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883A -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883A
KR20210077883A KR1020190169357A KR20190169357A KR20210077883A KR 20210077883 A KR20210077883 A KR 20210077883A KR 1020190169357 A KR1020190169357 A KR 1020190169357A KR 20190169357 A KR20190169357 A KR 20190169357A KR 20210077883 A KR20210077883 A KR 2021007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curvature
distal
handle
inser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615B1 (ko
Inventor
송원경
김정환
김동아
김홍규
이소정
안광옥
조계엽
김지민
노은래
임명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9016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에 악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뇨관을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도뇨관을 감싸서 결합하는 부분인 도뇨관 결착부(120); 상기 몸체부에서 양쪽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잡이부(130);로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이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지부(132,133)와 제2가지부(134,135);로 이루어지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FOLEY CATHETER INSER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게 파지 가능한 형상을 갖는 도뇨관 삽입장치이며, 배뇨장애 환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도뇨관을 쉽고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뇨관 자동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뇨장애는 신경이나 방광의 손상으로 인하여 방광으로부터 소변 배출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장애를 말한다. 이러한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소변의 방광 저류로 인해 요로감염, 방광요로역류 등의 합병증이 잘 발생한다. 간헐적 도뇨(Intermittent catheterization)란 배뇨장애 환자들의 방광에 소변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방광에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도뇨관 삽입을 위해서는 정밀한 손과 팔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척수손상이나 뇌신경 손상환자 그리고 노인환자들은 이러한 정밀한 움직임에 제한이 있어서 스스로 도뇨관 삽입을 하기 힘들어서 간병인이나 의료인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존적 상태로 인하여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자존감의 상실 등으로 인한 우울증 등 추가적인 합병증이 발생한다.
삶의 만족도가 낮거나 장애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 기능적으로 많이 의존해야 하는 경우에는 발병 첫 해 이후 기대 수명 및 예후가 낮다. 척수손상 환자의 경우 방광 내압이 증가한 상태에서 적절한 시기에 배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율신경 반사부전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척수손상으로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변을 보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하루 5~7회 정도 도뇨관을 요도를 통해 방광까지 넣어 소변을 빼내는 간헐적 도뇨법을 시행해야 한다. 간헐적 도뇨 대상자 중 손사용이 가능한 경우 스스로 간헐적 청결 도뇨법을 시행(자가도뇨) 가능하지만 손기능이 제한된 경수손상장애의 경우 타인이 대신 간헐적 청결 도뇨를 시행해야 해서 일상생활에 큰 제한을 받고 있다. 손기능을 보조해주는 보조기기의 경우 국내에서 판매되는 제품이 거의 없고, 해외 개발된 제품이라고 할지라도 그 기능이 제한적이어서 실생활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손기능이 저하된 C5, 6 손상레벨 경수 손상장애인을 대상으로 스스로 자가도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기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관련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74492호(20140324 공고)에는 "비뇨기용 카테터 삽입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휴대형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손기능이 저하된 경수손상장애인이 스스로 간헐적 도뇨를 할 수 있도록 도뇨관 잡기가 용이한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배뇨장애 환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손에 악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뇨관을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도뇨관을 감싸서 결합하는 부분인 도뇨관 결착부(120); 상기 몸체부에서 양쪽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잡이부(130);로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이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지부(132,133)와 제2가지부(134,135);로 이루어지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2a,133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2b, 13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상기 제2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4a,135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4b, 1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도뇨관 결착부(12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이 마름모 형상인 도뇨관 홀딩부(122);와 상기 도뇨관 홀딩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이격 공간이 벌어져서 도뇨관 결착시 도뇨관을 안내하는 도뇨관 안내부(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뇨관 결착부에서 상기 손잡이부 까지의 거리가 3cm이며, 상기 근위부(132a,133a)의 횡방향 폭은 2cm이고,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0.2c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손기능이 저하된 경수손상장애인도 스스로 간헐적 도뇨를 할 수 있도록 도뇨관 잡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뇨장애 환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도뇨관을 삽입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일부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에 도뇨관이 장착된 모습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다양한 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의 일부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에 도뇨관이 장착된 모습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다양한 모습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뇨관 삽입장치(100)는 손에 악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뇨관을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서, 몸체부(110)와 도뇨관 결착부(120)와 손잡이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뇨관 결착부(12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도뇨관을 감싸서 결합하는 부분이며, 손잡이부(130)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쪽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이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지부(132,133)와 제2가지부(134,135)로 이루어져 두 개의 횡방향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1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2a,133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2b, 13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상기 제2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4a,135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4b, 1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이렇게 원위부와 근위부의 부분의 곡률을 차이를 둔 것은 사용자 손가락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뇨관 결착부(12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이 마름모 형상인 도뇨관 홀딩부(122)와 상기 도뇨관 홀딩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이격 공간이 벌어져서 도뇨관 결착시 도뇨관을 안내하는 도뇨관 안내부(124)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상기 도뇨관 안내부를 도뇨관(도 5의 C)를 향해 미는 동작만 하더라도 도뇨관이 상기 도뇨관 홀딩부에 들어가서 결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뇨관을 잡기 위한 도뇨관 결착부의 입구는 도뇨관을 입구에 대고 눌러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바깥 방향 곡선으로 되어 있고, 도뇨관을 누른 후 도뇨관이 안쪽으로 들어오면 내부 사각형 공간(도뇨관 홀딩부)에 의해 도뇨관이 단단히 잡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손에 악력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손에 끼워져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적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내구성이 좋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뇨관 결착부에서 상기 손잡이부까지의 거리가 3cm이며, 상기 근위부(132a,133a)의 횡방향 폭은 2cm이고,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0.2cm인 것이 좋다.
도 6 내지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도뇨관 삽입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손에 여러 가지 형태로 착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미세한 상지 조절 능력이 부족한 경수손상 장애인이 특정 부분을 목표로 상지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두 개의 섹션(손잡이부의 제1가지부 또는 제2가지부의 특정 부위)에만 손가락을 끼워도 손에 착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7 내지 도 8을 보면, 도뇨관 삽입장치를 손을 수평한 형상으로 끼울 경우 앞방향으로 밀어 잡기가 가능하고(도 7의 화살표), 또한 도뇨관 삽입장치를 수직으로 끼울 경우 옆방향으로 밀어 잡기가 가능한 점(도 8의 화살표)이 장점이며, 그 결과 도뇨관이 어느 방향으로 위치하던지 사용자 몸의 방향이나 상지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잡기 동작이 가능해 운동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경수손상 장애인의 조작이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
본 발명의 도뇨관 삽입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을 보면, 자가 도뇨관 손잡이부(130)를 손에 끼운다. 손에 손잡이부가 착용되면 도뇨관(C)을 향해 도뇨관 결착부를 이동하고 도뇨관 끝 부분에 도뇨관 결착부의 안내부의 끝단을 대고 눌러서 도뇨관을 잡은 후, 잡은 도뇨관을 요도로 이동시켜 어깨와 부분적인 주관절 움직임으로 삽입하면 소변이 배출된다(도 9).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손에 악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도뇨관을 잡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로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도뇨관을 감싸서 결합하는 부분인 도뇨관 결착부(120);
    상기 몸체부에서 양쪽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잡이부(130);로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이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지부(132,133)와 제2가지부(134,135);로 이루어지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2a,133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2b, 133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근위부(134a,135a)와 상대적으로 먼 원위부(134b, 1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근위부와 원위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로 형성되되, 상기 원위부의 곡률이 상기 근위부의 곡률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도뇨관 결착부(120)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연장되고 내부 공간이 마름모 형상인 도뇨관 홀딩부(122);와
    상기 도뇨관 홀딩부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이격 공간이 벌어져서 도뇨관 결착시 도뇨관을 안내하는 도뇨관 안내부(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뇨관 결착부에서 상기 손잡이부 까지의 거리가 3cm이며,
    상기 근위부(132a,133a)의 횡방향 폭은 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두께는 0.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KR1020190169357A 2019-12-18 2019-12-18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KR10231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57A KR102317615B1 (ko) 2019-12-18 2019-12-18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57A KR102317615B1 (ko) 2019-12-18 2019-12-18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883A true KR20210077883A (ko) 2021-06-28
KR102317615B1 KR102317615B1 (ko) 2021-10-26

Family

ID=7660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57A KR102317615B1 (ko) 2019-12-18 2019-12-18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90U (ko) * 1989-09-25 1991-05-20
WO2019007032A1 (zh) * 2017-07-05 2019-01-10 威海吉威重症医疗制品有限公司 一种女性专用导尿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390U (ko) * 1989-09-25 1991-05-20
WO2019007032A1 (zh) * 2017-07-05 2019-01-10 威海吉威重症医疗制品有限公司 一种女性专用导尿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615B1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618A (en) External male catheter
US9345855B2 (en) Catheter grip and catheter assembly
US6349727B1 (en) Penile clamp for inhibiting incontinence
EP3496679B1 (en) Inserter for urethral plug
US11351020B2 (en) External male incontinence clamp
US5084036A (en) Device to facilitate self-catheterization in women
US20180280659A1 (en) Applicators for gripping urinary catheters and catheter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US872805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atheter advancement
US5044040A (en) Toiletting assist device
KR20170068527A (ko) 여성의 요도공으로의 카테터튜브 삽입 보조장치
US20200093685A1 (en) Erectile Dysfunction Assistance Device
JP3132659B2 (ja) 女性用排尿受け器
GB2191095A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attachment of appliances to the penis
KR102317615B1 (ko) 자가 도뇨관 삽입장치
CN110742757B (zh) 一种用于辅助间歇性导尿的装置
JP3176351B2 (ja) 女性用排尿受け器
JPH0232267Y2 (ko)
CN211535457U (zh) 卧床患者下肢踝关节训练装置
KR102224345B1 (ko) 환자용 배변기
US20230157532A1 (en) Female Urethral Catheterization Assist Device
JP5086488B2 (ja) ペニスの胴体部の両側面部以外の部位を押圧しない事を特徴とするペニス固定具。
JP5932718B2 (ja) 膝痛緩和補助装置
US6675803B1 (en) Episiotomy or perineal tear shield for use during urination
KR20190080214A (ko) 휴대형 도뇨관 자동 삽입 장치
US20170216559A1 (en) Tee-beam-retained, urgonomically precontoured, valved urinary catheter with external actuation tensor for continual in-place compensation for benign prostate hyperpl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