이트 구동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GCS)을 생성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40)는 호스트 시스템(250)으로부터 영상신호(RGB)를 수신하여 데이터 구동부(23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영상신호(RGB')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소스 드라이브 IC(미도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소스 드라이브 IC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각 소스 드라이브 IC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는 게이트 구동부(2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미도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IC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호스트 시스템(250)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시어터 시스템, 방송 수신기,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250)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를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250)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RGB)와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콘트롤러(240)로 전송한다. 또한, 호스트 시스템(250)은 터치센싱장치(26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좌표(XY)를 분석하여 터치좌표가 디스플레이 패널(210) 상에 라인형태로 출력되게 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터치스크린패널(TSP)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패널(TSP)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구동신호를 전송하는 터치구동라인들(TX1~TXj, j는 2이상의 자연수), 복수개의 터치전극들(107), 및 터치전극들(107)의 전압들(또는 전하들)을 전송하는 터치센싱라인들(RX1~RXi; i는 2 이상의 자연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터치전극(107)은 상호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터치센싱라인들(RX1~RXi)은 터치스크린패널(TSP)의 감지라인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패널(TSP)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패널(TSP)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온셀 타입 또는 인셀 타입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이 터치구동라인들(TX1~TXj)과 터치센싱라인(RX1~RXi)을 포함하는 상호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인 것으로 도시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구동신호의 공급과 사용자의 터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수신이 하나의 터치센싱라인(RX1~RXi)을 통해 구현되는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2를 참조하면, 터치센싱장치(260)는 터치스크린패널(TSP) 상에 발생되는 터치를 센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260)는 터치구동라인(TX1~TXj)을 통해 터치전극(107)들로 터치구동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터치전극(107)을 구동하고, 터치전극(107)의 터치시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터치센싱라인(RX1~RXi)을 통해 센싱할 수 있다.
터치센싱장치(260)는 획득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초로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TRD)를 산출하고, 산출된 터치 로우 데이터를 기초로 터치 좌표를 산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장치(260)는 터치센싱시 지터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터치 밀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좌표를 보정하고, 보정된 터치좌표를 최종 출력좌표(X,Y)로써 호스트 시스템(2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장치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싱장치(260)는 터치구동부(400), 터치센싱부(410), 터치컨트롤러(420), 터치좌표 산출부(430), 및 터치좌표 보정부(430)를 포함한다. 터치구동부(400), 터치센싱부(410), 터치컨트롤러(420), 터치좌표 산출부(430), 및 터치좌표 보정부(440)는 하나의 ROIC(Read-out IC) 내에 집적될 수 있다.
터치구동부(400)는 터치컨트롤러(420)의 제어 하에 터치구동펄스를 출력할 터치구동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터치구동채널과 연결된 터치구동라인들(TX1~TXj)에 터치구동펄스를 공급한다.
터치센싱부(410)는 터치컨트롤러(420)의 제어 하에 터치전극들의 전압을 수신할 터치센싱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터치센싱채널과 연결된 터치센싱 라인들(RX1~RXi)을 통해 터치전극들의 전압을 수신한다. 터치센싱부(410)는 터치센싱라인들(RX1~RXi)을 통해 수신된 터치전극들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적분기(미도시)에 누적한다. 터치센싱부(410)는 적분기에 누적된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미도시)에 입력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TRD)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터치컨트롤러(420)는 터치구동부(400)에서 터치구동펄스가 출력될 터치구동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구동 셋업신호와, 터치센싱부(410)에서 터치 센싱전압을 수신할 터치센싱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터치센싱 셋업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터치컨트롤러(420)는 터치구동부(400)와 터치센싱부(4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터치좌표 산출부(430)는 터치센싱부(41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로우 데이터(TRD)를 소정의 문턱 값과 비교하고, 소정의 문턱 값 이상의 터치 로우 데이터(TRD)를 터치(또는 근접) 입력 데이터로서 판단한다. 터치좌표 산출부(430)는 소정의 문턱 값보다 낮은 터치 로우 데이터(TRD)를 터치(또는 근접) 입력이 없는 데이터로 판단한다. 터치좌표 산출부(430)는 미리 설정된 터치 좌표 산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터치(또는 근접) 입력 데이터로 판단된 터치 로우 데이터(TRD)들 각각에 대한 좌표인 실제 터치좌표들(이하, '터치좌표들'이라 함)을 산출한다. 터치좌표 산출 알고리즘은 공지의 어떠한 알고리즘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터치좌표 보정부(440)는 터치좌표 산출부(430)에 의해 산출된 터치좌표들을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 상에 표시될 출력좌표를 산출한다. 터치좌표 보정부(440)는 보정된 터치좌표를 미리 정해진 터치좌표 전송 주파수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2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정된 터치좌표를 전송할 전송 주파수는 터치속도 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좌표 보정부(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좌표 산출부(442), 보정좌표 산출부(444), 및 출력좌표 산출부(446)를 포함한다.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터치좌표 산출부(430)에 의해 산출된 과거 복수개의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산출된 추세선을 이용하여 현재시점인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에 대한 제1 예측좌표를 산출한다. 이때,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시점 이전에 발생된 복수개의 터치좌표들을 이용하여 1차 함수 형태의 추세선, 즉 직선형태의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제1 시점(t1 이전에 발생된 복수개의 터치좌표들(495)을 이용하여 1차함수 형태의 추세선(500)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터치좌표 산출부(4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좌표가 산출되는 경우 산출된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추세선을 산출하거나, 최초 터치좌표 산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시간 동안 산출된 터치좌표들을 이용하여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제1 시점 이전의 복수개의 터치좌표들로부터 1차 함수 형태의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제1 터치좌표가 1차 함수 형태의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함수 형태의 추세선(500) 상의 지점들 중 제1 터치좌표(510)와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의 좌표(520)를 제1 예측좌표(520)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측좌표(520)의 X좌표는 X1P로 표현되고, 제1 예측좌표(520)의 Y좌표는 Y1P로 표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측좌표 산출부(442)는 제1 터치좌표(510)를 지나는 가상의 직선(530)과 추세선(500)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지점을 제1 예측좌표(520)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가상의 추세선 상에서 제1 터치좌표가 매칭되는 지점의 좌표를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기 때문에 제1 예측좌표가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곡선 드로잉시 보정된 터치좌표에 의해 표시되는 드로잉 라인이 실제 터치된 드로잉 라인 안쪽으로 그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보정좌표 산출부(444)는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하여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보정좌표 산출부(444)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t1)보다 이전인 제2 시점(t2)에서의 제2 터치좌표(540)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550)와 제1 터치좌표(510)를 이용하여 제1 터치좌표(510)를 보정함으로써, 제1 보정좌표(560)을 산출한다. 이때, 제1 보정좌표(560)의 X좌표는 X1C로 표현되고, 제1 보정좌표(560)의 Y좌표는 Y1C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정좌표 산출부(444)는 기준좌표(550)와 제1 터치좌표(510)에 스무딩(Smoothing)을 적용함으로써 제1 보정좌표(560)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보정좌표 산출부(444)는 기준좌표(550) 및 제1 터치좌표(510) 각각에 미리 정해진 가중치를 승산한 후 그 결과값을 가산함으로써 제1 보정좌표(560)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좌표(550) 및 제1 터치좌표(510)에 승산될 각각의 가중치는 가중치의 합이 1이 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좌표(550) 및 제1 터치좌표(510)에 승산될 각각의 가중치는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좌표(550)는 제2 시점(t2)에서의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준좌표(550)는 제1 시점(t1)보다 이전인 제2 시점(t2)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최종 출력된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좌표(550)가 제2 시점에서의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시점에서 제2 출력좌표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제2 예측좌표가 산출될 수 없는 경우, 예컨대, 제2 시점에서 추세선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터치좌표의 개수가 기준치보다 작아 예측좌표 산출부(442)가 추세선 및 제2 시점(t2)에서의 제2 예측좌표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보정좌표 산출부(444)는 제2 터치좌표(540) 그 자체를 기준좌표로 설정하거나, 제2 시점(t2) 이전의 제3 시점(t3)에서의 제3 터치좌표(570)를 기초로 제2 터치좌표(540)를 스무딩하여 보정한 좌표를 기준좌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출력좌표 산출부(446)는 예측좌표 산출부(442)에 의해 산출된 제1 예측좌표와 보정좌표 산출부(444)에 의해 산출된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한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좌표(510)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예측좌표(520)와 제1 터치좌표(510) 및 기준좌표(550)를 기초로 산출된 제1 보정좌표(560)를 이용하여 제1 시점(t1)에서의 제1 출력좌표(580)를 산출한다. 이때, 제1 출력좌표(580)의 X좌표는 X1O로 표현되고, 제1 출력좌표(560)의 Y좌표는 Y1O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좌표 산출부(446)는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예측좌표(520)의 X좌표 및 Y좌표에 제1 가중치(W1)를 승산하고, 제1 보정좌표(560)의 X좌표 및 Y좌표에 제2 가중치(W2)를 승산한 값을 합산하여 제1 시점(t1)의 제1 출력좌표(580)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X1O은 제1 출력좌표(580)의 X좌표를 나타내고, Y1O는 제1 출력좌표(580)의 Y좌표를 나타내며, X1은 제1 터치좌표(510)의 X좌표를 나타내고, Y1은 제1 터치좌표(510)의 Y좌표를 나타내며, X1C는 제1 보정좌표(560)의 X좌표를 나타내고, Y1C는 제1 보정좌표(560)의 Y좌표를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출력좌표 산출부(446)는 제1 예측좌표(520)와 제1 터치좌표(510)간의 거리(d1)와 제1 보정좌표(560)와 제1 터치좌표(510)간의 거리(d2)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로 산출할 수 있다.
출력좌표 산출부(446)는 제1 시점의 제1 출력좌표(580)를 호스트 시스템(250)으로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시스템(250)이 각 시점의 출력좌표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드로잉 라인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터치좌표 산출부(430) 및 터치좌표 보정부(44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터감소를 위한 터치센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지터감소를 위한 터치센싱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터치센싱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터치센싱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터치센싱장치는 터치전극들로부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한 터치좌표를 산출한다(S600). 터치센싱장치는 미리 설정된 터치좌표 산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터치 입력 데이터로 판단된 터치 로우 데이터(TRD)들 각각에 대한 좌표인 터치좌표들을 산출한다. 이때, 터치좌표 산출 알고리즘은 공지의 어떠한 알고리즘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후, 터치센싱장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좌표가 산출되면(S615), 산출된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한다(S620).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좌표가 산출되면 산출된 터치좌표들을 이용하여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산출된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1차 함수 형태의 추세선, 즉 직선형태로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터치센싱장치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터치좌표들로부터 1차함수 형태의 추세선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싱장치는 S615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좌표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S610으로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좌표가 획득될 때까지 터치좌표를 계속하여 획득한다.
이후, 터치센싱장치는 S620에서 산출된 추세선을 이용하여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에 대한 제1 예측좌표를 산출한다(S630). 구체적으로, 터치센싱장치는 제1 터치좌표가 S520에서 산출된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추세선 상의 지점들 중 제1 터치좌표와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의 좌표, 즉 제1 터치좌표에서 추세선에 수선의 발을 내렸을 때 교차하는 지점의 좌표를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터치센싱장치는 제1 터치좌표와 제1 시점보다 이전인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를 이용하여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함으로써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한다(S640). 구체적으로, 터치센싱장치는 제1 터치좌표와 기준좌표에 스무딩 기법을 적용하여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함으로써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좌표는 제2 시점에서의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준좌표는 제1 시점보다 이전인 제2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최종 출력된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준좌표가 제2 시점에서의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시점에서 제2 출력좌표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제2 예측좌표가 산출될 수 없는 경우, 예컨대, 제2 시점에서 추세선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터치좌표의 개수가 기준치보다 작아 추세선 및 제2 시점에서의 제2 예측좌표를 산출할 수 없는 경우, 제2 터치좌표 그 자체가 기준좌표로 설정되거나,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의 제3 터치좌표를 기초로 제2 터치좌표를 스무딩하여 보정한 좌표가 기준좌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터치센싱장치는 S530에서 산출된 제1 예측좌표와 S640에서 산출된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한다(S65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제1 예측좌표에 제1 가중치를 승산하고, 제1 보정좌표에 제2 가중치를 승산한 값을 합산함으로써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가중치는 제1 예측좌표와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와 제1 보정좌표와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센싱장치가 제1 예측좌표를 먼저 산출한 후,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센싱장치는 제1 보정좌표를 먼저 산출한 후 제1 예측좌표를 산출하거나, 제1 보정좌표와 제1 예측좌표를 동시에 산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모든 개시된 방법들 및 절차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성요소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 광메모리, 또는 그 밖의 저장매체와 같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통상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ASICs, FPGAs, DSPs,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유사 소자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을 실행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방법들 및 절차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수행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60: 터치센싱장치 400: 터치구동부
410: 터치센싱부 420: 터치컨트롤러
430: 터치좌표 산출부 440: 터치좌표 보정부
442: 예측좌표 산출부 444: 보정좌표 산출부
446: 출력좌표 산출부

Claims (16)

  1. 터치전극들로부터 검출된 터치입력에 대한 터치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산출부; 및
    상기 터치좌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터치좌표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터치좌표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좌표 보정부는,
    제1 시점 이전의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가 상기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예측좌표 산출부;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한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보정좌표 산출부; 및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출력좌표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좌표 산출부는 상기 추세선 상의 지점들 중 상기 제1 터치좌표와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좌표 산출부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 이전의 터치좌표들로부터 1차함수 형태의 상기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좌표 산출부는 상기 제1 예측좌표에 제1 가중치를 승산한 제1 결과값과 상기 제1 보정좌표에 제2 가중치를 승산한 제2 결과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좌표 산출부는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와 상기 제1 보정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의 평균값을 상기 제1 및 제2 가중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좌표 산출부는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에 스무딩(Smoothing)을 적용하여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좌표는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제2 출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추세선의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상기 터치좌표들의 개수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좌표는 상기 제2 터치좌표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의 제3 터치좌표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좌표를 스무딩하여 보정한 좌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9. 제1 시점 이전에 발생된 터치좌표들을 기초로 추세선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터치좌표가 상기 추세선 상에 매핑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보다 이전인 제2 시점에서의 제2 터치좌표를 기초로 산출된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터치좌표를 보정한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세선 상의 지점들 중 상기 제1 터치좌표와의 거리가 최소인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측좌표로 산출하는 단계에서,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터치좌표들로부터 1차함수 형태의 상기 추세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예측좌표에 제1 가중치를 승산하고, 상기 제1 보정좌표에 제2 가중치를 승산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출력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중치는 상기 제1 예측좌표와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와 상기 제1 보정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간의 거리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좌표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정좌표는 상기 기준좌표와 상기 제1 터치좌표에 스무딩(Smoothing)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좌표는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제2 출력좌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16. 제9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추세선의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상기 터치좌표들의 개수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좌표는 상기 제2 터치좌표로 설정되거나,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의 제3 터치좌표를 기초로 상기 제2 터치좌표를 스무딩하여 보정한 좌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방법.
KR1020190169790A 2019-12-18 2019-12-18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KR20210078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90A KR20210078078A (ko) 2019-12-18 2019-12-18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CN202011313050.7A CN112987961A (zh) 2019-12-18 2020-11-20 用于减少抖动的触摸感测装置和触摸感测方法
US17/110,752 US20210191598A1 (en) 2019-12-18 2020-12-03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ensing Method For Reducing Jitter
TW109143938A TW202125196A (zh) 2019-12-18 2020-12-11 用於減少抖動的觸控感測裝置及觸控感測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90A KR20210078078A (ko) 2019-12-18 2019-12-18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78A true KR20210078078A (ko) 2021-06-28

Family

ID=7634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90A KR20210078078A (ko) 2019-12-18 2019-12-18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91598A1 (ko)
KR (1) KR20210078078A (ko)
CN (1) CN112987961A (ko)
TW (1) TW2021251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40A (ko) *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터치센싱장치 및 좌표 보정 방법
US11755149B1 (en) * 2022-04-18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tatistical inference to enhance the precision of sparsified capacitive-touch and other human-interfac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9962B2 (en) * 2019-06-19 2021-02-23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Imposing a priori knowledge to estimate turbul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87961A (zh) 2021-06-18
US20210191598A1 (en) 2021-06-24
TW202125196A (zh)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747B2 (en) Multi-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ssigning touch identification therein
CN103870078B (zh) 用于对触摸感测系统的边缘坐标进行补偿的方法
KR20140076054A (ko) 터치 센서들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게이트 구동회로 제어 방법
KR20210078078A (ko) 지터를 감소시키는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US11314357B2 (en) Touch sensing device for fitting drawing line and touch sensing method using same
KR101420512B1 (ko) 터치 센싱 장치
KR101667078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시스템 및 그 터치 레포트 레이트 향상 방법
KR101398253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016570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노이즈 제거 방법
KR20220087753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3347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스무딩 필터 제어 방법
US11816293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ensing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ouch sensing method
KR20210078079A (ko)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방법
KR20150027376A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데이터 보상 방법
US11526237B1 (en)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ensing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977253B1 (ko) 터치 및 호버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
KR102043823B1 (ko)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터치 레포트 레이트 향상 방법
KR20230083448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20240075394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20230099940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KR20210060770A (ko) 터치센싱장치 및 터치센싱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