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042A -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042A
KR20210078042A KR1020190169695A KR20190169695A KR20210078042A KR 20210078042 A KR20210078042 A KR 20210078042A KR 1020190169695 A KR1020190169695 A KR 1020190169695A KR 20190169695 A KR20190169695 A KR 20190169695A KR 20210078042 A KR20210078042 A KR 2021007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unit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0138B1 (en
Inventor
유대영
Original Assignee
유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영 filed Critical 유대영
Priority to KR102019016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138B1/en
Publication of KR2021007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 basic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device; a self-power generation unit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ed;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self-power generation unit; an output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by changing power a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nd a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for controll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series or parallel type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it to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utput control unit. Therefore, even i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sumed, a normal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Description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주택 및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그리고 농사용 온실 즉, 시설구조물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각종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의 편익을 위해 전자식 잠금 장치인 디지털 방식의 도어락(door lock)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locks are installed in houses and apartments, officetels, offices, and agricultural greenhouses, that is, facility structures to control the access of outsiders. Recently, for the convenience of use, digital door locks, which are electronic locks, are installed. ) is used a lot.

그러나 디지털 방식의 도어락은 소모품인 휴대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가 완전 소모될 경우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게 되어 해당 문을 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digital door lock receives power through a portable battery, which is a consumable,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consumed, the door does not operate normally and the door cannot be opened.

물론, 도어락에 장착된 휴대용 배터리를 새롭게 교체하여 해당 도어락을 정상화시킬 수 있지만, 해당 도어락이 설치된 곳이 주택가가 아닌 온실이나 창고 등과 같이 인가와 많이 떨어져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신속하게 A/S를 받기도 어려울뿐만 아니라 주변에 휴대용 배터리를 구입할 수 있는 가게 등의 부재로 인해, 휴대용 배터리의 신속한 교체 역시 매우 어렵게 된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normalize the door lock by replacing the portable battery mounted on the door lock. However, if the place where the door lock is installed is not in a residential area, but is installed in an area far away from the permit, such as a greenhouse or warehouse, A/ Not only is it difficult to receive an S, but also due to the absence of a store where a portable battery can be purchased nearby,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quickly replace the portable battery.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에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긴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dvance by allow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digital door lock to be supplied through kinetic energy generated in daily life, rather than power supply by a battery.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4-0055560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제어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55560 (Title of the invention: digital door lock system control method)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3-0000625호(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의 시공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00625 (Title of the invention: construction method of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용 배터리의 전원 소모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user's inconvenience due to power consumption of a portable batter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는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본 전원 공급부, 상기 전자장치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자가 발전부, 상기 자가 발전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 또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고 상기 전자장치 또는 출력 조절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잔량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A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asic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 self-generation unit that operates by being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generation unit generated by the self-generation unit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toring power, an output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by chang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a series or parallel type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and a residual amount switch unit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to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utput control unit.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고, 상기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전자장치나 상기 출력 조절부로 전달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adjusts a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controls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utput through the series or parallel type connection relation. can be passed on to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미만이고,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transfers the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설정값과 상기 제2 설정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제1 설정값과 상기 제2 설정값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설정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클 수 있다.Wh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set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상기 제2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을 상기 출력 조절부로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may transmit the remaining quantity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to the output control unit.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제1 설정값과 비교하고, 잠금 장치로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connected to the basic power supply unit, compar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with a first set value, and controlling an output state to the locking device.

상기 전원 상태 판단부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와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 중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with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remaining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basic power Power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 supply unit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스위칭 상태가 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출력 조절부에 각각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달라져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출력 조절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nd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first switch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whose switching state is changed to adjust a connection relationship in series or parallel form,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put control unit, and a switching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a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put control unit A second switch to be connected may be included.

상기 자가 발전부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습동식 자가 발전 장치일 수 있다.The self-generation unit may be a sliding type self-generation device using a leaf spring.

상기 자가 발전부는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일 수 있다. The self-generation unit may be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상기 자가 발전부는 피젯볼 방식을 이용한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일 수 있다.The self-generation unit may be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using a fidget ball method.

상기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는 코일 및 상기 코일 내부에서 회전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includes a coil and a magnet rotating inside the coil, and the magnet may be rotat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는 1차 전지이고,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1전지, 2차 전지 또는 대용량 커패시터일 수 있다.The basic power supply unit may be a primary battery,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be a primary battery, a secondary battery, or a large-capacity capacitor.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may include a rectifier.

상기 전자장치는 도어락의 잠금 장치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locking device for a door lock.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나 보조 전원 공급부는 1차 전지가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개폐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ic power supply unit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emergency power unit in which a primary battery is inserted and the lock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도어락의 잠금 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전기를 축적하고 있는 보조 전원 공급부로 인해, 전자장치에 장착된 기본 전원 공급부가 소모되더라도 정상적인 전자장치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feature, due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accumulating electricity generated whenever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locking device of a door lock is made, the normal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even if the basic power supply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is consumed. is done

이로 인해, 전자장치 구동을 위해 장착된 기본 전원 공급부가 소모되더라도 기본 전원 공급부의 교체 없이도 보조 전원 공급부에 저장된 전원에 의해 전자장치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Accordingly, even if the basic power supply mounted to drive the electronic device is consumed, the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operated by the power stored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without replacing the basic power supply.

따라서, 보조 전원 공급부의 방전으로 인해, 전자장치의 구동이 즉각 중단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기본 전원 공급부가 소모되더라도 정상적으로 해당 전자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해당 문을 열지 못하는 것과 같이 전자장치를 구동하지 못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불편이 해소된다.Therefore, due to the discharg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the driving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stopped immediately, and the user can normally use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even if the basic power supply is consume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driven as if the door cannot be opened.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not doing so is elimin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자기 발전부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lf-generation unit used in a power supply devic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ique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evant field may mak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unclear, some of these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person or custom in the relevant field. Accordingly,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한 예로서, 전자장치는 도어락(door lock)의 잠금 장치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도어락의 잠금 장치로 전원 공급을 전원공급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an electronic device as a locking device for a door lock,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as a locking device for a door lock.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예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장치(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 pow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locking device 60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잠금 장치(60)의 전원공급 장치는 전원 공급부(예, 기본 전원 공급부)인 배터리(10), 배터리(10) 및 잠금 장치(60)에 연결된 잔량 스위치부(20), 잠금 장치(60)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 조절부(30), 자가 발전부(40), 자가 발전부(40) 및 출력 조절부(30)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 공급부인 축전지(예, 보조 전원 공급부)(5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upply of the locking device 60 of this example includes a battery 10, which is a power supply (eg, a basic power supply), a battery 10, and a remaining power switch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 20), the output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the self-generation unit 40, the self-generation unit 40, and a storage battery that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and is a power supply (eg, Auxiliary power supply) (50) is provided.

배터리(10)는 전자장치인 도어락의 잠금 장치(6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예, 기본 전원 공급부)로서, 1차 전지일 수 있다.The battery 10 is a power supply unit (eg, a basic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lock device 60 of the door lock,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and may be a primary battery.

이러한 배터리(10)는 제1 배터리부(11)와 제2 배터리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attery 10 may include a first battery unit 11 and a second battery unit 12 .

잔량 스위치부(20)는 배터리(10)의 제1 배터리부(11)와 제2 배터리부(12)의 연결 상태를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해당 전원을 출력 조절부(30)나 잠금 장치(60)로 전달한다.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control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battery unit 11 and the second battery unit 12 of the battery 10 to a connection state of a series or parallel type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power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 or to the locking device 60 .

이때, 잔량 스위치부(20)는 복수 개의 배터리부(11, 12)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may include a switch unit 21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units 11 and 12 .

본 예에서, 스위치부(21)는 배터리(10)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스위칭 상태가 변하는 제1 스위치와 제1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잠금 장치(60)와 출력 조절부(30)에 각각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터리(10)의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달라져 입력 단자는 잠금 장치(60)와 출력 조절부(30)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witch unit 21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10 , and an input terminal to a first switch whose switching state is changed to control a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ship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and the output control unit 30, respectively, and the switching stat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battery 10, so that the input terminal is the locking device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one of the 60 and the output control unit 30 may be provided.

스위치부(21)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부(11, 12)의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 및 출력 조절부(30)나 잠금 장치(60)로의 연결 관계를 제어할 수 있거나 각 배터리부(11, 12)의 전원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21 changes the operating state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connection rel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units 11 and 12 in series or parallel form and the connection relation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or the locking device 60 are changed.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automatically control the state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each of the battery units 11 and 12 .

이에 따라 잔량 스위치부(20)는 배터리부(11, 12)의 전원 상태에 따라 배터리(10)의 전원을 바로 잠금 장치(60)로 전달하거나 출력 조절부(30)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may directly transfer the power of the battery 10 to the locking device 60 or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battery units 11 and 12 .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부(11 또는 12)의 전원 상태로도 충분히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부(11 또는 12)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즉, 전원)가 설정값이 이상이면, 잔량 스위치부(20)는 제1 및 제2 배터리부(11, 12)를 병렬 상태로 제어하고 출력 조절부(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잠금 장치(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state of one battery unit 11 or 12 can sufficiently drive the locking device 60 , for example,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one battery unit 11 or 12 ( 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units 11 and 12 in parallel and the locking device 60 directly without going through the output control unit 30 . ) can be supplied with power.

하지만, 하나의 배터리부(11 또는 12)의 전원으로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 잔량 스위치부(20)는 제1 및 제2 배터리부(11, 12)를 직렬 상태로 제어하고 출력 조절부(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잠금 장치(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ower of one battery unit 11 or 12 cannot drive the locking device 60 ,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units 11 and 12 in series. and powe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locking device 60 without going through the output control unit 30 .

또한, 직렬 연결된 배터리(10)의 전원으로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즉,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배터리부(11, 12)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잔량 스위치부(20)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10)의 전원을 출력 조절부(3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battery 10 connected in series cannot drive the locking device 60 (that is, when the power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units 11 and 12 connected in series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transmits the power of the battery 10 connected in series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

따라서, 출력 조절부(30)는 배터리(10)에서 전송된 전원 상태를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화시킨 후 잠금 장치(60)의 전원으로 공급한다.Accordingly, the output control unit 30 changes the state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10 to a state capable of driving the locking device 60 , and then supplies the power to the locking device 60 .

출력 조절부(30)는 배터리(10)나 축전지(50)로부터 인가되는 잔량 전원을 변화시켜 즉, 승압하거나 감압하여 배터리(10)나 축전기(50)의의 잔량 전원이 잠금 장치(60)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put control unit 30 changes the residual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y 10 or the storage battery 50 , that is, boosts or reduces the pressure, so that the residual power of the battery 10 or the capacitor 50 is driven by the locking device 60 . to be used as a power source.

이러한 출력 조절부(30)는 저항이나 커패시터 등과 같은 수동 소자 등을 이용하거나 전기적인 연결 관계(예,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 등을 변화시켜 입력되는 전력을 증가시켜 잠금 장치(6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control unit 30 increases the input power by using a passive element such as a resistor or a capacitor, or by changing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eg, a series connection and a parallel connection) to output to the locking device 60 . can

이러한 출력 조절부(30)는 잔량 스위치부(120)와 축전기(5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즉, 전원)를 비교하여 하나를 선택한 후 전기 신호의 상태를 변화시켜 잠금 장치(60)의 전원으로서 공급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electric signal (ie, power) applied from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120 and the capacitor 50 , selects one, and then changes the state of the electric signal to power the locking device 60 . can be supplied as

이때, 출력 조절부(30)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배터리(10)의 전기신호(즉, 전원)을 잠금 장치(60)로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output control unit 30 may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ie, power) of the battery 10 to the locking device 60 .

또한, 출력 조절부(30)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설정값1 미만이고, 축전지(5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설정값2 이상이면, 축전지(50)의 전원을 잠금 장치(6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10 is less than the set value 1 and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2, the output control unit 30 locks the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50 . (60) can be passed.

이때, 설정값1과 설정값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 value 1 and the set value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설정값1과 설정값2이 상이한 경우, 설정값1이 설정값2보다 클 수 있다.When the set value 1 and the set value 2 are different, the set value 1 may be greater than the set value 2.

또한, 잔량 스위치부(20)는 축전지(5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2 설정값 미만이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되는 스위치부(20)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10)의 잔량 전원을 출력 조절부(3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50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outputs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20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

자가 발전부(40)는 도어락의 동작에 따라 발전 동작이 이루어져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lf-generation unit 40 may generate power by generating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이러한 자가 발전부(40)는 도어락에 부착된 자동 잠금부(예, 자동 잠금 걸쇠)의 회전 동작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식 자가 발전 방식,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덮개의 상하 이동 동작 등과 같이 동작 상태에 따라 변하는 판 스프링의 상태 등을 이용하는 습동식 자가 발전 방식 및 피젯볼 방식을 이용한 회전식 자가 발전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is self-generation unit 40 is a rotary self-generation method in which electricity is generated us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an automatic locking unit (eg, automatic locking latch) attached to the door lock,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cove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put a password A sliding-type self-generation method using a state of a leaf spring that changes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such as an operation, and a rotary self-generation method using a fidget ball method may be used.

자가 발전부(40)가 회전식 자가 발전 방식으로 동작되는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인 경우, 한 예로, 자가 발전부(40)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자동 잠금부의 회전에 의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로테이터(rotator), 로테이터에서 발생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를 충전하고 축전지(50)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When the self-generation unit 40 is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operated in a rotary self-generation method, for example, the self-generation unit 40 generates kinetic energy by the rotation of the self-locking unit rotating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It may include a rotator that converts energy, a rectifier that converts an alternating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or into a direct current, and a charger that charges the DC output from the rectifier and charges the storage battery 50 .

자가 발전부(40)가 습동식 자가 발전 방식으로 동작되는 습동식 자가 발전 장치인 경우, 자가 발전부(40)는 예를 들어, 도어락 덮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앞뒤로 변위되는 판 스프링, 판 스프링에 연결되어 판 스프링의 변위 시 연동되어 습동되는 막대 자석, 막대 자석 외부에 설치되어 막대 자석의 습동에 따라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 및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충전하고 축전지(50)에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self-generation unit 40 is a sliding-type self-generation device operated in a sliding-type self-generation method, the self-generation unit 40 is, for example, a leaf spring that is displac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oor lock cover, a leaf spring A bar magnet connected and sliding when the leaf spring is displaced, a coil installed outside the bar magnet to generate an induced curr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ar magnet, and charging the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coil and storing electricity in the storage battery 50 A charging unit may be provided.

또한, 자가 발전부(40)가 피젯볼 방식을 이용한 피젯볼 자가 발전 장치인 경우, 자가 발전부(40)는 도어락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자, 회전자의 둘레 부분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코일을 구비한 고정자, 회전자와 연결된 베어링 및 정류기 등을 구비하여 피젯 스피너 원리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lf-generating unit 40 is a fidget-ball self-generating device using a fidget-ball method, the self-generating unit 40 is a rotor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It can operate using the fidget spinner principle by having a stator having a plurality of coils, a bearing connected to the rotor, and a rectifier.

이러한 자기 발전부(40)가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인 경우의 한 예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리드 스위치(reed switch)(RS), 전원부(예, 건전지)(B+), 보빈이나 철심에 감겨 있는 코일(C1) 및 자석(M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자석(M1)과 코일(C1)의 위치와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An example of such a case in which the self-generation unit 40 is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is, as shown in FIG. 3 , a reed switch (RS), a power supply (eg, a battery) (B+), a bobbin or an iron core. It may include a wound coil (C1) and a magnet (M1). In this case,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magnet M1 and the coil C1 shown in FIG. 3 may be changed.

전원부(B+)의 전원이 완전히 방전하기 직전에 전원부(B+)의 자가 회복력에 전원부(B+)는 에너지를 출력하다가 멈추기를 반복한다. Just before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power supply unit (B+) outputs energy to the self-heal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 and then stops repeatedly.

따라서, 전원부(B+)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원부(B+)의 에너지가 흐르게 되면 자석(M1)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자석(M1)은 회전하고 전원부(B+)에서 전류가 흘렀다 멈췄다를 반복하게 되면, 자석(M1)에도 자기장이 생겼다 사라졌다를 반복하게 되어 자석(M1)은 계속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nergy of the power supply unit (B+) flow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upply unit (B+),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magnet (M1), the magnet (M1) rotates and the current flows in the power unit (B+) and stops. The magnet M1 also repeatedly generates and disappears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magnet M1 continues to rotate.

자석(M1)이 코일(C1) 속에서 회전하면 기전력이 발생하며, 전류가 흐른다. 이때, 자석(M1)이 회전하지 않으면, 작은 힘으로 자석(M1)을 돌려 계속 자석(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agnet M1 rotates in the coil C1,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and a current flows. At this time, if the magnet (M1) does not rotate, rotate the magnet (M1) with a small force so that the magnet (1) can continue to rotate.

따라서, 이러한 자석(M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electricity is generated by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agnet M1.

이와 같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어락의 동작에 따라 발전되는 전력은 축전지(50)로 인가되어 축전지(50)를 충전시킨다.In this way, the power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made is applied to the storage battery 50 to charge the storage battery 50 .

이러한 축전지(50)는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대용량의 전원 충전이 가능한 대용량 커패시터(예, 슈퍼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battery 50 may include a primary battery, a secondary battery, or a large-capacity capacitor (eg, a supercapacitor) capable of charging a large-capacity power source.

또한 축전기(50)에는 자가 발전부(40)의 동작으로 생성된 전기를 안정적인 전기로 정류시켜 주는 정류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pacitor 50 may include a rectifier for rectify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lf-generation unit 40 into stable electricity.

이때, 배터리(10)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기 발전부(40)는 축전지(50) 뿐만 아니라 배터리(10)의 충전 동작도 실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10 is formed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the self-generation unit 40 may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10 as well as the storage battery 50 .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operated as follows.

초기 상태일 때, 잔량 스위치부(20)의 제1 스위치는 제1 배터리부(11)와 제2 배터리부(12)의 연결 관계를 직렬 형태로 제어하고, 제2 스위치는 잔량 스위치부(20)가 잠금 장치(6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initial state, the first switch of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20 control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attery unit 11 and the second battery unit 12 in a series form, and the second switch is the remaining quantity switch unit 20 ) can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

따라서, 도어락을 구동시키기 위해, 잔량 스위치부(20)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바로 잠금 장치(60)로 인가하므로, 잠금 장치(60)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전원은 배터리(10)로부터 공급받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drive the door lock, 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directly applies the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10 to the locking device 60 , so the power f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60 is the battery 10 . will be supplied from

하지만, 제1 스위치가 구동되면, 제1 배터리부(11)와 제1 배터리부(12)의 연결 관계는 직렬 형태로 변경되어, 잔량 스위치부(20)는 잠금 장치(60)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2 스위치를 통해 직렬 연결된 배터리(10)의 전원을 바로 잠금 장치(60)로 전달하여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However, when the first switch is drive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attery unit 11 and the first battery unit 12 is changed to a series form, and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changes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locking device 60 . The power of the battery 10 connected in series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locking device 60 through the maintained second switch and supplied as driving power.

이러한 동작은 직렬 형태나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통해 잔량 스위치부(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크기가 설정값 이하일 때까지 지속된다.This operation is continued until the magnitud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20 through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series or parallel typ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하지만, 제1 및 제2 배터리부(11, 12)의 직렬 형태의 연결 관계로 인해 출력되는 전원의 크기가 설정값 미만으로 떨어지면, 잔량 스위치부(20)의 제2 스위치는 출력 조절부(30)와 연결되어 설정값 미만의 배터리(10)의 전원의 출력 조절부(30)로 출력한다.However, when the magnitude of the output power falls below the set value due to the series-typ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units 11 and 12 , the second switch of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sets the output control unit 30 . ) and output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of the power of the battery 10 less than the set value.

이로 인해, 출력 조절부(30)는 축전지(50)와 잔량 스위치부(23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즉, 전원)의 값을 비교하여 이중 하나의 전기 신호를 변환하여 잠금 장치(60)로 출력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output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ie, power)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50 and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30 and converts one of the electrical signals to the locking device 60 . will output

이때, 출력 조절부(30)는 잔량 스위치부(20)에서 인가되는 전기 신호와 축전지(50)에서 인가되는 전기 신호 중 크기가 큰 전기 신호를 변화시켜 잠금 장치(60)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control unit 30 may change the electric signal having a larger magnitude among the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20 and the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storage battery 50 and output it to the locking device 60 .

또한, 출력 조절부(3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설정값1 및 2를 이용한 잔량 스위치부(20)의 전기 신호와 축전기(50)의 전기 신호를 비교하여, 둘 중 하나의 전기 신호를 처리한 후 잠금 장치(60)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 unit 30 compares the electric signal of the capacitor 50 with the electric signal of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20 using the set values 1 and 2 as already described, and processes one of the electric signals. After that, it can be output to the locking device 60 .

이와 같이, 배터리(10)뿐만 아니라 도어락의 자가 발전 동작으로 생성된 전기로 인해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축전지(50)에 의해서도 잠금 장치(60)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배터리(10)의 잔량이 안정적으로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킬 정도가 아니어도 정상적으로 도어락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In this way, since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is performed not only by the battery 10 but also by the storage battery 50 , which is charged with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elf-generation operation of the door lo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 is stably Even if it is not enough to drive the locking device 60 ,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is normally performed.

이로 인해, 부족한 배터리(10)의 전원으로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정상적으로 해제시키는 문제가 해소되며, 또한, 장시간 미사용으로 또는 낮은 온도로 인해, 배터리(10)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도 사용자는 원활하게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Due to this, the problem of normally unlocking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with insufficient power of the battery 10 is solved, and also, when the battery 10 is in an abnormal state due to non-use for a long time or due to a low temperature, the user can smoothly It unlocks the door lock.

이처럼, 부족한 배터리(10)를 대신하여 잠금 장치(6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50)에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설정값 미만으로 축전지(50)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이면, 출력 조절부(30)는 다시 잔량 스위치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to the storage battery 50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in place of the insufficient battery 10 is less than the set valu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torage battery 50 is less than the set amount, output The adjusting unit 30 may process the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again.

이처럼, 기본 전원 공급부[예, 배터리(10)]의 설정값이 보조 전원 공급부[예, 축전지(50)]의 설정값보다 크게 정해지는 경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의 양(즉, 설정값 미만의 전원의 양)이 보조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의 양보다 많게 되므로,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을 이용한 출력 조절부(30)의 동작에 따라 좀 더 안정적으로 잠금 장치(6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setting value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eg, battery 10] is set to be greater than the setting value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eg, storage battery 50], the amount of residual power of the primary power supply unit (ie, set value) Since the amount of power less than the amount of power)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power remaining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the locking device 60 can be operated more stab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utput control unit 30 using the remaining power of the main power supply. there will be

본 예에서, 설정값1과 설정값2의 크기는 별도의 전압 변환 동작이나 승압 동작없이 정상적으로 배터리(10)나 축전지(50)에서 인가되는 전원만으로 잠금 장치(6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size of the set value 1 and the set value 2 determines whether the locking device 60 can be operated normally only with the power normally applied from the battery 10 or the storage battery 50 without a separate voltage conversion operation or step-up operation.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따라서, 배터리(10)와 축전지(50)의 잔량 전원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가 각각 설정값1과 설정값2 미만인 상태는 별도의 전압 변환이나 승압 동작없이 배터리(10)나 축전지(50)의 전원만으로 잠금 장치(60)의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 and the storage battery 50 are less than the set value 1 and the set value 2, respectively, the power of the battery 10 or the storage battery 50 without a separate voltage conversion or step-up operation It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60 cannot be stably released.

따라서, 배터리(10)의 잔량이 설정량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잠금 장치(60)를 동작시켜도 잠금 장치(60)의 잠금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Accordingl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10 falls below the set amount,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60 is not released ev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locking device 60 .

이런 경우, 사용자는 도어락 손잡이나 돌출부를 동작시켜 잔량 스위치부(20)를 작동시켜 잔량 스위치부(20)가 잠금 장치(60)와 연결되는 대신 출력 조절부(3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operates the door lock handle or the protrusion to operate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

따라서, 출력 조절부(30)는 입력 단자로 배터리(10)의 잔량 전원이 공급되면,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 후 즉, 전원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 후, 잠금 장치(60)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 조절부(30)에 의해 제어된 전압은 잠금 장치(60)의 작금 해제 동작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Accordingly, when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 is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 the output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applied voltage, that is, increases or decreases the power, and then outputs to the locking device 60 . The voltage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unit 30 is of a level capable of normally executing the currently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

이로 인해, 잠금 장치(60)는 출력 조절부(3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안정적으로 동작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locking device 60 stably operates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output control unit 30 to perform the unlocking operation.

다음,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1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을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As compared with FIG. 1,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1,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lso omitted.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한 예에 따른 도어락의 잠금 장치(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 장치는 배터리(10)와 축전기(5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상태 판단부(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pow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locking device 60 of the door lock according to an example adds a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connected to the battery 10 and the capacitor 50 . can be provided with

이러한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베터리(10)의 전원(즉,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와 축전지(50)의 전원(즉,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배터리(10) 및 축전지(50) 중에서 잠금 장치(60)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다.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compares an electrical signal for power (ie, residual power) of the battery 10 with an electrical signal for power (ie, residual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50,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Power output to the locking device 60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battery 10 and the storage battery 50 .

이때,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배터리(10)와 축전기(50) 중 큰 값을 갖는 전기 신호를 잠금 장치(60)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having a larger value among the battery 10 and the capacitor 50 to the locking device 60 .

또는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배터리(10)의 전원을 잠금 장치(60)로 전달하고,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미만이고, 축전지(5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축전지(50)의 전원을 잠금 장치(60)로 전달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transmits the power of the battery 10 to the locking device 60 and the electricity output from the battery 10 . When the signal is less tha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5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50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king device 60 .

이때,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이 상이한 경우, 제1 설정값이 제2 설정값보다 클 수 있다.When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are different, the first set valu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또한,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축전지(5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2 설정값 미만이면, 배터리(10)의 잔량 전원을 출력 조절부(40)로 전달할 수 있다.Also,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storage battery 50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may transmi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 to the output control unit 40 .

다른 예에서,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배터리(10)와만 연결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may be connected only to the battery 10 .

이런 경우, 전원 상태 판단부(70)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값(예, 제1 설정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잔량 스위치부(20)의 스위치부(21)로 출력하여 잠금 장치(60)로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battery 10 and compares it with a set value (eg, a first set value),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switch unit of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utput state to the locking device 60 by outputting to (21).

이로 인해, 제1 스위치의 동작 상태와 제2 스위치의 동작 상태가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제1 및 제2 배터리부(11, 12)의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나 출력 조절부(30) 또는 잠금 장치(60)로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switch are chang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units 11 and 12 are connected in a series or parallel form or the output control unit 30 ) or the connection state to the locking device 60 can be controlled.

도 2에는 이러한 전원상태 판단부(70)가 잔량 스위치부(20)의 외부에 위치하여 잔량 스위치부(2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 달리, 잔량 스위치부(20) 내부에 위치하여 잔량 스위치부(2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FIG. 2 , this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70 is located outside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and is composed of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 but, unlike this,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is located inside the to form a part of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전원공급 장치에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예에서, 도 1 및 도 2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한다.In this example, as compared with FIGS. 1 and 2 ,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and 2 ,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lso omitted.

도 4를 도 1과 비교하고 도 5를 도 2와 비교할 때, 도 4와 도 5에 축전지(50)는 각각 출원 조절부(30)에 연결되는 대신 잠금 장치(60)에 연결되어 있다.When comparing FIG. 4 with FIG. 1 and FIG. 5 with FIG. 2 , the storage battery 50 in FIGS. 4 and 5 is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60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30 , respectively.

따라서, 도 4 및 도 5의 경우, 자가 발전부(40)의 동작에 의해 축전지(50)에 충전되어 있는 전원은 바로 잠금 장치(6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FIGS. 4 and 5 , the power charged in the storage battery 50 by the operation of the self-generation unit 40 is directly used as the driving power of the locking device 60 .

이로 인해, 스위치부(20)의 동작에 따라 잠금 장치(60)로 바로 출력되는 배터리(10)의 전원 또는 축전지(50)의 전원 중 하나가 바로 잠금 장치(60)의 구동 전원으로 전달된다.For this reason, either the power of the battery 10 or the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50 that is directly output to the locking device 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20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driving power of the locking device 60 .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락의 전원 공급부가 1차 전지 대신 자가 발전부(40)에 의한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예, 축전지(50)] 하나만을 구비하는 경우, 잔량 스위치부(20)는 하나의 전원 공급부인 축전지(5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와 설정값을 비교한 후,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 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잠금 장치(60)로 전원 공급을 실시하고, 전기 신호가 설정값 미만이면 축전지(50)의 잔량 전원이 출력 조절부(30)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door lock includes only one secondary battery (eg, storage battery 50) capable of being charged by the self-generation unit 40 instead of the primary battery,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is After comparing the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storage battery 50, which is one power supply, with a set valu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wit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locking device 60 when the electric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nd if the electric signal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residual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50 may be applied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 .

이처럼, 도어락이 충전 가능한 하나의 전원 공급부만을 구비하는 경우, 잔량 스위치부(20)의 제1 스위치는 생략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door lock is provided with only one power supply that can be charged, the first switch of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0 may be omitt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원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1.5V의 건전지 등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60)를 개폐할 수 있는 비상 전원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shown in FIGS. 1 and 2 may additionally include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locking device 60 using, for example, a 1.5V battery.

이러한 비상 전원부는 배터리(10)나 축전지(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Such an emergency power supply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battery 10 or the storage battery 50 .

도어락과 같은 현재의 잠금 장치(60)는 9V의 건전지를 위한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이 단자에 비상 충격기로 전기를 가하면 해당 잠금 장치(6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잠금 장치(60)가 열리게 되어 도난 등의 위험이 발생한다. In the current locking device 60 such as a door lock, a terminal for a 9V batter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this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with an emergency shock device,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locking device 60 is not performed normally, and the locking device 60 is opened, thereby creating a risk of theft.

하지만, 잠금 장치(60)에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제거하고, 비상 전원부를 구비하는 경우, 외부에서 1.5V 건전지를 한 개만 삽입하면 잔량 스위치부(20)와 출력 조절부(30)의 동작에 의해 1.5V의 건전지 하나로도 잠금 장치(60)의 동작이 이루어져 잠금 장치(60)는 정상적으로 개폐된다.However, when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cking device 60 is removed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is provided, if only one 1.5V battery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power switch unit 20 and the output control unit 30 is reduced. By thi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is performed even with a single 1.5V battery, so that the locking device 60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이러한 본 예에 의하면, 배터리(10)뿐만 아니라 축전지(50)의 전원이 설정값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기본 전원 공급부의 남은 잔량을 이용하여 잠금 장치(60)를 구동시키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은 더욱 더 향상되며, 배터리(10)의 잔량 전원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므로 배터리(10)의 낭비 역시 줄어든다.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the power of the battery 50 as well as the battery 10 decreases below the set value, the locking device 60 is driven us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sic power supply, so the user's convenience is further improved. is improved, and since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10 is used more efficiently, the waste of the battery 10 is also reduced.

이에 더해, 배터리(10)의 방전으로 잠금 장치(60)의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 시를 대비해, 도어락과 같은 전자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원 공급 단자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해당 전자장치의 보안성은 더욱 높아진다. In addition, in case of an emergency in which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60 is not performed due to discharging of the battery 10, the power supply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oor lock can be removed, so that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The security of the device is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 and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and applied to different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전원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also by thos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배터리 20: 잔량 스위치부
21: 스위치부 30: 출력 조절부
40: 자가 발전부 50: 축전지
60: 잠금 장치 70: 전원 상태 판단부
10: battery 20: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21: switch unit 30: output control unit
40: self-generation unit 50: storage battery
60: locking device 70: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Claims (19)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본 전원 공급부;
상기 전자장치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자가 발전부;
상기 자가 발전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 또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상기 전자장치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출력 조절부; 및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고 상기 전자장치 또는 출력 조절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잔량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 basic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 self-generation unit coupl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stor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self-generation unit;
an outpu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nge power a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Residual amount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eries or parallel typ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nd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고, 상기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전자장치나 상기 출력 조절부로 전달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adjusts a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controls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output through the series or parallel type connection relation. The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to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1 설정값 미만이고,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the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less than a first set value and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set value, the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과 상기 제2 설정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et value and the second set value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과 상기 제2 설정값이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설정값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큰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first set valu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set value, the first set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set valu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상기 제2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을 상기 출력 조절부로 전달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less than the second set value, the residual quantity switch unit transmits the remaining quantity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to the output control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제1 설정값과 비교하고, 전자장치로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is connected to the basic power supply unit, and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basic power supply unit with a first set value, and further comprises a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controlling an output state to the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태 판단부는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와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와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의 잔량 전원에 대한 전기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 중에서 상기 전자장치로 출력되는 전원을 선택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wer state determination unit is furth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with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remaining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basic power supply and a power supply device for selecting a power output to the electronic device from among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자장치에 추가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스위치부는,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직렬 형태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스위칭 상태가 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출력 조절부에 각각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의 직렬 또는 병렬 형태의 연결 관계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달라져 상기 입력 단자는 상기 전자장치와 상기 출력 조절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maining amount switch unit,
a first switch hav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ic power supply and changing a switching state to adjust a connection relationship in a series or parallel form; and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put control unit, and a switching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a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The input terminal is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발전부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습동식 자가 발전 장치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generation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sliding-type self-generation device using a leaf spr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발전부는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generation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발전부는 피젯볼 방식을 이용한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lf-generation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using a fidget ball metho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자가 발전 장치는,
코일; 및
상기 코일 내부에서 회전하는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otary self-generation device,
coil; and
a magnet rotating inside the coil
including,
The magne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rotates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sic power supp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는 1차 전지이고,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1전지, 2차 전지 또는 대용량 커패시터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power supply unit is a primary battery,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a primary battery, a secondary battery, or a large-capacity capaci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s a power supply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rectif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도어락의 잠금 장치인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is a power suppl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 locking device for a door lock.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원 공급부나 보조 전원 공급부는 1차 전지가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개폐하는 비상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imary power supply unit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includes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ck device into which a primary battery is inserted.
KR1020190169695A 2019-12-18 2019-12-18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KR102380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95A KR102380138B1 (en) 2019-12-18 2019-12-18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95A KR102380138B1 (en) 2019-12-18 2019-12-18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042A true KR20210078042A (en) 2021-06-28
KR102380138B1 KR102380138B1 (en) 2022-03-28

Family

ID=7660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695A KR102380138B1 (en) 2019-12-18 2019-12-18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1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59B1 (en) * 2021-10-26 2023-03-16 지에프텍 주식회사 Door lock with emergency power
KR102569179B1 (en) 2023-01-19 2023-08-22 주식회사 다한기술 Pipe cleaning device using air compression wa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245A (en)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우신정밀 Emergency unlock system for digital door lock
KR20130000625A (en) 2011-06-23 2013-01-03 유한회사 에코인 Manufacturing of color sands
KR20130020626A (en)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케이티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feeding apparatus considering battery states and load power, and its method
KR20140055560A (en)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otation type multi hole orif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245A (en)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우신정밀 Emergency unlock system for digital door lock
KR20130000625A (en) 2011-06-23 2013-01-03 유한회사 에코인 Manufacturing of color sands
KR20130020626A (en) *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케이티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feeding apparatus considering battery states and load power, and its method
KR20140055560A (en)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otation type multi hole orif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59B1 (en) * 2021-10-26 2023-03-16 지에프텍 주식회사 Door lock with emergency power
KR102569179B1 (en) 2023-01-19 2023-08-22 주식회사 다한기술 Pipe cleaning device using air compression 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138B1 (en)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6491A1 (en) Digital doorlock having ultra capacitor
KR102380138B1 (en)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US9929591B2 (en) Smart home power system
US10036182B2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US7952477B2 (en) Door lock assembly
US2013000220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battery charging and balancing
US9607459B2 (en) Wirelessly charging electronic lock device
KR20180113310A (en) Electric door lock charging equipment using how to induce electromagnetic wave and the method of the same
CN105684258B (en) Electric autonomous external member and management method
US11455850B2 (en) Power converter for transferring power
EP3320596B1 (en) Portable battery pack
KR100587525B1 (en) Door lock having hand-operated generator
JP5720183B2 (en) Power generator with DC generator
KR102503875B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gital door lock using auxiliary battery
JP3553054B1 (en) Power supply systems, homes and programs
KR20230051408A (en)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door unlocking
KR101602133B1 (en)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Door Lock
CN212642366U (en) Passive electronic lock
US20220235578A1 (en) Device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digital door lock, and method for driving same
JP2005224005A (en) Motor drive system
CN116014975A (en) Wheelchair, wheelchair sharing system, and wheelchair sharing method
KR200337626Y1 (en)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oorlock by using wire-free electric power charging method
CN113839443A (en) Intelligent door 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7734A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xiliary battery with built-in generator
WO2019076367A1 (en) Smart lock circuit and smart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